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29, No. 1, pp.90-100
ISSN: 1225-4886 (Print) 2288-338X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8 Feb 2017
Received 02 Nov 2016 Revised 23 Jan 2017 Accepted 26 Jan 2017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17.29.1.90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 대상으로

윤숙자 ; 변은경
정신보건사회복지사
경남정보대학교
Factors Affecting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 The Graduates of Social Welfare
Suk-Ja YOON ; Eun-Kyung BYUN
Psychiatric Social Worker
Kyungnam college of Information & Technology

Correspondence to: 051-320-1459, bek@eagle.kit.ac.kr

Abstract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and provide data to increas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The subjects of university students in D and G city at the time, data collection was from April 1, 2016 to April 14, 189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WIN 20.0 program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test, ANOVA, post verification was analyzed by scheffe's test,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ffect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us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results of the study,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ppeared as 3.23±0.48 point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er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gender role stereotypes(r=-.711, p<.001)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correlation(r=.186, p=.011) an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ontrol (r=-383, p<.001). Factors affecting gender equality in research subjects appeared to be gender role stereotypes and control, explanatory power was found to be 50.1%. Through this research requires the fellow study to determine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Keywords:

Gender role stereotypes, Self-esteem,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대학생은 자유로운 이성교제가 허용되어 성행동이 자유로워지는 시기지만 그로 인한 성에 대한 문제도 많이 발생한다. 즉, 허용적인 대학 분위기와 개방적인 성문화를 접하지만 성교육이나 성보호 제도는 미비하고 안전한 성행동 실천은 매우 낮아 부주의하고 무책임한 성행동으로 건강문제를 초래하는 것이다(Yoo, Moon Sook⋅Park, Jee Won & You, Mi-Ae, 2012). 특히 이성교제에서 각자의 성적 관심이나 성행동의 요구수준이 다를 때 성적 갈등이 발생할 수 있고, 성적갈등은 원하지 않는 성관계의 응낙, 데이트 성폭력과 같은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Ahn, Gwi-Yeo-Roo, 2006). 이는 1970년대 후반 이후 서구 여성운동의 영향과 함께 여성들의 교육수준이 향상되고 경제활동 참여가 증가되면서 여성의 권익증진을 위한 제도적 장치들이 마련되면서 양성평등의 가치관이 확산되었지만 가부장적인 권위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가족문화의 영향을 오랜 기간 받아왔기 때문에 여성에 대한 평가는 남성에 비해 낮게 인식하는 성차별에 근거하고 있다(Kim, So Jung, 2013). 이러한 상황은 미래의 우리 사회와 관련지어 생각해 볼 때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는데, 우리 사회는 점점 여성적 사고와 능력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경제~사회적 변화가 진행되면서 여성노동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여성의 역할이 현대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강력한 힘으로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견지에서 21세기는 양성 평등의 사회를 지향한다(Kim, Young Hee⋅Lee, Su Yeon & Kim, Hye Young, 2002).

성 정체성과 성의식의 형성은 성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할 때 특히, 대학생 시기에 양성평등적인 의식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성의식은 성에 관한 주요개념으로 남성과 여성의 능력과 속성이 차이가 있으면 그것을 인정하고 상호보완하면서 함께 살아가는 것이다. 또한 성의식은 자신의 성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며 인격형성이나 이성관계 뿐만 아니라 미래의 부부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Lee, Ju Yeon⋅Ha, Sang Hee & Chung, Hye Jeong, 2005) 성에 대한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 중요하다. 이러한 성의식의 형성은 양성평등의식을 기초로 하는데, 즉 남성과 여성의 능력과 속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가지지 않고, 특정성에 대한 편견에서 자유롭고 여성의 권리와 인권에 반하는 차별적인 행동을 승인, 채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회에서의 성차별을 개선하기 위한 제도와 정책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태도(Kim, Young Hee⋅Lee, Su Yeon & Kim, Hye Young, 2002)를 말한다.

