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Journal Archive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3 , No. 6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3, No. 6, pp. 1358-1367
Abbreviation: J Kor Soc Fish Mar Edu.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1
Received 09 Oct 2021 Revised 29 Nov 2021 Accepted 08 Dec 2021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1.12.33.6.1358

수산계 고등학교 교사의 직무 수행에 관한 경험
조진호 ; 류경진 ; 이유원 ; 김성훈
부경대학교(교수)

Experiences on the School Work Performance of Fisheries High School Teachers
Jin-Ho CHO ; Kyung-Jin RYU ; Yoo-Won LEE ; Seong-Hun KIM
Pukyong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 seba@pknu.ac.kr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xperiences of the teachers of fisheries high schools and to clarify their meaning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fisheries teachers. As a result, teachers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class matters, student guidance, administrative work, and job roles. Since the teacher's job is highly influenced by each other, sufficient communication is essential, and the education office unit must be able to present the teacher's job performance standard so that she can focus on the class. Lastly, it should be possible to accommodate the experiences and demands of teachers in the field at the stage of implementing the education poli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suggesting the overall operational direc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management,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and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policy.


Keywords: Work performance, Curriculum, Fisheries high school, In-Depth interview, Administrative work

Ⅰ. 서 론

학교는 교사를 중심으로 교육수요자를 위한 교육적 역할, 인간관계 형성, 교육적 환경을 구축하는데 교사의 역할을 강조했다(Chung, 2013; Cha and Jo, 2009). 하지만, 우리나라의 교육정책과 학교 환경은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지난날과는 달리 교사에게 다양한 직무와 이에 따른 역할이 요구되는 등 끊임없는 노력이 요청되고 있다. 다시 말해 교사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역할만이 아니라, 학생들과 함께 생활하며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학부모들과의 관계, 그리고 교육공무원으로서의 행정업무 등 다양한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사 역량을 발전시키고 영향력을 적절하게 발휘할 수 있어야 함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Kang and Kim, 2014; Nam and Oh, 2017). 그런데도 교사의 주된 역할은 학생들을 가르치고 안내하는 입장에서 학생들이 사회로 진출하여 잘 적응하고 맡은 업무를 수행하며 사회 연결고리에 있어 선순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로 인해, 교사는 충분한 역할과 책임 없이는 학생들을 올바르게 교육하고 지도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특히, 오늘날 학교는 학생들에게 지식만 전달하는 곳이 아닌 인성, 태도, 가치, 자아개념 등 전인교육 실현의 장으로써 교사의 역할과 노력이 매우 중요한 시점이다.

특히, 학교의 업무 구조는 교육을 둘러싼 다양한 변화에 대한 반영이 이루어지지 못한 채 지난 시절 방식에 머물러 있음에 대해 불만을 표출하곤 한다(Hargreaves et al., 1997). 반면, 교사가 아닌 일반인의 시각으로는 교사의 직무에 대해 일부 회의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는 건 사실이다(Chung et al., 2014). 이러한 시선에 대해 교육정책 관련자들과 교육 행정가들은 교사의 직무에 대해 좀 더 짜임새 있게 구조화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교사들은 정해진 시간표에 따라 수업이 이루어지고 생활지도, 행정업무, 교재연구, 전문성 신장, 학부모 및 대외 관계 업무 등 개별로 주어진 다양한 성격의 업무를 기본적으로 수행한다(Hargreaves, 1994). 이러한 교사의 직무는 교사의 역할 혹은 책임을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며, 구체적인 직무수행을 위한 기초가 된다. 교사의 역할을 교사가 수행해야 하는 직무영역을 중심으로 규정한다고 가정하면, 교사의 역할과 교사의 직무는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교사의 역할이 같다고 가정하더라도 교사가 수행하는 직무에 대한 수행기준은 조직 내부의 상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교사의 핵심적인 직무로 수업을 예를 들고는 있지만, 현장 교사들의 경우 수업 이외 다양한 교무업무, 학사업무 등 행정 업무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교사들이 교육전문가로서 수행해야 할 직무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고, 교사를 지원하는 행적 지원 인력 확보가 전제되지 않는다면 교사들은 행정업무 수행에 시간을 빼앗겨 주요 직무인 교육에 대한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교사 직무에 대한 문제는 불평 수준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변화하는 환경에 맞게 교사들의 직무 구조나 업무의 분배 등 방법 등에 대한 고민과 해결책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교사의 업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교사 측면에서 그들이 처한 문제와 그 배경에 대해 인식하고, 문제 상황을 전환하기 위한 공동의 적극적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Kim et al., 2013).

