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Journal Archive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29 , No. 6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29, No. 6, pp. 1913-1926
Abbreviation: J Kor Soc Fish Mar Edu.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Dec 2017
Received 19 Jun 2017 Revised 24 Jul 2017 Accepted 02 Aug 2017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17.29.6.1913

SLP의 전문성과 역량에 관한 인식 수준
박찬희
한국국제대학교

A Study on Professionalism and Capability Awareness Toward of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Chan-Hee PARK
Korea Inter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19821567@hanmail.net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ofessionalism and capabilities of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To this end, this study intended to propose a fundamental research for preparing measures for establishing professionalism of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This study investigated if there is difference in gender, age, marital status, with or without children, type of workers, position, service area, employment history, highest level of education, number of therapy targets, and office hours on 200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produced based on precedent studie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gnition on whether personal variables of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make effect on professionalism. Secondly,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gnition on whether personal variables of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make effect on capability as well. To sum up, it has been verified that recognition on professionalism and capability of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get affected by gender, age, marital status, having children or not, type of worker, position, occupied location, employment history, highest level of education, number of therapist targets, and office hours.


Keywords: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Professionalism, Capability

Ⅰ. 서 론

현대 사회가 발전하면서 특수교육과 재활치료영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노인인구의 증가로 노년층의 언어치료 대상자가 증가하며 각종 장애의 위험 요소에 노출되어 있는 유·아동의 출현율도 증가되고 있다. 재활치료의 한 영역인 언어치료영역을 담당하고 있는 언어재활사는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가진 대상자들에게 언어발달을 유도하거나 중재하는 역할을 한다.

The Korean Association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2012)의 정의에 따르면 아동기 언어발달 장애를 비롯하여 뇌졸중 또는 치매와 같이 두뇌 기능장애로 인한 신경 말 언어장애, 삼킴장애, 발음에 문제를 보이는 조음음운장애, 성대 등 음성산출기관의 문제로 인해 목소리를 정상적으로 산출하지 못하는 음성장애, 말더듬과 같은 유창성장애, 지적장애 또는 자폐범주성 장애 등과 같은 발달장애를 동반한 의사소통장애, 청각장애를 동반한 말 언어장애에 대한 전문적인 중재 및 재활을 담당하는 전문인으로 정의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언어치료에 대한 역사는 1936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그리 길지 않은 편이다. 1980년대에 들어오면서 언어장애인들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더불어 최조 장애인복지관의 설립, 대학에서 언어치료학과의 개설 및 전공자의 배출이 시작된 것이다. 현재는 언어재활사가 되기 위해 대학, 대학교, 대학원 등에서 장애인 복지법 시행규칙 제 75조의 4에 해당되는 필수과목과 선택과목을 이수한 후 언어재활사 국가고시에 응시하여야 한다. 예전의 특수학교와 조기교육 기관에서 특수교사들이 언어치료를 담당했던 때와는 달리 전문화되며 질적으로 발전되어 오고 있는 변화의 모습이다.

Park Eun-Sook(2005)은 언어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가장 중요한 질적 요인이 언어재활사라고 설명하였으며, 아무리 좋은 치료환경과 프로그램을 실시한다고 할지라도 그것을 직접 치료하는 우수한 치료사만큼 중요한 것은 없다고 주장하였다. Byeon(2006)은 언어치료 대상자가 증가함에 따라 언어치료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언어장애를 중재해 줄 수 있는 전문가가 당연히 필요하며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복지와 재활이 강조되는 현 시대에 언어치료와 언어치료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고 설명하였다. 이러한 요구에 발맞추어 매년 많은 수의 언어재활사가 배출되며 언어치료 현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므로 증가하는 언어재활사의 수만큼 이들의 전문성과 핵심역량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더욱더 필요해 진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문성이란 단순한 작업을 하는 직업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지식 및 기술을 가지고 있으면서 독특한 직업조직, 직업윤리, 직업 문화를 형성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에 대한 봉사지향적인 직업적 능력으로 일반 직업에 비해 고도로 요구되는 것을 말한다(Lee, 2012). 이 연구에서‘언어재활사의 전문성’은 현제도와 정책의 이해, 전문적 지식, 진단평가, 도구제작 능력, 소명의식 그리고 책임감과 윤리의식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역량은 조직 환경 속에서 효과적으로 업무를 수행 할 수 있는 조직이나 개인의 행동특성을 의미한다(Lee, 2009). shim Jae chan(2016)은 언어재활사의 전문성을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고 고도의 지식 및 언어재활사의 역량은 언어재활사가 다양한 언어치료 중재 상황을 효과적이고 우수하게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 전문 지식과 기술, 직무관리, 동기, 가치, 성격적 특성들을 통합된 형태로 구조적 정의하기도 하였다.

