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Journal Archive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2 , No. 1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2, No. 1, pp. 232-245
Abbreviation: J Kor Soc Fish Mar Edu.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9 Feb 2020
Received 03 Jan 2020 Revised 21 Jan 2020 Accepted 31 Jan 2020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0.2.32.1.232

대학에서의 학생 참여형 수업에 관한 예비 교사의 인식 분석
박소영
대구대학교(교수)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Student Participation Classes in Colleges
So-Young PARK
Daegu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 053-850-4364, syoungpark@daegu.ac.kr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how important prospective teachers perceive “student-participation classes” in college and how they experience them.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how do prospective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tudent-participation in college? Second, how do prospective teachers perceive the performance of student participatory instruction in majors and teaching subjects? Third, what do preservice teachers require to promote student participatory instruction in college? I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study to the participants for the survey, received the consent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conducted the survey onlin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liminary teachers perceived the elements of student-participation in college as a whole positively and importantly. Second, prospectiv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student-participated class in the major and teaching subjects at the university is generally performed in low level. Third, preliminary teachers demanded the expansion of their authority as subjects in the design of curriculum, the diversity and active feedback of class activities, the validity and fairness of evaluation, and the formation of communication relationships among participants.


Keywords: Student participation classes, Prospective teacher, Importance and Performanc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Ⅰ. 서 론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 사항으로 교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학생 참여형 수업을 활성화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2015). 학생 참여형 수업은 미래 사회의 변화에 따른 핵심 역량 함양과 중학교 자유학기 운영에 따른 수업 개선으로 더욱 강조된 것으로 나타난다.

학생 참여형 수업은 교원양성기관에서도 강조된다. 5주기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편람(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9)에서는 ‘수업 운영의 현장성’이라는 지표를 통해 전공과목과 교직과목에서 현장과 연계된 다양한 수업 방식(융복합 수업, 팀티칭 수업, 협동 학습 적용 수업, PBL 적용 수업, 현장 전문가 초빙 수업, 현장 탐방 수업 등)을 경험하고 수업 수행 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학교 현장 기반의 수업 방식을 활용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이는 학생 참여형 수업이 예비 교사를 교육하는 교원양성기관에서도 활용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운영과 함께 학생 참여형 수업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특히 학생 참여형 수업의 적용 방안 연구(Kim, 2016; Kim, 2018; Lee MK, 2019)와 학생 참여형 수업을 통한 효과 연구(Choi and Kim, 2018; Jung AS, 2017) 등이 초·중등학교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학생 참여형 수업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이 개념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Lee(2013)는 학습자 중심 교육이란 학습자에게 지식, 가치, 기능을 전달하는 교육이 아니라 학습자 스스로 학습을 계획하고 실행하고 평가하는 형태의 교육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학습자 중심 교육은 학습의 주도권이 학습자에게 주어지는 교육, 개별화 수업을 지향하는 교육, 학습자를 신뢰하고 존중하는 교육, 내용과 경험의 통합을 강조하는 교육, 인간의 자연스러운 심리 발달 과정과 일치하는 교육 등을 의미한다고 설명한다.

Lee and So(2017)는 ‘학생 참여형 수업’의 개념과 관련하여 다음의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생 참여형 수업’은 ‘참여형・활동형’이라는 수업 방법이나 형태의 변화보다는 학생들에게 경험적 혹은 심리적으로 의미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학생 참여형 수업’은 활동이나 경험 중심의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제안하는 노력만이 아니라 내용의 난이도를 따라가지 못해 수업을 기피하는 학생들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학생들의 학습 능력이나 수준을 고려하여 운영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생 참여형 수업’은 교수법적인 노력만이 아니라 학생들을 능동적인 존재로 보고 이들이 수업에서 주인의식을 가진 배움의 주체로 참여할 수 있도록 교사들의 인식적인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Kim(2018)은 학생 참여형 수업을 학생들이 수업에서 보다 능동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스스로 지식 구성의 과정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는 데 그 의미를 두고 있다.

