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0, No. 5, pp.1528-1537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18
Received 24 Apr 2018 Revised 04 May 2018 Accepted 11 May 2018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18.10.30.5.1528

수해양계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동료컨설팅 수업모형 적용

강버들
부경대학교(교수)
Application of Teaching Model through Peer Consulting for Enhancing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to Pre-service Teachers of Fisheries and Marine School
Beodeul KA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051-629-5977, badlle@pknu.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a teaching model trough peer consulting to pre-service fisheries and marine teachers to enhance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These results have significance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pre-serve teacher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model trough peer consulting for pre-service fisheries and marine teachers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teaching model developed at the first year to improve teaching demonstration competence and their pre-perceptions on teaching in order to enhance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The final designed model consisted of the introductory phase and the practical. The introductory phase, which was prepared for enhancing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and peer consulting, was comprised of NCS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questioning techniques, theory and practice on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plan, teaching demonstration, and theory and practice on peer consulting. The practical phase was composed of preparing for teaching, doing and watching teaching, and reflecting teaching. Second, The model was applied to lessons during 13 weeks and analysed. After Pre-service teachers did 5 times teaching demonstration and pear consulting, they showed positive satisfaction for the model in order to enhance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Keywords:

Peer consulting, Pre-service teachers Fisheries and Marine school, Teaching model

Ⅰ. 서 론

교사를 양성하는 예비교사교육은 대학교육과 중등학교현장을 연계하는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교사역량함량은 예비교사교육에서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며, 특히 수업 전문성 향상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실제로 2009학년도부터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에 수업수행능력을 평가하기 시작하였다. 아울러 교원양성기관 평가에서도 2010년부터 예비교사들의 수업수행능력을 교사 자질 성취의 평가지표로 선정하여 평가에 반영하고 있다. Gueonggido office of education(2015)에 의하면 2016학년도부터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수업시연 평가 시 수업성찰 및 반성적사고, 질문생성능력 및 의사소통, 수업공감능력 등을 알아보기 위해 수업 나눔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예비교사들의 경우는 학교현장에서와 같은 수업 기회가 거의 없기 때문에 교사와 같은 수업 전문성 향상을 꾀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에서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Seol(2010)에 의하면 예비교사의 전문성 향상은 예비교사 개인의 책임뿐만이 아니라, 예비교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양성기관의 책무성과도 관련이 있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최근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내실화된 수업컨설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Jang & Nam, 2017).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본인이 직접 작성한 수업지도안을 이용하여 그에 맞는 수업시연을 수행하고, 수업시연에 대한 컨설팅을 통한 피드백과 자기평가를 거치는 반성적 사고 과정이 필요하다(Lee & Min, 2013). 예비교사양성과정에서 교과수업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수업실습과 수업컨설팅이 상호 연관되어 이루어져야 한다(Ahn & Kim, 2012). 수업컨설팅은 교과수업의 문제점에 대한 진단과 보완을 통해 교수자의 수업전문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Kang, 2017).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수업컨설팅은 교수자의 피드백을 예비교사에게 제공해주는 일회성의 처방보다는 수업컨설팅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수업계획안 작성, 수업실행에 대한 피드백 제공, 수업 개선안 마련 등의 종합적이고 단계적인 수업컨설팅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예비교사간의 협업역량이 강조됨에 따라 동료 간에 이루어지는 협력적 수업컨설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Jang & Nam, 2017).

수업컨설팅이란 학습자의 학습증진을 위해 체계적으로 수업을 개선하는 수업전문가와 교수자의 수평적 협력활동이다(Lee & Park, 2017). 그러나 수업컨설팅 자체가 일회성에 그치고 있어 컨설팅을 마친 후에 교수자의 교육에 대한 관점 변화나 성찰을 촉진하기는 어렵다(Jang, 2017).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면서 수업컨설팅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대안으로 동료수업컨설팅(이하 동료컨설팅)이 주목을 받고 있다(Erickson et al., 2005).

