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3, No. 5, pp.1114-1126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1
Received 18 Aug 2021 Revised 31 Aug 2021 Accepted 06 Sep 2021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1.10.33.5.1114

간호대학생의 액션 러닝 교육 방법을 적용한 간호 관리학실습 경험

어용숙 ; 김혜옥
동국대학교(교수)
경남대학교(교수)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Action Learning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Management
Yong Sook EO ; Hae Ok KIM
Dongguk University(professor)
Kyungnam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055-249-6346, hok503@kyungnam.ac.kr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action learning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management. Methods: A total of 40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th grade nursing students located in C city and had experience in nursing management practice. Nursing management practice was operated by the action learn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conceptual maps, fishbone maps, interviews and reflection journals. Data analysis was done by inductive content analysis by Elo and Kyngäs (2008).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by applying the action learning method to nursing management practice education was 'expanding the perspective of management practice', 'approaching the nursing field through practical application', 'solving management problems from a flexible perspective' and ' Approaching creative problem –solving'.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by applying the action learning method to the nursing management practice course is as follows. First, their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nursing management has changed. Second, they were solving problems in nursing management that occur in clinical settings from a flexible perspective.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ir ability to connect the problems of nursing management practice with management theory was improved.

Keywords:

Qualitative research, Action learning problem solving nursing management, Nursing student

Ⅰ. 서 론

최근 보건 의료 환경은 간호 요구 증가에 따른 업무 다양화와 간호사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으며, 전문 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간호역량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간호교육도 변화하는 간호 실무현장에서 요구되는 간호역량을 갖춘 간호사를 배출할 수 있도록 역량 중심의 교육으로 변화되고 있다(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21). 개인의 역량개발에 매우 효과적인 교육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는 액션 러닝은(Marquardt, 1999), 졸업 후 임상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경험 중심교육(Choi and Kim, 2016)으로 활용되고 있다.

액션 러닝은 소그룹 활동을 통해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조직 내에서 긴급하고 중요하며 명확한 해답이 나오지 않는 현장의 문제를 선정하여(Seo and Bong, 2008), 현장 문제에 대한 해결안을 도출하여 이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성찰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진다(Lee and Eom, 2019). 또한 소그룹 활동을 통해 동료 학습자와 함께 과제나 프로젝트를 해결해 나가면서, 학습자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지식을 습득하고 질문, 피드백 및 성찰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학습 방법이다(Jang et al., 2006). 액션 러닝은 학습자들이 팀을 구성하여 각자 자신의 과제, 또는 팀 전체가 공동의 과제를 러닝 코치와 함께 정해진 시점까지 해결하는 동시에 지식습득, 질문 및 성찰을 통하여 과제의 내용 측면과 과제 해결 과정을 학습하는 것이다(Marquardt, 2004). 즉, 학생들이 자신들의 경험, 생각을 기초로 능력을 개발하는 학습법으로 궁극적으로 현재 겪고 있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내서 실제에 적용하는 것이다(Park and Kim, 2012). 개인의 문제해결 과정을 향상하게 할 뿐만 아니라, 조직의 문제해결에도 효과적인 전략으로 보고되고 있다. 의료기관의 임상 현장에서 간호관리자의 문제해결과 의사결정, 의사소통 및 프리젠테이션 등의 역량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었다(Jang et al., 2006).

임상 실습 교육은 이미 학습한 지식을 실제로 임상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비판적 사고를 활용하여 문제해결 과정을 경험하는 것으로(Jang and Park, 2010), 이미 학습한 지식을 실제로 임상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비판적 사고를 활용하는 것이다(Kim and Park, 2014). 간호 관리학 실습은 간호대학생들이 이미 습득한 간호지식을 임상 현장의 다양한 업무 흐름을 이해하고, 임상 현장에서 생길 수 있는 갈등을 협력과 조정을 통해 해결하면서 간호 성과를 유도하는 관리의 이론과 기술을 습득에 그 목적이 있다(Jang and Park, 2012). 실습환경의 제한으로 현장에 적용하는 단계까지 경험하지 못하더라도 간호대학생들이 실제 간호 현장의 환경을 이해 및 분석하고 현장에서 문제로 인식되는 부분을 선택하여 팀원들이 해결방안을 도출해나가는 과정이 중요하다.

대학 수업에서 액션 러닝을 활용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근거 기반 간호 수행역량, 정보 활용 능력, 문제해결의 적극성(Jant et al., 2015; Jang and Park, 2012) 등이 향상되었다. 국내 액션 러닝 기반 간호교육의 동향을 분석한 연구(Kim and Kim, 2018)에 의하면, 대부분의 연구 들이 양적연구(77.8%)이며, 이론교과목(75.0%)에 적용되었다. 간호 관리학 영역에서는 간호 관리학실습(Kim and Kim, 2010)과 이론교과목(Jang and Park, 2012)에 모두 적용한 연구가 있으며, 이들 연구에서 문제 해결역량이 향상되었음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액션 러닝 수업의 효과를 양적으로 측정하여 간호대학생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문제 해결역량이 향상되며, 그들의 액션 러닝 수업에 대한 생생한 경험에 대한 분석이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 관리학실습 교육에서 간호대학생이 임상 현장에서 간호 관리 문제를 찾아내고 문제의 원인을 분석한 후 이를 과제화하는 과정을 경험하고 과제수행을 통해 실질적으로 문제해결 과정을 습득할 수 있는 학습전략으로 액션 러닝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이들 과정에서 느끼는 경험을 분석하고자 한다.


