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Journal Archive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2 , No. 6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2, No. 6, pp. 1523-1530
Abbreviation: J Kor Soc Fish Mar Edu.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0
Received 10 Nov 2020 Revised 15 Nov 2020 Accepted 03 Dec 2020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0.12.32.6.1523

비접지 시스템 선박의 지락 고장 발생에 따른 전위 특성
류기탁 ; 이윤형
한국해양수산연수원(교수)

Characteristics of the Potential According to Line-to-Earth Fault for Ships Applying Unearthed System
Ki-Tak RYU ; Yun-Hyung LE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and Fisheries Technology(professor)
Correspondence to : 051-620-5823, domse54@daum.net


Abstract

A unearthed system is applied in many ships for the stability of power in case of a line-to-earth fault. This system is difficult for ship engineers to recognize when the line-to-earth fault occurs. In order to monitor such fault at all times, ground potential transformer is used for high voltage(6.6kV) ships and permanent insulation monitor is used for low voltage(450V) ship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line-to-earth voltage and zero sequence voltage in case of the line-to-earth fault. For this, mathematical model of line-to-earth voltage and zero sequence voltage was derived through the symmetric coordinate method, and a MATLAB simulation was performed. The simulation proves that this method can accurately judge the faulty phase, especially for the line-to-earth fault with unearthed system.


Keywords: Line-to-earth fault, Line-to-earth voltage, Symmetrical coordinates method, Unearthed system, Zero sequence voltage

Ⅰ. 서 론

선박에서 전력 운용의 안정적 수급은 선박의 안전성 확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선박에서 주로 발생할 수 있는 전기 사고는 지락 고장이며 이로 인해 전원 공급에 문제가 발생되면 항해중인 선박이 위험한 상황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선박은 일반적으로 비접지 시스템을 사용한다.

비접지 시스템은 지락 고장시 고장전류가 충전전류로서 그 크기가 작아 고장 인지가 어렵기 때문에 별도의 감시 장치를 적용해야 한다. 전력 수요가 많아 6.6[kV]의 고전압을 사용하는 선박은 GPT(ground potential transformer)가 영상 전압을 검출하여 지락상태를 감시한다. 이때 지락 고장이 발생하면 GPT와 ZCT(zero current transformer)가 연계하여 전력계통을 선택차단(discrimination)한다. 반면, 450[V]를 사용하는 저전압 선박은 전력계통에 상시 직류 전압을 인가하여 지락상태를 감시하는 PIM(permanent insulation monitor)을 사용한다. 이 경우에는 지락 고장 감지시 지락에 대한 경보만 발생시키고, 별도의 차단장치는 없다.

지락 고장시 비접지 시스템은 건전상의 대지 전압이 커지며, 특히 과도 과전압이 발생하면 정상시 대지 전압의 6배를 초과하는 전압이 발생하여 케이블을 포함한 모든 절연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ABB Academy, 2012). 이로 인해 전력계통 케이블의 절연강도는 계통 접지 형태에 따라 그 강도를 다르게 설계한다(Bridger, 1983; NEMA WC5-1992; System Grounding for LV Power Systems, 1975).

지락 고장은 완전 1선 지락이 가장 많으며 이때 지락점 절연저항의 크기에 따라 지락의 정도가 달라지고, 이로 인해 3상의 대지 전압 및 영상 전압이 변동하므로 이에 대한 해석과 특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지락 고장은 전형적인 불평형 고장으로 이를 해석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인 대칭좌표법을 이용하여 이 문제를 해석하고자 한다(Yoo et al., 2006).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접지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 고전압 선박과 저전압 선박을 선정하여 지락 고장시 지락점 절연저항이 악화됨에 따라 각 상의 대지 전압과 영상 전압 변동 특성을 대칭좌표법을 이용하여 해석하고자 한다. 또한 배전계통이 큰 시스템 즉, 대지 정전용량이 증가된 경우도 함께 해석한다. 이를 위해 우선 비접지 시스템의 대칭분 등가회로를 이용하여 각 상의 대지 전압과 영상 전압을 모델링한다. 최종적으로 실제 선박의 전력 시스템의 파라미터를 모델링에 적용하고, 지락 사고시 각 상의 대지 전압과 영상 전압의 변동 특성을 MATLAB R2014a(Mathworks, 2014)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도록 한다.


Ⅱ. 연구 방법
1. 비접지 시스템의 특징

전력 계통의 중성점을 선체(대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계통 접지는 연결 형태에 따라 비접지, 직접접지, 저항접지, 리액터접지로 구분된다. 계통 접지는 고·저압 혼촉 사고 또는 뇌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상전압을 억제하고 전력 계통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하는 접지이다(NEC Handbook, 2008).

