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Journal Archive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2 , No. 6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2, No. 6, pp. 1580-1590
Abbreviation: J Kor Soc Fish Mar Edu.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0
Received 28 Sep 2020 Revised 13 Oct 2020 Accepted 27 Oct 2020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0.12.32.6.1580

K-Pop기반 대안교육의 효능성에 관한 델파이 연구
박성미 ; 김정훈
동서대학교(교수)
올라트예술학교(교장)

A Delphi Study on the Alternative Education based on K-Pop
Sung-Mi PARK ; Jung-Hoon KIM
Dongseo University(professor)
Allart School(principal)
Correspondence to : 051-320-1866, psm1994@dongseo.ac.kr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the alternative education based on K-Pop. Delphi survey on a panel of experts was chosen to be the main methodology for this study, drawing the main factors of constructs for alternative school model of K-Pop-based. From May. 20 to June. 25, 2020, a three-round delphi survey was implemented to collect data. A panel of twenty experts were involved in this survey. For statistical proces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rried out along with internal reliability test on the survey instrument.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 First, the delphi research on the required item for possibility as an educational tool suggested encourage understanding and pride in Korea culture through lyrics; increase confidence by inducing interest and interest in the educational tool itself; experience the production process of K-Pop directly to promote collaboration, responsibility, and career setting etc. Second, the delphi analysis on possibility as educational outcome suggested creativity and convergence; acquisition of artistic literacy and professional skills through the use of various K-Pop contents etc. Third, the delphi analysis on possibility of learning motivation suggested self-expression tool that can radiate the overflowing energy of adolescence in a healthy way; tools of communication with peers; relieving emotional stress as a big part of youth culture leisure life etc.


Keywords: K-Pop, Alternative school, Delphi, High School, Alternative education, Applied music

Ⅰ. 서 론

2004년 특성화 학교라는 새로운 학제가 제도화되면서 대안교육은 학교 부적응 학생들을 위한 공교육의 대체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Woo, 2006).

그로 인해 전국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대안학교가 설립되어 학교 부적응 학생들을 위한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공교육 체제에 부적응하여 중도탈락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하는 만큼 대안교육의 내용 및 방법은 일반 고등학교와는 다소 차이가 크다. 대개 자연의 체험을 통한 교육이거나 학생의 미래를 위한 적성교육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일부에서는 국·영·수 위주, 즉 일반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유사한 접근을 시도하는 예도 있다(Baek, 2011; Joo, 2018).

그러나 실제로 대안교육의 대상자들은 일반 고등학교 체제에 적응하기 어려워서 대안학교로 진입한 만큼, 그 대안교육이 좀 더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Bae, 2017). 이를테면, 학생들의 자연스러운 동기유발을 이끌어내고 전인적 인격 성장을 지원하는 대안학교 교육 체계가 필요하다.

대안학교를 찾는 학생들의 사례(Baek, 2011; Han, 2019; Lee, 2013 ; Noh, 2019)를 분석해보면, 원적 학교에서의 수업부적응, 교사와의 관계 부적응, 학교 규범에서의 부적응, 또래와의 갈등 등 그 이유는 실로 다양하다. 그런데 특히 수업부적응에 의한 학교이탈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Lee, 2013; Yun, 2019). 이는 지금까지 실천되어 온 대안학교가 학교 부적응을 규정했던 시각과 그 대처방식의 변화에 있어 새로운 관점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공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전인적 성장에 주안점을 두어야 함에 이견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공교육은 인지적 영역의 목표 달성에만 주안점을 두고 정서적 및 행동적 영역의 목표에는 그 실효가 미흡하였다는 평가가 대부분이다(Park, 2019; Woo, 2006).

그러므로 공교육을 대신하는 대안교육에서는 청소년으로 하여금 이론적 학업만을 강조하기 보다는 체험적이고 감성적 접근으로 바른 인성을 함양시키고 더불어 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는 관점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본다(Ban, 2014; Park, 2018). 이에 그 대안적 내용과 방법론으로써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으로 하여금 삶의 활력을 제공하는 K-Pop기반 대안교육을 고려해볼 수 있다(Yoon and Park, 2019).

실제로 K-Pop은 M.net <슈퍼스타K>, MBC <위대한 탄생>, SBS <K-Pop 스타>, KBS <Top밴드>, M.net <보이스코리아> 등의 일련의 사례를 살펴볼 때, 자신의 어려운 상황,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 등을 K-Pop을 통해 해소하고 있었으며 더 나아가 자신의 역량을 발전시키는 경우로 연결되는 긍정사례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Kim, 2018; Jang and Song, 2016).

