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Journal Archive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2 , No. 1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2, No. 1, pp. 330-342
Abbreviation: J Kor Soc Fish Mar Edu.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9 Feb 2020
Received 30 Jan 2020 Revised 21 Feb 2020 Accepted 27 Feb 2020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0.2.32.1.330

중학교 자유학기제 관련 연구동향 분석
최향미 ; 김하정 ; 원효헌
부경대학교(학생)
부경대학교(교수)

Research Trends Related to Free Semester System in Korea
Hyang-Mi CHOI ; Ha-Jeong KIM ; Hyo-Heon W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stud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 051-629-5972, wonhyo@pknu.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related to Free Semester System more accurately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172 articl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ies for free semester system are steadily increasing from 2013 to 2018. Second, studies related to the free semester system have been published in various journals, but there is a lack of continuous research. Third, there was a high proportion of subjects that could be handled in free semester activities and gymnasium subjects but the studies related to subjects such as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are very insufficient in general. Forth, activity programs related career exploration hold a majority, while research on field experience and club programs is hardly found. Fifth, The research on program R&D and application was most actively conducted, and it is steadily researched in the order of quantitative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Sixth, compared to student-related studies, fewer articles were published for teachers and parents. Seventh, although the researches on th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are the most conducte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performance regarding student evaluation, and research on actual condition analysis related to student evaluation showed the lea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 about free semester System or free school year.


Keywords: Middle school, Free semester system, Research trends, Content analysis, Subject analysis

Ⅰ. 서 론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에 따르면 2015년 한국 학생의 과학 성적은 일본, 에스토니아, 핀란드, 캐나다에 이어 OECD 국가 중 다섯 번째로 높았지만 흥미도는 26위로 OECD 평균 이하 수준이었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국내청소년 행복지수는 거의 매년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2019년에도 청소년의 행복 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Youm et al., 2019). 이러한 결과는 급변하는 미래사회와 미래지향적 역량을 강조하는 세계적 교육개혁의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의 암기위주·입시위주 교육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아일랜드의 전환학년제, 덴마크의 애프터스쿨, 스웨덴의 프라오, 영국의 갭이어 등과 유사한 성격을 지닌 자유학기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고민하는데서 부터 출발되었다. 지나친 경쟁과 입시교육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사회적 요구와, 진로연계 교육과정에 대한 필요성 및 학생의 행복에 대한 관심 및 그와 관련한 교육적 요구에 발맞추어 중학교 자유학기제는 2013년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2016년에 전면 도입되었다(Ministry of Education ,2013).

전면 도입 이전부터 자유학기제 관련 연구들은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도입 시기, 중요성 및 지속성에 관한 연구(Cho et al., 2018; Jung et al., 2018; Jo, 2017; Kang et al., 2017; Lee, 2018; Lee, 2014; Lee et al., 2014; 외 다수), 운영실태, 교육과정 재구성 및 일반학기와의 연계와 관련한 연구(An, 2016; Kim et al., 2014; Lee, 2018; Lim, 2016; Rho, 2017; Shin 2018; Shin, 2018; You et al., 2016 외 다수), 교수‧학습방법 및 활동 프로그램 관련 연구(Jang et al., 2019; Jeon, 2017; Ki et al., 2019; Kim, 2019; Roh, 2017 외 다수)등 자유학기제의 현장 적용 과정에서 당면과제와 개선 방안 등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급격한 양적 증가를 보이고 있다. 특히 Jung et al.(2018)은 ‘자유학기제’에서 ‘자유학년제’로의 정책 변동은 현장 교사들과 자유학기제를 연구한 연구자들의 영향이 크다고 하였다.

자유학기제는 그동안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교육 개혁이기에 교육 분야뿐 아니라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Cho et al., 2018; Jo, 2017). 전 교육과정에 걸쳐 있는 자유학기제가 학교 교육에 안정되게 정착하여 제대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관련 연구들의 연구가 잘 진행이 되고 있는지, 연구에 대한 성과 및 문제점,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 등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자유학년제 실시에 대비해서 기존 연구들이 무엇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고, 어떤 부분을 중점으로 다루어 왔는지에 대한 동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유학기제가 어떻게 현장에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와 관련한 최근의 다양한 연구물들을 살펴봄으로써 차후의 연구방향 설계와 자유학기제와 자유학년제 정착을 위한 향후 과제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 관련 연구의 연도별, 학술지별, 과목별, 프로그램별, 연구방법별, 연구주제별 동향은 어떠한가?

