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Current Issue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6 , No. 1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2, No. 4, pp. 967-979
Abbreviation: J Kor Soc Fish Mar Edu.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Aug 2020
Received 17 Jun 2020 Revised 08 Jul 2020 Accepted 13 Jul 2020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0.8.32.4.967

지역사회연계 교육 활동의 사회적 가치평가: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 사례 연구
정소미 ; 나원배 ; 정용현*
부경대학교(학생)
*부경대학교(교수)
부경대학교(교수)

Social Value Assessment Through Community-based Education: A Case Study of Busan Green Environment Center
Somi JUNG ; Won-Bae NA ; Yong-Hyun JEO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stud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Pukyong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 051-629-6588, wna@pknu.ac.kr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Consider social value (or contribution) of community-based education of the Busan Green Environment Center (BGEC), we analyzed the outcom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in the last three years (2015~2017). Accordingly, we developed ten indices (E1~E10) and proposed equations to calculat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ocial value (EESV) of each program. The EESVs in the last three years of the BGEC have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number of trainees (E1), rather than program hours (E2). This is because the higher the number of trainees, the more likely it is to create 8 indices (E3~E10). When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past three years, the average of the EESV fluctuated slightly from year to year, but the total EESV increased by year. This indicates that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BGEC and the social valu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re increasing. To utilize the social return on investment (SROI),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detailed information on stakeholder inputs, outputs and outcom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ind substitute criteria for estimating monetary value, and detailed activity information of stakeholders is required. Therefore, in order to apply the SORI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data more closely, and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extent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efforts for this purpose and determine whether to utilize the SROI.


Keywords: Community-based education, Social value assessment, Environment, Busan green environment center

Ⅰ. 서 론

현대사회에서 환경은 사회적 가치이며, 이를 위협하는 환경문제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저해하는 주체이다(예: Kim et al., 2016; Yoon et al., 2016; Jung and Na, 2018; Olaussen, 2018; Woo et al., 2018; Le et al., 2020; Lee et al., 2020; Scherer et al., 2020). 따라서 사회적 가치와 지속 가능한 발전에의 소명은 사회책임으로,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법규, 시스템, 전략, 방법을 혁신적으로 구축하고, 이를 실행하는 행위를 사회혁신으로 정의할 수 있다. 현재 지구촌 곳곳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가치, 지속 가능한 발전, 사회책임 및 사회혁신을 추구하는 환경센터들이 존재한다. 이들 센터는 기후변화와 같은 전 지구적인 환경문제는 물론이고, 특정 지역에서의 환경문제를 정부(중앙, 지자체), 기업, 시민단체, 대학, 연구소 등과 협력하여 해결하고 있다. 대표적인 국내외 환경센터는 세계환경센터(WEC, 2020), 지역환경센터(REC, 2020), 녹색환경지원센터(GEC, green environment center)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정부, 다자간 단체, 비정부기구, 기타 이해관계자들과 제휴하는 글로벌 비영리 비정부기구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사회적 가치(SV, social value)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물질주의, 발전주의가 초래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경제적 가치와는 구별되는 가치영역을 의미한다(Park and Lee, 2018). 최근 사회적 가치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분야(생태경제학, 지리학, 심리학, 사회학, 예술, 인문학 등)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는 연구가 특정 분야의 개념적 기초와 방법론을 바탕으로 진행되고 있다(Johnson et al., 2019).

지속 가능한 발전(SD, sustainable development)은 미래세대가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능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현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방식으로 발전하는 것을 의미한다(WCED, 1987; Son, 2015). 이는 사회적 책임(SR, social responsibility)의 근간이 되는 국제표준 ISO 26000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Castka and Balzarova, 2008; Kim and Lee, 2013). ISO 26000은 사회적 책임과 관련한 국제적 이해 지침들의 종합이라고 할 수 있으며, 기본 구조는 원칙, 기본 실행, 핵심주제에 대한 지침 등으로 설명된다. 여기서 핵심주제에 대한 지침은 ①지배구조, ②인권, ③노동 관행, ④환경, ⑤공정운영 관행, ⑥소비자 이슈, ⑦지역사회 참여 및 개발이다. 이들 중 환경의 사회책임 이슈는 4개 쟁점 사항(①오염방지; ②지속 가능한 자원이용; ③기후변화 완화와 적응; ④환경보호, 생물 다양성 및 자연 서식지 복원)으로 구성되고, 지역사회 참여 및 개발 이슈는 7가지 쟁점 사항(①지역사회 참여; ②교육과 문화; ③고용창출과 기능개발; ④기술 개발과 접근성; ⑤부와 소득창출; ⑥보건; ⑦사회적 투자)으로 구성되어 있다(Valcárcel and Lucena, 2014).

사회혁신(SI, social innovation)도 사회적 가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는 사회구성원인 시민의 힘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말하기 때문이다(Dionisio and de Vargas, 2020). 사회혁신을 통해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사례는 지구촌 곳곳에서 발견되며, 환경단체, 시민사회 등이 스스로 환경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일련의 움직임(예: 재생에너지 협동조합, 공공재활용센터)은 사회적 가치 창출을 더욱 확대하고 있다(Cowan and Zinovyeva, 2013).