물론 K-Pop에 관심없거나 거리를 두는 학생들도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K-Pop을 음악이라는 광의의 범주에 포함했을 때 그 치유적 사례, 교육적 효과 등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Joo, 2018).

이러한 관점에서 K-Pop은 청소년을 둘러싸고 있는 가장 중요한 적응적 기제로 볼 수 있다(Park, 2014; Yoon and Park, 2019). 더 나아가 청소년은 K-Pop 분야에 있어서 단순한 문화 소비자가 아니라 문화의 생산자 혹은 참여자로서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Hong, 2016). 이는 K-Pop의 교육을 통해 청소년의 긍정적인 변화를 꾀하는 도구로써 적용해볼 만한 교육적 가치가 있음을 시사해준다.

이상의 시사점과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K-Pop기반 대안교육 모델을 구안하기 위한 일환으로 그 교육적 가능성을 탐색하는 기초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K-Pop기반 대안교육은 청소년으로 하여금 교육적 대안의 기회가 되는가? 둘째, K-Pop기반 대안교육은 청소년으로 하여금 교육적 성과를 제공하는가? 셋째, K-Pop기반 대안교육은 청소년으로 하여금 학습동기를 부여하는가? 이다.


Ⅱ. K-Pop기반 대안교육의 효능성

본 연구는 K-Pop기반의 대안교육이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1. 교육적 도구로서의 가능성

Noh(2016)에 의하면, 음악교육학자 에드윈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을 토대로 만들어진 오디 음악교육은 정서적 치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교육의 직접적인 수혜자인 학생 외에 교사, 학부모에게서도 치유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음악교육이 인간의 감수성을 매개로 정서적 치유 및 교육적 성장을 이끌어 낼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Cho & Jung, 2016).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음악의 더 세분화된 주류인 K-Pop도 청소년에게 정서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Park, 2014; Shin, 2017). 최근 K-Pop은 아시아, 유럽, 남미 청소년들에게 문화 주류로서의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이는 청소년이 보이는 단순한 기우 수준이 아니라, 세계 청소년들의 삶과 문화를 만들어가며 그들로 하여금 교육적 비전을 갖게 하는 아주 중요한 교육적 도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K-Pop으로 인해 꿈을 꾸고, 꿈을 이루기 위해 한국을 방문하는 타국의 청소년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사례에서도 엿볼 수 있다(Yuan, 2018). 이는 K-Pop이 청소년들에게 단순한 삶의 방식이 아니라 교육적 기능까지 고려해볼 만한 목적적 도구라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Park, 2014; Lee, 2019). 그러므로 K-Pop의 순기능을 활용하여 대안교육의 교육적 가능성을 탐색해볼 필요가 있다.

2 교육적 성과로서의 효능성

음악교육의 성과는 인지적 측면에서도 괄목할만한 성장 및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Shin(2017)의 연구에 의하면, 음악교육을 받은 사람과 받지 않은 사람의 두뇌 활용능력의 차이가 있음을 강조하면서 뇌과학적인 측면에서 음악교육이 학교 교육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음악 활동은 학습자의 정서적인 측면의 성장뿐 아니라 자기주도적인 학습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좌뇌와 우뇌를 고루 사용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전뇌(Whole brain)의 사용을 쉽게 한다고 볼 수 있다(Hong, 2016; Yoon & Park, 2019).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청소년에게 관심도가 높은 K-Pop을 교육적 매개로 활용할 경우, 일반교육의 효율적인 대안으로서 교육적 효과를 끌어낼 수 있다고 본다(Lee et al., 2017). 그러므로 K-Pop은 대안교육의 교육적 성과로써의 효능성을 탐색해볼 필요가 있다.

3. 학습동기 부여로서의 효과성

Kang(2014)에 의하면, 음악수업에 K-Pop을 활용하여 창의적 수업을 시행하고 있는 국내 고등학교가 상당수 있다고 한다. 이는 K-Pop이 청소년으로 하여금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하도록 하는 긍정적 기제가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른 말로 하면, 이론 중심의 교육보다 청소년으로 하여금 즐겁고 활력이 넘치는 생활 속의 기제였던 K-Pop이 학습내용으로 대체되었을 때 학습동기가 더 잘 부여될 수 있다는 점이다(Park, 2014).