Ⅱ.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들이 간호 관리학 실습 시 팀별 실습부서의 간호 관리와 관련된 문제를 찾아 분석하고 해결 과정을 습득하는 액션 러닝에 참여하여 그들의 입장에서 액션 러닝 경험을 포괄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연구 질문은 “액션 러닝 교육 방법을 적용한 간호 관리학실습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1. 용어 정의

액션 러닝은 학습자들이 팀을 구성하여 각자 자신의 과제 또는 팀 전체가 공동의 과제를 촉진자와 함께 정해진 시점까지 해결하는 동시에 지식습득, 질문, 피드백 및 성찰을 통하여 과제의 내용 측면과 과제 해결 과정을 학습하는 프로세스이다(Bong, 2000). 본 연구에서는 간호 관리학실습 2주 동안 해당 실습 병동에서 간호대학생들이 팀 과제를 선정하여 팀 전체가 촉진자와 함께 공동으로 해결해 나가는 학습 방법을 의미한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액션 러닝을 적용한 간호 관리학실습 경험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그 의미와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질적 내용분석 연구이다.

2. 연구 참여자

연구 참여자는 C시 소재 간호학과 4학년 재학생이다. 연구 참여자는 액션 러닝을 적용한 간호관리학실습 수강자로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로 총 40명이다. 참여자의 특성은 여성으로서, 평균연령은 22.5세이고. 간호 관리학실습병원은 상급종합병원 혹은 종합병원에서 실습하였다. 실습부서는 입원환자 병동으로 특수부서나 외래병동은 없었다.

3. 연구 진행 절차

가. 액션 러닝 기반 간호 관리학실습 수업 설계 및 운영

본 연구에서 간호관리학 실습 교수・학습설계는 액션 러닝 기반 문제해결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구성하였다. 액션 러닝 기반 문제해결 프로세스는 문제 파악, 원인분석, 해결안 개발, 실행 및 검토의 4단계로 구조화하였다. 첫째, 문제 파악 단계에서는 도출된 현장 문제 중 가장 중요하고 시급한 문제를 선택하여 과제 기술서를 작성하고, 문제분석을 통해 문제의 세부 구조를 파악하였다. 둘째, 원인분석 단계에서는 핵심 문제 규명과 근본 원인 파악을 위한 정보수집과 분석을 통해 가설 검증 활동을 하였다. 이때 주어진 문제에 대해 좀 더 명확하게 접근을 시도하기 위하여 문제와 관련된 연구자료를 수집하고 문제를 중심으로 개념지도, 어골도 등의 기법을 활용하였다. 셋째, 해결안 개발 단계에서는 근본 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대안을 탐색하고 최적의 대안을 선택하였다. 넷째, 실행 및 검토 단계는 대안을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계획 수립과 실행 및 평가로 이루어졌다. 이 단계에서 초점을 둔 것은 실행 주체를 관리자와 실습 학생으로 분리하여 행동계획을 수립해 보도록 하고 본인이 실습 기간 중 실현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실행을 해보고, 관리자로서 할 수 있는 행동은 병동 수간호사에게 행동계획을 제안하는 과제서를 설명하는 것으로 대신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받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간호 관리학실습이 끝난 2주 최종 실습 컨퍼런스 시간에 팀원이 함께 모여 결과 발표회를 개최하였다.

액션 러닝 기반 문제해결 프로젝트 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교수와 프리셉터의 역할은 러닝 코치로서 변화된 기능을 수행하였고, 매주 2회 4개 팀에 대한 팀 퍼실리테이터를 하였다. 이외에도 이메일, 면담, 방문, 전화 피드백 등으로 문제해결 단계별로 학습팀을 지원하였고 팀미팅 종료 시에는 반드시 팀 내 개인 성찰을 하도록 하였다. 프로젝트 진행과 결과 도출을 위해 지침 및 각종 서식을 제공하고 문제해결 단계별로 적합한 도구 사용을 지도하였다. 실습 종료 시에는 개인 종합성찰일지 작성을 하였다. 성찰일지에는 2주간의 팀 과제 참여를 통해 개인에게 어떤 변화 즉, 생각이나 태도, 행동의 변화를 겪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떤 배움이 일어났는지, 향후 이 경험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성찰하도록 하였다.

4. 윤리적 고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해 연구 시작 전, 자료수집이 이루어진 일 K대학교의 생명 윤리 위원회승인을 받았다(IRB1040460-A-2015-008). 참여자의 자발적 참여 의사는 수업 시작 전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들에게 연구 목적과 자발적인 참여, 참여자를 위한 비밀보장 내용, 수집된 자료는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한다는 점을 설명하였다. 간호 관리학실습은 간호학과 4학년생이 필수로 수강해야 하는 교과목들이므로, 연구에 참여하지 않아도 교과목 수강과 관련하여 학생 개인에게 주어지는 불이익이 없다는 점과 인터뷰에 참여하는 동안 언제든지 본인이 원하는 경우 그만둘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들에게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시작 전, 연구자들은 참여자에게 연구 목적, 비밀보장과 익명성과 함께 원하는 경우 언제나 자유롭게 인터뷰에 응하지 않거나 참여를 중지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또한 참여자 진술의 녹음에 대해서는 인터뷰 시작 전, 녹음 내용이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될 것이며 연구종료와 함께 폐기될 것임을 설명한 후 참여자의 동의를 받았다. 녹음된 인터뷰 내용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사할 때, 참여자의 신원이 드러나지 않도록 신원과 관련된 개인정보는 모두 삭제하고 별도의 고유번호를 부여하였다.