이 연구에서 ‘언어재활사의 역량’은 치료 목표달성 능력, 업무수행능력, 보수, 전문적 정보 수집력, 동료관계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즉, 언어재활사가 언어치료현장에서 언어문제행동의 개선과 더불어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계획하고 실시할 때,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지식과 기술, 우수한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개인의 직업적 흥미, 일을 대하는 태도, 가치를 총칭한다고 볼 수 있다. 언어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언어재활사는 다양한 유형의 언어장애인들에게 상담, 평가, 중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고도로 전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 사명감 즉 전문성이 요구된다. 전문직으로서 자신의 신념과 성향을 바탕으로 언어장애인이나 그들의 가족에 대한 윤리성을 갖추고 최선의 중재를 자율적으로 실시하며, 사회봉사적 의무를 가지고서 언어치료와 관련된 여러 가지 일들을 해석하고 지식을 구성하며 자신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하기 때문이다(Han Chun Gun& Hwang Sang Shim, 2012). 또한 언어재활사의 전문성과 역량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전문적인 지식, 기술, 경험등과 더불어 신념과 책임감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선행연구로는 언어치료사의 직업 전문성 연구(Han, 2012), 언어재활사의 언어치료 직무에 대한 인식(Kim, 2016), 우리나라 언어재활사 치료역량척도 개발 및 관련변인 연구(Shim, 2016) 언어재활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인간중심 슈퍼비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Lee, 2016)의 연구로 언어재활사의 전문성과 역량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을 뒷받침하는 연구가 현재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현재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본인의 직업에 대한전문성과 역량의 의견을 조사하여 언어재활사의 역량과 전문성 신장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언어재활사의 직업 전문성 및 역량 인식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상기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재활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개인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언어재활사의 역량에 대한 인식은 개인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이 연구의 대상은 언어재활사의 전문성과 역량에 관한 인식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서 언어재활사가 많이 분포되어 있는 서울, 경기도지역 그리고 경상도(경상남·북도), 충청도(충청남·북도), 전라도(남·북도) 및 그 외 기타지역(강원도·제주도)의 8개 도 중심으로 분류하여 지역의 복지관, 사설언어치료실, 병원언어치료실 등에서 현재 근무하고 있는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표집된 대상의 일반적인 현황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Basic Information of Research Subjects
Vari able Description Frequency %
Gender Male 42 20.9
Female 159 79.1
Age 20~30 years old 104 51.7
31~40 years old 62 30.8
41~50 years old 26 12.9
50 years old or older 9 4.5
Marital Status Single 128 53.7
Married 73 36.3
Children Yes 51 25.4
No 150 74.6
Type of Workplace Private Rehabilitation Center 146 72.6
Hospital 15 7.5
Welfare Center 14 7.0
Education Office 11 5.5
Daycare center 5 2.5
Other 10 5.0
Position Director 23 11.4
Director (holding concurrent position of manager) 12 6.0
Department Head(Manager) 28 13.9
Speech Therapist 138 68.7
Region Seoul 13 6.5
Gyeonggi-do 23 11.4
Gyeongsang-do 81 40.3
Chungcheong-do 24 11.9
Jeonlla-do 47 23.4
Other 13 6.5
Career Less than 1 year 16 8.0
1 year ~ less than 3 years 56 27.9
3 years ~ less than 5 years 50 24.9
5 years ~ less than 7 years 35 17.4
7 years ~ less than 10 years 25 12.4
10 years or more 19 9.5
Education Level College Graduate (Junior College of 2- and 3-year system) 13 6.5
College Graduate 123 61.2
Graduate School Student and Graduate School Graduate 65 32.3
Number of Patients 2~3 persons 25 12.4
4~5 persons 26 12.9
6~7 persons 80 39.8
8~9 persons 52 25.9
10 persons or more 18 9.0
Working Hour 5 hours or less 21 10.4
6~7 hours 54 26.9
8 hours 83 41.3
9~10 hours 33 16.4
10 hours or more 10 5.0

2. 연구 도구

이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Park Kyung-Jin (2015)보육교사의 보육현장 핵심역량 인식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요구조사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와 Chun E-Seul(2013) 우리나라 언어치료사의 핵심역량의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조사도구의 설문구성은 문항의 내용에 따라 세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첫째, 응답자의 배경변인 관련 문항, 둘째, 언어재활사의 역량 문항, 셋째, 언어재활사의 전문성 문항이다.

