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2, No. 1, pp.302-320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9 Feb 2020
Received 17 Dec 2019 Revised 05 Feb 2020 Accepted 09 Feb 2020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0.2.32.1.302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발달장애성인의 정서안정과 자기표현 변화

김경 ; 강영심 ; 옥혜숙*
부산대학교(연구원)
부산대학교(교수)
*부산대학교(학생)
Emotional Stability and Self-expression Change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Kyoung KIM ; Young-Sim KANG ; Hye-Sook OK*
PusanNationalUniversity(reacher)
PusanNationalUniversity(professor)
*PusanNationalUniversity(student)

Correspondence to: kangys@pusan.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on emotional stability and self-expression in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P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 program of Busan city. The research method was a single group pre-post design and an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consisting of art, music, dance and movement activities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8 weeks. As a pre-post test tool,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observation journals were recorded and recorded according to the activities of each session.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examined the questionnaire questions according to the pre-post test results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activities of each session. As a result, the emotional stability and self-expression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dult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were stabilized and the self-expression was stable by increasing the low scores of the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In addition,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f the activities of each session, problem behaviors such as aggressive behaviors seen in the basic stages and other people's notices and poor self-expression began to show positive changes in the development stages and integrated stages was clear that the decrease.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is useful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stabilize their unstable emotions and express their thoughts freely, thereby promoting their emotional stability and self-expression.

Keywords:

Integrated arts therapy program,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otional stability

Ⅰ. 서 론

행복감, 만족감으로 정의되는 삶의 만족도는 개인이 자신의 삶을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보여주는 동시에 개인의 안녕감을 보여주는 지표(Cummuns, 1996)라고 할 수 있다. 흔희 장애인은 장애를 가졌다는 이유로 자신의 삶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인식하여 삶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이해하곤 한다. 특히 발달장애인은 가정, 학교, 이웃, 사회에서 많은 문제를 일으키게 됨으로써 다른 사람과의 적절한 대인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거나 자신을 자신 있게 표현하지 못하여 더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발달장애인은 ‘장애인복지법 제2조’에 따르면 지적장애와 자폐성 장애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인지적 결함과 적응행동에서의 결함을 지니고 있으며, 신체표현, 자기조절, 사회적 참여, 독립적인 생활의 일상적 기능에서의 결손을 보인다(Kim, 2016). 또한 전 생애 주기에 걸쳐 장애가 지속되므로 감정과 의사표현이 제한되는 장애의 특성으로 인해, 내면에 있는 스트레스와 욕구를 발산하거나 타인과의 상호작용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자기표현이나 사회성 발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대인관계에서 여러 가지 문제 행동을 보이게 된다(Kim, 2016). 이러한 반복된 상황은 발달장애인에게 자신이 가진 장애에서 오는 불안이나 열등감 속에서 분노, 흥분, 기쁨, 좌절, 죄책감, 외로움 등 다양한 감정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Kim, 2010). 이것은 결국 부정적 감정의 반복된 피드백에 의해서 발달장애인의 자기표현을 더욱 어렵게 하여 복합적인 정서적 문제를 더욱 가중시키게 된다.

이러한 발달장애인의 불안정한 정서와 내면의 상태는 성인기가 되면서 다른 사람과 관계를 형성하고 자신을 표현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Dweck, 1999) 정서적・신체적・심리적인 측면에서 극도의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정서적・신체적・심리적인 측면의 어려움은 성인기의 사회적 참여를 위해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Hotton and Coles, 2016; Ke et al., 2018; Turner-Brown et al., 2008) 지역사회 참여와 통합에 어려움이 따르는 경우가 많고, 성공적인 성인기 삶을 제한하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나아가 개인의 심리적, 사회적 안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Hotton and Coles, 2016; Koegel et al., 2013; Mason et al., 2012). 그러나 발달장애성인 또한 스스로의 정체성 확보와 자아성취를 달성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게 분출되고 있으며(Jeon, 2015), 자신의 능력과 재능을 개발하여 내적 만족과 성장, 사회적 관계의 확장을 넓혀가고자 한다(Kim and Kang, 2019). 그러므로 발달장애인에게 학령기 이후 지역사회에서의 성인역할 수행을 위한 계속적인 지원과 평생 동안 교육 기회를 부여함으로써(Kim and Ko, 2016) 발달장애인은 성인기에 필요한 교육을 받고 역량강화를 통해 삶의 질이 향상되며 독립적인 생활과 통합적 삶의 경험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관련된 지원방안으로 발달장애성인을 위한 여러 가지 심리 정서적, 통합적 치료접근이 시도될 수 있다. 현재까지 시도된 정서적 ‧ 신체적・심리적 치료접근으로, 미술치료, 음악치료, 무용・동작치료 등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 이러한 여러 가지 치료를 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통합예술치료가 활성화되고 있다. 통합예술치료는 심리치료와 각종 예술매체인 미술, 음악, 무용・동작, 문학, 연극, 창작 등 창의적 예술 활동을 통합한 치료로 다양한 매체를 접함으로써 호소하는 문제점이나 장애를 진단하여 증상을 경감하도록 유도하고 정서적・신체적・심리적 안정과 통합을 촉진한다(Kim and Choi, 2011). 그러므로 통합적 접근은 발달장애인의 부적응행동과 자기표현을 긍정적으로 이끌어 타인과의 사회・정서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Seo et al., 2011; Im and Won, 2011; Kern and Wolery, 2002; King and Schwabenlender, 1994; Nasuruddin, 2010). 발달장애인에게 통합예술치료를 적용한 여러 연구에서는 통합예술치료가 발달장애인에게 매우 유용한 전략임을 제시하고 있다. 지적장애학생의 불안정한 정서와 낮은 자존감, 부적응행동이 향상되었으며(Kim and Jung, 2013; Kim and Choi, 2011), 자폐장애아의 부정응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매우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Kana and Han, 2008; Seo et al., 2011). 또한 지체장애학생의 근육기능을 확장하도록 이끌어 내적 에너지가 증진되고, 사회성과 의사소통 기술이 향상됨으로써 인지적인 성장과 성취감, 자기 만족감이 향상되었음을(Nasuruddin, 2010) 밝히고 있다. 이들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에게 많은 성공적인 경험과 높은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정서안정에 실제적인 영향을 미치고(Dweck, 1999), 자기표현의 경험이나 기회 확보, 의사소통 기술의 습득, 사회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관련된 교육을 통하여 자기표현이 향상됨을 보고하고 있다(Lee et al., 2013). 이러한 요소들은 인지적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즐거움을 느끼고, 이러한 즐거움이 동기화되어 또 다른 도전적인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기 때문이다(Schultz and Switzky, 1993; Zewdie, 1995). 따라서 발달장애인에게 스스로 자신을 이해하고 내면의 상태, 정서불안 등을 증진하도록 이끌어 정서적 안정을 줌으로써 언어로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도록 이끄는 중재의 접근은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통합예술치료가 발달장애인의 신체적・심리적・정서적인 측면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특히 지적장애학생과 자폐장애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하고 작품 활동을 통하여 만족감과 성취감을 높여서(Kim and Jung, 2013; Kim and Choi, 2011)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정서적인 안정을 이끌 수 있는 유용한 접근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전통적인 언어치료에 예술매체를 활용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치료방법은 내담자에게 새로운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언어적, 비언어적 자기표현을 자연스럽게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언어치료에서 음악, 미술 등 다양한 예술매체를 활용한 통합예술치료는 예술매체들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서 발달장애아들의 심리를 비롯한 총체적인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다(Park, 2014; Lee and An, 2010; Lee, 2016). 그러나 전술한 연구들은 학령기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기술 중재를 평가하고 있으며(Kim and Kim, 2018; Kim and Kim, 2012; Joen and Park, 2014),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편이다(Hotton and Coles, 2016; Matson and Kozlowski, 2011). 특히 발달장애성인의 불안정한 정서와 자기표현의 어려움에 초점을 둔 통합예술치료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생교육원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발달장애성인을 대상으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불안정한 정서와 자기표현의 어려움에 대한 변화를 밝히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발달장애성인이 자신의 내면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도록 이끌어 불안정한 정서가 안정되어 타인과의 사회・정서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스스로 행복감을 느끼며 삶의 질이 높은 사회인으로 살아 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발달장애성인의 정서안정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둘째,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발달장애성인의 자기표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이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본 연구 대상은 부산시 P대학 평생교육원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발달장애성인 7명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발달장애성인 7명 중에서 본 연구에서 실시하는 설문지 검사가 가능하며, 연구자의 설명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구어로 표현할 수 있는 3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선정기준에 따라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하는 발달장애인의 정서안정과 자기표현의 특성과 부합되는 행동 관찰변인을 구체적으로 도출하기 위하여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2019년 3월 19일부터 6월 26일에 걸쳐 주 3일 평생교육원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수업장면을 녹화하고 참여관찰일지를 작성하여 행동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매 수업에서 관찰되는 행동 특성을 분석함에 있어서 연구자의 주관성과 편견을 줄이기 위하여 특수교육전문가 2인과 프로그램 강사 2인이 함께 살피고 정서안정과 자기표현에 대한 관찰변인을 도출하였다. 연구 대상의 이름은 가명으로 설정하였으며, 연구대상의 특성과 관찰변인은 <Table1 1>과 같다.