그리고 학생 참여형 수업의 개념 이해에 도움이 되는 또 다른 연구로서 Jung(2019)은 ‘학생 중심 교육’이 지성 약화, 아동 방임, 교사 역할의 소극성, 수요자 만족 교육과의 동일시 등의 측면에서 비판받고 있다고 밝히면서, 이에 대한 반론으로 ‘학생 중심 교육’을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피력하였다. 이에 따르면, ‘학생 중심 교육’은 전통적 교육과는 다른 방식으로 지식교육에 접근하는 것일 뿐 지식교육이나 지성함양을 소홀히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교사는 ‘학생 중심 교육’에서 지식의 조직과 체계화, 학생과 함께 하는 공동의 탐구자 등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학생의 필요와 관심에만 좌우되는 교육이 아니다. 그리고 ‘학생 중심 교육’은 학생의 요구나 만족을 무조건 추구하는 교육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을 교육의 중심에 놓음으로써 수업 측면에서만이 아니라 이들을 시민적 주체로 인정하는 교육이다.

Lee SH(2019)는 학생 활동 중심 수업을 상황적이고 협력적인 학습 환경 속에서 교수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체험적이고 성찰적인 학습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면서 관련 지식과 기술과 태도를 습득해 나가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이상의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개념을 종합할 때, 학생 참여형 수업 또는 학생(학습자) 중심 교육은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한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 교수자와 학습자가 모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수업 운영,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학습 경험이 이루어지는 수업의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 그리고 수업에 참여하는 구성원 간의 적극적 협조를 수반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지점에서 연구자는 교원양성기관에서 공부하는 예비 교사들은 대학에서의 학생 참여형 수업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경험하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예비 교사들은 미래에 초‧중등학교 현장에서 학생 참여형 수업을 운영할 수 있기 위해 현재 교원양성기관에서 교육을 받는 과정에서도 학생 참여형 수업의 방법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들이 현재 예비 교사로서 교원양성기관의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학생 참여형 수업의 요소들을 얼마나 중요하다고 인식하며, 어떻게 경험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인식을 토대로 학생 참여형 수업의 운영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예비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 분석한 연구들은 수업 방법과 관련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져왔으나, 학생 참여형 수업에 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학생 참여형 수업에 관한 예비 교사들의 인식을 연구한 선행연구로서 Lee et al.(2019)는 유아교육학과와 일반교직과정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인식유형을 비교 연구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육전공은 체험 및 놀이 강조형, 교수전략 중심형, 갈등형의 세 유형으로 인식하였으며, 일반교직전공은 교사-학생 공동 참여형, 자기주도학습 강조형, 흥미-동기형의 세 유형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을 밝혀냈다. 예비 교사가 교원양성과정에서 경험한 학생 참여형 수업 문화는 향후 학교 현장에서의 학습자 중심 수업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Lee et al., 2019),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예비 교사의 인식 유형 분석은 그 의미가 크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사범계 학생들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예비 교사의 인식 분석을 위해 보다 포괄적인 연구 대상 선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학생 참여형 수업의 개념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실제 실행도를 동시에 비교 분석함으로써 교원양성기관에서의 학생 참여형 수업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범계와 비사범계를 포함하여 학생 참여형 수업에 관한 예비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교사들이 대학에서의 ‘학생 참여형 수업’을 어느 정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어떤 수준으로 경험하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들은 대학에서의 학생 참여형 수업의 중요도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는가?

둘째, 예비 교사들은 대학에서의 전공과 교직과목 수업에서 학생 참여형 수업의 실행도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는가?

셋째, 예비 교사들은 대학에서의 학생 참여형 수업의 활성화를 위해 무엇을 요구하는가?

이 연구의 결과는 대학에서의 학생 참여형 수업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인식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학생 참여형 수업의 활성화를 위해 어떤 개선이 필요한지에 대한 시사점을 교육과정, 수업, 평가, 관계의 측면에서 제안함으로써 학생 참여형 수업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확대시키고, 교원양성기관에서의 학생 참여형 수업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Ⅱ. 연구 방법

이 연구는 설문 조사를 위해 연구 참여자들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았으며, 조사는 온라인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9년 11월 6일부터 11월 12일까지이며, 조사 대상은 D 대학교의 교직과정 이수 학생으로 참여자 수는 141명이다. 분석 대상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Analysis target
Division N %
Grade 1 12 8.5
2 78 55.3
3 41 29.1
4 10 7.1
Belong College of Education 126 89.4
General 15 10.6
Majors Humanities and Social Art 65 46.1
Natural science 39 27.7
Special education 37 26.2
Tot. 141 100.0

설문 조사 문항은 5단계 라이커트 척도와 서술형으로 구성하였다. 라이커트 척도의 경우, 학생 참여형 수업의 요소로서 교육과정, 수업, 평가, 관계의 측면에서 12개를 제시하고, 각각에 대한 중요도, 전공 수업에서의 실행도, 교직 수업에서의 실행도를 1(전혀 아니다) ~ 5(매우 그렇다) 단계로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학생 참여형 수업의 요소 도출을 위해 Lee and So(2017)Jung(2019)의 연구에서 제안된 내용들을 참고하였다.