청소년으로 하여금 학습에 대한 흥미 유발을 위하여 수학, 과학 등 어려운 교과목에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하여 학습동기를 부여한 교육적 사례도 있다(Park, 2019; Park and Yang, 2015). 이는 교육내용과 방법이 청소년으로 하여금 접근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청소년의 삶에 있어 긍정적인 그리고 즐거운 요소가 되는 K-Pop을 교육내용으로 적용하는 것은 청소년의 학습동기를 부여하는데 큰 효과를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Yoon and Park, 2019).

그러므로 협의의 관점으로는 음악수업을 통한 K-Pop의 접목에서부터 광의의 관점으로는 K-Pop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교육과정을 시도하는 것은 대안교육의 주체적인 교육내용과 방법으로써 긍정적인 요소가 아닐 수 없다(Cho & Jung, 2016). 이런 관점에서 학습동기를 쉽게 찾지 못하는 청소년들에게 K-Pop기반 대안교육이 학습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지를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델파이 전문가 집단은 다음의 선정기준 중 한 가지를 충족하는 자로 선정하였다. 첫째, 청소년 및 대학생을 가르친 박사학위소자로서 교수경력이 10년 이상인 자로 한다. 둘째, 청소년 및 대학생을 가르친 음악전문가로서 교수경력이 10년 이상인 자로 한다. 연구대상자 선정기준을 충족하는 사람 중 본 델파이 연구에 참여 의사가 있는 사람에 한정하여 총 20명을 선정하였다. 1차, 2차, 3차에 걸쳐 진행된 의견수렴 과정에 단 1회도 빠트리지 않고 20명 모두 참여하였으므로 최종 분석의 대상은 20명으로 하였다. 이에 인구통계학적인 변인은 <Table 1>에 제시되어있다. 본 연구의 델파이 조사는 3차에 걸쳐 실시되었고 조사기간은 2020년 5월 20일부터 2020년 6월 25일까지 약 1개월 5일이 소요되었다. 배포와 회수는 SNS(카카오톡)와 전화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Table 1> 
Demographic variable
Variables Item N %
Gender Male 10 50.00
Female 10 50.00
Age 30’s 1 10.00
40’s 9 40.00
50’s 10 50.00
Level of Education Bacheloral degree 2 10.00
Masteral Degree 7 35.00
Doctorate completion 5 25.00
Doctoral Degree 6 30.00
Position Professor 10 50.00
Youth experts 6 30.00
Instructor 4 20.00
Working Experience Less than 5 years 3 15.00
5 to 10 years 1 5.00
More than 10 years 16 80.00
Total 20 100.0

2. 측정도구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대상과 유사한 대상자 5인(청소년 교육학 전문가 3인, 음악 전문가 2인)에게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일부 문항을 수정, 보완하였다.

1차 설문지는 연구대상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자유기술방식의 설문지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각 항목에 대하여 전문가들이 자신의 의견을 1순위에서 3순위로 나누어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 문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적 도구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질문으로서 ‘K-Pop은 대안교육의 교육적 도구가 될 수 있는가?’ 이다. 둘째, 교육적 성과로서의 효능성을 확인하는 질문으로써 ‘K-Pop을 경험한 청소년은 어떤 역량이 개발될 수 있는가?’ 이다. 셋째, 대안교육을 통하여 학습자의 동기유발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는 질문으로써 ‘K-Pop기반 대안교육은 청소년의 학습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가?’ 이다.

2차 델파이 조사 문항 개발은 1차 델파이 조사에서 전문가들이 응답한 개방형 응답 자료들을 개념적으로 통일하여 동일한 변수들로 재정리하여 제시하였고, 각각의 변수들에 대한 중요도를 평정(Likert 7점 척도)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3차 델파이 조사 문항개발은 2차 델파이 조사결과를 토대로 2차 수집된 자료에 대한 기본 통계값을 제시하고, 각 항목별 중요도를 7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3. 자료분석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와 조사도구의 내적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각각의 항목별 응답된 자료를 바탕으로 1∼3순위까지의 의견에 관한 빈도를 구하였으며, 이를 다시 빈도총계와 가중총점으로 나누어 집계하였다. 그런 다음, 가중총점을 표준점수화(Z점수)하여 각각의 문항들이 가지는 중요도를 ±0.5를 SD를 기준으로 하여, ±0.5 SD 이내의 편차를 보이는 변수는 1순위, 그 이하의 값은 2순위로 구분하여 2차 조사에서 사용할 조사도구의 항목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1차 조사에서 도출된 문항들에 대하여 전문가들이 각각의 변수들에 대하여 중요도(매우 중요하면 7점, 전혀 중요하지 않으면 1점)에 대한 평정을 하도록 하였으며, 각 문항의 평균값과 표준편차 그리고 평균 순위를 구하여 각각의 문항들에 대한 우선순위(priority)를 분석하였다. 또한 전문가들의 의견합치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모수 검정방식인 Kendall's W검정을 실시하여, 패널들의 응답일치도를 분석하였다. 이에 Kendall's W검정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할(p<.05) 경우, 각 문항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이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3차 델파이 조사 역시 2차 조사와 동일하게 각 문항의 평균값과 표준편차 그리고 평균 순위를 구하여 각 문항에 대한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교육적 도구로서의 가능성

