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Journal Archive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1 , No. 3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1, No. 3, pp. 727-740
Abbreviation: J Kor Soc Fish Mar Edu.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9
Received 01 Apr 2019 Revised 02 May 2019 Accepted 09 May 2019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19.6.31.3.727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사의 직무역량과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반건우 ; 박종운 ; 황미영*
지리산학생수련장(전문경력관)
†*부경대학교(교수)

A Study on the Job Trading volume of Teachers of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and Students' Satisfaction in School Life
Gun-Woo BAN ; Jong-Un PARK ; Mi-Yeong HWANG*
Jirisan Student Training Center(youth expert)
†*Pukyong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 051-629-5971, pjun9017@pknu.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 difference career consciousness, career planning,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of the job-Characterization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grade, gender, type of school.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in job trad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nge of teachers? Second, what are the differences in job trade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 and Characterization classes of teachers? Third, what is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nge of students? Fourth, what is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 or Characterization classes of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bout 117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5 job-Characterization high school.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can be divided into four main categori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teacher turnover, student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tudent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Keywords: The duties of a teacher, Student satisfaction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오늘날 사회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급속하게 변화되고 있다. 이에 교육현장에서도 사회의 요구에 맞는 인재를 발굴·양성하여 교육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교육은 과거를 거울로 삼아 더 나은 미래를 창조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에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전반에서 학생들의 성장에 도움을 주기 위해 서로 협력하고 노력해야 한다. 특히 교육은 학생들이 미래에 자신의 꿈과 끼를 펼칠 수 있는 환경이 조정되어야 하고 교사들의 역량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준비되어야한다. 그러므로 학생의 진로와 진학에 도움을 주기 위해 교육현장에서 가르치는 교사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지금 학교현장은 교사가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던 주입식 교육방법에서 벗어나 교육 수요자인 학생을 중심으로 창의융합 교육, 자기 주도 학습, 지역과 학교환경의 특성을 살린 맞춤형 교육, 자유학기제 등을 통해 학생들과 함께 하는 구성주의 수업을 하고 있으며 과거보다 다양한 교수 방법과 자율화된 교육과정으로 교육개혁을 실현해나가고 있다(Kim, 2014; Bae at al., 2012). 이러한 교육과정의 변화는 학생들의 다양한 경험확대를 통해 학교 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함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교육에 적합한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교사들은 직무에 관한 관심과 자기계발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학생의 수준에 맞는 질 높은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의 의식과 수준을 높이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Chang at al., 2008; Kim, 2007; Nah, 2015). 교사들은 자신의 직무역량 향상을 통해 학생들이 학교생활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미래의 진로 선택에 유용한 정보제공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교사는 교과에 대해 지식을 함양해야 함은 물론이고 학생들의 인성을 지도할 수 있는 역량과 학교조직 구성원으로 갖추어야 할 업무수행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Jung, 2011; Choi at al., 2013).

학생들은 대부분의 일과를 학교에서 교사와 함께 시간을 보내며 상호 작용하기 때문에 교사의 행동과 언행들은 학생들에게 많은 영향을 줄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의 올바른 본보기가 되어야 되고 학교현장에 필요한 자신의 직무를 정확히 숙지하고 점검하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진학과 진로에 직접적이고 민감하게 반응해 주어야 하는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의 직무역량과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사들의 직무에 대한 진단을 실시하고 개선하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여 직무수행 및 교사들의 자질 향상에 도움을 줌과 동시에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소통 방법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2. 연구 문제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역량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교사의 학교유형, 전문계열에 따른 직무역량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차이는 어떠한가?

넷째, 학생의 학교유형, 전문계열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차이는 어떠한가?

3. 이론적 배경
가.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

1) 특성화고등학교의 개념

특성화고등학교는 직업교육 관련 고등학교를 총칭해서 이르는 말로써,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 일반 교과보다 농업, 공업, 수산, 가정, 상업, 미용, 컴퓨터, 디자인, 포토샵, 기계조립 등 특정분야에 남다른 소질과 흥미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을 주 대상으로 직업교육을 하는 학교를 의미한다.

2) 특성화고등학교의 특징

특성화고등학교의 장점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학비에 대한 걱정 없이 학업에 전념하도록 입학금과 3년간의 수업료를 장학금으로 제공한다. 둘째, 우수 학생이 해외 기업체에서 일하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마이스터고등학교 출신 재직자는 해외유학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

3) 마이스터고등학교의 개념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91조 2에서는 마이스터고등학교를 “전문적인 직업 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산업계의 수요에 직접 연계된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을 목적으로 하는 고등학교”라고 정의하고 있다.

