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0, No. 3, pp.1089-1102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8
Received 27 Apr 2018 Revised 17 May 2018 Accepted 28 May 2018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18.06.30.3.1089

학교폭력에 대한 학생들의 배경변인별 차이 연구

박찬희 ; 허명진
한국국제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
Study on the difference on School Violence by the Background Variable of Student
Chan-Hee PARK ; Myung-Jin HUH
Korea International University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Correspondence to: mjhuh@cup.ac.kr

Abstract

Subjects: To find out the difference by background variable in the students on the school violence,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300 parent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cross our country. Total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00 questionnaires (67%), which answered sincerely, were processed as data. Subject of inquiry: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on the cause of school violen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tudents?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on the seriousness of school violen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tudents?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on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tudents? Results of Study: First, regarding the difference in the causes of school violen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tudents,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ccording to the ages of the parents, the par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nd the stud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Second, regarding the difference in the seriousness of school violen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tudents,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according to the ages of the parents. Third, regarding the difference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reventive measure of school violenc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tudents,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according to the ages of parents, gender of the students and the birth order of the students.

Keywords:

Cause of school violence, Seriousness of school violence, Preventive measure of school violence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학교란 학생들이 성장하여 사회구성원으로써의 자신의 역할을 바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많은 지식을 경험하고 익히는 곳이다. 학령기와 청소년기의 학생들이 많은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는 만큼 학교는 학생들에게 보다 더 유익하고 안전하며 즐거운 공간이여야 한다. 왜냐하면 그 속에서 자유롭게 자신의 꿈을 키우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학교는 사회화의 중요한 장소이며, 지적, 도덕적으로 건전한 사회인이 되기 위한 배움과 인격형성의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최근 학교는 폭력의 장소가 되고 있다(Ryu, 2013). 또한 학교에서 발생되는 상해, 폭행, 감금, 협박, 약취, 명예훼손, 공갈, 강제적 심부름, 따돌림, 성폭력 등으로 정의되는 학교폭력의 문제가 이제는 더 이상 학생들에게 학교가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불신을 증폭시키며 학교 내의 문제뿐만이 아닌 사회적인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대한 Ryu(2013)의 연구에서는 전국 초중고 3560명을 대상으로 학교폭력의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는데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있는 학생의 53%가 초등학교 때 처음으로 학교폭력을 당했고, 가해경험이 있는 학생의 57%도 초증학교 때 처음 폭력을 휘둘렀다고 답했다. 학교폭력의 피해 및 가해시기가 초등학교 4~6학년에서 정점을 이루었고 초등 1~3학년 가해자의 비율이 점차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학교폭력의 피해정도의 수준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더욱 심각한 현상은 많은 학생들이 별다른 죄의식 없이 너무도 쉽고 편하게 장난이라고 생각하는 행동과 사소한 괴롭힘 등을 시작으로 하여 학교폭력의 가해자가 되기도 한다는 점이다.

Yoon(2008)은 초등학생들의 학교폭력 사례로 친구들을 강제로 눕히고 뾰족한 물건으로 신체의 여기저기를 찌르고 괴롭히는 행동들을 설명하면서 이들은 실제로 이러한 행동의 위험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어 더 큰 문제가 된다고 주장하였다. 물론 현재와 같은 학교폭력의 여러 문제점들에 대하여 학교현장에서도 학교폭력의 감소를 위한 예방교육을 실시해왔다. 그러나 대부분이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보편적인 예방프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가해학생이 발생되었을 때의 처벌적 프로그램이 형식적으로 실시되고 있어 현실적으로 학교폭력의 감소와 적절한 대처방안을 기대하기에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학교폭력은 일반적인 범죄행위와는 다른 학교라는 특수성을 지닌 장소에서 발생된다는 점에 주목해야한다. 즉, 같은 학교 및 학급에서 발생하는 폭력의 문제로 인하여 사건이 발생된 이후에도 일정기간 가해자와 피해자가 마주치게 된다는 점과 피해자와 가해자 외에 학교폭력이 이루어지는 현장을 함께 공유하는 방관자 집단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흔히들 말하는 방관자의 의미는 어떤 일에 직접 나서지 않고 곁에서 보기만 하는 사람이다. 그러나 학교폭력의 갈등 상황에서 방관자들은 가만히 있는 수동적 존재가 아니라 분위기를 형성하기도 하고 때론 개입을 통해서 갈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도 있고 갈등을 더 야기 시키는 선동자가 되기도 하며 폭력을 인정하는 선동적인 청중이 될 수 도 있다. 그러나 방관자들 역시 피해자와 가해자와 같이 원치 않게 정신적인 고통을 받는 경우가 많다는 어려움을 가진다. 이와 같이 저연령화, 집단화, 잔인화 되어 가고 있는 학교폭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위하여 Wu(2013)는 학교폭력의 유형을 6가지로 정리하였으며 각 유형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학교폭력의 예방에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첫째, 실험적 폭력, 둘째 사회적 폭력, 셋째 성격적 폭력으로 반사회적인 성격장애와 관련이 있다. 넷째, 상황적불안과 공포와 관련된 폭력 다섯째, 정신병적 폭력, 여섯째 기질적 폭력은 기질적 문제로 인하여 발생하는 폭력으로 과잉행동과 충동성 등의 관련성이 두드러진다. 앞에서 살펴본 6가지 학교폭력의 다양한 유형에 대한 인식은 학교폭력의 가해와 피해의 대상, 교사나 학부모들의 시각은 조금 씩 다를 수 있다. 그러나 학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발생하는 부정적 의도를 지닌 신체적, 물리적, 정신적 공격 및 폭력행동의 학교폭력에 대해 미래사회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중요한 구성원인 청소년에 대한 문제이기에 학교폭력의 심각성은 사회존속의 문제와 직결된 중대 사항이며 학교폭력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많은 연구자들이 뜻을 같이 하였다(Lee, 2016).