동료컨설팅이란 교수자의 교수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업을 관찰하고 동료 간에 협의를 하는 활동을 포함하는 일련의 컨설팅이다. 동료컨설팅은 동료 교수자와의 컨설팅을 통해 수업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문제를 함께 인식하고 해결하기 때문에 정확하고 폭 넓은 해결 방안을 제안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Mento & Giampetro, 2000; Jang, 2017). 이러한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비교사를 위한 동료컨설팅에 대한 절차와 방법은 미흡한 실정이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의 경우 전국에 12개의 수·해양 관련 고등학교가 있다. 이를 위한 예비교사교육 역시 일반 사범계 예비교사 교육 못지않게 매우 중요하다. 특히 수·해양계 예비교사교육 중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구는 이제 시작 단계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부분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수행이 절실히 필요하다.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수업실연도 중요하지만 수업관찰도 간과할 수 없다. 수업관찰에 수업컨설팅을 접목하여 수해양계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해 수업컨설팅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1차년 도 연구(Kang, 2017)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1차년 도에 개발된 수업모형을 수정·보완하여 실제 적용하기 위한 후속 연구로 진행되었다. 수업컨설팅을 수강 동료들 간의 수평적 협력관계, 협력적 수업컨설팅, 상호컨설팅, 일회성 컨설팅이 아닌 다회성 컨설팅의 의미로 접근하기 위하여 수업실연과 연계된 동료컨설팅으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해서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1차년 도에 개발된 수업컨설팅 수업모형을 수정·보완한 뒤, 수해양계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해 동료컨설팅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대학의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수해양계 예비교사들이 수업실연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인식 조사, 둘째, 인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동료컨설팅 수업모형의 설계, 셋째, 동료컨설팅 수업모형의 적용 및 분석이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연구 대상은 수·해양계 교수설계 관련 강좌의 수강생 중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의사가 있는 3명(A, B, C)을 선정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모두 4학년 여학생이었다. 3명 학생 모두 교수·학습지도안 작성은 0-3회의 경험이 있으나, 수업실연과 동료컨설팅의 경험은 전혀 없었다. 예비교사 3명을 대상으로 15주에 걸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2. 연구 절차

본 연구와 관련된 수업실연 강좌는 1주일에 3시간씩 총 15주로 이루어졌다. 강좌는 1차년 도 연구에서 개발된 수업컨설팅 수업모형을 수정·보완하여 적용하였다. 본 수업모형은 크게 입문단계와 실전단계의 두 단계로 구성되었다. 입문단계는 수·해양계 전문교과 및 NCS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 발문, 교수·학습지도안 작성 및 첨삭, 수업실연, 동료컨설팅제 등이 총 6주에 걸쳐 수행되었다. 실전단계는 ‘수업준비’, ‘수업하기 및 수업보기’, ‘수업 되돌아보기’가 하나의 세트로 7주간 운영되었다. 오리엔테이션, 예비교사들에 대한 설문지 인식조사,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설문지 만족도 조사 등이 2주에 걸쳐 진행되었다.

3. 연구도구 및 방법

인식조사용 설문지는 교수·학습지도안, 수업실연 및 수업관찰, 동료컨설팅 등에 대한 학생들의 사전인식을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1차년 도에서 개발하였던 수업모형을 수정 및 보완하여, 동료컨설팅 수업모형의 설계를 위한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첫 시간에 본 연구에 참가하기로 희망한 수·해양계 예비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1차년 도에서 연구자가 개발(Kang, 2017)하여 활용하였던 설문 도구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수업준비(교수·학습지도안 관련 4문항), 수업하기 및 수업보기(수업실연 및 수업관찰 관련 5문항), 수업 되돌아보기(동료컨설팅 관련 2문항) 등 총 11개의 문항이 주관식으로 구성되었다.

만족도 설문조사는 강좌의 마지막 주에 실시되었으며, 설문지 입문단계에 대한 만족도(1문항), 실전단계에 대한 만족도(3문항), 전반적인 만족도(1문항) 등 총 5개의 문항이 5점 리컷트 척도로 구성되었다.


Ⅲ. 연구 결과

1. 예비교사의 수업실연에 대한 인식

가. ‘수업준비’에 대한 인식

본 연구에서 수업 준비는 교수·학습지도안 관련 내용부터 접근하였다. 교수·학습지도안의 필요 유무와 그 이유에 대하여 질문한 결과 3명(A, B, C) 모두 정확하게 그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교수·학습지도안의 작성 경험 여부에 대해 설문한 결과, 3명의 예비교사 중 A는 3회, B는 1회, C는 0회로 조사되었다.

교수·학습지도안에 들어갈 기본 요소를 아는 대로 작성한 결과, B는 대충, A와 C는 거의 작성을 하지 못하였다. 3회 이하의 교수·학습지도안 작성 경험으로는 교수·학습지도안에 들어가는 기본 요소들을 명확히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교사교육을 위한 실제 수업에서 교수·학습지도안 관련 이론부터 시작하여 실제 작성 및 첨삭의 단계까지 교육이 활발하게 수행될 필요가 있다고 분석되었다.

