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Journal Archive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29 , No. 2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29, No. 2, pp. 492-502
Abbreviation: J Kor Soc Fish Mar Edu.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Apr 2017
Received 31 Jan 2017 Revised 14 Mar 2017 Accepted 22 Mar 2017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17.29.2.492

서핑참여자의 참여동기가 몰입경험 및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권재윤 ; 남상백 ; 박상규 ; 강희엽*
한양대학교
가천대학교
*연세대학교

The Effects of Surfing Participants’ Participation Motivation on Flow Experience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Jae-Yoon KWON ; Sang-Back Nam ; Sang-Kyu PARK ; Hee-Yeob KANG*
Hanyang University
Gachon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psk9322@gachon.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nfluences of surfing participants’ participation motivation on flow experience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The study conducted a research survey through purposive sampling method after selecting 2 surfing center in Ganwon-do. 280 questionnaires distributed and 269 were selected as final valid sample by removing 11 questionnaires that have insufficient answers. Then data were analyz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dow ver. 20.0.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participation motivation factors have positive effect on flow experience. Second, participation motivation factors have an influence on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Third, flow experience have an influence on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Fourth, leisure flow have an influence on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Keywords: Surfing participants, Participation motivation, Flow experience,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가 살아가는 현대사회의 여가활동은 단순히 놀고 즐기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단순한 의미가 아니라 개인의 내적가치를 표현하는 하나의 필수적인 문화로 변화하고 있다. 이처럼 여가를 즐기는 삶은 다양한 욕구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즐거움을 통해 삶의 목표를 변화시키고 점차 개별성을 띈 여가활동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Lim & Lim, 2000). 이는 여가활동의 의미가 오직 단순하게 남는 시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선호하는 특정 여가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행동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이라 하겠다. 이러한 전반적인 인식에 따라 최근에 사람들은 여가활동에 보다 진지하게 그리고 전문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Kim, 2012).

이러한 사회적인 흐름 속에서 여가활동으로 가장 각광받고 있는 스포츠 활동도 최근 큰 변화를 겪고 있는데, 과거 자연에 지배를 받던 스포츠 활동형태에서 바다, 하늘, 산, 강과 호수 등과 같이 자연 그대로의 환경 속에서 자연과 함께 숨 쉬고 행하는 스포츠 활동형태로 변화하고 있다(Nam & Kwon, 2015). 특히, 여가활동에 대한 참여기회가 증가함에 따라 단순히 휴식을 즐기고 보는 위주의 정적인 형태에서 체험 및 다양한 레저스포츠 활동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동적인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Ryew & Yoon, 2009). 그 중 친수 공간(waterfront)과 더불어 대중적인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해양레저스포츠는 자신과의 경쟁을 뛰어넘는 고차원적인 스포츠로 사람과 자연이 함께 어우러져 조화를 이룬다는 점, 그리고 인간의 숭고한 자연에 대한 끝없는 도전이라는 점에서 상당히 각광받고 있으며, 참여 인구 또한 늘어나고 있다(Nam & Kwon, 2015).

이처럼 해양레저스포츠가 각광받고 참여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이유는, 첫째, 우리나라가 해양레저스포츠를 즐기기 적절한 자연환경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Roh, 2013). 실제로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 싸여 있어 해안선이 12,000km에 이르고, 유인도서가 많아 해양레저스포츠를 즐기기에 적절한 환경적 요소들을 갖추고 있다. 둘째, 참가자들의 동기와 참여형태가 과거의 보고 즐기는 형태에서 활동성이 강한 동적인 레저 활동으로 점차 그 패러다임이 점차 바뀌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Kim & Lee, 2015).

