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29, No. 1, pp.224-233
ISSN: 1225-4886 (Print) 2288-338X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8 Feb 2017
Received 23 Dec 2016 Revised 16 Jan 2017 Accepted 26 Jan 2017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17.29.1.224

사회연결망을 통한 평생교육 연구동향 분석

김태연 ; 강버들
부경대학교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Lifelong Education through Social Network
Taeyeon KIM ; Beodeul KA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051-629-5977, badlle@pknu.ac.kr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lifelong education in Korea over the last 10 years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To do this, a dataset has been collected from KCI (Korea Citation Index) databas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ly, the current status of lifelong education research by the year in the last 10 years showed a relatively high ratio between 2008 and 2009 and 2014 ~ 2015. Secondly, the most active networks between authors and journals constitute a key group in the order of ‘Lifelong Education Study’ and ‘Lifelong Learning Society’. Thirdly, the research institutes with the largest number of lifelong education research papers are Soongsil University, Dong-Eui University, and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In the network with the authors' network, the only authors were K8 working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the co-authors, H4, who works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howed the most active network. Finally, the core keyword network based on the thesis topic was analyzed as having higher connection centrality in the order of ‘lifelong education’, ‘lifelong educator’, and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Keywords:

Lifelong Education, Research Trend, Social Network Analysis

Ⅰ. 서 론

현재 우리나라 평생교육은 평생교육에 포함되지 않는 기관이 없을 정도로 광범위하게 발전되고 있다. 일부 대학과 대학원에 개설되어 있던 평생교육전공은 사이버대학교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며, 2017년부터 평생교육 단과대학 사업이 추진됨으로 인해 고등교육을 희망하는 성인학습자들에게 참여의 기회가 주어지는 등 다방면으로 평생교육에 대한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교육법이 평생교육법으로 개정된 2000년 이후 평생교육과 관련된 학술지와 학위논문의 수는 점차 늘어났으며, 한국교육개발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같은 국책연구기관에서도 평생교육과 관련된 연구보고서 및 정책보고서가 그 어느 때보다 양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평생교육의 연구동향 분석은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되어 왔다. 그 예로, 대학평생교육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대학평생교육 연구동향 분석(Kwak et al. 2014)과 한국 평생교육학의 이론 및 정책 연구(Kim et al. 2007)가 있었다. 또, 평생교육관련 학위논문의 양적 증가 및 연구주제에 대한 연구동향(Lee et al. 2012), 특수교육학 분야의 평생교육 연구(Kim et al. 2013), 지역평생교육 연구동향을 분석(Jung, 2014)한 선행연구도 있었다.

학술지 발행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해 본 결과, 2004년 ‘Andragogy Today’, ‘교육공학연구’ 학술지를 시작으로, 2005년 ‘열린교육연구’, 2011년 ‘평생학습사회’, 2012년 ‘HRD연구’ 학술지를 중심으로 평생교육관련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그러나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한 평생교육 연구동향에 대한 연구로는 특정 학술지만을 대상으로 연구되었거나(Lee, 2013; Yoon, 2015; Kim, 2015), 질적인 연구동향(Kim, 2014) 등으로 주제가 한정되어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사회연결망 분석기법을 이용한 평생교육관련 연구는 지역평생교육기관 간의 네트워크 분석(Moon, & Lee, 2008)과 사회적 네트워크와 관련된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Hyun, 2011) 등에 불과하다. 한편,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한 선행연구들은 특정 주제나 한 두 개의 학술지만을 대상으로 연구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관련 연구가 증가 추세에 있었던 최근 10년간 평생교육 연구동향을 사회연결망 분석 기법(Social Network Analysis)을 사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10년 동안 연도별 평생교육 연구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학술지 논문의 저자와 학술지 간의 네트워크 현황은 어떠한가?
셋째, 연구기관과 저자와의 네트워크 현황은 어떠한가?
넷째, 논문주제를 매개로 한 핵심키워드 네트워크는 어떠한가?

Ⅱ. 이론적 배경

네트워크 사회는 폐쇄적 완결구조를 지향했던 사회 각 부분들이 개방된 네트워크 체제로 전환하면서 역할과 기능을 확장해 가는 사회(Kim, 2006)라고 말한다. 평생교육 자체가 다양한 사회적 네트워크의 집합체로 인식되고 있으며, 네트워킹의 연속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평생교육학은 평생학습사회를 지향하는 사회적 공통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국가 및 지역 단위에서의 네트워킹이 강조되는 실천지향적인 학문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Park & Kim, 2009). Han(2001)에 의하면, 평생교육의 이념인 학습의 장과 시간의 통합화, 자원의 공유를 통한 효율화, 교육자원의 연계 활용을 통한 최상의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바로 네트워킹 평생학습사회라고 강조하면서 사회적 네트워크와 평생교육의 밀접한 관련성을 강조하였다.