K-Pop기반 대안교육의 교육적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본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다양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 중 표준점수 Z값(±0.5 SD)을 기준으로 최종 분류한 항목들은 9개로 정리되었다(M=13.44, SD=8.69). 가장 높은 응답빈도를 보여 준 것은 ‘교육도구 자체에 흥미와 관심을 유도해 자신감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교육이나 학습행위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 소외된 학생들까지 자발적인 수업참여가 가능하다’, ‘공감대 형성으로 소통 및 유대감 강화와 학습 집중도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해당 음악에서 파생되는 메시지·춤·퍼포먼스 등을 새로운 교육도구로 연계 활용할 수 있다’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차 델파이 조사는 1차 조사에서 도출된 질문 문항들에 대하여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중요도를 평정하였고, 비모수검정 분석을 통해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대안교육의 교육적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평균 순위별로 정리하였다(Kendall's W=.186, p<.01). 이에 ‘공감대 형성으로 소통 및 유대감 강화와 학습집중도 향상(6.88)’, ‘교육도구 자체에 흥미와 관심을 유도해 자신감 상승(6.33)’, ‘교육이나 학습행위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 자발적인 수업참여 가능(5.30)’, ‘K-Pop의 음악적 수준이 과거에 비해 탁월해짐으로 창의역량 개발의 도구로 활용(5.0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3차 델파이 조사에서도 비모수검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Kendall's W=.227, p<.01), 전문가들의 의견이 대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국문화에 관한 내용이 담긴 노랫말로 한국에 대한 이해와 자긍심 증진(7.40)’, ‘교육도구 자체에 흥미와 관심을 유도해 자기주도성 증진(5.90)’, ‘K-Pop의 제작과정에 직접 참여해봄으로써 협업과 책임감 증진, 진로설정에 도움(5.20)’, ‘교육이나 학습행위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 자발적인 수업참여가 가능(5.15)’, ‘K-Pop의 음악적 표현방법이 다양해짐으로 창의역량 개발의 도구로 활용(5.00)’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2차 결과와는 중요도 순위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K-Pop기반 대안교육의 교육적 도구로서의 가능성으로 9개 항목이 최종 도출되었다(<Table 2> 참조).