설문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응답자의 배경변인 11문항, 전문성 12문항, 역량 12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 문항의 반응 방식은 Likert식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아주 아니다 1점, 아니다 2점, 보통이다 3점,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배정하여 측정하였다.

3. 연구 도구의 신뢰도

연구 도구는 언어치료학과 교수 3인과 1급 언어재활사 5인 2급 언어재활사 3인에게 의뢰하여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였으며 ,신뢰성 분석을 하였다.

평가방법으로는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한 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언어재활사의 역량에 대한 신뢰도 계수는 0.86, 언어재활사의 전문성에 대한 신뢰도 계수는 .78로 나타났다.

설문지의 각 하위 요인별 문항구성과 신뢰도 계수는 <Table 2>와 같다.

<Table 2> 
Areas of each question
Classification Item content Number of questions Cronbach's α
1. Professionalism Understanding of current system and policies 12 .86
Treatment goal setting
Professional knowledge
Diagnosis evaluation
Motivational technique
Short and long-term treatment plan
Data production ability
Necessity of feedback
Participation of research study and seminar
Team approach links
Reason for becoming a speech pathologist
Example as a speech pathologist
2. Capability Capacity of speech therapy 12 .78
Attainment of future goals
Professional ability
Conquest capability of difficult tasks
Pay
A sense of work pressure
Independent job performance
Professional treatment
Collecting up-to-date information
Worth as a speech language pathologist
Colleagues' support
Response of therapy subjects

4. 연구 절차

이 연구는 2017년 3월 1일부터 2017년 7월 30일까지 직접 또는 우편으로 설문지의 배부 및 회수가 이루어졌다. 총 300부의 배부된 설문지중 213부를 회수하였으며 그중 불성실한 답변이나 미 기입, 작성중도포기 등 적합하지 않은 13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00부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설문조사 회수, 유효자료 현황은 <Table 3>과 같으며, 연구 설문지는 <부록 1>에 제시하였다.

<Table 3> 
Present condition of survey targets
Classifi cation Survey target Questionnaire recovery Valid data
Speech language pathologist Number of cases (people) Number of cases (people) Recovery rate (%) Number of cases (people) Ratio of valid data(%)
300 213 71 200 66.7

5. 자료분석

이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for window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인 언어재활사의 개인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둘째, 언어재활사의 전문성과 역량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산출하였다. 셋째, 연구 대상의 개인 변인에 따른 역량과 전문성 인식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 및 ANOVA를 실시하고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언어재활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전문성 차이

언어재활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전문성 인식에 대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Table 4> 
Background variables that affect professionalism of SLP
Variable Description Average SD t/F p Post Hoc Test
Gender Male 3.31 .744 -1.355 .177 n/a
Female 3.46 .757
Age 20~30 years old(a) 3.36 .647 2.529 .042* d>a
31~40 years old(b) 3.46 .543
41~50 years old(c) 3.48 .615
50 years old or older (d) 4.10 .460
Marital Status Single 3.36 .610 -2.308 .022* n/a
Married 3.56 .607
Children Yes 3.55 .710 1.583 .115 n/a
No 3.39 .577
Type of Workplace Private Rehabilitation Center 3.50 .641 1.666 .145 n/a
Hospital 3.29 .637
Welfare Center 3.27 .371
Education Office 3.11 .382
Daycare center 3.07 .670
Other 3.48 .530
Position Director(a) 3.75 .786 3.590 .015* a>d
Director (holding concurrent position of manager)(b) 3.62 .711
Department Head(Manager) (c) 3.47 .534
Speech language pat hologists(d) 3.37 .573
Region Seoul(a) 3.29 .862 3.500 .005* d>a
Gyeonggi-do(b) 3.42 .750
Gyeongsang-do(c) 3.58 .506
Chungcheong-do(d) 3.61 .612
Jeonlla-do(e) 3.16 .607
Other(f) 3.35 .425
Career Less than 1 year(a) 3.47 .818 3.007 .012* f>b
1 year ~ less than 3 years(b) 3.24 .654
3 years ~ less than 5 years(c) 3.41 .522
5 years ~ less than 7 years(d) 3.48 .520
7 years ~ less than 10 years(e) 3.47 .478
10 years or more(f) 3.85 .704
Education Level College Graduate (Junior College of 2- and 3-year system)(a) 2.85 .705 10.119 .000** c>a
College Graduate(b) 3.39 .601
Graduate School Student and Graduate School Graduate(c) 3.62 .540
Number of Patients 2~3 persons 3.33 .801 1.325 .262 n/a
4~5 persons 3.30 .577
6~7 persons 3.54 .468
8~9 persons 3.36 .671
10 persons or more 3.50 .757
Working Hour 5 hours or less(a) 3.21 .691 5.810 .000 d>a
6~7 hours(b) 3.38 .536
8hours(c) 3.33 .626
9~10 hours(d) 3.82 .491
10 hours or more(e) 3.74 .592
*p<0.05
**p<0.01