국내에서 주로 수행했던 교사 직무 관련 연구는 주로 일반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일부 직업계 고등학교 교사 업무수행에 관한 연구가 있었지만, 수산계열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사 직무 수행에 관한 직접적인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이 연구에서는 수산계열 고등학교 계열의 직무와 관련하여 교사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그 속에서 구성원들이 어떠한 부분을 해결해야 하고 대처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여 수산계열 고등학교 교사의 직무 수행에 관한 질적 수월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직업계고 교사의 역할

Kim et al.(2005)에서 교사의 직무는 학교 조직 구성원으로서 교사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역할, 책임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교사 직무를 지칭하는 용어는 직무(job), 업무(work), 과업(task), 수행(performance), 책임(responsibility) 등으로 다양하며, 조직의 구성원에게 기대되는 역할, 책임 등 구성원이 구체적으로 수행해야 할 업무, 과업으로 구분하였다.

중등 직업교육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직업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직무를 구명하여 해당 직무에 대한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는데(Kim et al., 2009), 이는 교육에 있어 이러한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취지에 부합하기 위해서 직업계고 교사의 역할 또한 중요하다. 교사의 역할은 학자나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지만, Ok et al.(2012)이 제시한 직업계고 교사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교사의 교직적 역할은 교수자로서 특히 직업교육과 관련해 특화되어야 하는데 졸업자의 평균 50% 이상이 취업으로 경로 설정이 이루어지는 특성상 교사들은 일반계 고등학교에 비해 직업교육 및 진로에 대한 전문성이 요구된다(MOE, 2017).

둘째, 직업계고 교사의 심리적 역할은 학급 및 생활 지도자로서 학생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요구된다. 특성화고 교사는 사회적 관계를 통해 학생이 교사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긍정적 자원의 역할을 하여 부모와 같은 입장에서 가정의 기능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임무를 수행한다.

셋째, 직업계고 교사의 사회적 역할은 학생의 사회화 모델로서 올바른 직업 가치관을 형성해 주는 것이다.

2. 교사 직무 관련 선행 연구

학교 조직은 크게 수업 영역과 행정 영역으로 구성되는 이중적인 이미지를 갖는 특성이 있다(Meyer and Rowan, 1978). 이러한 교사의 직무기준은 학교급별, 담당 교과별로 달라질 수 있다.

우리나라 교사의 직무에 있어 체계적으로 개발한 연구에서는 교사직무 영역을 ① 수업지도, ② 학생지도, ③ 학급경영, ④ 연수활동, ⑤ 학교교육과정 운영, ⑥ 지역사회 및 대외 관계 협력, ⑦ 행정사무, ⑧ 전문적 책임 수행 등 8가지로 제시하고 있다(Park and Chung, 1999). Ban et al(2010)은 수산‧해운계열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영역을 ① 교수학습 분야 ② 실습지도 ③ 생활지도 ④ 학급경영 ⑤ 행정업무 ⑥ 전문성 신장 ⑦ 산학협동 및 지역사회의 연계 분야로 분류하였다.

미국에서는 교사 직무수행에 대한 구분과 그 기준을 개발하려는 노력은 일찍부터 시작되었으며, 1986년 카네기 특별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1987년 전문교육기준을 위한 국가위원회(National Board for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 NBPTS)가 설치되었고, 이 위원회에서는 우수한 교사를 인정하기 위한 전문교사 자격기준을 설정하였는데 이 기준을 교사 직무기준으로 보았다. 2002년부터 교사의 핵심 직무기준을 반영한 새로이 개편된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데, 구체적인 교사직무기준은 크게 다섯 영역으로 구분된다. 첫째, 학생 및 학생의 학습에 대한 교사의 헌신, 둘째, 교과지식 및 가르치는 방법, 셋째, 학생 학습 관리 및 모니터, 넷째, 학습공동체 구축, 다섯째, 전문적 자기반성(reflection)과 개발 등이다(NBPTS, 2002).

