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5, No. 1, pp.33-46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8 Feb 2023
Received 06 Dec 2022 Revised 02 Jan 2023 Accepted 12 Jan 2023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3.2.35.1.33

외국인 유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그릿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학습몰입과 학업성취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웨이 ; 이양 ; 조진호
부경대학교(학생)
부경대학교(교수)
The Effects of Foreign Student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Grit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Wei HONG ; Yang LI ; Jin-Ho CHO
Pukyong National University(stud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051-629-5973, 75jino@pknu.ac.kr

Abstract

Based on the literature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grit, college life adaptation, learning commi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by foreign student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ttending six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rough WeChat. The study period received responses from 263 survey subjects from August 2022 to the end of October 2022, and a total of 231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study, excluding the questionnaire that responded insincerely. The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Second, it can be seen that grit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Third, it can be seen that adaptation to college life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Fourth, it can be seen that academic commitment acts as a mediating effect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As a way to increase the adaptation of foreign students to college life, in terms of social support and grit,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to access various experiences and experience activities such as club and student council activities. In addition, schools actively prepare scholarship programs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strengthen students' academic commitment through this.

Keywords:

Social support, Grit, College life adaptation, Learning flow, Academic

Ⅰ. 서 론

2021년 교육부 교육기본통계에 따르면, 학위과정 외국인 유학생의 수는 120,018명(79.8%)으로 전년 대비 7,015명(6.2%)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유학생 중 중국인 유학생은 67,348명(44.2%)으로 전년 대비 0.6%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유학생의 절반 가까이 되는 중국 유학생은 한국대학의 주요한 교육소비 주체가 되고 있다(Wang et al., 2022). 재한 중국 유학생들에게는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영어권 국가보다 유학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일부 학생들의 해외 유학 1순위로 떠오르고 있다(Hou et al., 2022). 이런 배경에서 유학생의 교육문제는 주요 연구주제로 다루고 있다. Baker and Siryk(1989)은 대학생활에 적응한다는 의미는 대학 내 수업이나 시험 등의 구체적인 학업과 관련된 생활에 적응하는 것으로 보았다. 특히 모국의 환경과 다른 새로운 환경의 대학생활에 적응해야만 하는 중국인 유학생은 대학생활에서 고립감, 무력감, 슬픔, 상실감과 같은 심리적인 부정정서의 문제가 주요한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Hwang, 2010). 반면, 중국 유학생들이 성공적인 대학생활 적응을 하게 되면 국내에서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수 있고(Kim, 2021), 더 나아가 미래의 한국과 중국 사회의 상호 우호적인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Ahn et al., 2016).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이 유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적응과 관련되어 살펴본 연구 주제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재한 기간, 한국어 능력수준, 지각된 문화 차별,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습역량, 대학생활 적응, 대학생활 만족도와의 관련성을 다룬 연구들(Bae and Hong, 2013; Baik, 2011; 이채식, 2012; Park, 2015; Hou et al., 2022)이 있으며, 이 외에도 대학생활 적응과 그릿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Wang et al., 2022; Won and Seong, 2021)들이 있다.

한편, 대학에서의 학업성취도는 대학이 요구하는 학업을 얼마나 성공적으로 성취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Lee, 2011). 특히 학업성취도는 대학생의 학업에 대한 자기 자신감과 졸업한 후에 삶을 선택할 수 있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Seo and Chung, 2015). 학습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떨어지고 학업부진이 이어진다면, 대인관계나 진로선택, 심지어 인생 계획에도 혼란을 가져올 수 있으며, 학생 개인에게 손실을 입힐 뿐만 아니라, 우수 인재를 양성하는 대학의 책임도 저하시킨다(Chen and Kang, 2018). 따라서 본 연구는 지각한 사회적 지지, 그릿, 대학생활 적응, 학습몰입,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여 코로나19로 변화된 새로운 사회적 상황에서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및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상세한 연구문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와 그릿은 대학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대학생활 적응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업몰입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지지망의 지지 정도와 개인이 속한 여러 관계 속에서 의사회 구성원을 통한 물질적, 정보적, 정서적, 평가적 지지를 얻을 수 있다고 인지하는 것으로 개인이 타인과의 관계성을 통해 획득하는 자원이다(Lee, 2019). 또한,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는 개인을 둘러싼 환경에서 받게 되는 주변인의 지지와 기대를 의의한다(Hockerts, 2017). Sczekan and Betz(1983) 및 Cohen and Hoberman(1983)은 사회적 지지는 개인이 부모, 친구, 선후배, 선생님 등 사회로부터 받게 되는 다양한 형태의 긍정적 자원으로, 사회로부터의 사회적 욕구를 충족하면서 심리적인 지원을 받는 긍정적인 수단이라고 인식한다.