우리나라 평생교육 분야에서의 사회적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는 시작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 분석 동향들을 살펴보면, 지역평생교육정보센터를 중심으로 어떠한 영향력 하에 기관 간 네트워크 유형 및 특성들이 나타나는지 분석한 연구(Moon, & Lee, 2008)가 있다. 또, 지역인적자원개발과 관련된 기관 간의 연계에 초점을 둔 연구(Kim & Lee, 2009)에서는 사회적 네트워크와 HRD의 효율적 추진체계를 구축하고 운영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사회적 네트워크 관련 HRD 및 평생교육 연구동향(Hyun, 2011)에 따르면 사회적 네트워크와 같이 광의의 의미를 가지는 주제에 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습네트워크와 같이 HRD 및 평생교육 분야에 적합화되어 연구가 발전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각종 연구논문 뿐만 아니라 소셜 미디어에서 수집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분석의 패러다임을 통해 여러 분석기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 중 사회연결망 분석은 정보통신기술과 인터넷 서비스의 발달로 인문, 경제, 공학, 웹 사이언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사회연결망 분석은 집단 내 행위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어떻게 특정한 유형의 정보 교환 또는 의견 교환이 개별 행위자들을 연결시켜 주는가에 대한 이해를 가능케 해 주는 계량적 분석 기법이다(Wasserman & Faust, 1994). 또한 사회연결망 분석 기법은 협동을 요하는 작업에서 유용하고, 집단 내와 집단 간 상호작용을 모두 알아볼 수 있다(Parker et al,. 2001)는 장점이 있다.

사회연결망 분석에서 사용하는 주요 개념들에는 노드(node), 링크(link), 연결정도(degree), 중앙성(centrality) 등이 있다. 노드란 한 단위를 표현하기 위한 개체이며 하나의 점으로 표현된다. 링크는 노드들 사이의 연결선이고, 연결정도란 각 노드들이 다른 노드들과 연결된 정도를 나타낸다. 중앙성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중심에 있는 정도로 중심성이라고도 한다(Heo, 2016).

연결 중심성(Degree Centrality)은 각 개별자가 갖고 있는 링크의 개수를 반영하며, 중심적인 행위자(actor)는 특정한 의사소통 집단 또는 네트워크 내에서 다른 행위자들과 가장 많은 숫자의 연계를 갖고 있는 사람으로 정의된다(Wasserman & Faust, 1995). 중심성 분석을 통해 각 행위자의 조직 내 네트워크 위치를 알 수 있고, 집단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수학적 지식 없이도 쉽게 이해 할 수 있다.

내향 중심성(Indegree)이 높다는 것은 다른 행위자들로부터 관계를 맺고 싶은 대상으로 선정되었다는 것이고, 외향 중심성(Outdegree)이 높다는 것은 한 행위자가 다른 사람들과 연계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하다는 의미를 지닌다(Son, 2002).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006년~2015년까지 최근 10년간 평생교육분야 학술지 논문 데이터(KCI 데이터)를 기반으로 평생교육분야 연구논문의 수가 가장 많은 순으로 14종의 학술지를 선정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대상은 14종의 학술지에 실린 총 271편의 연구 논문과 89개의 연구기관이다.

2.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 연구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첫째, 연구대상인 학술지 논문 271편의 내용을 제목, 저자, 공동저자, 발행연도, 발행기관, 학술지 이름 등, 핵심키워드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도별 논문 수와 추이, 연도별 연구기관 수와 추이, 연도별 핵심키워드 수와 추이, 단독논문과 공동논문의 수와 단독논문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둘째, 분류한 데이터 중 분석에 필요한 항목만을 추출하여 사회연결망 분석도구 Ucinet 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저자와 학술지 간의 네트워크 현황, 연구기관 및 저자를 매개로 한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 현황, 핵심키워드 네트워크 현황을 분석하였다.


Ⅳ. 결과 및 논의

1. 연도별 평생교육 연구 현황

2006~2015년까지 연도별 논문 수를 [Fig. 1]과 같이 나타내었다. 2008~2009년, 2014~2015년은 다른 연도에 비해 논문 수가 비교적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연구논문의 수가 증가한 것은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정책적인 부분과 연관이 있었다.