4) 마이스터고등학교의 특징

마이스터고등학교 졸업 후 선취업을 통해 경력개발과 특기를 살린 군 복무, 선취업을 통해 경력개발, 직장 생활과 병행 가능한 대학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나. 특성화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할 및 직무

특성화고등학교는 고등학교 단계에서의 직업교육을 특성화할 것을 강조하며 새롭게 제안된 학교이다(교육개혁위원회, 1996). 이에 Ryu(1993)는 특성화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에게 필요한 자질은 전문가적인 지식과 능력, 이론과 실습을 재구성하여 가르칠 수 있는 다양한 교수 방법적 능력, 사회 심리적 능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Yoon at al.(2004)은 특성화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는 변화하는 직업과 일의 세계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하며, 변화하는 사회의 특성과 그에 따른 새로운 요구들을 통찰하여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이러한 자질에 따른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는 공통으로 수업, 학생 생활 지도, 학급경영, 교육과정 연구개발 및 운영, 산학 협력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행정 업무, 전문성 신장 등을 포함하고 있다. 특성화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에게는 보통교과 교사와는 구별되는 직무와 능력이 요구된다(Jung, 2006). 또한, 전문교과 교사는 많은 수의 전문교과, 전문적인 실험과 실습 수행, 전문교과와 관련된 분야의 현장실습과 진로 지도, 기능대회지도 및 실습장 관리와 같은 추가적인 업무를 수행해야 하므로 보통교과 교사보다 더 많은 직무를 담당하게 된다(Nah, 2003).

이에 Park at al.(2010)은 특성화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을 3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은 교사의 교수 방법적 능력과 학생의 학습 능력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능력인 교수학습 역량과 학생의 취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취업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인 취업 지원 역량 그리고, 기업이 가진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하여 학교 및 기업이 상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하는 능력인 산학 협력 역량이다.

다. 학교생활 만족도의 개념과 특징

최근 교육도 하나의 서비스라는 개념이 점차 확산되어 예전의 학교와 교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학교교육이 서비스 이용자라 할 수 있는 학생의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요자 중심 교육 혹은 학생 중심 교육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교육 수요자의 학교 교육 만족도가 학교 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설명해주고 있다.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평가가 향후 서비스 제공에 있어 중요한 정보가 되는 것처럼, 학교 교육에 있어서 학생의 평가는 교육의 질을 판단하는 척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것은 학생을 고객(customer)으로 가정하고 고객의 만족을 보장한다는 차원에서 학교에 대한 만족도에 접근한(McCollough & Gremler, 1999) 선행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학생의 만족도는 학교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고, 이러한 만족도를 평가하고자 할 때 수업을 통해 교사와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교육 서비스를 직접 받는 학생이 평가자로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교사의 교수역량과 학생의 학교 교육 만족도는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학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단위학교 및 교사의 교육적 책무성이 강조되고, 이로 인해 교사 역량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라 함은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뿐만 아니라 주체자로서의 교사와 객체자로서의 학생, 매개체로서의 시설, 환경 등 교육의 기본 3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Park at al., 2008)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실증분석을 하기 위해 총 4가지(교우관계, 교사관계, 학교학습, 학교환경) 요소로 구성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현재 특성화고등학교, 마이스터고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전문교과 교사와 일반교과 교사 그리고 재학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특성상 특성화 계열별 대상의 자료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에 5개 계열(농업, 공업, 상업, 수산해양, 가정) 30개교를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지역별 특수성에 따른 쏠림현상을 배제하기 위하여 전국 21개 지역을 대상으로 모집단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연구표본은 모집단이 세 집단(전문교과 교사, 일반교과 교사,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고려하여 층화 추출법을 적용하였으며 교사와 학생들을 무선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사, 학생 각 600부씩 설문을 배부하였으며 교사의 설문지 경우 585부를 회수하여 97.5%의 회수율을 보였다. 회수한 설문지 중 부정확한 응답을 제외한 56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2.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교사의 일반적인 특성, 교사 직무역량, 학생의 일반적인 특성,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먼저 교사의 직무역량과 관련된 문항은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직무역량과 학생의 학급생활 만족도의 관계(Park, 2017), 초등학교 교사의 역량 보유도와 발휘도 차이 연구(Choi, 2014), 진로진학 상담교사의 역량 척도 개발(Kim, 2014)의 측정도구를 분석하여 특성화고등학교,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사의 직무에 맞게 정리해서 수정·보완하여 작성하였다.

