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Journal Archive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29 , No. 3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29, No. 3, pp. 932-940
Abbreviation: J Kor Soc Fish Mar Edu.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7
Received 25 Apr 2017 Revised 12 May 2017 Accepted 18 May 2017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17.29.3.932

고등학교 교과서 활용 및 개선에 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박소영
대구대학교

A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Use and Improvement of High School Textbooks
So-Young PARK
Daegu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053-850-4364, syoungpark@daegu.ac.kr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pre - service teachers in order to find out how paper textbooks are used in high school classes and what improvement is needed. Firstl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erception about the utilization of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mathematics, science, and English, textbooks were used most frequently, and most of the respondents did not use textbooks for arts and physical education subjects. Secondly,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mathematics, science, and English textbooks are most frequently used as teaching materials. Third, in the case of Korean, social, mathematics, science, and English subjects, in addition to textbooks, problem collections were used most frequently and arts and physical education subjects showed the most use of prints.

Nex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the improvement method of the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high school class, the response rate was high in that Korean, social, mathematics, science, and English classes needed a textbook.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not necessary for the textbooks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subjects.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textbooks, the most demanding textbooks focused on the core basic contents, followed by self - directed learning activities, competency centered contents selection,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and teacher self - development. The demand for digital textbooks was low.


Keywords: Textbook, High School, Pre-service teacher, Use of textbook, Improvement of textbook

Ⅰ. 서 론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정신을 구현하는 주요 수단이 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학교에서 국정, 검정, 인정 교과서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주요 수업 자료로서의 교과서가 가지는 위상은 높은 편이다. 그런데, 최근 교과서의 위상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주로 고등학교에서 더욱 그러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이 교육부의 방침에 따라 EBS 교재와 70% 이상 연계하여 출제됨으로써 고등학교 2, 3학년 수업의 대부분이 EBS 교재와 문제집을 중심으로 진행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Kim, Dae-Hyun, 2015). 이는 고등학교에서 교과서의 활용도가 저하됨으로써 교과서의 위상이 낮아지고 무용론이 제기되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교과서의 활용에 관한 연구는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에 관한 연구로 구분할 수 있는데, 고등학교에서의 교과서 활용도에 관한 문제는 주로 서책형 교과서와 관련된다. 서책형 교과서의 활용에 관한 연구는 교과서 활용 실태 분석 및 서책형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로 대별된다. 여기에는 서책형 교과서의 활용 실태 분석 연구(Joo, Hyung-Mi, 2014; Joo, Hyung-Mi∙Yang, Yoon-Jung & Nam, Chang-Woo, 2014, Kim, Dae-Hyun, 2015; Kim, Min-Hyuk, 2013; Kwon, Hye-Seon, 2014)와 서책형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Kim, Eun-Ju & Kim, Dae-Hyun, 2014; Hong, Won-Jun & Kim, Young-Sik, 2012) 등이 포함된다.

그런데, 서책형 교과서의 활용 및 개선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집중되어 있어, 고등학교에서의 교과서 활용 및 개선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서책형 교과서의 활용 및 개선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서책형 교과서의 활용 및 개선에 관한 예비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의 방법을 활용하여, 예비 교사들이 경험한 고등학교에서의 서책형 교과서 활용 실태와 개선 요구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이유는 고등학교 시절의 교과서 활용 경험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등학교 서책형 교과서의 활용 실태와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고등학교 교과서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Ⅱ. 이론적 배경
1. 교과서의 활용