개발한 설문지의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 문항 중에서 중요도 문항을 측정 변수로 하여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Conbach’s α의 값이 .816으로 나타났다. 서술형의 경우, 대학에서의 학생 참여형 수업을 위한 개선 방안에 관하여 자유로이 기술하도록 하였다.

라이커트 척도로 구성된 문항 분석을 위해 SPSS 25.0을 활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서술형 문항 분석을 위해 응답 내용을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공통적인 내용을 묶어 범주화하였다. 문항의 구성 및 분석 대상의 분포는 <Table 2>와 같다.

<Table 2> 
Survey item
Division Items
Likert Type Curriculum Recognize students as subjects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curriculum decisions.
Restructure the content in a way that is appropriate for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ppropriate educational content in view of the learner's ability and level of learning.
Emphasize true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through the completion of activities rather than student activities themselves.
Instruction Use methods such as discussions, collaborative learning, and project learning.
Encourag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and interact in class.
Provide instructor’s help and feedback on student activities.
Evaluation Reduce multiple-choice paper-based assessments and expand performance assessments.
Expand process-based assessments to collect and feed back data on student change and growth in teaching and learning.
An evaluation plan (evaluation criteria) is provided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fairness of the evaluation.
Relationship Build a culture of student collaboration.
Maintain a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Descriptive Type Improving student participation classes in college


Ⅲ. 연구 결과
1. 대학에서 학생 참여형 수업의 중요도

예비 교사들은 대학에서 운영되는 학생 참여형 수업의 중요도에 관하여, 제시된 대부분의 요소가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각 요소의 중요도에 대한 평균은 최저 3.61에서 최고 4.63으로 나타났다.

학생 참여형 수업의 요소로서 가장 중요하게 인식한 것은 ‘교수-학생간 우호적 관계 유지’(4.63)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교육내용 적정화’(4.60), ‘수업 중 활동에 대한 교수자의 도움과 피드백 제공’(4.55), ‘평가의 신뢰성과 공정성 제고’(4.47)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인 결과는 <Table 3>과 같다.

<Table 3> 
Importance of student participation class
Division Items Importance
M SD
Curriculum Recognize students as subjects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curriculum decisions. 4.30 .85
Restructure the content in a way that is appropriate for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4.47 .71
Appropriate educational content in view of the learner's ability and level of learning. 4.60 .65
Emphasize true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through the completion of activities rather than student activities themselves. 3.61 .98
Instruction Use methods such as discussions, collaborative learning, and project learning. 4.01 .85
Encourag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and interact in class. 4.51 .66
Provide instructor’s help and feedback on student activities. 4.55 .65
Evaluation Reduce multiple-choice paper-based assessments and expand performance assessments. 3.69 .91
Expand process-based assessments to collect and feed back data on student change and growth in teaching and learning. 4.26 .76
An evaluation plan (evaluation criteria) is provided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fairness of the evaluation. 4.47 .65
Relationship Build a culture of student collaboration. 4.49 .70
Maintain a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4.63 .63

예비 교사들은 교육과정 영역에서 ‘교육내용 적정화’(4.60)와 ‘교육내용 재구성’(4.47), ‘학생이 교육과정 결정에 참여’(4.30)의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수업 영역에서는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4.55), ‘상호작용 활성화’(4.51), ‘다양한 수업 방법 활용’(4.01)의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평가 영역에서는 ‘평가의 신뢰성과 공정성 제고’(4.47), ‘과정중심평가 확대’(4.26)의 순으로, 관계 영역에서는 ‘교수-학생간 우호적 관계 유지’(4.63), ‘학생 간 협력관계 형성’(4.49)의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한편,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편으로 인식된 요소는 ‘학업 성취(배움) 강조’(3.61)로 나타났다. 예비 교사들은 학생 참여형 수업을 통해 학업 성취(배움)를 강조하는 것에 대해서는 다른 요소들에 대한 중요성 정도와 달리, 보통(3.00) 수준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2. 전공과목에서 학생 참여형 수업 실행도

예비 교사들은 전공과목에서 이루어지는 학생 참여형 수업의 실행도에 관하여, 평균이 최저 2.91에서 최고 3.97의 범위로 나타났다. 가장 잘 실행이 잘 되는 것으로 인식한 요소는 ‘평가의 신뢰성과 공정성 제고’(3.97)이며, 다음으로는 ‘수업 중 활동에 대한 교수자의 도움과 피드백 제공’과 ‘교수-학생간 우호적 관계 유지’(각각 3.67)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결과는 <Table 4>와 같다.