학교폭력의 문제는 청소년의 올바른 성장을 해치며 아동·청소년기 뿐 아니라 성인 이후에도 이러한 고통이 지속될 수 있기 때문이다(Olweus, 2001). 극단적인 경우 학교폭력의 피해를 당한 피해자의 경우 정서적인 부적응을 겪거나 학교를 중단하는 상황이 발생되기도 하고 심각한 경우 자살을 선택하기도 한다. 학교폭력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하여 Kim(2016)은 사회의 변화로 인한 핵가족화의 영향으로 맞벌이 가정이 증가하고 부모님들과의 대화시간의 부족 등으로 인한 가족 기능의 상실 문제가 크다고 주장하며 결손가정의 증가, 경제적 빈곤, 부모의 양육태도와도 관련성도 학교폭력의 발생 요인으로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하여 자녀가 엄하고 부당하다고 느끼거나 가정 내 폭력이 있을 때 폭력에 대한 자녀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가정에서의 양육방법에 대한 중요성도 간과 하여서는 안 된다고 설명하였다. 교사들과 관련된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 학생들 사이의 유대감을 강화함으로써 학교폭력에 대한 올바른 대처와 예방에 도움이 되며, 그 외 동아리 활동이나 학교 밖에서의 모임을 마련하는 등의 교사의 개입과 그 안에서 적극적으로 참여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유대감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이는 곧 폭력의 시발점이라 할 수 있는 서로간의 갈등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Lee, 2013). 서로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교사가 적극적으로 개입한다면 중개인 역할이 가능하고 학생들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파악이 가능하다. 또한 친구 관계가 좋아지면 학교생활에 적응하기가 쉬워지고 학교에서 폭력뿐만 아니라 다른 문제 발생의 감소도 가져올 수 있다는 결과이다.

그러나 기존의 학교폭력에 대한 연구결과들은 학교폭력 생존자들의 경험에 관한 연구(2014), 청소년의 학교폭력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2013), 부모자녀관계가 학교폭력 행동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2012),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성격 및 학교폭력 경험에 미치는 영향(2011),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교사의 역할(2013)등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학교폭력 경험에 대한 연구들 또한 주로 가해경험, 피해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밝히는 연구들이 대부분이였다(Kim, 2013 & Lee, 2016).

즉, 학교폭력의 다양성에 대한 문제보다는 학교폭력의 경험과 관련된 현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중고등학생의 학교폭력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데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폭력이 초등학교에서 발생하는 학교폭력의 연장이라는 점과 학교폭력이 점차 저연령화 되어가고 있는 시점에서 초등학생들의 학교폭력은 더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의 심각성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하여 그동안 다루어지지 않은 학교폭력에 대한 보호자의 경험 유무, 학생의 장애유무, 학교폭력 심각성에 대한 이해 차이 등의 다양한 배경변인별 차이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찾아 학교폭력의 위기를 극복하는데 필요한 해결방안모색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상기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폭력 원인에 대한 이해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생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폭력 심각성에 대한 이해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학생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폭력 예방에 대한 이해에 차이가 있는가?


Ⅱ. 연구 방법

1. 조사방법

가. 조사 대상

이 연구는 학교폭력에 대한 학생들의 배경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의 학부모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2017년 11월 1일부터 2018 3월 30일까지 연구에 참여한 학부모들에게 연구의 목적과 설문지 작성에 대하여 설명 후 대상자가 직접 설문지를 기록하는 방법으로 조사를 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총 234부(78%)를 회수하였다. 회수 된 설문지 중 작성이 완료되지 않은 연구에 적합하지 않은 34부를 제외하고 성실히 응답된 200부(67%)의 설문지를 자료처리 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배경변인 은 <Table 1>에 제시하였다.