성역할에 대한 왜곡된 생각은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가부장적 문화에 익숙한 우리 사회에서는 고려되어야 할 변수이다. 성 역할 고정관념은 여성과 남성에 대한 전형적인 특성에 대한 신념으로서 이를 계속 강화하는 사회적 환경과 성장배경으로 인해 실제 성차이보다 과장되고 왜곡되는 경향이 있다. Cho, Gyoo Yeong & Kim, Yun Hee(2014)의 연구에서 성역할 고정관념은 성적 자기주장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쳐 성역할이 성적으로 평등하다는 양성평등의식을 저하시킨다고 하였다. Ye Eun Hwa(2016)의 연구에서 성역할고정관념과 양성평등의식과의 관계에서 남성성과 양성평등의식 보다 여성성과 양성평등의식이 더 높은 정적상관관계를 보여 여성성이 높을수록 양성평등의식이 더 높은 결과를 보였고, Kang Kyung-Seok과 Park Yeon-Hee(2008)의 연구에서 어머니의 양성평등의식이 유아의 성역할고정관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의 성역할고정관념과 양성평등의식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폭력을 행사하는 남학생은 여학생이나 비폭력 남성에 비해 이성친구에 대한 통제와 구속을 당연시하는 경향이 있었다(Ehrensaft, Miriam K & Vivian Dina, 1999). 즉, 이성교제 관계에서 그릇된 가치관과 왜곡된 성의식은 성역할고정관념을 가져올 수 있다. 대학생의 이성교제에서 양성평등의식이 낮고 전통적인 성역할을 수용할 때 상대를 통제하려는 경향이 높아 가해행동으로 데이트 폭력을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Yang, Nan-Mi & Lee, Jee-Yon, 2008)는 상대통제가 양성평등의식의 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생의 상대통제와 양성평등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양성평등의식을 향상시키는 중재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자아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가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부정적인 자아존중감은 개인의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반면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은 새로운 경험에 대해 수용적이며 자기 자신에 대해 가치있게 느껴 자신의 결정능력에 대해 확신을 갖도록 도와준다(Gang, Moon. Hae, 2011). 또한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독립적이고 상대에게 의존적이지 않기 때문에 상대에게 좋은 파트너가 될 수 있다(Eom, Hye Jeong & Chung, Hye Jeong, 2006). Noh, Myung In과 Park, Young Sook(2013)의 사관생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아존중감은 양성평등의식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자아존중감이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심리정서적ᆞ사회환경적 측면에서 비롯되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문제를 경험하는 클라이언트를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접하고 그들을 대상으로 전문적 실천에 근거한 휴먼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직 종사자인 사회복지사들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자신에 대한 이해는 성의식을 기초로 한 자기정체성 확립이 중요하다. 또한 사회복지사는 매맞는 여성, 성폭력 가해자 및 피해자 등 성적 이슈와 관련된 클라이언트를 접할 수 있고 이들을 위한 개입을 하는 활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성의식을 확립하고 바람직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선행연구에서 양성평등의식과 자아존중감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Woo, Min Jung & Lee, Eun Young, 2011; Noh, Myung In & Park, Young Sook, 2013; Kim et al., 2014), 양성평등의식의 영화치료프로그램 중재는 성역할 고정관념에 영향을 미쳤고(Seo, Jeong Im & Park, Myung Sook, 2007), 양성평등의식과 상대통제는 부적 상관관계(Yang, Nan-Mi & Lee, Jee-Yon, 2008)를 나타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에게서도 양성평등의식, 자아존중감, 성역할 고정관념의 관계와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의미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양성평등의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양성평등의식 정도를 파악하고,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양성평등의식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 대상자의 성역할 고정관념, 자아존중감, 상대통제, 양성평등의식의 정도를 파악한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의 차이를 파악한다.
∙ 대상자의 성역할 고정관념, 자아존중감, 상대통제, 양성평등의식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 대상자의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파악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자아존중감, 상대통제, 양성평등의식의 정도를 파악하고,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에서는 D, G시 소재한 3개 대학의 사회복지전공 학과장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자료수집에 대한 허락과 동의를 얻었다. 대상자는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으로 연구목적과 절차를 설명한 후 동의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발적으로 연구참여에 대한 동의를 서면으로 받은 다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목적 이외에는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언제든지 연구참여를 철회할 수 있음을 연구대상자에게 설명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4월 1일부터 4월 14일까지 였고, 자료수집이 끝난 후 소정의 사례를 하였다.

표본 수 크기 결정은 G*Power3.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수준(a) .05, 효과크기 .3, 통계적 검정력 .95을 투입하여 회귀분석에 필요한 표본 수인 134명이 산출되었다. 탈락자를 고려하여 총 23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0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이 중 응답에 적절하지 않은 11부를 제외하고 총 189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성별은 여성이 58.2%로, 연령은 20-22세가 58.7%로로 가장 많았다. 종교는 없다가 55%를 차지하였으며, 거주형태는 자취가 43.4%로 가장 많았다. 경제상태는 중이 79.9%로, 성적도 중이 74.1%로, 용돈은 20-29만원이 가장 많았다. 이성교제경험은 있다가 74.6%로 나타났다.