또한, 미국 교사평가 및 지원을 위한 주협력 컨소시움(Interstate New Teacher Assessement and Support Consortium: INTASC)에서는 교과 영역이나 담당 직무에 상관없이 모든 신임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직무기준을 개발하였다. INTASC에서 설정한 교사 직무 수행영역은 ① 교과 지식의 구조, ② 인간 발달과 학생의 학습에 관한 지식, ③ 학생의 개인 필요에 맞는 수업 적용, ④ 다양한 교수 전략, ⑤ 학습환경 조성과 동기유발 등을 위한 학급경영, ⑥ 의사소통 기술, ⑦ 수업 및 교육과정 계획, ⑧ 학생평가, ⑨ 전문적 헌신과 책임감, ⑩ 동료교사, 학부모, 지역사회 인사 등과의 파트너십으로 정리하였다(Parkay & Stanford, 2004).

NBPTS와 INTSAC의 교사 직무 수행기준과 교사 직무, 책임을 규정한 다양한 연구들이 종합적으로 제시되었다. 여기서 제시된 교사 직무 수행영역으로 코네티컷 주 교육부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준의 관점에서는 ① 내용 지식, ② 교육학, ③ 학습자 중심, ④ 전문적 책임이 포함된다고 할 수 있겠다.

이들 연구를 종합하여보면 교사 직무 영역을 구분하는 기준은 연구자에 따라 다소간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NBPTS와 INTSAC 교사 직무 수행기준과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직무 영역, 수산‧해운계열 직무영역 기준을 중심으로 중복되는 부분을 통합하여 수업 관점, 학생지도 관점, 행정업무 관점으로 구분하고, 학교 조직에서의 직무 역할의 변화를 추가하여 수산계 고등학교 교사의 직무수행에 대한 경험담을 수집・분석하여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Ⅲ. 연구 방법

이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그 중 심층면담은 질적 연구의 대표적인 연구방법으로, 개인 혹은 다수의 연구 참여자 간에 대화의 형식을 통해 연구 결과를 이끌어내는 방법(Seidman, 2006)으로, 인간을 숫자나 통계적 대상으로 파악하지 않으면서 개인의 고유한 경험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한 적절한 연구방법이라 할 수 있다(Jo, 2019). 이는 연구자와 참여자 간 상호 의사교환을 바탕으로 하여 질문지나 일반적인 조사 연구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방지하여 질적 연구의 특징을 가장 명료하게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 연구 참여자

이 연구는 수산계열 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참여자들이 학교에서 벌어지는 생생한 현장 이야기를 통해 현상에 대한 이해를 하고자 하였다. 교사들이 재직하며 경험한 학교에 대한 연구이기 때문에, 참여자들의 다양한 활동 속에서 해당 교사들이 어떤 경험을 하는지 고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방법으로 적절성이 높다고 판단하였다.

이 연구의 참여자로 직업계 고등학교 계열 중 수산계열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6명을 선정하였는데, 중등 수산계열 고교는 수산업 기초 전문 인력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현재 수산계열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특성화·마이스터 고등학교는 2021년 현재 9개교(마이스터고 1개교, 특성화고 8개교)이다.

연구 참여자의 인적사항과 전공의 경우 희소 전공이 포함되어 연구윤리 및 개인정보 보호를 확보하는 차원에서 성명은 알파벳(A~F)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선정된 연구 참여자들의 정보는 <Table 1>에 제시하였다.