선박에서 지락 고장 발생시 필수부하에 전력 공급이 확보 되지 않으면 운항에 큰 위험이 따르므로 전력 계통의 전원 공급 연속성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고전압 선박 및 저전압 선박의 계통 접지는 주로 비접지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만약, 지락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전압 선박은 VCB 트립 기능을 갖는 형태(Paul and Venugopalan, 1991)이고, 저전압 선박은 별도의 차단기 트립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다.

선박에서 주로 사용하는 비접지 시스템은 전력 계통 중성점과 선체 사이에 물리적인 연결을 하지 않지만 대지 정전용량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지락 고장이 발생했을 때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 공급을 보장할 수 있고, 지락전류가 충전전류로 그 크기가 작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락전류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지락 고장 발생시 지락 고장 여부와 지락 고장점을 쉽게 알 수 없어 지속적인 지락상태의 감시가 필요하다. 만약, 완전 1선 지락 고장 발생이 발생하면 건전상의 대지 전압이 고장전보다 3배 증가하여 전력계통의 절연상태를 악화시키고, 이를 고려한 설계로 인해 절연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아킹 지락 고장이 발생하면 과도 과전압이 매우 크게 나타나 전력 계통의 절연 상태를 크게 악화시키게 된다(Shipp and Angelini, 1988).

2. 비접지 시스템의 1선 지락시 전위 모델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박은 안전한 운항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비접지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고전압을 사용하는 선박은 비접지 시스템에 GPT를 이용하여 상시 지락감시를 하고, 저전압을 사용하는 선박은 PIM을 사용하여 상시 지락감시를 한다. [Fig. 1]은 6.6[kV] 고전압 선박에 적용되는 GPT 배전반을 나타낸 것으로 한류저항(CLR)을 확인할 수 있고, [Fig. 2]는 450[V] 저전압 선박에서 사용하는 PIM을 나타낸 것이다.


[Fig. 1] 
GPT panel for 6.6[kV] ship.


[Fig. 2] 
PIM for 450[V] ship.

본 절에서는 선박의 비접지 시스템에서 1선 지락 사고 발생시 각 상의 대지 전압과 영상 전압의 특성을 해석하기 위해 대칭좌표법을 이용하여 이들을 모델링 하기로 한다. 대칭좌표법은 지락 고장과 같이 3상의 전압과 전류가 불규칙한 위상차를 가지게 될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해석방법이다.

비접지 시스템을 사용하고, GPT로 절연감시 하는 선박에서 1선 지락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를 [Fig. 3]과 같이 표현하였다.


[Fig. 3] 
Simplified unearthed system using GPT for an earth fault of a phase.

그림에서 E˙a,E˙b,E˙c는 위상차를 갖는 발120° 전기의 유기기전력, Z˙1,Z˙2,Z˙0는 발전기의 정상, 역상영상 임피던스, V˙a,V˙b,V˙c는 각 상의 대 지 전압, C는 대지 정전용량, rn은 GPT의 한류저항(CLR), Rf는 지락 고장점의 저항이다.

어떤 상에서 지락 고장이 발생하면 GPT 1차측 접지선으로 흐르는 전류와 대지 정전용량으로 흐르는 충전전류의 벡터 합으로 지락 전류 Ig가 흐르게 되며 3상의 대지 전압은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GPT는 1차가 직접접지 되어 있지만 GPT 3차에 있는 rn에 의해 전류가 제한되어 매우 작은 지락 전류가 흐른다. GPT의 권수비를 n이라 할 때 rn은 다음과 같이 1차측 저항 Rn으로 환산된다(Lee, 2003).

Rn=19n2rn(1) 

이것은 비접지 시스템이지만 전력 계통의 중성점을 저항 Rn으로 접지한 저항 접지시스템의 형태로도 해석할 수 있다.

1선 지락 사고시 대지 전압 불평형 특성과 영상 전압을 대칭좌표법을 이용하여 확인하기 위해 대칭분 등가회로를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Fig. 4]에서 E˙a는 a상의 유기기전력, V˙1,V˙2,V˙0는 정상, 역상, 영상 전압, I˙1,I˙2,I˙0는 정상, 역상, 영상 전류이다. Z0'는 GPT 1차측 환산 저항과 대지 정전용량을 합성한 발전기의 영상 임피던스이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Z0'=113Rn+Z0+jωC(2) 

[Fig. 4] 
Symmetrical equivalent circuit according to line-to-earth fault.

