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0, No. 2, pp.661-670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18
Received 23 Jan 2018 Revised 06 Mar 2018 Accepted 16 Mar 2018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18.04.30.2.661

수산ㆍ해운계고 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교수유형이 교과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조진호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The Effect of Teaching Styles of Fisheries High School Teacher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es
Jin-Ho CHO
Incheon Marine Science High School

Correspondence to: 032-627-6941, 75jino@hanmail.net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teachers’ teaching styles of Fisheries & Maritime high school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of students in Fisheries & Maritime high school in Korea was included as research subjects.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by using correlations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based on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teacher's teaching types and student's participation all contribute positively to the variables. It implies that the class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Fisheries & Maritime high school affects teaching styles of teachers and learner participation can also be influenced by the types of teaching performed by teacher. Second,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teachers’ teaching styles in Fisheries & Maritime high school partly influence students' participation. The result revealed the diversity teaching styles have a positive effect on participation in emotional classes; diversity teaching styles and individualization teaching styles significantly affect behavioral class particip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teachers of Fisheries & Maritime high school need to design a meaningful lesson by adopting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lesson preparation that reinforce students’ positive engagement and behavioral class participation.

Keywords:

Teaching styles, Classes participation, Teacher & student, Fisheries high school

Ⅰ. 서 론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 교사의 영향력이 가장 크게 작용한다(Wenglinsky, 2000). 인간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달할 수 있는 존재이다. 교실의 수업과정과 상황도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의 연속이며, 교실에서 수업의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의 질을 어떻게 높이느냐가 중요한 과제라고 볼 수 있다. 교사의 가르치는 행위가 수업의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교사들의 교수유형에 대한 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Min, 2004). 수업이란 학습자에게 학습이 일어나도록 해주는 인간적 상호작용을 통해(Klauer, 1985), 무엇인가를 가르쳐줌으로써 의도하고 있는 지적·정의적 행동변화를 이루어보려고 하는 목적 지향적인 활동이다(Corey, 1971). 새로운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교수·학습방법을 개선하고 학생 수준을 고려한 수업의 변화노력이 연구 활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학교교육은 산만하고 지루하며, 사회생활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 다는 인식이 팽배한 것이 현실이다(Hwang, 2005). 이러한 학교교육 현실에서 수산·해운계고에서는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찾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Park, 2009). 특히, 수산·해운계고 교사는 전문지식을 전달하기 위한 이론 전달능력 이외에도 기초기능 인력 양성을 위한 실습지도 방법을 다양하게 연구하여, 학생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Lee, 2003).

교육에 대하여 좋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혁신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며 전면적으로 교육정책이 시행되더라도 교사가 변하지 않으면 교육의 현실은 변하지 않는 것처럼(Siedentop, 1994),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수업상황에서 좀 더 효과적인 교수유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교육의 현실은 변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학급 내에서 교사가 동일한 내용의 수업을 전개한다고 하더라도 교사의 학생에 대한 영향력은 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ee, 2000). 이것은 교사가 학생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교수유형을 찾아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업 집중도가 떨어지는 수산·해운계고 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교수유형이 교과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교수유형, 수업참여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Kim(1997)은 경험수업과 설명식수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 경험 수업과 설명식 수업은 낮은 수준의 학업성취에는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높은 수준의 학업성취에는 경험 수업이 더 효과적임을 밝혔다. Ryoo(1992)는 교사의 의사소통이 학생의 학업성취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사소통 유형 가운데 학자형이 인지적ㆍ정의적 측면에서 모두 효과적인 의사소통 유형임을 밝히고, 교사의 지시적이며 일방적인 의사소통보다는 보다 체계적이며 조직적이며 아동의 흥미와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쪽으로 나아가야 함을 주장한 바 있다. Min(2004)은 교수유형을 분석한 결과 교사 개인적 배경에 따라 교수유형에 차이가 있음을 밝혀내었다. 교사의 피드백이 많으며 급우와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교수유형일수록 수업참여가 높다고 보고하고 있으며(Park, 2004), 수업 상황에서 질의응답에 대한 상호작용이 교수행동의 관심과 배려로 작용하여 학습자의 수업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2014).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습자 주도 교수유형은 교수자 주도 교수유형에 비해 학습자의 참여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Park, 2004; Park, 2010), 교사의 적극적인 수업안내와 피드백도 학습자의 수업참여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Choi, 1999; Lee, 2004; Choi, 2004; Kim, 2011).