<Table 4>에 따르면, 성별, 자녀여부, 근무지 유형, 하루치료 대상 수의 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을 살펴보면, 20~30(a) M=3.36, 31~40(b) M=3.46, 41~50(c) M=3.48, 50이상(d) M=4.10로 나타났다. 검정통계량을 살펴보면, F=2.529이고 P=0.042이므로 연령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혼여부를 살펴보면, 미혼의 M=3.36이고, 그리고, 기혼 M=3.56으로 나타났다. 검정통계량을 살펴보면, F=-2.308이고 P=0.022이므로 결혼여부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직위를 살펴보면, 원장(a) M=3.75, 원장(관리자)겸직(b) M=3.62, 실장급(관리자)(c) M= 3.47, 언어치료사(d) M=3.37으로 나타났다. 검정통계량을 살펴보면, F=3.590이고 P=0.015이므로 직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근무지역을 살펴보면, 서울(a) M= 3.29, 경기도(b) M=3.42, 경상도(c) M=3.58, 충청도(d) M= 3.61, 전라도(e) M=3.16, 그리고, 기타(f) M= 3.35으로 나타났다. 검정통계량을 살펴보면, F= 3.500이고 P=0.005이므로 근무지역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근무경력을 살펴보면, 1년미만(a) M=3.47이고, 1~3년미만(b) M=3.24, 3~5년미만(c) M=3.41, 5년~7년미만(d) M=3.48, 7년~10년미만(e) M=3.47, 그리고, 10년이상(f) M= 3.85으로 나타났다. 검정통계량을 살펴보면, F= 3.007이고 P=0.012이므로 근무경력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최종학력을 살펴보면, 대학졸업(2,3년제)(a) M=2.85, 대학교졸업(b) M=3.39, 대학원 재학 또는 대학원 졸업(c) M=3.62으로 나타났다. 검정통계량을 살펴보면, F=10.119, P= 0.000이므로 최종학력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루 평균 근무시간을 살펴보면, 5시간이하(a) M=3.21이고, 6~7시간(b) M=3.38, 8시간(c) M= 3.33, 9~10시간(d) M= 3.82, 그리고, 10시간이상(e) M= 3.74으로 나타났다. 검정통계량을 살펴보면, F=5.810이고 P= 0.000이므로 하루 평균 근무시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언어재활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역량 차이

연구 대상자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역량인식에 대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Table 5> 
background variables that  affect capability of SLP
Variable Description Frequency SD t/F p Post Hoc Test
Gender Male 3.31 .654 -1.148 .253 n/a
Female 3.42 .507
Age 20~30(a) 3.33 .542 3.075 .017* d>e
31~40(b) 3.41 .540
41~50(c) 3.50 .439
50 years old or olde(d) 3.95 .559
Marital Status 여부 Single 3.35 .521 -1.667 .097 n/a
Married 3.48 .567
Children Yes 3.51 .677 1.747 .082 n/a
No 3.36 .482
Type of Workplace Private Rehabilitation Center 3.42 .568 .630 .677 n/a
Hospital 3.37 .567
Welfare Center 3.34 .452
Education Office 3.20 .218
Daycare center 3.13 .411
Other 3.42 .530
Position Director(a) 3.54 .802 2.385 .070 n/a
Director (holding concurrent posi tion of manager)(b) 3.65 .712
Department He ad(Manager)(c) 3.23 .520
Speech language pathologists(d) 3.38 .463
Region Seoul(a) 3.25 .796 3.170 .009* n/a
Gyeonggi-do(b) 3.36 .605
Gyeongsang-do(c) 3.50 .464
Chungcheong-do(d) 3.58 .605
Jeonlla-do(e) 3.17 .507
Other(f) 3.39 .277
Career Less than 1 year(a) 3.38 .776 1.727 .130 n/a
1 year ~ less than 3 years(b) 3.29 .549
3 years ~ less than 5 years(c) 3.38 .430
5 years ~ less than 7 years(d) 3.40 .433
7 years ~ less than 10 years (e) 3.42 .482
10 years or more(f) 3.71 .724
Education Level College Graduate (Junior College of 2- and 3-year system)(a) 2.92 .750 8.885 .000** c>a
College Graduate(b) 3.36 .507
Graduate School Student and Graduate School Graduate(c) 3.56 .493
Number of Patients 2~3 persons 3.35 .782 .824 .511 n/a
4~5 persons 3.32 .487
6~7 persons 3.47 .433
8~9 persons 3.32 .558
10 persons or more 3.46 .601
Working Hour 5 hours or less(a) 3.17 .693 3.962 .004* d>a
6~7 hours(b) 3.41 .442
8 hours(c) 3.31 .543
9~10 hours(d) 3.66 .482
10 hours or more(e) 3.58 .530
*p<0.05
**p<0.01