Characteristics and observation variables

2. 연구도구

가. 설문지

본 연구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사후검사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는 Kim(2012)의 박사학위논문 ‘장애학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에서 장애학생에게 적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전술한 설문지는 생활연령 18세에서 19세의 지적장애학생 4명과 지체장애학생 2명에게 적용하여 정서안정, 자기표현, 자아존중감, 사회성을 살펴보기 위해 개발되어 효과성을 밝히고 있음으로 본 연구의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어 적용하였다. Kim(2012)에 의하면 장애학생에게 사용한 설문지는 각 문항에 대해 1점(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5점(매우 그렇다)으로 평가하는 5점 척도의 자기 보고식이며 정서안정, 자기표현, 자아존중감, 사회성 등 총 5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정서안정 14문항, 자기표현 14문항만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이 발달장애성인이므로 특수교육전문가 1인과 함께 수정・보완하였다. 수정・보완된 설문지는 발달장애성인 3인에게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질문이 어렵거나 이해되지 않는 문항을 재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여러 번 거쳤다. 검사 시에는 발달장애성인의 인지적 특성을 고려하여 설문지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연구자 외 1명의 보조교사가 설문지에 대한 내용을 반복하여 읽어 주고 이해하였는지 확인하였다. 자세한 문항내용은 <Table 2>에 제시하였다.

Self-report questionnaire

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활동 자료 분석

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하는 동안 연구 대상의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변화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질적인 접근을 실행하였다. 연구자는 매 회기 프로그램 활동에 대한 전 과정을 녹화・전사(transcript)하여 분석하였다.

다.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활동 후 어머니와의 면담 자료 분석

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하는 동안 연구 대상의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변화과정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총 16회기 중 4회기, 8회기, 12회기, 16회기는 발달장애성인과 어머니가 함께하는 회기로 구성하였다. 각 회기가 끝난 후 어머니와의 면담을 통하여 회기가 진행되는 동안과 가정에서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면담내용은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학생들의 반응은 어떠하였습니까?’,‘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가정에서의 변화과정은 어떠하였습니까?’ 의 반구조화로 진행되었다.면담 장소는 연구자의 연구실에서 진행되었으며, 모든 면담과정은 녹음한 후, 특수교육 박사과정 1인과 함께 전사(transcript)하여 분석하였다.

3.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구성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구성은 Kim(2012), Kim과 Choi(2011), Soe 등(2011)Yang(2008)의 연구를 근간으로 하였고, 발달장애성인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특성을 고려하여 미술치료, 음악치료, 무용・동작치료를 적용하였다. 이러한 미술치료, 음악치료, 무용・동작치료의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1차적으로 본 연구자와 무용치료전문가 1인, 특수교육전문가 1인이 함께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후에 미술치료 전문가 1인(미술치료전공 교수), 음악치료 전문가 1인(음악치료사), 무용・동작치료 전문가 1인(무용・동작치료사)이 함께 검토・수정하는 과정을 거친 후, 본 연구목적에 맞게 재구조화 하였다. 미술치료적 부분은 「미술치료 기법」(Choi et al., 2007)을 근거로 하였다. 미술매체는 발달장애성인의 인지적 특성을 고려하여 쉽고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자유로운 매체 사용과 다양한 표현활동을 이끌어 자신의 감정 표현, 감각활동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음악치료적 부분은 미국의 음악치료사들이 지적장애인의 적응행동을 개선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사용한 음악치료활동인 Cassity(1985)의 연구에 근거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노래와 동작들은 실험에 참가한 연구 대상의 특성을 고려해 정서안정 및 자기표현 증진과 관련된 내용으로 재구성하였다. 또한 악기는 발달장애성인이 쉽게 다룰 수 있는 리듬악기 및 가락악기로 하였고, 그 외 그림악보와 소품 등으로 구성하였다. 무용・동작치료 부분은 「동작과 놀이지도 이론과 실제」(Kim, 2006)를 근거로 적용하였고, 흥미향상, 긴장이완, 에너지유발감정표현, 집단원간의 협응력을 목표하였다.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강사는 연구자(미술치료전문가)와 무용치료전문가 1인, 활동보조강사 2인으로 구성하였다.