Basic Information of Research Subjects

2. 연구 도구

이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초,중,고등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폭력에 대하여 인지하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구성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Kim(2013)의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초등교사의 역량에 대한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와 Jeong(2013)의 초등학교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적합하게 수정하여 타당도 검증을 위해 특수교육학과 교수 4인, 사회복지사 1급 2인, 특수교사 3인, 일반교사 3인에게 의뢰하여 내용 타당도를 검토 받아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 9문항, 학교폭력 원인 15문항, 학교폭력 심각성 15문항, 학교폭력 예방책 15문항으로 총 54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 문항의 반응 방식은 Likert식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연구 대상자들이 직접 설문지에 기입하도록 하였다. 설문지에 대한 구성영역은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이 연구의 Crobach’s Alpha 계수는 학교폭력원인 0.882, 학교폭력 심각성 0.886, 학교폭력 예방책 0.845 수준이었다.

Composition of the questionnaire

3. 자료처리

이 연구에서 설문 대상자들의 배경변인별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나타냈으며, 학교폭력에 대한 이해가 학생들의 배경변인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ANOVA를 실시하고 사후검증은 Scheffe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통계적 검증은 SPSS 20.0 for window를 사용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학생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폭력 원인에 대한 이해 차이

가)보호자의 성별에 따른 학교폭력 원인에 대한 이해 차이

남자 보호자의 평균이 3.27, 여자보호자의 평균 3.08로 여자보호자 보다 남자보호자가 조금 더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로 분석되었다. 결과는 <Table 3>과 같다.

Gender of Parents

나) 보호자의 연령에 따른 학교폭력 원인에 대한 이해 차이

보호자의 연령을 살펴보면, 20-29(a) 평균이 3.35, 30-39(b)는 3.31, 40-49(c)는 3.19, 50-59(d)는 2.72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보아 보호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학교폭력에 원인에 대한 이해가 대체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Ages of Parents

검정통계량을 살펴보면, F값이 6.856이고 유의확률이 0.000이므로 보호자연령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다) 보호자의 학교폭력 경험 유무에 따른 학교폭력 원인에 대한 이해 차이

보호자의 학교폭력 경험유무를 살펴보면, 학교 폭력 경험이 ̒있다̓ 의 평균이 4.16, 학교폭력 경험이 ̒없다̓ 는 2.08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보아 학교폭력의 경험이 있는 보호자가 학교폭력의 원인에 대한 이해가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검정통계량을 살펴보면, F값이 7.023이고 유의확률이 0.000이므로 보호자의 학교폭력 경험 유무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과는 <Table 5>와 같다.

Par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라) 학생의 성별에 따른 학교폭력 원인에 대한 이해 차이

학생들의 성별을 살펴보면, 남학생의 평균이 3.04이고, 여학생은 3.17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로 분석되었다. 결과는 <Table 6>과 같다.

Gender of Student

마) 학생의 나이에 따른 학교폭력 원인에 대한 이해 차이

학생의 나이를 살펴보면, 7-10세의 평균이 3.08이고, 11-13세는 3.15, 14-16세는 3.00, 그리고, 17-19세는 3.10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로 분석되었다. 결과는 <Table 7>과 같다.

Ages of Student

바) 학생의 장애유무에 따른 학교폭력 원인에 대한 이해 차이

학생의 장애유무를 살펴보면, 장애진단을 받은 학생의 평균이 3.02이고, 비장애학생의 평균은 3.17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로 분석되었다. 결과는 <Table 8>과 같다.

Disabilities of Student

사) 학생의 소속학교에 따른 학교폭력 원인에 대한 이해 차이

학생의 소속 학교별로 살펴보면, 초등학교 평균이 3.12이고, 중학교는 3.24, 고등학교는 3.48, (특수학교)초등학교는 3.75, (특수학교)중학교는 2.73, (특수학교)고등학교는 3.42, (특수학급)초는 2.86, (특수학급)중은 2.96, 그리고, (특수학급)고는 2.98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로 분석되었다. 결과는 <Table 9>와 같다.

Attending School

아) 학생의 학교폭력 경험에 따른 학교폭력 원인에 대한 이해 차이

학생의 학교폭력 경험을 살펴보면, 학교폭력경험이 있다의 경우 평균이 4.36이고, 학교폭력 경험이 없다는 2.70으로 나타났다.

ud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이 결과로 보아 학교폭력 경험이 있을 경우 학교폭력의 원인에 대한 이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검정통계량을 살펴보면, F값이 7.023이고 유의확률이 0.000이므로 학생의 학교폭력 경험유무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과는 <Table 10>과 같다.