<Table 1>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ame Gender Career Major
A male 2y Fishing
B female 12y Aquaculture
C male 25y Marine engine
D male 18y Food processing
E female 22y Refrigeration
F male 7y General subject

2. 자료 수집 및 분석

이 연구에서는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2020년 11월 15일∼ 2021년 2월 25일에 걸쳐 실시하였다. 교사들이 학교에서 수행하는 직무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개방형 질문을 중심으로 참여자들이 의견을 자유롭게 진술하면서 후속 질문을 통해 심화시켜 나가는 반구조화된 형태의 면담형식으로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Kim(2012)의 질적 자료 분석의 일반적 절차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구체적으로는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수집한 자료를 전사한 후 ‘수업, 학생지도, 행정업무, 직무역할 변화 관점’으로 분류하고 각 영역별 공통의 성질을 찾아내는 개방 코딩 방법을 활용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수업에 대한 관점

교사들의 업무 시간 구조와 배분은 대체로 수업을 중심으로 수업과 관련된 수업 준비 및 평가시간과 학생지도, 학교 및 학급운영에 관한 업무, 전문성 신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영역은 수업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학교급별로 크게 다르지 않고 대체로 비슷하게 나타난다(Chung et al., 2014).

분명히 초임 때와는 수업에 임하는 자세가 달라졌다. 첫해 때는 마음의 여유가 없었지만, 최근에는 어떻게 하면 아이들이 수업에 집중할 수 있을까를 중점적으로 고민하는 것 같다. 내가 아는 것을 전달하는 교사보다 아이들이 세상에 나가서 어떻게 잘살 수 있는가를 좀 더 중요하게 느끼는 것 같다. <A 교사>
부임 첫해 교사는 단순히 ‘가르치는 사람’이라 생각했다. 지금은 ‘수업이 교사의 생명’이라 생각하고 늘 살아있는 수업을 위해 노력하고 있어요. 당연히 아직 갈 길이 멀다고 생각하고 끊임없는 자기 연찬을 계속하는 것이 결국 교육의 질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생각을 해요 <F 교사>
열심히 수업하는 교사가 생활지도도 잘 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한때 출장업무가 잦은 업무를 맡은 적이 있는데 그때 수업의 1/3 정도를 대강으로 처리하게 되었는데, 이로 인해 나 자신이 수업도 힘들고 학교생활 자체까지 무척 힘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E 교사>

실제 교사의 직무 자체는 수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업무가 주어지는 구조이다. 이는 공립과 사립,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교급의 차이도 의미가 없다. Cho(2020)의 연구에서 나타나듯 수산계고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수업 장면에서 교사와 학생이 ‘신뢰로운’ 관계 설정과 ‘학생이 기대하는 바를 분명히 제시’하여 협력적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수업’ 과정을 지향하는데 교사들의 보이지 않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주장한다. 교사들의 업무 시간 구조와 시간 배분에 대한 갈등 중 하나는 이와 같은 잘 보이지 않는 일들을 간과하게 되는 일반인들의 경험적 차원에 인식의 한계로부터 생겨난다고 할 수 있다(Hargreaves et al., 1997; Lindqvist & Nordanger, 2006).

전문교과의 경우 상당히 수준이 있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우리 학교 학생들이 이것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성취한다는 것은 힘들다. 그런데도 어려운 부분을 아이들에게 쉽게 이해시킬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이 최고의 수업이라 생각한다. <B 교사>

심층 면담 결과에서 알 수 있듯 교사에게 주어지는 ‘핵심 직무’는 ‘수업’이라 말하고 있다. 한편 영국 교사의 직무에 관한 독특한 관점은 교사의 ‘핵심 직무’를 보는 시각이 다르다는 점이다. 가장 근본적인 차이점은 우리나라의 경우 교사의 핵심 업무는 교수학습 지도에 초점이 맞추어지는 것에 비해 영국에서는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 역시도 교사의 핵심 업무로 이해한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영국에서는 정부가 교육에 개입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약해 국정 교과서가 없으며 수업을 어떻게 하라는 방향에 대한 지침서도 없으므로 교육과정 그리고 교수학습 설계라는 부담이 온전히 교사에게 주어지고 있다(Kim et al., 1997).