5. 자료수집

본 연구의 자료수집에 있어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학교에 있는 조용한 세미나실에서 이루어졌다. 인터뷰는 진행자와 참여자의 자기소개에 이어 인터뷰 내용의 녹취 및 녹음, 익명성 보장, 그리고 연구 결과는 연구 목적으로만 이용됨과 대상자의 자발적 동의하에 인터뷰가 이루어짐을 설명한 후 이루어졌다. 참여자의 일반적 사항은 인터뷰 시작 전 준비된 간단한 설문지에 참여자가 기입 하는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연구주제와 관련된 본격적인 인터뷰는 도입, 전환 및 주요 질문의 순서대로 진행되었으며 필요한 경우 보조 질문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액션 러닝을 적용한 간호 관리학실습 경험의 주제는 문제해결 과정에 따른 액션 러닝의 교육설계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액션 러닝을 적용한 간호 관리학실습 경험을 잘 이해할 수 있는 주제 또는 영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주제는 액션 러닝을 적용한 간호 관리학실습의 경험, 4개의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설계과정과 관련된 질문, 액션 러닝 방법 적용의 어려움과 긍정적 경험이 선정되었다.

자료수집을 위해 사용한 인터뷰 질문들은 도출된 다섯 개의 주제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주요 질문: 액션 러닝을 적용한 간호 관리학실습의 경험은 어떠하였습니까?

보조 질문: (1) 간호 관리학실습에서 문제발견과 관련된 경험은 무엇입니까?

(2) 원인분석과 관련된 경험은 무엇입니까?

(3) 해결안 개발 과정과 관련된 경험은 무엇입니까?

(4) 실행 및 검토 단계의 경험은 무엇입니까?

(5) 액션 러닝 방법을 적용한 간호 관리학 실제 경험에서 어려운 점은 무엇입니까?

(6) 액션 러닝 방법을 적용한 간호 관리학실습 경험에서 좋았던 점은 무엇입니까?

마무리 질문: 이야기하고자 한 것 중 하지 못한 것이나, 더 보충할 것이 있으면 말씀해 주십시오.

포커스 그룹은 1그룹당 10명으로 구성되었고, 인터뷰의 진행은 연구자 중 한 사람이 담당하였으며, 다른 연구자는 진행 보조자로서 참여자의 구술내용을 녹음하였다. 인터뷰 진행자와 보조자는 참여자의 구술내용 중 중요한 내용을 메모하였으며, 면담은 메모한 내용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연구자의 이해와 해석에 대해 참여자들로부터 검증을 받았다. 인터뷰 종료 후에는 연구자와 보조자가 디브리핑(debriefing)을 통해 인터뷰 내용에 대한 주요 정보를 검토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참여자의 의견이나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자료와 구체성이 부족한 경우, 또는 의문이 생긴 경우에는 면대면 또는 전화를 통한 개별 면담을 통해 자료를 보완하였다. 녹음된 인터뷰는 총 400분 정도의 분량이었으며, 인터뷰 내용의 전사는 인터뷰 당시의 주요 정보와 생생한 느낌을 잊지 않기 위해 인터뷰 당일 시작하여 3일 이내에 완료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2019년 5월 15일부터 6월 3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면담에 소요 된 시간은 각 그룹당 2시간에서 2시간 30분으로서 총 7시간이었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자들의 준비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자들은 2년 이상의 임상 실무 경력과 간호 관리학 강의 경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질적연구를 통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시행한 경험이 있다.

6. 자료 분석

자료 분석은 매회 면담 종료 후, 당일 컴퓨터에 전사함과 동시에 시작되었다. 본격적인 자료 분석은 자료가 포화 되어 자료수집이 완료된 후 전사된 내용과 면담 진행 중 작성된 메모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전사된 면담 내용은 A4용지로 총 85장에 해당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Elo and Kyngӓs(2008)의 단계인 자료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개방코딩, 집단화, 범주화, 추상화의 단계를 참고로 다음과 같은 단계에 따라 주제를 추출하였다.

(1) 자료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및 주요 진술문 확인: 전사된 참여자의 모든 진술과 메모를 읽고 원자료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하고 난 뒤, 자료를 다시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의미 있다고 생각되는 주요 진술문을 확인하였다.

(2) 개방코딩: 확인된 주요 진술문을 다시 읽으면서 그 의미의 적절한 표제가 될 수 있는 개념이나 문구를 기록하여 개방코딩 목록으로 작성하였다.

(3) 범주 생성 및 추상화: 개방코딩 목록에 포함된 개념이나 문구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하면서 비슷한 것을 통합한 후, 그 의미에 적합한 명칭을 부여하여 하위범주(sub-category)로 추상화 하였다. 하위범주(sub-category)는 다시 그 의미와 특성의 유사성과 차이점에 따라 통합한 후 그 의미에 적합한 명칭을 부여하여 범주(category)로 추상화하였다.

주요 진술문 확인과 개방코딩은 연구자 개인의 차원에서 일차 분석한 것을 통합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비슷한 의견은 토론을 통해 조정하였다. 범주 생성 및 추상화는 연구자들이 함께 모여 진행하였다.

7. 연구의 타당성 확보

본 연구는 Lincoln and Guba(1985)가 제시한 질적연구 평가 기준인 신뢰성(credibility), 적용가능성(transferability), 확실성(dependability) 및 확인 가능성(confirmability)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료수집에서는 참여자의 진술을 유도할 수 있는 질문을 최대한 배제하여 그들의 생각을 자유롭게 진술하도록 하였고, 자료분석에서는 연구자의 주관과 편견을 최대한 배제하려고 노력하였다. 적용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참여자의 구술내용을 있는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이들의 실제적인 경험을 통해 의미 있는 개념과 문구, 하위범주 및 범주를 추출하였다. 확실성 및 확인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자료분석 결과를 시간을 두고 연구자들이 함께 여러 차례 수정하는 절차를 거쳤으며, 각 포커스 그룹 참여자로부터 1인씩, 총 3인으로부터 분석 결과가 인터뷰 내용을 잘 반영하였는지를 확인하였다.


