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0, No. 6, pp.2144-2155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8
Received 15 Oct 2018 Revised 13 Nov 2018 Accepted 20 Nov 2018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18.12.30.6.2144

제주 시범 바다목장 해역의 낚시어선 활성화에 관한 연구

김근형* ; 구명성** ; 강경범*** ; 김종범**** ; 김석종
*제주대학교(학생)
**국립수산과학원(연구사)
***(주)정앤서(연구원)
****한국어촌어항협회(팀장)
제주대학교(교수)
A Study on Promotion of Fishing Boats in Seawaters of Jeju Pilot Marine Ranch
Keun-Hyoung KIM* ; Myung-Sung Koo** ; Kyoung-Bum KANG*** ; Jong-Beom KIM**** ; Suk-Jong KIM
*Jeju National University(student)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researcher)
***Jung Answer(researcher)
****Korea Fisheries Infrastructure Promotion Association(team leader)
Jeju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64-754-3411, ksukjong@jejunu.ac.kr

Abstract

In this study, the site survey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conducted in order to help map out the measures stimulating the use of fishing boats engaged in seawater related to the pilot marine ranch of Jeju-do. Current status of fishing boat users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data associated with the boarding declaration filed with the coastal guard. Gorsan-ri, the highest rate, followed by family-unit fishing boats comprising 68.4% of all fishing boat users. Rest areas and restrooms are very important places where minority groups of people enjoy fishing in small fishing boats. As a result, the survey pointed out that the aging and backwardness of fishing boats are the biggest problems with 27.6 percent. Therefore, it is urgent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modernized fishing boat to activate the fishing vessel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the data investigation, site survey, onboard survey, questionnaire survey, and boarding declaration systematically in order to derive the measures that could promote the use of fishing boats in the seawaters of Chaguido, and these 5 items: 1) review of the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based on projects for modernization of fishing boats; 2) local governments' support for periodic release of seedling of community fish species; 3) expansion of amenities in the area around the Gosan Port; 4)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interactive/experiential programs related to the use of fishing boats in conjunction with local governments and fishing villages; and 5) promotion for family-unit users via social shopping and social media. It is considered that the use of fishing boats can be further promoted if aforesaid 5 items are adopted as the measures to promote fishing boats in seawaters where the pilot marine ranch of Jeju-do is situate and then presented to concerned policy planning departments for implementation at policy level.

Keywords:

Jeju-do, Jeju pilot marin ranch, Fishing boat user, Survey, Chaguido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 싸여 있어 국토면적의 4.5배에 달하는 200해리 배타적 경제 수역ㆍ영해ㆍ내수 등의 광활한 관할해역(447,000km2)과 서남해안에 국토면적의 3.5배에 달하는 대륙붕(345,000km2)을 보유하고 있어서 어장이 잘 발달되어 있고, 다양한 해양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해양국가이다.(pyo., 1999) 뿐만 아니라 5대양을 활동영역으로 세계 11위의 수산물 생산국으로 국민들에게 양질의 동물성 단백질을 제공하는 중요 국가 식량산업의 하나이다. 그러나 EEZ선포로 조업어장은 축소되었으며, FAO의 책임 있는 수산업의 규범이행 촉구와 수산물 수입 자유화 등으로 새로운 해양질서가 구축되고 있다. 또한 어업인구의 감소와 산업화에 따른 해양오염의 가속화, 매립, 간척, 수산자원의 남획 등으로 어장 생산성이 감소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여건의 변화로 연근해어업의 경쟁력이 저하되고 어촌의 존립기반이 점차 약화되는 등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연안 어장을 목장화 하고 어장을 확대하며, 연안어장의 오염방지와 어업인들의 무분별한 자원 남획방지를 꾀하고, 어장의 생산성을 높여서 수산물 공급증대를 목적으로 바다목장을 조성하고 있다. 이렇게 조성된 바다목장은 국민들의 해양 레저와 해양관광 수요에 부응할 뿐만 아니라 수산과학기술의 종합화를 달성하면서 기르는 어업의 실현 및 즐기는 어업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제주 시범 바다목장은 2,872ha 에 달하는 제주특별자치도(이하, 제주도) 제주시 한경면 차귀도 해역으로, 체험·관광형으로 개발 되었다. 제주도의 해양환경은 사면이 청정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해안선의 길이가 551.78km에 달하며, 추자도, 우도, 마라도 등 8개의 유인도와 문섬, 섶섬, 범섬 등 71개의 무인도가 구성되어 있어서 갯바위낚시, 선상낚시, 바다낚시 등이 가능하다(JSGP, 2017).