서책형 교과서의 활용에 관한 주요 연구 내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Kim, Dae-Hyun(2015)은 교과서 중심 수업과 평가의 실제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교과서 중심 수업은 교과서의 내용을 충실히, 빠뜨림 없이, 중요한 것을 확실히 가르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교과서 내용을 기반으로 학습지를 만들어 가르치며, 교과서에 실린 탐구 과제는 수행 평가의 과제로 제시하며, 교사용 지도서와 교사용 온라인 사이트를 활용하여 교과서를 가르친다. 또한 교과서 내용의 순서를 조정하거나 관련된 내용을 통합하거나, 다른 내용으로 대체하는 등 교과서 내용을 재구성하여 가르친다. 평가는 대개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평가와 관련하여 대학수학능력고사와 같은 학교 밖의 시험으로 인해 교과서의 위상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Joo, Hyung-Mi∙Yang, Yoon-Jung & Nam, Chang-Woo(2014)는 초,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행 교과용도서의 활용 실태를 분석하였다. 교과서 만족도의 경우, 과반수 이상(55.5%)의 교사가 만족한다, 매우 만족한다에 응답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과서 사용 정도의 경우, 대부분의 교사(91.4%)가 수업 시간에 교과서를 50% 이상 활용한다고 응답하였다. 교과서 활용 목적에 관해 많은 수의 교사(71.4%)가 ‘교과서를 교육과정을 구현하기 위한 수업의 주교재로 사용한다’고 응답하였다. 교과서 외 자료를 사용하는 교사는 대부분(89.7%)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의 부족한 기능에 대해 ‘자기주도학습 유도’에 가장 높은 응답률(초등학교 23.3%, 중학교 23.8%)을 나타냈다.

국외의 교과서 활용과 관련하여 핀란드와 싱가포르 사례의 경우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핀란드의 교과서는 정부의 평가 없이 자유 시장에서 민영 출판사에 의해 제작되며, 학교는 출판사의 제안을 통해 교과서를 선택한다. 핀란드 학교에서 교과서는 핵심적인 도구이며, 아쇼넨 등의 연구에 따르면, 1학년부터 9학년까지 모든 과목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설문 조사에서 전체 교사(N=2310) 중 95%가 매일 교과서를 많이 또는 상당히 많이 사용한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과서를 수업의 핵심적인 도구로 사용하지 않게 나타난 연구 결과도 있다(Wikman, 2013).

싱가포르의 교육부는 교과서 제작에 주도적인 역할을 맡고 있다. 2013년부터 교육부의 요구 조건을 충족한 출판사들만 교과서를 제작하고 출판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고 있다. 교육부는 교과서의 설계 및 개발의 기준을 수립하고, 품질관리를 수행하는 책임을 맡고 있으나, 학교의 교재 선정 및 채택에 영향력을 행사하지는 않는다. 싱가포르에서 교과서 발전 방향의 일관성이 초∙중등학교의 수준 높은 수학∙과학교육의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기도 하였다(Looi & Xie, 2013).

학교 교사들은 학생의 요구와 학교의 상황에 맞는 교재를 선택할 권한뿐만 아니라, 기존 교과서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재를 자체 개발할 수 있도록 독려된다. 즉, 학교는 교육부가 승인한 교재를 보완하기 위해 자체 개발하거나, 교육부가 승인한 부교재를 채택할 수 있다(Looi & Xie, 2013).

2. 교과서의 개선

미래의 교과서 역할 및 교수학습모형 개발에 관한 주요 선행연구들은 다음과 같다. Park, Jin-Yong∙Kwon, Young-Rak∙Kim, Jung-Hyo & Lee, Dong-Youb(2014)은 미래 사회의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교과서의 위상과 발전 방안을 연구하였다. 미래 사회의 교육 환경에 적합한 교과서의 위상 및 역할로는 첫째, 미래 교과서의 위상은 현재보다 낮지만, 주요 자료로서의 지위는 유지될 것이다. 둘째, 미래 교과서 역시 교과서의 본질적, 보편적 기능과 역할이 유지될 것이다.

미래 교과서의 내적 체제 및 외형 체제의 발전 방안으로는 첫째, 미래 교과서는 교과 기반 역량 중심 교육과정 내용을 선정한다. 둘째, 미래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핵심, 기본 내용 및 학습자 요구 내용을 선정한다. 셋째, 미래 교과서는 학습자의 구성적인 학습 과정을 돕기 위해 학습자 중심으로 내용을 조직한다. 넷째, 미래 교과서의 내적 체제가 지향하는 주된 학습 유형은 자기주도적 학습 및 협력 학습 유형이다. 다섯째, 미래 교과서의 외형 체제는 디지털 교과서에서 진화된 체제 및 다양한 매체중심 체제를 지향한다. 여섯째, 미래 교과서의 외형 체제는 유비쿼터스 러닝 체제 및 기능이 대폭 향상된 전자화된 체제를 지향한다.