한편, 해양레저스포츠와 같은 여가활동은 무엇보다 내적인 흥미를 유발시키는데, 현대사회에서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원인에 대해서는 개인소득과 여가시간의 증대라는 영향도 있지만, 일상생활에서 채울 수 없는 심리적 만족감을 추구하려는 자연스러운 욕구가 크게 작용했을 것을 것으로 판단된다(Chae, 2010). 이러한 욕구는 동기로 대변될 수 있는데, Mun(2005)은 동기를 나타내는 용어로 요구(need), 충동(drive), 욕구(want), 동기(motive) 등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또한, 동기는 스포츠 참여 연구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연구로 주목받고 있다는 점에서 대중적인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해양레저스포츠 참여유도를 위한 연구는 상당히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이러한 참여동기의 결과로 발현되는 개인적 내적 혹은 심리적 변인이 바로 몰입경험(flow experience)이다(Kim & Lee, 2009). 몰입은 개인의 내적 동기로 나타나는 심리적 상태로서 어떤 활동에 완전 심취되어 있는 절정의 상태라고 할 수 있다(Csikszentmihalyi, 1990). 또한 몰입경험은 개인이 현재 하고 있는 것에 극도로 집중한 상태로 자신의 행위와 의식이 통합되고 자의식이 상실되며, 시간의 왜곡을 경험하고 현재 하고 있는 행위에 대해 스스로가 통제할 수 있다는 느낌을 얻으며, 내재적으로 보상받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Nakamura & Csikszentmihalyi, 2002). 이처럼 이러한 몰입의 기본의미는 즐겁게 몰입한 상태, 긍정적인 만족감과 긍정적 정서를 수반하게 되는 최적의 상태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Omodel & Wearing(1990)에 따르면, 몰입경험은 참여자들로 하여금 규칙적이고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매개하는 주요변인이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Park(2014)은 레저스포츠에 참여한 참가자들은 각종 기술습득과 지식을 통해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돈을 투자하게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들로 인해 자신의 여가활동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고 성취감이나 자부심 등의 감정을 경험함으로써 긍정적 정서를 확고히 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지속적이고 적극적으로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이를 주변에 전파하려는 시도를 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즉, 몰입경험과 지속적 참여의도는 적절한 관계성을 갖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인들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최근 젊은 층으로부터 폭발적인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서핑에 주목하고자 한다. 서핑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지는 약 20년 정도 되었고(Choi, 2015), 현재 서핑리조트가 강원도 양양, 부산 송정, 제주도 해안 등에 약 10여개의 리조트가 성행중이며, 최근에는 서핑만을 즐기고자 하는 참여자들이 늘어나면서 강원도 양양군 하조대 부근에 약 1km구간에 이들만을 위한 전용해변을 정부차원에서 조성한 바 있다. 사실상 서핑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려지지 않은 특정종목은 대중화된 스포츠 종목들과 동일한 요인이 적용될 경우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서(Cho, Kim & Lee, 2011), 서핑참여자의 관련요인들을 종합적으로 해석해보는 것은 그들의 감정과 체험을 깊이 이해한다는 점에서 상당히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그동안 선행연구에서 시도되지 못했던 서핑이라는 종목의 참여자들의 욕구를 파악한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크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젊은 층에게 상당한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서핑참여자들의 참여동기가 몰입경험 및 지속적 참여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서핑에 재참여하는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그들의 욕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해양레저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청사진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설을 다음과 같다. 첫째, 서핑참여자의 참여동기가 몰입경험 중 인지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서핑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몰입경험 중 행위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서핑참여자의 참여동기는 지속적 참여동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서핑참여자의 몰입경험은 지속적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를 위한 연구대상자는 윈드서핑을 제외하고 자연의 파도로만 서핑을 즐기는 서핑참여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비확률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가운데 임의표집법(purposiv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2016년 10월 25일부터 11월 23일까지 약 한달 간 총 28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지의 배포와 회수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설문장소를 선정하기 위해 강원도 양양군에 위치하고 서핑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해수욕장과 관련종목 및 프로그램을 탐색하였다. 참고로 이곳은 대표적인 서핑 포인트 6곳이 위치한 서핑명소이므로 연구의 진행에 있어서 적절한 장소라고 판단되어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석사급 보조연구원 2명과 함께 사설업체 2곳을 직접 방문하였고, 설문 전 서핑참여자들에게 지속적인 참여여부를 재차확인하고 운영업체의 동의와 협조를 충분히 구한 뒤에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모든 설문지 배포는참여자들이 쉬는 임의적인 공간에서 자연스레 이루어졌다.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에 의해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현장에서 즉시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조사내용 일부가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답변한 11부의 자료를 제외한 269부의 자료를 본 연구를 위한 최종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Characteristics of research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Division N %
Gender Male 179 66.5
Female 90 33.5
Marriage Married 83 30.8
Single 186 69.2
Age Under 20 54 20.1
21 - 29 80 29.7
30 - 39 113 42.1
40 - 49 19 7.1
Over 50 3 1.1
Companion Friend 110 40.8
Couple 72 26.7
Family 14 5.3
Colleague 35 13.2
Club 33 12.2
ect. 5 1.8
Residence Seoul 64 22.0
Gyeonggi 85 32.5
Incheon 37 13.7
Chungcheong 22 9.1
Gyeongsang 7 2.6
Gangwon 54 20.1
Participation duration 1-2 years 85 32.5
2-3 years 24 8.9
3-5 years 71 25.4
Over 5 years 89 34.2
Total 269 100