제주 시범 바다목장 조성해역에는 인공어초 및 자연석 시설, 수중테마공원, 생태체험장 및 자바리조형물, 수중체험관, 산호장 등의 조성이 집중되어 있고, 중간육성장을 포함한 자바리(Epineph elu bruneus),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돌돔(Oplegnathus fasciatus), 벵에돔(Girella punctata), 쏨벵이(Sebastiscus marmoratus),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참돔(Pagrus major), 까막전복(Haliotis discus), 오분자기(Sulculus diversicolor supertexta), 홍해삼(Stichopus japonicus) 등이 제주 바다목장해역에 방류되어 자원조성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이 해역은「기르는 어업육성법」제10조 제 1항의 규정에 의거하여 2009년 9월 20일부터 2014년 9월 19일까지 5년 동안 수산자원관리 수면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용대상자는 신창, 용당, 용수, 고산 4개의 어촌계원 및 제주 바다 목장 자율관리공동체 위원회가 허용한 어업인으로 한정하고 있다(Kang, 2013).

1996년에 도입된 낚시어선제도는 본래 어업인 들의 어한기 소득증대를 위한‘부업’의 개념으로 도입되었다. 또한 낚시어선업은 국민소득 증대와 주5일제 확대 등으로 국민의 여가환경이 개선되면서 현재는 겸업 내지 전업으로 손색이 없을 정도로 크게 성장하고 있다(KMI, 2011).

해양수산부(MOF, 2016).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의 낚시어선 이용객 414만 명 중 제주도에서의 낚시어선 이용객은 약 36만명(약 8%)이며, 이 중 제주 시범 바다목장 해역의 중심 항구인 고산항의 낚시어선 이용객은 약 11만8천명(약33%) 로 추산된다. 이와 같이 최근 레저·취미 활동으로 낚시어선 이용객의 늘어나고 주변 여건이 잘 구축이 되고 있는 가운데 낚시어선의 활성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낚시어선 이용객 또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요 시설물 등이 기능적 측면에서 연계활동이 미흡한 실정이며, 제주 시범 바다목장 해역에서 낚시어선업의 경영난과 지속적인 어업 및 자원관리를 위한 실태파악이 어려운 실정이다.

낚시어선과 관련된 연구는 차세대 선형인 삼동선의 특성 및 레저용 선박으로서의 가능성 검토를 제시(Lee et al., 2006)하였으며, 낚시어선 활어창의 U형 어창을 이용한 횡요감쇠에 대한 연구(Choi & Ahn., 2008)가 있다. 낚시산업의 실태와 관련된 연구는 분산되어 있는 낚시인, 낚시어선업자, 환경단체, 어업인들을 대표할 수 있는 일원화된 조직 및 단체구성이 필요성을 제기(Lee & Park., 2004)하였으며, 우리나라 낚시산업의 부가가치 창출방안에 관한 연구(Kang et al,. 2011)가 있으며, 여행비용법에 의한 차귀도를 대상으로 선상낚시 체험활동의 경제적 가치 추정을 제시(Kang at al,. 2016)하였다. 그러나 제주도 바다목장 및 낚시어업현장에서 요구되고 있는 낚시어선 활성화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인 낚시 객의 유형과 형태 등에 관한 분석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제주 시범 바다목장 해역에서 활동을 하고 있는 낚시어선에 관한 활성화 대책 마련을 목적으로 현장조사와 자료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해양경찰 입출항신고서 를 중심으로 낚시어선 이용객의 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조사대상 지역은 [Fig. 1]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주도 한경면 7개의 어촌계 중 낚시어선 이용객 수가 가장 많은 한경면 고산항이며, 자료조사는 관할하고 있는 행정기관(제주시. 한경면)에서 보유하고 있는 낚시어선과 관련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Fig. 1]