<Table 1> 
Composition of measuring tools for teachers' direct trade volume
Sortation Capacity group Capabilities question relative height
teacher capacity student guidance a textbook to teach 5 Park Jung Woo 2017
teach of life 5
Class management 4
Student guide
Capacity group
5
school organization Task evaluation 3 Choi Eun Jin 2014
School organization development 3
school organization
Capacity group
3
Self-improvement 3
Self-management teacher
a sense of mission
3 Choi Eun Jin 2014
Self-management
Capacity group
3
a career to teach 3
Career management Employment to teach 3 Kim Eun Kyung 2014
a school to teach 3
career management
Capacity group
3
four Capacity group 49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문항은 마이스터고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가 진로성숙도 및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Lee at al., 2017),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Bae, 2012),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Kim, 2009), 상업·정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여학생의 학교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 진로 준비행동의 상관관계분석(Lim, 2013)의 측정도구를 분석하여 특성화고등학교, 마이스터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에 맞게 용어를 정리, 수정·보완하여 작성하였다.

<Table 2> 
Composition of Measuring Students' Satisfaction in School
Sortation Law Factors question relative height
Satisfaction in School Life student guidance 5 Bae Joon Hyung, 2011
school organization 6 Kim Joo Yeon, 2009
Self-management 6 Lim Hyo Jin, 2013
Career management 7 Lee Jung Soo, 2017
total four factors 24

도출한 예비문항은 전문가들이 검토하여 적절하지 못한 내용이나 불확실한 용어로 판단한 문항에 대해서 1차 수정하였으며, 1차 수정 보완된 설문지를 교사 100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각 문항의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 분석(factor analysis) 결과를 반영하여 설문문항을 2차 수정·보완하였다.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교사의 직무역량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최종 개발된 교사의 직무역량 측정도구는 학생지도역량군은 교과지도 5문항, 생활지도 5문항, 학급경영 4문항으로 14문항이며, 학교조직역량군은 업무평가 3문항, 학교조직발전 2문항으로 5문항이다. 자기관리역량군은 자기계발 3문항, 교사사명감 2문항으로 5문항이며, 진로관리역량군은 진로지도 3문항, 취업지도 2문항, 진학지도 3문항으로 8문항이다. 따라서 전체 문항은 32문항으로 최종문항을 구성하였다.

측정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지도역량군은 교과지도, 생활지도, 학급경영의 3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모든 문항은 .4 이상의 요인부하량을 보여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일반적으로 요인부하량의 절대값이 .3 이상이면 유의미한 변수로 간주한다. 구형성 검정 결과는 KMO(Keiser-Meyer-Olkin) 값이 .816, Bartlett의 p값(유의수준)이 .000으로 나타나 변수들이 요인분석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KMO 값이 0.8 이상이고, Bartlett의 p 값(유의수준)이 0.05 이하이면 사용된 변수와 case의 수가 요인분석하기에 적절하며, 변수들이 요인분석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계수가 .6 이상으로 나타났으므로 측정문항의 신뢰성이 확보되었다. 그래서 Cronbach’s α계수가 .6 이상이면 일반적으로 신뢰도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다.

학교조직역량군은 업무평가, 학교조직발전의 2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모든 문항은 .7 이상의 요인부하량을 보여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구형성 검정 결과는 KMO(Keiser-Meyer-Olkin) 값이 .829, Bartlett의 p값(유의수준)이 .000으로 나타나 변수들이 요인분석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계수가 .7 이상으로 나타나 측정문항의 신뢰성이 확보되었다. 자기관리역량군은 자기계발, 교사 사명감의 2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모든 문항은 .6 이상의 요인부하량을 보여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구형성 검정 결과는 KMO(Keiser-Meyer-Olkin) 값이 .893, Bartlett의 p값(유의수준)이 .000으로 나타나 변수들이 요인분석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계수가 .7 이상으로 나타나 측정문항의 신뢰성이 확보되었다. 진로관리역량군은 진학지도, 취업지도, 진로지도의 3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모든 문항은 .8 이상의 요인부하량을 보여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구형성 검정 결과는 KMO(Keiser-Meyer-Olkin) 값이 .867, Bartlett의 p값(유의수준)이 .000으로 나타나 변수들이 요인분석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계수가 .8 이상으로 나타나 측정문항의 신뢰성이 확보되었다. 학교생활 만족도는 학교학습, 교사관계, 학교환경, 교우관계의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모든 문항은 .5 이상의 요인부하량을 보여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구형성 검정 결과는 KMO(Keiser-Meyer-Olkin) 값이 .811, Bartlett의 p값(유의수준)이 .000으로 나타나 변수들이 요인분석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계수가 .7 이상으로 나타나 측정문항의 신뢰성이 확보되었다.