최근 사회 맞춤형 산학협력(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을 통한 지역사회 공헌이 강조되고 있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대학 자율성 확대, 개방성 및 확산성 제고, 산학협력 분야 다양화, 산학협력의 사회적 기여 측정을 권고하고 있다. 따라서 지식기반 산학협력으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측정하는 논의와 실행이 활발해지고 있다(예: Kim and Jeong, 2016). 특히, 다양한 지역사회 현안을 팀 프로젝트를 통하여 해결하는 지역사회 혁신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를 위해 프로젝트 기반 교육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Woo and Na, 2013; Jung and Weong, 2016; Jung and Hong, 2018; Yang, 2019).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사회적 가치, 지속 가능한 발전, 사회적 책임, 사회혁신, 사회 맞춤형 산학협력(예: 지역사회 공헌 기능)은 ISO 26000의 핵심주제인 환경 및 지역사회 참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Choe, 2019). 따라서 국내외 환경센터의 ‘지역사회연계 교육을 통한 사회 맞춤형 산학협력’ 현황을 분석하고, 핵심성과의 사회적 가치(기여)를 측정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연구주제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 가치(기여)를 측정하는 정량화된 지표로는 ‘대학사회책임지수’, ‘지역사회공헌지수’ 등이 있으며, 이들 지표는 사립종합대학의 사회적 책임 측정, 산학협력 선도대학의 지역사회공헌 측정 등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특정 조직과 프로젝트의 사회적 가치 측정을 위한 표준화된 접근법이 개발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균형 성과표’와 ‘사회적 투자수익률’ 기법을 사용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Cho, 2012; Cho and Ryu, 2014; Kim and Jeong, 2016).

그러나 이들 지표와 기법을 특정 환경센터의 사회기여 및 가치 측정에 여과 없이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며, 센터 고유의 특성과 여건으로 인해 이를 센터 간의 비교 도구로써 사용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 또한, 이를 제한된 자원의 배분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한다면, 가치 측정과 이의 검증을 위해 과도한 비용과 경쟁을 초래할 수도 있다(Stevenson et al., 2010; Cho, 2012). 더욱이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는 방법론에는 불확실성이 언제나 존재하기에 이로 인한 불필요하고 경쟁적인 평가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 이런 이유로 산학협력 선도대학에 사용되는 지역사회공헌지수는 대학이 자체적으로 개발하도록 교육부가 권고하고 있으며, 이를 운용하여 대학이 고유의 특화된 사회적 공헌 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 질문은 “환경센터가 추진하고 있는 지역사회연계 교육의 사회적 가치(기여) 측정을 어떻게 할 것인가?”이다. 이는 환경센터마다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현하고 있으며, 중점적으로 지원하는 사회공헌의 영역도 다양하다는 전제하에 사회적 가치 또는 기여를 측정하는 방법과 이를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시도는 조직의 총 가치를 높이기 위한 관리적 목적이 강하며, 측정 자체, 측정값, 그리고 조직 간 우수성을 비교하기 위한 목적은 없다. 이는 사회적 가치를 경제적 가치처럼 화폐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지, 있다면 조직의 총 가치를 최대화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 간의 적절한 비율과 균형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관한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다(Jung, 2019). 이를 위해 우리나라 18개 녹색환경지원센터 중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의 지역사회연계 교육의 성과를 정량화하고 이의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환경센터의 지역사회연계 교육의 사회적 가치 측정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조직의 총 가치를 높이기 위한 관리적 목적에 활용될 수 있다.


Ⅱ. 연구 방법
1.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

녹색환경지원센터는 지역 환경현안 해결과 녹색성장의 기반 조성 및 활성화를 위해 1998년부터 우리나라 환경부가 추진하고 있는 연구사업이다. 초기에는 대학과 연구기관 중심의 다양한 소규모 주제 연구사업으로 추진되었으나, 지역 현안 해결과 기술개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연구과제 및 연구책임자 선정에 민간참여 확대, 지역 현안 해결형 연구, 지역참여형 연구 시범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2020년 6월 기준으로 전국에 총 18개의 녹색환경지원센터가 설치되었거나 설치되고 있으며, 주관기관 중심으로 산ㆍ학ㆍ관ㆍ민ㆍ연의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있다(<Table 1>). 녹색환경지원센터연합회는 지역 녹색환경지원센터의 공동 관심 사항 협의, 정보교류 활성화, 센터들의 공동 발전 도출, 연구ㆍ개발된 환경기술 및 환경정책 등의 확산, 지역 환경문제 해결 등을 위하여 2004년에 설립된 사단법인이다. 따라서 녹색환경지원센터와 연합회의 설립 취지, 비전 및 목표는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사회적 가치, 사회적 책임, 사회혁신과 관련된다.

<Table 1> 
Green Environment Centers (GECs)
GEC Host Organization
Seoul GEC Univ. of Seoul
Busan GEC Pukyong National Univ.
Daegu GEC Keimyung Univ.
Incheon GEC Incheon National Univ.
Gwangju GEC Chonnam National Univ.
Daejeon GEC Chungnam National Univ.
Ulsan GEC Univ. of Ulsan
Gyeonggi GEC Myongji Univ.
Ansan GEC Hanyang Univ. ERICA
Siheung GEC Korea Polytechnic Univ.
Jeonbuk GEC Jeonbuk National Univ.
Chonnam GEC Chonnam National Univ. Yeosu
Gyeongbuk GEC Yeungnam Univ.
Gyeongnam GEC Changwon National Univ.
Jeju GEC Jeju National Univ.
Gangwon GEC Kangwon National Univ.
Chungbuk GEC Chungbuk National Uiv.
Chungnam GEC ChungNam Institute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BGEC, Busan green environment center)는 부산지역의 환경문제 해결을 위하여 부경대학교를 주관기관으로 산ㆍ학ㆍ관ㆍ민ㆍ연의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2005년 4월에 환경부로부터 지정받아 설립되었다(BGEC, 2020). 주요 기능은 ①부산지역의 환경여건 조사와 연구; ②지역 환경 기준 설정과 환경정책연구; ③사전오염 예방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업환경기술지원사업; ④환경정보 전파, 보급, 촉진 극대화(환경교육사업 추진, 시민들의 환경의식 제고, 자발적인 일상 속 실천 등)이다. 환경교육의 목적은 환경 관련 기관, 관계자, 산업체 환경관리자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각종 환경정보, 첨단환경기술을 전파하고, 환경의식 수준 향상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환경교육의 종류는 ①환경 관련 기관 담당자의 환경정보교육; ②산업체 환경관리자의 환경기술교육; ③환경 분야 실무 및 이론교육을 통한 환경전문가 양성; ④각종 환경 관련 워크숍, 세미나, 심포지엄 및 산ㆍ학ㆍ연ㆍ관 협동 공개강좌 개최; ⑤환경 관련 행정기관과 산업체의 환경 관련 교육지원을 포함한다.