2. 조사도구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된 조사도구는 설문지이며, 모든 문항과 변인들은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는 선행연구와 이론에 근거하여 구성한 후, 여가레크리에이션 교수와 여가학 박사 2인 그리고 서핑관련 전문가에게 자문을 받아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를 확보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총 4부분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6문항, 서핑 참여동기에 관한 23문항, 몰입경험에 관한 8문항, 그리고 지속적 참여의도에 관한 3문항이며, <Table 2>와 같이 총 4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참여동기요인은 Ko, Park & Lee(2013)이 사용한 척도를, 몰입경험은 Yoon & Kang(2014)가 사용한 척도를, 그리고 지속적 참여의도는 Kim(2007)이 사용한 척도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응답형태는 개방형 설문지(open-ended question)로 구성된 인구통계학적 문항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문항을 리커트(likert-scale)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Table 2> 
Organization of questionnaire
Organization Contents Questions
Demographic characteristic Gender, Marriage, Age, Companion, Residence, Participation duration 6
Participation motivation Self-expression, Formation of relationship, Refresh oneself, Social network 23
Flow experience Cognitive commitment, Behavioral commitment 8
Continuos participation intention Continuos participation intention 3
Total 40

3. 타당도 및 신뢰도

본 연구에서 선정한 요인들을 실증분석에서 의미 있게 사용하기 위해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요인분석 방법은 주성분분석법(principle component analysis)을 사용하였으며, 회전방법은 직각회전방식(orthogonal rotation)중 배리맥스(varimax)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요인은 고유치(eigenvalue)가 1.0이상인 요인만 추출하였다. 한편 이들 요인들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내적일관성 신뢰도인 Cronbach’ɑ 검사결과 <Table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참여동기 요인에서 자기표현은 .813, 관계형성은 .808, 기분전환은 .793, 그리고 사회교류는 .771로 나타났으며, 몰입경험은 <Table 4>와 같이 인지몰입은 .779, 행위몰입은 .823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일요인인 지속적 참여의도는 .788로 나타났다. 이는 .70 이상이면 적합하다는 Nunnally & Bernstein(1994)의 기준을 충족시켜 설문지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Table 3> 
EFA and reliability analysi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Factors Questionnaires 1 2 3 4
Self-expression For self-expression .821 .021 .116 .117
Expression of feelings and thoughts .813 .172 .144 .081
Expression of my conduct .785 .171 -.015 .100
My own character expression .771 .198 .018 .078
My image management .763 .115 .107 .130
Get my own space .739 .143 -.052 .216
Formation of relationship To feel the sense of belonging .116 .872 .097 .190
For network management .168 .854 .046 .126
In order to strengthen existing ties .234 .797 .108 .103
To meet people in a similar bias .215 .750 .054 .177
Interaction with people around .102 .741 .046 .109
Is a lot of people .111 .716 .078 .233
Refresh oneself The withdrawal a break .043 .096 .874 .114
Get away from it all .064 043 .833 .033
Enjoy my own time .059 .153 .805 .218
Go away for a change .056 .150 .797 .253
For fun .112 .145 .716 .108
To overcome loneliness .014 .213 .695 .137
Social network Interest in social issues .083 .167 .051 .803
Social Information and knowledge sharing .107 .231 .114 .794
Establishmen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109 .149 .218 .761
Privacy and content offerings .212 .024 .135 .709
Sharing opinions on social issues .107 .136 .096 .680
Eigenvalue 2.620 2.304 2.301 2.214
% of Variance 18.711 16.460 16.436 15.811
Cumulative % 18.711 35.171 51.607 67.418
Cronbach’ɑ .813 .808 .793 .771