NCS 교육과정 시행에 있어서 적용 전부터 상당한 불협화음이 있었으나, 지금까지도 억지스럽게 운영해왔잖아요. 교사들은 이 NCS에 대해 얼마나 거부감이 들고 적용하지 말자는 목소리가 엄청나게 있었는데 결국 당시 대통령 한마디에 그것도 조기에 적용했었죠. <C 교사>

Balanskat and Blamire(2007)은 교육정책이 정부와 현장 사이 소통이 단절된 상태에서 실행되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과거 중등 직업교육 정책 역시 전체적인 교육의 변화는 고려하였지만, 가장 중요한 교육 현장의 의견 수렴에 대한 과정이 정책 실행자 중심으로 진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학생지도에 대한 관점

교사는 학생이 사회가 요구하는 건전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인성과 바른 생활 습관을 함양시켜 학생의 적성에 맞는 능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지도함을 목표로 한다. 실제로 교사들이 수행하는 일들은 수업과 관련된 평가도 있지만 학생 상담, 창의적 체험활동 지도 등 다양한 종류의 잘 보이지 않는 일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Lee and Poon, 2014).

학생지도에서는 경력이 쌓이면서 여러 상황에 대해서 경험을 하다 보니 대처능력은 많이 좋아졌다. 하지만 교사로서 학생에 대한 열정이 조금씩 사라져 가는 나의 모습이 보여서 실망하게 되지만, 그럴 때마다 동료 교사들과 대화를 통해 고비를 넘기는 편이다. <B 교사>
학교 특성상 결손가정이나 저소득층 및 기타 어려운 학생들이 많은데, 마음이 닫힌 학생들을 지도하는데 어려움이 커요. 열심히 해라는 말보다 아이들이 사회에 진출해 적응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기 위한 노력이 더 요구되는 것 같다. <A 교사>
수산계 고등학교의 경우 학생지도 업무를 수행하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학생의 배경 변인으로 인한 문제와 상담 능력, 지속적인 실망감으로 인한 소진 현상 등이 나타나고 있다. 당면한 문제 상황에 대해 교사 나름의 해결 방식을 고민하는 형태로 대처해나가고 있다.
언제부터인가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아이들이 많이 증가했다고 느껴졌다. 학과 전체에서도 여러 명 되는 것 같은데 이런 경우 반, 학과 지도에 어려움이 컷다. 그리고 상담지도를 넘어서는 수준이라 상당히 곤욕스러웠다. <E 교사>
기본적으로 조종례를 시작으로 급식지도, 안전지도, 진로 상담 활동, 개인의 문제 상황 상담 활동, 학교폭력예방 활동, 창의적 체험활동 지도, 동아리 활동 등 교사가 수행해야할 학생지도의 종류는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많고 다양하죠. <D 교사>

이러한 학생지도 업무는 실제 교사 본연의 업무이기도 하지만 대부분 행정업무를 수반하는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엄격히 직무를 구분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다.

3. 행정업무에 대한 관점
교사에게 주어진 직무 자체가 정확히 나눌 수 없다는 개념이 형성되기 시작했죠. 교육계획서 작성, 교사동아리 활동, 교원능력개발평가 업무 담당을 통해 열심히 노력하고 야근하는 일을 반복하고 있었을 당시 가장 힘들었던 부분은 업무의 양이 아니라 동료 교사들과의 협치의 문제가 가장 힘들었습니다. <F 교사>

단위학교에서는 해당 학교만의 문화, 지역적 특수성, 교사와 행정직 즉, 교원의 수 등을 고려한 업무분장이 이루어진다. 업무분장의 과정에서 관리자들의 리더십과 소통, 상호협력의 학교 조직 문화 형성, 갈등 해소 역량 등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해당 학년도의 원활한 교육과정 흐름을 이어가기보다 지속적인 업무 조정과정의 어려움에 처한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현재 부장 교사의 위치에서 공평하고 원만하게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지를 고민하는 것 같다. 동료교사와의 관계에서도 선배라는 위치보다 함께 같은 길을 걷고 있는 동료로서 같은 목표를 위해 노력한다는 생각을 가지려고 노력 중이라 말할 수 있다. <D 교사>

면담 내용과 같이 부장교사의 위치는 선생님들과 관리자의 중간자적 입장으로 부서 업무 전반을 파악하고 업무 갈등이 생길 시 조정자 역할을 한다. 때에 따라서는 관리자만이 아니라 학부모 및 민원에 대한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경우도 있어 담임교사에게 하지 못하는 이야기를 중간에서 전달하는 역할까지 수행한다.