지금까지 교수유형, 수업참여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아직까지 수산·해운계고 교사와 관련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수산·해운계고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사의 교수유형이 학생들의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산·해운계고 교사의 교수유형과 학생의 교과 수업참여는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가?

둘째, 수산·해운계고 교사의 교수유형은 학생의 교과 수업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Ⅱ. 이론적 배경

학습자는 자신의 독특한 학습유형에 따라 학습하며, 교사는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특정한 교수유형에 따라 가르치게 된다(Ladd, 1995). 교사의 교수행동이란 교사의 특정한 가치체계에 따라 폭넓게 표출되는 행동범주이며(Conti, 1989; Min, 2004:1에서 재인용), Heimlich(1990)는 교수행동이란 ‘철학의 실행으로, 그것은 교수-학습 과정의 모든 요소들에 대한 태도’라고 정의하며 이는 곧 교수유형으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교수행동은 교육에 관한 교사의 행동을 나타내며 수업과정의 명확성, 상호작용, 다양성, 개별화로 구성되어 있다(Son, 1994). 명확성은 분명하고 정확한 수업 내용의 제시(Borich, 2000), 상호작용은 학습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학습 촉진적 조치(Keller, 1983), 개별화는 학습자의 능력과 요구를 나타낸다(Conti, 1989). 각 요인들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명확성은 수업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여 수업 과정을 구조화하여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 행동을 말한다. 둘째, 상호작용은 교사의 효과적인 발문, 격려, 강화를 통해 학생이 수업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교사의 행동이며 셋째, 다양성은 학습 목표 성취를 위해 다양한 수업 방법을 수업에 적용시키는 교사의 행동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수업절차의 개별화는 학생의 개별학습 능력을 알아내어 개별 능력에 맞게 수업에 적용하는 교사의 행동을 말한다.

수업참여는 학습자가 교실 수업 활동 전반에 걸쳐 행동적, 정서적, 인지적인 측면에서 능동적으로 개입하는 수업 참여 행위이며(Kim, 2011), 학습자가 수업에 참여하여 능동적으로 학습활동에 개입하는 행위이다(Jeong, 2012). 즉, 수업참여는 학생들이 수업활동을 하면서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활동을 실행하고, 의사소통하면서 이루어지는 느낌과 모든 활동으로(Hrastinski, 2008), 행동적 참여, 정서적 참여, 참여 이탈(행동, 정서)로 구성되어 있다(Kim, 2011). 행동적 참여는 학습활동의 시작과 중간의 노력과 집중, 정서적 참여는 학습활동 중 열정, 흥미, 자긍심, 참여 이탈은 학습활동의 부적응 동기적 상태를 나타낸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7년 10월 전국의 6개 수산·해운계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 추출법을 활용하였다.

배포된 430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 자료로 판단되거나 조사내용 중 일부 누락된 자료를 제외한 410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행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2. 조사도구

교수유형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Son(1994)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한 Bae(2013)의 교수유형 연구에 사용된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교수유형 설문지는 네 가지 하위 요인인 상호작용, 다양성, 개별화, 각 4문항, 명확성 5문항 총 17문항의 리커트 5점 척도 문항(1=매우 아니다, 5=매우 그렇다)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업참여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Cha et al.(2010)이 개발한 것을 Kim(2011)이 활용한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업참여 문항은 행동참여 4개 문항, 정서참여 5개 문항, 불안 참여 4개 문항으로 총 13문항이며 리커트 5점 척도 문항(1=매우 아니다, 5=매우 그렇다)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분석방법

교수유형 문항의 개념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주성분분석 중 Varimax 회전법을 사용한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요인화의 기준은 요인 고유치 1.0이상, 요인적재량 .50 이상으로 하였다. 신뢰도는 Cronbach’s α를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정하였다.