1선 지락사고 대칭분 등가회로에서 영상 전류는 다음과 같다.

I˙0=E˙aZ˙1+Z˙2+Z˙0'+3Rf(3) 

1선 지락 사고의 경우 정상, 역상, 영상 전류가 동일하므로 발전기 기본식을 다음과 같이 정상, 역상, 영상 전압으로 정리할 수 있다.

V˙1=E˙a-I˙1Z˙1=E˙a-I˙0Z˙1V˙2=-I˙2Z˙2=-I˙0Z˙2V˙0=-I˙0Z˙0'=-Z˙0'Z˙1+Z˙2+Z˙0'+3RfE˙a(4) 

식 (3), (4)의 대칭 성분을 이용하여 각 상의 대지 전압 V˙a,V˙b,V˙c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V˙a=V˙0+V˙1+V˙2=3RfZ˙1+Z˙2+Z0'˙+3RfE˙aV˙b=V˙0+a2V˙1+aV˙2=Z˙0'a2-1+Z˙2a2-a+3a2RfZ˙1+Z˙2+Z0'˙+3RfE˙aV˙c=V˙0+aV˙1+a2V˙2=Z˙0'a-1+Z˙2a-a2+3aRfZ˙1+Z˙2+Z0'˙+3RfE˙a(5) 

여기서, a는 벡터연산자로 e-j23π를 의미한다.

3. 시뮬레이션 파라미터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선정한 전압은 선박에서 주로 사용하는 6.6[kV]와 450[V]이고, 파라미터 값은 대상 선박의 실제 도면을 참고하여 <Table 1>에 나타내었다.

<Table 1> 
Parameters of unearthed system
Unearthed system 6,6[kV] 450[V]
Pa 3,733kVA] 1,875[kVA]
Va, Vb, Vc 3,810[V] 260[V]
Z1 j0.123[pu] j0.157[pu]
Z2 j0.11[pu] j0.11[pu]
Z0 j0.01[pu] j0.01[pu]
Rf 1[GΩ] 1[GΩ]
f 60[Hz] 60[Hz]
Rn 10,000[Ω] open
C 1.64[㎌], 8.2[㎌], 16.4[㎌], 0.82[㎌], 1.64[㎌], 8.2[㎌]

6.6[kV] 비접지 선박은 GPT를 사용하여 영상 전압을 검출하여 지락 검출을 하며, 일반적으로 rn을 3.3[kV]에서는 50[Ω], 6.6[kV]에서는 25[Ω]을 적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상 선박이 6.6[kV]이므로 식(1)을 이용하여 1차측 저항 Rn으로 환산하면 10,000[Ω]이 된다. 여기서 GPT의 전압비는 66003/1103/1903이다. 선박은 주로 케이블을 사용하므로 대지 정전용량이 6.6[kV] 계통은 고저항 접지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댓값을 기준(Kingrey et al., 2011)으로 대지 정전용량 C를 1.64[㎌]에서 시작하여 5배, 10배 증가시켜 각 특성을 분석하도록 한다. 한편, 450[V] 비접지 계통 선박은 Rn이 [Fig. 4]에서 개방되어 있는 형태이며 대지 정전용량 C를 0.82[㎌]에서 시작하여 2배, 10배 증가시켜 각 특성을 분석하도록 한다.


Ⅲ. 결과 및 고찰
1. 6.6[kV] 선박에서의 대지 전압과 영상 전압의 변화 특성

6.6[kV] 비접지 시스템 선박에서 GPT를 이용하여 지락감시를 하는 경우 1선 지락 고장이 발생했을 때 지락점 절연저항의 변화에 따라 각 상의 대지 전압과 영상 전압의 변화 특성을 확인해 본다. 대지 정전용량이 다를 경우 즉, 배전계통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 대해서도 함께 확인하였다.

a상 지락 고장을 가정하여 <Table 1>과 같이 대지 정전용량이 다른 경우에 절연저항 감소에 따른 대지 전압과 영상 전압 변화 특성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Fig. 5]에 나타내었다.


[Fig. 5] 
The characteristic of line-to-earth voltage and zero sequence voltage(Rn =10,000[Ω], C =1.64[㎌], 8.2[㎌], 16.4[㎌]).