둘째, 자유학기제 관련 연구의 주요 주제는 무엇이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주제별 연구동향 및 향후 발전을 위한 과제는 무엇인가?


Ⅱ. 자유학기제 개념 및 도입배경

자유학기제의 핵심은 서열화 중심의 평가 방식에서 벗어나, 체험 중심의 활동을 통해 꿈과 끼를 찾고 창의성, 인성, 자기주도 학습능력 등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2013).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는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고, 진로를 탐색하며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도록 체험활동 위주의 유연한 교육과정으로 운영된다(Ministry of Education, 2017).

자유학기제는 정책 도입기의 42개 연구학교를 시작으로, 시범 운영기의 긍정적인 만족도 조사 결과와 함께 2015년에는 2,551개교로 확대 실시되었다. 이후 학생 참여형 수업과 다양한 체험활동을 위해 자율적인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위한 법적 제도화를 추진하였고, 2016년부터 전국의 중학교에서 전면 시행되었다. 2018년부터는 ‘자유학년제’를 도입하여 전국 중학교(3,120개교) 중 1,500개교(46%)가 ‘자유학년제’를 시범 운영하고 있으며, 500여개 학교에서는 ‘자유학기 이후 연계학기’를 운영하고 있다. 더불어 자유학기활동의 활발한 운영을 위해 다양한 체험처 확보와 학교 내,외 지원과 교원연수, 우수강사 섭외 등 양질의 인력을 확보하여 학교가 필요로 하는 인력의 역량과 질을 매칭 할 수 있도록 정부와 시·도 교육청이 꾸준한 노력을 하고 있다(Shin, 2018).

자유학기제 활동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자유학기제를 위한 교과편성 및 운영이 자율적이다. 자유학기 시기의 교육과정은 크게 공통과정과 자율과정으로 구분되어 운영되는데, 이러한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은 학교 현장의 자율성을 확대하여 탄력적으로 구성되며, 학생이 원하는 교육과정을 선택하고 학습하는데 의미를 둔다. 둘째, 자유학기제는 체계적 진로탐색의 기회를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학교와 지역사회간의 연계를 활성화하여 지역사회의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체계적 진로교육 시스템을 도입하거나, 다양한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학생들이 적성에 맞는 자기개발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셋째, 기존의 암기식 수동적 학습에서 벗어나 의사소통, 토론, 학생 참여형 활동 수업, 협력학습 등 교수-학습법이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다(Shin et al., 2014). 네 번째로 학생의 성장과 발달에 중점을 두고자 학생이 학습의 주체가 되어 자기주도 학습 및 스스로가 추구하는 가치와 정체성을 탐색할 수 있는 자유를 누리도록 지원하고자(Shin, 2018) 평가 방법의 다양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와 같은 유연한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탐색하고 미래 핵심역량을 배양하는 것이 자유학기제의 혁신적인 교육과정이라 할 수 있다(Kim et al., 2019).

자유학기제 관련 초기의 연구들은 도입 시기나 운영을 위한 방안 탐색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연구학교 실시 이후에는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교육과정 평가, 해외사례 분석, 정책의 일관성과 지속성에 관한 실태 연구, 그리고 진로교육, 진로체험 등의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Kim et al., 2019). 비교적 단기간 급증한 자유학기제 연구에 대한 동향을 분석한 연구는 2013년부터 2016년까지의 논문 80편을 분석한 연구(Jo, 2017)와 2013년부터 2018년까지의 논문을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연구(Hwang et al., 2019)가 있다. 그러나 키워드 파악 및 토픽의 분석을 통해 연구 내용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에 더해 자유학기제 활동 프로그램이나 주요 주제에 대한 연구동향 등, 분석 내용과 범위의 확장이 필요하다.


Ⅲ. 연구방법 및 연구절차

본 연구는 크게 빈도분석과 백분위분석을 통한 연구동향 기초분석과 내용분석을 활용한 주요 연구주제 도출 및 연구주제의 빈도 및 백분위 분석으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내용분석법은 교육학 분야에서 연구동향을 객관적이고 타당성 있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자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Song, 2014), 문헌이나 데이터 분석을 위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양적 분석방법이다(Kim, 2005). 내용분석 연구는 해당 학문 분야의 흐름을 파악하고 새로운 이론의 지향점을 찾아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데 일조를 하며, 특정 학문 분야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내용과 주제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기술 할 수 있는 연구동향 분석방법으로 적합한 연구방법이라 할 수 있다(Jin et al., 2016).