General characteristics (N=189)

3. 연구도구

가. 성역할 고정관념

성역할 고정관념은 남녀의 역할구분에 대하여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이는 신념으로, Kim, Dong Il(1999)이 개발하고 Oh, Suk Hee⋅Kang, Hee Soon & Kim, Yun Hee(2010)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도구를 허락 받아 사용하였다. ‘여자가 직업을 가졌더라도 가사에 대한 일차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 ‘대체로 기관장이나 행정직은 남성에게 더 적합한 직업이다’, ‘성관계는 남자가 주도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등의 총 22개 문항의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었고, 점수가 높을수록 성역할 고정관념을 많이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Oh, Suk Hee⋅Kang, Hee Soon & Kim, Yun Hee(2010)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77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894였다.

나.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 척도는 Rosenberg, M(1965)이 개발하고, Jeon, Byong-Je(1974)가 번안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는 자아가치와 자아승인을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자기보고식 척도로 긍정 5문항, 부정 5문항, 전체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1점 ‘거의 그렇지 않다’ 에서 5점 ‘매우 그렇다’까지 5점 척도로 부정 문항은 역점수 처리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Jeon, Byong-Je(1974)의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81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는 .787이었다.

다. 상대통제

상대통제는 이성교제시 이성친구를 통제하려는 경향성으로 Ehrensaft, Miriam K & Vivian Dina(1999)의 Appraisal of Parter Control Scale(APCS)을 Chang, Hee Suk & Cho, Hyun Gak(2001)이 번안한 도구를 허락 받아 사용하였다. 총 4문항에 7점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상대방에 대한 통제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Ehrensaft, Miriam K & Vivian Dina(1999)의 문항개발당시 Cronbach’s α는 .88이었으나 우리나라 문화수준에 맞게 수정한 Chang, Hee Suk & Cho, Hyun Gak(2001)의 연구에서는 .50, Yang, Nan-Mi & Lee, Jee-Yon(2008)의 연구에서는 .580,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는 .580로 나타났다. Cronbach’s α가 낮았으나 문화적 차이에 따른 결과로 보았고 Yang, Nan-Mi & Lee, Jee-Yon(2008)의 연구와 같은 신뢰도 값을 나타내어 사용하였다.

라. 양성평등의식

양성평등의식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한국여성정책 연구원이 개발한 표준화된 ‘청소년 한국형 남녀평등의식 단축형(Kim, Young Hee⋅Lee, Su Yeon & Kim, Hye Young, 2002)을 사용하였다. 이 측정도구는 청소년의 현실에서 나타나는 젠더 관련 문제를 반영하여 남녀의 능력과 성격, 사회적 권리와 자유, 평등정책 및 제도와 관련된 한국인의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가정생활, 학교생활, 직업생활, 사회문화생활의 4개 하위영역으로 구분되며 각각 10문항씩 총 40문항으로 구성된 것을 본 연구에서는 요인분석을 통하여 4개 하위영역에 각각 5문항씩을 선정하여 총 20문항으로 단축형을 제작하였다. 4점 Likert척도로 구성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남녀 평등의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Kim, Young Hee⋅Lee, Su Yeon & Kim, Hye Young(2002)의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87로 나타났고, 본 연구에서 전체 Cronbach’s α는 .737, 가정영역 .714, 교육영역 .632, 직업영역 .802, 사회문화영역 .717로 나타났다.

4. 자료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검증, 일원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고, 사후 검정은 scheffe’s test를 사용하였다. 성역할고정관념, 자아존중감, 상대통제, 양성평등의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계수로 분석하였고,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성역할 고정관념, 자아존중감, 상대통제, 양성평등의식의 정도

연구대상자의 성역할 고정관념, 자아존중감, 상대통제, 양성평등의식의 정도는 <Table 2>과 같다. 성역할 고정관념은 2.20±0.68점, 자아존중감 3.52±0.69점, 상대통제 2.24±0.54점, 양성평등의식은 64.60±9.51점으로 나타났다.