자) `학생의 출생순위에 따른 학교폭력 원인에 대한 이해 차이

출생순위를 살펴보면, 첫째의 경우 평균이 3.08이고, 둘째는 3.15, 셋째는 3.29, 넷째는 2.93, 그리고, 외동은 2.99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로 분석되었다. 결과는 <Table 11>과 같다.

Birth Order

2. 학생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폭력 심각성에 대한 이해

가) 보호자의 성별에 따른 학교폭력 심각성에 대한 이해 차이

남자 보호자의 평균이 3.53이고, 여자 보호자는 3.49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로 분석되었다. 결과는<Table 12>와 같다.

Gender of Parents

나) 보호자의 연령에 따른 학교폭력 심각성에 대한 이해 차이

보호자의 연령을 살펴보면, 20-29(a)의 평균이 3.71이고, 30-39(b)은 3.67, 40-49(c)은 3.60, 그리고, 50-59(d)은 3.06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보아 보호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학교폭력에 원인에 대한 이해가 대체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검정통계량을 살펴보면, F값이 7.283이고 유의확률이 0.000이므로 보호자의 연령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과는<Table 13>과 같다.

Ages of Parents

다) 보호자의 학교폭력 경험 유무에 따른 학교폭력 심각성에 대한 이해 차이

보호자의 학교폭력 경험을 살펴보면, 학교폭력 경험이 ̒있다̓ 의 평균이 3.53이고, ̒없다̓ 는 3.48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로 분석되었다. 결과는 <Table 14>와 같다.

Par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라) 학생의 성별에 따른 학교폭력 심각성에 대한 이해 차이

학생 성별에서 남자 학생의 평균이 3.57이고, 여자 학생은 3.41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로 분석되었다. 결과는<Table 15>와 같다.

Gender of Student

마) 학생의 나이에 따른 학교폭력 심각성에 대한 이해 차이

학생나이를 살펴보면, 7-10의 평균이 3.45이고, 11-13은 3.58, 14-16은 3.46, 그리고, 17-19은 3.46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로 분석되었다. 결과는<Table 16>과 같다.

Ages of Student

바) 학생의 장애유무에 따른 학교폭력 심각성에 대한 이해 차이

학생의 장애유무를 살펴보면, 장애진단을 받은 학생의 평균이 3.49이고, 비장애학생의 평균은 3.50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로 분석되었다. 결과는<Table 17>과 같다.

Disabilities of Student

사) 학생의 소속학교에 따른 학교폭력 심각성에 대한 이해 차이

학생의 소속 학교를 살펴보면, 초등학교의 평균이 3.47이고, 중학교는 3.38, 고등학교는 3.75, (특수학교)초등학교는 3.95, (특수학교)중학교는 3.53, (특수학교)고등학교는 3.82, (특수학급)초등학교는 3.43, (특수학급)중학교는 3.25, (특수학급)고등학교는 3.46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로 분석되었다. 결과는 <Table 18>과 같다.

Attending School

아) 학생의 학교폭력 경험에 따른 학교폭력 심각성에 대한 이해 차이

학생의 학교 폭력 경험을 살펴보면, ̒있다̓ 의 평균이 3.61이고, ̒없다̓ 는 3.39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로 분석되었다. 결과는 <Table 19>와 같다.

Stud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자) 학생의 출생순위에 따른 학교폭력 심각성에 대한 이해 차이

출생순위를 살펴보면, 첫째의 평균이 3.50이고, 둘째는 3.59, 셋째는 3.72, 넷째는 3.33, 그리고, 외동은 3.15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로 분석되었다. 결과는 <Table 20>과 같다.

Only Child

3. 학생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폭력 예방책에 대한 이해

가) 보호자의 성별에 따른 학교폭력 예방책에 대한 이해 차이

보호자의 성별을 살펴보면, 남자보호자의 평균이 3.89이고, 여자보호자는 3.97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로 분석되었다. 결과는 <Table 21>과 같다.

Gender of Parents

나) 보호자의 연령에 따른 학교폭력 예방책에 대한 이해 차이

보호자연령을 살펴보면, 20-29(a)의 평균이 4.14이고, 30-39(b)은 3.77, 40-49(c)은 3.75, 그리고, 50-59(d)은 3.77로 나타났다. 검정통계량을 살펴보면, F값이 2.983이고 유의확률이 0.033이므로 보호자연령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과는 <Table 22>와 같다.

Ages of Parents

다) 보호자의 학교폭력 경험 유무에 따른 학교폭력 예방책에 대한 이해 차이

보호자학교폭력경험을 살펴보면, 있다의 평균이 3.96이고, 그리고, 없다는 3.96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로 분석되었다. 결과는 <Table 23>와 같다.