본 연구는 [Fig. 1]에서 제시한 절차로 진행되었으며, 자료 수집은 3차에 걸쳐 이루어 졌다.


[Fig. 1] 
Research procedure.

1차 분류에서는 ‘자유학기제’를 키워드로 등재지 또는 등재 후보지에 2013년부터 2018년까지 게재 된 총 203건의 연구물을 수집하였다. 2차 분류에서는 학교급별 대상을 중학교로 한정하고 관련이 없거나 중복된 자료 등은 제외하여 총 170건의 자료를 선정하였다. 2차 자료의 참고문헌 검토 후 자유학기제와 관련된 학위논문 2건을 추가로 선정하여 총 172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 자료로 선정하였다.

기초분석 단계에서는 선정된 자료들을 살펴보며 Exce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도, 학술지, 과목, 프로그램, 연구방법, 연구대상별로 코딩을 실시한 후 빈도분석과 백분위분석을 실시하였다. 과목별 분류기준은 Lee(2014)의 연구논문에 제시되어 있는 과목들과 자유학기제 관련 연구 특징상 자유학기활동의 과목을 포함하였다. 프로그램별 분석은 국내외 과학과 예술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동향을 분석한 논문(Yang et al., 2014)을 참고 보완·수정하여 프로그램 관련 논문의 프로그램 연도별, 특징별, 활동별로 분류하였으며, 연구방법별 분석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연구방법을 구분하는 방식으로 보고된 바와 같이(Kim et al., 2013)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혼합연구로 구분하였다. 연구대상별 분석에서는 융합인재교육 연구동향 논문(Kwak et al., 2016)을 참고하여 논문에서 진행된 대상별로 분류하였다.

자유학기제 관련 논문의 연구주제를 분석하기 위해 Krippendorff(2004)의 내용분석법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 세 단계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논문 초록과 연구문제, 연구내용, 연구결과를 살펴보면서 각 논문의 주요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연구내용이나 연구결과를 축약할 수 있는 주제어를 논문별로 도출하였으며, 주제가 두 가지 이상일 경우에는 가장 핵심이 되는 두 번째까지의 주제로만 선정하여 중복코딩을 허용하였다. 핵심주제어 예시로는 교육과정의 유연화, 재구성, 지속성, 연계학기, 교육정책, 정체성, 과정중심평가, 실태, 사례연구, 프로그램개발, 진로교육, 인성함양 등이 있었다.

둘째, 1차적으로 도출한 핵심 주제어를 바탕으로 각 논문마다 공통되는 부분을 연결하여 주요 연구주제를 유목화하였다. 주제 단어가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아도 내포하는 의미가 비슷한 연구주제끼리 연결하였다. 예를 들어 학생 참여형 중심수업, 프로그램 개발, 수행평가 관련 연구는 교수-학습의 변화로 유목화 하였으며, 교사의 직무 환경 개선이나 교사의 인식, 전문성 관련 연구도 교사의 인식으로 인해 수업이 개선된다는 점에서 교수-학습의 변화로 유목화 하였다.

셋째, 주제 영역의 분류에서 비슷한 요인끼리 통합하고 분류가 잘 되었는지 위치는 타당한지, 체계적으로 구분되었지 재차 검토한 후 구분하였다. 이때 한 연구논문에서 다양한 연구주제를 제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두 가지 주제만을 선택하였다. 각각의 연구주제의 빈도분석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연구주제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연도별 분석도 진행하였다.

연구주제는 특정 분석틀에 맞추어 분석한 것이 아니라, 분석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견되는 주제를 교육학 관련 연구동향(Ko et al., 2017; Kwon et al., 2012; Lee JY, 2014; Shin et al., 2013)의 분류기준을 참고하고 수정‧보완하여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 관련 연구주제를 자유학기제 개념 및 정책 관련 연구(A),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방법(B), 실태 분석(C), 사례 분석(D), 성과·효과 분석(E), 방안제시(F)등 6가지로 구분하였으며, 주제별 분류에 따른 세부 내용을 19가지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Table 6>).


Ⅳ. 연구 결과
1. 자유학기제 연구동향 기초분석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논문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자유학기제가 시범 운영된 2013년에는 8편, 2014년 12편이었지만, 2015년 29편(16.9%), 2016년 40편(23.3%)으로 대폭 증가하였으며, 2017년도에는 잠시 주춤했으나 2018년도에 44편(25.6%)으로 다시 증가하였다(<Table 1>).