2. 사회공헌 또는 사회적 가치 측정

대학사회책임지수는 ISO 26000의 7개 핵심주제에 기반을 두고 2017년부터 ‘한국CSR연구소’ 등이 공동 기획하여 매년 4년제 사립대학교의 포괄적 사회적 책임 이행 수준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정량화된 지표이다. 2019년 평가의 경우 객관적 평가를 위해 공개영역에서 자료를 추출하였고, 각 항목의 최근 3개년 공시자료를 집적해 연도별 가중치(5:3:2)를 적용하여 평균값을 계산했다. 부문별로 가중치를 적용하여 합산 점수는 학점(A+부터 D-까지)으로, 총점은 원점수를 1,000점으로 환산해 평가했다. 지역사회 부문의 세부지표는 12개이며 이는 평생학습 강의, 사회봉사, K-MOOC, 자원봉사 등과 관련된다. 또한, ‘한국CSR연구소’ 등은 매년 대기업 사회책임지수를 창출하고 있으며, 평가부문은 사회, 환경, 거버넌스/이해관계자 부문으로 구성된다. 교육과 관련된 세부지표는 1인당 교육 훈련비, 직원 대상 환경교육 시행이다. 따라서 지역사회연계 교육의 사회적 가치(기여) 측정에는 대기업 사회책임지수보다 대학사회책임지수가 관련성이 높다.

사회공헌지수(ESI, economic social impact index)는 2017년부터 시작된 사회 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사업)에서 지식 가치 창출,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발전 등 다양한 사회적 효과를 측정하고자 도입되었다. 교육부는 지역사회공헌 측정을 위한 지표인 사회공헌지수를 참여대학 특성에 맞게 설계하도록 제안하고 있으며, 참여대학은 지역산업 및 지역사회 수요를 반영하고 이에 대한 기여를 측정할 수 있는 ESI를 개발하여 성과측정에 활용하고 있다. 55개 참여대학 중 부경대학교의 ESI는 ISO 26000의 핵심주제인 ‘지역사회 참여와 발전’의 5개 세부주제를 반영하여 설계되었다. 또한, 국립대학으로서의 사회적 책무성과 공공성 강화를 위해 ESI를 산학협력 중장기발전계획과 산학협력 선도모델에 반영하고 있으며, 달성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ESI를 산학협력 성과지표로 활용하고 있다. 이는 경제적 영향도(EI, economic impact)와 사회적 영향도(SI, social impact)로 구성되며, EI는 가중치를 0.3, SI는 가중치를 0.7 반영하였다. 경제적 영향도에는 구성요소로 산출된 경제적 가치와 해당연도 산학협력단 예산을 반영하여 정규화하였으며, 사회적 영향도에는 산학협력 캠퍼스인 드래곤밸리 입주기업과 지역사회 대상으로 수행된 프로그램 수를 반영하였다. 따라서 ESI는 식 (1)과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 SF는 EI와 SI 간의 규모를 맞추기 위한 인자이다.

ESI=0.3×EI×SF+0.7×SI(1) 

경제적 영향도는 10개 요소로 구성되며, 이는 ISO 26000의 핵심주제인 고용창출과 기능개발(2개), 기술 개발과 접근성(4개), 부와 소득창출(4개)과 연계된다. 사회적 영향도는 8개 요소로 구성되며, 이는 ISO 26000의 핵심주제인 지역사회 참여(4개), 교육과 문화(4개)와 관련된다. EI의 구성요소는 화폐단위로 정량화되며, SI의 구성요소는 프로그램 수, 프로젝트 수, 연구 건수 등으로 정량화된다. 따라서 앞서 서술된 바와 같이, 산학협력단 예산으로 화폐단위를 정규화한 후, SF를 활용하여 EI와 SI의 규모를 맞추고, 이를 합하여 사회공헌지수를 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사회적 투자 수익률(SROI, social return on investment)은 한 조직이 창출하는 다양한 가치를 유형의 화폐화된 가치로 환산하는 방법이다. 이는 영국 정부 등이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가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2008년에 여러 조직으로 이루어진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개발되었고(Kim and Jeong, 2016, Ryu et al., 2016), 이후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에서도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Cho and Ryu, 2014). SROI는 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경제적 가치(EV, economic value)는 프로젝트 등 활동에서 각 주체에게 돌아간 현금이며, 사회적 가치(SV)는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한 활동을 화폐적 가치로 환산한 값이고, 투입된 총 가치(TV, total value)는 활동에 실질적으로 투자된 가치이다.