<Table 5>에 따르면, 성별, 결혼여부, 자녀여부, 근무지 유형, 직위, 근무경력, 하루치료 대상수의 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을 살펴보면, 20~30(a) M=3.33, 31~40(b) M=3.41, 41~50(c) M=3.50, 50이상(d) M=3.95로 나타났다. 검정통계량을 살펴보면, F=3.075, P=0.017이므로 연령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근무지역을 살펴보면, 서울(a) M=3.25, 경기도(b) M=3.36, 경상도(c) M=3.50, 충청도(d) M=3.58, 전라도(e) M= 3.17, 그리고, 기타(f) M=3.39으로 나타났다. 검정통계량을 살펴보면, F=3.170이고 P=0.009이므로 근무

지역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최종학력을 살펴보면, 대학졸업(2,3년제)(a)의 M=2.92, 대학교졸업(b) M=3.36, 대학원재학 또는 대학원졸업(c) M=3.56으로 나타났다. 검정통계량을 살펴보면, F=8.885, P=0.000이므로 최종학력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루 평균 근무시간을 살펴보면, 5시간이하(a) M=3.17이고, 6~7시간(b) M=3.41, 8시간(c) M=3.31, 9~10시간(d) M=3.66, 그리고, 10시간이상(e) M=3.58으로 나타났다. 검정통계량을 살펴보면, F=3.962, P=0.004이므로 하루 평균 근무시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Ⅳ.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는 언어치료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전문성과 역량에 대한 전반적 인식 현황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언어재활사의 성별, 연령, 결혼여부, 자녀여부, 근무지 유형, 직위, 근무지역, 근무경력, 학력, 하루 치료대상 수, 근무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결과와 고찰하면서 논의하고자 한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언어재활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개인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것으로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재활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전문성 인식 차이를 조사한 결과, 성별, 자녀여부, 근무지 유형, 하루치료 대상 수의 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Kim Myung Soo(2016)의 연구에서 직업전문성은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연령, 직위, 지역, 경력, 학력, 근무시간의 변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연령의 경우 50세 이상> 20-~30세, 직위의 경우 원장> 언어재활사, 지역의 경우 충청도>서울, 경력 의 경우 10년이상> 1~3년미만, 학력의 경우 대학원 재학 및 대학원 졸업> 대학졸업, 근무시간 의 경우 9-10시간>5시간 이하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경력이 높을수록 보육프로그램의 질이 높다는 Lee Kyung Rim(2005)의 연구와도 상이한 결과로 1~3년 미만사이의 경력을 가진 언어재활사들은 가장 적극적이며 의욕이 넘치는 시기이므로 다양한 교육적 여건의 마련으로 인하여 적절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직위가 원장일 경우 언어재활사의 경우보다 전문성 인식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직위가 높을수록 Park Ju hee(2010)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며 전문성 인식의 수준은 단순히 직위가 높다고 해서 상승되는 것이 아니라 현장에서 다양한 경험을 통해 길러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언어재활사의 역량 인식이 개인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 지를 살펴보는 것으로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둘째, 언어재활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역량 인식 차이를 조사한 결과, 성별, 결혼여부, 자녀여부, 근무지 유형, 직위, 근무경력, 하루치료 대상수의 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령, 지역, 학력, 근무시간의 변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의 경우 50세 이상> 20-~30세, 지역의 경우 충청도>전라도, 학력의 경우 대학원 재학 및 대학원 졸업> 대학졸업, 근무시간의 경우 9-10시간>5시간 이하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이 높고 경험이 많은 언어재활사들이 언어치료에 대한 많은 경험을 통해 치료 능력이나 이해도가 높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Lim Youn-Suk(2015)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학력의 