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Journal Archive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2 , No. 1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2, No. 1, pp. 118-132
Abbreviation: J Kor Soc Fish Mar Edu.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9 Feb 2020
Received 19 Nov 2019 Revised 11 Dec 2019 Accepted 31 Dec 2019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0.2.32.1.118

델파이 방법을 이용한 초등 생존수영교육 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분석
강신범* ; 염해진 ; 장재용
*한국해양대학교(교수)
한국해양대학교(학생)
한국해양대학교(교수)

Problems and Improvement Analysis of Survival Swimming Education System in Elementary School Using Delphi Method
Shin-Beum KANG* ; Hye-Jin YEOM ; Jae-Yong JANG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professor)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student)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 051-410-4795, jjy80@kmou.ac.kr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 survival swimming and suggests improvement plan through Delphi method which can gather opinions of experts. it is aimed to utiliz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elementary survival swimming and the improvement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provement of survival swimming education in nationwide as a basic data to prevent water safety accident by systematic program. Experiential groups participating in elementary survival swimming education in 2018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data were collected by Delphi survey method using 9 kinds of elementary survival swimming education experts in Busan using purposeful sampling and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improvement plan of the instructor, program and facilities aspect of elementary survival swimming education is as follows. In terms of leaders, normalization of the process of training elementary survival swimming was necessary. In addition, the number of students to be taught should be increased.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treatment of dedicated swimming instructor. Looking at the program side, it was necessary to construct a consistent program. In addition, it was necessary to secure the number of classes and to organize the regular curriculum. And it was found that a program with stability was required. In terms of facilities,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swimming pool facility standards suitable for children's education and expansion of swimming pool facilities was necessary. Finally, it was necessary to expand educational equipment.


Keywords: Elementary school, Survival swimming education, Delphi method

Ⅰ. 서 론

선진국에서는 이미 예전부터 생존수영을 중요시 여기고 진행해왔지만 우리나라에서의 생존수영은 2014년 세월호 사건을 계기로 사태의 심각성이 대두되었고, 그 이후에도 계속해서 일어나는 수상안전 사고로 인하여 유아들로부터 생존수영의 학습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Jang et al., 2017).

WHO에 의하면, 한국의 어린이 익사사망률은 OECD 회원국 중 1위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5). 이러한 물놀이 사고는 국가적, 개인적 큰 손실을 초래하고 있으며, 사고 원인으로는 안전수칙 불이행 13.2명(37.9%), 수영미숙 10.6명(30.5%)으로 나타나 안전수칙 준수와 위급 상황 시 대처 능력 습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The Asia Business Daily, 2016.08.02.).

이에 따라 Ministry of education(2015)에서는 학교교육을 통해 생명존중, 안전의식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내용을 살펴보면, 2015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은 5대 영역 가운데 하나인 여가 영역을 대신해 안전 영역을 반영하였다. 또한, 초등 교육과정에서는 수영교육을 추가하였는데, 수영교육을 통해 수상안전 의식과 습관을 반복・숙달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수상안전사고에 대한 예방 및 대처능력을 기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또한, 최근 보도 자료에 의하면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17)는 안전하고 즐거운 해양레저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전국 34개소에서 생존수영교육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정책들은 물놀이 사고에서 안전수칙에 대한 이해와 목숨을 구할 수 있는 기본적인 수영기술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생존수영교육은 물과 친해지기, 물에 뜨기, 호흡하기, 체온유지 등 자기구조법 및 인명구조, 심폐소생술 등 타인구조법의 내용으로 구성하여 강・바다의 해양레저체험교실 10개소에서 운영하였던 ‘실전형 생존수영교실’은 2만여 명의 참가자가 몰리는 등 높은 호응을 얻었으나, 여름에만 운영할 수 있는 계절적 한계가 아쉬운 사항으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실내・외 수영장에서 실시하는 ‘사계절 생존수영교육’을 도입하고 이동식 수영장을 활용하여 수영교육을 위한 공간과 시설이 부족한 내륙지역 등에 ‘찾아가는 생존수영교실’을 설치・운영하고 있다.

현재 초등학교 생존수영교육은 5년차에 접어들고 있으며, 국가 주도의 시범사업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도입기라 불리는 2014년 2학기는 희망하는 교육지원청을 대상으로 시범학교로 운영하였고, 확대기라 불리는 2015년은 지역적으로 섬, 강 지역 등 수영장이 없는 소재학교를 우선으로 선정하여 교육청과 학교의 예산을 5:5 매칭 분담하여 여건이 열악한 지역을 우선 지원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정착기라 불리는 2016년은 소요재원 전액 교육청에서 부담하여 실시하고 있다(Ahn, 2014).

하지만 성급한 정책의 도입은 교육과정, 시설, 안전과 같은 교육환경에 대한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예산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아 초등학교 전체로 확대되는데 심각한 어려움이 있고,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단 정책부터 내놓고 보는 정부의 근시안적 사고로 문제점 지적이 나오고 있다(The Kyongnamdomin Ilbo, 2016. 6. 20). 또한 급하게 시행된 만큼 교육과정에 통일성이 없고 생존수영 지도자의 역량과 수영장의 환경에 따라 교육과정이 다르게 나타났다.

즉, 현재까지 실시되고 있는 생존수영교육은 각 지자체 그리고 각 학교와 개별 수영장의 상황에 따라 통일된 교육프로그램 조차 제시하지 못한 채 중구난방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육시간이 짧고 표준화된 매뉴얼 없이 강사에 따라 제각각 교육이 이뤄지고 있어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고, 교육부 방침과 달리 교육확대 속도가 더디고 지역별 편차가 커 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는 초등학교 생존수영 교육은 선진국의 수영교육과 많은 차이를 보인다. 선진국의 수영교육은 의무 교육이며, 인증제를 통해 수준별 교육으로 생존수영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이처럼 생존수영의 취지에 맞게 우리나라에서도 재난상황에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실질적이고 체계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정책이 절실히 필요하다.