SROI=EV+SVTV(2) 

SROI의 7가지 원칙은 <Table 2>와 같이 ①이해관계자 참여, ②변화의 이해, ③가치화, ④중요성, ⑤과대 산정 불가, ⑥투명성, ⑦결과검증이다(Fujiwara, 2015).

<Table 2> 
Seven principles of SROI
Stages
Principle 1. Involve stakeholders - involve stakeholders by informing them what gets measured and how
Principle 2. Understand what changes – articulate how change is created and evaluate this
Principle 3. Value the things that matter – use financial proxies in order that the value of the outcomes can be recognized
Principle 4. Only include what is material – determine what information and evidence must be included
Principle 5. Do not over-claim – only claim the value that your are responsible for creating
Principle 6. Be transparent – demonstrate the basis on which the analysis is considered
Principle 7. Verify the result – ensure appropriate independent assurance to show decisions made are reasonable

SROI 분석은 <Table 3>과 같이 6단계로 이루어진다(Cho and Ryu, 2014, Ziolo, 2020). 1단계는 분석 범위와 이해관계자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2단계는 활동에 투입된 투입물의 가치를 평가하고, 산출물과 결과물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3단계는 결과물의 가치를 판단할 지표를 설정하고, 지속기간을 확립하여 결과물에 가치를 부여하는 단계이다. 4단계는 사중 및 대체효과에 따른 성과 감소비율 결정, 귀인 효과에 따른 성과 감소비율 결정, 체감 효과에 따른 성과 연도별 감소비율 결정을 통하여 영향력을 보정한 다음 최종 영향력을 계산하는 단계이다(Choi, 2019). 5단계는 SROI를 산출하고, 민감도 분석을 시행하는 단계이며, 6단계는 분석된 결과를 활용하고 내재화하는 단계이다.

<Table 3> 
Six stages for analysis of SROI
Stages
Stage 1. Establishing scope:
ㆍDefine what service, what periods.
ㆍDefine stakeholder groups and engagement.
Stage 2. Map outcomes
ㆍOutcomes/benefits from stakeholder interviews.
ㆍCross-reference between stakeholders – which benefits contribute to more than one group.
Stage 3. Evidence and value
ㆍTriangular responses and add desk-based research.
ㆍSanity-check calculations with original respondents.
Stage 4. Establish impact
ㆍAttribute to this or other initiatives.
ㆍDeadweight – what would have happened anyway?
ㆍDrop-off – how long do the cost last, how long do the benefit lasts?
Stage 5. Calculate SROI
ㆍEnsure you’ve captured all the costs, and attributed them correctly to the correct stakeholders. Are some "in kind" costs?
ㆍCapture all benefits. Avoid double-counting
ㆍMinimum and maximum for sensitivity analysis.
Stage 6. Report using embedding
ㆍStakeholder review and comments
ㆍWhat is found to be the most valuable by the recipient – can you do more of this?
ㆍWhat could be improved?

여기서 사중(deadweight)은 활동이 없었더라도 발생했을 성과물의 양을 의미한다. 즉, 조직의 활동이 없더라도 어차피 발생했을 변화를 가리키는 의미이다. 대체(displacement)는 활동의 성과가 다른 활동의 성과로 옮겨간 것을 말한다. 귀인(attribution)은 다른 조직이나 사람에 의하여 발생한 성과를 말한다. 즉, 어떤 행동을 목격하고, 다양한 원인 중 어떤 원인을 그 행동에 귀속시켜야 할지 추론하고 결정하는 과정이다. 체감(drop-off)은 1년 이상 지속해서 발생하는 성과가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는 것을 말한다. 즉, 비용과 혜택이 얼마나 오래가는지 고려하는 것이다.

앞에서 살펴본 대학사회책임지수는 공개영역에서 자료를 추출해, 부문별로 합산 점수를 학점으로 총점은 원점수를 환산해 평가했다. 즉, 화폐 가치를 사용하지 않았다. 반면 사회공헌지수의 경우, 경제적 영향도의 화폐 가치는 특정 예산을 반영하여 정규화하였고, 사회적 영향도는 수행된 프로그램 수, 프로젝트 수 등으로 정량화되었다. 이후 규모 인자를 활용하여 경제적 영향도와 사회적 영향도를 합산하였다. 사회적 투자수익률은 창출된 다양한 가치를 화폐화된 가치로 환산한 후 이를 총 가치로 정규화하였다. 이들 방법은 각각의 고유한 특성이 있으므로,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가 수행한 지역사회연계 교육 활동의 가치 측정을 위해서 이들 가치 측정 도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런 시도를 통해 이들 측정 도구를 활용하기 위한 충분한 자료가 집적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센터가 추진하고 있는 지역사회연계 교육의 사회적 가치 측정을 실현할 수 있다.

3. 지역사회연계 교육의 사회적 가치 산출

녹색환경지원센터의 사회적 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자료는 다음과 같다: 사업성과 평가자료, 종합성과보고서, 사업실적 보고서. 이들 자료를 분석하면, 녹색환경지원센터의 기능은 ①기업지원, ②연구개발, ③환경교육, ④센터운영 및 발전으로 구성된다. 이들 4개 분야의 대표적인 정량적인 성과는 다음과 같다: 기업지원(지원 기업 수, 지원 횟수), 연구개발(연구지원비, 연구논문, 특허, 실용신안), 환경교육(교육 이수자 수, 교육 시간), 센터운영 및 발전(국고 지원비, 국고 외 지원비). 2017년 15개 센터별 환경교육 이수자 수, 교육 시간은 <Table 4>와 같다. [Fig. 1]과 같이 두 정량지표의 양의 상관성은 유의하지 않음으로(결정계수 R2 = 0.0088), 서로 독립된 정량적 지표로 간주할 수 있다. 정성적으로 서술된 내용은 교육과정명, 교육대상, 교육내용, 교육과정 운영 성과, 활용실적이다. 이를 정량화하는 방안으로 활용실적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활용실적은 자격증 취득(E3), 언론 보도(E4), 수상(E5), 취업(E6), 강의와 컨설팅 활동(E7), 직무연수 성과(E8), 취업역량 향상(E9), 진로설정 향상(E10)으로 분류할 수 있다.