Degree of gender role stereotypes, self-esteem, partner control,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N=189)

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의 차이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은 성별(t=15.337, p<.001), 연령(F=4.851, p=.009)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나머지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사후검정에서 20-22세 대학생은 23세 이상 대학생보다 양성평등의식이 높았다<Table 3>.

Difference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189)

3. 연구대상자의 성역할 고정관념, 자아존중감, 상대통제, 양성평등의식의 상관관계

연구대상자의 성역할 고정관념, 자아존중감, 상대통제, 양성평등의식의 상관관계는 <Table 4>와 같다. 연구대상자의 양성평등의식과 성역할 고정관념은 부적상관관계(r=-.711, p<.001), 양성평등의식과 자아존중감은 정적상관관계((r=.186, p=.011), 양성평등의식과 상대통제와는 부적상관관계(r=-383, p<.001)를 나타냈다. 성역할 고정관념과 자아존중감은 부적상관관계((r=-197, p=.007), 성역할고정관념과 상대통제는 정적상관관계(r=.404, p<.001)를 나타냈다. 이는 성역할고정관념이 낮을수록, 이성통제가 낮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높을수록 양성평등의식은 높아지는 것이다. 상대통제와 자아존중감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r=.121, p=.100).

Correlation between gender role stereotypes, self-esteem, partner control,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4. 연구대상자의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

연구대상자의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은 <Table 5>과 같다. 대상자의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된 성역할고정관념, 자아존중감, 상대통제를 설명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의 기본가정을 확인한 결과 잔차의 분포는 정규성을 만족하였고, 독립변수 간의 다중 공선성을 검정하였을 때, 공차한계(tolerance)가 .818∼.958이고, 분산팽창계수(Variation Information Factor, VIF)가 1.04∼1.22로 나타나 공차한계가 0.1이상이었고, 분산팽창인자가 모두 10보다 낮았으므로 다중 공선성의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연구대상자의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역할고정관념(t=-11.524, p<.001)과 상대통제(t=-1.997, p=.047)로 나타났다. 양성평등의식에 대한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F=64.791, p<.001), 수정된 결정계수((R²)는 .510으로 설명력은 51.0%로 나타났다. 양성평등의식에 상대통제보다 성역할고정관념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actors influencing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Ⅳ. 논 의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를 통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양성평등의식은 64.60±9.51(3.23±0.48)점으로 나타나 Yang, Nan-Mi & Lee, Jee-Yon(2008)의 연구에서 63.51점 보다 높았고, An, Yoon Jung(2014)의 연구에서 3.17점 보다 높았다. 이는 지역과 전공에 따른 차이로 지역, 전공과 학년을 고려한 반복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은 성별,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높았고, 연령은 23세 이상 보다 20-22세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Lee, Young Ran⋅Kim, Kyung Mi & Choi, So Eun(2013)의 연구에서 성별과 학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결과와 Yoo, Moon Sook⋅Park, Jee Won & You, Mi-Ae(2012)Jeong, Sook-Nam & Heo, Gyun(2015)의 연구에서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결과와 유사하다. 여학생이 많은 보건계열에서 다른 계열보다 여성의 성평등의식이 유의하게 높은 결과(Lee, Young Ran⋅Kim, Kyung Mi & Choi, So Eun, 2013)와 유사하게 여학생이 많은 사회복지계열에서도 여성의 성평등의식이 높았다. 선행연구가 많지 않아 단순 비교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나 여성의 사회적 역할이 많아짐에 따라 양성평등의식이 높아가고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Kim, Young Hee & Kang, Hye Won(2009)의 연구에서 양성평등의식의 하위영역별로 변량 분석한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20세 이하 연령이 21세 이상의 연령보다 전공계열은 자연계열보다 인문계열이 직업 활동 영역, 교육과 양육 영역, 성 영역에서 양성평등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연령이 낮을수록 양성평등의식이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전통적인 남성 중심의 사고의 영향으로 양성평등의식이 낮은 결과를 보여준다. 또한 여학생이 많은 인문계열은 자연계열 보다 여성의 성평등의식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통해 양성평등의식의 향상을 위하여 성별, 연령, 전공 특성에 따른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전공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에 대한 반복연구를 통한 비교가 필요하고, 양성평등의식의 향상을 위한 성별, 연령별 특성에 따른 교육 및 중재가 개발되고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양성평등의식을 고취하는데 중요한 것은 교육이다(Kabeer, Naila, 2003). Kim, Yu Soon & Lee, Ki Young(2002)의 연구에서 사회복지 전공대학생에게 성의 불평등을 다루는 교과목이 포함되지 않았을 경우 성역할 태도를 결정할 때 자신의 성에 대한 관심도에 따라 결정되었고, 사회복지 전공은 성에 대한 균등한 의식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Jeong, Sook-Nam & Heo, Gyun(2015)의 연구에서 지방공무원의 교육 경험이 양성평등의식의 차이를 반영하지는 못하여 실제적인 상황에 적용하고 훈련할 수 있는 지속적인 교육을 통하여 양성평등의식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대학생들이 사회 내에서 양성평등의 실제적인 행동이 나타나기 위해서는 양성평등의식의 의무교육이나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더 나아가 사회복지교육이 사회변화를 위한 관심을 가지고 억압받는 사람들의 문제에 개입될 수 있는 교육과 훈련이 되기 위해서는 대학 내에서 필수이수과목으로 규정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Kim, Yu Soon & Lee, Ki Young, 2002; Park, Chai-Soon & Yeoum, Soon Gyo, 2015).