요인분석의 적합성 검증은 KMO 표본 적합성 분석과 Bartlett의 구형성 검증을 사용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1개 문항의 요인 적재량이 .50이하로 나타나 제외 시켰다. 16개의 문항으로 요인분석을 재실시한 결과, 요인적재량은 .609에서 .838, KMO값은 .824, Bartlett의 구형성 검증은 유의한 것으로 나와 요인분석 결과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분석 결과, 다섯 가지 요인의 Cronbach’s α값은 .706, .871, .905, .907로 분포되었으며, 요인의 신뢰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유형 문항의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결과는 <Table 2>에 제시되어 있다.

Teaching styles factor analysis result

수업참여 문항의 개념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주성분분석 중 Varimax 회전법을 사용한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1개 문항의 요인 적재량이 .50이하로 나타나 제외 시켰다. 12개의 문항으로 요인분석을 재실시한 결과, 요인적재량은 .764에서 .945, KMO값은 .791, Bartlett의 구형성 검증은 유의한 것으로 나와 요인분석의 결과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분석 결과, 부적응참여 Chronbach’s α값 .935, 정서참여요인 Chronbach’s α값 .920, 행동참여요인 Chronbach’s α값 .917로 나타났으며, 요인의 신뢰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참여 문항의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결과는 <Table 3>에 정리되어 있다.

Classes participation factor analysis result


Ⅳ. 연구 결과

1. 교수유형, 수업참여 간의 상관관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결과, 교수유형에서 상호작용은 명확성, 다양성, 개별화, 부적응 수업참여, 정서적 수업참여, 행동적 수업참여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명확성 교수유형은 다양성, 개별화, 부적응 수업참여, 정서적 수업참여, 행동적 수업참여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교수유형의 다양성은 개별화, 부적응 수업참여, 정서적 수업참여, 행동적 수업참여와 정적인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교수유형의 개별화는 부적응 수업참여, 정서적 수업참여, 행동적 수업참여와 정적인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부적응 수업참여는 정서적 수업참여와는 정적인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행동적 수업참여와는 상관관계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수업참여는 행동적 수업참여와 정적인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관관계 결과는 <Table 4>에 제시되어 있다.

correlation analysis

2. 교수유형과 학생 수업참여의 관계

교사의 교수유형이 학생의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호작용 교수행동, 명확성 교수행동, 다양성 교수행동, 개별화 교수행동을 독립변인으로 부적응 수업참여, 정서적 수업참여와 행동적 수업참여를 각각의 종속변인으로 설정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Durbin-Watson 값(2에 가까운 수치 독립성 인정), 다중공선성 공차한계(Multicollinearity Tolerance, .1이상 다중공선성 문제미흡), 다중공선성 분산팽창계수(Multicollinearity Variance Inflation Factor, 5이하 다중공선성 문제미흡)를 살펴보았으며(Berry, 1993), 부적합한 회귀모형은 발견되지 않았다(<Table 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eaching styles influencing classes participation(N=410)

회귀분석결과, 상호작용, 명확성, 다양성, 개별화 교수행동은 부적응적 수업참여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수업참여에는 다양성 교수행동이 정적인 영향(β=.248, t=3.116, p<.01, R2=.120)을 나타냈지만, 상호작용, 명확성, 개별화는 정서적 수업참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행동적 수업참여에서는 다양성 교수행동(β=.191, t=2.510, p<.05, R2=.193)과 개별화 교수행동(β=.141, t=2.650, p<.01, R2=.193)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상호작용과 명확성 교수행동은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화 회귀계수에 의하면, 다양성(β=.248) 교수행동이 정서적 수업참여에 유일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행동적 수업참여에는 다양성(β=.191) 교수행동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개별화 교수행동(β=.141)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의 결과는 <Table 5>에 제시되어 있다.