Par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라) 학생의 성별에 따른 학교폭력 예방책에 대한 이해 차이

학생의 성별을 살펴보면, 남자학생의 평균이 3.70이고, 여학생은 4.16으로 나타났다. 검정통계량을 살펴보면, F값이 3.486이고 유의확률이 0.001이므로 학생성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과는<Table 24>와 같다.

Gender of Student

마) 학생의 나이에 따른 학교폭력 예방책에 대한 이해 차이

학생의 나이를 살펴보면, 7-10의 평균이 3.99이고, 11-13은 4.11, 14-16은 3.82, 그리고, 17-19은 3.74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로 분석되었다. 결과는<Table 25>과 같다.

Ages of Student

바) 학생의 장애유무에 따른 학교폭력 예방책에 대한 이해 차이

학생의 장애 유무를 살펴보면, 장애학생의 경우 평균이 4.05이고, 비장애학생의 경우 3.88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로 분석되었다. 결과는 <Table 26>과 같다.

Disabilities of Student

사) 학생의 소속학교에 따른 학교폭력 예방책에 대한 이해 차이

학생의 소속 학교를 살펴보면, 초등학교의 평균이 3.92이고, 중학교는 3.59, 고등학교는 3.88, (특수학교)초등학교는 4.42, (특수학교)중학교는 4.27, (특수학교)고등학교는 3.92, (특수학급)초등학교는 4.25, (특수학급)중학교는 3.57, (특수학급)고등학교는 3.58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로 분석되었다. 결과는 <Table 27>과 같다.

Attending School

아) 학생의 학교폭력 경험에 따른 학교폭력 예방책에 대한 이해 차이

학생의 학교폭력 경험을 살펴보면, 학교폭력 경험이 ̒있다̓ 의 평균이 4.10이고, ̒없다̓ 는 3.84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차이로 분석되었다. 결과는 <Table 28>과 같다.

Stud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자) 학생의 출생순위에 따른 학교폭력 예방책에 대한 이해 차이

출생순위를 살펴보면, 첫째(a)의 평균이 4.07이고, 둘째(b)은 3.22, 셋째(c)은 2.87, 넷째(d)은 3.85, 그리고, 외동(e)은 4.11으로 나타났다. 검정통계량을 살펴보면, F값이 5.115이고 유의확률이 0.001이므로 출생순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과는 <Table 29>와 같다.

Birth Order


Ⅳ.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학교폭력에 대한 다양한 배경변인별 차이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비교하여 학교폭력의 위기를 극복하는데 필요한 효과적인 교육방법, 연수, 가이드라인 제공 등의 개입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배경변인으로는 보호자성별, 보호자나이, 보호자학교폭력 경험, 학생성별, 학생나이, 학생의장애 유무, 학생의 소속 학교, 학생의 학교폭력 경험 유무, 출생순위에 따라 학교폭력의 원인, 심각성, 예방책에 대한 이해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대한 결론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폭력의 원인에 대한 이해를 조사한 결과 보호자의 연령변인에서는 20-29세>30-39>40-49>50-59세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보호자의 학교폭력 경험 유무에서는 보호자가 학교폭력의 경험이 있다>없다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생의 학교폭력 경험 유무에서는 학생의 학교폭력 경험이 있다>없다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Lee(2009)의 연구결과처럼 가정폭력, 학교폭력 등의 경험유무가 학교폭력에 밀접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점과 같은 맥락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학교폭력에 대한 예방 및 문제해결을 위하여 가정에서는 부모와 자식 그리고 형제, 자매 간의 많은 대화의 시간을 갖도록 노력하여야 하며 서로간의 학교폭력 경험에 대하여 숨기거나 부끄러워하기 보다는 예방과 대처에 대한 직접적인 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부모를 대상으로 학교폭력 예방교육과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 자녀를 올바르게 양육하는 방법에 관한 교육과 가족강화프로그램, 부모교육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부모를 참여시켜야 할 것이다(Ryu, 2013).