나. ‘수업하기 및 수업보기’에 대한 인식

본 연구에서 수업하기는 수업실연의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수업실연을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B는 수업실연의 의미를 정확히 인지하고 있었으나, A와 C는 임용고시에서 하는 것과 같은 시험이나 수업면접이라는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수업실연의 경험 유무에 대한 질문에 3명 모두 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수업실연 입문단계에서 수업실연과 관련된 교육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업보기는 수업관찰을 통한 동료컨설팅 측면에서 수행하였다. 수업실연의 관찰 경험 유무에 대한 질문에 3명 모두 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수업관찰을 해야 하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아래와 같이 A와 B는 일방적인 관찰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의 측면에서 수업관찰의 의미를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C와 같은 방식으로 사고하고 있는 예비교사들을 위한 교육도 보완되어야 한다고 분석되었다.

수업을 보면서 고쳐야할 점, 좋은 점을 찾아내서 내가 수업을 할 때 반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예비교사(A).
타인의 수업실연을 봄으로써 자신의 개선 방안을 찾을 수 있고, 객관적인 눈을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예비교사 B).
여러 번 보면 익숙해가는 건 당연하고, 관찰을 좀 더 나은 방법으로 하기 위해서이다(예비교사 C).
다. ‘수업 되돌아보기’에 대한 인식

수업컨설팅의 의미는 어떤 측면으로 접근하느냐에 따라 정의가 다르지만 수업자, 동료, 전문가 등에 의한 지속적인 수업에 대한 진단과 처방 및 실행과정을 통해 실질적인 수업의 개선에 주안점을 두도록 하는 자기주도적인 전문성 신장과정이다(Kang & Seol, 2007). 본 연구에서 수업 되돌아보기는 동료컨설팅의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본인이 생각하는 동료컨설팅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B는 동료컨설팅에 대하여 정확히 인지하고 있었으나, 나머지 A와 C는 아래와 같이 그 의미를 정확히 모르고 있었다. 동료컨설팅의 경험 여부에 대한 질문에 3명 모두 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동료컨설팅에 대한 기본교육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수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옳은 방향인지 아닌지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다(예비교사 C).

2. 동료컨설팅 수업모형 설계

1차년 도 연구에서 수해양계 예비교사의 수업실연을 위해 개발한 수업컨설팅 수업모형을 2차년 도에는 동료컨설팅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적용하였다. 1차년도 연구 결과 제기되었던 수업실연의 다회성, 동료컨설팅을 통한 수업나눔,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했던 인식조사에 대한 분석결과 등을 토대로 수정·보완하였다. 설계된 동료컨설팅 수업모형을 전문가 그룹(수산교과교육 전문가(1명), 교육학 전문가(2명), 수·해양계 고교 교사(2명) 등, 총 5명과 함께 적용 가능성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거쳐 최종 완성된 수업모형은〔Fig. 1〕과 같다.

수해양계 예비교사의 전문교과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동료컨설팅 수업모형은 입문단계와 실전단계로 구성되었다. 실전단계는 수업준비, 수업하기 및 수업보기, 수업 되돌아보기의 3단계로 구성되었다.

[Fig. 1]

Peer consulting teaching model

입문단계는 실제로 수업실연을 통한 동료컨설팅을 진행하기 위해 알아야 할 기초적인 지식의 습득과 수행으로 구성되었다. 전문교과 NCS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 발문, 교수·학습지도안의 이론과 실제, 수업실연, 동료컨설팅의 이론과 실제 등 총 6가지가 각 주별로 1주제씩 6주간에 걸쳐 진행되었다.

실전단계는 수업준비, 수업하기 및 수업보기, 수업 되돌아보기의 3단계로 구성되었다. 이들 단계는 총 3차시로서 하나의 블록타임으로 수행되었다. 수업준비는 사전상담(수업 전)과 교수·학습지도안 작성(1차시), 수업하기 및 수업보기는 수업실연과 수업관찰(2차시), 수업 되돌아보기는 동료컨설팅(3차시) 및 사후상담(수업 후)으로 이루어졌다. 사전상담과 사후상담은 수업 전과 수업 후에 연구자와 예비교사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담으로 총 3차시 블록타임 속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블록타임을 한 이유는 교수·학습지도안 작성, 수업실연 및 수업관찰, 동료컨설팅이 순차적으로 동시간대에 이루어져야 효과적(Kang, 2017)이라는 1차년 도의 연구결과 때문이다.

