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Journal Archive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29 , No. 6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29, No. 6, pp. 1686-1694
Abbreviation: J Kor Soc Fish Mar Edu.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Dec 2017
Received 25 Jul 2017 Revised 05 Sep 2017 Accepted 15 Sep 2017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17.29.6.1686

세대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 실태 차이에 대한 탐색 연구
김예종 ; 부수안 ; 허인순 ; 허균
부경대학교

An Exploring Study on the Difference of Smart-phone Usage by Generation
Ye-Jong KIM ; Su-An BU ; In-Soon HEO ; Gyun HEO
Pukyo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051-629-5970, gyunheo@pknu.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usage of smartphone according to generation.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e difference was analyzed as independent variable, usefulness and ease as a dependent variable. For this purpose, 80 adults and 20 teenagers living in Korea were randomly sampled and 100 surveys carry out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usefulness according to the use of smartphone in daily life by generation. Second,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easiness of using smartphone in daily life by generation. Third, the most favored factor is the function of the new product and the lowest consideration factor is the price when purchasing smartphones. Fifth,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purpose of using smartphone in daily life by generation. Especially, SNS and information search were the most common in all generations, and learning and smart banking were the least.


Keywords: Smart learning, Using SNS, Privacy concerns

Ⅰ. 서 론

우리 사회에서 스마트폰은 많은 사람들의 일상과 커뮤니이션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고 인간의 삶에 영향을 주는 강력한 도구로 자리 잡게 되었다(Lee In-Hui, 2014). 각종 산업은 물론 개인의 일상생활까지도 그 영향력이 깊숙이 파고들고 있다. 이렇게 해마다 스마트폰 보급률과 사용률이 증가하면서 연결사회(Hwang Jin- Suk, 2017)로 변화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모바일 이용은 지속해서 다양하게 진화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교육 정책은 스마트교육이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등장 시킬 만큼 교육 현장에서 교육 내용, 방법, 평가 등의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Baek Kyung-Young, 2013). 이러한 맥락에 따라 인터넷 기능과 다양한 앱이 내장된 모바일은 아주 편리하게 정보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Heo Hyo-Won, 2014) 자신이 학습의 과정에서 주체가 되어 학습 동기와 목표를 진단하고 학습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을 관리하며 평가하는 학습인 자기주도학습(Kim Hee-Jung, 2016)을 위한 스마트교육 구현의 도구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2016년 미래창조과학부(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에 따르면, 2012년의 PC 보유율이 82.0%에서 2015년에는 77.1%로 감소하였고 가구당 스마트 보유율은 반대로 65.0%에서 86.4%로 증가되었다. 이는 스마트폰 사용 연령 층 확대에 따른(Gang Gi-Su, 2017; Sin Dae-Un, 2016; Sin Ho-Yeong, 2013; Jeong Woo-Cheol, 2010) 수요 증가 현상으로 풀이된다. 이렇게 스마트폰 이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관련 연구도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선행 연구들은 스마트폰의 만족도 및 만족도에 따른 변인들에 관한 연구(Jeon Min-Jae, 2016; Choi Hak-Yoon, 2015; Ghang Eun-Kyeong et al, 2010)나 스마트폰의 기술에 관련된 연구(Seo Jae-Yeon, 2014; Park Il-Woo, 2012)가 상대적으로 많은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용 경험, 구입 시 고려요인, 활용목적 등을 추가하여 스마트폰 사용의 세대 간 차이를 분석하고 각 세대에 알맞은 스마트폰의 사용성을 극대화시킬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스마트폰 개발 및 관련 정책의 계획수립과 활용 전략을 세울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도록 세대에 따른 스마트폰의 사용 실태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사용 시 유용성의 세대별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스마트폰 사용 시 용이성의 세대별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스마트폰 구입 시 고려요인의 세대별 차이는 어떠한가? 넷째, 스마트폰 사용 시 활용목적의 세대별 차이는 어떠한가?