Ⅳ. 연구 결과

참여자의 액션 러닝 교육 방법을 적용한 간호관리학실습 경험은 총 120개의 의미 있는 진술문이 추출되었고, 이중 유사하고 의미 있는 진술을 통합하여 62개의 개념과 문구가 도출되었고, 이들 개념과 문구는 25개의 하위범주로 통합하였다. 하위범주를 바탕으로 범주로 도출되었고, 총 4개의 주제모음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 모음은 관리실습에 대한 시야 확장, 실무 적용을 통한 간호 현장 다가가기, 유연한 관점으로 관리 문제 풀어가기 및 창의적인 과제 해결 다가가기이다. 주제 모음을 중심으로 연구 결과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Table 1> 참조).

Experience of applying action learning when performing nursing management

1. 관리실습에 대한 시야 확장

참여자들의 액션 러닝 교육 방법을 적용한 간호 관리학실습을 통해 관리실습에 대한 시야가 확장되는 것으로 인식하는 내용에는 ‘이전과 다른 문제해결과정’, ‘간호대학생에서 간호관리자의 관점으로 변화’, ‘간호관리자의 다양한 역할 인식’의 범주가 포함되어 있다.

가. 이전과 다른 문제해결과정

참여자들은 액션 러닝 과정 동안 스스로 관심 있는 임상의 문제를 선택하고, 팀원들과 문제에 관하여 토론을 하는 과정이 활동적이고 즐거운 활동으로 인식하였고, 팀 활동을 통한 토론과정에서 나오는 결과가 시작과 달리 본인이 전혀 예측하지 못했던 의외의 결과에 도달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교수자나 실습 현장의 지도자가 문제를 주는 과정과 다른 해결 과정으로 지금까지 해 왔던 학습 방법보다 더 흥미로운 경험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 각 개인의 흥미와 관심과는 상관없이 일정하게 지정된 과제를 수행했던 것 보다 더 훨씬 흥미롭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논문을 분석하는 과정에 의의가 결과가 나오는 것을 보면서 주제에 대해서 더 자세히 공부할 수 있는 계기가 되면서 되었어요. 또 간호 관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팀원들과 활동적인 집담회를 한 것도 처음이고, 대학 생활 중 과제를 하면서 이렇게 즐겁게 보낸 경험은 처음 인 것 같아요(초점집단4-참여자35).
나. 간호대학생에서 간호관리자의 관점으로 변화

참여자들은 액션 러닝을 적용한 간호 관리학실습 경험을 통해 지금까지 임상 실습에 있어 각 개인의 환자에 초점을 맞추어 간호과정을 보았던 것과 달리 실습 단위 전체를 보면서 간호 전달체계 틀에서 간호를 보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간호사의 역할에 대하여 더 넓게 생각하면서, 생생한 간호 현장을 수간호사 선생님 입장에서 바라보고 관찰하게 되었다고 한다. 수간호사의 관리자 역할을 분석하면서 일반 간호사들을 지휘, 감독하고, 전체를 위해 진정으로 필요한 일이 무엇인지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면서 관리자 역할이 녹록하지 않음을 알아 가는 기회가 되었다고 하였다.

생생한 간호현장을 관찰하면서 간호부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간호관리자들은 현장에서 어떻게 간호단위를 간호하는지 직접 눈으로 관찰하면서 간호의 범위는 굉장히 넓고, 간호 관리실습 과목의 필요성을 알게 되는 실습이었어요(초점집단2-참여자12).
관리자의 관점에서 전체를 위해 진정으로 필요한 일이 무엇인지 생각해보는 계기가 생겼어요. 수선생님과 같은 눈으로 바라보고, 색다른 시각으로 병동을 볼 수 있는 기회였어요(초점집단4-참여자31).
다. 간호관리자의 다양한 역할 인식

간호관리자의 다양한 역할 인식에는 간호사를 돌보는 간호관리자 역할과 간호 문제 발생 시 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을 위한 조정자 역할에 대한 인식이 포함되어 있었다. 참여자들은 간호단위 간호업무량이 너무 많아 힘들어하는 순간에 간호사들을 다독이는 모습과 간호사 한명 한명 그들의 감정을 읽어 주는 간호관리자는 환자 간호에 지친 간호사들을 돌보는 간호사 역할을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고 한다. 또한 환자들의 상황에 맞는 병실 배정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서와 요구가 다른 사람들 간의 복잡하고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서 발생하는 간호 문제를 최대한 그들의 의견을 통합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려고 노력하는 간호관리자의 역할을 인식하게 되었다

수선생님은 환자들 케어에 지장이 없도록 꼼꼼히 챙기고, 간호단위 간호사 선생님들이 힘든 순간에 다독이는 모습을 보면서, 관리자의 인간적인 모습을 보았어요. 실습 중 간호단위에서 예상치 못한 일이 일어났을 때 문제에 대하여 중재자로서의 중대한 업무를 수행하면서, 방안을 강구 하는 것을 보면서 대단한 업무를 수행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초점집단1-참여자3).

2. 간호 실무 적용을 통하여 현장 다가가기

참여자들의 액션 러닝 교육 방법을 적용한 간호 관리학실습을 통해 간호 실무 적용을 통한 간호 현장 다가가기로 인식하는 내용에는 ‘간호 관리 활동에 내재 된 의미 숙고’, ‘실무현장에 이론 연결하기’ 및 ‘간호에 실제적으로 다가가기’의 범주가 포함되어 있다.