3. 자료 처리 방법

본 연구에 수집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자인 교사와 학생의 배경변인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배경변인 및 학교, 계열, 유형에 따라 교사의 직무역량과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의 직무역량과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가.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역량 차이분석

1) 교사의 성별에 따른 직무역량 차이 분석

교사의 성별에 따른 직무역량에 대한 인식은 남교사 4.13(SD=.28), 여교사 4.15(SD=.28)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자기관리역량군의 교사사명 4.63(SD=.47)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지도역량군의 교과지도에서는 남교사 3.42(SD=.74), 여교사 3.53(SD=.75)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다른 요인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지만 학교조직군의 조직발전(p<.05)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조직발전의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교사의 결혼 여부에 따른 직무역량 차이 분석

결혼유무에 따른 역량차이에서 본 연구자는 기혼자의 경우 가정에 활용되는 시간이 발생함에따라 학교에서의 개인직무에 투자하는 시간이 미혼자보다는 적을 수 있겠다라는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물론 미혼자 역시 개인의 취미활동 등 다양한 활동 등으로 직무에 소홀할 수 있겠으니 원천척이면서 기본적인 생각에서 비롯된 연구였다. 그 결과는 직무역량에 대한 인식 전체에서는 미혼 3.96(SD=.44), 기혼 3.93(SD=.53)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자기관리역량군의 교사사명이 4.66(SD=.50)으로 가장 높았고 학생지도역량군의 교과지도에서 미혼 3.65(SD=.75), 기혼 3.29(SD=.7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지도역량군과 생활지도를 제외한 교과지도(p<.01), 학급경영(p<.01), 전체(p<.01)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생활지도를 제외한 교과지도, 학급경영, 전체에서 미혼이 기혼보다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조직역량군에서는 업무수행과 조직발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업무평가(p<.05)와 전체(p<.01)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미혼이 기혼보다 업무평가와 전체에서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관리역량군에서는 자기계발, 교사사명, 자기주도, 전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진로관리역량군 하위요인인 진로지도, 취업지도, 진학지도, 전체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교사의 직급에 따른 직무역량 차이 분석

교사의 직급에 따른 직무역량에 대한 인식정도는 일반교사 3.98(SD=.45), 부장교사 3.90(SD=.54)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자기관리역량군의 교사사명에서 4.66(SD=.44)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지도역량군의 교과지도에서 일반교사 3.51(SD=.75), 부장교사 3.38(SD=.6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지도역량군의 하위요인 중 생활지도를 제외한 교과지도(p<.05), 학급경영(p<.01), 전체(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교사가 부장교사보다 교과지도, 학급경영, 전체에서 교사가 부장교사보다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조직역량군의 하위요인인 업무수행, 문제해결, 업무평가, 조직발전 등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체(p<.05)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일반교사가 부장교사보다 직무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관리역량군에서는 교사사명감을 제외한 자기계발(p<.01)과 전체(p<.01)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일반교사가 부장교사보다 직무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관리역량군에서는 취업지도, 진학지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진로지도(p<.05)와 전체(p<.05)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일반교사가 부장교사보다 직무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른 직무역량 차이 분석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른 직무역량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른 직무역량 전체 점수는 Wilks' λ=.439(F=17.607, df=30, p=.000)로서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5년 이하 3.94 (SD=.46), 6∼10년 3.93(SD=.45), 11∼20년 3.99 (SD=.051), 21년 이상 3.99(SD=.051)로 나타났으며, 학생지도역량군의 교과지도(p<.01), 생활지도(p<.01), 학급경영(p<.01), 자질태도(p<.01), 전체(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과지도는 5년 이하가 6∼10년, 11∼20년, 21년 이상보다 역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지도와 학급경영 그리고 전체에서는 5년 이하와 6∼10년이 11∼20년과 21년 이상보다 역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조직역량군의 업무평가(p<.01), 조직발전(p<.01), 전체(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업무평가는 5년 이하, 6∼10년, 11∼20년이 21년 이상보다 역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발전과 전체에서는 5년 이하와 6∼10년이 11∼20년과 21년 이상보다 역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관리역량군의 자기계발(p<.01)과 전체(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5년 이하와 6∼10년이 11∼20년과 21년 이상보다 역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진로관리역량군의 하위요인인 진로지도, 취업지도, 진학지도, 전체 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직경력에 따른 직무역량 점수의 중다변량분석결과는 <Table 3>과 같다.