Ⅱ. 이론적 배경
1. 세대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 실태

마크 프렌스키(Marc Prensky)는 컴퓨터나 인터넷, 휴대전화 등을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라고 명명했다. 1980년부터 디지털에 노출되어 자라온 이들의 등장은(Hwang Young-Mi, 2009) 태어나면서부터 디지털 환경을 자연스럽게 삶의 일부로 받아들인 사회적 배경이 기초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으로 21세기에는 모바일 네이티브(Mobile Native)가 등장했다(Lee Hye-Joon, 2017). 모바일 출시 및 발전과 함께 성장한 10대에서 30대 전후의 이들은 모바일을 통해서 무한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그 정보를 기반으로 급변하는 사회 현상에 익숙하게 적응하는 세대이다. 이에 비해 50대 이상의 중·장년층(Lee Chung-Hun et al., 2014)은 스마트폰의 활용이 모바일 네이티브(Mobile Native)에 비해 다소 제한적이다.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2011)에 따르면 급증하는 스마트폰 사용 인구 중 20대~30대가 60%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10대와 50대는 그 비중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 Lee, Chung-Hun et al.(2014)의 연구를 뒷받침 하고 있다. 이점에 주목하여 몇몇 연구들에서는 연령대별 스마트폰 사용과 그 영향변수의 세대별 공통점 및 차이점을 검증하였다(Gang Yo-Han et al., 2006; Shim Hong-Jin et al., 2011). Jeong, Man-Su(2014)도 스마트폰 사용에 있어 연령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며 40세를 기준으로 이전과 이후의 스마트폰 사용형태가 많이 다르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길고 스마트폰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한 Choe, Jeong-Il et al.(2015)의 연구와 일치하고 있다. 또한 Morris et al.(2007)은 연령이 스마트폰 등 새로운 매체의 수용과 활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실제로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스마트폰 등 새로운 매체의 활용 초기에 불편함, 불안감, 낮은 효능도와 같은 심리적 장애를 가진다고 밝혀 위의 선행연구들을 지지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주 이용 장소와 사용실태 및 사용자의 특성과 사용자 이미지 그리고 SNS를 사용하는 목적도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The editorial staff, 2012). 따라서 세대에 따라 스마트폰의 사용실태를 비교해 보는 것은 각 세대에 알맞은 스마트폰의 필요기능 개발과 유용성 및 용이성 향상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미가 있다. 더불어 글로벌화에 따라 학력보다 실력으로 필요한 인재상이 가려지는(Jung Dae-Hyun & Weon Jong-Ha, 2016) 평생교육 사회에서 시·공간의 제약 없이 각 연령에 맞게 자기주도학습을 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하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유용성(有用性)은 “어떤 도구나 인간이 만든 물건, 서비스를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할 때에 어느 정도 사용하기 쉬운가”를 말하는 용어이다(https://ko.wikipedia.org). 그러므로 스마트폰의 유용성은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원하는 목적을 편리하게 달성하고 결과를 얻는 경험을 하는지에 대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보통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스마트폰의 특징에 대해 느끼는 인식 중 하나는 유용성을 꼽을 수 있는데, 이는 스마트폰의 쓰임새와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on, Young-Jun et al.(2011)의 연구를 바탕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의 쓰임새가 어느 정도인지 인식하는 정도를 유용성이라고 설정하였다.

용이성은 “물건을 관찰하는 것으로 부터 물건을 실제로 다룰 수 있을 때까지 걸리는 조작 방법을 습득하기가 쉽다”는 뜻으로(https://ko.wikipedia.org) 스마트폰의 이용자가 인식하는 원활한 사용법을 숙지하기 위해서 걸리는 시간이나 사용방법의 난이도에 대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보통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특히 새로운 제품을 구입했을 때 스마트폰의 특징에 대해 느끼는 인식 중 하나로 용이성을 꼽을 수 있는데, 이는 스마트폰의 원활한 조작방법과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on, Young-Jun et al.(2011)의 연구를 바탕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을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인식하는 정도를 용이성이라고 설정하였다.