회사에 다니다 교직에 몸담아서 그런지 학교업무를 수행 하는데 있어 그리 어려움은 없었다. 하지만, 교사 직무가 치밀하게 조직화 되어있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여느 조직에서나 마찬가지이지만 수산계 고교에 있어 새 학년 업무분장은 전쟁터라 표현할 만큼 업무별 강도의 차이가 큼을 지금도 가끔 생각하곤 한다. <C 교사>

단위학교 업무 담당자 및 해당 부서 부장교사의 엄격한 직무 분배가 필요하다.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준비할 때 교사직무 수행기준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정해야 한다. 즉, 학교 교육목표와 개인 목표를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학교 실정에 부합하는 교사 직무영역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4. 학교 조직에서 직무 역할 변화

직업계 고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업무분장 형태는 대부분의 직무가 연관성을 가지고 있어, 해당 부서에서 모든 책임을 지고 업무를 수행할 수 없으므로 많은 관련 부서의 협조가 필요하다.

교사 근무 전 피교육자의 입장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입장에 있으니 교육이란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관과 부서의 협조와 행정적인 처리가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계획된 일을 처리하고 정리하고 꼼꼼하게 확인하는 데 자신이 있어 초임의 과정이 지난 후 맡은 직무에 대해 좋은 평가를 받았다. <D 교사>
2021학년도 업무 중 대부분은 새로운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업무에 대한 책임감과 더 나은 능력을 발휘하고 싶으나 협업 과정에서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에 대한 부분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가지는 것 같다. <F 교사>
어느덧 학교 관리자 그리고 선·후배 교사의 교각 역할을 수행하는 위치에 있다. 학교 조직에서는 교사들이 학생을 생각하는 마음으로 상호존중하며 배려하고 융화되어야 한다. 중간자적 역할로서 선배 교사와 후배 교사의 차이가 최소화되도록 노력할 것이다. <E 교사>
수‧해양계고의 경우 신입생 유치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교가 상당수 있습니다. 여러 원인 중 학생 수 감소가 가장 큰 원인이 되겠지만 공통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교들의 가장 큰 문제는 양질의 취업처를 확보하지 못함 때문이라 생각된다. <B 교사>

교사의 시간의 질과 관련하여 교사가 업무 시간 사용에 있어 느끼는 자율성, 업무 관련 스트레스의 정도, 멀티태스킹, 업무의 강도와 양이 이전에 비해 더 증가했다는 보고(Stobart, 2012)와 같이 면담 내용 중 수산계 고등학교 교사의 업무의 다양성과 경력이 늘어남에 따라 발생하는 멀티태스킹 등은 미국 교사의 사례와 다름이 없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 학교 조직에서 교사 문화를 개인주의적, 폐쇄주의적이라는 부정적인 관점으로 바라보기도 한다. 학교 조직의 교사 문화의 측면이 교사 업무와 관련하여 현실의 상황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이면서 학교가 지향해야 할 조직 문화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Ⅴ. 논의 및 제언

수산계 고등학교 교사는 어떤 직무를 수행하는가에 대한 그 과정에서 그들이 겪는 어려움은 어떤 것이 있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통하여 그들이 얻고 깨닫는 것은 무엇인가를 이해함으로써 수산계 고등학교 교사의 학교 직무 수행 경험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산계 교사의 직무에 대해 논의한 것은 다음과 같다.

학교 조직은 관료제 특성이 있어 행정업무를 부서로 만들어 분업화하고, 권위의 위계, 규정과 규칙이 있다. 동시에 이완결합체제로 각 행정업무 부서가 독립적인 체제로 운영이 되고 있다(Hoy & Miskel, 2013). 교육계획에 의하여 학년 초 업무분장 내용에 따라 담당 부서의 주관으로 진행되는데, 해당 부서의 담당교사 및 부장교사가 관리자와의 의사결정을 통해 업무가 진행되게 된다.