<Table 2> 
Results of the 2nd & 3rd Delphi of Possibility as an educational tool
Results of the 2nd M SD Percentage Avg.
Priority
25 50 75
1. Build a global mindset by expanding the diversity and breadth of culture 5.00 1.07 4.00 5.00 6.00 3.60
2. Reinforce communication and bond by forming consensus, and increase concentration of learning 6.40 0.82 6.00 7.00 7.00 6.88
3. Encourage understanding and pride in Korea culture through lyrics 5.30 1.26 4.25 5.00 6.00 4.18
4. Psychotherapy functions that can regulate emotions 5.40 1.18 4.25 5.50 6.00 4.35
5. Experience the production process of K-Pop directly to promote collaboration, responsibility, and career setting 5.75 1.11 5.00 6.00 7.00 5.23
6. Increase confidence by inducing interest and interest in the educational tool itself 6.10 0.96 6.00 6.00 7.00 6.33
7. Reducing reluctance to learn and inducing voluntary class participation 5.70 1.45 5.00 6.00 7.00 5.30
8. Utilizing messages, dances, and performances derived from music as new educational tools 5.25 1.07 4.00 5.50 6.00 4.15
9. As K-Pop's musical level is superior to the past, it is used as a tool for developing creative competencies 5.70 0.73 5.00 6.00 6.00 5.00
N=20  Kendall’s W=.186  Chi-Square=29.729  df=8  sig=.000
Results of the 3rd M SD Percentage Avg.
Priority
25 50 75
1. Encourage understanding and pride in Korea culture through lyrics 6.50 0.60 6.00 7.00 7.00 7.40
2. Increase confidence by inducing interest and interest in the educational tool itself 5.90 0.78 5.25 6.00 6.00 5.90
3. Experience the production process of K-Pop directly to promote collaboration, responsibility, and career setting 5.60 1.14 5.00 5.50 7.00 5.20
4. As K-Pop's musical level is superior to the past, it is used as a tool for developing creative competencies 5.50 0.88 5.00 6.00 6.00 5.00
5. Reducing reluctance to learn and inducing voluntary class participation 5.60 1.23 5.00 6.00 7.00 5.15
6. Psychotherapy functions that can regulate emotions 5.50 1.00 5.00 6.00 6.00 4.95
7. Enhancement of understanding and self-esteem of Korea with lyrics containing contents of Korean culture 4.90 1.25 4.00 5.00 5.75 3.48
8. Utilizing messages, dances, and performances derived from music as new educational tools 5.20 1.01 4.00 5.00 6.00 4.25
9. Build a global mindset by expanding the diversity and breadth of culture 4.90 1.01 4.00 5.00 6.00 3.68
N=20  Kendall’s W=.227  Chi-Square=36.365  df=8  sig=.000
2. 교육적 성과로서의 효능성

K-Pop기반 대안교육의 교육적 성과에 대하여 알아본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다양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 중 표준점수 Z값(±0.5 SD)을 기준으로 최종 분류한 항목들은 8개로 정리되었다(M=15.00, SD=11.96). 가장 높은 응답빈도를 보여 준 것은 ‘협동성과 소통력’, ‘창의성과 융합적 사고력’, ‘자기주도 및 리더십’, ‘성취동기 및 적극성(자기관리 및 표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차 델파이 조사는 1차 조사에서 도출된 질문 문항들에 대하여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중요도를 평정하였고, 비모수검정 분석을 통해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대안교육의 교육적 성과로서의 효능성을 평균 순위별로 정리하였다(Kendall's W=.253, p<.01). 이에 ‘창의성과 융합적 사고력(5.75)’, ‘협동성과 소통력(5.35)’, ‘사회성과 감수성(5.23)’, ‘성취동기 및 적극성(자기관리 및 표현)(5.13)’, ‘다양한 K-Pop 콘텐츠 활용을 통한 예술적 소양과 직업적 기술 습득(4.9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3차 델파이 조사에서도 비모수검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Kendall's W=.247, p<.01), 전문가들의 의견이 대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가장 높은 평균 순위별로 살펴보면, ‘창의성과 융합적 사고력(5.88)’, ‘성취동기 및 적극성(자기관리 및 표현)(5.43)’, ‘협동성과 소통력(5.20)’, ‘사회성과 감수성(5.03)’, ‘다양한 K-Pop 콘텐츠 활용을 통한 예술적 소양과 직업적 기술 습득(4.8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2차 결과와는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동시대 사회, 문화, 경제에 대한 이해’는 평균이 매우 낮게 나와서 삭제하고, 최종적으로 7개 항목이 도출되었다(<Table 3> 참조).

<Table 3> 
Results of the 2nd & 3rd Delphi of Possibility as educational outcome
Results of the 2nd M SD Percentage Avg.
Priority
25 50 75
1. Creativity and convergence 6.20 0.69 6.00 6.00 7.00 5.75
2. Social and sense 5.85 0.74 5.00 6.00 6.00 5.23
3.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5.90 0.91 5.25 6.00 6.75 5.35
4. Self-direction and leadership 4.95 1.14 4.00 5.00 6.00 3.30
5.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tiveness (self-management and expression) 5.85 1.13 5.00 6.00 7.00 5.13
6. Acquisition of artistic literacy and professional skills through the use of various K-Pop contents 5.65 0.93 5.00 6.00 6.00 4.95
7. Healthy body 4.65 1.42 4.00 4.00 6.00 3.03
8.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society, culture and economy 4.85 1.38 4.00 4.00 6.00 3.28
N=20  Kendall’s W=.253  Chi-Square=35.474  df=7  sig=.000
Results of the 3rd M SD Percentage Avg.
Priority
25 50 75
1. Creativity and convergence 6.20 0.83 6.00 6.00 7.00 5.88
2.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5.80 0.89 5.00 6.00 6.75 5.20
3. Social and sense 5.70 0.73 5.00 6.00 6.00 5.03
4.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tiveness (self-management and expression) 5.75 1.37 5.00 6.00 7.00 5.43
5. Acquisition of artistic literacy and professional skills through the use of various K-Pop contents 5.45 1.19 5.00 6.00 6.00 4.85
6. Self-direction and leadership 4.95 1.14 4.00 5.00 6.00 3.35
7.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society, culture and economy 4.70 1.30 4.00 4.00 6.00 2.95
8. Physical activity through learning K-Pop choreography 4.70 1.59 4.00 4.00 6.75 3.33
N=20  Kendall’s W=.247  Chi-Square=34.516  df=8  sig=.000
3. 학습동기 부여로서의 효과성