<Table 1> 
Frequency analysis of research by year
Year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Total
The Number of Articles 8 12 29 40 39 44 172
Ratio(%) 4.7 7.0 16.9 23.3 22.7 25.6 100

국내 학술지의 자유학기제 관련 연구 논문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가 10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교육행정연구(9건), 교육과정 평가연구(6건), 교육문화연구(6건) 등을 포함하여 총 130개 학술지에 172편의 논문이 게재되어 있다(<Table 2>).

<Table 2> 
Frequency Analysis by Published Journal
Name of the journal amount
Journal of Learner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0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9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6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6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5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al Research 4
3 articles published 12
2 articles published 18
1 article published 60
Total 172

과목별 연구논문은 교과목이나 특정주제를 지정 하지 않거나 전체 과목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논문(109건, 63.4%)을 제외하고 63편(36.6%)을 교과목의 계열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제별 선택교육 관련연구(18편, 28.6%)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융합교육 관련 연구(17편, 27.0%)의 비중도 높았다.

과목별로는 국어, 영어, 미술관련 각 3편, 수학, 기술, 가정, 음악 과목 각 2편, 체육 관련 7편의 논문을 찾아볼 수 있었으나 과학 과목 관련 연구는 전무하였다. 주제별 선택교육에서는 디자인 관련 연구가 6편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다음으로 독서·도서관 관련 연구(3편), 농촌·농업 관련 연구(2편) 외에 문식성교육, 미용, 성, 드론, 무용, 박물관, 나라사랑교육 등의 연구도 각 1편씩 연구되었다(<Table 3>).

<Table 3> 
Frequency Analysis by Subject
Subject Korean English Math Technology Home Society Chinese Morality Art P.E. Music 63
(100)
%
The Number of Articles 3 3 2 2 2 2 1 1 3 7 2
Ratio(%) 4.8 4.8 3.2 3.2 3.2 3.2 1.6 1.6 4.8 11.1 3.2
Subject Selective Education by Subject Convergence education
Design Literacy Beauty Gender Education Drone Reading Dance Museum patriotism Farming
The Number of Articles 6 1 1 1 1 3 1 1 1 2 17
Ratio(%) 9.5 1.6 1.6 1.6 1.6 4.8 1.6 1.6 1.6 3.2 27.0

자유학기제 관련 프로그램은 프로그램과 관련된 논문 45편을 연도별, 특징별, 활동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관련 논문이지만 실제 교육프로그램으로 다루지 않은 논문은 제외하였으며, 교육 목표를 분명히 밝힌 프로그램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 관련 연구의 추이를 살펴보면, 2015년 자유학기제가 확대 운영되면서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가 2018년에는 다시 주춤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프로그램의 특징별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모형 및 연구개발은 2015년에 가장 많았다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며, 만족도와 효과성과 관련된 논문은 꾸준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는 2015년과 2016년 각 2건, 2017년 3건 외에 2018년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Table 4> 
Frequency Analysis by Year and Characteristics of the Free Semester Program
Classification ’13 ’14 ’15(%) ’16(%) ’17(%) ’18(%) Total(%)
Year The Number of Articles 10(22.2) 13(28.9) 14(31.1) 8(17.8) 45(100)
Characteristics Program Model and R & D 8 4 5 2 19(42.2)
Effectiveness after Program R & D 7 6 6 19(42.2)
Program Case Study 2 2 3 7(15.6)
Total(%) 10(22.2) 13(28.9) 14(31.1) 9(17.8) 45(100)

자유학기 활동 영역은 진로탐색활동, 주제선택활동, 예술·체육활동, 동아리활동 4가지로 이루어져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6가지 자유학기활동별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제선택 프로그램이지만 주제가 진로관련 프로그램을 나타내면 중복 허용하여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활동별 내용 분석결과 진로관련 프로그램이 28건(40%)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장체험 프로그램(2건, 2.9%)과 동아리 프로그램(1건, 1.4%) 관련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Table 5>).

<Table 5> 
Frequency Analysis by Program Activity
Program Activity The Number of
Articles
Ratio
(%)
career-related program 28 40
Topic Selection Program 18 25.7
Art & Sports Program 6 8.6
Club Program 1 1.4
Field Experience Program 2 2.9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15 21.4
Total 70 100

연구방법별로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관련 논문이 45건(26.2)%으로 가장 많았으며, 양적연구(44건, 25.6%), 문헌연구(39건, 22.7%), 질적연구(35건, 20.3%) 순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혼합연구는 9건(5.2%)에 불과하였다. 양적연구는 2015년부터 대폭 증가하여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며, 질적연구와 문헌연구도 꾸준한 경향성을 나타내고 있다. 프로그램 연구 개발 및 적용에 관련된 연구는 자유학기제 전면 도입 한 해 전인 2015년에 대폭 증가하여 2017년까지 꾸준하게 연구되었으나 2018년도에는 감소하였다.