<Table 3> 
Intermediate and multi-variable Analysis of the Direct Trade Volume Score by the Professionals (N=568)
Direct trade volume MANOVA ANOVA
Wilks'
λ F df p F df p
the entire .439 17.6 30.0 .000
a textbook to teach 121.8 3 .000
teach of life 30.5 3 .000
Class management 55.8 3 .000
Student guide
Capacity group
161.1 3 .000
Task evaluation 26.9 3 .000
School organization development 11.2 3 .000
school organization
Capacity group
20.0 3 .000
Self-improvement 16.4 3 .000
teacher
a sense of mission
.658 3 .578
Self-management
Capacity group
12.2 3 .000
a career to teach .833 3 .476
Employment to teach .884 3 .449
a school to teach 1.68 3 .169
career management
Capacity group
1.68 3 .170

5) 교사의 전공교과에 따른 직무역량 차이 분석

교사의 전공에 따른 직무역량에 대한 인식은 일반계 3.80(SD=.50), 전문계 4.09(SD=.54)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자기관리역량군의 교사사명에서 4.63(SD=.47)으로 가장 높았고 학생지도역량군의 교과지도에서는 일반계 3.47(SD=.76), 전문계 3.44(SD=.73),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진로관리역량군의 하위요인인 진로지도(p<.01), 취업지도(p<.01), 진학지도(p<.01), 전체(p<.01)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전공교과 전문계가 일반계보다 진로관리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지도역량군의 하위요인과 학교조직역량군의 하위요인, 자기관리역량군의 하위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나. 교사의 학교유형과 전문계열에 따른 직무역량 차이 분석

1) 학교유형에 따른 교사의 직무역량 차이 분석

학교유형에 따른 직무역량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생지도역량군에서 학급경영(p<.0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특성화고등학교 교사가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사보다 학생지도 역량 전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조직역량군에서는 업무평가(p<.01)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특성화고등학교 교사가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사보다 학생지도 역량 전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관리역량군에서는 전체(p<.01)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특성화고등학교 교사가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사보다 학생지도 역량 전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관리역량군에서는 진로지도(p<.01), 진학지도(p<.01), 전체(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특성화고등학교 교사가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사보다 학생지도 역량 전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전문계열에 따른 직무역량 차이 분석

전문계열에 따른 직무역량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교사의 전문계열에 따른 직무역량 전체 점수는 Wilks' λ=.793(F=3.316, df=40, p=.000)로서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학생지도역량군에서 생활지도(p<.01)와 학급경영(p<.0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지도는 농업계열과 공업계열이 수산, 상업, 가정계열보다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경영은 가정계열이 그 외 계열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조직역량군에서는 업무평가(p<.05)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계열이 농업, 공업, 수산, 상업계열보다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관리역량군에서는 자기계발(p<.01), 교사사명(p<.01), 전체(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업, 수산, 상업, 가정계열이 농업계열보다 역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관리역량군에서는 진로지도(p<.01), 취업지도(p<.01), 진학지도(p<.01), 전체 (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영역에서 공업, 수산, 상업, 가정계열이 농업계열보다 역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계열에 따른 직무역량 점수의 중량다변량분석결과는 <Table 4>와 같다.

<Table 4> 
Intermediate and multi-variable analysis results of the direct trade score according to the Characterization classes (N=568)
Direct trade volume MANOVA ANOVA
Wilks'
λ F df p F df p
the entire .793 3.316 40 .000
a textbook to teach 1.24 4 .293
teach of life 3.39 4 .009
Class management 5.14 4 .000
Student guide
Capacity group
1.21 4 .305
Task evaluation 2.68 4 .031
School organization development .566 4 .688
school organization
Capacity group
.981 4 .417
Self-improvement 6.90 4 .000
teacher
a sense of mission
6.45 4 .000
Self-management
Capacity group
10.63 4 .000
a career to teach 5.82 4 .000
Employment to teach 4.52 4 .001
a school to teach 5.04 4 .001
career management
Capacity group
8.82 4 .000

다.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차이 분석

1) 학생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차이 분석

학생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의 인식정도는 남학생 3.50(SD=.21), 여학생 3.52(SD=.25)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교우관계역량이 남학생 3.88(SD=.50), 여학생 3.98(SD=.51)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학교학습역량이 남, 여학생 모두 3.40(SD=.4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교우관계(p<.05)에서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자가 남자보다 교우관계가 더 높게 나타났다. 학생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5>에 제시되어 있다.