2. 활용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 실태

스마트폰은 다양한 기능과 무선통신망을 활용한 인터넷 사용으로 시간과 공간의 제한을 덜 받고 누구나 쉽게 정보를 얻으며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능뿐만 아니라, 관리가 편리하고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Han Sang-Il, 2013). 즉, 스마트폰은 시간과 공간 제약을 극복한(Shin So-Young, 2010)매체로써 다양한 방법으로 그 활용이 무한하다. 스마트폰의 가입자 수는 갈수록 확산되고 있어 2014년 9월 4,000만 명을 돌파한 이후 2015년 3월 기준으로 4,125만 명에 이르고 있다(Choe Jeong-Il et al., 2015). 국민 1명이 1대 이상의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거리를 활보하는 세상이라는 점에서 스마트폰의 폭발력은 대단한 수준이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스마트폰 보급 실태를 감안할 때 모든 분야에서 스마트폰의 활용 가능성이 확대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새로운 매체의 선택과 활용에는 개인의 선호도와 개성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Choe Jeong-Il et al, 2015).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장소는 이동 중인 교통수단(75.6%)이고, 가정(68.6%), 길거리 및 공원 등 실외 장소(59.1%), 직장(46.2%) 순으로 이어진다(http://blog.naver.com/etripr/220799658728). 이는 통신 네트워크 품질 향상과 인프라 구축으로 언제 어디서나 고품질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해짐에 따라 지하철, 버스, 기차 등의 교통수단을 이용하면서 정보검색, 동영상 감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쇼핑, 모바일 앱 등의 이용이 일상에서 보편화된 것을 의미한다. 자료검색, 정보습득 및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스마트폰 데이터 서비스 가운데 이용 경험이 있는 서비스는 정보검색(96.7%)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소셜 네트워킹과 관련된 스마트폰 서비스는 커뮤니티 서비스(69.0%) 이용 경험이 가장 높았다(Park Jong-Hyeon et al., 2012). 정보검색은 유선 인터넷과 마찬가지로 스마트폰의 무선인터넷 서비스에서도 핵심 서비스로 파악된 것이다. 또한 전반적으로 자료검색, 정보습득,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이용 경험이 높은 것은 대부분 스마트폰이 검색도구, 정보이용 커뮤니케이션의 필수 매체로 자리매김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온라인에서 최신 이슈 및 관심사에 대한 정보공유, 의견교환 등을 통해 상호 소통에서 스마트폰의 역할이 부각됨을 의미한다고 판단된다.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대부분 정액요금제에 가입하고 있으며, 거의 60%에 해당하는 이용자가 55,000원 정액 요금제를 선택하고 있다. 일반 휴대폰에 비해 스마트폰 가입자가 데이터 이용 요금에서 상당히 많은 요금을 지불하고 있다(http://youngnk.tistory.com/210 [Daily-Narrative]). 이에 스마트폰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다양한 요금제와 요금 상품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해 보면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적합한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이 확인된 것으로 해석된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전국에 거주하는 세대별 10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 실태에 대해 알아보았다. 전국에 거주하는 성인 80명과 10대 청소년 20명을 무작위로 표집 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총 100명의 연구 대상자 가운데 남성은 48명 (48%)이고 여성은 52명 (52%)의 비율로 각각 남·녀 비율은 거의 비슷하였으며, 세대별 비율은 10대~20대와 30대~40대의 비율이 40명(40%)으로 동일하였으나 이에 비해 50대 이상의 비율은 20명(20%)으로 다소 적었다. 연구 대상자의 세대와 성별에 따른 비율을 살펴보면 <Table 1>과 같다.