또한 보호자의 학교폭력 경험과 학생의 학교폭력 경험이 학교폭력의 심각성 이해에 대한 인식에서도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Jo(2016)의 연구결과와 맥락을 같이하며, 학교폭력의 심각성에 대하여 학교폭력을 경험한 사람들은 사회적, 정신적, 신체적 부적응의 영향이 매우 커서 학교라는 공간에서 일어나는 폭력의 문제가 사회로까지 확산되어 폭력의 사회화라는 사회적 병리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성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으며 학교폭력의 경험은 쉽게 잊혀지지 않아 생활의 전반에서 또래를 향한 공격성 및 불안감을 표출할 높은 가능성을 보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심각성을 해결하기 위해 전문성을 갖춘 인력의 개입과 협조가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학교폭력에 대한 예방 및 문제해결에 중심이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일률적이고 형식적으로 운영되는 프로그램이 아니라 각 학생의 특성과 학교상황에 적합한 적극적인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둘째, 학생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폭력 심각성에 대한 이해를 조사한 결과 보호자의 연령변인에서는 20-29세>30-39>40-49>50-59세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보호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학교폭력의 심각성에 대한 관심이 대체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폭력 예방책에 대한 이해를 조사한 결과 보호자의 연령변인에서는 20-29세>30-39>40-49>50-59세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여학생>남학생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생의 출생순위에 따른 변인에서는 외동>첫째>넷째>둘째>셋째 순으로 유의마한 차이가 나타났다. Kim(1997)은 초등학교 시기의 또래 간 공격행동은 이후 중고등학교 공격성을 예측할 수 있으며 청소년의 비행성향이 형성되는 잠재적 비행시기가 초등학교 후기에 해당하는 것을 밝히고 있다. 이처럼 학교폭력은 아동들의 건강한 발달에 많은 부정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반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 문제이므로 조기에 개입하여 학교폭력으로 파생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잠재적인 문제를 미리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최근의 학교폭력은 학생 자신이 피해를 보지 않기 위해 다른 학생을 괴롭히는 폭력에 가담하여 학교폭력의 가해자가 되는 동시에 피해자가 되는 이중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학교폭력에 대한 예방의 중요성과 더불어 학교폭력 가해학생에 대한 적절한 지도와 지속적인 상담이 필요함을 보여준다(Jang, 2003). 이와 같이 학교폭력의 문제가 단기적으로는 육체적, 심리적 스트레스, 등교거부 등의 부정적 영향을 보이며 장기적으로는 발달과정에 더욱 큰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학교폭력의 문제에 대하여 조기에 개입하여 학교폭력으로 인해 파생 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잠재적 문제를 미리 예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학교폭력 예방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는 Kim(2013)의 연구결과에서처럼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있는 여학생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반영하고 있다. 여학생의 경우 학교폭력의 여러 문제 중 성희롱, 성추행 등과 관련된 피해경험의 심각성이 보고되어 지고 있다. 청소년 성희롱, 성추행 피해자는 신체적 외상 뿐만 아니라 일생을 통해 불안, 두려움, 우울증, 정서적 후유증에 시달리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청소년의 경우 주변의 누군가에게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이야기하거나 도움을 구하는 것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크다. 오히려 이러한 사실을 알릴 경우 피해 학생에게 불이익을 받게 하거나 외부에 알려지지 않도록 조용히 덮고자 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Lim, 2005). 그러므로 학교에서는 성추행, 성희롱과 관련된 예방교육의 내용을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구성하고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피해자들의 대부분이 대처방안에 대한 정보부족을 호소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세밀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의 문제를 학교, 학생, 학부모, 교사, 지역사회에서 중요한 과제로 인식하고 학교폭력에 대한 선도 및 예방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의 실시와 사회단체와의 협력으로 보다 구체적인 대처방안들을 개발 하는데 주목해야 할 것이다.