연구대상자의 양성평등의식과 성역할 고정관념, 상대통제와는 부적상관관계, 양성평등의식과 자아존중감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역할 고정관념과 상대통제로 나타났다. 이는 Yang, Nan-Mi & Lee, Jee-Yon(2008)의 연구에서 양성평등의식과 상대통제 경향성이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다. 남녀 사관생도에서 양성평등의식과 자아존중감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결과(Noh, Myung In & Park, Young Sook, 2013)와 여성 집단에서 자아개념이나 자존감이 높을수록 평등한 성역할 태도를 보인 결과(Ossana, Shelly. M.⋅Helms, Janet & Leonard, Mary M, 1992)와도 유사하다. 또한 양성평등의식과 상대통제는 부적상관관계, 양성평등의식과 성적 자기주장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낸 결과와도 유사하다(Yang, Nan-Mi & Lee, Jee-Yon, 2008).

우울하고 정서적으로 위기감을 느끼는 중년 여성일수록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를 가져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가 자존감뿐만 아니라 우울과 정서적 위기감과 같은 정신건강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이 보고된 결과(Lee, Eun A, 2006)를 통해 여성이 성역할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자신에 대한 가치를 높이며 양성평등의식이 향상되는 것은 정서적으로 건강해 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한국사회는 여성의 사회적 참여와 사회적 역할이 확장되어 가고 있지만 충분한 양성평등의식을 받아들일 만큼 성숙되지 않음으로 인해 여성에게 사회문화적인 환경은 성역할 고정관념으로 인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Kim, So Jung, 2013). 이러한 성역할 고정관념은 사회적으로 공인된 남성성을 인정받지 못한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의 남성이나 성역할 고정관념이 높은 남성의 경우 여성에 대한 지배나 폭력행사를 통해 자신의 남성성을 보호할 수 있다는 점에서(Brines, Julie, 1994) 이성교제나 부부관계에서도 상대통제를 통한 성폭력이나 가정폭력이 유발될 수 있다. 복지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양성평등의식이 지역사회복지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Park et al., 2008)를 통해서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이 우리 사회에서 복지서비스를 클라이언트에게 균등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양성평등의식의 고양과 역량을 강화시킴으로 업무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성역할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여 양성평등으로 갈 수 있는 사회나 직장에서의 여성의 지위 향상, 가정에서의 남성, 여성의 평등한 성역할 인식, 불평등에 대한 법적 완화 등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양성평등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로 인해 가정이나 직장에서의 성역할 고정관념이나 상대통제로 인한 성폭력이나 가정폭력을 예방하고 성역할에 대한 평등을 인식함으로써 양성평등의식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학생은 초기 성인기에 속하며, 이 시기에 성과 관련된 현실적인 문제에 직면하게 되므로 건전한 의식과 태도를 습득하여 올바른 성정체성 및 양성평등에 대한 인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양성평등의식의 함양을 위해서는 대학생 시기에 성역할 고정관념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상황에 노출시킴으로써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Cho, Gyoo Yeong & Kim, Yun Hee, 2014)과 성역할에 대한 편견해소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한 지속적인 교육(Kim, Hyun-Ji & Jun, Eun-Mi, 2013)으로 성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고 양성평등의식의 향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2개 도시의 2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의 정도와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양성평등의식의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으로 그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역할 고정관념과 이성통제로 나타났고,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은 사회복지의 다양한 영역에서 대상자를 만나고 중재자의 역할을 하기 위해 양성평등의식을 높이는 중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일부 지역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지만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고, 양성평등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가 필요하다.