<Table 4> 
EFA and reliability analysis of flow experience
Factors Questionnaires 1 2
Cognitive commitment Cognitive commitment 2 .816 .047
Cognitive commitment 4 .796 .075
Cognitive commitment 1 .787 .090
Cognitive commitment 5 .684 .123
Behavioral commitment Behavioral commitment 6 .078 .876
Behavioral commitment 3 .028 .860
Behavioral commitment 7 .121 .811
Behavioral commitment 8 .092 .765
Eigenvalue 3.258 2.563
% of Variance 21.517 18.996
Cumulative % 21.817 40.513
Cronbach’ɑ .779 .823

4. 자료처리

설문지를 회수한 후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분석에서 제외시키고, 분석 가능한 자료만 SPSS 20.0 version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ɑ 계수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서핑참여자들의 참여동기가 몰입경험 및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및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Ⅲ. 결 과
1. 각 요인별 상관관계분석

서핑참여자들의 참여동기가 몰입경험 및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에 앞서 참여동기, 몰입경험, 지속적 참여의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는 <Table 5>에 제시된 바와 같다. 모든 변인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하며 높은 상관수준을 보인 변인이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변인들 간의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의 기준이 .80보다 작으므로 판별 타당성이 확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Table 5> 
Correlation analysi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flow experience,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Factors 1 2 3 4 5 6 7
Self-expression 1
Formation of relationship .216*** 1
Refresh oneself .218*** .359*** 1
Social network .184** .207*** .333*** 1
Cognitive commitment .219*** .131* .218*** .310*** 1
Behavioral commitment .351*** .314*** .281*** .230*** .203*** 1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213*** .169** .164** .304*** .311*** .210*** 1
*p<.05
**p<.01
***p<.001

2. 서핑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인지몰입에 미치는 영향

서핑참여자의 참여동기가 몰입경험의 하위요인인 인지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6>과 같이 나타났다.

<Table 6>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Cognitive commitment
Variable B SE β t
Self-expression .258 .084 .207 3.076**
Formation of relationship .167 .092 .125 1.815
Refresh oneself .197 .089 .136 2.214*
Social network .355 .083 .284 4.270***
=.197  F=13.723***
*p<.05
**p<.01
***p<.001

먼저 =.197로 참여동기 요인이 몰입경험의 하위요인인 인지몰입의 19.7%를 설명하고 있으며, F=13.723으로 .05의 유의수준에서 회귀식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참여동기 요인 중 자기표현(t=3.076), 관계형성(t=1.815), 기분전환(t=2.214), 그리고 사회교류(t=4.270)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상대적 설명력은 사회교류(β=.284), 자기표현(β=.207), 기분전환(β=.136)순으로 나타났다.

3. 서핑참여자의 참여동기가 행위몰입에 미치는 영향

서핑참여자의 참여동기가 몰입경험의 하위요인인 행위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7>과 같이 나타났다. 먼저 =.283으로 참여동기 요인이 몰입경험의 하위요인인 행위몰입의 28.3%를 설명하고 있으며, F=122.131로 .05의 유의수준에서 회귀식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참여동기 요인 중 자기표현(t=3.639), 기분전환(t=5.336)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상대적 설명력은 기분전환(β=.335), 자기표현(β=.238)순으로 나타났다.

<Table 7>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Behavioral commitment
Variable B SE β t
Self-expression .226 062 .238 3.639***
Formation of relationship -.028 .015 -.029 -.515
Refresh oneself .330 .056 .335 5.336***
Social network -.022 .057 -.024 -.381
=.283  F=22.131***
***p<.001

4. 서핑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핑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8>과 같이 나타났다. 먼저 =.311으로 참여동기 요인이 지속적 참여의도의 31.1%를 설명하고 있으며, F=26.637로 .05의 유의수준에서 회귀식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참여동기 요인 중 관계형성(t=5.077), 기분전환(t=5.477)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상대적 설명력은 기분전환(β=.334), 관계형성(β=.322)순으로 나타났다.

<Table 8> 
Effects of flow experience on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Variable B SE β t
Self-expression -.027 .064 -.026 -.420
Formation of relationship .332 .066 .322 5.077***
Refresh oneself .325 .059 .334 5.477***
Social network .015 .060 .014 .245
=.311  F=26.637***
***p<.001

5. 서핑참여자의 몰입경험이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핑참여자의 몰입경험이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9>와 같이 나타났다.