전체 연구 논문 172편 중에서 특정 대상이 없는 논문 109건(30.2%)을 제외한 111건(69.8%)을 중복 집계하여 연구 대상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각 1건에 그친 교장‧교감, 도서관 사서, 정책적문가 등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기타로 묶어서 학생, 교사, 학부모, 기타의 4가지 대상으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연도별로는 자유학기제가 전면 도입되기 1년 전인 2015년부터 대폭 증가하였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논문이 85편(54.1%)으로 가장 많았으며 교사 관련 논문 48편(30.6%), 학부모 관련 논문이 14편(8.9%)으로 나타났다. 학부모 관련 연구가 매우 적으며 교사 관련 연구는 꾸준히 증가되는 추세이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비해 적은편이라 볼 수 있다.

<Table 6> 
Analysis Results by Research Topic
Research subject The Number of Articles(overlap)
(Ratio, % )
Details The Number of Articles(overlap)
(Ratio, % )
A. Concepts and policies 54
(10.4%)
a. Concept, Purpose, Meaning Search 12 (22.2%)
b. Policy related, Validity, Consistency, and Sustainability 42 (77.8%)
B. Education Cours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240
(45.5%)
a. Restructuring and Linking the curriculum (semester, subject) 60 (25.0%)
b. Planning and Operation of curriculum that Reflects demand 10 (4.2%)
c. Changes in Teaching Methods 56 (23.3%)
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grams and Models and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Activities 71 (29.6%)
e. Discussion of evaluation methods about student evaluation & process-based evaluation 43 (18.0%)
C. Actual condition Analysis 28
(5.3%)
a. Conditions for Coursework and Program Management 5 (17.9%)
b. Conditions of Curriculum Operation and Linkage Semester 14 (50.0%)
c. Evaluation 3 (10.7%)
d. about Teachers(professionalism, cognition, etc) 6 (21.4%)
D. Case Analysis 42
(8.0%)
a. Cases of Subjects and Programs 14 (33.3%)
b. Case studies of school management and school life 21 (50.0%)
c. Teacher Case Studies 7 (16.7%)
E. Performance and Effect analysis 94
(17.8%)
a. Positive results and Learning 39 (41.5%)
b. Career education and Career path 49 (52.1%)
c. Related to Education Evaluation 6 (6.4%)
F. Suggestion for Activation Method 70
(13.3%)
a. Inside the school(Reinforcement of participatory programs, activities related to clubs among schools, strengthening links with parents, allocating school members' work, school facilities, etc.) 22 (31.4%)
b. Outside the school(Professional personnel, dedicated organizations,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and financial support for schools, training or workshops for teachers, etc.) 48 (68.6%)

2. 연구주제별 동향 분석

자유학기제에 대한 연구는 개념 및 정책 관련 연구(A),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방법(B), 실태 분석(C), 사례 분석(D), 성과·효과 분석(E), 방안제시(F)등 6가지로 연구주제로 구분되었다.

자유학기제 관련 연구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주제 중 하나는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방법(B)에 대한 논의(240건, 45.5%)로 이는 교육과정의 변화에 대한 연구와 교수-학습 방법 관련 연구, 그리고 학생 평가와 관련된 연구를 포함한다. 2013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수의 학자들은 자유학기제의 총체적인 과제인 교육과정과 교수-학습법 및 그에 따른 평가방법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고 볼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성과‧효과분석(E), 방안제시(F), 개념 및 정책(A), 사례분석(E) 순으로, 전반적인 운영 실태(C)와 관련한 연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유학기제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갈등이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서로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긍정적인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 연구가 보다 더 다양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세부적으로는 프로그램 및 모형 개발‧적용, 융합교육활동 개발과 관련된 연구가 71편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교육과정의 재구성, 연계학기나 교과목 관련 연구(60편), 학생참여 중심수업으로의 교수법 변화(56편), 진로교육 및 진로관련 성과 및 효과분석(49편), 학교 외부와 관련된 활성화 방안(48편), 과정중심평가 등 평가방법에 대한 논의(43편), 정책관련, 목적의 타당성, 일관성, 지속성에 관한 연구(42편), 학교생활과 학습의 긍정적 효과(39편)에 대한 연구의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반면에 평가실태나 교과목 및 프로그램 운영실태, 교사의 전문성이나 인식연구 및 교사관련 사례연구의 수는 그 수가 매우 미미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자유학기제와 관련한 평가 실태를 분석하는 연구는 3건으로 가장 낮은 빈도를 보였다.