가. 간호 관리 활동에 내재 된 의미 숙고하기

간호 관리 활동에 내재 된 의미 숙고는 간호 관리 활동이 개인과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한 것이 포함되어 있다. 간호 관리 활동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가장 체감 있게 인식한 것이 간호사들의 한 달 근무표 작성에 관한 것이었다. 이를 논문 등과 관련된 자료를 비교 분석하면서 간호사 생활의 패턴과 건강에 영향을 미침을 인식하였다. 더 나아가 간호사 개인의 삶의 질 뿐 아니라 간호인력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간호 서비스에 연결되어, 이는 병원의 조직 생산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근무표를 작성하는 부분에 있어서 간호사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고려하면서 작성하는 부분이 너무 어려웠어요. 그리고 이와 관련 된 논문을 분석하면서 간호사들의 생활패턴과 건강이 근무시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어요. 또한 간호사들의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간호의 질이 향상되며, 간호인력 정책에도 간접적인 도움을 주게 되는 근무표 작성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어요(초점집단3-참여자23).
나. 실무현장에 이론 연결하기

실무현장에 이론 연결하기는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을 찾아보고, 개념이 포함한 다양한 측면을 숙고하여 생소한 이론적 개념을 실무에 적용 해본 것도 포함되어 있다. 생소한 간호 관리 개념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는 이론을 찾아보고, 개념이 다양하게 해석되면서 많은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며, 어떻게 실무에 사용되어야 할지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실무에 적용해 보면서 이론에 연결하여 가고 있었다.

생소한 간호 관리에 대한 개념들을 스스로가 찾아가면서 공부를 하고, 간호 관리 개념과 용어정리가 되지 않았는데 이 학습법을 통하여 임상에서 실제로 기획되고 계획되어 시행 되어지는 그 과정을 살펴보고 공부하면서 생소했던 관리개념들이 머릿속에 재정리되며 나만의 지식으로 남을 수 있게 된 것 같아요(초점집단2-참여자19).
주제를 정하는 것부터가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것 같고, 개념이 어떻게 사용되어야 하는 것에서부터 방향까지 해 보면서 해결 방안을 찾아갔어요(초점집단2-참여자11).
다. 간호에 실제적으로 다가가기

간호에 실제적으로 다가가기는 간호관리자와의 간호관리 문제에 대한 현장의 문제점을 찾기 위하여 직접 물어보고, 팀 토론을 거쳐 계획한 방안을 상황에 따라서 적용해 보는 과정을 거치면서 간호관리자와 라포를 형성하고 신뢰감을 경험하였다. 또한 간호사의 직접 간호 수행을 관찰하던 기존 실습과 달리 간호사가 수행하는 간호과정 전체를 설명 듣고, 직접 해보는 활동을 통해 간호 관리의 개념과 과정이 자신의 지식체로 구축되어 보이기 시작함을 인식하였다.

실습 간호단위에서 가장 높은 사람인 수간호사 선생님께 평소 궁금했던 관리학 내용이 임상에서 실제로 기획되고 계획되어 시행 되어지는 과정을 바로 볼 수 있었어요. 이러다 보니 관리의 과정들이 머릿속에서 재정리되는 느낌이 들었어(초점집단1-참여자4).

3. 유연한 관점으로 관리문제 풀어가기

참여자들의 액션 러닝 교육 방법을 적용한 간호 관리실습 경험에서 유연한 관점으로 관리 문제 풀어가기는 ‘관점에 따라 달라지는 관리 문제’와 ‘그물망처럼 얽혀 있는 관리 문제 풀어가기’의 범주가 포함되어 있다.

가. 관점에 따라 달라지는 관리 문제

참여자들은 간호 관리 문제들에 대한 팀원들 간의 의견교환을 통해 다양한 관점이 존재함을 확인하고, 문제들에 대한 분석과정을 통해 보는 관점에 따라 분석내용과 결과가 다름을 경험하였다. 참여자들이 문제해결 전략으로 주로 보았던 논문들은 동일한 개념이라도 보는 관점에 따라 다양한 이론과 시각을 가지고 문제를 풀어나가는 것과 같은 주제라도 논문을 읽는 독자마다 새로운 관점과 풀어가는 방식이 다름을 경험하였다. 혼자서 하는 것보다 팀원들이 모여서 같이 정보를 교류하고 의견을 제시하면서 훨씬 다양하게 접근하면서, 팀 협력의 중요성을 깨달아 가고 있었다.

같은 주제 및 개념이라도 보는 관점과 풀어가는 방식이 다른 것을 느낄 수 있었어요. 팀원들과 같이 주제와 문제해결 과정에 정보를 교류하고, 의견을 제시하고 하는 학습활동이 혼자서 하는 것 보다 더 쉽고, 훨씬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고, 팀원과 협동하면서 협동심을 가질 수 있게 되었어요(초점집단4-참여자34).
나. 그물망처럼 얽혀 있는 관리 문제 풀어가기

참여자들은 간호 관리 문제가 병원조직의 여러 부서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문제임을 문제해결 방안을 고민하는 과정에서 알게 되었으며, 합리적으로 해결방안을 찾기 위하여 여러 자료의 근거를 통합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실제 임상에서 개선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세세한 부분까지 토의를 하는 등 그물망처럼 복잡하게 얽혀 있는 관리 문제의 실타래를 풀려고 하는 적극성을 보였다.

관리 문제가 간호사뿐 아니라 여러 의료계열 직원들과 복잡하게 얽혀 있는 문제로 보이기 시작했어요. 제가 관리자 입장이라면, 어떤 점들을 개선해야 의료의 질을 개선 시켜, 결과적으로 환자를 위한 일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고민이 되더라구요. 아무래도 아직은 지식이 짧으니까 관련된 논문을 찾아보면서 문제의 해결방안을 찾아보았어요(초점집단1-참여자9).
간호관리 문제에 대해서 실제 적용할 수 있는 부분들까지 생각하면서 계속해서 토의를 거쳐 생각을 고쳐나가면서 종합하여 분석한 후 거의 비슷한 유의미한 의미를 찾게 되었어요. 그 후 논의되었던 결론들을 직접 병원에서 관찰하고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어요(초점집단3-참여자21).