<Table 9>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Variable B SE β t
Cognitive commitment .237 .047 .203 5.055***
Behavioral commitment .211 .043 .202 4.918***
=.375  F=51.876***
***p<.001

먼저 =.311으로 몰입경험 요인이 지속적 참여의도의 37.5%를 설명하고 있으며, F=51.876로 .05의 유의수준에서 회귀식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몰입경험 요인 중 인지몰입(t=5.055), 행위몰입(t=4.918)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상대적 설명력은 인지몰입(β=.203), 관계형성(β=.202)순으로 나타났다.


Ⅳ. 논 의

본 연구는 최근 젊은 층에게서 상당한 호응을 이끌어내고 있는 서핑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참여동기가 몰입경험 및 지속적 참여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지속적으로 서핑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적인 패러다임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세 변인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서핑참여자들의 여가활동 변화양상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의 목적을 중심으로 분석된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핑참여자의 참여동기는 인지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서핑참여자들은 사회교류, 자기표현, 기분전환의 요인들이 인지적 몰입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스포츠 참여동기와 몰입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참여동기는 몰입을 향상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제시되었다(Kim & Seok, 2015; Lee, Yoon & Yoon, 2013; Lim & Lim, 2014; Park, Seo & Kang, 2010). Lim & Lim(2014)의 연구에서는 수상레저스포츠 참여자들의 참여동기가 몰입경험의 인지적 몰입과 행동적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Park, Seo & Kang(2010)은 스키동호인들의 참여동기 요인이 인지몰입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여가종목에서 참여자들의 참여동기는 몰입경험을 촉진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본 연구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서핑참여자들의 동기 요인 중 사회교류가 인지적 몰입에 높은 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은 서핑활동의 시작이 활동의 재미와 즐거움의 요소뿐만 아니라 다른사람들과 어울리고 함께 교류하는 경험적 측면이 서핑활동 참여의 주요 동기적 요인으로서 인지적 몰입을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서핑 참여자들은 서핑을 통해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고 답답한 일상생황에서 잠시 벗어나 기분전환, 스트레스 해소의 수단으로서 서핑활동을 지속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서핑참여자들의 몰입경험은 촉진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동기를 내적, 외적으로만 구분하지 않고 사회교류, 자기표현, 기분전환 등과 같이 구체적인 동기요인을 적용하여 서핑활동 참여자들의 동기요인이 몰입경험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참여동기는 참여자들이 서핑활동에 대한 기대와 인지의 정도가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서핑참여자들의 인지적 몰입을 향상시키는 요인은 내적, 외적 동기요인에서 나아가 사회교류, 자기표현, 기분전환과 같은 구체적인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으며 이는 서핑과 같은 해양레저 활동 참여동기 요인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서핑참여자의 참여동기는 행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서핑참여자들은 기분전환, 자기표현의 요인들이 행위적 몰입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Park, Seo & Kang(2010)의 연구에서는 스키동호인들의 동기요인 중 즐거움이 행위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 Lim & Hwang(2014)은 당구참여자들이 경험하는 동기요인 중 내적 즐거움이 행위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특정 레저스포츠 활동에서 경험하는 재미와 즐거움의 요소는 활동의 동기요인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서핑참여자들은 기분전환과 자기표현은 개인의 내적욕구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볼 수 있으며 서핑활동이 기분전환, 자기표현과 같은 개인의 내적요인을 충족시킴으로써 행위몰입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즉, 서핑활동을 즐기면서 참여자들은 내적인 욕구에서 발생하는 자기표현과 기분전환 등의 요인들은 활동 자체를 우선시하고 몰입하는 노력을 더욱 촉진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개인의 몰입경험을 이해하고 촉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활동참여에 대한 내적인 동기적 요인을 분석하는 노력이 우선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서핑참여자들의 참여동기는 지속적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참여동기 요인 중 기분전환과 관계형성이 지속적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 Kim & Lee(2010)의 연구에서는 해양스포츠 참여자들의 내적, 외적동기요인이 여가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Kim & Lee(2015)은 골프참여자들의 내적동기는 운동지속수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분전환은 몰입경험과 함께 운동지속수행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서 기분전환은 서핑활동 참여자들의 동기요인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볼 수 있다. 