<Table 1> 
The ratio between generations
Generation Personnel(N) Ratio(%)
Teenager~20s 40 40
30s~40s 40 40
Above 50s 20 20
Total 100 100

2. 연구도구
가.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설문 내용

연구 대상자들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11개 문항, 리커트 5점 척도(5=매우 그렇다, 4=그렇다, 3=보통이다, 2=그렇지 않다, 1=전혀 그렇지 않다)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일부는 직접 조사를 하였고, 일부는 온라인으로 수집 하였다. 설문지 중에서 스마트폰의 유용성을 묻는 문항에 대해 변수 계산을 하여 유용성이라는 변수를 생성하였고, 스마트폰의 용이성을 묻는 문항에 대해 변수 계산을 하여 용이성이라는 변수를 생성하였으며, 스마트폰의 활용목적을 묻는 문항에서는 다중응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나. 측정문항 및 자료처리방법

<Table 2>는 측정문항들의 세부항목과 이 문항들에 대한 신뢰도를 나타낸다. 연구에 포함된 변인에 대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세대별 스마트폰의 사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분석은 SPSS 22.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Table 2> 
Variable description & Reliability
Variable name Variable description Cronbach`s a
Dependent variable Finding information through smartphones is useful for business. .842
Usefulness Finding information through smartphones is useful for life.
It is easy to navigate information from my job to smart phones.
It is easy to navigate information from my life to smart phones.
I often use smart phones in my learning and work.
Dependent variable I often use my smartphone. .776
Easiness I like to use my smartphone everyday.
I've been all night trying to use my smartphone.
I prefer the latest smart phone.
I have a long time to use my smartphone.
I know how to use smart phones..
Independent variable Teenager~20s
Generation 30s~40s
Above 50s


Ⅳ. 연구 결과
1. 유용성에서의 세대별 차이

<Table 3>의 결과를 보면 10대~20대의 스마트폰 사용 평균은 19.78이고 표준편차는 2.75이며, 30~40대의 사용평균은 20.28, 표준편차는 3.17, 50대 이상의 평균은 17.50이고, 표준편차는 5.37이다. 세대별 일상생활에서의 스마트폰 사용 시 유용성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F통계 값은 4.19*, 유의확률은 .018로 유의수준 .05에서 세대별 일상생활에서의 스마트폰 사용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30대~40대와 50대 이상 간의 스마트폰 유용성에는 차이가 있었지만 10대~20대와 30대~40대, 10대~20대와 50대 이상 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세대별 간에 따른 일상생활에서의 스마트폰 사용의 유용성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 
Usefulness in generations
N Mean SD F Scheffe
Teenager~20sa 40 19.78 2.75 4.19* b >c
30s~40sb 40 20.28 3.17
Above 50sc 20 17.50 5.37
*p< .05

2. 용이성의 세대별 차이

<Table 4>의 결과를 보면 10대~20대의 스마트폰 사용평균은 22.13이고 표준편차는 4.82이며, 30대~40대의 사용평균은 19.50, 표준편차는 4.40, 50대 이상의 사용평균은 15.35이고, 표준편차는 5.07이다. 세대별 일상생활에서의 스마트폰 사용 시 용이성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F통계 값은 13.86***, 유의확률은 .000으로 유의수준 .001에서 세대별 일상생활에서의 스마트폰 사용 시 용이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0대~20대와 30대~40대 간에서, 10대~20대 및 30대~40대와 50대 이상 간에서 차이가 나타나 모든 세대에서 스마트폰 사용 시 용이성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 
Ease of use in generations
N Mean SD F Scheffe
Teenager~20sa 40 22.13 4.82 13.86*** a >b
a, b >c
30s~40sb 40 19.50 4.40
Above 50sc 20 15.35 5.07
***p< .001

3. 스마트폰 구입의 세대별 차이

세대 간 스마트폰 구입 시 선호하는 고려요인에 대한 의견은 <Table 5>와 같다. 제품 구입 시 10대~20대가 가장 선호하는 고려요인은 신제품의 기능이 18(1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격은 2(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0대~40대가 가장 선호하는 고려요인은 신제품의 기능이 1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격은 6%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50대 이상에서 가장 선호하는 고려요인은 역시 신제품의 기능이 1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브랜드는 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스마트폰의 제품 구입 시 모든 세대가 가장 선호하는 고려요인은 신제품의 기능이 4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격은 16%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Table 5> 
Considerations for preference factors for buying smart phones between generations (n=100)
Generation Teenager~20s 30s~40s Above 50s Total
Case percent
Price 2 (2%) 6 (6%) 8 (8%) 16 (16%)
Design 12 (12%) 6 (6%) 0 (0%) 18 (18%)
New product features 18 (18%) 15 (15%) 10 (10%) 43 (43%)
Brand 8 (8%) 13 (13%) 2 (2%) 23 (23%)
Total 40 (40%) 40 (40%) 20 (20%) 100 (100%)