References

  • Ahn, Gwi-Yeo-Roo, (2006), Research review about psycho-social risk markers related to dating violenc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4), p709-726.
  • An, Yoon Jung, (2014),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role orientation,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and work hop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10), p167-193.
  • Brines, Julie, (1994), Economic dependency, gender and the division of labor at home,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0(3), p652-688. [https://doi.org/10.1086/230577]
  • Chang, Hee Suk, & Cho, Hyun Gak, (2001),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ating violence among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8, p179-204.
  • Cho, Gyoo Yeong, & Kim, Yun Hee, (2014), Factors influencing sexual assertiveness of wome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5), p2795-2806.
  • Chung, Eun Sook, (2015), Sexual consciousness, gender egalitarianism and awareness levels of sexual harassment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7), p4679-4688. [https://doi.org/10.5762/kais.2015.16.7.4679]
  • Ehrensaft Miriam, K., & Vivian, Dina, (1999), Is partner aggression related to appraisals of coercive control by a partner?, Journal of Family Violence, 14(3), p251-266.
  • Eom, Hye Jeong, & Chung, Hye Jeong, (2006), Effect of primary triad experience on self-esteem and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4(2), p137-152.
  • Gang, Moon. Hae, (201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steem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4), p404-413. [https://doi.org/10.12934/jkpmhn.2011.20.4.404]
  • Jeon, Byong-Je,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University Journal, 11(1), p107-124.
  • Jeong, Sook-Nam, & Heo, Gyun, (2015), An empirical study on the status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focused on Gyeongsangnam-do official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4), p1953-1963.
  • Kabeer, Naila, (2003), Gender mainstreaming in poverty eradication and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A handbook for policy-makers and other stakeholders, London, Commonwealth Secretarial.
  • Kang, Kyung-Seok, Park, Yeon-Hee, (2008), The effect of parents' awareness of gender-equity on young children's sex-role stereotype,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7(1), p41-54.
  • Kim, Dong Il, (1999), Sex of sociology, Seoul, Moonumsa.
  • Kim, Eun Joo, Kim, Geum Myun, Choi, Kyung-Won, Kim, Sang Suk, & Lim, Ji Young, (2014), Gender identity, gender equality, and self 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ociety Home Care Nursing, 21(1), p60-68.
  • Kim, Hyun-Ji, & Jun, Eun-Mi, (2013), Differences between gender role attitude and sexual autonomy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2), p975-990.
  • Kim, So Jung, (2008), A study on gender difference of gender-role stereotyp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36, p129-149.
  • Kim, So Jung, (2013), Factors affecting gender-role stereotyp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4(1), p89-111.
  • Kim, Young Hee, & Kang, Hye Won, (2009), A study on gender equalitarianism of kyounggi university students, Citizen and Humanities, 16, p127-164.
  • Kim, Young Hee, Lee, Su Yeon, & Kim, Hye Young, (2002), 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 on adolescents: KGES-A,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 Kim, Yu Soon, & Lee, Ki Young, (2002), Social work students' perceptions on Korean family law, attitudes on gender-roles, and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education,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9, p9-29.
  • Lee, Eun A., (2006), The relationships of the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s gender-role attitude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9(1), p25-41.
  • Lee, Ju Yeon, Ha, Sang Hee, & Chung, Hye Jeong, (2005), The relationship of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0, p149-172.
  • Lee, Young Ran, Kim, Kyung Mi, & Choi, So Eun, (2013), Awareness levels and influencing factors of sexual harassment and gender egalitarianism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4(1), p40-50.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1.40]
  • Noh, Myung In, & Park, Young Sook, (2013), Cadets' gender egalitarianism, self-esteem and collective self-esteem,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31(2), p91-101.
  • Oh, Suk Hee, Kang, Hee Soon, & Kim, Yun Hee, (2010), Analysis of rape myths acceptance and gender role stereotype among female and 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4(2), p249-257.
  • Ossana Shelly, M., Helms, Janet, & Leonard, Mary M., (1992), Do womanist identity attitudes infiuence college women's self-esteem and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bia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0, p402.
  • Park, Chai-Soon, & Yeoum, Soon Gyo, (2015),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f-actualization, gender equality, awareness, and marriage value in unmarri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3), p1633-1651.
  • Park, Hyun-Sik, Kim, Se-Won, Song, Jeong-Ok, & Bea, Ji-Yeon, (2008), In factors which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public servant in charge of public welfare affects social welfare,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26, p71-88.
  •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515/9781400876136]
  • Seo, Jeong Im, & Park, Myung Sook, (2007), The effects of the movie therapy program on gender egalitarianism and gender stereotyp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Korean Educational, 6(2), p105-123.
  • Woo, Min Jung, & Lee, Eun Young, (2011), A stud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their self-esteem,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1(2), p99-119.
  • Yang, Nan-Mi, & Lee, Jee-Yon, (2008), The effect of rape myth on the sexual assertiveness and control disposition-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in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Asian Women, 47(1), p39-65.
  • Ye, Eun Hwa, (2016), Correlation between stereotype of gender role and sense of gender equality in elementar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in University, Gyeonggido, 2016.
  • Yeun, Eun Ja, Kwon, Hye Jin, & Kim, Hyun Jeong, (2012), Subjectiv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n application of Q-methodolog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3), p342-350. [https://doi.org/10.4040/jkan.2012.42.3.342]
  • Yoo, Moon Sook, Park, Jee Won, & You, Mi-Ae, (2012), The relationships among gender egalitarianism, sexual attitudes and sexual harassment myths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6(1), p14-22.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N=189)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Gender Male 79(41.8)
Female 110(58.2)
Age <20 33(17.5)
20-22 111(58.7)
≥23 45(23.8)
Religion Yes 85(45.0)
No 104(55.0)
Residental type Home 81(42.9)
A boarding house 26(13.8)
Board oneself 82(43.4)
Economic status High 9( 4.8)
Middle 151(79.9)
Low 29(15.3)
Academic grade High 22(11.6)
Middle 140(74.1)
Low 27(14.3)
Pocket money (10,000) <10 26(13.8)
10-19 29(15.3)
20-29 49(25.9)
30-39 41(21.7)
≥40 44(23.3)
Hetero sexual relationship Yes 141(74.6)
No 48(25.4)