기초단계에서 음악을 들으며 워밍업활동을 시작으로 연구자와 무용치료전문가의 동작을 모델링하여 자유롭게 활동하도록 하였다. 이후 단계에서는 동작활동을 하는 동안 긴장을 이완하고 감정을 표출하며 음악속의 소리를 연상하는 동작을 자유롭게 표출하도록 이끌었다. 전체 프로그램은 총 16회기, 3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고, 4회기, 8회기, 12회기, 16회기는 연구대상과 부모님이 함께하는 회기로 구성하여 부모님이 자녀의 정서안정과 자기표현에 대하여 직접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1단계는 기초단계(1회기∼4회기)로써, 내담자 탐색 및 라포 형성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초단계에서는 전체 프로그램의 도입과정으로 친밀감 형성과 음악, 미술, 무용・동작의 유연성을 경험하여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고 신체감각기능의 발달과 흥미를 유발하였다. 2단계는 전개단계(5회기∼12회기)로서 인지, 자기표현, 자기인식, 타인인식, 대인관계향상을 주목표로 하였다. 이 단계에서는 예술 활동을 통하여 스스로 집중하고 흥미를 유발시키며 억압된 분노, 우울, 공격성을 해소하도록 하였다. 3단계는 통합단계(13회기∼16회기)로서 예술 영역 간의 통합적 경험을 통하여 자아통합, 관계수용 강화, 정서안정, 자기표현 증진을 주 목표로 하였다. 이 단계는 전체 프로그램의 종결단계로서 자신의 가치를 인식하고 자기표현을 증진하도록 이끌어 정서적 안정감을 찾고 긍정적인 미래방향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인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은 <Table 3>과 같다. 본 연구 기간은 2019년 7월 9일부터 8월 22일까지이며,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주 2회 총 16회기 실시하였다. 연구 장소는 P대학 평생교육원 무용실에서 실시하였고, 매 회기별 활동은 도입(5분), 자기탐색(7분), 자기활동(26분), 적용 및 응용(7분), 정리 및 회기예고(5분)의 5단계로 총 50분 동안 이루어졌다. 구체적인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내용은 <Table 3>에 제시하였다.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4. 자료처리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자료처리를 실시하였다. 첫째, 발달장애성인의 정서안정과 자기표현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 대상이 직접 응답한 설문지를 문항에 따라 사전・사후 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실시되는 회기별 활동 과정을 관찰하여 매 회기 활동일지를 작성하고 전 과정을 녹화‧전사(transcript)하였다. 활동일지는 연구자가 매 회기 활동이 종료된 후 활동에서 야기될 수 있는 미세한 변화와 행동특성을 대상 학생별로 나누어 기술하고, 정서안정, 자기표현의 중요한 의미를 보이는 것에 밑줄을 긋거나 동그라미를 그려 선정하는 작업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특수교육전문가 2인으로 분석팀을 구성하였다. 분석자들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한 후 수집된 자료를 독립적으로 분석하여 정서안정, 자기표현과 관련된 반응 등을 찾도록 요청하였다. 분석팀은 독립적인 분석이 끝나고 난 후 연구자와 함께 서로의 분석내용에 대한 논의와 합의의 과정을 거쳐 기초단계, 전개단계, 통합단계로 나누어 정서안정과 자존감을 대표하는 행동특성을 정하였다. 구체적인 분석과정을 살펴보면, 일차적으로 연구자외 2명의 분석팀은 기초단계 4부, 전개단계 8부, 통합단계 4부 별로 나누어 연구주제와 관련된 의미 있는 문장과 단어들을 각 연구대상에 따라 분류하고 비교하면서 부호화 체계를 작성, 범주화하여 그 유형을 분석한 후 정서안정과 자기표현 변화를 도출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후 3개의 분석집을 돌려가면서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1차 부호집을 도출하였다. 1차 부호집을 기초로 하여 연구자와 분석자들은 발달장애성인의 정서안정과 자기표현에 대한 기존의 범주 내용 및 정의를 보완하였고, 1차 부호집을 돌려가며 검토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2차 부호집을 완성하였다. 이 같은 절차를 통해 분석에 참여한 3명이 함께 모여 완성된 2차 부호집 내용을 정리하면서 최종적으로 정서안정과 자기표현 변화를 도출하였다. 이후에 특수교육과 석사 1인과 특수교육과 박사 1인에게 선별한 자료를 돌려가면서 제대로 분류되었는지 재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외부자적 관점에서의 자료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셋째, 어머니와 함께하는 회기별활동 후의 어머니와의 면담 내용의 자료처리의 구체적인 분석은 연구자 외 특수교육 박사과정 2인이 함께 참여하였다. 우선 1차 과정은 회기별로 전사한 자료 4묶음을 연구자가 이 연구의 문제와 관련 있는 의미 있는 절과 문장을 찾고, 밑줄을 긋거나 부호 표시를 하여 분류하였다. 2차 과정으로 1차 과정에서 분류된 각 전사본 묶음을 분석자 2인이 돌려가면서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범주의 내용 및 정의를 기록하였다. 이 같은 절차를 통해 분석에 참석한 3명이 함께 모여 각 회기별 내용을 정리하면서 최종적인 핵심내용을 도출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발달장애성인의 정서안정 변화

가. 김진주의 정서안정 변화

(1) 설문지를 통하여 살펴본 정서안정 변화

설문지를 통하여 진주의 정서안정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활동 실시 전과 후에 작성한 설문지 문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특히 설문지 문항 중 2번 ‘늘 불안하다’, 5번 ‘다른 사람들 앞에서 잘 운다’, 6번 ‘한 가지 일에 정신을 집중하기가 어렵다’가 ‘매우 그렇다’가 ‘그렇지 않다’로 변화하였고, 9번 ‘스트레스를 받으면 적절하게 해소 한다’, 11번 ‘우리 가족은 나를 사랑 한다’가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로 변화함으로써 진주의 불안함과 부정적인 대인관계, 가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안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프로그램 실시 과정에 나타난 정서안정 변화

프로그램 실시 과정을 통하여 살펴 본 결과, 기초단계(1회기~4회기: 타인이 두려운 주변인)에서는 다른 사람을 심하게 경계하고 눈치를 많이 봄으로써 활동 과정 내내 참여하지 못하고 주변을 맴돌았으며 어머니에게 거의 접근하지 못하였다. 이후 전개단계(5회기~12회기: 다른 사람에게 다가가고 싶어요)에 들어서면서 점차 다른 사람의 눈치를 보는 행동이 감소하면서 서서히 활동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어머니와 소통이 조금씩 이루어졌다. 통합단계(13회기~16회기: 다른 사람과 함께하는 나는 즐거워요)에 와서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신의 의지대로 하려는 모습으로 변화하였고, 어머니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려하였다.

나. 진영재의 정서안정 변화

(1) 설문지를 통하여 살펴 본 정서안정 변화

설문지를 통하여 영재의 정서안정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활동 실시 전과 후에 작성한 설문지 문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특히 설문지 문항 중 1번 ‘화가 나면 참기가 어렵다’, 6번 ‘한 가지 일에 정신을 집중하기가 어렵다’가 ‘매우 그렇다’에서 ‘그렇지 않다’로 변화하였고, 2번 ‘마음이 늘 불안하다’, 4번 ‘남들보다 더 신경질적이다’, 8번 ‘무엇인가 부수고 싶을 때가 많다’, 11번 ‘우리 가족은 나를 사랑 한다’, 13번 ‘우리 가족은 화목하다’가 ‘보통이다’에서 ‘그렇지 않다’로 변화하였다. 또한 12번 ‘장래에 이루고 싶은 꿈이 있다’가 ‘그렇지 않다’에서 ‘그렇다’로 변화함으로써 영재의 불안함과 분노, 공격성, 가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등이 안정화 되어 장래에 희망을 가지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프로그램 실시 과정에 나타난 정서안정 변화

프로그램 실시 과정을 통하여 살펴 본 결과 기초단계(1회기~4회기: 나는 중학생)에서는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과 반응을 거의 나타내지 않고, 멍하니 있으며 중학교로 돌아가겠다는 말을 많이 하였다. 또한 어머니와 눈 맞춤을 하지 않았으며, 어머니의 말에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았다. 이후 전개단계(5회기~12회기: 다른 사람이 궁금해요)에 들어서면서 점차 다른 사람에 대하여 관심을 보이면서 스스로 무엇인가를 하려는 의지를 보였다. 더불어 중학교로 돌아가겠다는 말을 거의 하지 않았으며 어머니와의 활동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통합단계(13회기~16회기: 지금 나의 모습이 좋아요)에 와서는 활동에 집중하고 학령기의 괴롭힘에 대한 언급이 없어지면서 중학교로 돌아가겠다는 말을 하지 않았다. 어머니와 활동에서도 어머니에 대한 걱정과 사랑을 표현하여 의젓한 모습을 보였다.

다. 이승리의 정서안정 변화

(1) 설문지를 통하여 살펴 본 정서안정 변화

설문지를 통하여 승리의 정서안정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활동 실시 전과 후에 작성한 설문지 문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특히 설문지 문항 중 1번 ‘화가 나면 참기가 어렵다’, 2번 ‘마음이 늘 불안하다’, 4번 ‘남들보다 더 신경질적이다’, 5번 ‘다른 사람 앞에서 잘 운다’, 6번 ‘한 가지 일에 정신을 집중하기가 어렵다’, 7번 ‘실수나 나쁜 짓을 한 것처럼 느껴질 때가 많다’, 14번 ‘다른 사람을 때리고 싶은 생각이 들 때가 많다’가 ‘매우 그렇다’에서 ‘그렇지 않다’로 변화하였고, 13번 ‘우리 가족은 화목하다’가 ‘보통이다’에서 ‘매우 그렇다’로 변화함으로써 승리의 불안함과 분노, 공격성, 완벽성, 가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등이 안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프로그램 실시 과정에 나타난 정서안정 변화

프로그램 실시 과정을 통하여 살펴 본 결과 기초단계(1회기~4회기: 복수해야하는 완벽한 나)에서는 학령기 때 괴롭힘을 당한 것에 대한 복수심, 공격성이 심하게 나타났으며, 모든 일에 매우 완벽하려 하였다. 또한 어머니에게 완벽하게 잘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려고 애쓰는 모습이 역력하였다. 이후 전개단계(5회기~12회기: 스스로 조절하는 나)에 들어서면서 다른 사람에 대한 복수심과 공격성에 대해 점차 스스로 자신을 통제하고 조절하려 하였다. 또한 어머니가 자신에게 완벽하기를 원했던 일들을 표출하면서 긍정적으로 해결하려하였다. 통합단계(13회기~16회기: 멋진 나)에 와서는 다른 사람에 대한 복수심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으며 완벽해지려는 모습을 스스로 통제하려 하려 하였다. 또한 어머니에 대한 고마움과 사랑의 감정을 표현하며 밝은 모습이었다. 구체적인 내용은 <Table 4>에 제시 하였다.