4. 스마트폰 활용목적의 세대별 차이

세대 간 스마트폰 사용 시 활용목적에 대한 의견은 <Table 6>과 같다. 전체 응답자 100명 중 10대~20대의 스마트폰 주요 활용목적은 SNS가 37(9.30%)로 가장 높았고, 스마트뱅킹이 17(4.27%)로 가장 낮았다. 30대~40대의 스마트폰 주요 활용목적은 정보검색이 40(10.05%)로 가장 높았고 TV시청이 12 (3.02%)로 가장 낮았다. 50대 이상에서 스마트폰 사용 시 주요 활용목적은 정보검색이 18(4.52%)로 가장 높았고 TV시청이 3 (0.75%)로 가장 낮았다. 전체 대상자, 즉 모든 세대별의 스마트폰 주요 활용목적은 정보검색이 92(23.11%)로 가장 높았고 TV시청이 34 (8.5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Table 6> 
Considerations for purpose of utilization smart phones between generations
Teenager~20s 30s~40s Above 50s Total
Case percent
Learning (%) 19 (4.77%) 20 (5.03%) 4 (1.00%) 43 (10.80%)
SNS (%) 37 (9.30%) 21 (5.27%) 13 (3.27%) 71 (17.84%)
Information Retrieve (%) 34 (8.54%) 40 (10.05%) 18 (4.52%) 92 (23.11%)
Game (%) 25 (6.28%) 17 (4.27%) 7 (1.76%) 49 (12.31%)
Shopping (%) 25 (6.28%) 23 (5.78%) 8 (2.01%) 56 (14.07%)
TV (%) 19 (4.77%) 12 (3.02%) 3 (0.75%) 34 (8.54%)
Smart banking (%) 17 (4.27%) 26 (6.53%) 10 (2.51%) 53 (13.32%)
Total (%) 176 (44.22%) 159 (39.95%) 63 (15.83%) 398 (100%)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세대별 일상생활에서의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유용성에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스마트폰이 모든 세대에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쓰임새인 유용성에서는 세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30대~40대와 50대 이상 간에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사회활동의 주체이며 디지털 네이티브인 30대~40대 층과 장년 층 이상에서의 세대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으로 모바일에 상대적으로 불편을 겪는 50대(Morris et al., 2007) 이상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품개발 및 그에 따른 교육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모바일 사회에의 적응뿐만 아니라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여 평생교육(Yang Tack-Chul, 2015)을 실천할 수 있는 즉, 모바일 사회에 주어진 당면한 과제라고 할 것이다. 둘째,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 사용의 용이성에는 세대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조사한 전 세대 간에서 용이성의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스마트폰이 전 세대에서 사용되고는 있으나 접근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각 세대의 특징적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품이 다양하게 보급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과 각 세대에 알맞은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스마트폰 구입 시 가장 선호하는 고려요인은 모든 세대에서 신제품의 기능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새로운 제품에 대한 기대치 중에서도 모든 세대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제품의 기능임을 의미하며, 또한 10대~20대와 50대 이상 간에서 나타난 가격에 대한 차이는 부모에게 용돈을 타서 쓰는 10대~20대의 경제 감각이 50대 이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아직 경제 활동 전인 10대~20대가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필요 기능에 주목하여 신제품의 기능을 첨가하되 사용 빈도가 적은기능을 대폭 축소하여 보다 경제적인 스마트폰의 출시를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세대별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 활용 목적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결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세대별로 각각 스마트폰의 활용 목적이 다름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전 세대에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볼 때 인터넷 기기에서처럼 스마트폰에서도 세대 간의 차이가 점 점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10대~20대의 스마트폰 주요 활용목적이 SNS가 37(9.30%)로 가장 높게 나타난 결과를 보면 부모들이 원하는 학습으로 활용되는 것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가장 낮은 스마트뱅킹은 아직 미성년자이므로 공인인증서를 발급할 수 없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현대 사회의 패러다임에 맞춰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고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 풍부한 콘텐츠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 교육의 채택 및 보급이 더욱 활성화 되어져야 한다. 그리하여 스스로 동기를 유발하고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사회적인 학습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자기주도학습 및 개인 맞춤식(Heo Hyo-Won, 2014) 학습을 언제 어디에서나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행정적, 교육적, 환경적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스마트폰의 활용목적이 모든 세대에서 정보검색과 SNS에 집중된 점은 네트워크 사회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므로 스마트폰을 통해서 긍정적인 사회연결망을 형성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2. 제언