4. 창의적인 과제 해결에 다가가기

참여자들은 액션 러닝의 교수학습법을 통해 창의적인 과제 해결에 다가가기는 ‘관리의 빅데이터 만들어가기’, ‘스스로 학습에 대한 자신감’, 및 ‘창의적인 과제에 대한 부담감’의 범주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가. 관리의 빅데이터 만들어가기

참여자들은 관리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에서 근거가 되는 논문과 임상 실무에서 확인하였고, 이를 실무 적용과 관련성을 분류하면서 실행과 관련된 유의미한 데이터를 확인하였다. 또한 문제와 관련된 데이터를 개념지도, 어골도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연결하는 경험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임상에 적용할 실제 방안까지 찾고, 실습 단위에 제안한 경험을 가지기도 하였다.

참여자들은 ‘DNR 환자 표시 스티커 대신 그 내용을 알릴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이 있을까’? 또는 ‘환자 팔찌의 디자인을 다르게 하는 것’, ‘병동의 구조를 개선하는 환경관리까지 개선점’ 및 신규간호사가 병원 취업에 영향을 주는 것‘ 과 같은 기존의 간호 관리 문제점을 실제로 적용하기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로 지식을 창출하기도 하였다고 한다. 이와 같은 논문분석과정으로 주제에 대한 토의와 깊은 생각을 걸쳐 나온 창의적인 내용으로 한 조가 끝나고, 또 그 다음 조, 다음 조까지 계속해서 합쳐진다면 티끌 모은 지식이 태산의 지식으로 바뀌는 것과 같이 작은 데이터가 모여서 큰 데이터가 되어 간호 관리 개선에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하기도 하였다.

논문을 분석할 때 우리 팀의 문제와 관련이 있는 것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 들을 분류하면서 정리를 해 나갔어요. 이때 개념지도가 도움이 되었어요. 각자 해 온 것을 연결하다 보니 어느 순간 문제들의 원인과 결과들이 보이는 거에요(초점집단3-참여자29).
우리 팀은 실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고민해 보았어요. 예를 들면 DNR 환자 표시 스티커 대신 그 내용을 알릴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이 있을까? 하고 생각을 해 보았는데 바로 환자 팔찌의 디자인을 다르게 하는 것이었어요. 수선생님께서도 이 아이디어는 괜찮다며 칭찬해 주었어요(초점집단4-참여자33).
나. 스스로 학습에 대한 자신감

참여자들은 자신들이 스스로 정한 문제에 관하여 스스로 분석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주도적으로 학습 능력이 생김을 경험하였다. 문제와 관련된 내용을 연결하는 과정을 통해 통합적인 사고를 하게 되고, 이런 과정을 통해 자신의 잠재능력을 알게 되는 경험을 하고 있였다. 졸업 후 간호사가 되어 간호 현장의 문제점을 근거 있는 연구 데이터를 통해 문제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자신감이 생기기도 하였다.

관심 있었던 주제에 대하여 다양한 논문을 접해 보고, 이를 그림 및 표로 나타내서 해보니까 이해가 더 잘 되고 자신감도 생겼어요(초점집단1-참여자10).
논문을 찾아 이색적으로 개념지도를 머릿속에 그려보니 더 기억에 남게 되고, 주제에 대한 내용들을 상기시켜 간호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연구를 통해 나 스스로 직접 논문을 써볼 수 있는 자신감이 생겼어요(초점집단2-참여자17).
다. 창의적인 과제에 대한 부담감

참여자들은 간호 관리학 자체의 어려움과 생소한 액션 러닝 방법을 적용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경험하였다. 실습지침서에 따라 주어진 과제를 하면 되는 기존과 너무나 다른 과제에 당황스러움을 경험하였다. 액션 러닝 방법에 대한 설명을 들어도 스스로 문제를 정하는 것과 단일 문제도 이해가 되지 않은 채 통합을 해야 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이는 바쁜 실습 일정과 더불어 다른 과제와 병행하여 진행되어 자신들의 역량에 비해 벅찬 과제로 느낌을 경험하였다.

처음에 과제를 받은 후 바로 이해가 되지 않아 어려웠어요. 바쁜 실습과 더불어 다른 과제들과 병행하여 간호 관리 문제를 통합적으로 풀어가야 하는 과정이 벅찬 과제라고 생각했어요(초점집단2-참여자18)
과제를 그냥 줄 글로 작성하는 과제에 비하여 그림, 표를 이용하여 작성하는 개념지도에 대한 복잡성에 대해서 이해가 잘되지 않아 어려움이 있었어요. 개념 및 주제에 비슷한 논문들이 너무 많아 중복이 될 수 있다는 것에 걱정도 되고, 특히 많은 생각과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에 어려웠어요(초점집단3-참여자27).

Ⅴ. 논 의

본 연구는 간호 관리학실습에 임상 현장에서 간호대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발견에서 해결의 전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액션 러닝을 적용한 후, 학습자의 학습경험에 대해 확인 해 보았다. 4개의 포커스 그룹에 40명의 참여자로부터 확인된 액션 러닝 학습경험은 총 4개의 주제와 11개의 범주, 25개의 하위범주로 구조화 하였다. 4개의 주제는 ‘관리실습에 대한 시야 확장’, ‘실무 적용을 통한 간호 현장 다가가기’, ‘유연한 관점으로 관리 문제 풀어가기’ 및 ‘창의적인 과제 해결에 다가가기’였다.