<Table 5>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in School Life by Gende
 Sortation Gender N M SD t값
school life satisfaction school life relationship Man 428 3.88 0.50 -2.052*
Woman 140 3.98 0.51
teacher relationship Man 428 3.78 0.48 -.666
Woman 140 3.81 0.49
school learning Man 428 3.40 0.48 .127
Woman 140 3.40 0.48
school environment Man 428 3.51 0.45 -.207
Woman 140 3.52 0.52
the entire Man 428 3.50 0.21 -.931
Woman 140 3.52 0.25
*p<.05

2) 학생 학년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차이 분석

학생의 학년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생의 학년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전체 점수는 Wilks' λ=.986(F=.973, df=8, p=.456)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1학년 3.51(SD=.25), 2학년 3.50(SD=.21), 3학년 3.52(SD=.21)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교우관계에서 3학년이 3.92(SD=.47)로 가장 높았고, 학교학습에서 1학년이 3.40(SD=.45)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학년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Table 6>에 제시되어 있고, 이에 대한 중다변량분석결과는 <Table 7>에 제시되어 있다.

<Table 6> 
A Study on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School Life Satisfaction by Grade
 Sortation School year N M SD
school life satisfaction school life relationship first grader(A) 173 3.89 0.55
second grade(B) 225 3.91 0.49
3rd grade(C) 170 3.92 0.47
teacher relationship first grader(A) 173 3.78 0.51
second grade(B) 225 3.78 0.45
3rd grade(C) 170 3.81 0.50
school learning first grader(A) 173 3.40 0.45
second grade(B) 225 3.41 0.51
3rd grade(C) 170 3.39 0.47
school environment first grader(A) 173 3.53 0.49
second grade(B) 225 3.49 0.46
3rd grade(C) 170 3.54 0.47
the entire first grader(A) 173 3.51 0.25
second grade(B) 225 3.50 0.21
3rd grade(C) 170 3.52 0.21

<Table 7> 
A Study on the Intermed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Index of School Life by Grade (N=568)
Direct trade volume MANOVA ANOVA
Wilks'
λ F df p F df p
the entire .986 .973 8 .456
school life relationship .219 2 .804
teacher relationship .624 2 .536
school learning .381 2 .684
school environment 2.571 2 .077
school life satisfaction 1.099 2 .334

3) 진로방향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차이 분석

학생의 진로방향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생의 진로방향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전체 점수는 Wilks' λ=.989(F=.779, df=8, p=.621)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학생 진로방향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의 인식은 2년제 대학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의 경우 교우관계 3.92(SD=.50), 학교학습 3.42(SD=.45)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이 교사관계 3.81(SD=.52), 4년제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의 경우 학교환경이 3.55(SD=.48)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진로방향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Table 8>에 제시되어 있고, 이에 대한 중다변량분석결과는 <Table 9>에 제시되어 있다.

<Table 8>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School Life Satisfaction Index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Progress
 Sortation a course direction N M SD
school life satisfaction school life relationship Employment(A) 188 3.90 0.49
college entrance(B) 170 3.92 0.48
university entrance(C) 210 3.90 0.52
teacher relationship Employment(A) 188 3.81 0.52
college entrance(B) 170 3.75 0.46
university entrance(C) 210 3.79 0.47
school learning Employment(A) 188 3.38 0.50
college entrance(B) 170 3.42 0.45
university entrance(C) 210 3.41 0.49
school environment Employment(A) 188 3.49 0.47
college entrance(B) 170 3.51 0.46
university entrance(C) 210 3.55 0.48
the entire Employment(A) 188 3.42 0.22
college entrance(B) 170 3.53 0.20
university entrance(C) 210 3.57 0.22

<Table 9> 
A Study on the Intermed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Path (N=568)
Sortation MANOVA ANOVA
Wilks'
λ F df p F df p
the entire .989 .779 8 .621
school life relationship .181 2 .835
teacher relationship 1.118 2 .328
school learning .720 2 .487
school environment .979 2 .376
school life satisfaction .484 2 .616

라. 학생의 학교유형과 전문계열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차이 분석

1) 학생의 학교유형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차이 분석

학교유형에 따른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교환경(p<.05)에서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환경에서 마이스터고등학교가 특성화고등학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유형에 따른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10>에 제시되어 있다.

