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4, No. 6, pp.1088-1096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2
Received 07 Nov 2022 Revised 28 Nov 2022 Accepted 06 Dec 2022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2.12.34.6.1088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스트레스와 학교 만족도 인식 차이 연구

방청현 ; 허균
부산대학교(학생)
부경대학교(교수)
A Study on the Difference on the Stress of School Life and School Satisfaction by the Type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Chung-Hyun BANG ; Gyun HEO
Pusan National University(stud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051-629-5970, gyunheo@pknu.ac.kr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students' school life stress, their perceived satisfaction with specialized high schools based on gender, grade, and school typ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ubjects are 433 students(336 males and 97 females) in different specialized high schools in South Korea.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descriptive statistics, t-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were conducted. The finding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 school life stress based on gender, and depending on the students' grade, "friend stress" was found to be the most significant among the sub-categories of stress; (b) school life stress depending on the type of specialized high school; (c) school life satisfaction based on students' gender and grade; and (d) students' perceived school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type of specialized high school. Future studies should conduct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confounding variables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additional relevant identifying factor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Keywords:

School life stress, School satisfaction,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Ⅰ. 서 론

정신건강과 스트레스는 성인뿐 아니라 청소년들에게도 중요한 문제이다. 고등학생들의 스트레스는 학교생활 만족도와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을 것이다. 여러 연구는 청소년들이 학업, 입시, 친구 관계, 교사 관계, 부모 관계 등으로부터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특히, 청소년들에게 학업과 입시 스트레스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Chang and Jeong, 2015; Jung and Seo, 2016; Choi and Lee, 2022; Jeong, 2022; Kwon, 2022; Kim, 2022).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학교에서 시간을 대부분 보내는 고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다(Jeong, 2022). 수업이나 성적에 있어서는 일반계 고등학생이 특성화 고등학교(이후 특성화고) 학생보다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수업 스트레스는 남학생이 높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Lee, 2020). 더욱이 2019년 이후 코로나19 상황에서의 학생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실행되었다(Ki, 2021; Choi and Lee, 2022; Kwon, 2022; Kim, 2022). 전 세계적 위기 상황에서 학생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써 성별, 학급별, 가정경제 수준별 차이에 주목하였다(Choi and Lee, 2022). 구체적으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초등학생보다 중․고등학생이, 그리고 가정경제 수준이 어려울수록 스트레스가 높았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 이전과 동일하게 고등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더 나아가 이러한 높은 학업 스트레스는 친구 관계, 교사 관계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등학교 유형별로는 상위학교 진학을 목표로 하는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보다 스트레스가 높았다(Yim, 2020).

다양한 연구들에도 불구하고 특성화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스트레스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성화고 학생들은 일반계 고등학생들과는 달리 취업이나 직업 탐색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한다는 측면에서 더 다양한 측면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 나아가, 특성화고 학생들의 다양한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으로써, 학생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지면서, 또 다른 형태의 스트레스가 악순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특성화고 학생들의 다양한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스트레스 관련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 초등학교 학생, 중학교 학생, 대학생, 성인들을 주요 대상으로 하였다. 반면 특성화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스트레스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성화고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관련 기존의 특성화고와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는 사회적, 학업, 그리고 친구 관계 스트레스 등의 다양한 스트레스가 학생의 우울, 학교 부적응, 잠재적 학업 중단 의도, 자살,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고, 또 미술 집단치료가 특성화고 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 능력에 미치는 효과 탐색 등의 연구들이 있어왔다(Lee et al., 2013; Lee et al., 2014; Cho et al., 2016; Kim and Yoo, 2016; Jung, 2019). 또, 특성화고 학생의 스트레스가 심해지면 우울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도 있었다(Suh, 2011). 반면, 스트레스가 우울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만, 더 나아가 학교 부적응 또는 잠재적 학업 중단 의도에는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Cho et al., 2016). 특성화고 학생들에게는 학업 스트레스보다는 오히려 친구 관계 스트레스가 학생 자살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et al., 2016). 또 특성화고 학생들은 학교생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Lee et al., 2013). 그리고 미술 집단치료가 특성화고 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 능력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Ahn, 2021). 그 외에도 특성화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여러 도전적 연구(Heo, 2013; Heo, 2018; Heo 2020)가 드물게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를 다양한 관점에서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특성화고 학생들은 학교생활에서 학업과 성적 외에도 친구와의 갈등, 부모와의 갈등, 진로, 외모, 경제적 어려움 등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성별과 학년에 따른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스트레스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 학교 유형에 따른 학교생활 스트레스는 어떠한가?