Joo, Hyung-Mi(2014)는 교과서 완결 학습을 위한 교과서 중심 학습 환경 구축과 관련하여 서책과 디지털교과서의 연계 방안, 교사와 학생의 교과서 활용 방안, 그리고 교수학습 방법 개선 및 환경 조성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첫째, 서책과 디지털교과서의 연계 방안으로 디지털교과서는 서책형 교과서와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하면서, 서책형 교과서를 보조하는 교수학습자료이어야 한다. 디지털교과서는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다양한 활동 자료로 구성하고, 서책형 교과서 내용을 보완하여 추가하는 학습 정보와 자료로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와 학생의 교과서 활용 방안으로는 교사는 핵심성취기준을 중심으로 교과서를 활용하고, 지식 전달 중심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참여 중심의 수업 자료로 활용하며, 자기주도학습 및 협력학습 등의 활동 과제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셋째, 교수학습방법 개선 및 환경 조성 방안으로 상호작용활동 강화, 플립러닝과 같은 수업 및 활동 절차가 유연한 수업, 교사 주도가 아닌 학생 스스로의 개별 학습으로의 전환 등을 제시하였다.

Kim, Hye-Sook∙Lee, Young-A∙Lee, Dong-Youb & Lim, Jung-Hoon(2013)은 서책과 디지털교과서 병행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는 디지털교과서 관련 연구가 교과서 개발이나 효과성 검증에 치우쳐 서책과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관한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연구가 전무하다는 문제의식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으로는 서책 중심의 블렌디드 러닝 기반 문제중심학습 모형, 서책 중심의 플립드 클래스룸 모형, 서책 중심의 스마트도구 활용 역할극 수업 모형, 디지털 교과서 중심의 확장된 순환학습 모형, 디지털교과서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 기반 통합적 수업 모형 등이 있다.

미래의 교과서 개선 및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볼 때, 교과서 내용을 설명하는 식의 교과서 활용이 아니라 교사와 학습자가 자율성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탐구하여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과서의 활용이 요구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Ⅲ. 연구 방법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과서의 활용과 개선에 관한 예비 교사의 인식을 연구하기 위해 설문 조사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연구자가 자체 개발하였으며, 교과서 활용과 개선 요구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 조사 대상은 K지역의 D대학교에서 교직 과목을 이수하는 예비 교사들이다. 대상자의 분포 현황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Survey Subject
Division N %
Grade 2nd 53 30.8
3rd 97 56.4
4 22 12.8
Gender Man 48 28.4
Woman 121 71.6
Sum 172 100.0

설문 조사의 결과는 SPSS 23.0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포 분석을 실시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교과서 활용
가. 교과서 활용 정도

고등학교에서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정도의 빈도분포를 분석한 결과,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과에서 모두 교과서를 매우 활용했다는 응답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조금 활용했다의 응답이 많았다. 그러나, 예체능의 경우에는 활용하지 않았다(38.0%)는 응답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전혀 활용하지 않았다(26.3%)는 응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수업 시간에 예체능 교과서를 활용하는 경우는 매우 적지만, 주요 교과의 교과서를 활용하는 경우는 매우 많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교과별로 교과서 활용 정도의 평균을 분석한 결과, 국어(4.12), 사회(3.94), 수학(3.84), 과학(3.77), 영어(3.73)의 순으로 교과서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결과는 <Table 2>와 같다.

<Table 2> 
Degree of Textbook Usage N(%)
1* 2 3 4 5 N M SD
K
**
7
(4.1)
10
(5.8)
27
(15.7)
40
(23.3)
88
(51.2)
172 4.12 1.123
So 7
(4.1)
11
(6.4)
38
(22.1)
46
(26.7)
70
(40.7)
172 3.94 1.123
M 8
(4.7)
18
(10.5)
30
(17.4)
53
(30.8)
63
(36.6)
172 3.84 1.167
Sc 6
(3.5)
20
(11.7)
41
(24.0)
45
(26.3)
59
(34.5)
171 3.77 1.150
A 45
(26.3)
65
(38.0)
33
(19.3)
13
(7.6)
15
(8.8)
171 2.35 1.199
E 13
(7.6)
17
(9.9)
33
(19.2)
49
(28.5)
60
(34.9)
172 3.73 1.247
* 1 Do Not Use it At All
   2. Do not use
   3. Is Average
   4. Use of it
   5. Make great use of it
** K: Korean
     So: Social Studies
     M: Mathematics
     Sc:: Science
     A: Arts
     E: English