<Table 4> 
Performance of student participation class in majors
Division Items Performance
M SD
Curriculum Recognize students as subjects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curriculum decisions. 3.06 1.14
Restructure the content in a way that is appropriate for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3.28 1.04
Appropriate educational content in view of the learner's ability and level of learning. 3.37 1.12
Emphasize true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through the completion of activities rather than student activities themselves. 3.45 1.06
Instruction Use methods such as discussions, collaborative learning, and project learning. 3.38 1.18
Encourag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and interact in class. 3.41 1.15
Provide instructor’s help and feedback on student activities. 3.67 1.09
Evaluation Reduce multiple-choice paper-based assessments and expand performance assessments. 3.38 1.16
Expand process-based assessments to collect and feed back data on student change and growth in teaching and learning. 2.91 1.27
An evaluation plan (evaluation criteria) is provided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fairness of the evaluation. 3.97 1.15
Relationship Build a culture of student collaboration. 3.39 1.06
Maintain a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3.67 1.04

예비 교사들이 인식한 전공에서의 학생 참여형 수업 실행도를 영역별로 살펴보면,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학업 성취(배움) 강조’(3.45), ‘교육내용 적정화’(3.37), ‘교육내용 재구성’(3.28)의 순으로 실행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수업 영역에서는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3.67), ‘상호작용 활성화’(3.41), ‘다양한 방법 활용’(3.38)의 순으로 실행도가 높았다. 평가 영역에서는 ‘평가의 신뢰성과 공정성 제고’(3.97), ‘수행평가 확대’(3.38)의 순으로 실행도가 높았다. 관계 영역에서는 ‘교수-학생간 우호적 관계 유지’(3.67), ‘학생 간 협력관계 형성’(3.39)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전공과목에서 학생 참여형 수업의 실행도가 낮은 것으로 인식된 요소는 ‘과정중심평가 확대’(2.91)와 ‘학생이 교육과정 결정에 참여할 기회 제공’(3.06)으로 나타났다.

3. 교직과목에서 학생 참여형 수업 실행도

예비 교사들은 교직과목에서 이루어지는 학생 참여형 수업의 실행도에 관하여 평균 최저 3.16에서 최고 4.20의 범위에서 응답하였다. 학생 참여형 수업의 실행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요소는 ‘토의, 토론, 협동학습, 프로젝트 학습 등 활용’(4.20)이며, 다음으로는 ‘평가의 신뢰성과 공정성 제고’(4.11), ‘교수-학생간 우호적 관계 유지’(3.91), ‘학생이 교육과정 결정에 참여할 기회 제공’(3.72)의 순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Table 5> 
Performance of student participation class in teaching subjects
Division Items Performance
M SD
Curriculum Recognize students as subjects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curriculum decisions. 3.72 .94
Restructure the content in a way that is appropriate for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3.71 .86
Appropriate educational content in view of the learner's ability and level of learning. 3.55 1.05
Emphasize true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through the completion of activities rather than student activities themselves. 3.48 .98
Instruction Use methods such as discussions, collaborative learning, and project learning. 4.20 .80
Encourag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and interact in class. 3.94 .84
Provide instructor’s help and feedback on student activities. 3.93 .82
Evaluation Reduce multiple-choice paper-based assessments and expand performance assessments. 3.90 1.00
Expand process-based assessments to collect and feed back data on student change and growth in teaching and learning. 3.16 1.17
An evaluation plan (evaluation criteria) is provided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fairness of the evaluation. 4.11 .94
Relationship Build a culture of student collaboration. 3.78 .98
Maintain a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3.91 .86

예비 교사들은 교직과목에서 학생 참여형 수업의 실행도에 관하여 영역별로 다음과 같이 인식하였다. 우선 교육과정 영역에서 ‘학생이 교육과정 결정에 참여할 기회 제공’(3.72), ‘교육내용 재구성’(3.71), ‘교육내용 적정화’(3.55), ‘학업 성취(배움) 강조’(3.48)의 순으로 실행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수업 영역에서는 ‘다양한 방법 활용’(4.20), ‘상호작용 활성화’(3.94),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3.93)의 순으로 실행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평가 영역에서는 ‘평가의 신뢰성과 공정성 제고’(4.11), ‘수행평가 확대’(3.90), ‘과정중심평가 확대’(3.16)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관계 영역에서는 ‘교수-학생간 우호적 관계 유지’(3.91), ‘학생 간 협력관계 형성’(3.78)의 순으로 높았다.