셋째, 성별과 학년에 따른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특성화 학교 유형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는 어떠한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 고등학생들을 4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초 연구자료 수집에서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655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중 연구 목적에 맞게 특성화 고등학생들로 대상을 한정하였다. 특성화 고등학생들은 수산해양계열 학생들 235명과 일반특성화계열 학생들 198명으로 구분하여 연구대상을 설정하였다. 응답자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Table 1>과 같다.

General Status of Respondents

2. 연구 도구 및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도구는 학교생활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먼저, 학교생활 스트레스는 청소년 패널조사에서 활용하고 있는 문항을 활용하였다(Lee et al., 2008). 이 문항들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소에서 패널 조사를 통해 청소년들의 학교생활 스트레스의 종단적 변화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측정된 문항이다. 총 1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들이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에 대해 측정하고 있었다. 설문 문항은 부모(4문항), 학업진로(4문항), 친구(3문항), 외모(3문항), 경제적 스트레스(3문항)의 총 5가지 영역의 스트레스를 묻고 있었다. 구체적인 설문 문항의 예로 “부모님의 지나친 간섭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 등과 같은 문항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응답은 5점 척도(아주그렇다=5, 전혀그렇지않다=1)로 이뤄져 있다. 점수가 높으면 스트레스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문항의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크론바 알파값은 부모(4문항) .878, 학업진로(4문항) .825, 친구(3문항) .869, 외모(3문항). 746, 경제적 스트레스(3문항) .836이었고, 전체 17문항에 대한 알파값은 .932이었다.

다음으로, 학교생활 만족도는 한국교육고용패널(Chae et al., 2005)에서 Hallinane(2008)Seo and Hwang(2009) 등이 활용한 문항을 활용해서 만든 측정문항을 사용하였고(Heo, 2018),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학생들이 느끼는 학교생활 만족도를 측정하고 있었다. 설문 문항은 “현재 학교생활 전반에 대해 만족하고 있다” 등과 같은 문항으로 이뤄져 있다. 응답은 5점 척도(아주그렇다=5, 전혀그렇지않다=1)로 이뤄져 있다. 필요한 경우 역코딩하여 점수가 높으면 학교생활 만족도가 높은 의미로 활용하였다. 학교생활 만족도의 문항 신뢰도 크론바 알파값은 .808이었다.

Reliability of Variables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기술통계와 t-test, 분산분석(ANOVA)를 활용하였다. 전반적인 데이터 분포와 현황은 기술통계에서 제공한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함께, t-Test와 분산분석(ANOVA)를 활용하였다. 통계 패키지는 SPSS 28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특성화고 학교생활 스트레스 인식 차이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스트레스 인식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성별, 학년, 특성화고 학교 유형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가.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 스트레스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스트레스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은 이러한 결과를 나타낸다.

School Stress Difference by Gender

구체적으로 학교생활 스트레스는 하위 요인으로 부모, 학업, 친구, 외모, 경제 스트레스, 스트레스 전체 평균 순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 관계된 스트레스(Parent Stress)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학업과 관련된 스트레스(Study Stress)도 여학생들이 남학생보다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친구와 관련된 스트레스(Friend Stress)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평균은 여학생이 다소 높았다.