수업준비는 사전상담과 교수·학습지도안 작성으로 구성되었다. 수업 실연자들은 자신의 전공과 관련된 고등학교 교과서를 선택하였으며, 3명 모두 다른 교과서를 선정하였다. 수업 전까지 on-off 자료를 통해 본인이 하고 싶은 수업주제에 관련된 정보를 탐색하여 수업에 대한 전체적인 틀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사전상담은 수업 전에 연구자와 수업 실연자 간에 약 30분 정도 이루어졌다. 수업 실연자가 미리 생각해 온 수업내용, 수업모형, 수업매체, 수업전략 등에 관하여 논의를 통한 수정 및 보완과정을 거쳤다.

수업하기는 본인이 작성한 교수·학습지도안을 활용하여 수업실연을 하게 하였다. 1차 수업실연은 50분, 2-5차 수업실연은 20분 수업을 수행하게 하였다. 5차례 수업실연 중 첫 번째는 본인이 원하는 수업형태, 두 번째는 첫 번째와는 다른 수업모형을 선정하게 하였다. 전 과정을 핸드폰으로 녹화하였다. 녹화된 내용은 전사하여 연구자가 사후상담 시 활용하였으며, 수업 실연자에게 전달해 주어 본인의 수업실연 동영상을 보고 난 뒤 다음 차시의 사전상담에 임하게 하였다.

수업 되돌아보기는 동료컨설팅과 사후상담으로 이루어졌다. 동료컨설팅은 수업실연이 끝난 후, 연구자와 관찰자가 작성한 관찰활동지와 수업 실연자가 작성한 자가 진단표를 바탕으로 동료컨설팅을 하였다. 먼저 수업 실연자가 본인의 수업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소감형태로 이야기를 하게 하였다. 다음으로 동료 관찰자가 작성한 관찰 활동지를 기초로 돌아가면서 동료컨설팅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자가 수업실연에 대해 수업 실연자와 동료 관찰자가 언급하지 않은 내용을 중심으로 컨설팅을 하였다.

3. 수업모형의 적용 및 분석

개발된 동료컨설팅 수업모형을 이용하여 총 13주에 걸쳐서 3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수업모형이 적용되었다. 적용된 동료컨설팅 수업모형의 세부내용은 <Table 1>과 같다.

Contents of peer consulting teaching model

가. 입문단계

수해양계 고등학교 전문교과의 경우 특히 강조되고 있는 NCS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부터 입문단계는 시작되었다. Lee et al.,(2009)에 의하면 수업전문성은 주로 교사의 전문적 지식과 수행능력의 두 가지 측면에서 논의되어 왔다. 교사의 전문적 지식 측면에서는 교수학적 내용지식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교사가 수업을 효율적으로 계획하고 수행하는 데 필요한 수행능력 측면에서의 연구는 미흡하다. 예비교사의 교수활동 분석에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은 교육과정 자료를 활용하여 교수를 설계하는 능력인 PDC이다(Choi et al., 2015).

교수·학습 방법은 총 13가지를 선정하였다. 선정 근거는 특성화고 전문교과 수업모형 자료집(Choi et al., 2011)에서 10년 동안 전문교과 영역의 교수·학습 분과에 적용된 총 10회의 수업연구대회에서 선정된 우수사례 중 전문교과에 효과적이라고 보고된 교수·학습 방법 13개를 정리하여 입문단계의 두 번째 내용으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단계를 통해 학생들은 교수·학습지도안 작성 시 교육 내용에 적절한 교수·학습방법을 선정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교수·학습지도안의 이론과 실제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배웠던 발문, 교수·학습모형 등의 요소들을 활용할 수 있는 학습내용을 선정하게 하고,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게 하였다. 작성 후 첨삭을 통하여 긍정적인 피드백과 성찰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그리고 수업실연과 동료컨설팅에 대한 교육을 수행하였다.