References

  • Cassidy, T., (2009), Bullying and victimizationin school children: therole of socialidentity problem-solving style, and family and context, Social Psychology of Education, 12(1), p63-76. [https://doi.org/10.1007/s11218-008-9066-y]
  • Conners Burrow, N. A., Johnson, D. L., Whiteside Mansell, L., McKelvey, L., & Gargus, R. A., (2009), Adultsmatter: Protecting children fromthe negative impacts of bullying, Psychology in the Schools, 46(7), p593-604.
  • Heo, Yun Jeomg, (2014),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Survivors : of those in their30s and 40s, Soongsill University Master’s thesis.
  • Jo, Jeong Jin, (2016), The Effect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n Depression and Anxiety of children: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4 to 6 and middle school students, Mok Po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 Jung, Young Je, (2013), A Structural Analysis of Irrational Belief,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Ego-Resilience Influencing Soldiers' Military Adjustment With/Without Victims Experience of Family or School Violence, Sun Moon University.
  • Kim, Hyun Hee, (2016),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Parents of School Violence Victims Choosing Alternative School for the Consignment, Kyungsung University, Doctorate thesis.
  • Kim, Gyu Hak, (2013), A Study on the Undergraduates' Awareness of Care giving for the Elderly, Daegu Haany Universit, Doctorate thesis.
  • Kim, Jong Mi, (1997), An analysis on the actual states of bullying in primary school,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1(1), p71-89.
  • Kim, Mi Young, (2013), A Study on Differences in Accepting Popular Culture between Schools and Studen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s thesis.
  • kim, Gab Seok, (2015), A constitutional consideration on responding to school violence, Daegu University Gyungbug Korea, Doctorate thesis.
  • Lee, Gyeo Ra, (2012), influence of parent-children relationship on school violence experience and attitude : moderated by morality, Hany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 Lee, Myung Ja, (2009), Qualitative Analysis on Adolescents Doing School Violence : Family, Peer, and School Factors, Dan Guk University Master’s thesis.
  • Lee, Sang Jin, (2013), A Study on the Role of the Teacher for the Prevention of the School Violenc, Woung Kong University, Master’s thesis.
  • Lee, So ra, (2016), A Comparative Study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Cognition on Current State, Cause and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 focused on students’experience, Seog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 Olweus, D., (2001), Health consequence so fbully in gan ditsprevention in schools, In J. Juvonen, and S. Raham (Eds), Peerharr assment in school: Thepligh to fthevulner able and victimized, New York, Guilford Press.
  • Ryu, Young Ju, (2013),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on bullying behaviors of school violenc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Daegu University, Master’s thesis.
  • Wu, Ya, (2013), Analyses of School Violence Tendencies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Classes and Teachers 'Perceptions on the Effectiveness of Prevention Strategies, Woo suk University Doctorate thesis.
  • Yoon, In Sek, (2008), Analysis on the Change of the Occurrence Factors of School Violence, Gun Kuk University Doctorate thesis.
  • Yun, Seon Ae, (2007), A study on the parent's rearing attitudes and school adjustment and school perception, Hany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Table 1>

Basic Information of Research Subjects

NO Variable Description
1 Gender of Parents Male
Female
2 Ages of Parents 20-29 years old
30-39 years old
40-49 years old
50-59 years old
3 Par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Yes
No
4 Gender of Student Male
Female
5 Ages of Student 7-10 years old
11-13 years old
14-16 years old
17-19 years old
6 Disabilities of Student Yes
No
7 Attending School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Special School)Elementary School
(Special School)Middle School
(Special School)High School
(Special Class)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Middle School
(Special Class)High School
8 Stud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Yes
No
9 Birth Order First
Second
Third
Fourth
Only Child

<Table 2>

Composition of the questionnaire

Domain Construction
Cause of School Violence Personal Factor Family Factor Social Factor
Seriousness of School Violence Physical Violence Verbal Violence Relational Violence
Preventive Measure of School Violence Personal Preventive Measure Educational Preventive Measure Environmental Preventive Measure

<Table 3>

Gender of Parents

Gender of Parents M SD t/F p Scheffe
* p<0.05
** p<0.01
Male 3.27 .853 .872 .384 n/a
Female 3.08 .877

<Table 4>

Ages of Parents

Ages of Parents M SD t/F p Scheffe
* p<0.05
** p<0.01
20-29(a) 3.35 1.242 6.856 .000** a>b
30-39(b) 3.31 .817
40-49(c) 3.19 .749
50-59(d) 2.72 .866

<Table 5>

Par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Par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M SD t/F p Scheffe
* p<0.05
** p<0.01
yes(a) 4.16 1.35.7 7.023 .000** a>b
no(b) 2.08 .710

<Table 6>

Gender of Student

Gender of Student M SD t/F p Scheffe
* p<0.05
** p<0.01
Male 3.04 1.004 -1.016 .311 n/a
Female 3.17 .669

<Table 7>

Ages of Student

Ages of Student M SD t/F p Scheffe
* p<0.05
** p<0.01
7-10 3.08 1.144 .206 .892 n/a
11-13 3.15 .716
14-16 3.00 .639
17-19 3.10 .660

<Table 8>

Disabilities of Student

Disabilities of Student M SD t/F p Scheffe
* p<0.05
** p<0.01
Yes 3.02 .968 -1.239 .217 n/a
No 3.17 .774

<Table 9>

Attending School

Attending School M SD t/F p Scheffe
* p<0.05
** p<0.01
Elementary School 3.12 .769 1.973 .052 n/a
Middle School 3.24 1.030
High School 3.48 .519
(Special School) Elementary School 3.75 .689
(Special School) Middle School 2.73 .457
(Special School) High School 3.42 .541
(Special Class) Elementary School 2.86 1.244
(Special Class) Middle School 2.96 .676
(Special Class) High School 2.98 .482

<Table 10>

ud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Stud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M SD t/F p Scheffe
* p<0.05
** p<0.01
Yes (a) 4.36 .769 7.201 .000** a>b
No (b) 2.70 1.030

<Table 11>

Birth Order

Birth Order M SD t/F p Scheffe
* p<0.05
** p<0.01
First 3.08 .934 .285 .888 n/a
Second 3.15 .897
Third 3.29 .534
Fourth 2.93 .000
Only Child 2.99 .732