현재까지 최근의 생존수영에 관한 선행연구(Choo, 2016; Gil, 2017; Kim, 2017; Kim and Kang, 2018; Kim et al., 2018; Park, 2017; Shin, 2017)는 최근 들어 꾸준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루어진 선행연구는 생존수영 교육 맥락 이해를 통한 지도자의 전문성과 교육내용의 질적 탐색에 대한 측면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졌고, 선진국과 우리나라 교육 프로그램의 비교에 그치고 있으며, 초등생존수영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을 파악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여 이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델파이 방법을 이용하여 초등학교 생존수영교육 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초등 생존수영의 발전방향과 나아가 전국에서 이루어지는 생존수영교육의 질적・양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수상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생존수영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학교 생존수영교육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학교 생존수영교육의 지도자, 프로그램, 시설의 개선방안에 대한 변화가능성과 희망의 정도는 무엇인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초등생존수영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찾기 위하여 델파이 기법을 이용하여 2018년 현재 초등생존교육에 관여하고 있는 전문가 집단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비확률적 표집(non-probability sampling) 중 유목적적 표집(purposeful sampling)을 이용하여 생존수영 연구 전문가 3명, 생존수영 행정가 3명, 생존수영 지도자 각각 3명, 총 9명을 선정하여 연구 참여와 관련하여 연구윤리동의서를 받은 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 <Table 1>과 같다.

<Table 1>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Division N Career Expert
Expert in Survival Swimming Research 3 17 Professor
16 Professor
13 Ph.D. degree
Administrator of survival swimming 3 21 Facility official
13 Assistant
18 Facility official
Instructor of survival swimming 3 4 Instructor of Survival Swimming
3 Instructor of Survival Swimming
3 Instructor of Survival Swimming

2. 연구절차

본 연구는 초등생존수영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주요 문제점으로 거론되고 있는 사안들을 취합하여 설문지로 구성하였다. 주요 문제점으로는 초등 생존수영 지도자, 프로그램, 시설 3가지 요인들이며 각 사안들에 상응하는 델파이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8년 3월부터 2018년 6월까지 4개월간에 걸쳐 초등 생존수영교육관련 전문가들을 직접 만나서 설문응답요령에 대하여 설명하고 설문지를 전달하였다.

본 연구는 총 3회에 걸쳐 설문조사가 이루어 졌다. 1차는 초등생존수영교육의 지도자, 프로그램, 시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현재의 문제점과 그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개방형 설문지로 구성하여 작성하도록 하였다. 2차는 1차 설문에서 초등생존수영교육의 지도자, 프로그램, 시설의 개선방안에 대해 전문가들이 인식하고 있는 내용을 종합하여 2차 설문지를 제시한 후 변화가능성과 희망정도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3차는 2차 설문의 응답결과 사분점간 범위에서 벗어난 응답에 대해서는 재 추정하여 수정하고, 소수 의견을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전문가 집단 간 사안의 변화에 대한 희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3.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도구는 설문지이며, 1~3차 설문문항은 Lee(1987)가 개발한 한국 고등학교 미래 추정의 델파이 방법 개방형 설문지를 기초로 한, Kang(2005)Joo(2007)의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의 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안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4. 자료분석

사전 문헌조사를 통해 초등 생존수영교육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델파이 설문지를 작성해 총 3회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로 인해 얻어낸 자료는 Window SPSS 22.0 program을 이용해 통계처리 하였으며, 집단 간 변화에 대한 차이의 모든 통계적인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또한, 변화가능성과 희망정도에 대한 중앙치, 사분위수, 응답 수, 평균을 선형공식을 구하였으며 이에 대한 기준은 다음 <Table 2>, <Table 3>, <Table 4>와 같다.

<Table 2> 
Linear formula according to degree of change possibility
Likert-type %
1 96.00
2 73.25
3 50.50
4 27.75
5 5.00
linear formula Y= -22.75X+118.5
X : Likert-type(Scale response)
Y : %

<Table 3>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ree probability of possibility of change
Probability of change(%) Scale of change
67 or more high
51 ~ 66 be possible
50 or less low

<Table 4> 
Classification according to hope average value and hope degree for change
Hope average for change Degree of hope
2.000 or less agree
2.001 ~ 2.900 partial agree, partial opposition
2.901 or more opposition


Ⅲ. 연구 결과
1. 초등 생존수영교육의 문제점
가. 초등 생존수영교육 지도자에 대한 문제점

전문가들은 초등 생존수영 교육 지도자 측면의 문제점에 대해 9명중 9명(99.9%)이 초등 생존수영 관련 지도자의 지도법 및 역량강화 교육의 부족하고, 그다음 순위로는 교육생 대비 지도자의 배치 수 부족이 5명(55.5%), 생존수영 전담강사의 처우부족이 4명(44.4%), 생존수영 운영 관련 전문 지도자 자격증의 부재가 2명(22.2%), 지도자의 안전의식 및 사고가능성에 대한 인지부족이 2명(22.2%), 지도자의 윤리의식 부족이 2명(22.2%)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가 1명(11.1%)만 제시한 응답으로는 프로그램 시설 및 장비 운영 활용 능력 부족, 수준별 피 교육생 컨트롤 능력 부족, 초등교사의 직접 지도할 수 있는 지도자 양성 프로그램의 부족, 놀이 위주의 교육을 문제로 지적하였다.