나. 실전단계

실전단계는 7주 동안 적용되었으며, 전반부 3주는 50분 수업으로 1인당 1번씩 적용하였다. 후반부 4주는 50분 수업을 20분으로 압축한 수업을 1인당 4번씩 수행하였다. 따라서 수업 실연자 각각은 총 5번의 수업실연을 하였다. 50분으로 정한 이유는 고등학교 수업시간을 그대로 적용한 것이었고, 20분으로 압축한 이유는 최근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의 2차 수업실연 시 약 20분으로 압축하여 시행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1) 수업준비

A, B, C 모두 수업실연이 처음이고, 동료 앞에서 수업을 실연하고 관찰을 거쳐 동료컨설팅을 받는 것에 대한 약간의 불안감을 가지고 있었다. 1차년 도의 연구에서는 수업 실연자 모두가 막연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1차 상담의 주된 내용은 이 불안감을 경감시키기 위한 심리 상담의 측면에서 진행하였다. 하지만 2차년 도의 경우는 입문단계에서 동료컨설팅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숙지를 거치고, 동료들이 모두 같은 전공을 가지고 3년 이상 친한 동성친구로 구성된 결과 1차년 도보다는 불안감의 표현이 적었다. 그리고 1차년 도의 연구에서 효과를 얻었던 수업실연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실생활 속에서 시간이 날 때마다 머릿속에서 진행하는 수업시뮬레이션 방법을 권유하였다.

아울러 2차 사전상담부터는 1차 수업실연과 동료컨설팅 후 본인이 보완되어야 할 점을 한 가지만 선택하여 2차 수업실연의 주안점으로 두고 수업실연을 준비하게 하였다.

2차 수업실연에 주안점을 둔 부분은 다양한 수업방법의 활용과 극존칭을 사용하는 말투의 조절이었어요. 말투의 변화는 가능할 것 같은데, 다양한 수업방법의 적용은 시간과 노력을 많이 기울여야 할 것 같습니다. 교사가 되었을 때 수업을 할 때마다 이런 식의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하는 것이 조금 부담스럽기도 해요(예비교사 A).
1차 수업실연을 강의식으로 하였는데 좀... 그랬어요. 2차 수업실연에서는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방법을 강구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싶어요(예비교사 B).
저는 첫 번째 수업에서 시간분배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두 번째 수업에서 시간분배에 주안점을 두었어요. 수업시뮬레이션 방법을 활용하여 수업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습을 많이 할 생각 이예요(예비교사 C).

수업준비(1차시)는 사전상담과정에서 선정된 주제로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게 하였다. 작성된 교수·학습지도안을 복사하여 연구자, 수업 실연자, 관찰자에게 2차시 수업실연 전에 나누어 주었다.

2) 수업하기 및 수업보기

수업보기는 연구자와 관찰자 등 총 6명이 수업실연을 관찰하였다. 수업관찰을 위해 1차년 도의 연구에서 개발하여 사용하였던 수업실연 ‘관찰활동지’와 ‘자가 진단표’를 사용하였다. 1차년도 연구에서는 관찰활동지(49개 문항)와 자가 진단표(28개 문항)는 문항 수의 차이가 있었다. 그런데 1차년 도 연구에서 수업시연 관찰활동지와 자가 진단표를 동일한 체크리스트로 만들어서 연구자와 실연자 본인의 수업실연에 대한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해 보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사료된다는 연구 결과에 의해 2차년 도에서는 관찰활동지와 자가 진단표를 동일한 내용(49개 문항)으로 하여 설문지 체크리스트로 활용하였다.

관찰활동지는 연구자와 동료 관찰자가 작성하는 활동지로서, 수업관찰과 종합의견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수업관찰은 총 49개의 체크리스트로서 시작하기(11개), 수업하기(34개), 수업마치기(4개)로 이루어졌다. 종합의견은 이 수업의 장점과 보완되어야 할 점을 중심으로 작성하게 하였다. 자가 진단표는 수업실연을 한 예비교사가 수업실연을 마친 후에 작성하는 활동지로서, 관찰활동지와 동일한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연구자와 동료 관찰자는 수업실연을 관찰하면서 관찰활동지의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수업실연이 끝난 후에 종합의견을 작성하였다. 연구자는 사전상담에서 수업 실연자가 수업전략으로 제시하였던 항목이 실제 수업에 적용되었는지의 여부, 교수·학습지도안에 기술된 내용이 제대로 수업실연에서 활용되는지 등을 관찰일지에 기록하였고, 이를 사후상담에 활용하였다. 수업 실연자는 수업실연이 끝난 후, 자가 진단표를 작성하였다.

3) 수업 되돌아보기

<Table 2>는 수업 실연자 C의 1차 수업시연 후 동료관찰자(A, B, D, E, F)들에 의해 관찰활동지에 체크된 수를 기록한 것이다. 동료 관찰자들은 비슷한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공통적으로 수업 실연자에 대하여 모든 학생들과 아이 컨텍을 하려고 노력을 하는 점과 학생들과의 질문을 통한 상호작용은 잘 하였다고 말하였다. 아울러 한 곳에 서서 수업을 함으로써 발생하는 교실 공간 활용도의 미비, 칠판사용의 부자연스러움, 수업구성의 비구조화, 수업진행의 미흡함, 시간분배의 미흡 등을 보완할 점으로 컨설팅 해 주었다.