넷째, 외모와 관련된 스트레스(Appearance Stress)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보다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특이한 것은 여학생들이 느끼는 스트레스 하위요소 중 외모에 대한 스트레스 평균이 2.67로 가장 높았다.

다섯째, 경제적인 부분에서 스트레스(Economy Stress)도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여섯째, 학교생활 스트레스 전체적(Total Average Stress)으로 특성화고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느낀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특성화고의 여학생들은 외모, 학업, 경제, 부모 순으로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학생들은 학업, 외모, 부모, 경제 순으로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친구에 대한 스트레스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 학년에 따른 학교생활 스트레스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스트레스는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학교생활 하위 유형 중 “친구 스트레스”에서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는 이러한 결과를 나타낸다.

School Stress Difference by Grade

구체적으로 친구 스트레스는 2학년 때 1.81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3학년 때 1.69, 1학년 때 1.52로 나타났다. 사후분석(Scheffe)분석 결과 특히 1학년과 2학년의 친구 스트레스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2학년 때 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 특성화고 학교 유형에 따른 학교생활 스트레스

‘특성화고 학교 유형’에는 수산계열 특성화 고등학교와 일반계열 특성화고등학교로 구분하였다. 학교생활 스트레스 인식에 있어서 특성화고의 학교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특성화고 학교유형에 따라 학교생활 스트레스 인식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는 이러한 결과를 나타낸다.

School Stress Difference by School Type of Specialized High School(N=433)

구체적으로 학교생활 스트레스는 하위 요인으로 부모, 학업, 친구, 외모, 경제 스트레스, 스트레스 전체 평균 순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 관계된 스트레스(Parent Stress)는 특성화고 일반계열 학생들이 수산계열 학생들 보다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학업과 관련된 스트레스(Study Stress)는 특성화고 일반계열과 수산계열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특성화 일반계열이 2.42로 수산계열 2.28보다 수치상으로 높았다. 특이한 점은 하위 스트레스 지수 중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친구와 관련된 스트레스(Friend Stress)는특성화고 일반계열 학생들이 수산계열 학생들보다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외모와 관련된 스트레스(Appearance Stress)는 특성화고 일반계열 학생들이 수산계열 학생들보다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다섯째, 경제적인 부분에서 스트레스(Economy Stress)도 특성화고 일반계열 학생들이 수산계열 학생들보다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여섯째, 학교생활 스트레스 전체 평균 지표(Total Average Stress)를 비교해 보았을 때 특성화고 일반계열 학생들이 수산계열 학생들보다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특성화고의 수산계열 학생들은 학업, 외모, 부모, 경제, 친구 순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성화고의 일반계열 학생들은 학업, 외모, 경제, 부모, 친구 순으로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성화고 수산계열 및 일반계열 모두 친구에 대한 스트레스는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는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특성화고 학교생활 만족도 인식 차이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 인식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성별, 학년, 특성화고 학교 유형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가.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은 이러한 결과를 나타낸다.

School Satisfaction Difference by Gender(N=433)

구체적으로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남학생들 (3.34)이 여학생들(3.02)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 학년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7>은 이러한 결과를 나타낸다.

School Satisfaction Difference by Grade (N=433)

구체적으로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3학년 때 3.41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1학년 때 3.30, 2학년때 2.98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분석(Scheffe) 결과 2학년 때 비해 1학년 때나 3학년 때가 학교생활 만족도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 특성화고 학교 유형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특성화고 학교 유형’에는 수산계열 특성화 고등학교와 일반계열 특성화고등학교로 구분하였다. 학교생활 만족도 인식에 있어서 특성화고의 학교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특성화고 학교유형에 따라 학교생활 만족도 인식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8>은 이러한 결과를 나타낸다.