나. 초등 생존수영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

전문가들은 초등 생존수영 교육 프로그램 측면의 문제점에 대해 일관성 있는 프로그램 구축의 부재가 6명(66.6%), 짧은 수업시간으로 수업의 효율이 떨어짐이 5명(55.5%), 프로그램 안정성을 위한 세부기준의 부족이 4명(44.4%), 프로그램의 연속성 부족이 3명(33.3%), 정규과정이 아닌 일회성으로 그침이 2명(22.2%), 초등담임교사들은 교육에 참여하지 않고 인솔만 진행이 2명(22.2%)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가 1명(11.1%)만 제시한 응답으로는 학년에 따른 단계별 교육프로그램의 부재를 문제로 지적하였다.

다. 초등 생존수영교육 시설에 대한 문제점

전문가들은 초등 생존수영 교육 시설 측면의 문제점에 부족한 수영장 시설이 5명(55.5%), 교육기관 별 교육안전 장비 부족이 4명(44.4%), 수영장 수질관리 및 수온의 점검 부족이 3명 (33.3%), 실제 조난 상활과 비슷한 환경의 수영장 수심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시설이 2명(22.2%), 인근 스포츠센터와의 계약으로 인한 기존 회원들과의 마찰이 2명(22.2%), 샤워시설의 부재가 2명(22.2%)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가 1명(11.1%)만 제시한 응답으로는 초등학생에 맞는 안전장치 설치의 부재, 프로그램 운영 중인 기관별 수영장 구조 및 특색이 각각 다름, 수영장 교육과 육상실습교육을 병행해서 할 수 있는 시설의 부재를 문제로 지적하였다.

2. 초등 생존수영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가. 초등 생존수영교육 지도자에 대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전문가들은 초등 생존수영 교육 시설 측면의 개선방안을 9명 중 7명이 초등 생존수영 지도자 양성과정의 정규화 필요(77.7%), 교육생 대비 지도자의 배치 수 확대를 4명(44.4%), 생존수영 전담강사의 처우개선이 3명(33.3%), 초등 생존수영 지도자 관련 자격증 개설이 2명(22.2%), 지도자의 안전 및 윤리의식 확보가 2명(22.2%)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가 1명(11.1%)만 제시한 응답으로는 유아교육/ 아동 응급처지 등 관련 전문 자격증 개발, 초등교사의 생존수영 지도 교육의 의무화, 프로그램의 이해도 향상, 지도자의 프로그램 시설 및 장비 운영 활용 능력 확대를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나. 초등 생존수영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전문가들은 초등 생존수영교육 프로그램 측면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9명중 5명(55.5%)이 일관성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수업시수의 확보와 정규 교육과정편성 필요가 4명(44.4%), 안정성이 보장된 프로그램의 진행이 4명(44.4%), 수준별 다양한 교육 커리큘럼의 적용 필요(22.2%)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가 1명(11.1%)만 제시한 응답으로는 안정성이 보장된 프로그램 개발, 실제 프로그램 진행 후 해양프로그램 운영으로 실제 바다 생존수영체험, 담임교사들의 인솔프로그램 개발, 수중 및 육상 교육의 병행, 프로그램의 연속성, 각 지역별 생존수영 전문 센터 지정 및 운영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다. 초등 생존수영교육 시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전문가들은 초등 생존수영교육 시설 측면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9명중 6명(66.6%)이 아동교육에 적합한 수영장 시설 기준마련, 수영장 시설의 확대가 4명(44.4%), 교육장비의 확대가 3명(33.3%), 수영장 시설별 시간활용과 시설이용자의 동선 활용을 통해 불편함 해소가 2명(22.2%), 단계별 교육진행을 위한 수영장 수심의 다양한 구성이 2명(22.2%)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가 1명(11.1%)만 제시한 응답으로는 각 교육청별 생존수영 교육관련 수영장 시설 신축, 수영장 시설 이외 육상실습 장소 구축, 탈의, 샤워시설의 환경개선, 생존수영 교육시설에 적합한 기준 확립 및 예산지원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3. 초등 생존수영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한 변화가능성과 희망척도
가. 초등 생존수영교육 지도자 변화가능성과 희망의 척도

3회의 델파이 설문을 통하여 초등 생존수영교육 지도자에 관한 변화의 가능성과 희망의 정도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5>. 10개의 문항을 전문가 집단이 초등 생존수영교육 지도자와 관련된 문항으로 응답하였는데 변화의 가능성이 높다는 문항 4개, 변화의 가능성이 있다는 문항 5개, 변화의 가능성이 낮다는 문항 1개로 나타났다.

<Table 5> 
Change items about elementary survival swimming instructor (n=9)
Item Item content Probability of
change (%)
Degree of
probability
Hope for
change
Degree of
hope
1 Instructor training of professional will be needed. 78.4 high 1.222 agree
8 The instructor will need the trainee's ability to control. 78.2 high 1.333 agree
6 The safety and ethics of the instructor will need to be secured. 75.7 high 1.333 agree
7 There will be a need to expand the capacity of instructor to utilize program facilities and equipment operations. 67.9 high 1.666 agree
4 A generalized curriculum will be needed to develop instructor. 65.4 be possible 1.444 agree
9 Mandato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ll be required to provide instruction education on survival swimming. 62.9 be possible 1.666 agree
2 It may be necessary to open a certificate for survival swimming instructor. 62.9 be possible 1.666 agree
10 Development of specialized certifications, such a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first aid for children will be required. 60.4 be possible 1.444 agree
3 In preparation trainees increasing number of instructor will be needed. 55.4 be possible 1.777 agree
5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treatment of wages and welfare by switching to full-time workers. 37.7 low 1.666 agree

변화의 가능성이 높다고 나타난 문항을 빈도순으로 살펴보면 “전문적인 지도자 양성이 필요할 것이다.”(78.4%), “지도자가 피교육생의 컨트롤 능력이 필요할 것이다.”(78.2%), “지도자의 안전 및 윤리의식 확보가 필요할 것이다.”(75.7%), “지도자의 프로그램 시설 밑 장비 운영활용 능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67.9%)로 나타났다.