Chagwido porthole Gosan-ri Hangye ong-Myeo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현장의 실태조사는 고산항 선적 낚시어선 한경 1호를 승선하여 2016년 5월 16일부터 20일까지 설비실태와 이용객의 편의시설 및 안전장비 등의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2017년 1월 10일부터 12월 14일까지 1년간 월 2회 14시에 출항하여 2시간 동안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항목은 한경1호의 2017년도의 1년간 조업활동 해역이었다. 설문조사는 한경1호에 승선한 낚시인 60명과 고산항을 방문한 낚시인 70명을 포함하여 총 130명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이용객의 형태와 직업, 방문 경로, 만족도, 낚시어선 활성화에 대한 문제점, 낚시어선 산업과 지역관광과의 연계성에 대한 의견이었다.

입출항신고서 자료조사는 고산리 어촌계 소속으로 등록되어있는 어선 37척 중 낚시어선으로 등록된 24척을 대상으로 하였다.

2016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2년간 제주해양경찰서 고산출장소에 승선신고된 자료를 분석하여 낚시어선 이용객의 2016년 및 2017년 이용객수와 남/여 비율, 연령대, 지역별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제주 시범 바다목장 해역에서의 낚시어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고산항을 방문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일반 낚시인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Ⅲ. 결 과

1. 기초자료조사

제주시에 신고 등록된 한경면 지역의 어선현황을 <Table 1>에 나타냈다. 등록된 어선은 총 77척(0.41~39.00 ton)이였으며, 어업의 종류는 연안복합, 연안들망, 연안자망, 근해채낚기, 근해자망, 근해문어단지 등 이었다. 이 중 한경면 주변 해역에서 영업하는 낚시어선 현황을 <Table 2>에 나타냈다. 각 어촌계별 낚시어선 수는 고산리 어촌계 소속 한경3호 외 23척, 금등리 소속 한라호 1척, 신창리 어촌계 소속 제주바다목장호 외 1척, 용수리 소속 한윤호 1척, 판포리 어촌계 소속 경량호 1척 이었으며, 총 31척이었다. 이들 어선의 평균톤수는 5.83톤이고, 최대승선인원은 평균 13.8명이였다.

The status of fishing boats in Hankyong-myeon sea area

The status of fishing boats in Hankyong-myeon sea area

2. 현장실태조사

낚시어선 활성화 대책을 강구하기 위하여 고산항 선적 한경1호의 설비실태와 낚시어선 이용객의 편의 및 안전장비 등을 조사하였다.

고산항을 선적항으로 하고 있는 어선 총 38척 중 낚시어선이 24척으로 63.1%를 차지하고 있었고, 낚시어선들의 선체 재질은 FRP로 낚시대를 보관할 수 거치대를 자체적으로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선미부에는 햇빛을 가릴 수 있는 천막과 낚시어선업 신고확인증 및 안전설비인 구명부의를 비치하고 있었다.

승선조사에 이용한 낚시어선 한경 1호는 고산항이 선적항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총 톤수는 7.93톤 이고, 승선 정원은 선장을 포함한 18명으로, 연안복합 어선이다. 한경1호의 1년간 조업 활동 해역을 [Fig. 2], <Table 3>에 나타냈는데, 제주 시범 바다목장 해역의 4개의 어촌계(신창, 용당, 용수, 고산)중 고산리 해역에서의 조업 활동이 76% 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용수리 해역이 20%로 나타났다.

[Fig. 2]

Sea area where the fishing boat Hangyeong no. 1 operated for fishing in 2017.

Sea area where the fishing boat Hangyeong No. 1 operated for fishing in 2017

낚시어선 내부의 환경과 설비를 측면도와 평면도 [Fig. 3]를 나타내었다. 조타실①을 중심으로 뒤쪽에 휴식공간②이 마련되어 있고, 휴식공간에 구명조끼를 보관하고 있었으며, 최대승선 보다 추가로 보유하고 있었다. 조타실 뒤쪽 우측면에 화장실③이 있으며, 휴식공간 위에는 햇빛을 가릴 수 있는 천막④을 하부에 기관실⑤이 있다.