School Satisfaction Difference by School Type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N=433)

구체적으로 학교생활 만족도는 특성화고 수산계열 학생들이 3.39로 특성화고 일반계열 학생들의 3.12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Ⅳ.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스트레스, 학교생활 만족도의 차이를 성별, 학년, 특성화고 학교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t분석과 분산(ANOVA)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 및 논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특성화고 학생들이 갖는 학교생활 스트레스의 성별과 학년, 특성화고 유형별 특성에 맞게 학생들에 대한 지도, 심리 상담 및 스트레스 방지와 극복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에서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스트레스의 성별 차이와 학년별 차이, 특성화고 학교 유형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의 연구에서도 고등학생들의 스트레스에 관심을 가지고 접근한 연구들(Park, 2009; Park and Park, 2018; Seo, 2018; Cho, 2020; Choi and Lee, 2022; Jeong, 2022)이 있었다. 하지만 연구대상에 있어서 특성화고 학생들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특성화고 학생들의 성별 및 학년에 따라 겪는 스트레스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특성화 고등학생들을 이해하고 지도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특성화고 학생들을 위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진로 상담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이 정책으로 제안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특성화고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Choi and Lee(2022)의 연구 결과를 지지하면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 것이라는 통념을 실증하는 결과이다. 또, 특성화고 학교 유형에 따라서는 특성화고 일반계열이 특성화고 수산해양 계열보다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스트레스의 원인과 해결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특성화고 학생들이 갖는 학교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 정책 및 지원 방안에 대한 마련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에서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의 성별 차이와 학년별 차이, 특성화고 학교 유형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의 연구에서도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심을 가지고 접근한 연구들(Kang, 2018; Kim et al., 2019)이 있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 특성화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Ahn, 2019; Ban et al., 2019; Yim and Nam, 2020)가 많이 부족하여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 인식에 대한 파악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가 특성화고 학생들의 성별, 학년, 특성화고 학교 유형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에 대한 중요한 실증적 데이터를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특이한 점은 특성화고 학교생활 만족도의 결과가 학교생활 스트레스 인식의 결과와 유사한 맥락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여학생들의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남학생보다 낮았으며, 2학년에서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성화고 학교 유형에서도 특성화고 유형이 수산해양 계열이 일반계열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일반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은 상황에서 특성화고 학생들을 학교생활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의 인식 차이를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보았다는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특성화고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관련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여 구조적 영향 관계를 심도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 또는 저서는 부경대학교 자율창의학술연구비(2022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 Ahn EB(2021).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Stress Coping Ability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2(3), 1415~1425. [https://doi.org/10.22143/HSS21.12.3.99]
  • Ahn JY(2019). A Study on School Education Satisfaction, Educational Needs, and Career Planing for Student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9(3), 61~92. [https://doi.org/10.34138/KJTE.2019.19.3.61]
  • Ban GW, Park JW and Hwang MY(2019). A Study on the Job Trading volume of Teachers of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and Students’ Satisfaction in School Life. JFMSE, 31(3), 727~740. [https://doi.org/10.13000/JFMSE.2019.6.31.3.727]
  • Chae CG and et al.(2005).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survey. KRIVET.
  • Chang AS and Jeong HW(2015). The Effects of Study-Stress of High School Students on Mental Health: a mediating or conditioning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on mental health. Journal of Public Policy Studies, 32(1), 29~48.
  • Cho EM(2020).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hopelessness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e Society, 21(1), 593~603. [https://doi.org/10.5762/KAIS.2020.21.1.593]
  • Cho SK, Lee ET and Lee EK(2016).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and School Maladjustment in the Relations between Stress and Intention to School Dropout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13(1), 1~20.
  • Choi JY and Lee KY(2022). Typology of the changes in daily life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due to the COVID-19: Analysis of the elementary-middle-high school students survey of Gyeonggi providence in Korea.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59, 1~33. [https://doi.org/10.20993/jSSW.59.1]
  • Hallinan MT(2008). Teacher influences on students' attachment to school. Sociology of Education, 81(3), 271~283. [https://doi.org/10.1177/003804070808100303]