Ⅴ. 논 의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산·해운계고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사의 교수유형이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측정변인의 평균값을 산술적으로 비교하면, 수산계고 교사의 개별화 교수유형이 학생들의 수업참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명확성 교수유형, 다양성 교수유형, 상호작용 교수유형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수산·해운계고 교사의 교수유형과 학생의 수업참여는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가에 관하여 논하면 다음과 같다. 상호작용 교수유형은 학생의 수업참여에 해당하는 부적응참여, 정서참여, 행동참여와 정적 상관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명확성 교수유형, 다양성 교수유형, 개별화 교수유형 모두 학생의 수업참여에 해당하는 부적응참여, 정서참여, 행동참여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학습목표가 다양한 수단을 통하여 달성될 수 있을 때,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급에서, 학습 사이클의 초기 단계에 보다 잘 적용된다는 연구(Lee, 2000) 결과가 수산·해운계고 학생의 수업참여와 맥락을 같이하는 본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수산·해운계고 교사의 교수유형이 학생의 교과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논하면 다음과 같다. 다양성 교수유형은 정서적 수업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동적 수업참여에 대해서는 다양성 교수유형과 개별화 교수유형이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만, 부적응 수업참여의 경우 교수유형에 대한 영향이 미치지 않았다.

학습 시 지속적으로 주의집중을 하고 노력을 기울이려면 무엇보다 열정이나 즐거움, 흥미 같은 긍정적 정서가 동반되어야 한다. 이러한 긍정적 정서는 정서적 수업참여로 학생들이 학습활동에 참여하게 하는 원동력을 제공하지만, 지루함은 학생들의 노력과 지속성을 떨어뜨리고 학업과제로부터 멀어지게 하므로 학습활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정서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규명하였다(Skinner et al., 2008). Skinner et al.(2008)는 정서적 수업참여를 보인 학생들은 전 학년과정을 지나면서 행동적 수업참여는 증가하고 부적응 수업참여는 감소했다. 결과적으로 재미없고 지루한 교수학습활동은 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장시간 할 수 없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수업참여에 영향을 주는 교수유형 관련 선행연구로는 교사의 명확한 수업안내 등이 학습자의 수업참여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Choi, 1999; Lee, 2004; Choi, 2004; Kim, 2011), 교사의 수업 방식 하위요인 중 수업 다양성 요인이 학생의 수업태도의 하위 요인 중 적극성 변인에 영향을 주는 것(Kim, 1998)으로 보았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 다양성 교수유형과 행동참여 변인 간 관계가 높은 결과를 지지한다.

교사마다 활용하는 교수유형에 대해 이해하고 교수방법의 유형과 특징을 피력하면서 효과적인 수업행동을 하는 교사는 개별 학습자에 맞는 교수방법과 유형을 선택하고 적용해서 학습의 효과성과 만족을 높일 것을 제안하고 있다(Lee, 2002). Rosenthal & Jacobson(1968)이 Oak 학교 실험의 피그말리온효과(Pygmalion Effect)는 결국 교사와 학생들의 상호작용이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의미하나, 이는 유교적 전통이 강한 우리나라의 교육과는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학생들은 가정에서 숙제를 해오고, 서당에서는 숙제를 확인하고 배울 수 있는 교육의 공간으로 보고하고 있다(Choi, 2008). 이러한 수업은 친구들과의 만남, 책을 통한 대화, 소집단, 개별화 학습을 추구하는 교육활동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한다.

본 연구에서 수산·해운계고 교과 수업이 지금과 같이 변화가 없는 교수유형을 고수한다면 수산교과교육의 의미가 퇴색되고 말 것이다. 학습자로 하여금 수업에서 정서적, 행동적 동기유발을 이끌어낼 수 있는 교수방법의 적용, 학생들이 요구하고 내재되어있는 학습 욕구의 발산을 통하여 학생들이 참여하고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조화로운 수업이 이루어지는 교수유형이 필요하다.