학습자의 동기부여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본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다양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 중 표준점수 Z값(±0.5 SD)을 기준으로 최종 분류한 항목들은 8개로 정리되었다(M=15.01, SD=12.41). 가장 높은 응답빈도를 보여 준 것은 ‘청소년 문화 및 여가생활의 큰 부분으로 정서적 스트레스 해소와 휴식을 제공’, ‘또래들과의 소통의 도구’, ‘롤모델을 통한 스스로의 진로를 탐색하는 적극성 증진’, ‘한국의 위상과 이미지를 호의적으로 가지며 나아가 애국심 고취’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차 델파이 조사는 1차 조사에서 도출된 질문 문항들에 대하여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중요도를 평정하였고 비모수검정 분석을 통해,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K-Pop기반 대안교육을 통해 학습 동기유발의 가능성을 평균 순위별로 정리하였다(Kendall's W=.253, p<.01). 이에 ‘또래들과 소통의 도구(5.98)’, ‘청소년기의 넘치는 에너지를 건강하게 발산할 수 있는 자기표현 도구(5.70)’, ‘청소년 문화 여가생활의 큰 부분으로 정서적 스트레스 해소와 휴식을 제공(5.48)’, ‘다양한 문화예술에 대한 체험을 통해 창조적 예술역량 강화(4.73)’의 순으로 나타났다.

3차 델파이 조사에서도 비모수검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Kendall's W=.316, p<.01), 전문가들의 의견이 대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가장 높은 평균 순위별로 살펴보면, ‘청소년기의 넘치는 에너지를 건강하게 발산할 수 있는 자기표현 도구(6.23)’, ‘또래들과 소통의 도구(5.70)’, ‘청소년 문화 여가생활의 큰 부분으로 정서적 스트레스 해소와 휴식을 제공(5.63)’, ‘K-Pop의 다양한 표현방식을 경험함으로써 창조적 예술역량 강화(4.7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2차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K-Pop의 다양한 표현방식을 경험함으로써 창조적 예술역량을 강화’ 항목은 3차 델파이 조사에서 개선된 항목이며,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주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문화분야 글로벌화의 가능성 증진’은 평균이 매우 낮게 나와서 삭제하고, 학습자 동기부여의 가능성은 최종적으로 7개 항목이 도출되었다(<Table 4> 참조).