평가방법에 대한 논의나 평가관련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다소 이루어지고 있지만, 서열화 중심의 평가에서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배양하고자 하는 자유학기제의 기본 목적을 고려해 볼 때 자유학기제와 관련하여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평가실태에 대한 연구는 매우 주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주제별로 세부주제와 관련된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개념 및 정책 관련 연구(A)는 자유학기제의 지속성과 가능성, 정책 관련 연구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자유학기제가 전면 실시되기 전인 2015년에 대폭 증가하였다가 2016에 감소하여 현재까지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법 관련 연구(B)는 프로그램 및 모형 개발‧적용, 융합교육 활동 개발 관련 연구가 29.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교육과정의 재구성, 연계 관련 연구가 25.0%, 교수법 변화(학생 참여형 중심 수업) 관련 연구 23.3%, 평가 관련 연구 18%, 수요를 반영한 편성 운영 관련 연구 4.2% 순으로 나타났다. 실태 분석(C)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체적으로는 매년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다른 연구에 비해 자유학기제 평가 및 평가관련 실태분석이 매우 적게 나타났다.

사례분석(D)에 대한 연구결과는 교과운영, 연계, 학교생활 관련 사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2016년 이후 사례연구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성과 및 효과관련 연구(E)는 진로교육과 진로 관련 연구가 52.1%로 가장 많이 실시되었으며, 평가와 관련하여 성과 및 효과를 탐색한 연구는 6.4%로 매우 적었다. 또한 전면 시행된 2016년도에는 31건으로 대폭 증가하였으나, 이후 2017년 18건, 2018년 20건으로 다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활성화 방안 제시 연구(F)에서는 지자체 협조 및 학교 재정지원, 교사들의 연수나 워크숍 등 학교 외부의 지원 방안에 관련한 연구가 68.6%로 더 많이 실시되었으며, 학교 내‧외부의 지원과 관련하여 2015년부터 매년 꾸준하게 다수의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각 연구주제별 빈도분석 결과는 [Fig. 2]와 같다.


[Fig. 2] 
The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by Research Topic.