<Table 4>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ID Number of Trainees Program Hours
C01 920 194
C02 506 390
C03 659 284
C04 205 545
C05 667 250
C06 594 323
C07 888 264
C08 1,246 407
C09 439 160
C10 438 255
C11 2,522 345
C12 536 294
C13 1,139 385
C14 1,074 228.5
C15 218 203


[Fig. 1]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trainees and the program hours.

대학사회책임지수와 같이 공개영역에서 자료를 추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환경지원센터의 사회적 가치 또는 공헌의 측정 가능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사회공헌지수와 같이 경제적 영향도의 화폐 가치는 환경교육에 투입된 예산을 환경센터의 총예산으로 정규화하여 반영할 수 있지만, 센터가 추진하는 사업의 다양성과 제한된 예산으로 인하여 이를 지표로 채택하지 않았다. 또한, 축적된 자료에 설문내용을 바탕으로 하는 이해관계자의 의견 등이 부족하여 사회적 투자수익률을 활용하여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기는 쉽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사회책임지수와 지역사회공헌지수 개념을 반영하여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가 수행한 지역사회연계 교육의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고, 향후 화폐화된 가치 창출 또는 사회적 투자수익률 적용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는 2017년에 12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ERDD, 2018). 이들 프로그램의 환경교육 이수자 수(E1), 교육 시간(E2), 교육과정 활용실적(E3~E10)을 정리하면 <Table 5>와 같다. 여기서 자격증 취득은 부분합격, 필기합격을 제외한 최종합격만 고려하였고, 취업은 교육을 통한 새로운 취업을 말하며, 활동은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강의와 컨설팅 활동을 말한다. 직무연수 성과는 직무연수를 통해 인정된 참여교사의 학점 총합을, 학업역량 향상은 향상도를 백분율로 표현한(예: 80%) 후 교육 인원수를 곱한 값을, 진로설정 향상은 향상도를 백분율로 표현한(예: 63%) 후 교육 인원수를 곱한 값을 사용하였다. 취업 가능한 전문인력 양성, 고용창출과 청년 창업 등의 경쟁력 강화, 업무 활용 등과 같이 정량화가 쉽지 않고, 타 실적과 연관되거나 겹칠 수 있는 실적은 제외하였다. 또한, 취업으로 인한 신규 일자리 창출 및 소득창출은 취업(E6) 항목이 이를 충분히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Table 5> 
Environmental education outcomes
ID Outcome Items Outcome
E1 Number of Trainees 506
E2 Program Hours 390
E3 Professional licenses (certifications) 15
E4 Press coverage 18
E5 Awards 1
E6 Employment (new) 2
E7 Activity (lecturing, consulting) 53
E8 Outcome of job training (credit) 80
E9 Job competency improvement 36
E10 Career setting 28

<Table 5>를 기준으로 지역사회연계 환경교육에서 수행된 특정 프로그램의 사회적 가치(EESV, environment education social value)는 식 (3)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Eisum는 <Table 5>와 같이 해당연도 특정 교육 성과지표의 총합이며(예: E1에서 506), Ei는 특정 프로그램의 교육 성과지표이고, αi는 교육 성과별 가중치(weight)이다. 가중치는 센터가 지향하는 비전과 목표를 반영하여 결정되었고, 범위는 0<αi<1이며, 총합은 1이 되도록 <Table 6>과 같이 설정하였다.

<Table 6> 
Weights of each index
ID Outcome Items Weight
E1 Number of Trainees 0.10
E2 Program Hours 0.10
E3 Professional licenses (certifications) 0.10
E4 Press coverage and promotion 0.05
E5 Awards 0.05
E6 Employment (new) 0.20
E7 Activity (lecturing, consulting) 0.15
E8 Outcome of job training (credit) 0.05
E9 Job competency improvement 0.10
E10 Career setting 0.10

식 (3)은 특정 연도에 수행된 지역연계 환경교육 프로그램 간의 기여도 또는 비교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설정되었다. 따라서 다른 연도에 수행된 프로그램과의 비교를 위해서는 식 (3)에서의 정규화를 생략한 식 (4)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즉, 2017년 일 년 동안 수행된 프로그램의 비교가치는 식 (3)을 활용하고, 최근 3년 동안(2015~2017) 수행된 프로그램의 개별 가치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식 (4)를 활용한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식 (3)을 사용하면 모든 프로그램의 EESV의 합은 1이지만 식 (4)를 사용하면 모든 프로그램의 EESV의 합은 1이 아니다. 이는 식 (4)에서 정규화 과정이 배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EESV=i=110αiEiEisum(3) 
EESV=i=110αiEi(4) 

Ⅲ. 결과 및 고찰

<Table 7>은 식 (3)으로 산출된 2017년 12개 지역사회연계 환경교육 프로그램(P1~P12)의 사회적 가치를 나타낸다.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나타내었으며, 이들 EESV를 합하면 1이 된다. EESV가 높은 프로그램은 P1(환경분야 측정분석 전문가 양성 교육 – 수질/대기), P8(부산지역 환경 인재 취업역량 강화교육 및 환경 일자리 캠프), P3(환경안전관리 전문가 양성과정/심화과정), P2(저탄소 마을 만들기 예비 활동가 양성 교육) 순이다. 반면 P12(실버 환경봉사단 양성 교육), P4(환경 아이디어 특허출원 교육), P7(악취 및 VOCs 분석 및 평가 전문가 양성 교육) 순으로 성과가 낮았는데, 이는 잠재적 성과 서술에 의한 정량화 평가가 어렵기 때문이다.