<Table 10>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in School Life According to School Types
Sortation Type of school N M SD t값
school life satisfaction School life relationship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340 3.91 0.48 .439
Meister High School 228 3.89 0.52
Teacher relationship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340 3.76 0.47 -1.423
Meister High School 228 3.82 0.49
School learning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340 3.40 0.48 -.276
Meister High School 228 3.41 0.49
School environment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340 3.48 0.44 -2.147*
Meister High School 228 3.57 0.51
the entire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340 3.50 0.21 -1.081
Meister High School 228 3.52 0.24
*p<.05, **p<.01

2) 전문계열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차이 분석

전문계열에 따른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생의 전문계열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전체 점수는 Wilks' λ=.923(F=2.852, df=16, p=.000)로서 유의수준 .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교우관계(p<.05), 학교환경(p<.01)에서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우관계는 수산, 상업, 가정계열이 농업과 공업계열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환경에서는 농업과 공업계열이 수산, 상업, 가정계열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방향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점수의 중다변량분석결과는 <Table 11>와 같다.

<Table 11> 
A Study on the Intermed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Path (N=568)
Direct trade volume MANOVA ANOVA
Wilks'
λ F df p F df p
the entire .923 2.852 16 .000
school life relationship 3.115 4 .015
teacher relationship 1.266 4 .282
school learning .976 4 .420
school environment 6.261 4 .000
school life satisfaction .874 4 .479


Ⅳ. 결론 및 논의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와 학생 1170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직무역량과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통해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교사변인의 직무역량 중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조직발전에 관심이 더 높았고 결혼 여부에서는 미혼교사가 기혼교사보다 교사의 사명감뿐 아니라 교과지도, 학급경영, 업무평가에서 높게 나타냈다. 교사의 직급에 따른 직무역량에서는 일반교사가 부장교사보다 교과지도, 학급경영, 자기계발, 진로지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교직경력에서는 5년 차 이하의 교사가 교과지도, 생활지도, 조직발전, 자기계발에서 더 많은 관심을 나타냈으며, 6년∼10년 이하 교사의 경우 학급경영, 업무평가에서 가장 높게 나타냈다. 교사전공에서는 전문계열 교사가 진로지도, 취업지도, 진학지도에서 일반계열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우선 결과를 토대로 가장 우수한 직무능력을 갖춘 교사는 미혼인 여자 일반교사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관계된 대상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서 직무와 관련된 여러 요인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직무능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실마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이외 경력과 계열의 경우, 학교의 특성과 지역적 특색을 살린 교사의 직무역량이 개발되어야 하겠고, 해당 교수군의 심층연구를 통해 새로운 정책적 제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성별에 따른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중 여학생이 교우관계에서 남학생보다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방향에서는 4년제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의 만족결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결과 중, 학년과 학교 성적은 현재의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의 현실을 반영한다 하겠다.

취업을 목적으로 학교를 다니는 학생들의 마음속에 학교 성적에 대해 크게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학생들이 많은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만일 이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를 얻어내고 싶다면, 학교가 진로지향적 시스템을 받아드려서 좀 더 발전된 듀얼모드 교육시스템을 추구한다면 가능할 것이라 본다.