[Fig. 3]

Side view and floor plan of the fishing boat Hangyeong no. 1.

선수엔 조난 시 사용할 수 있는 구명부환ⓐ 이 있고, 선수미부에 야외 휴식공간ⓑ, ⓒ이 마련되어 있으며, 낚시 이용객들은ⓓ, ⓔ, ⓕ구역에서 낚시를 하였다. 미끼는 냉동 크릴새우를 해동하여 낚시 이용객들에게 제공하고 있으나, 제공받은 미끼는 선박 난간ⓖ위에 별도의 미끼 보관함 없이 이용하고 있었다. 낚시지점까지 이동시간을 제외한 약 1시간 30분가량 낚시를 실시하였다.

3. 설문조사

낚시어선 이용객의 형태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Fig. 4]에 나타냈다.

[Fig. 4]

Types of visitor on fishing boat.

낚시어선 이용객은 가족관광객이 68.4%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지인이 15.8%를 차지하였으며, 제주도민과 외국관광객은 없었다.

낚시어선 이용객의 직업별 구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Fig. 5]에 나타냈다. 고산항을 방문하는 낚시어선 이용객의 직업에 대한 응답률은 회사원이 32.3%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학생(청소년) 25.4%, 자영업자 22.3% 순으로 나타났다.

[Fig. 5]

Classification of fishing boats by passenger occupation.

낚시어선 이용객의 방문경로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Fig. 6]에 나타냈다.

[Fig. 6]

Visit route of fishing customers.

고산항을 방문하게 되는 경로의 대한 응답률은 소셜쇼핑몰(41.5%) 이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지인의 소개(20.8%), 소셜네트워크(11.5%) 순으로 나타났다.

낚시어선 이용객에 관한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를 [Fig. 7]에 나타냈다.

[Fig. 7]

Use satisfaction of fishing boat users.

만족도에 대한 응답률은 만족(41.5%)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보통(33.1%), 매우만족(16.9%), 불만족(7.7%), 매우불만족(0.8%)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불만족의 이유로는 어획량 부족, 낚시체험시간부족, 낚시방법미숙 및 선상서비스미흡, 승선인원과다 등 이었다.

낚시어선 산업 활성화에 반하는 문제점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Fig 8]에 나타냈다.

[Fig. 8]

The problems of the revitalIzation for fishing industry.

낚시어선의 노후화가 27.6%로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어족자원의 고갈과 관광객 유입을 위한 홍보부족이 각각 24.1%, 어항시설의 부족 및 낙후가 17.2%, 기타 의견이 7%로 낚시어선의 노후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낚시어선 산업과 지역 관광과의 연계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Fig. 9]에 나타냈다.

[Fig. 9]

The mutual relationship of the regional tourism & the fishing Industry

연계성의 우선순위는 어촌관광과 낚시어업을 연계한 체험프로그램의 도입이 38.9%, 자율관리어업과 연계한 어족자원관리 제도 도입이 33.3%, 지역관광개발과 연계한 해양레져스포츠 관광인프라 구축이 27.8%, 기타의견은 없었다.

4. 승선신고 자료조사

제주해양경찰서 고산출장소에 신고된 내용을 이용하여 낚시어선 이용객수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Fig. 10] 에 나타냈다.

[Fig. 10]

Comparison of visitor 2016 and 2017.

2016년도의 연간 낚시어선 이용객수는 총 96,568명 이었으며, 2017년도는 총 121,053명이었다. 2016년 1월 낚시어선 이용객 수는 5,022명(5%) 이며 그 이후에 증가추세를 보이다가 8월에 가장 많았으며 9월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2017년도는 2016년도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2017년 8월 이용객은 37,007명(30%) 으로 이용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낚시어선 이용객의 남녀비율은 [Fig. 11]과 같이 2016년도와 2017년에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 각각 62%, 38%와 68%, 31% 이었다..