Emotional stability and self-expression changes in the questionnaire

2.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발달장애성인의 자기표현 변화

가. 김진주의 자기표현 변화

(1) 설문지를 통하여 살펴 본 자기표현 변화

설문지를 통하여 진주의 자기표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활동 실시 전과 후에 작성한 설문지 문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특히 설문지 문항 중 15번 ‘화가 났을 때 기분이 나쁘다고 말 한다’, 17번 ‘다른 사람과 대화를 할 때 내 생각을 잘 말 한다’, 21번 ‘다른 사람이 옆에서 떠들면서 하는 일을 방해할 때 조용히 하라고 말할 수 있다’가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그렇다’로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2) 프로그램 실시 과정에 나타난 자기표현 변화

프로그램 실시 과정을 통하여 살펴 본 결과, 기초단계(1회기~4회기: 나에게 갇혀 있는 나)에서는 연구자의 질문에 무표정하게 질문에 고개만 끄덕이며, 자신의 생각을 또렷하고 분명하게 나타내지 못하였고 어머니에 대한 생각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이후 전개단계(5회기~12회기: 나를 표현하고 싶어요)의 초기에는 자신의 생각을 분명하고 명확하게 표현하지 못하였으나 점차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려고 애쓰는 모습이 엿보였고, 어머니와의 활동에서 점차 자신의 생각을 나타내는 모습을 보였다. 통합단계(13회기~16회기: 행복한 나)에 와서는 자신의 생각을 명확하고 분명하게 나타내고, 어머니에게 자신의 요구와 표현을 자유롭게 하였다.

나. 진영재의 자기표현 변화

(1) 설문지를 통하여 살펴 본 자기표현 변화

설문지를 통하여 영재의 자기표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활동 실시 전과 후에 작성한 설문지 문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특히 설문지 문항 중 19번 ‘기쁠 때 기쁨을 얼굴표정이나 말로 표현 한다’, 25번 ‘좋아하는 사람이 나와 다른 의견을 말할 때, 내 생각을 말할 수 있다’, 27번 ‘좋아하는 사람에게 좋아한다고 표현 한다’가 ‘그렇지 않다’에서 ‘그렇다’로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2) 프로그램 실시 과정에 나타난 자기표현 변화

프로그램 실시 과정을 통하여 살펴 본 결과, 기초단계(1회기~4회기: 나를 모르는 나)에서는 연구자의 질문에 ‘모르겠음은요’라고 하며, 하고 싶다는 표현을 ‘00은요?’라고 표현하여 구어표현이 제대로 되지 않았고 어머니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이후 전개단계(5회기~12회기: 이제는 말할 수 있어요)의 초기에는 ‘모르겠음은요’라는 말과 ‘00은요?’라고 하였으나 점차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였고, 어머니에 대한 생각을 조금씩 나타내었다. 통합단계(13회기~16회기: 나를 알아요)에 와서는 ‘모르겠음은요’라는 말과 ‘00은요?’라는 말을 거의 하지 않고 자신의 생각을 구어로 표현하였다. 또한 어머니에 대한 사랑의 마음을 표현하였다.

다. 이승리의 자기표현 변화

(1) 설문지를 통하여 살펴 본 자기표현 변화

설문지를 통하여 승리의 자기표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활동 실시 전과 후에 작성한 설문지 문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특히 설문지 문항 중 15번 ‘화가 났을 때 기분이 나쁘다고 말 한다’, 17번 ‘다른 사람과 대화할 때 내 생각을 잘 말 한다’, 20번 ‘줄을 서 있는데 새치기하는 사람을 보면 나쁜 행동이라고 말할 수 있다’, 21번 ‘다른 사람이 옆에서 떠들면서 하는 일을 방해할 때 조용히 하라고 말할 수 있다’가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그렇다’로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프로그램 실시 과정에 나타난 자기표현 변화

프로그램 실시 과정을 통하여 살펴 본 결과, 기초단계(1회기~4회기: 내가 보는 세계)에서는 질문에 부합하는 말보다는 자신이 생각하는 세계에 빠져서 부적절한 표현을 심하게 하였다. 또한 어머니를 사랑하는 마음이 엿보이지만 학령기 때의 심한 왕따 경험에 대해 어머니가 해결하기를 바라며 의타적이며 과잉적인 표현을 하였다. 이후 전개단계(5회기~12회기: 또 다른 다양한 세계와의 만남) 초기에는 질문에 부합하는 말보다는 자신의 생각에 많이 빠져 있었고 점차 자신을 객관화하여 바라보며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려 하였으며, 자신의 현재 모습을 어머니에 의하기 보다는 스스로 해결하려는 모습이 엿보였다. 통합단계(13회기~16회기: 나는 멋진 보석디자이너)에 와서는 질문에 부합하는 말을 하고, 자신의 생각을 이미지화하여 표현하였다. 또한 어머니에게 의존하려는 모습은 없어지고, 어머니에 대한 사랑을 표현하였다.

연구대상의 구체적인 정서안정과 자기표현의 변화과정을 도식화 하여 <Table 5>에 제시하였다.

Process of change of observational variables

3.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활동 후 어머니와의 면담을 통한 정서안정과 자기표현 변화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총 16회기 중 4회기, 8회기, 12회기, 16회기를 발달장애성인과 어머니와 함께하는 회기로 구성하였다. 회기 과정과 가정에서의 어머니가 바라보는 발달장애성인의 정서안정과 자기표현에 대해 면담을 하였다. 이진주 어머니는 진주와의 관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가정에서도 엄마를 걱정해주는 진주의 변화된 모습에 매우 만족해하였다. 진영재 어머니는 영재가 늘 멍하니 있고, 어떠한 질문에도 ‘모르겠음은요’라고 말했는데, 점차 그런 말들이 줄어들고, 표정도 밝아졌으며, 집에 와서 엄마 아프지 말라고 하였음을 언급하였다. 이승리 어머니는 승리가 집에서 혼잣말도 하였는데, 혼잣말이 많이 감소하였으며 안정감을 찾아가고 있다고 하였다. 이에 어머니들은 발달장애성인 자녀의 정서안정과 자기표현이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어머니와의 구체적인 면담내용은 <Table 6>에 제시하였다.