이 연구는 사례수의 한계가 있어서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대 간 스마트폰 사용실태를 제대로 파악하여 향후 연구의 기초자료로 삼는 것은 현대의 정보 사회에 효과적으로 적응하고 적용하기 위해 의미 있는 연구라고 판단된다.

이미 우리 사회는 모바일 중심 사회로의 변화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다. 물론 스마트폰이 주는 폐해에 대한 경계의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사실이지만 사실상 우리 삶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하고 있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이러한 시대에 스마트폰의 유용성과 용이성, 신제품 구입 시의 고려요인과 스마트폰의 활용목적을 세대별로 알아보는 것은 스마트폰을 보다 더 유용하고 긍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노력으로 보여 진다. 또한 현대 지식정보화 사회에서의 교육 조직은 자율성이라는 큰 틀 속에서 무한 경쟁사회로 변모되고 있다(Lee Ki Yong, 2016). 이와 같은 흐름에 발맞추어 교육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변화와 개혁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를 가져오기 위한 방법으로 스마트교육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새로운 패러다임에 부합하는 교육으로서 많은 기대를 모아온 것과는 달리 스마트교육은 그 정체성에서 혼란을 겪고 있다(Yoon Ga-oung et al., 2017).

따라서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학습에의 낮은 활용 결과는 스마트폰 기술이 학교 현장이나 사회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되고 발전하기 위해 어떤 고민이 필요한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임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교육을 위한 노력에는 스마트 기기가 아닌 교육적 패러다임 변화에 초점을 두고 이해해야하며(Kim Min-Hwan & Kwon Dong Taek, 2013) 교육의 패러다임을 학습자 중심으로(Noh Kyu Sung & Joo Sung Hwan, 2011) 변화시키는데 배전의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더불어 이와 같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각 연령별로 적합한 스마트폰의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Choi Jeong-Il & Jang Ye-Jin ,2015) 평생학습 사회에서 스마트교육의 핵심인 모바일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각 세대별로 파악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 이 논문은 수산해양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을 수정 보완함.