변화의 가능성이 있다고 나타내는 문항을 빈도순으로 살펴보면 “지도자 육성에 있어 일반화된 교육과정이 필요할 것이다.”(65.4%), “초등교사의 생존수영 지도 교육의 의무화가 필요할 것이다.” (62.9%), “생존수영 지도자 관련 자격증 개설이 필요할 것이다.”(62.9%), “유아교육/아동 응급처치 등 관련 전문 자격증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60.4%), “교육생 대비 지도자의 배치 수의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55.4%) 등으로 나타났다.

변화의 가능성이 낮다고 나타난 문항을 살펴보면 “정규직으로 전환하여 임금, 복지 등 처우개선이 필요할 것이다.”(37.7%)로 나타났다. 희망의 정도에 있어서는 모든 문항에서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초등 생존수영교육 프로그램 변화가능성과 희망척도

3회 델파이 설문을 통하여 초등 생존수영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변화의 가능성과 희망의 정도는 다음과 같다<Table 6>. 9개의 문항을 전문가 집단이 초등 생존수영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문항으로 응답하였는데 변화의 가능성이 높다는 문항 2개, 변화의 가능성이 있다는 문항 5개, 변화의 가능성이 낮다는 문항 2개로 나타났다.

<Table 6> 
Change items about elementary survival swimming education program (n=9)
Item Item content Probability of
change (%)
Degree of
probability
Hope for
change
Degree of
hope
7 It will need to proceed with a program that ensures stability. 75.3 high 1.555 agree
2 Consistency in the training program will be required. 70.4 high 1.111 agree
1 It will need continuity of the program. 67.9 be possible 1.444 agree
4 The parallel of underwater and land education will be required. 65.4 be possible 1.777 agree
3 It will need to secure class hours and organize a formal curriculum. 62.9 be possible 1.333 agree
5 The systematic teaching program should be applied step by step rather than the experiential class. 62.9 be possible 1.444 agree
9 It will be necessary to designate and operate a specialized center for survival swimming in each region. 57.9 be possible 1.555 agree
6 The link between the actual program and the marine program will require a real sea survival swimming experience. 50.2 low 1.222 agree
8 It may be necessary to open lead training program for the homeroom teacher. 50.2 low 2 agree

변화의 가능성이 높다고 나타난 문항을 빈도순으로 살펴보면 “안전성이 보장된 프로그램 진행이 필요할 것이다.”(75.3%), “교육 프로그램의 일관성이 필요할 것이다.”(70.4%)로 나타났다.

변화의 가능성이 있다고 나타난 문항을 빈도순으로 살펴보면 “프로그램의 연속성이 필요할 것이다.”(67.9%), “수중 및 육상교육의 병행이 필요할 것이다.”(65.4%), “수업 시수의 확보와 정규 교육과정 편성이 필요할 것이다.”(62.9%), “체험형 수업이 아닌 단계별로 체계적인 수업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62.9%), “각 지역별 생존수영 전문 센터 지정 및 운영이 필요할 것이다.”(57.9%)로 나타났다.

변화의 가능성이 낮다고 나타난 문항을 빈도순으로 살펴보면 “실제 프로그램과 해양 프로그램의 연관으로 실제 바다 생존수영 체험이 필요할 것이다.”(50.2%), “담임교사들의 인솔교육 프로그램 개설이 필요할 것이다.”(50.2%)로 나타났다. 희망의 정도에 있어서는 모든 문항에서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초등 생존수영교육 시설 변화가능성과 희망척도

3회 델파이 설문을 통하여 초등 생존수영교육 시설에 관한 변화의 가능성과 희망의 정도는 다음과 같다<Table 7>. 9개의 문항을 전문가 집단이 초등 생존수영교육 시설과 관련된 문항으로 응답하였는데 변화의 가능성이 높다는 문항 3개, 변화의 가능성이 있다는 문항 4개, 변화의 가능성이 낮다는 문항 2개로 나타났다.

<Table 7> 
Change items about elementary survival swimming education facilities (n=9)
Item Item content Probability of
change (%)
Degree of
probability
Hope for
change
Degree of
hope
8 Efforts will be required to resolve discomfort through the time utilization of swimming pool facilities and the use of copper users. 73.0 high 1.444 agree
7 Pool water quality management and water temperature checks for primary survival swimming education will be required. 70.4 high 1.555 agree
5 You will need to install a safety devic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ladder installation). 67.9 high 1.777 agree
2 Expansion of educational safety equipment will be needed. 65.4 be possible 1.333 agree
9 You will need space for both pool training and land training. 57.9 be possible 1.888 agree
3 Establishing appropriate standards and budgetary support for survival swimming education facilities will be needed. 55.4 be possible 1.333 agree
4 Undressing and showering will require environmental improvements. 55.4 be possible 1.888 agree
6 Different stage pool depths will need to be configured. 42.7 low 1.555 agree
1 It will be necessary to build swimming pools for survival and training. 42.7 low 1.888 agree

변화의 가능성이 높다고 나타난 문항을 빈도순으로 살펴보면 “수영장 시설별 시간 활용와 시설이용자의 동선 활용을 통해 불편함 해소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73.0%), “초등 생존수영교육을 위한 수영장 수질관리 및 수온의 점검이 필요할 것이다.”(70.4%), “초등학생에 맞는 안전장치의 설치가 필요할 것이다(사다리설치).”(67.9%)로 나타났다.