Interview with mother


Ⅵ. 논의 및 제언

본 연구는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발달장애성인의 정서안정과 자기표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시 P대학 평생교육원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발달장애성인 3명이다. 그 결과를 보기 위해 자기보고식 설문지에 의한 분석과 회기별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고, 어머니와의 면담을 통하여 회기 과정과 가정에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성인의 정서안정에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연구대상 별로 자기보고식 설문지와 회기별 활동과정을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 모두 긍정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발달장애성인의 설문지 문항별로 비교하면 연구대상은 공통적으로 사전검사에서는 ‘늘 불안하다’, ‘한 가지 일에 집중하기 어렵다’가 ‘매우 그렇다’로 나타났으나 사후검사에는 ‘그렇지 않다’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늘 불안하고 집중하지 못함으로써 스스로 고립되고 자신만의 세계에 빠져있음으로 해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형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한 불안정한 정서가 활동이 끝난 후에는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영재와 승리는 ‘화가 나면 참기가 어렵다’, ‘무엇인가 부수고 싶을 때가 많다’, ‘다른 사람을 때리고 싶은 생각이 들 때가 많다’가 ‘매우 그렇다’에서 ‘그렇지 않다’로 변화함으로써 다른 사람에 대한 공격성과 폭력성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심리치료와 다양한 매체를 접함으로써 호소하는 문제점이나 장애를 진단하여 증상을 경감하도록 유도하고, 정서적 ‧ 신체적 ‧ 심리적 안정과 통합을 촉진하도록 이끈 연구결과(Seo, Jung and Choi, 2011; Im and Own, 2011; Kern, Wolery, 2002; King, Schwabenlender, 1994)와 상통한다. 더불어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활동과정에서 자유롭게 신체를 움직이고, 다양한 재료와 용구로 쉽게 작품을 완성하면서 집중력을 증진하도록 이끌어 자신의 생각을 이미지화하면서 표현하도록 이끈 연구(Kim and Choi, 2011; Nasuruddin, 2010)와도 일치한다.

또한 회기별 활동과정에 따르면, 연구대상들은 기초단계에서 나타났던 다른 사람의 눈치를 많이 보면서 다른 사람과 어울리지 못하며 자신의 생각대로 하려는 의지가 거의 없고, 자신의 세계에 빠져 있는 듯 멍하니 있는 등의 불안정한 정서가 전개단계에 와서는 다소 완화되었으며, 통합단계에서는 거의 안정을 찾았다. 즉,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성인의 정서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결과는 발달장애성인의 부적응 행동으로 인한 불안정한 정서가 개선되어 친사회적으로 이끌고, 다른 사람과의 사회 ‧ 정서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발달장애인에게 많은 성공적인 경험과 높은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정서안정에 실제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Dweck, 1999) 발달장애성인에게 스스로 자신을 이해하고 내면의 상태, 정서불안 등을 긍정적으로 이끌어 정서적 안정을 주었음을 밝힌 연구(Lee, Oh and Jang, 2013)와도 맥을 같이한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발달장애성인의 자기표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연구 대상 별로 자기보고식 설문지와 회기별 활동 과정을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 모두 긍정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먼저, 발달장애성인의 설문지 문항별로 비교하면 연구대상들은 ‘화가 났을 때 기분이 나쁘다고 말한다’, ‘다른 사람과 대화를 할 때 내 생각을 잘 말 한다’, ‘다른 사람이 옆에서 떠들면서 하는 일을 방해할 때 조용히 하라고 말할 수 있다’, ‘줄을 서 있는데 새치기하는 사람을 보면 나쁜 행동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다른 사람이 옆에서 떠들면서 하는 일을 방해할 때 조용히 하라고 말할 수 있다’, ‘기쁠 때 기쁨을 얼굴표정이나 말로 표현 한다’ 등이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그렇다’로 변화하였다. 이는 발달장애인에게 회기과정마다 작품을 완성하도록 이끌어 성취감, 자신감이 향상되는 등 긍정적인 심리변화가 부적응행동, 자기표현 개선에 영향을 미쳤음을 밝힌 연구결과(Kim and Lee, 2013; Hong and Seo, 2012)와 상응한다.

또한 회기별 활동과정에 따른 변화에서는 기초단계에서 무표정하게 질문에 고개만 끄덕이거나 자신의 생각을 분명하게 말하지 못하며 분위기에 맞지 않는 부적절한 표현이 전개단계에 와서는 점차 향상되고, 통합단계에서는 스스로 자신을 드러내며 생각을 표현하는 등 완연히 향상되었다. 특히 진주는 기초단계에서 무표정하게 질문에 고개만 끄덕이고 자신의 생각을 또렷하고 분명하게 나타내지 못하였으나 신체 움직임을 통해 작품을 표현하고 완성하는 단계에서 다른 대상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과정에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등 회기가 진행되어감에 따라 변화된 모습을 보였다. 이후에 통합단계에 이르러서는 다른 대상을 배려하고 수업에 집중하는 등 확연하게 안정을 찾았다. 이는 장애학생이 예술 활동을 통하여 스스로 에너지를 조절하고 감각을 탐색하여 긍정적인 상호작용으로 이끈 연구(Kang and Han, 2008)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자기표현의 경험이나 기회 확보, 의사소통 기술의 습득, 사회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관련된 교육을 통하여 자기표현이 향상되었음을 밝힌 연구(Lee, Oh and Jang, 2013)와도 맥을 같이한다. 영재는 활동과정이 진행되어감에 따라 기초단계에서는 미술표현 활동 후에 자신의 작품을 이미지화 시키지 못하였으나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스스로 이미지화하는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이는 미술, 음악, 신체표현 등 예술활동을 통합하여 학습하는 것이 실제 상황 속에서 직접적이며 다양한 감각경험과 신체움직임을 경험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운동경험이 제한되어 있는 발달장애인에게 의미가 매우 크다고 밝힌 연구(Yang, 2008)와 상통한다. 승리는 기초단계에서는 다른 사람에 대하여 공격성과 폭력성으로 인한 불안정한 정서로 인해 부적절한 표현을 많이 하였으나 전개단계에서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통합단계에서는 확연하게 변화된 모습을 나타내었다. 이는 회기가 진행되어감에 따라 신체움직임과 예술 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생각을 긍정적으로 이끌어감으로써 불쾌하고 표현하기 힘든 감정이 이완되고, 자신에 대한 믿음과 타인에 대한 신뢰가 형성되었음을 밝힌 연구(Ju, 2010)와 부합된다.