배경변인에서는 대학원 재학 및 대학원 졸업의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전문성과 역량인식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Lee So Eun(2006)의 연구결과 학력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와 자기계발, 자기발전성이 높아진다는 결과와 같은 맥락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평균근무시간이 높을수록 전문성과 역량 인식의 수준이 높았으며 이는 언어재활사로서의 전문적 역할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더 많이 자각한다고 볼 수 있으며 전문성과 역량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Lee Yun-Sook(2009)의 주장처럼 무엇보다 미개발된 핵심 역량을 적극적으로 증진시키고 교육의 비효율성을 줄이고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향후 역량 개발의 우선순위를 선정한 역량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재활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에서 연령에 따른 전문성 인식에 있어서는 50세이상(M=4.10)의 연령이 가장 높고, 20~30세 이상(M=3.36)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직위를 살펴보면 원장(M=3.75)이 언어재활사(M=3.37)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지역에서는 충청도(M=3.61)가 서울(M=3.29)에 비해 높고, 근무경력을 살펴보면, 10년이상(M=3.85 )로 1~3년미만(M=3.24)보다 높게 나타났다. 최종학력의 경우 대학원 재학 또는 대학원 졸업(M=3.62)이 대학졸업(2,3년제)(M=2.85)보다 높으며 마지막으로 근무시간의 변인에서는 9~10시간(M= 3.82)이 5시간이하(M=3.21)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언어재활사의 전문성 인식에 연령, 직위, 경력, 학력 등이 영향을 제공하는 주요요인임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언어재활사들의 다양한 배경변인에 대한 정보는 이들의 전문성 인식을 향상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언어재활사들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연령이 낮고 경력이 낮은 언어재활사들이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수의 제공과 더불어 충분한 기회를 보장해 주어야 하며 이와 함께 자신 스스로 전문성 개발을 위한 지적 능력을 갖추고 업무 수행에 있어 전문적 자율성과 책임감을 발휘하기 위해 노력해야 함을 이 연구에서 시사하고 있다. 둘째, 언어재활사의 역량에 대한 인식에서는 연령의 경우 50세 이상이(M=3.95)로 가장 높으며 20~30(M=3.33)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근무지역은 충청도(M=3.58)가 전라도(M= 3.17)에 비해 높으며, 최종학력은 대학원재학 또는 대학원졸업(M=3.56)이 대학졸업(2,3년제)(M=2.92)에 보다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하루 평균 근무시간을 살펴보면 9~10시간(M=3.66)이 가장 높으며 5시간이하(M=3.17)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언어재활사의 역량 인식에 연령, 학력, 근무시간 등이 영향을 제공하는 주요요인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언어재활사들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업무수행능력, 전문적 정보 수집력, 사명감, 동료관계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즉 언어재활사들의 역량을 논의할 때 주 치료 대상이 되는 장애아동에 대한 사랑, 봉사심 등이 강조된다. 하지만 핵심 역량을 갖추기 위해서는 이론과 기술을 습득 응용한 업무수행능력, 전문적 정보 수집력, 동료관계 등을 갖추어야 한다. 이에 언어재활사의 역량과 관련한 명확한 개념의 확립과 그것을 토대로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언어재활사의 전문성과 역량 개발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학교, 학회 또는 협회, 보수교육 등의 방법을 마련하여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언어재활사의 전문성과 역량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통한 조사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 대한 내용을 자기 응답식 설문을 통해 점수화하였기에 보다 정확한 정보 수집을 위하여 현장 관찰이나 면접을 통한 세부적인 연구가 추가로 필요할 것이다. 둘째, 언어재활사의 전문성과 역량은 언어치료의 질과도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그러므로 언어재활사의 전문성 향상과 역량 신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변인들을 조사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 이 논문은 한국국제대학교 2017년 교내연구비 지원 논문임