[Fig. 11]

Male/Female ratio 2016 and 2017.

낚시어선 이용객의 연령대를 분석한 결과를 [Fig. 12]에 나타냈다.

[Fig. 12]

Average ratio of fishing boat users in 2016 and 2017.

2016년도에는 30세 ~ 39세가 23.9%, 40세 ~ 49세가 23.1%, 20세 ~ 29세가 17.4% 나타났다. 2017년도는 40세 ~ 49세가 23.6%, 30세 ~ 39세가 22.7%, 20세 ~ 29세가 15.6% 으로 나타났다. 낚시어선 이용객의 주거 지역을 분석한 결과를 [Fig. 13]에 나타냈다.

[Fig. 13]

Visiting rate by region in 2016 and 2017.

2016년도에는 경기도 지역이 3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서울지역 28%, 그리고 제주지역이 7% 순으로 나타났으며. 2017년도는 경기도 지역이 3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서울지역 23%, 그리고 제주지역이 11% 순으로 나타났다.


Ⅳ. 고 찰

제주 시범 바다목장 해역에서 활동을 하고 있는 낚시어선에 관한 활성화 대책 마련을 목적으로 현장조사와 자료조사를 실시한 결과 낚시어선 현황은 한경면에 등록된 어선 총 77척 중 낚시어선업에 등록된 어선이 31척(40%) 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고산항에 등록되어 있는 낚시어선이 24척(77%)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고산항을 근거지로 한 낚시어선들이 제주 시범 바다목장의 주변 어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현장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승선조사를 실시한 결과 고산항 낚시어선의 실태는「낚시 관리 및 육성법」에 따른 신고확인증과 안전설비인 구명동의 및 구명부환을 승선인원에 적합하게 보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출항 전 올바른 구명조끼 착용방법 및 구명부환의 사용 및 선박 조난 시 대처 방법 등에 대한 사전 교육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출항 전 안전에 대한 충분한 교육(시청각 교육)이 필요하다.

고산항 낚시어선 한경 1호의 1년간 조업 해역은 고산리 해역이 7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낚시어선 이용객 만족도 설문조사에서는 2시간의 짧은 승선시간에 따른 어획량 부족이 불만으로 나타나 낚시체험시간을 다양화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초보 낚시어선 이용객을 위해서는 낚싯대 손잡이를 손쉽게 고정하여 미끼를 안정적으로 끼울 수 있는 거치 설비가 필요하다 그리고 낚시 미끼를 선박 난간에 놓고 낚시하기 때문에 필요한 만큼 덜어서 보관 할 수 있는 미끼 보관함을 제작하여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경1호를 비롯한 고산항의 낚시어선들은 조타실을 중심으로 선미에 휴식공간과 우현 중심에 화장실이 마련되어 있으나, 전반적으로 비위생적이어서 설문조사에서 노후화가 27.6%로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 되었다. 따라서 낚시어선 활성화를 위해 현대화된 낚시어선 구조로의 변경이 시급하다.

지자체의 정착성 방류사업에 따른 어족자원 증가로를 통하여 이용객들의 낚시에 대한 만족도 및 어촌소득 향상 도모가 필요하다. 고산항 주변의 편의시설, 캠핑장을 비롯한 숙박시설, 놀이시설, 상업시설, 레저스포츠시설, 문화시설 등을 복합적으로 구성하을 통하여 낚시어선의 어업편익과 더불어 주변 관광 활성화를 이울 필요성이 있다.

입출항신고서 조사와 같이 낚시어선은 7월과 8월에 가장 많이 이용하고, 낚시어선 이용객의 성비는 남성이 62%, 여성이 38%로 나타나 , 향후 여성 이용객의 참여도 향상에 관한 검토가 필요하다.