나. 교과서 활용 방법

교과서 활용 방법을 분석한 결과,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과의 경우 수업 교재로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예체능 교과서는 시험 준비를 위해 활용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별로 살펴보면, 국어, 사회, 영어과의 경우 수업 교재> 읽기 자료의 순으로 많이 활용되며, 수학과는 수업 교재> 탐구 과제(숙제)의 순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과는 수업 교재> 평가(시험) 준비의 순으로 활용되며, 예체능 교과서는 평가(시험) 준비> 수업 교재의 순으로 활용되었다. 구체적인 결과는 <Table 3>과 같다.

<Table 3> 
How to Use Textbook N(%)
1* 2 3 4 5 N
K** 106
(63.1)
36
(21.4)
4
(2.4)
1
(.6)
21
(12.5)
168
So 106
(63.1)
25
(14.9)
9
(5.4)
4
(2.4)
24
(14.3)
168
M 95
(56.5)
6
(3.6)
17
(10.1)
27
(16.1)
23
(13.7)
168
Sc 97
(58.1)
16
(9.6)
8
(4.8)
18
(10.8)
28
(16.8)
167
A 35
(20.7)
12
(7.1)
8
(4.7)
4
(5.9)
5
(61.5)
169
E 93
(55.4)
30
(17.9)
13
(7.7)
3
(1.8)
29
(17.3)
168
* 1 Teaching Materials
   2. Reading Materials
   3. Learning Materials
   4. Inquiry Task
   5. Exam Preparation
** K: Korean
     So: Social Studies
     M: Mathematics
     Sc:: Science
     A: Arts
     E: English

다. 교과서 외 활용 자료

교과서 외 활용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과에서는 문제집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체능 교과에서는 프린트물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별로 살펴보면, 국어과는 문제집>참고서의 순으로 활용하며, 사회, 수학, 과학, 영어과는 문제집> 프린트물의 순으로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체능 교과는 프린트>인터넷 자료의 순으로 활용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Table 4>와 같다.

<Table 4> 
Materials other than textbooks N(%)
1* 2 3 4 5 N
K ** 40
(24.1)
82
(49.4)
33
(19.9)
8
(4.8)
3
(1.8)
166
So 16
(9.6)
74
(44.3)
60
(35.9)
9
(5.4)
8
(4.8)
167
M 20
(11.9)
118
(70.2)
26
(15.5)
1
(.6)
3
(1.8)
168
Sc 21
(12.5)
82
(48.8)
47
(28.0)
15
(8.9)
3
(1.8)
168
A 7
(4.1)
12
(7.1)
80
(47.1)
44
(25.9)
27
(15.9)
170
E 26
(15.7)
106
(63.9)
30
(18.1)
2
(1.2)
2
(1.2)
166
* 1 Reference Book
   2. Problem Book
   3. Print
   4. Internet Resources
   5. Etc
** K: Korean
     So: Social Studies
     M: Mathematics
     Sc:: Science
     A: Arts
     E: English

2. 교과서 개선 요구
가. 교과서 필요 정도

고등학교 수업에서 서책형 교과서가 필요한지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과의 경우 서책형 교과서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는 매우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이는 이들 교과의 서책형 교과서의 필요에 대한 요구가 많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예체능 교과서는 필요하지 않다(33.7%)는 응답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는 전혀 필요하지 않다(30.8%)는 응답이 많아 교과서의 필요에 대한 요구가 매우 적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각 교과별로 교과서의 필요 정도에 대한 평균을 분석한 결과, 국어(3.91), 사회(3.70), 영어(3.63), 과학(3.56), 수학(3.55), 예체능(2.27)의 순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Table 5> 
Degree of Textbook Need N(%)
1* 2 3 4 5 N M SD
K
**
8
(4.7)
17
(9.9)
24
(14.0)
56
(32.6)
67
(39.0)
172 3.91 1.159
So 5
(2.9)
20
(11.6)
43
(25.0)
58
(33.7)
46
(26.7)
172 3.70 1.077
M 10
(5.8)
28
(16.3)
36
(20.9)
53
(30.8)
45
(26.2)
172 3.55 1.206
Sc 8
(4.7)
26
(15.2)
40
(23.4)
56
(32.7)
41
(24.0)
171 3.56 1.148
A 53
(30.8)
58
(33.7)
34
(19.8)
16
(9.3)
11
(6.4)
172 2.27 1.179
E 8
(4.7)
22
(12.8)
42
(24.4)
54
(31.4)
46
(26.7)
172 3.63 1.145
   * 1 Not Necessary at all
   2. Not Necessary
   3. Is Average
   4. Necessary
   5. Very Necessary
** K: Korean
     So: Social Studies
     M: Mathematics
     Sc:: Science
     A: Arts
     E: English