관리실습에 대한 시야 확장은 스스로 임상 현장의 간호 관리 문제를 찾아내고, 문제 원인을 분석하여 팀 활동을 거쳐 실행해보는 것에 대해 이전과 다른 문제해결 과정이라고 경험하였다. 문제 원인분석에서 사용한 기법인 개념지도, 어골도와 같은 활동들이 활동적이고 즐거운 경험이었으며, 의외의 결과가 나오는 다이나믹한 과정이라 인식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간호 전달체계 틀에서 간호를 바라보게 되며 다양한 간호관리자의 역할을 인식하였다. 이는 액션 러닝 교육 방법이 기존의 전달 및 암기식 학습의 한계를 넘어 학습자들이 스스로 과제를 선정하고 과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면서 지식을 습득하고, 피드백 및 성찰 과정을 통해 문제해결과정을 학습하는 것이므로(Bong, 2012), 이러한 과정들의 경험이 간호대학생들에게 기존의 가지고 있던 인식을 확장 시켰던 것으로 판단된다. 액션 러닝 방법에서 질문과 성찰은 문제해결의 질을 결정하는 결정적인 요소로(Marquardt, 1999), 팀원들 간의 활발한 학습활동을 증진 시킨다고 하였다(Davis and Curzio, 2003). 본 연구에서는 문제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연구자가 촉진자로서 역할과 문제 원인분석과 결과에 대하여 개념지도를 작성하게 하여 통합적으로 문제를 조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정들이 간호대학생의 액션 러닝 과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무 적용을 통한 간호 현장 다가가기는 간호관리활동이 개인과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면서 간호 관리 활동에 내재 된 의미를 숙고하고, 선택한 간호 관리 문제가 실무현장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관련된 이론을 찾아보고 연결하면서 개념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측면을 숙고하고, 실무 적용에 대한 방향성을 고민하면서 실무에 이론을 연결하는 활동을 경험하였다. 또한 실습 간호단위 간호관리자와 간호 관리 문제에 대한 토론과 동료들과의 팀 토론을 거쳐 계획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간호관리자에게 제안하면서 간호 실무현장과 실제적으로 다가감을 경험하였다. 이는 Heidari and Galvin(2003)의 액션 러닝이 학습자들이 주제에 대한 생각 공유와 성찰에 대한 자신감을 발전시키는 환경을 제공하여 이론과 실무를 연결한다는 주장과 유사하였다.

유연한 관점으로 관리 문제 풀어가기는 팀원들 간의 의견교환과 문제에 대한 분석과정을 거치는 동안 보는 관점이 존재하고, 관점에 따라 분석내용과 결과가 다름을 경험하였다. 문제가 환자와 가족, 의료진 및 유관 부서와 다양한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으므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찾기 위하여 관련 연구와 같이 근거 있는 자료를 통합하여 해결방안을 찾는 것이 중요함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여 최선의 결과물이 도출 될 수 있는 방법으로 문제를 풀어가는 유연성이 생김을 경험하였다. Davis and Curzion(2003)는 액션 러닝 교육 방법은 팀원이 과제수행을 위한 정보수집과 대안 개발을 위한 토론과정에서 각자가 지닌 다양한 관점, 수준 및 선행경험에 기초하여 질문을 제기하는 과정을 거쳐 문제해결을 경험한다고 하였다. Jand and Park(2012)는 액션 러닝 교육 방법을 간호 관리학 이론과 실습에 적용한 결과 간호대학생들의 확산적 사고가 지속적으로 향상됨을 보고하였다. 확산적 사고는 문제해결을 위해 기존의 문제를 새로이 형성하고 정의하고 새로운 해결책이나 대안을 찾아보는 상황에서 요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et al., 2003). 본 연구에서도 간호대학생들이 액션 러닝 방법을 통한 문제해결 과정에서 간호 관리의 문제가 관계와 관점에 다름을 인지하고 사고의 관점이 다양한 방향으로 퍼지면서 유연한 관점에 문제를 바라보고 풀어나가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환자와 가족뿐만 아니라 동료, 의료진 및 유관 부서와의 다양한 관계 형성 및 조정 능력을 학습해야 하는 간호 관리학실습의 목적에 부합하는 결과물이라 판단된다.

창의적인 과제 해결에 다가가기는 실행과 관련된 유의미한 데이터를 확인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연결하고 해결방안까지 제시하는 과정을 통해 가치 있는 데이터를 구축해 나가고, 학습자 중심의 액션 러닝 교육 방법을 통해 주도적인 학습 능력이 배양됨을 경험하였다. 문제해결 과정을 통한 성취 경험은 자신의 잠재능력 발견과도 연결되어 졸업 후 간호사가 되어 간호 현장의 문제를 근거 있는 연구데이터를 통해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자신감이 생김을 경험하였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Jang et al.(2013)의 연구에서 액션 러닝 방법 적용 후 간호사들이 소극적에서 적극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주인의식을 가지게 되었는데, 이는 본 연구의 주도적으로 학습을 하게 된 것과 유사하였다. 이와같이 액션 러닝은 간호대학생들의 실무역량배양을 위한 긍정적인 학습법으로 인식되기도 하지만, 이와 반해 창의적으로 과제를 해야 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도 느끼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학습팀원이 스스로 선정한 과제를 간호 관리학 실습 기간 2주 안에 과제를 해결 해야 한다는 시간상의 제약으로 학습자에게 부담감으로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Jang and Park(2012)의 연구에서 과제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다 보면 과제실행 기간이 짧아 과도한 부담을 느낀 것으로 나타난 것이 본 연구와 유사하였다. 따라서 액션 러닝의 적용 시 팀이 문제를 정해진 시점까지 해결하는 과정에서 어떤 어려운 점이 있는지 분석하고, 이에 대하여 적절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교수자는 학습자의 요구를 수시로 파악하고 적절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 줄 필요가 있다.