Ⅵ.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는 수산·해운계고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사의 교수유형이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수산·해운계고 교사의 교수유형(상호작용, 명확성, 다양성, 개별화)과 수업참여(부적응참여, 정서참여, 행동참여)는 모두 긍정적 기여를 하고 있다. 수산교과교육 측면에서 수업참여는 학생의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수업 과정에서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보이는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인 반응이다. 교사가 행사하는 모든 교수유형은 학생의 수업참여와 상관관계에 있다. 즉, 학생의 수업참여가 교수유형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수산·해운계고 교사가 실시하는 교수유형에 따라 수업참여가 좌우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Heimlich & Norland, 2002; Labillois & Lagace-Seguin, 2007; Opdenakker & Damme, 2006). 설립 유형이 다른 학교와 굳이 비교하지 않더라도 수산·해운계고 학생의 수업참여와 교사의 교수유형에 대한 상관관계는 모든 변인에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수산·해운계고 교사의 교수유형은 학생의 수업참여에 일부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수산·해운계고 학생의 경우 정서적인 수업참여에 있어서 일반고 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안정하므로, 교사는 수업상황에서 동기부여 조성을 위한 행동, 수업의 재미와 연결되는 다양한 교수행동, 학생과 신뢰를 기반으로 소통하는 교수행동을 통해 학생의 긍정적 정서참여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반면, 수산·해운계고 학생은 행동이 동반된 참여가 이루어지면 수업에 집중하는 시간이 늘어난다. 이는 교사가 다양한 교수방법을 준비하여 학생의 개별 수준과 능력을 파악한 후 수업에 적용한다면 수업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학습유형에 적합한 교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수산·해운계고 학생들은 일반고 학생과 학습자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 다른 방향으로 교수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연구(Lee et al., 2007)를 지지하고 있다.

수산·해운계고 교사는 학생들이 수업에 대한 낮은 정서적 참여를 높은 수준의 긍정적 수업참여로 이끌어 내며, 잠재되어있는 행동적 수업참여를 더욱 더 발산시킬 수 있도록 상황에 맞는 다양한 수업준비와 교수학습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교사, 학생 간 원활한 수업이 이루어져야 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산·해운계고 학생들은 수업참여에 있어 교사가 적극적으로 잠재력을 일깨워주는 다양한 형태의 교수유형을 요구하며 한편으로 교사의 지속적인 관심이 포함된 교수유형을 필요로 한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사의 경우 어느 한 가지 유형에 고착화되기보다 여러 유형의 속성을 동시에 지닐 수 있으며, 특히 학생의 학습 성향과 사전지식 수준을 고려하여 교수유형을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연구(Grasha, 1994, 1996)를 지지한다. 이는 수산·해운계고 학생이 상대적으로 낮은 학습 성향을 기반으로 학생의 정서적, 행동적 수업참여 수준을 고려한 교사의 교수유형 적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서 고려되어야 할 실천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변인간의 영향관계만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식의 차이와 변인간의 영향관계를 함께 규명하는 연구 역시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이 연구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질문지에 따른 양적인 연구에 다양한 변수와 정의적인 외생변수를 찾아내기 위한 질적 연구가 병행되어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문제는 향후 수산교과교육 및 전공교과 교사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고려해봐야 할 문제이다.