서핑활동은 해변가에서 이루어지는 자연친화적인 레저 활동이다. 참여자들은 대부분 답답한 도시로부터 벗어나 해변가의 파도와 하나가 되어 즐기는 서핑활동에서 가장 큰 매력을 느낌과 동시에 기분전환의 경험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참여자들에게 몰입경험과 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과정을 형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볼 수 있다(Cho & Ji, 2013). 이와 함께 서핑활동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다른 참여자들과의 관계형성은 서핑을 지속적으로 참여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참여자들과의 관계형성은 서핑의 몰입경험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더라도 꾸준히 서핑을 즐기고 참여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비록 서핑이 개인이 즐기는 레저스포츠지만 자연 속에서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어울리고 참여하는 경험이 참여자들이 지속적으로 서핑활동에 참여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서핑의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으로 대회나 서핑이벤트를 개최하여 동반자와 함께 서핑을 즐기고 참여할 수 있는 기회는 제공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서핑참여자들의 몰입경험은 지속적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저스포츠 활동에서 몰입경험은 운동지속의사를 촉진하는 요인으로 제시되어졌다(Baek & Shim, 2011; Han, Min-Ju, 2012; Oh & Han, 2012; Park, Hyung-Jun, 2014). 본 연구에서 서핑 참여자들 역시 활동에 대한 몰입의 정도가 높아질수록 지속적인 서핑활동참여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Baek & Shim(2011)은 여가스포츠 참여자들의 몰입경험은 운동지속의사를 촉진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하였으며 Han(2012)의 연구에서 볼링참여자들의 몰입경험은 운동지속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를 통해 레저스포츠 활동에서 몰입경험은 지속적 참여를 예측하고 유도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서핑활동과 같은 모험스포츠 활동의 지속적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참여자들의 동기요인과 몰입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는 노력을 통해 참여자들의 재참여와 지속적 행동을 유도하는 방안이 마련된다면 서핑은 자연 속에서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해양레저스포츠로서 자리매김할 것으로 판단된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서핑 참여자들의 참여동기와 몰입경험이 지속적 참여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앞서 기술한 연구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서핑참여자의 참여동기 요인의 하위요인인 사회교류, 자기표현, 기분전환은 몰입경험의 인지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핑대회나 이벤트들을 통해 서핑활동을 여러 사람과 함께 즐길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면 서핑을 지속적으로 인지하고 몰입하는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서핑참여자 참여동기 요인의 하위요인인 기분전환, 자기표현은 몰입경험의 행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핑참여자들의 기분전환, 자기표현과 같은 내적인 욕구들은 서핑활동 참여에 대한 행위몰입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자연 속에서 즐기는 서핑활동의 특성을 이용하여 참여자들의 참여동기 요인가 만족을 유발시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서핑참여자 참여동기 요인의 하위요인인 기분전환과 관계형성은 지속적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으로부터 벗어나 즐길 수 있는 서핑활동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즐거움의 요소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서핑참여자의 몰입경험은 지속적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의 지속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몰입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몰입경험은 지속적 참여를 유도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며 참여자들의 몰입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몰입경험과 지속적 참여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지만 몰입경험의 수준별 분석이 필요하다. 참여자들의 몰입경험 정도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몰입의 수준별 분석을 통해 몰입경험의 심층적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본 연구는 서핑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차후 연구에서는 몰입경험과 서핑참여에 대한 경험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심층인터뷰(in-depth interview)를 통한 질적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다.