  • Heo G(2013).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the relationships among major satisfaction,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ith marin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JFMSE, 25(6), 1306~1314. [https://doi.org/10.13000/JFMSE.2013.25.6.1306]
  • Heo G(2018).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school satisfaction of fisheries marine high school students with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JFMSE, 30(1), 260~267. [https://doi.org/10.13000/JFMSE.2018.02.30.1.260]
  • Heo G(2020). A study on the latent class analysis in the stress of school lie for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 students. JFMSE, 32(6), 1647~1654. [https://doi.org/10.13000/JFMSE.2020.12.32.6.1647]
  • Jeong YJ(2022).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 level and stress factors on subjective happiness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31(3), 179~198. [https://doi.org/10.17643/KJCE.2022.31.3.10]
  • Jung CH(2019).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on Suicidal ideation in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15), 1083~1100. [https://doi.org/10.22251/jlcci.2019.19.15.1083]
  • Jung GU and Seo SG(2016). Moderating Effect of Character Strength o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Korean Journal of East West Mind Science, 19(1), 53~73.
  • Kang HJ(2018). Explor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chool-life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1(1), 43~62. [https://doi.org/10.32341/JCER.2018.03.31.1.43]
  • Ki EK(2021). Analysis of the Life Satisfaction and Related Factors of the Middle/High School Students Before and After Covid-19. Global Social Welfare Review, 11(1), 73~91. [https://doi.org/10.31769/GSWR.2021.11.1.73]
  • Kim ES, Park JU and Hwang MY(2019). A Study on the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of the General and Innovative School. JFMSE, 31(1), 336~346. [https://doi.org/10.13000/JFMSE.2019.2.31.1.336]
  • Kim MS(2022).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amid COVID-19 Pandemic: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Peer Support.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3(3), 1901~1912. [https://doi.org/10.22143/HSS21.13.3.132]
  • Kim SR and Yoo JM(2016). The Effects of Peer Relationships and Academic Stress on Suicide Thought in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12), 691-706. [https://doi.org/10.21509/KJYS.2016.12.23.12.691]
  • Kwon SY(2022).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and Friend Support i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After COVID-19.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3(4), 2271~2284. [https://doi.org/10.22143/HSS21.13.4.158]
  • Lee HW(2020). Analysis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Weekend Leisure Activities Variable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Social Convergence Studies, 4(2), 131~142. [https://doi.org/10.37181/JSCS.2020.4.2.131]
  • Lee KS, Lim HJ and Ahan SH(2008).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IV–A summary report,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 Lee MJ, Lim CK and Ryu JY(2014). The Effect of the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on Somatization: focused o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Welfare Administration, 30, 109~133.
  • Lee SO, Lee SM, Kim JL and Lee, JS(2013). Relationship between School Life Stress, Self-Esteem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for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7(2), 11~21. [https://doi.org/10.12811/kshsm.2013.7.2.011]
  • Park SY and Park JS(2018). Factors affecting academic stress in adolesc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20), 799~818.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20.799]
  • Park YS(2009). The influences of school-related stress, conflicts with parents, and conflicts with friends on suicidal ideation of Korean adolescents: centered on gender difference. Stress Study, 17(4), 389~398.
  • Seo BJ(2018). In the impact of academic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teenagers: focusing on dual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Crisisonomy, 14(6), 77~90. [https://doi.org/10.14251/crisisonomy.2018.14.6.77]
  • Seo IS and Hwang HE(2009).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school satisfac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8(3), 159~180.
  • Suh HN(2011). A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focusing on the effect of stress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0(3), 629~646.
  • Yim SY(2020). An analysis of the factors and patterns related to stress perception of students from different types of high schoo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e Society, 21(5), 598~606. [https://doi.org/10.5762/KAIS.2020.21.5.598]
  • Yim YJ and Nam JH(2020). The Effects of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Student’s Sports Club Activity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Course Maturity.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9(4), 199-212. [https://doi.org/10.35159/kjss.2020.08.29.4.199]