최근에 국내 많은 학자는 사회적 지지는 외부지원의 실제적 사회적 지지와 개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로 나눴다(Jin et al., 2022; Hou et al., 2022). 실제적 사회적 지지는 개인이 외부에서 얻는 지지이며, 환경 및 결정 등에 대한 스트레스의 발생 시 개인에게 주변인이 제공하는 실질적인 도움 행위이다. 개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란 개인이 주변인과 외부에서 지지받는 정도에 대한 주관적 감정적 체험과 평가이다(Hou et al. 2022). 이와 동시에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수준은 진로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진로 결정에 있어 외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Kang and Kang, 2015).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 적응과 연관된다. Oh et al.(2021)은 간호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셀프리더십은 대학생활 적응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Seo(2020)는 국내 대학생과 한국인 해외 유학생 간의 사회적 지지, 자기격려, 우울, 학업소진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사회적 지지, 자기격려는 대학생활 적응에 정적 상관관계를, 학업소진과 우울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2. 그릿

그릿(GRIT)은 장기간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인내와 열정으로 실패와 역경에도 포기하지 않으며 버티는 힘을 의미하고 비인지적 특성이 있다(Duckworth et al., 2007). 꾸준한 인내심은 단순한 노력만이 아니라 장기적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실패, 좌절 및 걸림돌 등을 극복하여 이겨낼 수 있는 힘을 의미한다. 지속적인 열정은 일관된 관심의 정도를 말하며, 비교적 장기간 한 가지 목표나 관심을 유지하는 정도를 의미한다(Lee et al., 2022).

그릿은 인내를 의미하는 노력의 지속성과 열정을 의미하는 흥미에 일관성의 두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다. 우선 노력의 지속성은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그 상황에 맞게 대처하고 실패 같은 장애물에 부딪혀도 노력을 계속하는 것을 의미한다(Gu, 2022). 흥미의 일관성은 오랫동안 흥미나 목표를 쉽게 바꾸지 않고 꾸준한 관심을 일관되게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Min, 2020). 그릿이 높으면 다음의 특성을 볼 수 있다. 자신의 목표를 알고 달성을 위한 노력이 무엇인지 인지할 수 있는 명확한 목표 지향성, 동기수준과 자기통제 수준이 높으며 도전을 받아들이고 실패할 때 학습의 기회로 보는 긍정적인 마인드셋이다(Goodwin and Miller, 2013; Min, 2020).

그릿은 대학생활 적응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Lee et al.(2022)은 대학생의 그릿,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 그릿은 대학생활 적응에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Lee and Park(2018)은 간호대학생의 그릿과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결과에서 그릿은 대학생활 적응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스트레스는 대학생활 적응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3. 대학생활 적응

국내 학자들은 대학에서의 대학생활 적응이란 대학 환경과의 능동적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 개인이 스스로 높은 만족감을 느끼는 과정으로 정의하여(Song and Cho, 2014; Choi, 2022), 국외 학자들은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이란 대학 내에서 수업이나 시험 등의 구체적인 학업과 관련된 생활, 대학 내에서 대인관계나 의사소통 능력 등 사회생활, 심리적 스트레스나 부담감에 대해 적절히 대처하며 자신의 가치를 발견하고 인정하며, 대학에 대한 전반적인 애착이나 만족감을 갖는 것으로 정의하였다(Arkoff, 1968; Baker and Siryk, 1984).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 대학생들이 겪는 새로운 대학 체제에 적응하는 문제뿐만 아니라 새로운 언어, 새로운 사회적·정서적 환경, 다른 문화, 외로움 등에도 적응해야 한다. 유학생들은 자신의 본국을 떠나서 타국의 문화와 환경, 언어, 외로움 등 문제에 적응해야 할 뿐만 아니라 대학생활에서 학업성취와 대학생활적응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상황이라서 학업 수행 및 학업성취에 대한 부담과 대인관계/환경에 대한 심리적/정서적 적응의 어려움으로 대학생활 적응하는 데도 어려움을 느낀다(Yi and Kim, 2018; Jin and Chi, 2015).