[Fig. 5]의 (a)는 C가 1.64[㎌], 8.2[㎌], 16.4[㎌]인 경우 지락점 절연저항의 감소에 따른 각 상의 대지 전압의 변화 추이를 나타낸 것이다. 3가지 경우 모두 c상의 대지 전압이 다른 두 상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그 최댓값은 C가 1.64[㎌]인 경우 182[Ω]에서 6,890[V], C가 8.2[㎌]인 경우 39[Ω]에서 6,975[V], C가 16.4[㎌]인 경우 19[Ω]에서 7,026[V]이다. 이를 통해 대지 전압의 최댓값은 C가 클수록 커지며 그때 지락점의 절연저항은 점점 작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지락점 절연저항이 감소함에 따라 a상의 대지 전압은 120° 위상이 뒤진 b상보다 특정 절연저항까지는 높게 나타나며 그 이후에는 크기가 작아진다.

그 시점의 대지 전압은 3가지 경우 모두 대략 3,300[V]로 유사하였다. 크기가 교차되는 지락점의 절연저항은 C가 1.64[㎌]인 경우 1,028[Ω], C가 8.2[㎌]인 경우 188[Ω], C가 16.4[㎌]인 경우 92[Ω]이다. 이를 통해 지락된 상과 그 보다 120° 위상이 뒤진 상의 대지 전압 크기가 교차되는 지락점 절연저항은 C가 클수록 점점 작아짐을 알 수 있다.

지락 고장상의 판별을 위해서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락 고장을 일으킨 상보다 120° 위상이 앞선 상의 대지 전압이 가장 높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를 이용하여 지락된 상을 확인할 때는 각 상의 대지 전압 중 가장 높은 상을 확인한 후, 그보다 위상이 120° 뒤진 상을 고장상으로 판별하는 것이 정확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절연저항에서는 대지 전압의 크기가 상간전압(phase-to-phase voltage)보다 대략 400[V] 이상 높아지므로 전력계통의 절연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Fig. 5]의 (b)에서 GPT가 감지하는 영상 전압은 동일한 크기의 지락점 절연저항에서 C가 클수록 작아진다. 이는 배전계통이 커질수록 지락 발생시 계전기의 지락감지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선로의 완전지락은 아니지만 지락점의 저항이 어느 정도 있는 상태로 지락 고장이 지속되게 되어 간헐적으로 아킹 지락 고장이 발생하면 큰 과도과전압이 발생하여 절연이 약한 설비의 절연파괴가 발생되고 심한 경우 단락사고로 고장이 확대될 수 있다. 계전기가 감지할 수 있는 영상 전압의 최솟값인 35[V]에 도달하는 지락점의 절연저항은 C가 1.64[㎌]인 경우 2,843[Ω], C가 8.2[㎌]인 경우 574[Ω], C가 16.4[㎌]인 경우 287[Ω]이다.

2. 450[V] 선박에서의 대지 전압과 영상 전압의 변화 특성

450[V] 비접지 시스템 선박은 6.6[kV] 비접지 시스템 선박과 달리 전력계통의 중성점과 선체 사이에 어떠한 물리적인 연결도 없는 형태이다. 이러한 선박에서 1선 지락 고장이 발생했을 때 지락점 절연저항의 변화와 대지 정전용량 변화에 따른 각 상의 대지 전압과 영상 전압 변화에 대한 특성을 확인해 본다. [Fig. 6]은 a상의 지락 고장을 가정하여 <Table 1>에 주어진 선박의 파라미터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 6] 
The characteristic of line-to-earth voltage and zero sequence voltage(Rn =open, C =0.82[㎌], 1.64[㎌], 8.2[㎌]).

[Fig. 6]의 (a)는 C가 0.82[㎌], 1.64[㎌], 8.2[㎌]일 때 지락점 절연저항 감소에 따른 각 상의 대지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C의 크기와 관계없이 c상의 대지 전압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며, 그 크기는 473.6[V]로 동일하다. 다만 최댓값이 되는 절연저항이 C가 0.82[㎌]인 경우 402[Ω], C가 1.64㎌]인 경우 200[Ω], C가 8.2[㎌]인 경우 40[Ω]이다. 이는 6.6[kV]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지락점 절연저항이 감소함에 따라 지락된 a상의 대지 전압은 120° 위상이 뒤진 b상보다 특정 절연저항까지는 높게 나타나며 그 이후에는 크기가 작아진다. 그 시점의 대지 전압은 모두 대략 225[V]로 유사하다.

크기가 교차되는 지락점의 절연저항은 C가 0.82[㎌]인 경우 1,867[Ω], C가 1.64[㎌]인 경우 933[Ω], C가 8.2[㎌]인 경우 186[Ω]이다. 이를 통해 지락된 상과 그 보다 120° 위상이 뒤진 상의 대지 전압 크기의 교차점은 C가 클수록 지락점의 절연저항이 점점 작아짐을 알 수 있다.