연구 결과에서도 제시되고 있듯 업무 분장 및 수업 시수 분담이 이루어졌으나, 업무 등을 위한 교사들의 잦은 출장 및 동료의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부서와의 의사소통의 문제가 발생한다면 업무처리가 늦어지게 된다. 이는 교사직무 자체가 상호 영향을 받는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충분한 의사소통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원활하지 못한 과정의 의사결정 문제는 결국 교사의 업무 증대의 결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교사의 직무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교직의 특성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영향력이 교사의 대응 방식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Kim, et al., 2013).

하지만, 직업계 고등학교만의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해당 산업에 따른 계열별 운영의 특성, 이에 따른 다양한 전공 그리고 잦은 직업 교육정책의 변화 등은 수산계 고등학교 교사 직무의 범위를 확대하여 학생 교육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제약하는 기재로 작용한다. 특히, 전문교과 교사는 수시로 변하는 직업과 일의 생태계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하며, 급변하는 사회의 특성과 새로운 요구들을 통찰하여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Yoon at al., 2004).

TALIS 2013 결과에서 OECD 회원국 평균 행정업무 시간은 주당 2.9시간인데 비해 우리나라 교사들의 행정업무 시간 주당 6시간으로 두 배를 넘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의 문제를 행정업무 과중으로 보고하고 있다(OECD, 2014).

교사들이 해야 할 핵심적인 직무가 무엇인가에 대해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교사들에 교육공무원이라는 이유로 수업 외 또 다른 업무인 행정업무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는 것이다. 학교의 구성원으로서 교무업무 분장 시 꼭 수행해야 하는 업무인지, 교사는 수업에만 전념해야 하는지 이러한 판단을 할 수 있는 교사직무 수행기준이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단위학교별 직무 수행기준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직무기준은 교사의 주요 직무를 나타내는 전반적인 틀, 교사 직무의 주요 범주라 할 수 있겠다. 결국, 현행 교사 직무기준을 교육청 단위에서 협의·조정하여 기준을 제시한다면 바람직한 교사 직무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선결 과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수산계 고등학교 교사들은 자신의 직무 수행과 교육목표 관점에 대한 복합적인 인식의 고려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교사의 모든 직무는 아이들의 교육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교사의 입장에서는 주어진 시간 내에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관점을 중심으로 무엇이 가장 교육적인 것인가를 설정하여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한국의 중등 직업교육의 역사는 정부의 정책 지향 목표와 사회적 요구 사이의 갈등 해소 역할이 미비하여 학생, 학부모의 교육정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지속되어 왔다(Ahn, 2017). 교육정책들이 실패로 돌아간 가장 큰 이유를 교사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보고가 있다(Elmore, 2004). 학교 교육 현장에 있는 교사들의 경험과 목소리가 여전히 교육정책 추진 과정에서 배제되고 소외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현장감 있게 전달할 수 있는 과정을 통해 수산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의견을 수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정책 변화에 가장 먼저 대응해야 하는 수산계 고등학교에서 교육 실행자로서 학생들을 교육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의 본연의 역할과 더불어 직무에 대한 현장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수산계 고등학교의 교사들이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실제를 그대로 드러내는데 제한점은 존재한다. 그렇지만 이 연구를 통해 수산계 고등학교 교사들은 직업교육과정을 실행하기 위해 여러 방면으로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로서 가진 직무 역량을 최대한 발산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단위학교 교육과정 실행자로서 수업지도, 학생지도, 진로취업지도 그리고 교육공무원으로서 행정업무 영역까지 교사의 직무 역량을 넓혀가고 있다.