따라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은 발달장애성인에게 스스로 자신을 이해하고 내면의 상태, 정서불안 등을 긍정적으로 이끌어 정서적 안정을 줌으로써 언어로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어머니와 함께하는 회기를 통하여 회기과정에서의 변화과정과 가정에서의 긍정적인 변화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는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단순히 활동과정에서만이 아닌 활동과정이 끝난 후 가정에서도 지속적인 변화를 이끌 수 있음을 입증하는 것으로 향후 발달장애성인과 부모 및 비장애 형제자매 등 다양한 가족구성원과의 회기를 진행함으로써 가정에서의 역동까지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하여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은 발달장애성인의 불안정한 정서가 안정되고, 스스로 자신을 표현하도록 이끄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유용한 중재방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이러한 중재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 발달장애성인이 내적인 상처를 치유하고 잠재된 능력을 발휘하여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바르게 살아가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발달장애성인의 정서안정 및 자기표현과 같은 정서적 특성과 관련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발달장애성인의 배경변인별, 교육장면별 특성에 따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이에 대한 관련 정보들이 축적되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발달장애성인의 정서안정과 자기표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설문지 검사와 활동 회기를 관찰하고 녹화하여 분석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미술, 음악, 무용 ‧ 동작 외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적용하고 실험 기간을 연장하는 등 조작적으로 변화시켜 구체적인 적용방안을 확장 ‧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지 검사는 자기보고식으로 ‘매우 그렇다’, ‘그저 그렇다’, ‘보통이다’, ‘다소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등의 5점 척도로 구성되어져 있다. 설문지를 작성할 때 연구자와 1명의 보조교사가 발달장애성인과 일 대 일로 실시하였으나 발달장애성인이 설문지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답변함에 있어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향후 발달장애성인의 반응을 잘 이끌어낼 수 있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 Choi OS, Kim GS, Choi SN and Lee MO(2007). Art Therapy Techniques. Seoul: Hakjisa. 10~85.
  • Cassity, M(1985). Techniques, procedures and practices employed in the assessment of adaptive and music behavior of trainable mentally retarded children. Unpublished Dissertation, University of Iowa. 4~45.
  • Cummuns RA(2000). The domains of life satisfaction: An attempt to order chaos. Social Indicators Research 45(5), 554~555. [https://doi.org/10.1023/A:1007027822521]
  • Dweck CS(1999). Their role in motivation, personality, and development. Philadelpia: Tayor and Francis. 15~212.
  • Epstein MH, EA Polloway, JR Patton and R Foley(1989). Mild retardation: Student characteristics and services.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24, 7~16.
  • Hong EJ and Seo CW(2012). The Effect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Interpersonal Anxiety and Withdrawn Behavior of the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16(4), 253~278.
  • Hotton M and Coles S(2016).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kills training groups for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Review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1), 68~81. [https://doi.org/10.1007/s40489-015-0066-5]
  • Im SH and Won SH(2011). The Effect of Cognitive-Behavior Integrative Arts Therapy on Self-Expression for Low-Income group Children. The Korean Arts Psychotherapy Association, 7(3), 63~84.
  • Jang SY(2017). A Study on Applying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for Emotional Interac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Dongduk Woman University.
  • Jeon BT(2015). The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Seoul: The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5~10.
  • Jeon JH and Park JY(2014). Effects of a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Creative Drama on the Self-Expression Ability and Social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n Inclusive Class. The Korean Society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30(4), 45-~69.
  • Ju JO(2010). Effect of Integrative Art Therapy Program on Focused on Depression, Anxiety, Emotional Quotient and Happiness of Children with Behavioral Problems. The Korean Arts Psychotherapy Association, 10(1), 77~99.
  • Kang KS and Han SH(2008). The Effects of Arts Therapy on the Isolated Behavior and Pro-social Behavior of Autistic Children.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4(3), 189~217.
  • Kern P and Wolery M(2002). The sound path: Adding music to a child care playground. Young Exceptional Children, 5, 12~20. [https://doi.org/10.1177/109625060200500302]
  • King RP and Schwabenlender SA(1994). Supportive therapies for EBD and at-risk students: Rich, varied, and underused. Preventing School Failure, 38, 13~18. [https://doi.org/10.1080/1045988X.1994.9944298]
  • Kim EH and Choi SM(2011). Effects of Integrated Art Therapy on Adjustment and Maladjustment Behaviors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Korean Arts Psychotherapy Association, 7(1), 117~140.
  • Kim HY(2010). Understanding of developmental disorder. Paju: A Book Publishing Han Jangyun. 3~25.
  • Kim K and Kang YS(2019). The Culture Arts Education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Arts Instructor Support Projects for Special Schools. The Korea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1 (2), 638~652. [https://doi.org/10.13000/JFMSE.2019.4.31.2.638]
  • Kim K and Jung KO(2013). Effects of Integrated Arts Therapy Program for Emotional Stability and Self-Esteem of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17(3), 95~128.
  • Kim JH(2006). Movement and Play Guidance Theory and Practice. Masan : A Book Publishing Amiwon. 15~34.
  • Kim JY and Kim JY(2012).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s on the Bowling Skills and Social Behavio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6(2), 209~229.
  • Kim K(201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icacy of Culture Arts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Kim DY and Ko DY(2016). The Parent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by Area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3(2), 241~258. [https://doi.org/10.34249/jse.2016.23.2.241]
  • Kim MO and Kim KE(2017). Issues and Prospects on Challenging Behaviors Supports of Developmental Disability. Critical Social Welfare Academy, 56, 59~94.
  • Kim RK(2016). Investigation of competence and development of housing for the development of independent living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ju: Jibmundang. 66~67.
  • Kim RH(2019). A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the teenager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to improve self-expression.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 Kim SA and Kim EK(2018). The effects of an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program on social skills and academic preparation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8(3), 1~32. [https://doi.org/10.21214/kecse.2018.18.3.1]
  • Kim SH(2016). The Influences Of Art Self-Expression-Focused Group Art Therapy On Sociality And Problem Behavior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 Kim SH and Lee KM(2013). Influence of Group Art Therapy on Improving Maladaptive Behavior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heltered Workshops.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17(2), 133~155.
  • Kim YS(2012). The Effects of a Developmental Program for Social Competences Utilizing Integrated Art Therapy on Adolescence Placed on Probation. The Korean Arts Psychotherapy Association. 8(1), 87~114.
  • Lee CY(2016). Increasing Self-Expression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Integrative Art Therapy: Based on the I Therapy Manual.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 Lee JS and An SY(2010). A Case Study of Integrative Psychotherapy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using Expressive Art and Play. Korean Journal of Child Psychotherapy, 5(1), 51~71.
  • Lee MJ, OH W and JANG JS(2013).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on Socio-emotional Development and Self-express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6(6), 353~359. http://db.koreascholar.com/article.aspx?code=269775 [https://doi.org/10.11628/ksppe.2013.16.6.353]
  • Matson JL and Kozlowski AM(2011).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5(1), 418~425. [https://doi.org/10.1016/j.rasd.2010.06.004]
  • McGrath K, Quiles Z and Bybee J(1998). Effects of child abuse versus child neglect on outerdirectedness, attention seeking, and wariness. Boston, Massachusetts: Manuscript in preparation, Northeastern University. 33~35.
  • Murry C and Greenberg M(2001). Relationships with rechers and bonds with school: social emotional asjustment correlates for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Psychology in the Schools, 38(1), 25~41. [https://doi.org/10.1002/1520-6807(200101)38:1<25::AID-PITS4>3.0.CO;2-C]
  • Nasuruddin MG(2010). The Confluence Between Arts and Medical Science-Music and Movement therapy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alaysian J Med Sci. Jul-Sep 2010, 17(3), 1~4.
  • Park JA(2014). The case study of integrated art therapy for improvement of self-expression for an Infant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 Polloway EA, MH Epstein and D Cullinan(1985). Prevalence of behavior problems among educable mentally retarded students.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20, 3~13
  • Schultz GE and Swotzky HN(1993). The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and junoor high school students with behavior disorders and their nonhandicapped peers as a function of motivation orientation.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 5, 31~42. [https://doi.org/10.1016/1041-6080(93)90024-M]
  • Seitsky HN and Haywood HC(1974). Motivational orientation and the relative efficacy of self-monitored and extemally imposed reinforcements schedu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0, 360~366. [https://doi.org/10.1037/h0036902]
  • Seo JM, Jung GJ and Choi AN(2011). Integration Arts Therapy Program and Its Effect on Behavioral Maladjustment and Social Interaction of Autistic Children. The Korean Arts Psychotherapy Association, 7(1), 141~158.
  • Song HK(2011). A Study on Art Therapy for the Sociability Improve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Suwon university.
  • Yang KH(2008). A Study on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Korea Dalcroze Eurhythmics Institute, 2(1), 1~25.
  • Zewdie A(1995). Work performances of afro-american adults with mild and moderate mental retardation to self versus external regulations a function of intrinsic versus extrinsic motivation. Dekalb: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35~38.

<Table 1>

Characteristics and observation variables

Participants Gender Age Type of Disability Observation Variables
Emotional stability Self-expression
Kim Jin-ju Waman 25 Intellectual Disability 2grade She has a bad eye for others and is not in a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She has little will to do as he thinks. She is expressionless and can not speak clearly of her thoughts.
Jin Youg-je Man 29 Autism 2grade He was severely bullied during his school years, and he was about to go back to middle school (though he was 16 years old); he has no reaction to anyone else, and he has no will to do it himself He always answers people’s questions with “I don’t know.” And when he wants to do something, he says “What about this?”
Lee Seung-ri Man 28 Autism 2grade He is full of vengeance and very aggressive and violent against the students who harassed him during his school years, and he always shows an obsessive tendency to be perfect. He does not answer the question correctly, but he is in a world he thinks, making inappropriate expressions that do not fit the situation.