변화의 가능성이 있다고 나타난 문항을 빈도순으로 살펴보면 “교육 안전 장비의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65.4%), “수영장 교육과 육상 실습 교육을 병행해서 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할 것이다.” (57.9%), “생존수영 교육시설에 적합한 기준 확립 및 예산지원이 필요할 것이다.”(55.4%), “탈의 및 샤워시설의 환경개선이 필요할 것이다.”(55.4%)로 나타났다.

변화의 가능성이 낮다고 나타난 문항을 빈도순으로 살펴보면 “단계별 수영장 수심이 다양하게 구성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42.7%), “생존수영 교육 관련 수영장 시설 신축이 필요할 것이다.”(42.7%)로 나타났다. 희망의 정도에 있어서는 모든 문항에서 찬성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논의 및 결론
1. 초등 생존수영교육의 문제점

초등 생존수영 교육에 있어 지도자의 전문성은 수강생들에게 많은 지식과 높은 질의 수업을 제공해 준다.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발전시키기 위해선 전문적이고 유능한 지도자를 확보하고 양성해야 하며 지도자로서 전문성을 지니기 위해 스스로 많은 노력이 병행되어 이루어 져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초등 생존수영교육 지도자와 관련된 문제점에 대하여 초등 생존수영교육 전문가 9명이 첫째, 초등 생존수영관련 지도자의 지도법 및 역량강화 교육의 부족(99.9%)을 지적하였는데, 이에 대해 Oh(2014)는 아무리 훌륭한 교육목표를 세우고 좋은 교육과정을 적용해서 교육한다 할지라도 그것을 적용하는 지도자가 함양 미달이라면 훌륭한 목표와 좋은 내용이 퇴색되기 마련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지도자를 양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초등 생존수영교육 전문가 5명이 인원대비 지도자 수 부족(55.5%)을 지적하였는데, 이에 대해 현장에서 학생들을 지도함에 있어서 지도자는 교육의 진행과 학생들의 생존수영 능력 습득을 위한 역할뿐 아니라 안전 근무 역할도 함께 수행하는데, 학생들의 통제에 있어서 교육의 질과 안전관리에 대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는 과도한 인원 편성이 초등 생존수영 교육을 질적으로 하락시키는 결과가 나타날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Kim and Kang, 2018).

셋째, 초등 생존수영교육 전문가 4명이 생존수영 전담강사의 처우부족(44.4%)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는데, 이에 대해 Jung(2009)은 비정규직으로 인한 불안전한 미래와 수업 진행시의 수업권에 대한 문제점, 명확한 복무규정과 급여인상과 지속적인 연수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이는 전담강사들의 비정규직의 문제와 처우부족으로 인한 교육의 양 과 질 하락을 초래한다고 판단된다.

초등 생존수영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에 대하여 초등 생존수영교육 전문가 6명이 첫째, 일관성 있는 프로그램 구축의 부재(66.6%)을 문제로 지적하였다. Kim(2017)은 생존수영교육 수업은 매 시간 지도안이 없으며 위탁기간에서 임의적으로 지도안을 만들어 수영지도자가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해 즉흥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하였다. 이는 곧 수업의 질과 관련된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 생존수영 교육 전문가 5명이 짧은 수업시간으로 수업의 효율이 떨어짐(55.5%)을 문제로 지적하였다. 이는 교육의 효과를 떨어뜨리는 문제로 이어 질 수 있는데, 현재 교육부가 지정한 수영수업의 시수로는 수영 실력향상을 기대하기에는 힘들다. 아무리 좋은 프로그램과 지도자가 있더라도 짧은 시간 안에 질 높은 교육을 한다는 것은 무리가 있고 하였다. 특히, Jeon(2014)의 연구에 의하면, 수영교육에 제시된 수업시수 중 50% 이상이 이동과 탈의 시간으로 허비되고 있어, 실제로 학습하는 시간이 절반 밖에 안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는 짧은 수업시간으로 인해 교육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어 진다.

셋째, 초등 생존수영교육 전문가 4명이 프로그램 안정성을 위한 세부기준이 부족(44.4%)을 문제로 지적하였는데, 이에 대해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생존수영법에 대한 기본적인 매뉴얼이나 프로그램이 없다고 하였다(Kim and Lee, 2016). 이로 인해 강사 개개인의 프로그램 조성은 초등 생존수영교육 프로그램의 안정성과 타당성이 부족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 지적하였다. 이는 초등 생존수영교육 프로그램에 있어서 안정성이 검증된 체계화한 프로그램의 세부기준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초등 생존수영교육 시설에 대한 문제점에 대하여 초등 생존수영교육 전문가 5명이 첫째, 부족한 수영장 시설(55.5%)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는데, Choo(2016)는 우리나라에서 생존수영교육을 진행하기에 큰 문제점은 수영교육 장소이며, 효과적인 수업진행에 있어서 가장 큰 필요항목은 수영교육 시설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고 하였다. 또한 Kwon(2016)은 수영수업에 있어 확충되지 못하는 가장 큰 요인은 수영장 시설 부족이 51.3% 이라는 점을 밝혔다. 이는 초등 생존수영교육의 효과적인 교육 진행을 위해 수영장 시설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진다.

둘째, 초등 생존수영교육 전문가 4명이 교육기관 별 교육 안전 장비의 부족(44.4%)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는데, 학생 수에 비해 구명조끼 수가 부족한 수영장이 많고 생존수영에 필요한 구명 조나 이함 대가 없는 수영장이 대부분이라는 점은 실제 상황에서의 대처법이 떨어진다고 판단되어 진다.