나. 교과서 개선 방안의 필요

여기에서는 교과서 개선 방안을 여섯 가지로 제시하고, 각각의 필요에 대한 빈도분포를 분석하였다. 문항에서 제시한 교과서 개선 방안으로는 ‘역량중심 내용 선정’, ‘핵심기본 내용 중심’, ‘자기주도학습 활동 제시’, ‘협동학습 활동 제시’, ‘디지털 교과서화’, ‘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재를 교사가 자체 개발’이다.

각 방안에 대한 빈도분포를 분석한 결과, 핵심기본 내용 중심에 대한 응답은 매우 필요하다(39.8%)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역량중심 내용 선정, 자기주도학습 활동 제시, 협동학습 활동 제시, 교사가 자체 개발의 경우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디지털 교과서화의 경우 보통이다(37.4%)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각 방안의 필요에 대한 평균을 분석한 결과, 핵심기본 내용 중심(4.11), 자기주도학습활동 제시(3.99), 역량중심 내용 선정(3.92), 협동학습활동 제시(3.62), 교사 자체 개발(3.47)의 순으로 요구가 많았으며, 디지털 교과서화(2.84)에 대한 요구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기본 내용 중심의 교과서 개선에 대한 요구가 가장 큰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인 결과는 <Table 6>과 같다.

<Table 6> 
Degree of Need for Improvement of Textbook N(%)
1* 2 3 4 5 N M SD
A
**
3
(1.8)
3
(1.8)
41
(24.0)
81
(47.4)
43
(25.1)
171 3.92 .847
B 2
(1.2)
6
(3.5)
31
(18.1)
64
(37.4)
68
(39.8)
171 4.11 .904
C 5
(2.9)
5
(2.9)
38
(22.2)
62
(36.3)
61
(35.7)
171 3.99 .982
D 9
(5.3)
15
(8.8)
47
(27.6)
60
(35.3)
39
(22.9)
170 3.62 1.094
E 16
(9.4)
48
(28.1)
64
(37.4)
34
(19.9)
9
(5.3)
171 2.84 1.022
F 10
(5.8)
22
(12.9)
48
(28.1)
59
(34.5)
32
(18.7)
171 3.47 1.113
* 1 Not Necessary at all
   2. Not Necessary
   3. Is Average
   4. Necessary
   5. Very Necessary
** A: Competency Based Content
     B: Core Basic Content
     C: Present Self-Directed Learning Activities
     D: Present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E: Digital Textbook
     F: Teacher Develops Teaching Materials

다. 교과별 교과서 개선 방안의 필요

교과별로 어떠한 교과서 개선 방안이 필요한지를 분석한 결과,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과의 경우 핵심 기본 내용 중심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으며, 예체능 교과의 경우 협동학습활동 제시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다.

교과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국어과와 영어과는 핵심 기본 내용 중심> 역량 중심 내용의 순으로 요구가 많으며, 사회과는 핵심 기본 내용 중심> 협동학습활동 제시의 순으로 요구가 많았다. 수학과는 핵심 기본 내용 중심> 자기주도학습활동 제시의 순으로 요구가 많았으며, 과학과는 핵심 기본 내용 중심> 협동학습활동 제시, 예체능 교과는 협동학습활동 제시> 교사 자체 개발의 순으로 요구가 많았다.

예체능 교과를 제외한 주요 교과들은 대부분 핵심 기본 내용 중심의 교과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며, 교과의 특성에 따라 역량 중심(국어, 영어), 협동학습활동(사회, 과학), 자기주도학습활동(수학)에 대한 개선의 요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결과는 <Table 7>과 같다.