References
1.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 New York, W. H. Freeman.
2. Boyatizis, R. E., (1982),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3. Bullought, R. V., (1987), First year teaching; A case study, Teacher College Record, 89(2), p39-46.
4. Byeon, Ae-Sim, (2006), A study on using reality,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method for speech-language therapy center of parents having disabled child, Yong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degree claim thesis.
5. Chun, E-Seul, (2013), Core Capacitie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in Korea.
6. Fuller, F. F., & Brown, O. H., (1975), Becoming a teacher, In, Kevin Ryan (Ed.), Teacher Education, p25-52,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 Han, chun gun, (2012), Professionalism of Speech and Language Pathologists in Korea, Nambu University Graduate School , Master’s thesis.
8. Han, Chun Gun, Hwang, Sang Shim, (2012), Professionalism Perception of Speech and Language Pathologists in Korea,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1(4), p287-305.
9. Han, Myung-Seon, (2010), A Study on the Job Stress of Caregivers in Geriatric Hospital, Sahmyook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10. Hawk, P. P., (1984), Making difference: Reflection and thoughts of the first year teachers, Greenville, NC, East Carolina University.
11. Huberman, M., (1989), The Professional Life Cycle of Teachers, Teachers College Record, 91(1), p31-57.
12. Huling-Austin, L., (1992), Teacher induction programs and internship, Houston, W.R.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13. Huling-Austin, L., (1990), What can and cannot reasonably be expected from teacher induction program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7(1), p2-5.
14. Hwang, Jung-Eun, (2010), A Study on the Effects of Social Recognitions on Social Enterpriser on Job Satisfaction of Workers: focusing on the disabled-centered social enterprises, Soongsil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ate thesis.
15. Hyeon, Ji-Won, (2003), A Study on Empowerment Among Operating Room Nurses,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16. Johnson, N. A., Tatsoy, E. Q., Holdaway, E. A., & Friesen, D., (1993), The Induction of teachers: A major internship program,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4(4), p196-304,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7. Katz, L, G., (1972), Developmental stage of preschool teachers, Elementary school Journal, 73, p50-54.
18. Katz, L, G., (1977), Teachers developmental stages, In, L. G. Katz, Talks with teachers Reflection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hington, DC, DC: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9. Kim, Hyun-Ah, (2012), A Study on Work Conditions and Job Satisfaction on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focusin on Jeollabuk-do, Wonk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0. Kim, Myung-Soo, (2016), Speech-Language Pathlogists 'Perceptions of Their Job,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1. Kim, Seon-Bok, (2006), A Study on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Self-Esteem of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focusing on Gyeonggi and Incheon, Yong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2. Lee, Ji Eun, (2013), A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Job Environment in Speed Language Pathologists, Nambu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3. Lee, Kyung jin, (2009), The Analysis of the Level and it's Difference by Teaching Career of Elementary Teachers' Core Competenc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 26(3), p219-240.
24. Lee, Kyung rim, (2005), A Study on the Infant Care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the Quality of Infant Daycare Programs, Sung Kyun Kwan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5. Lee, So-Eun, (2006), A Study n elationship etween ob tressand job Satisfaction of Art Therapy, Myo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6. Lee, Sun A, (2016),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Human-Centered Supervision Program for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Ability Enhancement, Myongi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7. Lee, Woo Tae, (2012), A Study on Developing the Scale of Teachers 'Professionalism, Dong-A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8. Lee, Yun Sook, (2009), A Study on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 Competency,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9. Letven, E., (1992), Induction, In, R. Fessler, & J.C. Christensen (Eds.), The teacher career cycle: Understanding and Guid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p59-86, Boston, MA, Allyn & Bacon.
30. Lim, Youn-Suk, (2015), A Study on Speech& language pathologists(SLP) Recognition of Stuttering Therapy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AYA University.
31. Lokcke, E. A., (1976), Then ature and causes of jop satisfaction, in, Marvin D. Dunnette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 Nally.
32. Moon, Chi-Young, (2011),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Job Satisfaction and Self-Assessment of Rehabilitation Therapis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jou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33. Park, Eun-Sook, (2005), A Study on the Job Environme nt and Work Satisfaction of Speed Language Pathologists,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34. Park, Hyeon, Lee, Myung-Soon, Park, Chan-Hee, (2013), Job Stress Factors and Turnover of Registered Voucher Language Pathologists, 22(4), p227-250.
35. Park, in Hee, (2013),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Communication Disorders and Speech and language Therapy for School Aged Children,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36. Park, Ju he, (2010), A Study on the Relation ship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Professiona lLevel and Job Satisfaction, E 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37. Park, Kyung-Jin, (2015), An Investigation Research on the Recognition of Core Competencies and Demand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t the Scene of Child Care of Child Care Teachers, Duksung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38. Porter, L. W., & Lawler, E. E., (1968), Managerial Attitudes and Performance, Illinois, Richard D. Irwin.
39. Shen, Chick, & Zinn, (2014), Validating the Adult Playfulness Trait Scale (APTS) : An Examination of Personality, behavior, Attitude, and perception in the Nomological Network of Playfulness, American Journal of Play, 6(3).
40. Shen, Xiangyou Sharon, Gary Chick, & Harry Zinn, (2014), “Playfulness in Adulthood as a Personality Trait: A Reconceptualization and a New Measurement”, Journal of Leisure Research, 46, p58-83.
41. Shim, Jae chan, (2016), The Development of Clinical Competence Scale for Speech-Language Pathologist and A Study on Its Related Variables, Myongi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42. Sohn, Ga Hwa, (2010), A Study on the Related Service of Therapis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Retardation, Dankook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43. The Korean Association of Speech-Language Pathod ologists, (2012), http://www.kslp.org.
44. Ward-Wimmer, D., (2003), Introduction : The healing potential of adults at play, In, C. Schaefer (Ed.), Play therapy with adults, p1-11, Hoboken, NJ, John Wiley & Sons.
45. Warren, S. F., & Rogers-Warren, A., (1985), Teaching funtional language* An introduction, In, S. Warren, & A. Rogers - W arren (Eds.), Teaching functional language, p3-24, Baltimore, University Park Press.
46. Weisler, A., & McCall, R. B., (1976), Exploration and play, American Psychologist, 31(7), p492-508.
47. Woszczynski, A. B., Roth, P. L., & Segars, A. H., (2002), Explor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playfulness in computer interaction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8, p369-388.
48. Yoon, Ji-Hye, Kim, Jung-Wan, (2013), A Survey on the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the Clinical Practicum of Students Majoring in Speech Language Pathology, A Study of Speech language Therapy, 22(4), p250-270.
49. Yu, Young Joon, Kim, Soo Jin, (2012),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Special Education, 11(2), p5-25.