셋째, 초등 생존수영교육 전문가 3명이 수영장 수질관리 및 수온의 점검 부족(33.3%)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는데, 현재 아동교육에 적합하지 않은 수질 관리나, 수온으로 인해 아이들이 간지럼증을 호소하거나, 수업 중에 추위를 느껴 수업진행에 차질이 있다고 초등 생존수영 교육 지도자들은 답하였다. 이러한 실정이 개선 될 수 있도록 아동교육에 적합한 수영장 수질관리 및 수온의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2. 초등 생존수영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본 연구에서 초등 생존수영교육 지도자와 관련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초등 생존수영교육 전문가 7명이 첫째, 초등 생존수영 지도자 양성 과정의 정규화(77.7%)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였는데, 생존수영교육을 위해 전문적인 지도자 양성이 중요하지만 실질적으로 지도자 양성 프로그램의 과정이 부진하고, 지도자 개개인에 따라 학생들의 수준향상이 달라지고 성공적인 목표달성이 어렵기 때문에 초등 생존수영교육을 위한 전문적인 지도자 양성을 위해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초등 생존수영교육 전문가 4명은 교육생 대비 지도자의 배치 수 확대(44.4%)가 필요하다고 전망하였다. 현재 생존수영 교육에 참여하는 학생 수에 비해 교육인력이 부족해 교육 담당자들은 외부강사를 초빙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는 지도자 수에 비해 많은 수강생 비율로 수업의 전문성과 효율성이 떨어지므로 수업인원을 적정하게 편성해 학생들의 개개인 실력향상에 도움을 주고, 프로그램의 안정성을 높일 것으로 판단되어 지도자의 배치 수 확대에 필요성을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초등 생존수영교육 전문가 3명은 생존수영 전담강사의 처우개선(33.3%)이 필요하다고 전망하였다. 이에 Jung(2009)는 신분보장 및 처우개선이 시급하고, 명확한 복무규정, 급여인상 과 지속적인 연수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지도자는 사기가 올라가고 교육생들은 지도자를 통해 질 좋은 교육을 받을 수 있다고 판단되어 생존수영 전담강사의 처우개선의 필요성을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초등 생존수영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초등 생존수영교육 전문가 5명(55.5%)이 첫째, 일관성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Kim and Kang(2018)은 생존수영교육은 통일된 프로그램의 부재로 각 수영장마다 지도자의 능력에 따라 프로그램이 서로 달라 혼란을 일으키고 있는데, 전 학년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레벨과 수준에 맞게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고 프로그램의 정형화를 통해 일관성 있는 교육의 진행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일관성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이 초등 생존수영교육의 질과 안전성 향상에 도움을 주어 지금보다 더 나은 생존수영교육을 통해 보다 높은 실현성과 만족도를 느낄 필요성을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초등 생존수영교육 전문가 4명은 수업 시수의 확보와 정규 교육과정 편성(44.4%)이 필요하다고 전망하였는데, Kim(2017)은 짧은 수업시수 때문에, 본 수업이 체험활동으로 그치고 있었으며, 따라서 학생들이 수상활동 중 비상시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생존능력을 기르기에는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기존의 생존수영 수업 이외에 방과 후나 스포츠클럽 시간을 이용해 시수확보를 하여 체험 형 활동이 아닌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교육과정을 통해서 실제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자신의 생명을 지킬 수 있는 활동이 되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전망하였다.

셋째, 초등 생존수영교육 전문가 4명은 안전성이 보장된 프로그램의 진행(44.4%)이 필요하다고 전망하였는데, 이는 강사 개개인이 놀이 위주의 교육을 통해 발생하는 교육생들의 부상의 위험과 체계화 되어있지 않은 프로그램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들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성 검사를 통해 체계화된 프로그램의 구성과 진행을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초등 생존수영교육 시설과 관련된 문제점의 개선방안으로 초등 생존수영교육 전문가 6명은 첫째, 아동교육에 적합한 수영장 시설 기준마련(66.6%)이 필요하다고 전망하였는데, 현재 각 지자체, 사설 수영장은 성인들의 기준에 맞춰져 있어 초등 생존수영 교육을 진행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수영장 시설의 부족으로 기존에 있는 센터와 협력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학생들은 타일에 베이거나, 무릎에 멍이 드는 경우 등 부상위험이 많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학생들이 올라올 수 있는 사다리의 부족, 수온, 수질관리 등 아이들의 신체 조건과 피부에 맞는 수영장을 쉽게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에 부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아동교육에 적합한 수영장 기준 마련의 필요성을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초등 생존수영교육 전문가 4명은 수영장 시설의 확보(44.4%)가 필요하다고 전망하였는데, 이는 수영장 시설의 협소로 인해 기존 회원들과의 마찰이 생기고 있으며, 시설의 부족으로 인해 협력된 수영장에 학생들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보면 많은 수영장 시설의 협력이나, 새로운 시설의 신축을 통해 장소의 협소함과 시설 부족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들을 해결할 필요성을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초등 생존수영교육 전문가 3명은 교육 안전 장비의 확대(33.3%)가 필요하다고 전망하였는데, 현재 수영장 시설에는 실제 상황에서 필요한 교육 안전 장비가 마련 된 곳이 없다. 실제 체험해볼 수 있는 장비의 부족으로 인해 실제 상황에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해 교육 안전장비의 확대로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고, 실제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실천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3. 초등 생존수영교육의 개선방안의 변화가능성과 희망척도