<Table 7> 
EESV in 2017
Project EESV Rank Contributed
Value %
P1 0.260 26.0 1
P2 0.105 10.5 4
P3 0.123 12.3 3
P4 0.011 1.1 11
P5 0.062 6.2 7
P6 0.066 6.6 6
P7 0.012 1.2 10
P8 0.219 21.9 2
P9 0.076 7.6 5
P10 0.031 3.1 8
P11 0.025 2.5 9
P12 0.009 0.9 12
Sum ≒ 1 ≒ 100

같은 방법으로 2016년, 2015년 부산 녹색환경지원센터에서 수행된 지역사회연계 환경교육 프로그램(ERDD, 2016; ERDD, 2017)의 EESV를 산정하였다. 2016년의 9개, 2015년의 8개 프로그램 성과를 반영하였다. 해당연도 수행된 모든 프로그램에서 성과가 없는 지표의 경우 같은 값(예: 1)을 식 (3)에 반영하였다. 이들 결과는 <Table 8>, <Table 9>와 같다. 2016년에는 P1(그린리더 양성 교육 – 비산업부문 온실가스 감축 컨설턴트 양성 기본과정), P4(환경안전관리 전문가 양성 심화과정) 순으로 성과가 높으며, 2015년에는 P3(환경과 문화 융합 교육), P4(그린리더 양성 교육(고급자)과정) 순으로 성과가 높다. 반면, 2016년에는 P2(환경 아이디어 특허출원 교육), P9(악취 및 VOCs 분석 및 평가 전문가 양성 교육) 순으로 성과가 낮으며, 2015년에는 P6(부산지역 환경인재 취업역량 강화교육), P5(그린리더 양성 교육(중급자)과정) 순으로 성과가 낮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성과가 낮은 이유는 해당 프로그램의 활용실적에 잠재적인 성과 서술이 많아서 정량화 평가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 활용실적에 <Table 5>의 지표를 반영한 서술이 필요하다.

<Table 8> 
EESV in 2016
Project EESV Rank Contributed
Value %
P1 0.192 19.2 1
P2 0.048 4.8 9
P3 0.158 15.8 3
P4 0.170 17.0 2
P5 0.096 9.6 6
P6 0.104 10.4 5
P7 0.073 7.3 7
P8 0.107 10.7 4
P9 0.051 5.1 8
Sum ≒ 1 ≒ 100

<Table 9> 
EESV in 2015
Project EESV Rank Contributed
Value %
P1 0.083 8.3 6
P2 0.179 17.9 3
P3 0.204 20.4 1
P4 0.187 18.7 2
P5 0.070 7.0 7
P6 0.051 5.1 8
P7 0.114 11.4 4
P8 0.113 11.3 5
Sum ≒ 1 ≒ 100

식 (3)은 해당연도 프로그램 간의 비교가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따라서 최근 3년간(2015~2017) 수행된 프로그램의 EESV는 식 (4)를 사용하여 계산되었고, 이를 [Fig. 2]에 나타내었다. 2015년과 2016년의 EESV는 프로그램 이수자 수(E1)에 관해서 유의한 양의 상관성(결정계수 R2 = 0.95, 0.84)을 나타낸다. 반면 2017년 EESV는 이수자 수에 관해서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연도별 EESV의 합은 76.85(2015년), 88.00(2016년), 110.80(2017년)이며, 이를 수행된 프로그램 수(2015년 8개, 2016년 9개, 2017년 12개)로 나눈 평균값은 9.61(2015년), 9.78(2016년), 9.23(2017년)이다. 따라서 지역연계 환경교육 개별 프로그램의 EESV 평균은 연차별로 다소 변동이 있으나, 프로그램의 총 EESV는 연도별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가 수행한 지역사회연계 환경교육의 사회책임과 이를 통한 환경교육의 사회적 가치가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Fig. 2] 
EESVs at 2015, 2016, and 2017, showing their distributions, R2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w.r.t. E1), their totals (76.85, 88.00, and 110.80), and averages (9.61, 9.78, and 9.23), respectively.

EESV의 교육 시간(E2)에 관한 상관성을 [Fig. 3]에 나타내었다. 이 경우 [Fig. 2]와는 다르게 양의 상관성이 확연치 않음으로, EESV는 교육 시간보다는 프로그램 이수자 수와 더욱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학사회책임지수와 같이 해당연도 EESV는 최근 3년간 환경교육 프로그램 성과를 활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Fig. 3] 
EESVs at 2015, 2016, and 2017, w.r.t. E2.