낚시어선 이용객의 연령대는 30대에서 40대가 약 24%로 가장 높게 나타으며, 이용객의 주거지역은 경기도 지역이 30%, 서울지역이 28%로 나타나 제주로 유입되는 항공편 등 교통이 편리하고 자유 관광에 연계한 낚시어선 소셜 쇼핑 홍보로 인한 영향으로 생각된다. 향후 제주도 관광홍보에 낚시어선 체험활동에 관련된 내용을 추가하면 낚시어선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 연구에서는 제주 시범 바다목장 해역의 낚시어선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 자료조사, 현장조사, 승선조사, 설문조사, 승선신고서 조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그 실태에 관해서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분석하여 5가지 항목을 도출 하였는데, 이 항목에 대하여 제주도 일반 낚시인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낚시산업에 대한 지원 및 육성 방안을 <Table 4>와 같이 도출하였다.

Measures to promote the use of fishing boats in seawaters of Jeju pilot marine ranch

이 연구에서 도출한 5가지의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일반 낚시인들은 전체적으로 필요하다는 응답을 하였다. 이 5가지 항목을 제주 시범 바다목장 해역의 낚시어선 활성화 방안으로 선정하여 관련 정책부서에 제공하여 정책적 수행이 이루어진다면 낚시어선 활성화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8학년도 제주대학교 교원성과 지원사업에 의해 연구되었습니다.

References

  • Choi, CM, and Ahn, JY, (2008), A study for rolling reduction of fishing boat byutilizing u-type fish-hold, J. Kor. Soc. Fish. Tech, 44(2), p148-156. [https://doi.org/10.3796/ksft.2008.44.2.148]
  • Choi, YB, Boo, CS, and Kim, MC, (2012), Tourism Resources and Development Plan of Marine Ranch of Chagwido, Journal of Fish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4(3), p378-386. [https://doi.org/10.13000/jfmse.2012.24.3.378]
  • JSGP(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3), Department of Fisheries Policy,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Marine Fisheries Status, p49-104.
  • JSGP(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7a), degrees marine fishery status, p1-2.
  • JSGP(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7b), Fisheries Resource Management and Seawater Management Regulations Jeju Trial sea Farm Project.
  • Kang, JH, Lee, JS, and Lee, HD, (2011), A study on the Value Creation of the Korean Fishing Industry, Korea Maritime Institute, p1-255.
  • Kang, SK, (2013), The Estimation and Economic Evaluation of Fisheries Benefit in Jeju Trial Sea Farm Project, J. Fish. Bus. Adm, 44(3), p29-46. [https://doi.org/10.12939/fba.2013.44.3.029]
  • Kang, SK, (2016), Estimating the Economic Value of boat Fishing Experience Activity Using Travel Cost method : Focused on jeju Island’s Chagwido, J. Fish. Bus. Adm, 47(2), p33-41. [https://doi.org/10.12939/fba.2016.47.2.033]
  • Kang, YH, Hong, SK, and Lee, HS, (2015), A Study on the Planning of Marine Fishing Park for Family Fishing,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p159-160.
  • KMI, (2011), Measures for added-value creation of the Korean recreational fishing industry, Chri communication, Seoul, Korea, p23-24.
  • Lee, HC, (2010), Estimating Populations, Yields, and Expenditures of Recreational Fishing in Korea,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41(2), p45-60.
  • Lee, SG, and Park, JS, (2004), A Study on the Realties of the Recreational Fishing and Management Scheme in Korea,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p1-18.
  • Lee, SH, Lee, YG, and DS Kang, (2006), A Study of Multi Hull Form Design for Small Leisure Fishing Vesse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9(2), p99-108.
  • MOF, (2016), A study on system improvement plan of autonomus management fisheries, p47.
  • Park, CH, (2005), A Study on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ce of the Angler Population and the Estimation of A Fishing Frequency Function,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36(1), p81-101.
  • Pyo, HD, (1999), Direction of development of our country marine environment, KMI Marine fishery, 178(99.7), p53-71.

[Fig. 1]

[Fig. 1]
Chagwido porthole Gosan-ri Hangye ong-Myeo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ig. 2]

[Fig. 2]
Sea area where the fishing boat Hangyeong no. 1 operated for fishing in 2017.

[Fig. 3]

[Fig. 3]
Side view and floor plan of the fishing boat Hangyeong no. 1.

[Fig. 4]

[Fig. 4]
Types of visitor on fishing boat.