Ⅴ.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 관련 연구는 자유학기제가 전면 실시되기 전 해인 2015년도와 2016년에 대폭 증가하였으며,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경향은 2018년부터 시범 실시되는 자유학년제 전환에 대한 관심으로 인한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자유학기제 관련 논문은 여러 분야의 학술지에 산재되어 있어 자유학기제의 안정적 정착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분석된 논문 편수(172건)에 비해 많은 학술지(130개) 수는 선행연구와 관련한 후속연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영역에 있어서의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과목별 연구동향 분석 결과 주로 자유학기활동에서 다룰 수 있는 과목들과 예체능관련 과목의 연구 비중이 높았으며, 국어, 영어, 수학 등의 교과목 관련 연구가 전체적 비중으로 볼 때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주요한 교과목의 학력저하 우려로 인한 것이라는 선행연구(Kim et al., 2014)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그러나 체험 중심의 활동을 통해 진로를 탐색하며 꿈과 끼를 찾고 창의성, 인성, 자기주도 학습능력 등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자유학기제 특성상 융합적인 교육환경 하에서 자신의 진로 탐색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과목을 융합하여 탐색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 연구 및 교육과정 재구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자유학기제가 중학교에 전면 실시되면서 프로그램 관련 논문은 2016년 13건(28.9%), 2017년 14건(31.1%)으로 점차 증가하다가 2018년에는 9건(17.8%)로 다소 감소하였다. 특히 프로그램 개발‧운영에 관한 연구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도 점점 감소하거나 비교적 적게 연구되고 있는데, 수업 방법과 목적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지원 및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기존 프로그램의 효과나 교육수요자의 요구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없는 프로그램이 진행된다면, 형식적이거나 일회성 프로그램에 그치는 등의 다양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프로그램 활동별 분석 결과, 진로탐색 관련 프로그램 활동이 전반적으로 많은 반면에 현장체험프로그램과 동아리 프로그램 관련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체험의 예산 지원이 적어 전문 인력 운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현장체험 프로그램개발에도 어려움이 있기 때문(Lee, 2018)이라 볼 수 있으며, 현장프로그램 관련 연구에 대한 더 높은 관심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자유학기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프로그램 관련 지속성과 실효성에 대한 분석 등 프로그램 관련 분야별로 더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프로그램 연구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연구방법별로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고 양적연구, 문헌연구, 질적연구의 순으로 꾸준하게 연구되고 있다. 혼합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이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설문조사와 면담 후 결과를 비교분석하거나, 심층면담 후의 빈도분석 등 혼합연구 방법의 장점을 이용한 다각적인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2016년 진로교육법이 제도화 된 이후 자유학기제 관련 분야의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세부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문헌을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연구물을 대상으로 분석한 양적 동향연구도 후속연구의 방향성 수립을 위해 중요한 부분이지만, 교육 당사자인 학생들과 교사들의 활동이나 요구 등 제도와 자료가 닿지 않는 부분까지의 분석을 통해 연구자들의 연구방향 설정뿐만 아니라, 현장 적용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학생관련 연구(85건, 54.1%)에 비해 교사(48건, 30.6%)와 학부모(14건, 8.9%)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주체(교사,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에 대한 구성원의 이해(지식과 경험)와 태도(긍정적 태도 및 자율적·협력적 노력)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는 선행연구(Shin et al., 2018)의 주장에서 볼 때,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보완될 필요가 있다. 교육의 주체인 구성원이 무엇을 어떻게 생각하고 행하느냐에 따라 학교, 더 나아가 교육은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자유학기제의 당위성과 필요성에 대한 교육계 종사자들, 학교관리자 및 교육의 주체인 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학부모의 적극적 참여와 지원이 다양한 체험 활동의 주요한 촉진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학부모와 관련된 후속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교과목 및 프로그램 운영 실태와 교사의 전문성 및 인식과 관련한 연구도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제점을 개선하고 실천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운영 사례분석과 교사의 전문성 및 인식에 대한 실태분석 연구가 더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연구주제별 분류를 살펴보면 교육과정 및 교수법과 관련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자유학기제가 지속성을 가지고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수요와 요구를 반영하여 편성한 교육 운영 관련 연구들이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자유학기제 효과 및 성과와 관련하여 학생평가와 관련한 성과 관련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며, 실태분석 연구에서도 학생평가 관련 실태분석이 가장 부족하게 나타났다. 평가방법에 대한 논의나 평가관련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다소 이루어지고 있지만, 서열화 중심의 평가에서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배양하고자 하는 자유학기제의 기본 목적을 고려해 볼 때,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평가실태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자유학기제 정책의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는 학생평가가 변하지 않는다면 자유학기제의 근본취지인 행복학교 실현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따라서 자유학기제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학생평가의 사례분석이나 평가실태와 관련된 연구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연구대상을 2013년부터 2018년까지의 국내 학술지논문만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기 때문에 학위논문을 포함한 자유학기제 관련 전체적인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고는 보기 어려운 제한점이 있다. 그러므로 대상 논문의 범위를 보다 확대한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통계적 접근을 통해 다양한 연구분야의 유의성을 검증할 수 있는 보다 정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최향미(2019)의 석사학위 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References
1. Ahn JI, Seo YK and Kim SM(2017). Research Trends on Media Literacy in Korea : Focusing on Research Characteristics, the Role of Media and Media Literacy Competence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31(5), 5~49.
2. An HJ(2016).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school life of students in the next semester after a free semester program. Kyung Hee University Master's Thesis.
3. Cho SK, Kim MJ, Park KA, Seo JE, Lee BM and Jeong DW(2018). Policy Effect Analysis of Free Semester Program : Focusing on School Facto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6(4), 41~68.
4. Chung SW, Lim JS, Park SJ, Chung YR, Park KM and Choi JH(2014). Research Trends in Social Media: An Analysis of Social Science Studies from 2006 to 2013,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Policy Review, 21(2), 87~124.
5. Hong HJ, Lim YN and Jang SY(2013). An Inquiry on the Loose Semester for Career Exploration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Survey of Stakeholders.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19(2), 33~68.
6. Hwang EH, Jang JH and Yang HG(2019).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in Free-Semester Using Text-Mining Technique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5(3), 299~318.