References

  • Bae, Sang-Gie, (2013), The relationships of student academic engagement with learning psychological variables and teacher instructional behavior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 Borich, Gary D., (2000), Effective Teaching Methods, Prentice Hall, Inc.
  • Choi, Jeong-Hee,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tudents' Engagement with Classroom Activiti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2(4), p1-22.
  • Choi, Jeong-Im, (1999), Inquiry into instructional strategies to enhance interaction in web-based instruc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5(3), p129-154. [https://doi.org/10.17232/kset.15.3.129]
  • Conti, G. J., (1989), Assessing teaching style in continuing education, In E. R. Hayes (Ed.), New Directions For Continuing Education, 43, Fall p3-16, San Francisco, Jossey-Bass. [https://doi.org/10.1002/ace.36719894303]
  • Corey, S. M., (1971), The nature of instruction, NJ, Prentice-Hall.
  • Grasha, A. F., (1994), A matter of style: The teacher as expert, formal authority, personal model, facilitator, and delegator, College Teaching, 42(4), p12-19. [https://doi.org/10.1080/87567555.1994.9926845]
  • Grasha, A. F., (1996), Teaching with Style: A Practical Guide to Enhancing Learning by Understanding Teaching and Learning Styles, Alliance Publishers.
  • Heimlich, J. E., (1990), Measuring teaching style: A correlation study between the Van Tilburg/Heimlich Sensitivity Measure and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of adult educators in Ohio,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 Heimlich, J. E., & Norland, E., (2002), Teaching style; Where are we now?, New Directions for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93(spring 2002), p17-25.
  • Hrastinski, S., (2008), What is Online Learner Participation?: A Literature Review, Computers and Education, 51(4), p1755-1765. [https://doi.org/10.1016/j.compedu.2008.05.005]
  • Hwang, Yeong-Nam, (2005), Successful school innovation eggplant, Teacher Leadership Program (TLP) process, Remote Training Materials, Seoul, Korea National Training Center.
  • Jeong, Eun-I, (2012), Explor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llege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Focus on autonomy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and task valu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4(2), p355-378.
  • Keller, J. M., (1983), Motivational design of instruction. In C.M. Reigeluth, (ed.).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Kim, Eun-Joo, (2014),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satisfaction, professor-students interac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outcomes of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7), p209-231.
  • Kim, Nam-Hee,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Academic Achievement mediated by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Differences in the Meaning and Functions of Teacher Support and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PhD Thesis, Hong-Ik University.
  • Kim, Sang-Kook, (1998), Teachers' Behavioral Influence on Student Attitudes in Korean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37(3), p421-432.
  • Kim, Y. S., (1997), The effect of experiential and explanatory teach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Klauer, K. J., (1985), Framework for a theory of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5th ed.), 1, New York, The Free Press.
  • Labillois, J. M., & Lagace-seguin, D. G., (2007), Does a good fit matter? Exploring teaching styles, emotion regulation, and child anxiety in the classroom,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p1-14, i First Article.
  • Ladd, P. D., (1995), Learning and teaching styles of Tennessee secondary business education teachers, The Delta Pi Epsilon Journal, 37(1), p29-45.
  • Lee, D. J., (2004), Inquiry into Learners' Sense of Community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0(3), p53-73. [https://doi.org/10.17232/kset.20.3.51]
  • Lee, Jeong-Won, (2000), An Optimal Combination Model of Students' Cognitive Styles and Teaching Methods for the In structional Effectiveness, PhD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Lee, Mu-Keun, (2003), Principles of Vocational Education, Seoul, Kyoyookbook.
  • Lee, Shin Dong, Won, Jae-Gourn, Kim, Ki-Myoung, (2007), The Comparison of General Students, and the Mathematics Gifted, and the Science Gifted in Learning Style and Preference of Instructional Method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ifted and Talented, 6(2), p107-128.
  • Lee, Sung-Ho, (1994), Teaching process and evaluation, Yangseowon Publishers.
  • Min, Yong-Seong, (2004), An Analysis of Teaching Styles in Korean School Teachers, PhD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Opdenakker, M. C., & Damme, J. V., (2006), Teacher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styles as effectiveness enhancing factors of classroom practic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2(1), p1-21. [https://doi.org/10.1016/j.tate.2005.07.008]
  • Park, Inn-woo, (2010), A Study on Problems of the Current Classroom and Expectations of the Future Classroom Perceived by Teachers in the Secondary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2(1), p265-290.
  • Park, Jong-Un, (2009),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Fisheries and Shipping affiliate Teachers(Ⅰ),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1(1), p140-150.
  • Park, S. Y., (2004), Student and Teacher Variables Improving Student Engag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2(2), p91-108.
  • Rosenthal, R., & Jacobson, L., (1968), Pygmalion in the Classroom,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https://doi.org/10.2307/1162010]
  • Ryoo, Jae-Hwa, (1992), The Effects of Teacher’s Communication Style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ttitude,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Siedentop, D., (1994), Sport education: Quality PE through positive sport experiences, Human Kinetics Publishers, p447-453.
  • Skinner, E. A., Furrer, C. F., Marchand, G., & Kinderman, T. A., (2008), Engagement and disaffection in the classroom: Part of a larger motivational dynamic?,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0(4), p765-781. [https://doi.org/10.1037/a0012840]
  • Son, Choong-GI, (1994), Identification and validation of a teaching behavior scale for teachers, PhD Thesis, In-ha University.
  • Wenglinsky, H., (2000), How teaching matters: bringing the classroom back into discussions of teacher quality, Princeton. NJ, Educational Testing Service.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Division N %
Gender male 304 74.1
female 106 25.9
Grade Grade 1 110 26.8
Grade 2 201 49.0
Grade 3 99 24.1
Major fishing 119 29.0
Aquaculture 97 23.7
marine engine 76 18.5
refrigeration 25 6.1
Food processing 69 16.8
etc 24 5.9
Total 410 100.0