[Fig. 1]

Yearly Lifelong Education KCI Papers

2007년 12월 평생교육법이 전면 개정되면서 평생교육사 자격기준, 현장실습 강화(3주 → 4주), 평생교육사 의무배치 기준 규정, 승급과정 및 학점은행제 연계 등과 같은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규정이 반영되어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던 시기였다. 또, 2013년 5월에는 평생교육사 자격발급 일원화(대학기관의 장 → 교육부장관), 자격교부업무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으로 위탁 운영되는 등 평생교육법이 일부 개정되었다.

이어서 2013년 9월에는 「고등교육 종합발전 방안」이 발표되면서 지역 평생교육 운영에서 대학의 역할 강화, 생애단계별·계층별 평생교육 참여 기회 확대 등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기반 조성을 제시하는 국가적·사회적 제도의 변화에 따라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단독논문과 공동(공저)논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Fig. 2]와 같다.

[Fig. 2]

Number of single and joint papers

공동논문은 2008년 이후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2014년부터 상승 추세이며, 단독논문은 2011년을 기점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단독논문은 51.7%, 공동논문은 48.3%를 차지하고 있다.

단독논문의 비율은 [Fig.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11년 69%로 가장 높았다가 2015년 35.5%로 점차 감소하고 있다. 이는 평생교육분야 연구의 특성상 협동연구 또는 공저 네트워크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Fig. 3]

Ratio of single papers and ratio of joint

2. 평생교육 연구 저자와 학술지 간의 네트워크 현황

본 연구대상인 14개 학술지에 논문 3편 이상 실린 저자를 중심으로 저자와 학술지 간의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는 [Fig. 4]과 같다.

[Fig. 4]

Lifelong education network between research authors and journals

내향 연결정도가 높은 ‘평생교육학연구’는 많은 저자들로부터 화살표를 받고 있는데, 이는 저자와 학술지 간의 네트워크에서 다른 학술지보다 저자들에게 높은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평생교육분야 연구에서 저자들의 관심과 특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2015년부터 발달장애인법이 시행되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에 관한 논문이 차츰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Fig.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수교육학연구’와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은 다른 학술지와 동떨어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저자와 다른 학술지 간에 네트워크도 형성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장애인들이 성인기를 거쳐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적절한 역할을 수행하고, 가치를 인정받으면서 살아갈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원으로서의 평생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평생교육의 측면에서 특수교육분야와 융합된 연구가 필요하다고 분석된다.

3. 평생교육 연구기관 및 저자와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 현황

연구대상인 271편의 논문을 생산한 기관은 모두 89개이다. [Fig. 5]는 이들 연구기관 중 2006년~2015년 사이에 평생교육 연구 논문이 10건(논문 주저자 소속기관 기준) 이상인 5개 기관을 선정하여 연도별 논문 수를 알아본 것이다.

[Fig. 5]

Number of papers produced by research institutes by year

‘동의대학교’, ‘숭실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가 타기관보다 논문 수가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으며, ‘연세대학교’, ‘아주대학교’에서도 평생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음을 알 수 있었다.

또, [Fig. 5]에서 2009년도 숭실대학교 논문 수가 급격한 상승률을 보였다. 이는 석·박사과정을 개설한 지 3~4년이 지난 시점으로 연구 논문을 배출하기 시작하는 시점이었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Interview, Jeon, 2016).

대학기관을 중심으로 연구 논문 수가 많았던 원인을 학부 혹은 석·박사 과정 개설유무와 관련하여 분석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아주대학교의 경우 1999년 특수대학원에 석사과정이 개설된 후, 2007년 일반대학원에 평생교육전공 박사과정이 개설되었으며, 2016년 현재 27명의 박사가 배출되면서 연구 논문이 차츰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Interview, Choi, 2016).

Research institute Lifelong education major establishment year

단독저자와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 분석 현황은 [Fig. 6]과 같다. 내향 연결정도가 가장 높은 기관은 ‘숭실대학교’이며, 평생교육 연구논문 저자들과의 네트워크가 타기관보다 많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Fig. 6]

Network between independent authors and research institutions

논문 건수에 따른 저자를 살펴보면, 단독저자일 경우에는 전북대학교 K8(8), 동의대학교 K23(6), 경북대학교 H4(6), 연세대학교 N1(6) 순으로 연구기관과의 연결 관계가 활발하였으며, 공저인 경우에는 [Fig. 7]에서 보듯이 경북대학교 H4(11), 숭실대학교 C5(10), 전북대학교 K8(10), 동의대학교 K23(10) 순으로 분석되었다.