<Table 4> 
Results of the 2nd & 3rd Delphi for Possibility of learning
Results of the 2nd M SD Percentile Avg.
Priority
25 50 75
1. Tools of communication with peers 6.40 0.82 6.00 7.00 7.00 5.98
2. Favorably retains the status and image of Korea and further inspires patriotism 5.35 1.13 5.00 5.00 6.00 3.80
3. Reinforcing creative artistic competence by experiencing K-Pop's various expression methods 5.90 0.96 5.00 6.00 7.00 4.73
4. Provides emotional stress relief as a large part of youth culture leisure life 6.15 0.98 6.00 6.00 7.00 5.48
5. Self-expression tool that can radiate the overflowing energy of adolescence in a healthy way 6.30 0.86 6.00 6.50 7.00 5.70
6.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globalization in the cultural field 5.20 1.05 4.00 5.50 6.00 3.45
7. Possibility to explore their own career path through role model 5.35 0.81 5.00 5.00 6.00 3.78
8. The role of helping to be interested in the learning method using K-Pop as a learning tool 5.00 1.03 4.00 5.00 6.00 3.10
N=20  Kendall’s W=.238  Chi-Square=33.328  df=7  sig=.000
Results of the 3rd M SD Percentage Avg.
Priority
25 50 75
1. Tools of communication with peers 6.35 0.74 6.00 6.00 7.00 5.70
2. Self-expression tool that can radiate the overflowing energy of adolescence in a healthy way 6.55 0.61 6.00 7.00 7.00 6.23
3. Relieving emotional stress as a big part of youth culture leisure life 6.25 0.85 6.00 6.00 7.00 5.63
4. Reinforcing creative artistic competence by experiencing K-Pop's various expression methods 5.85 0.99 5.00 6.00 7.00 4.73
5. Possibility to explore their own career path through role model 5.25 0.85 5.00 5.00 6.00 3.35
6. Favorably retains the status and image of Korea and further inspires patriotism 5.15 1.04 5.00 5.00 5.75 3.23
7.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globalization in the cultural field 5.00 1.12 4.00 5.00 6.00 2.90
8. Increased interest of learners in teaching methods using K-Pop as a learning tool 5.65 1.04 5.00 6.00 6.00 4.25
N=20  Kendall’s W=.316  Chi-Square=44.262  df=8  sig=.000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K-Pop기반 대안교육의 효능성에 대한 델파이 연구를 하였다. 이에 나타난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K-Pop기반 대안교육의 가능성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이 제시한 3차 결과를 중심으로 볼 때, 9개 항목이 의미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대안교육의 가능성은 ‘가사를 통한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와 자긍심 고취’, ‘교육도구 자체에 흥미와 관심을 유도해 자기주도성 증진’, ‘K-Pop의 제작과정에 직접 참여해봄으로써 협업과 책임감 증진, 진로설정에 도움’, ‘학습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자발적인 수업참여 유도’, ‘K-Pop의 음악적 수준이 과거에 비해 탁월해짐으로 창의역량 개발의 도구로 활용’ 등의 내용으로 나타났다.

이는 K-Pop이 청소년으로 하여금 그들의 삶과 문화를 만들어 가며 교육적 비전을 갖도록 한다는 Yoon and Park(2019)의 연구를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음악교육이 인간의 감수성을 매개로 정서적 치유 및 교육적 성장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Cho and Jung(2016)의 관점과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공식적인 학교 체제를 자발적 혹은 비자발적으로 떠난 청소년으로 하여금 K-Pop기반의 교육이 대안적인 교육으로써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둘째, K-Pop기반 대안교육의 성과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이 제시한 3차 결과를 중심으로 볼 때, 7개 항목이 의미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대안교육의 성과는 ‘창의성과 융합적 사고력’, ‘성취동기 및 적극성(자기관리 및 표현)’, ‘협동성과 소통력’, ‘사회성과 감수성’, ‘다양한 K-Pop 콘텐츠 활용을 통한 예술적 소양과 직업적 기술 습득’ 등의 내용으로 나타났다.