<Table 2>

Degree of gender role stereotypes, self-esteem, partner control,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N=189)

Variable M±SD Min Max
Gender role stereotypes 2.20±0.68 1.00 4.60
Self-esteem 3.52±0.69 1.80 5.00
Partner control 2.24±0.54 1.00 4.00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64.60±9.51 30 80

<Table 3>

Difference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189)

Characteristics Categories M±SD t/F(p)
scheffe's
Gender Male 59.77± 8.90 43.248
(p<.001)
Female 68.13± 8.34
Age <20a 64.78±11.66 4.851
(.009)
b>c
20-22b 66.35± 8.73
≥23c 62.23± 8.86
Religion Yes 64.37± 8.99 .083
(.773)
No 64.78± 9.99
Residental type Home 64.75±10.03 .118
(.950)
A boarding house 65.23±. 9.59
Board oneself 64.17± 9.08
Economic status High 65.56± 9.96 .278
(.757)
Middle 64.77± 9.53
Low 63.45± 9.51
Academic grade High 63.82±10.56 .935
(.394)
Middle 65.13± 9.31
Low 62.52± 9.66
Pocket money
(10,000)
<10 63.27±11.01 2.268
(.064)
10-19 68.38±.7.83
20-29 64.35± 8.40
30-39 65.82± 8.23
≥40 62.09±11.12
Hetero sexual relationship Yes 64.92±10.67 .126
(.723)
No 64.41± 8.77

<Table 4>

Correlation between gender role stereotypes, self-esteem, partner control,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Variable Gender role stereotypes
r(p)
Self-esteem
r(p)
Partner control
r(p)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r(p)
Gender role stereotypes 1
Self-esteem -.197
(p=.007)
1
Partner control .404
(p<.001)
-.121
(p=.100)
1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711
(p<.001)
.186
(p=.011)
-.383
(p<.001)
1

<Table 5>

Factors influencing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Variable B SE β t p
Constant 4.396 0.187 23.502 p<.001
Gender role stereotypes -.473 .041 -.658 -11.524 p<.001
Self-esteem .027 .036 .039 .743 .458
Partner control -.100 .050 -.113 -1.997 .047
Adj R2=.510, F=64.791(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