예를 들면 최근 3년간 성과에 연도별 가중치 ‘0.5:0.3:0.2’를 활용하면, EESV는 97.17로 산출된다. 이와 같은 방법은 해당연도 가치 측정에 지난 2년간의 가치를 부분적으로 반영한 것으로 프로그램의 지속적 가치 측정에 활용될 수 있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SROI는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결과물을 측정하고, 이를 화폐적 가치로 표현하며, 전략적 계획화, 개선, 영향력 설명, 투자 유치 혹은 투자 의사 결정을 위한 도구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환경교육 프로젝트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이를 단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범위 설정과 이해관계자 설정. 범위는 해당연도 환경교육 프로그램 또는 그 일부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해관계자를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수강자, 그리고 수강자들이 운용했던 프로젝트에 참여한 지역사회 주민으로 설정할 수 있다. (2) 결과물 매핑. ①투입물 확인과 가치평가: 위에서 정의된 세 가지 부류의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수행된다. 투입물은 교육비, 참가비, 시간, 노력 등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노력은 측정 불가하며, 시간에 대해서는 현재 ‘사회적 투자수익률의 관행’에 따라 재무적 가치를 산정하지 않을 수 있다(Kim and Jeong, 2016). ②산출물과 결과물 작성: 산출물은 각 이해관계자의 활동에 대한 양적인 요약을 말하고, 결과물은 활동을 통해 각 이해관계자에게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뜻한다. 따라서, 산출물과 결과물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개별 프로그램별로 상세한 기록이 필요하다. (3) 결과물 증명과 가치부여. ①결과물 지표와 재무적 대용치 개발: 결과물 지표를 개발한다는 것은 결과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을 산정한다는 것이고, 재무적 대용치를 개발한다는 것은 시장가격이 매겨져 있지 않은 대상물의 화폐적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대용 가능한 기준을 찾는 것이다. 만일 결과물이 ‘지역 공헌 관심 증가’라면 결과물 지표는 ‘추가적 봉사활동 횟수’, 재무적 대용치는 ‘봉사활동에 쓴 비용’으로 개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도 이해관계자들의 상세한 활동 정보가 필요하다. ②결과물의 가치부여: 개발된 결과물 지표와 재무적 대용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결과물에 대한 화폐적 가치를 부여한다. 예를 들면 ‘봉사활동에 쓴 비용’을 측정하기 위해 당사자를 만나 면담을 진행하고 이를 산정한다. (4) 영향력 산정. 앞서 서술한 사중, 대체, 귀인, 체감을 고려하여 결과물의 최종 가치를 산정한다. 예를 들면 특정 이해관계자의 결과물이 ‘자존감 향상’과 ‘심리적 안정’이라면 이 두 결과물은 중복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공제할 필요가 있다. 공제 방법은 다양하겠지만, 일례로 삶의 만족도가 심리적 안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과 자존감은 삶의 만족도에 32.7%의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Ko et al., 2012)를 반영하여 심리적 안정 결과물의 최종 가치에 32.7%를 공제하는 방법을 취할 수 있다. (5) 사회적 투자수익률 산출. ①SROI 산출: 결과물의 최종 가치와 그 가치를 창출하는데 소요된 투입물의 가치를 비교하여 SROI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투입가치가 25,000 천원이고, 최종 가치가 26,500 천원이면, SROI는 1.06이다. ②민감도 분석: 주요 변수의 가변성과 불확실성이 주는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한다. 예를 들면 녹색환경지원센터가 기타비용을 늘리고 프로그램 수행 지원비를 감축했다고 가정하면 인건비의 80%를 적용하여 SROI 변동을 분석할 수 있다. (6) 분석된 결과 활용 및 내재화. 이해관계자들과 결과를 공유하며, 추가적인 질문과 응답으로 불확실성을 줄이고, 모범적인 결과물 처리 과정을 보고서로 검증한다. 위와 같은 6단계 과정을 통하여 SROI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해관계자의 투입물, 산출물, 결과물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축적할 필요가 있다.