생존수영 교육의 효율성과 학생들이 실제상황에서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생존수영 기술 교육을 위해 전문적인 지도자 양성과 지도자와 관련된 환경을 개선시킬 방안이 필요하다. 초등 생존수영교육 지도자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 변화가능성과 의망의 정도를 나타내는 문항 중에서 초등 생존수영교육 전문가들은 “전문적인 지도자 양성이 필요.”, “지도자가 피교육생의 컨트롤 능력이 필요”, “지도자의 안전 및 윤리의식 확보가 필요.”, “지도자의 프로그램 시설 및 장비 운용 활용 능력을 확대할 필요.”에서 전문가들은 변화의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하였고, 변화에 대한 희망에서도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도자 개개인에 따라 학생들의 수준향상이 달라지고 성공적인 목표달성이 어렵기 때문에 초등 생존수영교육을 위한 전문적인 지도자 양성을 위해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지도자의 긍정적 리더십은 교육생에게 성취 욕구나 교육내용에 대한 흥미유발에 많은 영향을 준다. 또한 Han(2016)은 스포츠지도자의 윤리의식과 가치관 연구에서 스포츠지도자의 윤리 의식과 가치관은 다양한 스포츠의 비윤리적 상황에서 습관화 되어 언제나 발현될 수 있도록 체득되어 져야 한다고 밝혔다. 지도자가 일반적인 능력이 뛰어난 기술을 육성하는 것이 아니라 수강생들을 바람직한 교육방향으로 이끌어 인성을 올바르게 인도해야 하기 때문이다. 수영장에서 교육이 엄격하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작은 실수나 사고도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지도자의 전문성과 안전의식이 중요하다.

또한 “지도자 육성에 있어 일반화된 교육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초등교사의 생존수영 지도 교육의 의무화가 필요.”, “생존수영 지도자 자격증 개설이 필요.”, “유아교육/아동 응급처지 등 관련 전문 자격증 개설이 필요.”, “교육생 대비 지도자의 배치 수의 확대가 필요.”에서 전문가들은 변화의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고, 변화에 대한 의망에서도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생존수영의 교육은 중구난방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지도자 개개인의 역량에 따라 교육 프로그램이 달라지고 있다. 국가 자체에서 일반화되고 체계화된 생존수영 교육 프로그램의 제도화로 지도자들이 일반화되고 안정된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현재 생존수영교육에서 담임교사는 인솔만 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도자가 부족한 지금 생존수영교육에 담임교사가 보조교사로 들어오게 된다면, 안전성, 교육의 효율성, 피교육생의 컨트롤 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참관만 하는 것이 아닌 실제 수난사고 상황에서 교사의 지도 능력을 키울 수 있고, 교사들은 기본적으로 학생에 대한 이해지식이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수영장 물속으로 들어가 학생들과 상호작용 한다면 교육의 질이 보다 커질 것이다. 교사들이 풀장 안으로 들어가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수영에 대한 자신감 고취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단기적으로는 생존수영 지도를 위한 실기위주의 직무연수과정을 개설하고 참여하게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교육 대학교 교육과정에서 예비교사들에게 기초적인 수상안전교육 이수의 필요성이 대두된다(Kim, 2017).