반면, 교직과목에서 학생 참여형 수업의 실행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난 요소는 ‘과정중심평가 확대’(3.16)와 ‘학업 성취(배움) 강조’(3.48)인 것으로 나타났다.

4. 학생 참여형 수업의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분석

예비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생 참여형 수업의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생 참여형 수업의 대부분의 요소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과목과 교직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학생 참여형 수업의 경우, 대부분의 요소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결과는 <Table 6>과 같다.

<Table 6>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tudent participation classes
Division Items Majors Teaching Subjects
t t
Curriculum Recognize students as subjects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curriculum decisions. 12.161*** 6.762***
Restructure the content in a way that is appropriate for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11.910*** 9.823***
Appropriate educational content in view of the learner's ability and level of learning. 11.656*** 11.378***
Emphasize true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through the completion of activities rather than student activities themselves. 1.343 1.337
Instruction Use methods such as discussions, collaborative learning, and project learning. 5.995*** -2.315*
Encourag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and interact in class. 10.399*** 7.141***
Provide instructor help and feedback on student activities. 8.345*** 7.398***
Evaluation Reduce multiple-choice paper-based assessments and expand performance assessments. 2.552* -2.095*
Expand process-based assessments to collect and feed back data on student change and growth in teaching and learning. 11.833*** 10.494***
An evaluation plan (evaluation criteria) is provided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fairness of the evaluation. 5.044*** 4.287***
Relationship Build a culture of student collaboration. 10.745*** 7.324***
Maintain a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9.968*** 9.933***
*p<.05 ***p<.001

예비 교사들이 인식한 학생 참여형 수업 요소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중요도에 비추어 실행도가 낮은 편이다.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학생이 교육과정 결정에 참여할 기회 제공’, ‘교육내용 재구성’, ‘교육내용 적정화’의 중요도는 4점대이고, 실행도는 교직에서 두 문항(다양한 수업 방법 활용, 평가의 신뢰도와 공정성 제고)을 제외하고, 전공과 교직 대부분의 문항에서 3점대로 나타나, 중요도에 비추어 실행도가 더 낮은 편이다. 영역별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에서 의미있게 나타난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영역에서 ‘교육내용 적정화’에 대한 중요도는 4.60이며, 전공 수업 실행도는 3.37, 교직 수업 실행도는 3.55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 참여형 수업에서 교육내용이 학습자의 능력과 학습 수준에 맞추어 적정화 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Fig. 1] 참조).


[Fig. 1]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urriculum

둘째, 수업 영역에서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에 대한 중요도는 4.55로 높게 나타난 반면, 전공 실행도는 3.67, 교직 실행도는 3.93으로 나타나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낮게 나타났다. 예비 교사들은 대학에서의 학생 참여형 수업에서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을 중요하게 여기며, 실제로는 수업에서 현재보다 더 활발하게 교수자의 피드백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하였다([Fig. 2] 참조).


[Fig. 2]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lasses

셋째, 평가 영역에서 ‘과정중심평가 확대’에 대한 중요도는 4.47이며, 전공 수업 실행도는 2.91, 교직 수업 실행도는 3.16으로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 참여형 수업의 교육과정, 수업에서의 변화의 흐름에 맞추어 평가방식의 변화도 개선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Fig. 3] 참조).


[Fig. 3]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valuation

넷째, 관계 영역에서 ‘교수-학생 간 우호적 관계 유지’에 대한 중요도는 4.63이며, 전공 수업 실행도는 3.67, 교직 수업 실행도는 3.91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 참여형 수업의 활성화를 위해 교수-학생 간 우호적 관계를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Fig.4] 참조).


[Fig. 4]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relationship

5. 학생 참여형 수업의 개선 방안에 관한 서술 반응 분석

예비 교사들이 대학에서 경험한 학생 참여형 수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하여 서술한 의견들을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 수업, 평가, 관계의 측면에서 다음의 의견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예비 교사들은 교육과정 설계시 주체로서의 권한 확대를 희망하였다. 이는 교육과정 설계 시 학생의 의견을 반영하여, 학생의 수준에 맞추어 내용을 구성하고,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내적 동기를 높일 수 있는 수업 내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평가 방안을 마련할 때에도 학생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기를 요구하였다.