<Table 2>

Self-report questionnaire

Item Content(E;motional stability) Item Content(Self-expression)
1 Can't stand it when I'm angry. 15 When you're angry, you say you feel bad.
2 Be always anxious. 16 I choose clothes or hairstyle as I want.
3 Often want to curse others. 17 When I talk to someone else, I tell them what I think.
4 Be always angry. 18 I can refuse to dislike.
5 Cry well in front of others people. 19 I can express joy in facial expressions or words when I am happy.
6 It is difficult to concentrate on one thing. 20 I can say it is a bad act to a person who does not keep his turn.
7 It often feels like you've made mistakes or done bad things. 21 I can tell you to be quiet when someone is talking loudly.
8 There are times when I want to break something. 22 I can honestly convey my feelings to my favorite friends.
9 I can handle myself well even if I am stressed. 23 I express my sadness with facial expressions or words when I am sad.
10 Enjoy the free time given to me. 24 I immediately act when I have something I like.
11 My family loves me. 25 When someone I like speaks of a different opinion, I can say what I think.
12 I have a dream I want to fulfill in the future. 26 I see When a friend looks great, I say it is great.
13 Our family is in harmony. 27 I express my mind to someone I like.
14 I often want to hit someone else. 28 I can say thank you if a friend helps me.

<Table 3>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Step Session theme Objective Activity Content
Foundation 1 Introduce me Rapo Formation

Tension, relaxation
· Introduction:Follow instructions-welcome(Ⅰ)(Greet each other in different ways at the therapist's instructions)
· Self-Exploration(Activity1):Listening to and singing along the body, introducing yourself in a variety of ways (name game, mirroring)
· Self-Activity(Activity2):Express on your name paper as a feeling of activity1
· Application and Application(Activity3):Express yourself by looking at the works of Activity2
· Organize and Reminders: Emotional Expressions, Positive Feedback
2 Play various instruments Experience flexibility and cleanse your inner self · Introduction:Playing color bells (playing color bells in sequence)
· Self Exploration (Activity1):Expressing the Rhythm Instrument Sound
· Self Activity (Activity 2): Making Rhythm Instruments
· Application and application(activity3):expressing body movements using rhythm instruments while viewing the work of activity2
· Organize and Reminders: Emotional Expressions, Positive Feedback.
3 Animal world intimacy formation · Introduction: Egg shaker.
· Self-exploration (activity 1): Expressing Animal Sound (Song: Animal Breeding System)
· Self-activity(activity2):expressing the animal movements I want to be (expressing the feeling of activity 1 on paper)
· Application and Application(Activity3):Expression of Animal Movement Physical Movement
· Organize and Reminders: Emotional Expressions, Positive Feedback
4 Family intimacy formation · Introduction: Walking along the rhythm.
Self-Exploration(Activity1): Expressing the voice of the family.
Self-activity(Activity2): After expressing with family-like clay with the feeling of activity 1, arranging clay works on paper and decorating them in various ways.
· Application and Application(Activity3):Express the physical movement of the family while watching the work in Activity2.
· Organize and Reminders: Emotional Expressions, Positive Feedback
5 Dance I easily reveal my inner side ‧ promote relaxation · Introduction: Imitate (I)-(In the therapist's rhythm demonstration, the subjects are simulated and expressed like the therapist's rhythm)
· Self-discovery (activity 1): expresses the feeling of dance music
· Self-activity (activity 2): making dance costumes
· Application and Application(Activity 3): Expressing body movements in the clothes of Activity 2
· Organize and Reminders: Emotional Expressions, Positive Feedback
6 What is my current appearance? Self Perception and Inner Emotion · Self-Exploration(Activity1): Expressing with Music Feeling Body
· Introduction: Sing a song(Ⅰ) -Express the movements to the lyrics
· Self-activity (activity 2): body building (expressing the feeling of activity 1)
· Application and application (activity 3): body modeling of activity 2 and expression of physical movement
· Organize and Reminders: Emotional Expressions, Positive Feedback
7 broom broom Expressing anger while reducing resistance to internal and external pain · Introduce: Follow Instruction(II)-(Cut the tool to the music and throw it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therapist)
· Self-Exploration (Activity 1): Listening to music and expressing your feelings
· Self-activity (activity 2): expressing in a box (expressing the feeling of activity 1)
· Application and application (activity 3): freely write and decorate words that upset me in activity 2
· Organize and Reminders: Emotional Expressions, Positive Feedback
8 In one Recognize and express various emotions about myself · Introduction: Imitate (II)-(Imitate study subjects and parents according to the therapist's actions)
· Self-Exploration (Activity 1): Use balloons to express rhythm, sound, and song.
· Self-activity (activity2): dividing into half of the cell with the feeling of activity 1, one side of the study subject, one parent's human body model, and then decorated with various media
· Application and Application (Activity3): Expression of physical movement while watching the work of Activity 2
· Organize and Reminders: Emotional Expressions, Positive Feedback
9 Play with clay I am free to release my own pain · Introduction: Follow Instructions (III)-(Play the Color Bell as Instructed by Therapist)
· Self-Exploration(Activity1):Searching for memories or things that you want to discard (move your body, tap and dance to music)
· Self-Activity (Activity 2): Create a memory or object clay that you want to throw away from Activity 1, then paint it with paint, or think or write something that you like to include
· Application and Application (Activity 3): Expression of physical movement while watching the work of Activity 2
· Organize and Reminders: Emotional Expressions, Positive Feedback
10 Express freely Express yourself freely and talk · Introduction: singing a song (Ⅰ)-(expressing the movement according to the song lyrics)
· Self-Exploration (Activity 1): Expressing Sound (Following the sound of 'things')
· Self-activity (activity 2): Expressing your inner sound with the feeling of activity 1 (taking your body with paint)
· Application and Application (Activity 3): Expression of physical movement while watching the work of Activity 2
· Organize and Reminders: Emotional Expressions, Positive Feedback
11 What i want to have To express inner desires to gain inner stability · Introduction: Follow Instructions (IV)-(Focus on breathing as directed by the therapist: try different breathing exercises)
· Self-Exploration (Activity1): Recognize what I want to have (Explore various movements using plastic bags)
· Self-activity (activity 2): Expression of what I want to have on paper as a feeling of activity 1 (magazine collage)
· Application and Application (Activity 3): Expression of physical movement while watching the work of Activity 2
· Organize and Reminders: Emotional Expressions, Positive Feedback
12 Candy necklace Improve your value and perception · Introduction: Follow Instructions (IV)-(Focus on breathing as directed by the therapist: try different breathing exercises)
· Self Exploration (Activity 1): Expressing a variety of songs along the way (sing each favorite song one verse)
· Self activity (activity 2): making candy necklace with the feeling of activity 1
· Application and Application (Activity 3): Role-playing candy chains in Activity 2 with the research subject and the parents changing roles
· Organize and Reminders: Emotional Expressions, Positive Feedback
13 Safe traffic light play Makes you feel safe and comfortable by having an inner safe place · Introduction: Follow Instruction (V)-(Move according to the tempo suggested by the therapist (slow-fast-normally fast, etc.)
· Self-Search (Activity 1): Recognize Safe and Unsafe Places (Playing Traffic Lights)
· Self-activity (activity 2): feeling safe and unsafe place with the feeling of activity 1
· Application and application (activity 3): expressing physical movement for activity 2
· Organize and Reminders: Emotional Expressions, Positive Feedback
14 Precious Memory, Precious People Improve insights into important people in life · Introduction: Sing a song (Ⅱ)-(Sing songs one by one, following the therapist's instructions)
· Self Exploration (Activity 1): Talking About Someone Important to Me
· Self-activity (activity 2): draw a lifeline with the feeling of activity 1
· Application and Application (activity 3): What is your most memorable time?
· Organize and Reminders: Emotional Expressions, Positive Feedback
15 My advantages Promote self-expression · Introduction: imitate (III)-(In the demonstration of the therapist's rhythm, the subjects are simulated and expressed like the therapist's rhythm)
· Self-discovery (activity 1): explore your strengths (draw the faces of people you meet when you walk freely and shout stop
· Self Activity (Activity 2): Create a mask with the feeling of Activity 1 (using your favorite mask in Activity 1)
· Application and application (activity 3): expressing physical movement using the mask of activity 2
· Organize and Reminders: Emotional Expressions, Positive Feedback
16 Let's play together Set your future direction · Introduction: singing a song(Ⅲ)-(singing a song that the subject and parents know well)
· Self-Exploration(Activity1): Research subjects and their parents move around using balloons
· Self-activity(activity 2): make a complimentary card to each other with the feeling of activity 1
· Application and application (activity 3): give a feeling of activity 2 to each other using a complimentary card and give a physical movement
· Organize and Reminders: Emotional Expressions, Positive Feedback