[Fig. 5]

[Fig. 5]
Classification of fishing boats by passenger occupation.

[Fig. 6]

[Fig. 6]
Visit route of fishing customers.

[Fig. 7]

[Fig. 7]
Use satisfaction of fishing boat users.

[Fig. 8]

[Fig. 8]
The problems of the revitalIzation for fishing industry.

[Fig. 9]

[Fig. 9]
The mutual relationship of the regional tourism & the fishing Industry

[Fig. 10]

[Fig. 10]
Comparison of visitor 2016 and 2017.

[Fig. 11]

[Fig. 11]
Male/Female ratio 2016 and 2017.

[Fig. 12]

[Fig. 12]
Average ratio of fishing boat users in 2016 and 2017.

[Fig. 13]

[Fig. 13]
Visiting rate by region in 2016 and 2017.

<Table 1>

The status of fishing boats in Hankyong-myeon sea area

Fishing village Ship Material Tonnage Fishery Type Remarks
Gosan-ri 38 FRP 3.50~29.00 Offshore longline fishery,
Offshore Lift Net,
Offshore gill net,
Offshore
Inshore Angling,
Inshore gill net
Inshore
Youngsu-ri 7 FRP 1.94~36.00 Offshore longline fishery,
Offshore Lift Net,
Offshore
Inshore gill net Inshore
Keumdeung-ri 3 FRP 3.13~4.49 Coast controlship, Inshore
offshore longline fishery Offshore
Panppo-ri 7 FRP 0.64~9.77 offshore longline fishery,
offshore longline,
offshore octopus pot,
Offshore
Inshore gill net Inshore
Doomo-ri 6 FRP 1.55~39.00 Inshore Angling,
Inshore longline,
Inshore
Offshore longline fishery,
Offshore gill net,
Offshore Lift Net
Offshore
Shinchang-ri 13 FRP 0.41~6.00 Offshore longline fishery,
Offshore gill net,
Offshore Lift Net
Offshore
Josu-ri 3 FRP 3.00~4.98 Offshore longline fishery,
Offshore Lift Net,
Offshore gill net
Offshore
Total 77

<Table 2>

The status of fishing boats in Hankyong-myeon sea area

No. Ship name Tonnage loading port Maximum number of
passengers
Material Remarks
1 Hankyung 3 7.31 Gosan 17 FRP
2 Wonil 7 4.10 Gosan 11 FRP
3 Jinsung 4.95 Gosan 12 FRP
4 Sion 1 3.62 Gosan 10 FRP
5 Wonil 1 7.93 Gosan 18 FRP
6 Somang 7.93 Gosan 18 FRP
7 Nuri 7.93 Gosan 18 FRP
8 Hankyung 2 3.68 Gosan 10 FRP
9 Wonil 6 6.01 Gosan 15 FRP
10 Tamla 4.02 Gosan 11 FRP
11 Suyong 9.16 Gosan 21 FRP
12 Jinsung 1 7.31 Gosan 17 FRP
13 Haedong 2 4.69 Gosan 12 FRP
14 Chahwido Suyong 4.15 Gosan 11 FRP
15 Dongsung 9.77 Gosan 22 FRP
16 The 2 Daemul 5.94 Gosan 12 FRP
17 Changmyung 3.67 Gosan 10 FRP
18 Daemul 6.05 Gosan 15 FRP
19 Gosan 3.82 Gosan 10 FRP
20 Wonil 2 9.77 Gosan 22 FRP
21 Hanla 3.5 Gosan 10 FRP
22 Taeyang 1 5.7 Gosan 14 FRP
23 Sungjin 3.77 Gosan 10 FRP
24 Hankyung 1 7.93 Gosan 18 FRP
25 Halla 3.14 Keumdeung 9 FRP
26 Jejubadamokjang 9.77 Sinchang 22 FRP
27 Subok 2 7.31 Sinchang 12 FRP
28 Hanbit 4.03 Sinchang 11 FRP
29 Atena 4.9 Sinchang 10 FRP
30 Hanyoon 5.85 Yongsoo 12 FRP
31 Kyungryang 3.00 Panpo 9 FRP
Total 180.71
Average 5.83  13.84