Ⅳ. 결 론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가 수행해 온 지역사회연계 교육의 사회적 가치(기여) 측정을 위해서 최근 3년간(2015~2017)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성과를 분석하고, 이들 성과를 10개 지표(E1~E10)로 설정하였다. 10개 성과지표 설정을 위해 2017년 15개 녹색환경지원센터의 환경교육 자료를 분석하여 환경교육 이수자 수(E1)와 교육 시간(E2)이 독립적임을 확인하였고, 활용실적을 분석하여 8개 성과지표(E3~E10)의 유의성을 도출하였다. 대학사회책임지수와 사회공헌지수의 개념과 적용사례를 활용하여 지역사회연계 환경교육에서 수행된 특정 프로그램의 사회적 가치(EESV)를 산정하는 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식을 적용하여 특정 연도에 수행된 지역사회연계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비교가치는 정규화를 통하여 산출되었고, 최근 3년간 수행된 프로그램 간의 비교가치는 정규화 과정을 제외하여 산정되었다. 비교가치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①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의 최근 3년간 EESV는 교육 시간보다 교육 이수자 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이 있다. 이는 교육 이수자 수가 많을수록 8개 지표(E3~E10)를 창출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②최근 3년간 결과를 분석하면, EESV의 평균은 연차별로 다소 변동이 있으나, 프로그램 총 EESV는 연차별로 증가하였다. 이는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가 수행한 지역사회연계 환경교육의 사회책임과 이를 통한 환경교육의 사회적 가치가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③사회적 투자수익률(SROI)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해관계자의 투입물, 산출물, 결과물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축적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화폐적 가치를 추정하기 위한 대용 가능한 기준을 찾는 것이 필요하며, 이해관계자들의 상세한 활동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향후 사회적 투자수익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더욱 면밀한 자료축적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행ㆍ재정 노력의 정도를 가늠하고 SROI 활용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④센터 고유의 특성과 여건으로 인해 EESV를 센터 간의 비교 도구로써 사용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 또한, 이를 제한된 자원의 배분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한다면, 가치 측정과 이의 검증을 위해 과도한 비용과 경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결과는 환경센터의 지역사회연계 교육의 사회적 가치 측정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조직의 총 가치를 높이기 위한 관리적 목적에 활용될 수 있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9학년도 부경대학교 연구년 교원 지원사업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BGEC(2020). Busan Green Environmental Center. Retrieved from http://www.bgec.or.kr/main/index.html on June 9.
2. Castka P and Balzarova MA(2008). ISO 26000 and supply chains–on the diffusion of the social responsibility standard.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111(2): 274~286.
3. Cho YB(2012). Social return on investment (SROI) and case study: as a tool of performance evaluation for social enterprise. Journal of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ystems, 7(6), 29~45.
4. Cho YB and Ryu JR(2014). The measurement of social values of social enterprises, the exploration of the approach and development direction.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9, 475~494.
5. Choe Y(2019). Sustainability of the environment as one social value element. Environmental Law Review, 41(2), 1~26.
6. Choi J(2019). Social Economics. G-World, 353~354.
7. Cowan R and Zinovyeva N(2013). University effects on regional innovation. Research Policy, 42(3), 788~800.
8. Dionisio M and de Vargas ER(2020). Corporate social innovati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29(2), 101641.
9. Environmental Research and Development Division(ERDD)(2016). Business Performance Evaluation Data of Green Environment Center. Ministry of Environment. 66~80.
10. Environmental Research and Development Division(ERDD)(2017). Business Performance Evaluation Data of Green Environment Center. Ministry of Environment. 65~80.
11. Environmental Research and Development Division(ERDD)(2018). Business Performance Evaluation Data of Green Environment Center. Ministry of Environment, 64~80.
12. Fujiwara D(2015). The Seven Principle Problems of SROI. Simetrica Ltd., UK, 1~19.
13. Johnson DN, van Riper CJ, Chu M and Winkler-Schor S(2019). Comparing the social values of ecosystem services in US and Australian marine protected areas. Ecosystem Service, 37, 100919.
14. Jung DH and Weong JH(2016).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to reorganize the NCS training program: focusing on the 4-year-course university.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8(4), 1057~1067.
15. Jung M(2019). Social value measurement: consensus, self-management, and monetization.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28(3), 73~84.
16. Jung S and Na WB(2018). Placement models of marine forest artificial reefs to increase wake region efficiency.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0(1), 132~143.
17. Jung JY and Hong KP(2018). Development of the team-based project learning program to solve the authentic problem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0(3), 1103~1119.
18. Kim D, Jung S and Na WB(2016). Wake region estimation of artificial reefs using wake volume diagram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8(4), 1042~1056.
19. Kim HC and Jeong S(2016). A study on the social value of universities’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 focusing on ‘warm-hearted Seoul project’ using SROI method. Seoul Studies, 17(2), 159~175.
20. Kim SH and Lee KW(2013).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n accounting: review and future direction.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6(9), 2397~2425.
21. Ko HS, Min KH and Kim MH(2012). Relationship of self-esteem, stability of self-esteem, self-concept clarity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1(3), 825~846.
22. Le QTN, Jung S, Na WB(2020). Wake region estimates of artificial reefs in Vietnam: effects of tropical seawater temperatures and seasonal water flow variation. Sustainability, 12(15), 6191.
23. Lee IC, Kim D, Jung S and Na WB(2020). Prediction of primary physical measures for cost-effective management of artificial seaweed reefs. Marine Technology Society Journal, 54(1), pp. 25~43.
24. Olaussen JO(2018). Environmental problems and regulation in the aquaculture industry. Insights from Norway. Marine Policy, 98, 158~163.
25. Park MK and Lee JY(2018). Social Value and Social Innovation. Hanul Academy, 20~50.
26. REC(2020). Regional Environmental Center. Retrieved from http://www.rec.org/index.php on June 9.
27. Ryu J, Kang H, Shin J, Kim H and Koo Y(2016). Suggesting Investment Strategy in Water Infrastructure Considering Social Return on Investment. KEI Research Report, 1~17.
28. Scherer L, Svenning JC, Huang J, Seymour CL, Sandel B, Mueller N, Kummu M, Bekunda M, Bruelheide H, Hochman Z, Siebert S, Rueda O and van Bodegom PM(2020). Global priorities of environmental issues to combat food insecurity and biodiversity los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730, 139096.
29. Son YA(2015). Analyzing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club programs connecting with the local communities’ organization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7(6), 1797~1811.
30. Stevenson N, Taylor M, Lyon F and Rigby M(2010). Social Impact Measurement (SIM) Experiencing and Future Directions for the Third Sector Organizations in the East of England. East of England Development.
31. Valcárcel M and Lucena R(2014). A quantitative model to assess social responsibility in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66-467, 40~46.
32. WEC(2020). World Environment Center. Retrieved from https://www.wec.org/ on June 9.
33. Woo J and Na WB(2013). A capstone design case study for offshore wind power.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5(1), 167~180.
34. Woo J, Kim D, Yoon HS and Na WB(2018). Efficient placement models of labyrinth-type artificial concrete reefs according to wake volume estimation to support natural submerged vegetation. Bulletin of Marine Science, 94(4), 1259~1272.
35.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al and Development (WCED)(1987). Our Common Future. Oxford University, Oxford, UK, 11~27.
36. Yang HK(2019). A study on the effect of capstone design class on creative activitie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1(5), 1276~1284.
37. Yoon HS, Kim D and Na WB(2016). Estimation of effective usable and burial volumes of artificial reefs and the prediction of cost-effective management. Ocean & Coastal Management, 120, 135~147.
38. Ziolo M(2020).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s Between Sustainable Financial Systems and Financial Markets. IGI Global, Hershey, PA, USA, 4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