<Table 1>

General Status of Respondents

Category Division Frequency
(cases)
Ratio (%)
Gender Male 336 77.6
Female 97 22.4
Total 433 100
Grade 1st 105 24.2
2nd 115 26.6
3rd 213 49.2
Total 433 100
School
Type
Fisheries related 235 54.3
General 198 45.7
Total 433 100

<Table 2>

Reliability of Variables

Variable name Variable description Cronbach`s a
Stress Stress from Parents .878 .932
Stress from Study .825
Stress from Friends .869
Stress from Appearance .746
Stress from Economy .836
School Satisfaction .808

<Table 3>

School Stress Difference by Gender

Category Gender n M SD t
***p< .001, M: Male, F: Female
Parent Stress M 336 1.99 0.82 -4.34***
F 97 2.41 0.92
Study
Stress
M 336 2.25 .92 -3.80***
F 97 2.65 .90
Friend
Stress
M 336 1.65 .79 -1.34
F 97 1.78 .89
Appearance
Stress
M 336 2.01 .92 -6.23***
F 97 2.67 .95
Economy
Stress
M 336 1.91 .95 -4.70***
F 97 2.43 .98
Total
Average
Stress
M 336 2.19 .57 -4.65***
F 97 2.50 .55

<Table 4>

School Stress Difference by Grade

Category Grade n M SD F scheffe
*p< .05
Parent Stress 1st 105 2.01 .87 1.43
2nd 115 2.20 .91
3rd 213 2.06 .83
Study
Stress
1st 105 2.20 .91 1.59
2nd 115 2.41 .99
3rd 213 2.37 .90
Friend
Stress
1st 105 1.52 .64 3.35* 1st<2nd
2nd 115 1.81 .91
3rd 213 1.69 .83
Appearance
Stress
1st 105 2.09 .95 1.27
2nd 115 2.28 1.00
3rd 213 2.12 .96
Economy
Stress
1st 105 2.03 .98 .98
2nd 115 2.14 1.02
3rd 213 1.98 .95
Total
Average
Stress
1st 105 2.19 .56 1.034
2nd 115 2.30 .60
3rd 213 2.27 .57

<Table 5>

School Stress Difference by School Type of Specialized High School(N=433)

Stress Sub Category School Type n M SD t
***p< .001, *p< .05
Fh: Fisheries related type specialized high school,
Gh: General type specialized high school
Parent Stress Fh 235 2.00 .87 -2.32*
Gh 198 2.19 .85
Study
Stress
Fh 235 2.28 .95 -1.53
Gh 198 2.42 .91
Friend
Stress
Fh 235 1.61 .72 -2.01*
Gh 198 1.77 .90
Appearance
Stress
Fh 235 2.06 .92 -2.37*
Gh 198 2.28 1.01
Economy
Stress
Fh 235 1.87 .92 -3.84***
Gh 198 2.23 1.01
Total
Average
Stress
Fh 235 2.20 .54 -2.39*
Gh 198 2.33 .61

<Table 6>

School Satisfaction Difference by Gender(N=433)

Category Gender n M SD t
***p< .001, M: Male, F: Female
School Satisfaction M 336 3.34 .80 3.57***
F 97 3.02 .71

<Table 7>

School Satisfaction Difference by Grade (N=433)

Category Grade n M SD F scheffe
***p< .001
School
Satisfaction
1st 105 3.30 .75 11.744*** 1st>2nd
3rd>2nd
2nd 115 2.98 .85
3rd 213 3.41 .74

<Table 8>

School Satisfaction Difference by School Type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N=433)

Category School
Type
n M SD t
***p< .001
Fh: Fisheries related type specialized high school,
Gh: General type specialized high school
School
Satisfaction
Fh 235 3.39 .80 3.62***
Gh 198 3.12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