Observation work sheet of peers for teaching demonstration(C): 1st

1차 수업실연에 대해 수업 실연자(C) 본인도 수업 진행의 미흡함이나 낮은 공간 활용도 등을 인지하고 있었다. 체크리스트 수를 보았을 때 동료들(34.6/49: 70.6%)보다 본인(29/49:59.1%)의 평가가 낮았다. 이것으로 보아 동료들은 가능하면 칭찬을 통한 발전에 의미를 두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수업 실연자 C의 1차부터 5차까지 자가 진단표를 분석한 결과 <Table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수가 증가할수록 수업에 대한 본인의 평가치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Self-diagnosis work sheet of teaching demonstration(C): 1st-5th

특히 1차 동료컨설팅에서 제기되었던 교실의 공간 활용도, 칠판 사용, 시간 배분 등은 눈에 띄게 발전하였으나, 수업 구성과 수업 진행은 여전히 부담스러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업실연 후, 연구자는 수업실연 시 촬영된 영상의 전사를 통한 분석을 한 뒤 약 30분가량 연구실에서 수업 실연자와 사후 상담을 진행하였다. 이때 수업실연을 위해 작성된 교수·학습지도안, 동료 관찰활동지, 자가 진단표, 영상을 통한 수업분석, 관찰일지 등을 기초로 이전 수업에 대한 나눔과 다음 수업실연을 위한 사후상담을 수행하였다.

동료컨설팅과 사후상담을 진행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처음에는 수업실연에 대한 부담감을 느꼈으나 동료컨설팅을 통한 수업 나눔의 시간을 가진 후 점점 더 수업실연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예비교사들은 수업 중에 수업의 흐름을 잘 유지시키면서 유머를 사용하여 분위기를 전화시킨다든지, 수업 내용에 적합한 다양한 수업방법을 활용하는 것에 대하여 가장 큰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예비교사들은 동료컨설팅을 하면서 본인의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 타인과의 부드러운 의사소통, 윈-윈을 통한 긍정적인 협업 등 긍정적인 면을 발휘하면서 자신감을 찾아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업실연을 해 본 경험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수업실연에 대한 부담감이 좀 있었습니다. 더욱이 동료들 앞에서 동료들을 학생으로 대하면서 수업을 한다는 것이 어색하기도 하고 머쓱하기도 하고 그랬어요. 그러나 1차 동료컨설팅 때 동료들이 칭찬도 해 주고 부드럽게 잘 이야기를 해 주어서 용기를 얻었습니다. 그리고 동료들 수업실연을 보면서 저도 참 많이 수업에 대한 느낌이 달라졌습니다. 처음에는 수업관찰을 왜 할까? 꼭 해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하지만 제가 수업관찰을 하면서 더 많은 것을 느끼고 얻을 수 있었던 것 같아요(예비교사 B).
1차 수업 실연 시 촬영한 동영상을 집에 가서 보기가 쑥스러워 보지 않았어요. 그런데 언니가 우연히 내 폰을 보다가 “어! 이게 뭐야?” 하면서 수업 실연 동영상을 보길래 같이 보았어요. 몸이 오글거리고 이상했지만 언니가 계속 보고 있어서 어쩔 수 없이 끝까지 다 보았어요. 정말 내가 이랬나 하는 생각도 들고... 저를 객관적으로 온전히 보는 건 처음이었거든요. 그런데 보다보니 아... 내가 이렇게 했구나? 아... 이건 참... 잘했네. 등 수업에 대해 진지한 되돌아봄의 시간이 될 수 있어서 좋았어요(예비교사 A).

4. 만족도 조사

강좌 마지막 주에 수업실연에 참가한 예비교사 3명을 대상으로 만족도에 관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세부내용은 <Table 4>와 같이 구성되었다.