References
1. Baek, Kyung-Young, (2013),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Using Smart Device,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 Choe, Jeong-Il, & Jang, Ye-Jin, (2015), Use form by age-based of Smart phones and Necessity of Security, Korea Fusion Security Thesis, 15(6), p89-97.
3. Choi, Hak-Yoon, (2015), Relational Analysis of Smartphone Sports Application Usage Motivation, Sports Attitude, Leisure Satisfaction, Exercise Flow, Sport Continuance,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4. Gang, Gi-Su, (2017), The Effect of the Use of Smart Phone on Teachers` Interaction with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Babies,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5. Gang, Yo-Han, kim, Gyo-Jin, Sin, Sang-Hui, An, Byeong-Gin, Hwang, Byeong-Il, & Hong, Seung-Gwon, (2006), “Analysis of the use of cell phone menu by Age of Age,” Korean Society of Human Engineers, Autumn Annual Conference, p410-414.
6. Ghang, Eun-Kyeong, & Lee, Hoo-Kyeong, (2010),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martphone User Satisfaction, Consumer culture research, 13(4), p129-145.
7. Han, Sang-Il, (2013),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ed the Using Intention of Smart Phone, A Study on Business Management, 20(3), p107-122.
8. Heo, Hyo-Won, (2014), An Empirical Study on the Critical Factors Affecting Use Behaviors of Mobile Learning, Doctoral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9. Hwang, Jin-Suk, (2017), A Study on Digital Forensic Countermeasures Cyber Attacks in the Connected Society,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10. Hwang, Young-Mi, (2009), The effects of tendency at digital natives on tourism behavior, Master`s Thesis, Dongmyeong University.
11. Jeon, Min-Jae, (2016), The Effects of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Smartphone on Satisfaction and Brand Repurchase Intention, Master`s Thesis, Cheongju University.
12. Jeong, Man-Su, (2014), The Effects of Age and Need for Cognition on Smart Phone Using Behavior : A Study of Smart Phone Dependency, Mobile Application, Privacy Concern, and Mobile Ad Avoidance, Advertising research, 26(6), p105-133.
13. Jeong, Woo-Cheol, (2010), A Design of the Lightweight and Authentication System for the Safe Recovery of the User's Information when the Smart Phone is Lost,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14. Jung, Dae-Hyun, & Weon, Jong-Ha, (2016),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to Reorganize the NCS Training Program : Focusing on the 4-Year-Course University,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8(4).
15. Kim, Hee-Jung, (2016), A Preliminary Study for a Academic Probation Target Individual Learning Coaching Program Development,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8(4), p971-983.
16. Kim, Min-Hwan, & Kwon, Dong-Taek, (2013), The Study on the Educational Prerequisites for Stable Implementation of SMART Education in School,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3(5), p661-676.
17. Lee, Chung-Hun, & Jeong, Jae-Wook, & Lee, Choong-Cheang, (2014), A Comparative Study on Factors Affecting Intergenerational Smartphone Use: Focusing on the New Silver Generation and the Net Generation,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23(4), p49-74.
18. Lee, Hye-Joon, (2017), Mobile Native Generation Festival, Visit VidCon, Korea Broadcasting Journalist Association, newsman, 37, p30-31.
19. Lee, In-Hui, (2014), Influence of Smartphone Use Tendency and Addiction on Middle Aged People,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20. Lee, Ki-Yong, (2016),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eadership of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ials' Superiors,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8(4), p936-946.
21. Morris, A., Goodman, J., & Brading, H., (2007), "Internet Use and Non-Use : Views of Older Uses", Universal Assess in the Information Society, 6(1), p43-57.
22. Noh, Kyu-Sung, & Joo, Sung-Hwan, (2011), An Exploratory Study on Smart Campus Mod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9(3), p181-190.
23. Park, Il-Woo, (2012), Utilization and Circulation of Smart Phone Mobile Application of Travel Agencies through Expa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24. Park, Jong-Hyeon, Kim, Mun-Gu, & Lee, Ji-Hyeong, (2012), How smart IT changes future, Seoul, An electronic newspaper.
25. Seo, Jae-Yeon, (2014), The effects of technology readiness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 tourism application,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26. Shim, Hong-Jin, Kim, Yong-Chan, Shon, Hae-Young, & Lim, Ji-Young, (2011), “An Exploratory Usage Pattern Research of Smartphone and Social Media User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 Gender and Age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Usage Pattern, korean society of Broadcasting, 25(4), p82-138.
27. Shin, So-Young, (2010), study on the effec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innovative service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s on receptive attitude,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28. Sin, Dae-Un, (2016),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Use of Smartphone to Marine Traffic Safety, Master`s Thesis, Korea Maritime University.
29. Sin, Ho-Yeong, (2013), An Empirical Study on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Intent of Smartphone Users, Doctoral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30. Son, Young-Jun, & Kim, Ock-Tae, (2011),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r Experience and Purchase Motivation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iness,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55(5), p286-311.
31. The editorial staff, (2012), Investigate smartphone utilization, Research report, 7, p1-20.
32. Yang, Tack-Chul, (2015), A study on the motivation of middle-aged women'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nd the impact of their life satisfaction on their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33. Yoon, Ga-oung, Lee, Hyo-Jin, & Park, Inn-woo, (2017), A Study on the Defined and Realized Attributes of SMART Education,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23(1), p183-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