셋째, 학교유형에 따른 교사의 직무역량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가 학급경영, 업무평가, 진로지도, 진학지도에서 마이스터고등학교 보다 높게 나타냈다. 전문계열별로는 농업계열과 공업계열에서 생활지도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급경영에서는 수산계열, 업무평가에서는 가정계열, 자기계발에서는 공업계열, 교사사명에서는 수산계열, 진로지도에서는 가정계열, 취업지도와 진학지도에서는 공업계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세 번째, 네 번째 결과를 통해서 매우 다양한 내용을 살필 수 있는데, 각 학교유형과 전문계열별 차이를 살피고 이를 토대로 서로의 보완점을 고찰할 필요가 있으며, 이 또한 향후 연구에서 좀 더 구체화하여 규명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교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 중 학교환경에서 마이스터고등학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문계열 별로는 수산계열에서 교우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교환경에서는 농업계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금까지 총 4가지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논의를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학교가 학생을 지도하고 이끌어가는 곳인 만큼 교사들의 직무수행 행위가 학생들에게 직접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지금의 직무수행 및 운영 시스템을 재점검하여 각 계열별 고등학교에 적절한 형태의 맞춤형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현재 교사의 학생지도에 대한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다면평가 및 교사 직무연수에 대한 학점제를 실시하고 있고 학교자율화라는 큰 틀 아래 학교 실정에 맞는 다양한 특성화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학교와 교사에게 자율성과 권한을 부여해 주고 있는 만큼 교사들은 자긍심을 가지고 학생지도에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 또한 교사들은 처음 임용되었을 때의 초심을 절대로 잊어서는 안 될 것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수석교사제 활용과 교사 연구년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교사직무와 자질, 사명감 향상에 필요한 직무연수가 꾸준히 개발·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기존 시스템을 보완하거나 변경이 어렵다면, 교사와 학생 간의 간극을 줄일 수 있는 활동을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앞에서도 잠시 언급하였지만, 현재 시행 중인 현장학습 및 창의적 체험활동 그리고 기타 수련활동 등을 적극 활용하여 교사와 학생이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함으로서 교사와 학생들의 느끼고 있는 서로 다른 문제점을 개선해 나가는 방법이 최선이라 사료된다. 예를 들어 현장학습이나 창의적 체험활동 그리고 수련활동의 경우, 교사가 직접 참여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기보다는 교육의 전반을 참여기관에 위탁하는 경우가 많아, 교사와 학생간의 사제동행 활동이라고 보기 어렵고 두 집단 간의 소통을 이끌어내기는 힘들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위의 활동 프로그램들을 활용함에 있어 교사도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며 활동의 명분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참여케 한다면 그 과정 속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유대관계가 깊어져 학생들의 학습 및 학교생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되며 더 나아가 목적의식 없이 학교생활에 임하는 학생들, 가정과 학교에 소외된 학생들, 그리고 학습에 열의가 없는 학생들에게 많은 관심을 가짐으로서 학습에 대한 부진아 지도에도 큰 도움이 될 것 이라고 사료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8년 반건우의 박사 학위 논문을 수정 및 보완하였음.


References
1. Bae, JH, (2012), A Study on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of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 Kyonggi University.
2. Bae, SH, Park, JE, Oh, SH, (2012), Comparisons of Organizational Variables among Meister,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9(4), p85-108.
3. Chang, SY, Park, IW, Kim, ML, Um, MR, (2008), The Study on Recognition of Effective Teacher between Teacher and Pre-service Teacher,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30(3), p79-107.
4. Choi, EJ, (2014), Analy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ossessed, and Performed Competencies,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5. Choi, KS, Cho, JS, (2013),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ject teaching-learning plan for 'residential space utilization' of home economics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25(2), p1-19.
6. Jeong, UH, (2011), Analysis of the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Their School Life and Career Orien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7. Jeong, YK,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djus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vocational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s, Seoul National University.
8. Kim, EK, (2014),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mpetencies Scale of Career and Admission Counseling Teachers, Kyungsung University.
9. Kim, JS, (2007), Competency Analysis of Vocational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39(4), p29-57.
10. Kim, JS, (2014), The Roles of Learning Consultants in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8(3), p501-520.
11. Kim, JY,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Scale for High School Students, Wonkwang University.
12. Lee, JS, Kim, SW, Park, WS, Lee, JW, Jang, YI, (2017), Questionnaire Reliability Assessment for Correlation Analysi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11), p329-337.
13. Lim, HJ, (2013), The implication on correlation between school life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female students attending the business-information specialized school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4. McCollough, M. A., & Gremler, D. D., (1999), Guaranteeing student satisfaction: An Attempt to Walk the Talk, AMA Winter Educators' Conference, 9, p257.
15. Nah, KA, (2014), The Influence of Teachers' Occupational Satisfaction on Teachers Self-Efficacy, Focused on Vocational High Schools, Paichai University.
16. Na, SI, (2003), Characteristics of Action Research Conducted by Vocational Agriculture Teachers and their Needed Competences,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35(4), p33-45.
17. Park, DY, Heo, YJ, Kim, JG, Kim, KH, Jyung, CY, (2010), The Basic Learning Ability of Vocational & General High School,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42(3), p1-23.
18. Park, HM, (2012), Convergence Educational Understanding of Work-Oriented Education and Shilsagushi, The Korean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2012(2), p31-47.
19. Park, JW, (2017),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job competency and students’ class life satisfac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 Ryu, CY, (1993), Qualifications Needed for Vocational and Technical Teacher to Cope with Technological Innovation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s, 18(1), p86-93.
21. Yoon, IK, Kim, ST, Jang, MH, (2004), Activation Plans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16(4), p107-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