Satisfaction on classes by pre-service teachers

각 문항은 5점 리컷트 척도로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전체 평균은 4.9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Ⅳ.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수해양계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해 동료컨설팅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것이며, 연구 결과를 대학의 예비교사교육에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1차년 도에 개발된 수업을 2차년 도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1차년 도에 개발되었던 수업모형을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와 1차년도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수정·보완하여 수해양계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동료컨설팅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최종 설계된 모형은 입문과 실전의 2단계로 이루어졌다. 입문은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과 동료컨설팅을 위한 기초를 다지기 위한 단계이다. 이 단계는 전문교과 NCS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 발문, 교수·학습지도안의 이론과 실제, 수업실연, 동료컨설팅의 이론과 실제 등으로 구성되었다. 실전은 수업준비, 수업하기 및 수업보기, 수업 되돌아보기의 3단계로 이루어졌다. 수업준비는 사전상담과 교수·학습지도안 작성, 수업하기는 수업실연, 수업보기는 비디오피드백을 겸한 수업관찰, 수업 되돌아보기는 동료컨설팅과 사후상담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개발된 수업모형을 13주 동안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13주 중 전반부 6주는 입문단계, 나머지 7주는 실전단계로 수행되었다. 수업실연을 원하는 3명의 여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5번의 수업실연과 동료컨설팅을 수행한 결과 예비교사로서 기본적으로 가져야 할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해 본 수업모형은 긍정적인 만족도를 가져왔다.

하지만 13주 중에서 7주의 수업실연과 동료컨설팅을 통해 예비교사의 전문교과 수업 전문성 신장을 꾀하기는 어렵다. Suh(2015)의 연구결과처럼, 학교현장의 실제적이고 다양한 상황을 고려한 수업환경을 예비교사에게 마련해주는 데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그리고 몇 주 간의 실전과정으로는 이러한 문제를 충분히 해결하기가 어렵다. 아울러 이러한 현실적인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수·학습지도안 작성이나 수업실연의 기회를 충분히 갖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Kang, 2017). 따라서 입문단계의 내용은 다른 강좌에서 충분히 학습한 뒤, 실전단계에서는 단지 수업준비, 수업하기 및 수업보기, 수업 되돌아보기의 단계만 15주 동안 진행한다면 그 효과가 확연히 나타날 것으로 사료된다.

사전상담에서 Choi et al.(2015)가 보고한 것처럼 수업내용에 대한 논의, 내용에 적합한 수업방법 선정, 본인이 주안점을 두는 수업전략, 수업내용에 적합한 수업매체와 자료의 선정 등이 교수·학습지도안의 충실성과 수업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사전상담 시 이전 수업에서 보완되어야 할 점을 한 가지 정해서 다음 수업의 주안점으로 삼게 하여 수업준비를 하게 한 점, 수업실연 전 수업시뮬레이션 방법을 도입하여 연습하게 한 점, 관찰자들을 학생으로 인식하여 수업실연을 진행하게 한 점, 동료컨설팅 시 동일한 관찰지와 자가 진단표를 활용한 점, 사후 상담 후 본인의 수업 동영상을 직접 보게 하여 반성적 사고의 시간을 갖게 한 점 등은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해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한 요소들로 분석된다.

수업보기에서는 수업관찰이 이루어졌다. 수업관찰은 질적관찰과 양적관찰로 이루어지는데 양적분석과 질적분석 중 어느 쪽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은 옳지 않고, 수업분석 방법의 적합성과 타당성은 해당 수업분석이 이루어지는 목적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Kim & Kim, 2013; Lee & Kang, 2015; Kang, 2017). 본 연구에서의 수업관찰은 연구자와 관찰자를 포함하여 총 6명이었다. 연구자는 비디오 피드백과 관찰일지를 통한 질적관찰을 하였고, 동료관찰자와 수업 실연자는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양적관찰을 하였다. 수업 되돌아보기 부분에서는 수업 실연자에게 촬영된 동영상을 통한 반성적 자기분석을 하게 하였다. 왜냐하면 단순히 자가 진단표 만으로 본인의 수업에 대한 명확한 분석을 한다는 것은 한계점이 있기 때문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개발된 동료컨설팅 수업모형을 실전단계의 확장을 통한 수업실연의 기회 확대, PCK와 PDC 분석방법을 활용한 분석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6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6S1A5A8018992)