<Table 4>

Emotional stability and self-expression changes in the questionnaire

Participants Observation Variables
Emotional stability Self-expression
pre post pre post
Kim Jin-ju 2. Be always anxious. 1 4 15. When you're angry, you say you feel bad. 1 4
5. Cry well in front of others people. 1 4
6. It is difficult to concentrate on one thing. 1 4 17. When I talk to someone else, I tell them what I think. 1 4
9. I can handle myself well even if I am stressed. 1 5 21. I can tell you to be quiet when someone is talking loudly. 1 4
11. My family loves me. 1 5
Jin Youg-je 1. Can't stand it when I'm angry. 1 4 19. I can express joy in facial expressions or words when I am happy. 2 4
2. Be always anxious. 3 4
6. It is difficult to concentrate on one thing. 1 4 25. When someone I like speaks of a different opinion, I can say what I think. 2 4
8. There are times when I want to break something. 3 4
11. My family loves me. 3 4
12. I have a dream I want to fulfill in the future. 2 4 27. I express my mind to someone I like. 2 4
13. Our family is in harmony. 3 4
Lee Seung-ri 1. Can't stand it when I'm angry. 1 4 15. When you're angry, you say you feel bad. 1 4
2. Be always anxious. 1 4
4. Be always angry. 1 4 17. When I talk to someone else, I tell them what I think. 1 4
5. Cry well in front of others people. 1 4
6. It is difficult to concentrate on one thing. 1 4 20. I can say it is a bad act to a person who does not keep his turn. 1 4
7. It often feels like you've made mistakes or done bad things. 1 4 21. I can tell you to be quiet when someone is talking loudly. 1 4
13. Our family is in harmony. 3 4
14. I often want to hit someone else. 1 4

<Table 5>

Process of change of observational variables

Participants Observation Variables
Emotional stability Self-expression
Kim Jin-ju In the basic stages(1th~4th), Jinju notice others seriously, do not get along with others, have little will to do what they think, and talk little with their mother. Entering the development stage(5th~12th), she shows his willingness to be active in the group, and plays various activities on her own and approaches her mother little by little. During the integration phase(13th~16th), she get closer to others and become active and become familiar with mother. In the basic stages(1th~4th), she nod heads to the questions without expression, and she did not express thoughts clearly and clearly, and she did not express thoughts about mother at all. In the development stage(5th~12th), she could not express thoughts clearly and clearly, but she gradually tried to express thoughts, and she gradually showed thoughts in her activities with mother. In the development stage(5th~12th), she could not express thoughts clearly and clearly, but she gradually tried to express thoughts, and she gradually showed thoughts in his activities with mother. The integration phase(13th~16th) clearly and clearly expresses one's own thoughts and frees mothers to express her needs and expressions.
Jin Youg-je In the basic stages(1th~4th), he thinks he is 16 years old and tries to return to middle school due to severe harassment in elementary and high school age. Not responding to mother. As he enter the development stage(5th~12th), he gradually become acquainted with others and respond. Expressing gratitude to mother. During the integration phase (13th~16th), he respond to others and rarely talk about going to middle school. Reacts brightly to mother. The basic stage(1st~4th) is called 'I don't know,' and the expression that I want to say is '00 은요?. Not expressing his thoughts about mother. In the development stage(5th~12th), he said 'don't know' and '00 is? ', But he gradually expressed his thoughts and expressed his thoughts about his mother little by little. The integration stage(13th~16th) expresses one's own thoughts with almost no words' I don't know 'and '00 is?' Expressing Love to Mother
Lee Seung-ri In the basic stages(1th~4th), he is very aggressive, violent, and obsessive at all times, with vengefulness toward the students who have harassed his during school age. Trying to show his mother that his wants to be perfectly good. As entered the development stage(5th~12th), he tried to control hisself to be perfect, and his noticed that was trying to control the anger caused by school age memory. Positively addressing things mother wanted to be perfect for her. In the unification phase(13th~16th), he showed little vengeance against others and tried to control himself to be perfect. Expresses gratitude and love for mother and turns bright. The basic stages(1st~4th) fall into the world in which one thinks, rather than the words that correspond to the questions, and intensify inappropriate expressions. Expresses a deliberate and overexpressive wish for his mother to address his severe bullying experience during school age. During the development stage(5th~12th), he was much less involved with his thoughts than the words that matched the questions, and gradually tried to express his thoughts by objectifying himself. It seems that he tries to solve his present self rather than by his mother. In the unification phase(13th~16th), His respond to the questions, image his expressions, express his love for mothers, and express his love for mothers.

<Table 6>

Interview with mother

1th interview 2th interview 3th interview 4th interview
4 session 8 session 12 session 16 session
Kim Jin-ju
mother
Our Jin-ju have been good children since childhood.. So she didn't have a presence in school, she didn't have friends, so she didn't say anything. This time again ... Do you have a class together? I feel like I'm getting close to Jin-ju. I think I should change. This time together seems so precious and good. I don't know about our Jin-ju. I come home and worry about my mother.(laughs) My relationship with Jin-ju changed so positively through the program. I always thought about why not, but now I have to share it all at home. I thought that Jin-ju were no different from non-disabled in appearance. .I think I'm wrong because of Jin-ju.
Jin Youg-je
mother
Youg-je always smashed up at home, so I took medicine. It's too daunting to feed him, so I thought about what to do for her .I think this time is good. His didn't react much but I think his like it. Youg-je was thinking about my and I was tearing up. When Youg-je were schooled, they were bullied and ...So I didn't know what to do with him. I feel like Youg-je expressing own mind in this program. Youg-je can't wash alone. I wash and put on everything and it's too hard. Now Youg-je will do it self, and I think there will be a lot of changes. It's weird that I just say I don't know but rarely say that. Youg-je face is getting brighter, and Youg-je think doing something self ... I think it will get better Youg-je told mother not to get sick when his came home. Youg-je never did ...
Lee Seung-ri
mother
When Seung-ri go to school, always bullied and bullied, so always have a lot of feelings of harm. Every time go out, Seung-ri carrying a horn, to deal with someone who attacks him. And Seung-ri always talked a lot about absurd things. So Seung-ru was more bullied ... It was great to have a second time with my son. Seung-ri used to say crazy things all the time, but I think it's better to be with mother like a baby. I thought it was so good for me to come. Seung-ri self-talked a lot at home and it seemed a bit less... I think it's definitely a lot of self-talking at home. Seung-ri have a qualification for sister, and it shows up. Every family member should try. I think Seung-ri looking for a sense of stability. When came home, I worried about me, and I feel kinder to Seung-ri sister. Seung-ri want to do anything self. I think it's a good program for our k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