[Fig. 7]

Network between co-authors and research institutions

4. 평생교육 핵심키워드 네트워크 현황

연구대상 논문의 핵심키워드 네트워크 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Fig. 8]과 같다. 핵심키워드는 ‘평생교육’, ‘평생교육사’, ‘대학평생교육’, ‘평생교육기관’ 등이며, 핵심키워드를 중심으로 많은 연관핵심어들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평생교육’이라는 핵심키워드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연관핵심어 간의 연결 관계를 보면 어떤 주제로 연구가 진행되어왔는지 알 수 있다.

[Fig. 8]

Network of Key Keywords

[Fig. 9]에 의하면, 평생교육 연구동향은 ‘평생교육’이라는 핵심키워드가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대학평생교육’, ‘평생교육사’, ‘평생교육기관’, ‘다문화사회’,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순으로 나타났다.

[Fig. 9]

Lifetime Education Research Papers Frequency of the Top 6 Core Keywords by Year

이 중 전반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는 ‘평생교육사’는 2007년 평생교육법 개정으로 평생교육시설에 평생교육사 의무배치기준 규정이 신설되어 2015년 총 8,366명이 자격을 취득하였고, 4,482명의 평생교육사가 평생교육시설에 배치된 것으로 파악되었다.(출처: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이러한 정책적, 현실적 요인들이 평생교육사 양성 및 전문성에 대한 제고의 필요성으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고 분석된다.

‘다문화사회’의 경우 2009~2010년에만 빈도가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2008년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에 따라 5년마다 외국인정책에 관한 국가계획을 수립하였는데 「1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2008~2012)」과 「2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2013~2017)」을 수립하여 지금까지 다문화교육 정책의 근간이 되고 있다((Lee, 2015). 즉 ‘다문화사회’는 1차 기본계획 이후 몇 년 간 핵심키워드로 연구되었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Ⅴ. 결 론