References

  • Ahn, KH, & Kim, SA, (2012), A Case Study on Art 침Class Consulting for Pre-service Teachers, Korean Elementary Art Education Association, 33, p171-196.
  • Choi, DS, et al., (2011), Special subjects lesson model in specialized high school,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Choi, SG, Lee, JW, & Noh, TH, (2015), A case Study of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Demonstration of STEAM Lesson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4), p665-676.
  • Erickson, G., Minnes Brandes, G, & Mitchell, I, (2005), Collaborative teacher learning: Findings from two professional development project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7), p787-798.
  • http://www.goe.go.kr/ Gueonggido office of education, (2015).
  • Jang, SY, & Nam, CW, (2017), Developing management strategies for instructional Design-based Collaborative Instructional Consult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0), p151-175. [https://doi.org/10.22251/jlcci.2017.17.10.151]
  • Jang, SY, (2017), A Case Study on Peer Instructional Consulting Program in Higher Education, JET, 33(2), p455-482. [https://doi.org/10.17232/KSET.33.2.455]
  • Kang, BD, (2017), Development of Teaching Model for Teaching Demonstration of Pre-service Fisheries and Marine School Teachers through Class Consulting,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9(3), p847-856. [https://doi.org/10.13000/JFMSE.2017.29.3.847]
  • Kang, SJ, & Seol, KJ, (2007), Social Studies Teacher Consulting manual to Enhance Teaching Practice, The Journal of Education, 27, p77-110.
  • Kim, DK, & Kim, HJ, (2013), Conceptual and Critical Analysis of Concept and Status of Instructional Consulting,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9(3), p131-156.
  • Lee, EH, & Park, IW, (2017), A Conceptual Analysis on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JET, 33(1), p105-135. [https://doi.org/10.17232/KSET.33.1.105]
  • Lee, GH, & Kang, KL, (2015),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f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reativity & Problem Solving, 11(3), p107-141.
  • Lee, JY, & Min, BG, (2013), Improve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Korean instructional competence through instructional consultation,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Education, 31, p271-308.
  • Lee, SG, Oh, PS, Kim, HR, Lee, GH, Kim, CJ, & Kim, HB, (2009), A review of research perspectives on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practical knowledge,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6(1), p27-57.
  • Mento, AJ, Giampetro-Meyer, A., (2000), Peer Observation of Teaching as a True Developmental Opportunity, College teaching, 48(1), p28-32.
  • Munthe, E, (2003), Teachers' workplace and professional certaint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9(8), p801-813.
  • Seol, KJ, (2010), A Study on Student Teachers and Novice Teachers’ Experiences and Understanding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Social studied education, 49(2), p53-71.
  • Suh, JH, (2015), A Study on Problematic Aspects of teaching Plan and Microteaching for Pre-service Teachers in Korean Language Classes,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Education, 58, p1-34.

[Fig. 1]

[Fig. 1]
Peer consulting teaching model

<Table 1>

Contents of peer consulting teaching model

level content week
introduction NCS curriculum for special subjects 6
teaching·learning method
question method
theory & practice of a lesson plan
theory of lesson demonstration
theory & practice of peer consulting
practice preparation pre-counseling writing a lesson plan 7
doing/watching lesson demonstration
reflecting peer-consulting post-counseling
etc. orientation, questionnaire, exam. 2
total 15

<Table 2>

Observation work sheet of peers for teaching demonstration(C): 1st

division(N) A B D E F mean
start(11) 9 7 8 8 8 8.00
body voice(6) 3 5 5 4 4 4.20
gesture(5) 2 3 3 2 2 2.40
expression(2) 2 2 2 1 1 1.60
blackboard(4) 2 2 1 3 1 1.80
configuration(3) 2 2 1 2 1 1.60
process(5) 3 2 2 3 2 2.40
question(6) 6 6 5 6 6 5.80
interaction(3) 2 3 3 3 3 2.80
finish(4) 4 4 4 4 4 4.00
total(49) 35 36 34 36 32 34.6

<Table 3>

Self-diagnosis work sheet of teaching demonstration(C): 1st-5th

division(N) 1st 2nd 3rd 4th 5th mean
start(11) 7 8 8 9 10 8.40
body voice(6) 4 4 5 6 6 5.00
gesture(5) 2 3 3 4 5 3.40
expression(2) 1 1 1 2 2 1.40
blackboard(4) 1 2 3 4 4 2.80
configuration(3) 1 1 2 2 2 1.60
process(5) 2 2 3 3 3 2.60
question(6) 5 5 6 6 6 5.60
interaction(3) 3 3 3 3 3 3.00
finish(4) 3 4 4 4 4 3.80
total(49) 29 33 38 43 45 37.6

<Table 4>

Satisfaction on classes by pre-service teachers

division mean
1. satisfaction on introduction contents 5.0
2. teaching method improvement 5.0
3. satisfaction on peer-consulting 5.0
4. before/after counseling 4.7
5. satisfaction on classes 5.0
total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