<Table 12>

Gender of Parents

Gender of Parents S SD t/F p Scheffe
* p<0.05
** p<0.01
Male 3.53 .870 .138 .890 n/a
Female 3.49 .959

<Table 13>

Ages of Parents

Ages of Parents S SD t/F p Scheffe
* p<0.05
** p<0.01
20-29(a) 3.71 .836 7.283 .000** c>b
30-39(b) 3.67 .819
40-49(c) 3.60 1.036
50-59(d) 3.06 1.035

<Table 14>

Par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Par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S SD t/F p Scheffe
* p<0.05
** p<0.01
Yes 3.53 .941 .317 .751 n/a
No 3.48 .956

<Table 15>

Gender of Student

Gender of Student S SD t/F p Scheffe
* p<0.05
** p<0.01
Male 3.57 .972 1.168 .244 n/a
Female 3.41 .919

<Table 16>

Ages of Student

Ages of Student S SD t/F p Scheffe
* p<0.05
** p<0.01
7-10 3.45 1.011 .268 .848 n/a
11-13 3.58 .844
14-16 3.46 .976
17-19 3.46 1.025

<Table 17>

Disabilities of Student

Disabilities of Student S SD t/F p Scheffe
* p<0.05
** p<0.01
Yes 3.49 .958 -.016 .987 n/a
No 3.50 .947

<Table 18>

Attending School

Attending School S SD t/F p Scheffe
* p<0.05
** p<0.01
Elementary School 3.47 .935 .774 .626 n/a
Middle School 3.38 1.121
High School 3.75 .997
(Special School) Elementary School 3.95 .736
(Special School) Middle School 3.53 .746
(Special School) High School 3.82 .731
(Special Class) Elementary School 3.43 .977
(Special Class) Middle School 3.25 1.060
High School (Special Class) 3.46 1.061

<Table 19>

Stud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Stud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S SD t/F p Scheffe
* p<0.05
** p<0.01
Yes 3.61 .855 1.673 .096 n/a
No 3.39 1.024

<Table 20>

Only Child

Only Child S SD t/F p Scheffe
* p<0.05
** p<0.01
First 3.50 .941 1.045 .385 n/a
Second 3.59 .911
Third 3.72 .662
Fourth 3.33 .189
Only Child 3.15 1.183

<Table 21>

Gender of Parents

Gender of Parents M SD t/F p Scheffe
* p<0.05
** p<0.01
Male 3.89 .866 -.308 .758 n/a
Female 3.97 .965

<Table 22>

Ages of Parents

Ages of Parents M SD t/F p Scheffe
* p<0.05
** p<0.01
20-29(a) 4.14 .933 2.983 .033** c>a
30-39(b) 3.77 .688
40-49(c) 3.75 1.015
50-59(d) 3.77 .688

<Table 23>

Par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Par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M SD t/F p Scheffe
* p<0.05
** p<0.01
Yes 3.96 .908 -.026 .979 n/a
No 3.96 .974

<Table 24>

Gender of Student

Gender of Student M SD t/F p Scheffe
* p<0.05
** p<0.01
Male 3.70 .992 3.486 .001** n/a
Female 4.16 .877

<Table 25>

Ages of Student

Ages of Student M SD t/F p Scheffe
* p<0.05
** p<0.01
7-10 3.99 1.104 1.369 .253 n/a
11-13 4.11 .706
14-16 3.82 1.072
17-19 3.74 .901

<Table 26>

Disabilities of Student

Disabilities of Student M SD t/F p Scheffe
* p<0.05
** p<0.01
Yes 4.05 1.003 1.210 .228 n/a
No 3.88 .904

<Table 27>

Attending School

Attending School M SD t/F p Scheffe
* p<0.05
** p<0.01
Elementary School 3.92 .906 1.912 .060 n/a
Middle School 3.59 1.164
High School 3.88 .616
(Special School) Elementary School 4.42 .557
(Special School) Middle School 4.27 .540
(Special School) High School 3.92 .733
(Special Class) Elementary School 4.25 1.069
(Special Class) Middle School 3.57 1.039
(Special Class) High School 3.58 1.113

<Table 28>

Stud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Stud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M SD t/F p Scheffe
* p<0.05
** p<0.01
Yes 4.10 .942 1.945 .053 n/a
No 3.84 .954

<Table 29>

Birth Order

Birth Order M SD t/F p Scheffe
* p<0.05
** p<0.01
First (a) 4.07 .958 5.115 .001** e>c
Second (b) 3.22 1.163
Third (c) 2.87 .000
Fourth (d) 3.85 .616
Only Child (e) 4.11 .7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