·교과목이나 교육과정 설계 시 학생의 의견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학생이 원하는 수업을 개설하거나 개설 수를 늘려야 한다(136번).
· 학생들을 배움의 주체로 인정하고 학생들의 의견을 수업에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할 것 같다(58번).
·교수자는 학생들이 어떤 스타일인지 첫 수업에서 파악을 하고 수업 방식을 맞출 필요가 있다(138번).
·평가에 대해서도 학생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으면 좋겠다(10번).

Kim(2015)은 대학에서의 학생의 수업참여가 활발한 강좌 분석을 통해, 핵심 내용 중심의 수업 재구성, 학생의 수업참여에 대한 태도 형성, 교수자와의 편안한 상호작용방식 등이 특징적인 것으로 보고하였는데, 이를 통해 학생의 수업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한 교수자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밝혀냈다. 또한 Lee SH(2019)는 학생 참여 전략으로 교수자는 ‘촉진자와 조언자’의 역할을, 학습자는 ‘학습목표 설정, 학습내용 조직, 실행, 평가에 이르는 활동에 학생이 스스로 참여하도록 유도’하였는데, 이 또한 학습자가 교육과정 설계에 학습 주체로서의 권한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수자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둘째, 수업의 측면에서, 예비 교사들은 학생 참여형 수업 활동의 다양성과 적극적인 피드백을 요청하였다. 발표와 토론 이외의 다양한 수업 참여 활동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으며, 교수자 역시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기를 기대하면서 수업 중 활동에 대한 피드백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조별 활동에만 치중하지 않고 다양한 활동을 개발하고 시행할 필요가 있다(54번).
·더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학생들이 수업 참여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다(55번).
·학생 참여수업에서 수업을 학생에게 맡긴다는 느낌이 드는 것은 안 된다고 생각한다.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통해 함께 이끌어가는 수업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29번).
·교수님들의 열성적인 긍정적 피드백이 필요하다(45번).

학생 참여형 수업의 방법에는 토의 토론학습, 협동학습, 문제중심학습, 프로젝트학습, 플립드러닝, 액션러닝 등 다양한 방법이 있고, 이들의 교육적 효과를 보고하는 선행 연구 결과들도 다수 존재한다(Lee SH, 2019). 따라서 학생 참여형 수업의 다양한 방법들을 과목의 특성에 맞추어 활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평가의 측면에서, 예비 교사들은 평가의 타당성과 공정성 확대를 요청하였다. 학생 참여형 수업에 타당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수업의 방식이 바뀌면 그에 적합한 평가가 실시되어야 한다는 점을 요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학생 참여형 수업의 성적 반영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점과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특히 무임승차 예방을 위해 팀 구성원의 참여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의 채점 기준을 공개하기를 요구하였다.

·학생 참여형 수업을 실시하여도 평가 방식이 기존과 같다면, 수업에 참여하여 지식을 도출하기보다는 마지막에 교수님이 정리해주시는 내용만 들으려고 하여 효과가 없을 것이다(59번).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의 비율을 줄이고, 토의, 토론 등의 학생 참여형 수업의 성적비율을 조금 더 늘리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103번).
·평가 방식에 공정성을 더해주었으면 좋겠다. 팀 프로젝트에서는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를 넣어 주셨으면 좋겠다(20번).
·팀으로 과제를 할 때 참여하지 않는 학생에 대한 차등 점수가 부여되면 좋겠다. 논술, 서술 같은 경우 채점 기준이 명시되면 좋을 것 같다(27번).

평가의 타당성과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교수자가 먼저 평가의 채점 기준을 명확하게 밝히고 그에 따라 공정하게 평가하는 동시에 학생 참여 수업의 과정에 대한 적절한 평가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평가의 주체를 다양화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학생의 무임승차 방지 및 학습의 질 향상을 위해 학생 간 상호 평가와 학생의 자기평가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Lee SH(2019)의 연구에서는 학생활동중심수업에 ‘과제 및 수업시연에 대한 학생 상호 피드백 평가’의 전략을 적용하였는데, 이는 학생 간 상호 평가의 기회를 제공한 것으로 무임승차 방지와 학습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습자 스스로 자기 평가 기회를 갖도록 함으로써 모든 학습자가 개인 및 공동의 학습에 책임감을 갖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넷째, 관계의 측면에서, 예비 교사들은 학생 참여형 수업에 적합한 소통 관계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는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는 분위기 형성과 교수와 학생 간의 친밀감이 필요하다는 요구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모든 의견은 존중받아 마땅하고 틀려도 괜찮다는 생각을 심어주는 것이 기반이 되어야 할 것 같다. 저마다 각자의 생각을 가지고 있지만 자신의 의견이 틀릴까봐 두려워서 자유롭게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한다(78번).
·수업 중에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교수님과 학생 간의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82번).