중등 직업교육의 한 계열로서 수산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을 크다고 할 수는 없으나 우리나라 산업별 교과교육의 일부라는 측면에서 수산계 고등학교 교사의 직무 수행에 관한 경험의 연구 결과는 직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운영과 교사들의 역량 개발에 영향을 줄 것이며, 중등 직업교육 정책의 전반적인 운영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1학년도 부경대학교 국립대학육성사업 지원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Ahn HS(2017). Historical review of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in the 20th century : Lessons from repeated failures of vocational education policy. History of Education 27(2), 73~107.
2. Ban GW, Kim SK and Cha CP(2010). A Study on Duty Performance area of Fisheries & Shipping Business High School Teacher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2(1), 79~90.
3. Cha KS and Jo MH(2009).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using SMS. JKAIE, 13(1), 61~69.
4. Cho JH(2020). Perception of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 Teachers for 'Good Teaching'.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2(3), 780~789.
5. Chung P, Lee SH, Kim BC, Seo YS, Kim CM, Kim HJ, Yang SS and Lee JS(2014). Study on Teachers’ Time Use and Policy Implications(RR2014-04).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6. Chung YK(2013). The Role of Philosophy of Education for Teacher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Idea, 27(2), 139~157.
7. Hargreaves A(1994). Changing teachers, changing times: Teachers' work and culture in the postmodern age. Teachers College Press.
8. Hargreaves A, Adelman NE, Eagle W and Panton K(1997). Racing with the Clock. Making Time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 Reform. Teachers College Press, 1234 Amsterdam Avenue, New York, NY 10027 (cloth: ISBN-0-8077-3649-X; paper: ISBN-0-8077-3648-1).
9. Hoy WK and Miskel CG(2013).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9th ed.). NY: McGraw Hill.
10. Jo JS(2019). A Methodologic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Depth Interview Guide. Journal of Qualitative Inquiry, 5(1), 29~52.
11. Kang MS and Kim JS(2014). The Development of a Self-leadership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3(1), 29~51.
12. Kim DH, Lee SS, Hong CN, Hhang SY, Lee YN and Kim HN(2013). A Story on Teachers Workload.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5(6), 1440~1458.
13. Kim EK, Han MG, Park YS, Hong YR and Paik SH(2005). Analyzing the Work of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and Developing Performance Standards.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4. Kim HS, Shin SM and Han BM(2002). (An) international cooperative study on school improvement through teacher quality management.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5. Kim KH, Jang MH and Kim JW(2009). Methods of Strengthening the Competence of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 Teachers : Focusing on Vocational High Schools. Seoul: KRIVET.
16. Kim YC(2012). Bricoleur. Seoul: Academy Press.
17. Lee YH, Kum JH and Ahn SY(2007). Teacher's Perceptions of Problem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39(4), 59~81.
18. Lee YJ and Poon CL(2014). The professional work of teachers in Singapore: findings from a work-shadowing study.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5(4), 525~535.
19. Lindqvist, P & Nordänger 1 UK(2006). Who dares to disconnect in the age of uncertainty? Teachers’ recesses and ‘off‐the‐clock’work. Teachers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12(6), 623~637.
20. Meyer JW, Rowan B and Meyer MW(1978). The structure of educational organizations. Schools and society: A sociological approach to education, 217~225.
21. MOE(2017). Status of Specialized·Meister High School in 2017.
22. Nam BH and Oh YH(2017). The Reality and Tasks of High School Education based on Parent’s Perspectives.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6(1), 75~97.
23. NBPTS(2002). What teacher should know and be able to do. from the World Wide Web: http://www.nbpts.org/pdf/coreprops.pdf.
24. Ok JP, Kim ST and Kim KH(2009). Directions for Educational Renov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Seoul: KRIVET.
25. OECD(2014).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OECD.(https://www.oecd.org/education/talis/)
26. Parkay FW and Stanford BH(2004). Becoming a teacher. Univ. Press of Mississippi. 29.
27. Park YS and Chung KH(1999). A Study on the Standards for Teacher Performance by School Levels, Position, and Teacher Qualification.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8. Seidman I(2006).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s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 Teachers college press.
29. Soffel J(2016, March). What are the 21st-century skills every student needs. In World Economic Forum (10).
30. Stobart C(2012). The Alberta Teachers’ Association. Prospects.
31. Stronge JH and Tucker PD(2003). Handbook on teacher evaluation: Assessing and improving performance. NY: Eye on Education Inc.
32. Yoon IK, Kim ST and Jang MH(2004). Activation Plans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16(4), 107~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