이는 음악교육을 받은 사람과 받지 않은 사람의 두뇌 활용 능력의 차이가 있음을 강조하면서 음악교육이 학교 교육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을 언급한 Shin(2017)의 연구를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자신의 어려운 상황,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 등을 K-Pop을 통해 해소하고 청소년의 역량을 발전시키는 사례를 밝힌 Ban(2014)의 연구와 일치하며, Hong(2016)의 연구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Pop기반 대안교육이 학습자의 동기부여 가능성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알아본 결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이 제시한 3차 결과를 중심으로 볼 때, 7개 항목이 의미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학습자의 동기부여 가능성은 ‘청소년기의 넘치는 에너지를 건강하게 발산할 수 있는 자기표현 도구’, ‘또래들과 소통의 도구’, ‘청소년 문화 여가생활의 큰 부분으로 정서적 스트레스 해소와 휴식을 제공’, ‘K-Pop의 다양한 표현방식을 경험함으로써 창조적 예술역량을 강화’ 등의 내용으로 나타났다. 이는 음악수업에 K-Pop을 활용하여 창의적 수업을 한 결과 자기주도적인 학습력을 향상시켰다고 밝히는 Park(2014)의 연구결과와 Yoon and Park(2019)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청소년의 학습동기 부여를 위하여 게이미피케이션 교육내용을 제안할 수 있다는 교육부(2005)의 관점과 일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Cho and Jung(2016)이 강조한 것처럼, K-Pop기반 대안교육이 청소년으로 하여금 학습동기를 이끌어낼 수 있는 중요한 적응기제가 됨을 시사해준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K-Pop기반 대안교육의 가능성은 교육전문가 혹은 음악전문가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전문가 패널의 학문적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견수렴이 고루 이루어졌다. 그러나 추후 연구를 통하여 대안교육을 수혜받고 있는 청소년 혹은 대안학교의 진학을 고려하고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직접적인 자료를 확보하여 이들에게 보다 적합한 교육적 기회에 대한 경험적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K-Pop기반 대안교육의 가능성, 교육의 성과, 학습자의 동기부여에 대한 가능성 등을 알아보았다. 그러므로 이를 기반으로 K-Pop기반 대안교육의 모델을 구안하는 연구가 추후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Bae NR(2017).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Satisfaction of the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in Local Child Care Center.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 Baek GS(201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Effects of Alternative School. A Ph.D. thesis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3. Ban JE(2014). A Study an Effect of the Survival Audition Program on Emotion of Young Audiences. A Master's Degree thesis at Sungkyunkwan University's Graduate School.
4. Cho IH and Jung MS(2016).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Popular Songs Idol Music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t.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9(3).
5. Han SY(2019). A Study on Alternative Education Improvement Plan based on Domestic and Overseas Cases. A Master's Degree thesis at Inha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6. Hong B(2016). The Influence of Popular Music Audition Program on Practical Music by Region and High School Students. Sungshin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r Master's Degree.
7. Jang WH and Song JE(2016). The Influences of K-Pop Fandom on the Localization of K-Pop in the Philippines - The Case Study of Philippine K-Pop Convention, Inc..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9(3).
8. Joo SH(2018). Exploring Identity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for Schools. The Korean Journal of Arts Studies (21).
9. Ko JM(2014). A Study on the Practical Music Curriculum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 Yeung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0. Kang IS(2014). A study on teaching methods for creative chorus class with utilization of K-pop. A Master's Degree thesis at Chun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Traditional Music.
11. Kim MS(2018). A Study on effective alternatives and the problems of K-Pop. Chungwo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a master's thesis
12. Lee BH(2004). A study on the distinction of running in korean and foreign alternative schools. Open Education Research 12(2), 31~56.
13. Lee HY(2013). Diagnosis and Countermeasures of Students' Unconformity to Schools (II). National Policy Research Portal,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4. Lee KJ(2014). An Exploration of the Directions for Regular Subject Curriculum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Arts High Schools in Korea: A Focus on Cases of Music Majors in Foreign Arts Schools. Ewha Women's University Institute of Education and Science.
15. Lee SJ and Jung JY and Shin JH(2017). Case Studies on Popular Music Band Education in Korea and Abroad. Music Education Engineering (33).
16. Lee SU(2019). A Study on the Case of Classical Literature Classes for Foreign Students Using K-Pop – Focused on Hwang Jin-yi’s Sijo 〈The Long Night in the Winter>. 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 32, 97~129.
17. Noh JH(2016). Music Education as Healing - Based on Audiation Music Activity. Korean journal of arts studies 14.
18. Noh YH(2019). Status of Alternative Schools and Specialized Middle and High Schools for Alternative Education in 2019. Ministry of Education homepage
19. Park JE(2014). An Analytic and Comparative Study of K-Pop of 『High School Music』 in the Current Curriculum. A Study on the Arts Education 12(3).
20. Park JH(2019). A Conceptual Foundation Study of Gamification for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The Journal of Saramdaum Education, 13(1), 43~57.
21. Park SM(2018). A Delphi Study on the Outcome Criteria of Character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Fish & Marine Education, 30(6), 1956~1967.
22. Park SM and Yang HK(2015).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redictor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in Engineering.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7(4), 963~972.
23. Shin JH(2017).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Brainwave and Brain Utilization Capability between Music Major and Non-music Major Students.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8(1).
24. Woo JY(2006). Alternative school formed Christian's reason model development research.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olitical Science.
25. Yang EJ(2016).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Popula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The Korea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motion Agency.
26. Yoon EJ and Park HY(2019).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s of Music Interventions on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Well-Being of Adolescents With Internet Addiction.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6(2). 79~108.
27. Yun HS(2019). Perception of Youths Who Voluntarily Leave School about Their Parents: Focusing on pre-leave school, current leave school, post-leave school. Korean Journal of Parents and Guardians6(3), 21~45
28. Yuan Q(2018). The Effect of K-Pop Idol Products on Chinese K-Pop Cultural Contents Consumption-The Internet Fandom's Regulatory Effect. A Master's Degree thesis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