예비 교사들은 수업 중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것에 대해 심리적 부담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의견을 수용해주는 분위기, 특히 교수와 학생 간의 친밀감을 형성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들은 대학에서의 학생 참여형 수업의 요소들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예비 교사들은 대학에서의 전공과 교직 과목에서의 학생 참여형 수업의 실행도에 관하여 전반적으로 그 중요도에 비추어 낮게 인식하였다. 셋째, 예비 교사들은 대학에서의 학생 참여형 수업의 개선을 위해, 교육과정 설계시 주체로서의 권한 확대, 수업 활동의 다양성과 적극적인 피드백, 평가의 타당성과 공정성 확대, 참여자 간 소통 관계 형성 등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관련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교원양성기관에서의 학생 참여형 수업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는데, 예비 교사들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한 요소들이 선행 연구의 결과와 공통된 것으로 나타났다. Lee and So(2017)는 학생 참여형 수업이 학생들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학생들의 학습 능력이나 수준을 고려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고, 학생들이 수업에서 주인의식을 가진 배움의 주체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예비 교사들은 학생 참여형 수업에 있어 ‘교육내용 적정화’와 ‘학생이 교육과정 결정에 참여’할 것을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였다.

또한 Jung(2019)은 학생 참여형 수업에서 교사는 지식의 조직과 체계화, 학생과 함께 하는 공동의 탐구자 등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보았는데, 본 연구에서도 예비 교사들은 ‘수업 중 활동에 대한 교수자의 도움과 피드백 제공’을 중요한 요소로 인식함으로써 학생 참여형 수업에 있어 교수자의 적극적인 역할이 강조되었다.

둘째, 학생 참여형 수업의 중요도 분석에서 다른 요소들에 비교하여 중요도가 낮게 나타난 요소는 ‘학업 성취(배움) 강조’이다. Lee and So(2017)는 학생 참여형 수업인 수업 방법의 변화보다는 학생들에게 의미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밝히고 있는데, 이는 수업 참여 학생들의 배움을 강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학업 성취(배움)’에 대한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은 학생 참여형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의미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면, 학업 성취(배움)의 결과는 자연스럽게 수반될 수 있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성취(배움)를 강조하기 보다는 수업의 과정을 더 중시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대학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학생 참여형 수업의 실행도는 중요도에 비교하여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내용 적정화’,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 ‘과정중심평가 확대’, ‘교수-학생 간 우호적 관계 유지’에 대한 요소들은 중요도가 높고, 실행도는 낮은 편으로 분석되었으므로, 학생 참여형 수업의 활성화를 위해 이들 요소들의 실행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청된다.

넷째, 예비 교사들은 학생 참여형 수업의 개선을 위해 ‘교육과정 설계시 주체로서의 권한 확대’, ‘학생 참여형 수업 활동의 다양성과 적극적인 피드백’, ‘평가의 타당성과 공정성 확대’, ‘학생 참여형 수업에 적합한 소통 관계 형성’의 요소를 특히 요청하였다.