<Table 3>

Sea area where the fishing boat Hangyeong No. 1 operated for fishing in 2017

No. Month date Measurementime Lat. Long. Area
1 Jan. 10 14:30 33.3081 126.1489 Gosan-ri
15:00 33.3081 126.1491 Gosan-ri
2 Jan. 21 14:30 33.2765 126.1656 Sindo-ri
15:00 33.2811 126.1667 Sindo-ri
3 Feb. 12 14:30 33.3048 126.1581 Gosan-ri
15:00 33.3043 126.1564 Gosan-ri
4 Feb. 21 14:30 33.3029 126.1569 Gosan-ri
15:00 33.3029 126.1569 Gosan-ri
5 Mar. 10 14:30 33.3203 126.1521 Yongsu-ri
15:00 33.3178 126.1515 Yongsu-ri
6 Mar. 22 14:30 33.3184 126.1518 Yongsu-ri
15:00 33.3174 126.1519 Yongsu-ri
7 Apr. 14 14:30 33.3178 126.1529 Yongsu-ri
15:00 33.3191 126.1519 Yongsu-ri
8 Apr. 20 14:30 33.3291 126.1462 Yongsu-ri
15:00 33.3309 126.1490 Yongsu-ri
9 May. 10 15:30 33.3101 126.1534 Gosan-ri
16:00 33.3098 126.1650 Gosan-ri
10 May 20 14:30 33.2882 126.1595 Gosan-ri
15:00 33.2871 126.1601 Gosan-ri
11 Jun. 10 14:30 33.3078 126.1454 Gosan-ri
15:00 33.3137 126.1446 Gosan-ri
12 Jun. 21 14:30 33.3173 126.1554 Gosan-ri
15:00 33.3155 126.1552 Gosan-ri
13 Jul. 10 14:30 33.3142 126.1626 Gosan-ri
15:00 33.3145 126.1626 Gosan-ri
14 Jul 22 14:30 33.3065 126.1578 Gosan-ri
15:00 33.3071 126.1594 Gosan-ri
15 Aug. 10 14:30 33.3187 126.1602 Gosan-ri
15:00 33.3183 126.1601 Gosan-ri
16 Aug. 20 14:30 33.3180 126.1598 Gosan-ri
15:00 33.3177 126.1590 Gosan-ri
17 Sep. 10 14:30 33.3180 126.1609 Gosan-ri
15:00 33.3187 126.1606 Gosan-ri
18 Sep. 24 14:30 33.3180 126.1607 Gosan-ri
15:00 33.3179 126.1606 Gosan-ri
19 Oct. 11 14:30 33.3044 126.1606 Gosan-ri
15:00 33.3074 126.1617 Gosan-ri
20 Oct. 20 14:30 33.3066 126.1611 Gosan-ri
15:00 33.3066 126.1610 Gosan-ri
21 Nov. 10 14:30 33.3153 126.1596 Gosan-ri
15:00 33.3184 126.1619 Gosan-ri
22 Nov. 21 14:30 33.3163 126.1570 Gosan-ri
15:00 33.3201 126.1568 Yongsu-ri
23 Dec. 14 12:30 33.3079 126.1572 Gosan-ri
13:00 33.3080 126.1572 Gosan-ri

<Table 4>

Measures to promote the use of fishing boats in seawaters of Jeju pilot marine ranch

No Type of measures for promotion of fishing boats Necessary very much Necessary Moderately necessary Not necessary Unnecessary very much Necessary Unnecessary
1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at policy level based on projects for modernization of fishing boats 43% 73% 50% 0% 0%
2 Local governments' support for periodic release of seedling of community fish species 37% 73% 70% 0% 3%
3 Expansion of amenities in the area around the Gosan Port 43% 87% 40% 0% 0%
4 Introduction of interactive/experiential programs related to the use of fishing boats in conjunction with fishing villages 33% 87% 60% 0% 3%
5 Promotion for family-unit users via social media and social network 40% 80% 60%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