<Table 2>

Teaching styles factor analysis result

Factor Qua 1 2 3 4 Cronbach's α
Var: variance, df: degrees of freedom, p: p-value
Interaction A15 .838 .340 .027 -.121 .907
A6 .833 .368 -.094 .170
A5 .808 .042 .331 .119
A14 .798 .385 .230 -.167
Clarity A1 .281 .829 .167 .127 .905
A2 .350 .749 .176 .065
A4 .267 .721 .479 .026
A3 .443 .649 .469 -.042
Diversity A16 -.044 .230 .707 .088 .871
A13 .507 .173 .696 .067
A9 .562 .387 .650 .032
A10 .562 .320 .638 .101
Individualization A8 .068 .149 .005 .805 .706
A7 .032 .297 -.155 .773
A11 .071 -.281 .238 .670
A12 -.254 -.092 .444 .609
Eigenvalue 7.38 2.31 1.39 1.14
Var(%) 46.09 14.45 8.69 7.11
Cumulative Var(%) 46.09 60.53 69.22 76.33
KMO(Kaiser-Meyer-Olkin) .824
Bartlett' Test of Sphericity Chi-Square 744.93
df(p) 120(.000)

<Table 3>

Classes participation factor analysis result

Factor Qua 1 2 3 Cronbach's α
Var: variance, df: degrees of freedom, p: p-value
Maladaptive participation B11 .945 .029 -.107 .935
B12 .907 .096 -.060
B9 .896 .031 -.122
B10 .872 .067 -.178
Emotional participation B6 .105 .910 .171 .920
B5 -.010 .874 .324
B8 .155 .848 .245
B7 -.005 .792 .356
Behavior participation B3 -.229 .292 .876 .917
B2 -.044 .236 .862
B1 -.349 .253 .807
B4 -.022 .453 .764
Eigenvalue 5.29 3.65 1.05
Var(%) 44.05 30.43 8.71
Cumulative Var(%) 44.05 74.47 83.19
KMO(Kaiser-Meyer-Olkin) .791
Bartlett' Test of Sphericity Chi-Square 665.75
df(p) 66(.000)

<Table 4>

correlation analysis

Interaction Clarity Diversity Individuali zation Maladaptive participation Emotional participation Behavior participation
*p<.05
**p<.01
1 Interaction 1 .752** .689** .297** .170** .246** .333**
2 Clarity 1 .728** .356** .150** .284** .374**
3 Diversity 1 .534** .178** .339** .408**
4 Individualization 1 .124* .222** .310**
5 Maladaptive participation 1 .113* -.015
6 Emotional participation 1 .559**
7 Behavior participation 1

<Table 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eaching styles influencing classes participation(N=410)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β t Tolerance VIF DW F R2
*p<.05
**p<.01
DW=Durbin-Watson
Maladaptive participation
(M=3.41, SD=1.24)
Interaction(M=3.40, SD=.92) .100 1.27 .388 2.58 1.14 3.96 .038
Clarity(M=3.81, SD=.84) -.004 -.054 .351 2.85
Diversity(M=3.70, SD=.87) .085 1.02 .343 2.92
Individualization
(M=4.08, SD=.80)
.051 .871 .705 1.42
Emotional participation
(M=3.20, SD=.95)
Interaction(M=3.40, SD=.92) -.010 -.132 .388 2.58 1.64 13.86 .120
Clarity(M=3.81, SD=.84) .089 1.13 .351 2.85
Diversity(M=3.70, SD=.87) .248 3.12** .343 2.92
Individualization
(M=4.08, SD=.80)
.061 1.09 .705 1.42
Behavior participation
(M=3.42, SD=.95)
Interaction(M=3.40, SD=.92) .049 .682 .388 2.58 1.80 24.22 .193
Clarity(M=3.81, SD=.84) .147 1.954 .351 2.85
Diversity(M=3.70, SD=.87) .191 2.510* .343 2.92
Individualization
(M=4.08, SD=.80)
.141 2.650** .705 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