<Table 7> 
Degree of Need for Improvement of Textbook by Subject N(%)
1* 2 3 4 5 6 N
K
**
41
(24.4)
66
(39.3)
24
(14.3)
22
(13.1)
3
(1.8)
12
(7.1)
168
So 17
(10.2)
87
(52.4)
21
(12.7)
27
(16.3)
4
(2.4)
10
(6.0)
166
M 24
(14.3)
68
(40.5)
52
(31.0)
10
(6.0)
1
(.6)
13
(7.7)
168
Sc 19
(11.3)
74
(44.0)
18
(10.7)
36
(21.4)
10
(6.0)
11
(6.5)
168
A 23
(13.7)
14
(8.3)
24
(14.3)
53
(31.5)
21
(12.5)
33
(19.6)
168
E 41
(24.3)
63
(37.3)
31
(18.3)
12
(7.1)
5
(3.0)
17
(10.1)
169
* 1 Competency Based Content
   2 Core Basic Content
   3 Present Self-Directed Learning Activities
   4 Present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5 Digital Textbook
   6 Teacher Develops Teaching Materials
** K: Korean
     So: Social Studies
     M: Mathematics
     Sc:: Science
     A: Arts
     E: English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수업에서 서책형 교과서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개선이 필요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먼저 교과서의 활용에 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과의 경우 교과서를 매우 많이 활용하며, 예체능 교과서는 활용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교과별 활용도는 국어>사회>수학>과학>영어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과서의 활용 방법으로는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과의 경우 수업 교재로 가장 많이 활용되며, 예체능 교과서는 시험 준비용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서 외 활용 자료로는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과의 경우 문제집을 가장 많이 활용하며, 예체능 교과는 프린트물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고등학교 수업에서 예체능 교과를 제외한 주요 교과 수업에서 서책형 교과서 중심의 수업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Joo, Hyung-Mi∙Yang, Yoon-Jung & Nam, Chang-Woo(2014)의 연구에서도 대부분의 교사가 수업 시간에 교과서를 50% 이상 활용한다고 응답하였는데, 교과서의 높은 활용도는 예비 교사들의 인식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Hong, Won-Jun∙Kim과 Kim, Young-Sik(2012)의 연구에서 체육 교과서의 활용도가 낮게 나타난 연구도 본 연구의 예체능 교과서 활용도가 낮게 나타난 결과와 동일한 결과로 볼 수 있다.

Kim, Dae-Hyun(2015)은 교과서 중심 수업과 평가를 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우선 우리나라 교과서 제도의 규범성, 즉 학교에서는 국정, 검정, 인정 교과서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규범 때문이다. 이는 교과서 내용을 빠짐없이 가르쳐야 한다는 압박감을 갖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두 번째로 교과서 내용이 어렵기 때문에 교사가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식의 수업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세 번째로 교육과정에 대한 무관심 및 교과서 설명식의 수업 습관, 네 번째로 학부모 및 학교관리자의 교과서 중심의 인식과 학교의 구조적 환경 및 평가 요인 등이 있다.

다음으로 서책형 교과서의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수업에서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과 모두 서책형 교과서가 필요하다, 매우 필요하다는 응답률이 높게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은 서책형 교과서의 필요를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예체능 교과의 서책형 교과서의 경우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이 가장 많아 이에 대한 요구는 낮은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각 교과별 서책형 교과서의 필요도는 국어>사회>영어>과학>수학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예체능 교과서의 필요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둘째, 교과서 개선 방안으로는 핵심 기본 내용 중심의 교과서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자기주도학습활동 제시, 역량중심 내용 선정, 협동학습활동 제시, 교사 자체 개발의 순으로 많았다.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요구는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별로 교과서 개선 방안에 대한 요구가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한 결과,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과에서 모두 핵심 기본 내용 중심의 교과서 개선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예체능 교과서의 경우 협동학습활동 제시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다. 교과별로 개선 방안에 대한 요구가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국어, 영어과는 핵심 기본 내용 중심과 역량 중심 내용 선정에 대한 요구가 많고, 사회, 과학과는 핵심 기본 내용 중심과 협동학습활동 제시에 대한 요구가 많았으며, 수학과는 핵심 기본 내용 중심과 자기주도학습활동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예체능 교과는 협동학습활동 제시와 교사 자체 개발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교과서의 개선 방안과 관련하여 Joo, Hyung-Mi∙Yang, Yoon-Jung & Nam, Chang-Woo(2014)의 연구에서 교과서의 부족한 기능에 대해 자기주도학습 유도라고 응답한 교사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핵심 기본 내용 중심의 교과서 개선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Park, Jin-Yong∙Kwon, Young-Rak∙Kim, Jung-Hyo & Lee, Dong-Youb(2014)은 미래 사회의 교육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의 위상은 주요 자료로서 유지될 것이라고 예측하면서, 미래 교과서의 발전 방안으로 역량 중심 내용 선정, 핵심 기본 내용 선정, 학습자 중심 내용 조직, 자기주도적 학습 및 협력 학습, 디지털 교과서 지향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예비 교사들은 예체능 이외 주요 교과의 경우 서책형 교과서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핵심 기본 내용 선정, 역량 중심 내용 선정, 협력 학습, 자기주도적 학습 등을 지향하는 교과서 개선 방안을 요구하였다. 특히 예비 교사들은 예체능 교과를 통해 협동학습활동을 많이 할 수 있기를 기대하였다.