[부 록]


설 문 지
 
Ⅰ. 다음은 일반적특성에 관한 질문입니다. 각 문항을 읽고 해당란에 “√“를 해주십시오.

1. 귀하의 성별은?    ① 남자 ② 여자

2. 귀하의 연령은?

 ① 20세~30세 ② 31세~ 40세 ③ 41세~50세    ④ 50세 이상 ⑤ 기타_____

3. 현재 귀하의 결혼여부는?    

 ① 미혼② 기혼

4. 현재 자녀여부는?    ① 있다 ② 없다

5. 현재 귀하의 근무지 유형은?

   ① 사설치료센터 ② 병원 ③ 복지관 ④ 교육청 ⑤ 어린이집 ⑥ 기타_____

6. 귀하의 현재 직위는?

   ① 원장 ② 원장(관리자)겸직    ③ 실장급(관리자) ④ 언어치료사

7. 귀하가 근무하는 지역은?__________

8. 귀하가 언어치료사로 근무하신 경력은?

 ①1년 미만 ② 1~ 3년 미만 ③ 3년~5년 미만 ④ 5년~7년 미만 ⑤ 7년~10년 미만 ⑥ 10년 이상

9. 귀하의 최종학력은?

 ① 대학졸업(2,3년제) ② 대학교 졸업 ② 대학원 재학 또는 대학원 졸업

10. 귀하가 하루 치료하는 대상은 몇 명?

 ① 2~3명 ② 4~5명 ③ 6~7명    ④ 8~9명 ⑤ 10명 이상

11. 귀하의 하루 평균 근무시간은?

 ① 5시간 이하 ② 6~7시간 ③ 8시간 ④ 9~10시간 ⑤ 10시간 이상



Ⅱ. 언어치료사의 전문성 인식에 해당하는 문항입니다.

1. 언어치료와 언어치료사에 대한 현행제도나 정책, 현실을 잘 이해하고 있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2. 치료 대상자의 능력과 수준을 고려하여 치료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3. 언어치료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4. 치료 대상자에게 적절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사전, 사후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5. 언어치료 시 치료 대상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동기 유발 기술을 가지고 있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6. 장. 단기 치료계획서를 작성하는 형식과 내용을 숙지하고 있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7. 언어치료 관련 컴퓨터 프로그램, PPT, 동영상 등의 치료자료 제작과 여러 기자재를 수월하게 이용하고 있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8. 다른 치료사가 치료를 관찰하는 것은 부담스럽지만, 좋은 치료사가 되기 위해 필요한 피드백으로 이해된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9. 언어치료와 관련된 새로운 이론이나 기법을 익히기 위해 교육, 연수회 등에 참여한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10. 교사, 보호자, 지역사회 등의 팀 접근으로 원활한 연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11. 언어치료사가 된 이유는 수입이나 취직의 용이성 보다 언어치료 자체가 좋기 때문이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12. 언어치료사는 일상생활에서 모범적인 태도를 보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Ⅲ. 언어치료사의 역량에 해당하는 문항입니다.

1. 나는 언어치료를 잘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2.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은 미래의 나의 목표달성에 매우 도움이 될 것이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3. 나는 언어치료사로서 필요한 치료능력을 가지고 있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4. 나는 어려운 일도 성공적으로 처리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5. 나는 적당한 보수를 받고 있다고 생각한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6. 나는 치료에 대한 부담을 과중하게 느낀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7. 나는 독립적으로 업무를 수행한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8. 나는 전문직으로서 대우받고 있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9. 나는 최신 치료정보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자주 가진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10. 나는 언어치료사로서 보람을 느낀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11. 나는 동료들에게 지지를 받는 사람이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12. 치료 대상자들은 나의 치료에 만족하고 있다.

 ① 아주 아니다 ② 아니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