학습자의 적극적 수업 참여를 위해 ‘주체로서의 권한 확대’와 ‘교수자의 적극적 역할’은 Jung(2019), Kim(2015)Lee SH(2019)의 연구에서도 강조된 바 있다. ‘수업 활동의 다양화’는 과목의 특성에 맞추어 다양한 수업 방법들을 활용할 필요성을 나타낸 것으로 다양한 수업 방법의 효과를 보고한 선행 연구 결과들(Lee SH, 2019)과 일치한다. ‘평가의 타당성과 공정성 확대’를 위해 Lee SH(2019)에서 제안한 학생 상호 피드백 평가의 전략뿐만 아니라 자기 평가 기회도 확대함으로써 모든 학습자가 학습에 대한 책임감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학생 참여형 수업에 적합한 소통 관계 형성’을 위해 소통의 가치를 공유하는 환경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본 연구는 교원양성기관에서 이루어지는 학생 참여형 수업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관한 예비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였으므로, 일반적인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예비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Lee et al., 2019)와 논의할 수 있다. 일반적인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예비 교사의 인식 분석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해 경험 중심과 교사 역할 중심의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업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인식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 참여형 수업의 요소를 교육과정, 수업, 평가, 관계의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이들 각각의 요소에 대한 예비 교사의 인식을 분석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제안하고자 하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참여형 수업의 활성화를 위해 교육과정, 수업, 평가, 관계의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지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학생 참여형 수업은 수업 방법을 바꾸는 것 이외에도 교육과정의 적정화와 재구성, 수업 방법의 다양화와 교수자의 적극적 피드백, 과정중심 평가 및 평가의 공정성과 타당성 제고, 학습자 간 및 교수자-학습자 간의 소통 관계 형성 등을 요구한다. 따라서 예비 교사들이 미래에 학생 참여형 수업을 운영하는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대학에서도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학생 참여형 수업’의 중요성과 학습자 간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권장하고 확대하는 방안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예비 교사들은 수업 중 의견을 표현하는 데 대한 심리적 부담감을 가지고 있기에, 우선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타인의 의견을 수용하는 분위기가 형성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에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학생 참여형 수업의 중요성과 학습자 간의 긍정적 소통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교수자를 대상으로 ‘학생 참여형 수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는 교육과정, 수업, 평가, 관계 형성 등의 측면에서 학생 참여형 수업을 지원하는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나타낸다. 교직 과목뿐만 아니라 전공 과목에서도 필요에 따라 학생 참여형 수업이 활성화될 수 있어야 하므로 교원을 양성하는 과목의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학생 참여형 수업 활성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예비 교사들은 교수-학생 간의 우호 관계가 더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을 피력하였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수자를 위한 소통 역량 함양의 교육 프로그램도 강화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학생 참여형 수업의 중요도와 실행도, 개선 방안에 관한 예비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이루어졌다. 그러나, 본 연구는 특정한 지역과 기관의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 조사의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므로, 후속적으로는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연구 대상으로 예비 교사의 범위를 확대하고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 조사와 수업 관찰 및 심층 면담 등의 방법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7학년도 대구대학교 학술연구비지원에 의한 논문임.


References
1. Cho JH(2018). The Effect of Teaching styles of Fisheries High School Teacher on Students’ Participaion in Classes. JFMSE, 30(2), 661~670.
2. Choi, MS and Kim CS(2018). Enhancing the Competency of The Art Subject Through Student-Participatory Class: Focused on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20), 711~731.
3. Jung AS(2017). Increasing Interest and Self-Confidence in Math through Student-Centered Class.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7(1), 89~109.9
4. Jung H(2019). What is Meant by ‘Student-Centered Education’: Focused on Responding to Criticism.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Idea, 33(3), 73~97.
5. Kim MS(2015). A Qualitative Multiple Case Study on the Participation Structure and Interactions in College Courses with Active studen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9(1), 135~168.
6. Kim SH(2016). An Action Research on the Student Associated Curriculum Designing Procedur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10(1), 149~168.
7. Kim SY(2018).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lassroom for “Student-Participatory class”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Ability. Journal of Korea Creative Education Institute, 20(0), 69~103.
8.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2019). 5-cycl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Competency Diagnosis Manual.
9. Lee HG(2013). Class Everyone Experiences but Nobody Knows. Seoul: Beot.
10. Lee JM(2019). An Action Research of Course Based on Students’ Participative Activities for Convergence Education in College General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16), 1273~1297.
11. Lee MK(2019). Reconstruction of Learning by Learner-Centered Education: Case Study on the Geoggurocampu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1), 1259~1282.
12. Lee SH(2019). Qualitative Exploration of the Educational effects, Learning-Activity Participation and Evaluation Strategy in Student Activities-Centered Classrooms at Universit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3), 663~687.
13. Lee SJ, Kim KH and Lim SJ(2019). A Comparative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Subjective Perception Types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21(3), 259~284.
14. Lee JA and So KH(2017). Middle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Participatory Class”.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8(2), 141~165.
15. Ministry of Education(2015).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16. Seo YH, Jung SB and Kim JH(201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 Program Art Area Subject-Based STEAM for Impro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Creativity: With a Scratch Programming Language. JFMSE, 2891), 6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