저압 비접지 시스템 선박에서도 1선 지락사고시 지락된 상을 정확히 판별하는 방법은 고전압 비접지 시스템 선박과 동일하게 각 상의 대지 전압 중 가장 높은 상을 확인한 후, 그보다 위상이 120° 뒤진 상을 고장상으로 판별하면 된다.

또한, 특정 절연저항에서는 대지 전압의 크기가 상간전압보다 약 23[V] 크므로 전력계통의 절연에 스트레스가 가해지지만 6.6[kV] 보다는 그 상승 정도는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Fig. 6]의 (b)의 대지 정전용량 변화에 따른 영상 전압은 동일한 크기의 지락점 절연저항에서 C가 클수록 작아진다. 전체적인 경향은 고전압 선박의 결과인 [Fig. 5]의 (b)와 유사하다.


Ⅳ.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비접지 시스템을 적용하는 고전압 사용선박과 저전압 사용선박에서 지락 고장 발생시 절연에 영향을 주는 각 상의 대지 전압과 계전기가 감지하는 영상 전압의 변동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칭좌표법을 이용하여 각 상의 대지 전압과 영상 전압을 모델링 하였고, MATLAB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지락점 절연저항 변화에 따른 각 상의 대지 전압 및 영상 전압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배전계통의 크기를 고려하기 위해 대지 정전용량이 다른 경우도 함께 검토하였다.

GPT를 사용하는 고전압 선박의 경우, 대지 정전용량의 크기와는 관계없이 고장상보다 120° 앞선 건전상의 대지 전압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특정 절연저항에서 전력계통의 상간전압의 크기를 초과하였다. 대지 전압의 최댓값은 대지 정전용량이 클수록 더 크게 나타나 배전계통의 규모가 커질수록 절연에 더 심한 스트레스를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장상의 대지 전압은 120° 뒤진 건전상보다 특정 지락점의 절연저항 이하에서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장상의 판별은 대지 전압이 가장 높은 상을 확인하고, 이보다 120° 뒤진 상을 고장상으로 판별하는 것이 정확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상 전압은 대지 정전용량이 클수록 동일한 저항에서 그 크기가 작게 나타나 계전기가 지락을 감지하는 시점이 늦어진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전압 선박의 경우 대부분의 대지 전압 및 영상 전압 특성은 고전압 선박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고장상의 판별방법은 두 선박이 동일하다. 다만, 대지 전압의 최댓값이 대지 정전용량과 관계없이 동일한 값을 나타난 것이 GPT를 사용하는 고전압 선박과는 다른 점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생각하면 선박에서 완전 지락이 아닌 지락 고장의 경우 지락 감지가 늦어질 뿐 아니라 건전상의 절연물에 대한 스트레스가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전압 비접지 시스템의 선박에 근무하는 기관사는 절연불량으로 인한 대지 전압 변동 추이와 GPT 영상 전압을 점검해야 하고, 저전압 선박의 기관사는 PIM의 계통 절연상태를 확인해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ABB Academy(2012). High voltage safety, ABB Marine Academy.
2. Bridger, B(1983). High resistance grounding, IEEE Trans. Ind. Appl., IA-19(1), 15~21.
3. Kingrey LJ, Painter RD and Locker AS(2011). Applying high resistance neutral grounding in medium voltage systems, IEEE Trans. Ind. Appl., 47(3), 1220~1231.
4. Lee SW(2003). Grounding of industrial power systems and protective systems for line to ground faults, Gidali.
5. Matlab R2014a(2014). Mathwork, Inc.
6. NEMA WC5-1992/ICEA S-61-402(1992). Thermal plastic insulated wire and cable for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of electrical energy.
7. Paul D and Venugopalan SI(1991). Low-resistance grounding method for medium-voltage power systems, in Conf. Rec. IEEE IAS Ann. Mtg., 1571~157.
8. Shipp DD and Angelini FJ(1988).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ower systems grounding techniques: fact & fiction, IEEE Trans. Ind. Appl. Ann. Mtg. Conf. Rec.
9. System grounding for low-voltage power systems catalog GET-3548(1975). Industrial Power System Engineering Operations, General Electric Company, Schenectady, NY, 12345.
10. Yoo SH, Lim SJ, Kang CO, LEE SH, Han CH, Park YD, Jeon MS, Lee KB and Kim JC(2006). Practical application technology of protective relay system, Gidali.
11. 2008 National Electrical Code Handbook(2008). Nat. Fire Protection Assoc., Quincy, 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