Joo, Hyung-Mi(2014)는 서책과 디지털 교과서의 연계를 제안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요구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이는 대학 입시를 앞둔 고등학교 수업의 특성으로 인하여 디지털 교과서의 활용에 대한 필요를 낮게 인식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안할 수 있다. 첫째, 고등학교 주요 교과 수업에서 서책형 교과서를 수업 교재로 활용하는 빈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므로, 서책형 교과서 활용에 관한 지속적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많은 예비 교사들은 고등학교 주요 교과 수업에서 서책형 교과서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므로, 양질의 교과서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고등학교 주요 교과의 서책형 교과서는 핵심 기본 내용 중심, 역량중심 내용 선정, 자기주도학습 활동 제시, 협동학습 활동 제시, 교사 자체 개발을 지향하여 개선될 필요가 있으며, 예체능 교과서는 협동학습 활동을 보다 다양하게 제시하도록 개선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므로, 교과별 특성을 고려한 교과서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서책형 교과서의 활용과 개선에 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후속적으로는 고등학교 교사 및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과서의 활용과 개선에 관한 요구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4학년도 대구대학교 학술연구비지원에 의한 논문임.


References
1. Hong, Won-Jun, & Kim, Young-Sik, (2012),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Journal of Curriculum Intebration, 6(1), p165-194.
2. Joo, Hyung-Mi, (2014), A study on the actual utilization and teachers’ satisfaction wi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7(1), p77-95.
3. Joo, Hyung-Mi, Yang, Yoon-Jung, & Nam, Chang-Woo, (2014), Exploring the Implementation Plan for the Complete Learning System of Textbooks,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4. Kim, Dae-Hyun, (2015), The utilization and prospects of textbooks in instruction and evaluation in Korean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5(3), p21-44.
5. Kim, Eun-Ju, & Kim, Dae-Hyun, (2014),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heme textbooks on the integrated curriculum revised in the 2009,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8(3), p73-92.
6. Kim, Hye-Sook, Lee, Young-A, Lee, Dong-Youb, & Lim, Jung-Hoon, (2013),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the Combination of Paper and Digital Textbooks,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7. Kim, Ji-Won, & Won, Hyo-Heon, (2012), A textbook analysis on history domain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Jour. Fish. Mar. Sci. Edu., 24(6), p1013-1026.
8. Kim, Min-Hyuk, (2013),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use of mathematics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School Mathematics, 15(3), p503-531.
9. Kwon, Hye-Seon, (2014), A Research on understand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xtbook-based classes in moral education, Elementary Moral Education, 44, p1-28.
10. Looi, C. K., & Xie, W., (2013), Utilization and prospect of textbooks in teaching and evaluation in Singapore, 2013 International Textbook Symposium, p115-123.
11. Park, Jin-Yong, Kwon, Young-Rak, Kim, Jung-Hyo, & Lee, Dong-Youb, (201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Future Social Education Environment,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2. Park, So-Young, & Kim, Dae-Hyun, (2008),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Jour. Fish. Mar. Sci. Edu., 20(2), p168-183.
13. Wikman, Tom, (2013), Use of Textbooks in Classes and Evaluation: A Case of Finland, 2013 International Textbook Symposium, p9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