또한, 수영지도자의 역량으로 생존수영의 성패를 결정한다고 볼 수 있다(Park and Lee, 2017). 생존수영의 성공을 위해서는 지도자의 역량 향상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생존수영 지도자 자격증 개설, 유아교육/아동 응급처지 등 관련 전문 자격증 개설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예측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정규직으로 전환하여 임금, 복지 등 처우개선이 필요.”에서 전문가들은 변화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예측하였고 희망의 정도에 있어서는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화된 지도자 양성 프로그램이 있다면, 정규직으로 전환할 필요성은 떨어진다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초등 생존수영교육 프로그램에 관련된 내용에 대한 변화가능성과 희망의 정도 문항 중에서 “안전성이 보장된 프로그램 진행이 필요.”, “교육 프로그램의 일관성이 필요.”, 프로그램의 연속성이 필요“ 등에서 전문가들은 변화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하였고 희망의 정도에서도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다 보니 안전상의 문제를 동반하게 되는데 강사 개개인의 프로그램 조성이 아닌 안정성이 검토된 프로그램의 진행을 통해 교육생들의 안전문제를 점검하고 교육을 시행을 통해 교육생들의 위험부담을 줄여야한다. 또한 생존수영교육의 지도안이 없어 위탁기간에서 임의적으로 지도안을 만들어 수영지도자가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해 즉흥적으로 이루어지는 발차기 위주의 교육이 아닌 수상에서 실제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일관성 있는 생존수영 기술을 구사하고 일회성을 띄는 체험 형 교육이 아닌 단계별로 실력의 향상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축해야 할 필요성을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중 및 육상교육의 병행이 필요.”, “수업 시수의 확보와 정규 교육과정 편성이 필요.”, “체험 형 수업이 아닌 단계별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적용”, “각 지역별 생존수영 전문 센터 지정 및 운영이 필요” 등에서 전문가들은 변화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측하였고 희망의 정도에서도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수영 교육은 수중 교육도 중요하지만 육상에서의 심폐소생술, 수영장 내에서의 안전수칙, 배워야할 학습목표를 가르친 후 수중 교육에 들어가야 한다. 또한, 대기인원은 실습을 하지 않는 비효율적인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데 육상에서 시뮬레이션 훈련으로 잉여 시간을 최대한 감소시켜야 한다. 단발적인 체험 형 교육은 지속적인 효과가 없고, 제대로 된 기술 습득이나 시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이에 대해 단계별, 수준별 유아시절부터 중학생까지의 교육을 시행해야 하고 이를 위해 단계별 프로그램의 구성하여 생존수영 교육의 성공을 이끌어야 한다. 현재 생존수영 교육은 12시간으로, 생존수영 능력을 습득하기에는 짧은 시간이라고 전문가들은 판단했다. 이에 대해 기존의 생존수영 수업 이외에 방과 후나 스포츠클럽 시간을 이용해 시수확보를 하여 체험 형 활동이 아닌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교육과정을 통해서 실제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자신의 생명을 지킬 수 있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실제 프로그램과 해양 프로그램의 연관으로 실제 바다 생존수영 체험이 필요.”, “담임교사들의 인솔교육 프로그램 개설이 필요.”등에서 전문가들은 변화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예측하였고 희망정도에 있어서는 모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물에 적응 하는 시기가 필요한 초등학생들은 해양실습을 나가기에 아직 너무나 위험하고 이를 통제하고 교육할 수 있는 지도자의 전문적인 양성 프로그램조차 없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변화가능성이 낮다고 전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인솔교육 프로그램 보다 직접 체험하고 교육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구축을 통해 생존수영 지도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도자 양성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초등 생존수영교육 시설과 관련된 변화의 가능성과 희망의 정도 문항 중에서 “수영장 시설별 시간활용과 시설이용자의 동선 활용을 통해 불편함 해소노력이 필요”, “초등 생존수영 교육을 위한 수영장 수질관리 및 수온의 점검이 필요”, “초등학생에게 맞는 안전장치의 설치가 필요(사다리설치)”, 항목에서 변화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 하였고 희망의 정도에서는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 안전장비의 확대가 필요”, “수영장 교육과 육상실습 교육을 병행해서 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 “생존수영 교육시설에 적합한 기준 확립 및 예산지원이 필요”, “탈의 및 샤워시설의 환경개선이 필요” 등에서 변화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고 희망의 정도에서는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수난구조 상황에서 쓰이는 안전장비를 우선순위로 배정해야 하고, 이러한 교육 안전장비가 확대되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수업에 필요한 서비스와 장비 및 시설 유지 보수가 가능해 진다면 수업 참가들에게 더 편리한 시설 제공과 수업 환경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하여 그 필요성을 전문가들은 예측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단계별 수영장 수심이 다양하게 구성될 필요.”, “생존수영 교육 관련 수영장 시설 신축이 필요.”등에서 변화의 가능성이 낮다고 전문가들은 예측하였는데, 이에 Sung(2004)은 초등학교 수영수업에 있어 확충되지 못하는 가장 큰 문제점이 수영장 시설 부족으로 인한 문제점이며, 재정적 지원이 확보가 된다면 더 편리한 시설제공과 수업 환경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초등 생존수영교육과 관련하여 지도자, 프로그램, 시설 이외 홍보, 예산도 포함하여 개방형 설문과 심층면담을 병행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다각적 방법을 적용한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8학년도 한국해양대학교 연구년 지원비로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Ahn MS(2014).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Plan of Swimming Safety Education-Focusing on domestic and overseas cases. Press releases. http://dl.nanet.go.kr/law/SearchDetailView.do?cn=MONO1201604581
2. Choo MK(2016).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and management plan of compulsory swimming education. Silla Univ. Master Thesis.
3. Gil DS(2017). A study of parents’ understanding of water survival training and ways to improve the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Chungang Univ. Master Thesis.
4. Han DI(2017). A Literature Review Research for Ethics and Values of Sports Leaders in Approach of Virtue Ethics. Pusan National Univ. Doctoral thesis.
5. Jeon BK(2014). A qualitative study on teachers' awareness and improvement of compulsory swimm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Yongin Univ. Master Thesis.
6. Joo SB(2007). The future prospect of elite sports through Delphi analysis. Kookmin Univ. Doctoral thesis.
7. Jung JS(2009). A Study on the Actual Operation of and Reform Measure against the Sports Instructor System at Elementary schools in Kangwon Do. Kangwon National Univ. Master Thesis.
8. Jang JY, Kang SB, Cho WJ and Jeong SH(2017). Water Safety Manual. Busan: Dasom Publishing Co., 57~58.
9. Kang SI(2005). A Policy study on the enhancement of sport-for-all participation. Yonsei Univ. Master Thesis.
10. Kim JH and Lee KM(2016). Cases of Benchmarking for the Elementary School Swimming Education: Focusing on Seoul and Osa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 Policy, 14(4), 1~18.
11. Kim JH(2017). The Problem of the Survival Swimming Education for 3rd-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improvement. Kyungpook National Univ. Master Thesis.
12. Kim JS and Kang HW(2018). A Study on the Improvement by Analyzing of Elementary School Survival Swimming Education Program : Focusing on focus group researc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26(4), 761~775.
13. Kim YM, Kim WJ and Park IK(2018).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ntents and Expertise through Qualitative Understanding of the Survival Swimming Educational Contex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Sport Pedagogy, 25(1), 75~103.
14. Kwon OS(2016). A study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swimming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and methods to improve swimming skills. Korea National Univ. of Education. Master Thesis.
15. Lee JS(1987). A Study on Validity of Selection Criteria for Freshmen. Yonsei Education Science, 31, 25~30.
16. Ministry of education(2015). Operational planning for 2015., 8~17.
17.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17). Survival swimming training, It operates in earnest. Press releases.
18. Oh DK(2014). Qualitative analysis of middle school excellent cases to improve educational operating of school sports club. Seoul National Univ. Master Thesis.
19. Park HE(2017). An Operation Condition and Improvement Plan of Swimm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eoul National Univ. Master Thesis.
20. Park SB and Lee SH(2017). Execution Experience of Swimming Education and Development Plan for Swimming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8(1), 237~251.
21. Shin EH(2017).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afety Swimming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the Drowning Accidents. Yonsei Univ. Master Thesis.
22. Statistics Korea(2015). Statistics of mortality returns. Country approval statistics, 10154.
23. Sung JK(2004). An Analysis of swimming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 Thesis.
24. The Asia Business Daily(2016.8). The cause of swimming accident, Order of safety rule failure, Swimming immaturity etc.
25. The Kyongnamdomin Ilbo(2016.6). Elementary school survival swimming training without preparation. Press rel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