Ⅵ.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간호 관리학실습 교과목에 액션러닝 교육 방법을 적용하고 간호대학생들의 경험을 탐색하여 질적연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 관리학실습 교육에 액션 러닝 방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이 느끼는 경험은 ‘관리 실습에 대한 시야 확장’, 실무 적용을 통한 간호현장 다가가기’, ‘유연한 관점으로 관리 문제 풀어가기’ 및 ‘창의적인 과제 해결에 다가가기’였다. 간호 관리학실습과정에서 액션 러닝 학습법을 적용한 본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 관리를 이해하는 관점이 기존과 다르게 변화되었다. 둘째, 임상 현장에서 일어나는 간호 관리 상의 문제점에 대하여 유연한 관점으로 풀어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간호 관리 실무의 문제점을 관리이론과 연결하는 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간호 관리과정과 관련된 개념, 지식 및 정보에 대한 활용이 간호 관리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양적연구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이와 동시에 간호 관리실습 과정에서 그들이 어떤 경험을 하는지 탐색하는 질적연구도 필요하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간호 관리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간호 관리실습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기 위해서는 양적 연구 방법 및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한 혼합연구를 제언한다.

References

  • Bong HC(2012). Do action learning for success. Seoul: Hangseong B wave.
  • Choi SE and Kim EA(2016). Effects of learning activities on application of learning portfolio in nursing management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6(1), 90~99. [https://doi.org/10.4040/jkan.2016.46.1.90]
  • Davis C and Curzio J(2003). Avoiding the pitfalls of action learning. Nurse Education in Practice, 3(4), 183~184. [https://doi.org/10.1016/S1471-5953(03)00069-6]
  • Elo S and Kyngäs H(2008).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1), 107~115.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569.x]
  • Heidari F and Galvin K(2003). Action learning groups: Can they help students develop their knowledge and skill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3, 49~55. [https://doi.org/10.1016/S1471-5953(02)00054-9]
  • Jang KS, Baek M, Choi YJ, Ahn SH, Lee SJ and Sim JY et al.(2006). An analysis of nurse managers’s common fundamental competencies changes and responses to the application of the action learn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3), 424~433.
  • Jang KS, Kim HY, Kim EA, Kim YM, Moon J E and Park HY et al. (2013). A journey to action research in a clinical nursing contex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1), 95~107.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1.95]
  • Jang KS and Park SJ(2012). Effects of action learning approaches on learning outcomes in nursing management co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4), 442~451. [https://doi.org/10.11111/jkana.2012.18.4.442]
  • Jang, KS, Kim, EA and Park HY(2015). The effects of an evidence-based nursing, education, information literacy, problem solvi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1), 119~128.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1.119]
  • Kim YH and Kim HY(2018). A literature review of research on action learning-based nursing education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4(1), 73~84.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1.73]
  • Kim YM and Kim YH(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ction learning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managemen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6), 312~322. [https://doi.org/10.5392/JKCA.2010.10.6.312]
  •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2021).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evaluation manual(Bachelor’s degree of the science of nursing). http://www.kabone.or.kr/kabon02/index.php, .
  • Lee SA and Eom WY(2019). Development of Learner Evaluation Instrument for an Action Learning Based University Clas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5(1), 69~05. [https://doi.org/10.17232/KSET.35.1.069]
  • Lee SJ, Chang YK, Lee HN and, Park KY(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 Lincoln YS and Guba EG(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AC, Sage, 289~331. [https://doi.org/10.1016/0147-1767(85)90062-8]
  • Marquardt MJ(1999). Action learning in action: transforming top comparies are re-creating their leaders and themselves, Jossey-Bass.
  • Marquardt MJ(2004). Optimizing the power of action learning. Lee TB, Translator. 1st ed. Seoul, Korea: Paradigm Consulting, 31~35, 57~245.
  • Park KH and Kim WJ(2012). Teaching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using action learning technique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4(1), 23~30. [https://doi.org/10.3946/kjme.2012.24.1.23]
  • Seo YT and Bong HC(2008). Types of action learning program and their characteristics: Results of 10 case studies. Korean ische Zeitschrift fur Wirtschaftswissenschaften, 26(2), 83~115.

<Table 1>

Experience of applying action learning when performing nursing management

Themes Categories Subcategories
Expand
viewpoints
about
management
practice
A different problem-solving process than ever before Choosing a topic of interest for yourself
Active and enjoyable team activities
A dynamic process of unexpected results
Changing the perspective from a nursing student to a nursing manager Understanding nursing in the nursing delivery system framework
Looking forward to the exertion of leadership as a nursing manager
Recognition of various roles of nursing managers Nursing manager taking care of a nurse
Coordinator for rational decision-making
Approaching the
field through the
application of
nursing practice
Reflecting on the implications of nursing management activities Recognizing the impact on individuals
Recognizing the impact on the organization
Connecting theory to practice Finding theories to explain phenomena
Considering the different aspects of a concept
Applying unfamiliar theoretical concepts to practice
Approaching nursing practically Building trust through rapport with nursing managers
Getting to know nursing management concepts and processes
Solving
management
problems with
a flexible
perspective
Management issues that change depending on the point of view Checking different perspectives through an exchange of opinions
Checking for different interpretations depending on the point of view
Resolving management problems that are tangled like a net Management issues with complex interests
Finding solutions by incorporate evidence
Approaching
creative
problem-solving
Creating big data for management Identifying meaningful data related to execution
Associating data collectively
Offer innovative solutions
Confidence in self-learning Cultivating independent learning ability
Finding potential
The burden of creative tasks Feeling embarrassed that the problem-solving process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method
Difficulty of integration to solve various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