7. Jang HJ and Cho YJ(2019). Development of Humanities Convergence Art Education Program for Free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37(1), 261~272.
8. Jeon EJ(2017). Korean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to Improve Free Semester System.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52(1), 181~213.
9. Jin JA and Lee CY(2016). Content Analysis of the Advertising Design Research Trend in the Articles on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and Korea Design Forum.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9(4), 259~267.
10. Jo HY(2017). A Study on Analysis and Suggestions on Research related with Free Semester System.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8(3), 353~375.
11. Jung YS, Lee YS and Park DK(2018). Analysis on Policy Formation of Free Semester Program and Policy Change to Free School-Year Program Based on Kingdon’s Policy Streams Model. The Journal of Politics of Education, 25, 143~172.
12. Kang JT and Yoo YJ(2017). Issues and Operation Concerning the Free Semester System. Comtemporary Educational Research. 29, 27~46.
13. Ki SH and Kwon JH(2019). Development and research on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convergence talent education(STEAM) for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2), 1193~1218.
14. Kim BC and Ryu KH(2013). A Trend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Articles of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0(4), 1~34.
15. Kim HJ(2011).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teachers school reform implemen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thesis.
16. Kim JY(201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Education Program Using Design Thinking A Study on the Free semester System of Middle School. Design Research, 4(3), 95~104.
17. Kim KH(2016). An Analysis on the Trends in the Research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Gifted Students : 2000~2015.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s thesis.
18. Kim MC and Kim YH(2019). Trends Analysis of Activity Programs in Free Semester System Research.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5(1), 359~378.
19. Kim MJ, Lee JC, Lim JI and Hong HJ(2014). An analysis of school reports on Free Learning Semester: Focusing on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2(2), 215~241.
20. Ko YJ, Kim YJ, Lee HJ and Lim KY(2017). Research Trends in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Korea : A Thematic Analysis of Korean Journal Publication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4), 429~457.
21. Krippendorff K(2004).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22. Kwak HJ and Ryu HS(2016).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s in STEAM Educatio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0(1), 72~89.
23. Kwon NJ and An JH(2012). The Analysis on Domestic Research Trends for Convergence and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2), 265~278.
24. Lee BH and Kwon MS(2015). An Inquiry in to Revitalization of Free Semester through Case Analysis of Research School.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1(1), 51~74.
25. Lee DN, Yoo EJ and Kim MK(2014). Legal Analysis on Foreign School, Foreign Educational Institute and International School. The Journal of Education Law, 26(2), 155~186.
26. Lee HS(2018). Strategies of Seoul for the Promotion of Free-School Path Exploration Activities. Seoul Institute Policy Report, 243.
27. Lee JY(2014). A Study on Research Trends in Experiential Learning: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 199~219.
28. Lee KH(2018). A Case Study o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Free Learning Semester Research School.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4(1), 19~54.
29. Lim JH(2016).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Operation Process of Free Semester Program.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4, 99~128.
30. Ministry of Education(2013). Middle School Free Semester Pilot Operation Plan. 2013. 05. 29.
31. Ministry of Education(2017). Gyeongsangnam-do Education Expansion and Development Plan for Middle School Free Semester, 2017. 09. 08.
32. Ministry of Education(2017). Middle School Free Semester Operation Plan in KyeongNam. 2017. 01.
33. Rhee SH(2014).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Papers on 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Ewha Womans University Master's Thesis.
34. Rho YS(2017). A Study on the Classical Chinese Lessons to Implement the Free Semester Program. Journal of Korea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35(1), 345~378.
35. Shin CK(2018). A Study on the Linkage Principle of Free-Semester Program.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8), 393~414.
36. Shin CK, Kim EY, Hwang EH, Song KO and Park MJ(2014).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Free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search Report. RR2014-17.
37. Shin HS and Oh CS(2013). Analyzing Research Trends of Teacher In-service Education: Focus on Research Areas, Themes, and Method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0(3), 431~462.
38. Song KO(2014). Analysis of Research Trend in Teacher Education in the U.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1(4), 227~250.
39. Woo HJ and Park JY(2011). A Productive Investigation of Korean Internet Studies Ⅱ. Communication Theories, 7(1), 26~71.
40. Yang SJ and Kwon NJ(2014). Research Article : The Analysis on Development Trends for Korean and Overseas Science and Arts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8(2), 376~400.
41. You HJ(2006). Research Trends in English Education in Korea from 1996 to 2005: A Content Analysis of Journal Articles.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3(3), 339~368.
42. You JA, Kim EY, Kim HS, Min KH, Lee JY, Hwang JY and Bae HK(2015). Exploring Futuristic Directions & Strategies for Arts & Physical Education based on Free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10), 899~918.
43. Youm YS, Kim KM, Seong GH and Yoon ST(2019).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 Report on Korean Children and Youth Happiness Index. Social Development Institute of Yonsei University, The 11t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