본 연구의 목적은 학술지 논문 KCI 데이터를 활용하여 최근 10년간 평생교육 연구동향을 사회연결망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우리나라 평생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총 14종의 학술지에 실린 27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중점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6~2015년간 연도별 평생교육 연구현황은 2008~2009년, 2014~2015년도에 비교적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것은 우리나라 평생교육법의 전면 혹은 일부 개정 그리고 급변하는 현대사회에 알맞은 직업교육 및 인적자원개발과 고령화 사회에 개인의 삶의 질을 위한 성인교육 등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연구대상인 27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저자와 학술지 간의 네트워크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사회연결망 분석을 하였다. 저자와 학술지간에 가장 활발한 네트워크를 보이고 있는 것은 ‘평생교육학연구’, ‘평생학습사회’, ‘Andragogy Today’ 순으로 나타났으며, 아직은 특수교육분야와는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평생교육 연구논문이 가장 많이 생산된 연구기관은 ‘숭실대학교’, ‘동의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로 대학기관이 평생교육 연구를 주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저자를 매개로 한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에서는 단독저자일 경우 전북대학교에 근무하는 저자인 K8(8), 동의대학교 K23(6), 경북대학교 H4(6), 연세대학교 N1(6) 순으로 연결 관계가 활발했으며, 공저인 경우에는 경북대학교 H4(11), 숭실대학교 C5(10), 전북대학교 K8(10), 동의대학교 K23(10) 순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논문주제를 매개로 한 핵심키워드 네트워크는 ‘평생교육’, ‘평생교육사’, ‘대학평생교육’순으로 연결중심성이 높았으며, 이들 핵심키워드와 연관핵심어들의 연결 관계로 어떤 논문주제로 연구가 선행되어왔는지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2015년 발달장애인 법이 시행되어 특수교육에 대한 연구가 증가 추세에 있다. 장애인의 평생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관련 연구와 평생학습자 및 학습자 집단에 대한 연구가 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 시스템 구축을 위해 발달장애인 부모의 요구분석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 이 논문은 부경대학교 자율창의학술연구비(2016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 Han, Seung-Hee, (2001), Lifelong Learning and Learning Ecosystem, Seoul, Hakjjisa.
  • Heo, Gyun, (2016), Keyword Network Analysis Case and its Application in Northeast Asian Studies, Northeast Asian Cultural Society International Studies Suwon Contest Presentation Book, p229-233.
  • Hyun, Young-sup, (2011), Th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HRD and Lifelong Related with Social Networks : Based on Conceptual Network Analysis, Human Resource Research, 13(4), p1-29.
  • Interview, (2016), Choi, Un-Sil, Soongsil University.
  • Interview, (2016), Jeon, Ju-Sung, Ajou University.
  • Jung, Soo-Yeon, (2014), A Study on Research Trends in Regional Lifelong Education: Focusing on Academic and Doctoral Theses from 1995 to 2013, Ewha Womans University Master's Thesis.
  • Kang, Beodeul, & Park, Jong-Un, (2015),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in Fisheries and Marine Science Education, The Journal Fisheries and Marine Science Education, 27(4), p1013-1020. [https://doi.org/10.13000/jfmse.2015.27.4.1013]
  • Kim, Doo-Young, Park, Won-hee, & Kim, Ho-Yeon, (2013), Continuing education in general education field and special education field Sphere Trend Analysis, Studies in Special Education, 47(4), p251-274.
  • Kim, Jin-Duk, & Lee, Gun-Woo, (2009), An Empirical Study on Partnership Evaluation of Reg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Chungbuk Province, HRD Study, 11(1), p109-131.
  • Kim, Jin-Hwa, Go, Yeong-Hwa, & Sung, Suh-Yeon, (2007), Trends and Tasks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Studies, Centering around 2000, Lifelong Education Study, 13(4), p89-122.
  • Kim, Joon-Gi, (2006), The Structure and Effectiveness of Korean Social Welfare Network,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 Kim, Yong-Hak, (2007),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Parkyoungsa.
  • Kim, Young-Hwan, (2015), Trend Analysis of Research Topics in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Lifelong Learning Society, 11(1), p291-315.
  • Kim, Young-Seok, (2014),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2000-2013):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And "Andragogy Today", Lifelong Education Study, 20(3), p135-166.
  • Ko, Young-Sang, (2010), The Changes of Lifelong Education Legislation in Korea and Related Issues, Lifelong Education·HRD Research, 6(3), p1-27.
  • Kwak, Sam-keun, & Choi, Yoon-Jung, (2005),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Represented from the Academic Journals, Lifelong Education Study, 11(1), p91-113.
  • Kwak, Sam-Keun, Park, Hyun-Ok, & Kim, Hyun-Joo, (2014), Research Trends in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Research - Centering on Theses and Theses from 1982 to 2012, Lifelong Education Study, 20(1), p63-93.
  • Lee, Hyo-Sook,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Scheme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 Korea, Mokwon University Master's Thesis.
  • Lee, Ji-yeon, (2013),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Adult Education: 'Andragogy Today' Education Research, Andragogy Today, 16(3), p185-209.
  • Lee, Seok-Jin, Ki, Young-Hwa, & Kim, Nam-Sook, (2012), Analysis of Dissertation Trends in Lifelong Education in Korea, Lifelong education Study, 18(4), p65-85.
  • Moon, Jung-Soo, & Lee, Hee-Su, (2008), A Case Study on Network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Information Center in Incheon Area, Lifelong education Study, 14(4), p155-183.
  • Park, Sae-Bom, & Kim, Jin-Hwa, (2009), Modeling and Performance Capability of Lifelong Education Networking Behavior, Lifelong Education Study, 15(3), p213-242.
  • Parker, A., Cross, R., Walsh, D., (2001), Improving Collaboration with Social Network Analysis, Knowledge Management Review, 4(2), p24-28.
  • Son, Dong-Won, (2002), Social Network Analysis, Gyeongmunsa.
  • Wasserman, S., Faust, K.,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Wasserman, S., Faust, K., (1995),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Yoon, Ok-Han, (2015),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Lifelong Education for 20 Years(1995-2014), Lifelong Education Study, 21(2), p1-22.

[Fig. 1]

[Fig. 1]
Yearly Lifelong Education KCI Papers

[Fig. 2]

[Fig. 2]
Number of single and joint papers

[Fig. 3]

[Fig. 3]
Ratio of single papers and ratio of joint

[Fig. 4]

[Fig. 4]
Lifelong education network between research authors and journals

[Fig. 5]

[Fig. 5]
Number of papers produced by research institutes by year

[Fig. 6]

[Fig. 6]
Network between independent authors and research institutions

[Fig. 7]

[Fig. 7]
Network between co-authors and research institutions

[Fig. 8]

[Fig. 8]
Network of Key Keywords

[Fig. 9]

[Fig. 9]
Lifetime Education Research Papers Frequency of the Top 6 Core Keywords by Year

<Table 1>

Research institute Lifelong education major establishment year

Division Undergraduate Master Doctor
Soongsil university 1998 2003 2004
Dong Eui University 2001 2005 2010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2001 ·
Ajou University · 1999 2007
Yonsei University · 2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