References
1. Baek, Hyun, & Shim, Sang-Shin, (2011), Analysis of Causal Model on the Leisure Experience, Leisure Function, Flow Experience and Sport Continuance Intention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0(6), p337-352.
2. Chae, Ki-Seok, (2010), Analysis of the influence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of badminton club students in a university and leisure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3. Cho, Sung-Kyun, Kim, Jong-Kyung, & Lee, Jae-Don,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articipation Motivation, Flow Experience and Leisure Continuation of Marine Sports Participants, Korean Journal of Sports Management, 15(4), p51-62.
4. Cho, Sung-Min, & Ji, Sam-Up, (2013), Effect of Sailing School Participants' Motive and Satisfaction on Continuous Participation,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5(1), p128-138.
5. Choi, Ho-Su, (2015), A Study on Surf Tourists Characteristics, Experiential Motivation and Resort Selection Attribut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6.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performance,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Han, Min-Ju, (2012), Relationship between flow experience,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exercise adherence behaviors based on enjoyment factor of bowling particip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8. Kim, Jun, (2007), The effect of Marine Sports participant’s enjoyment and perceived constraints on flow degree and Continuous Behavior after particip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9. Kim, Jun-Hee, & Lee, Ho-Youl, (2008), The Effects of worker participation motive on flow experience in Leisure sports,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32(3), p165-175.
10. Kim, Ki-Yong, & Seok, Kang-Hoon, (2015),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the Life-style of Golf Tournament Participants and Their Participation Motivation, Golf Immersion, and Exercises Adherence, Journal of Leisure Studies, 13(2), p121-141.
11. Kim, Mi-Lyang, (2012), Leisure Satisfaction and Leisure Flow According to Subdivided Level of Participation: Focusing on Serious Leisure and Recreation Specialization,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3(3), p566-574.
12. Kim, Wook-Han, & Yi, Bong, (2015), A Structural Relation among the Participation Motive, Exercise Passion, Exercise Commitment and Exercise Adherence of the People Participating into the Golf,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4(2), p137-148.
13. Ko, Dong-Wan, Park, Yong-Soon, & Lee, Hanahreum, (2013), Influences of the Social Media Use Motivation on the Flow and Leisur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use of Facebook with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8(4), p137-156.
14. Lee, Hye-Ran, Yoon, In-Ae, & Yoon, Yong-Jin, (2013),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Flow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Line-dance,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2(4), p491-499.
15. Lee, Sang-Il, Lim, Hyang-Mee, & Hwang, In-Sun, (2014),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 billiard participants’ motivation, immersion and re-participation,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3(4), p775-788.
16. Lim, Jae-Goo, & Lim, Tae-Sung, (2000), The Prospects of Recreation Sport Activities Based Upon th Socio-Cultural Change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39(3), p942-952.
17. Lim, Jeong-Mi, & Lim, Soo-Woen, (2014), Study on Relations Among Water Leisure Sports Participants’ Leisure Motivation, Leisure Flow,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3(6), p417-429.
18. Mun, Chang-Il, (2005), The Measurement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For Sports Participants: Korean Sport Motivation Scale(KS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19. Nakamura, J., & Csikszentmihalyi, M., (2002), The concept of flow, In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CR. Snyder, & SJ. Lopez Eds., p89-105.
20. Nam, Sang-Back, & Kwon, Il-Kwon, (2016), The Effects of Enjoyment Factors on Recreation Specialization of Water Sports Participant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8(2), p356-365.
21.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NY, McGraw-Hill, Inc.
22. Oh, Kyung-Rok, & Han, Hae-Won, (2012), The Influence of Sport Commitment Experience on Continuous Intention and Dance Addiction of Leisure Dance Participant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49, p471-482.
23. Omodel, M. M., & Wearing, A. J., (1990), Need satisfaction and involvement in personal project: Toward an integrative model of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p762-769.
24. Park, Hyung-Jun, (2014), The Effects of Flow Experience on Leisure Identity and Leisure Continuation in Winter Sports Participants,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38(2), p63-73.
25. Park, Hyun-Uk, Seo, Se-Hoon, & Kang, Seung-Ae, (2010),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ticipation Motive, Exercise Immersion, Leisure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Exercise Duration of Ski Club Member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24(2), p115-127.
26. Roh, Jae-Hun, (2013), The casual model of relationships among level of mania, sensation seeking tendency, exercise emotion and continuous behavior intention of winter leisure sport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53(1), p453-470.
27. Ryew, Che-Cheong, & Yoon, Sang-Taek, (2009), Scheme of revitalization on adventuring tourism of undersea in Jeju-Do -Centering on the infra-development and expecter training of ocean leisure sport industry-, Sport Science Research, 15(1), p85-95.
28. Yoon, So-Won, & Kang, Su-Taek, (2014), The Effect of the Class Satisfaction on Exercise Commitment and the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for the Participants in the Golf for General Education at a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Golf Studies, 8(2), p99-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