대학생활 적응은 학업성취도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Seo and Chung(2015)의 연구에 따르면, 대학생활 적응은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도움을 준다고 주장하였다. Jin and Kim(2019)은 신입생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고, 결과에서 대학생활 적응력은 학업성취도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4. 학습몰입

Csikszentmihalyi(1990)은 몰입(flow)은 특정한 일에 집중되어 시간 감각조차 잃어버린 것처럼 전혀 주변의 상황을 의식하지 못한 채 몰두한 상태를 의미하며, 별도의 보상을 바라지 않고 그 자체를 즐기는 것을 주장하였다. 학업몰입은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활동에 완전히 몰두하는 상태로서 학습과정에서 보이는 집중, 흥미, 노력 등의 상태이며 학습자가 학습활동에 깊이 빠져드는 집중상태를 의미한다(Kim, 2003; Carini et al., 2006). 학업에 몰입한 학습자는 당면한 학습활동과 과제에 집중하여 학습활동과 자기인식이 연결감를 느끼며, 명확한 학습목표를 갖는다. 또한 주어진 해결 과제에 난이도와 자신의 수준 및 능력과의 조화를 이루며, 시간이 평소와 다르게 흐르는 것을 느끼게 된다(Park, 2010). 이를 기초로 하여 학습몰입을 설명하면, 학습몰입이란 학습에 완전히 빠져들어 고도의 에너지를 발휘하고 집중하고 몰입하게 되어 완벽한 기능을 수행하고 결과적으로는 최적의 산출을 할 수 있는 심리상태라 할 수 있다(Kang, 2017).

5. 학업성취도

학업성취(Academic Achievement)이란 학생들이 학업을 통해 스스로 인식할 수 있는 발전 정도이다(Noe and Schmitt, 1986). 국내 학자 Lee(2007)는 학업성취도의 개념에 대해 학교교육을 통하여 학습한 교과목의 성적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 지적 능력, 태도 및 가치관 등 수업시간 동안 교수와 학생 간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소산물 등의 학습 결과를 총칭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Seong et al.(2014)은 학업성취도는 교과목의 성적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 가진 특성, 학습과제의 종류와 성실, 교사가 행하는 교수 방법들 간 발생하는 상호작용의 결과라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 많은 성행연구를 바탕으로 학업성취도란 학교교육을 통해 배운 지식, 개인능력, 학업태도 및 가치관 등과 같은 학습 결과의 총칭으로 정의하였다(Kim, 2005; Seo and Kim, 2022).


Ⅲ. 연구 방법

1. 측정 도구

가. 사회적 지지의 척도

사회적 지지는 Cho and Lee(2019)가 개발한 척도를 Hou et al.(2022)이 유학생용으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지지(4문항), 친구지지(4문항)의 두 가지 하위요인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각 설문문항에 응답방식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의 Likert scale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나. 그릿의 척도

그릿은 Duckworth et al.(2007)이 개발하고 Han and Park(2022)가 수정, 보완하여 노력의 지속성(3문항)과 흥미의 일관성(4문항) 총 7문항으로 5점 Likert 척도(‘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이며, 총점이 높을수록 장기적 목표를 달성하려는 열정과 의지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다. 대학생활 적응의 척도

본 연구는 대학생활 적응을 측정하기 위하여 Lee(2020)은 개발한 대학생활 적응의 척도로 측정하였다. 연구도구는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요인은 학업적 적응(5문항), 사회적 적응(4문항), 정서적 적응(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설문문항에 응답방식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의 Likert scale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라. 학습몰입의 척도

본 연구는 학습몰입은 Jackson and Marsh(1996)가 개발한 Flow State Scale를 번안하고 수정·보완한 Kim(2002)의 도구를 다시 요인분석 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Kim(2019), Gu(2022)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정, 보완한 Kim(2019), Gu(2022)의 연구에서는 학습과정몰입, 학습과제몰입, 사고통합몰입의 3개 하위요인 12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은 ‘매우 그렇다’ 5점부터 ‘전혀 그렇지 않다’ 1점까지 5점 Likert 척도로 구성하였다.

마. 학업성취도의 척도

전통적으로 대학교 학기말의 성적은 국내에서 가장 중요한 교육성과 중 하나이다. 따라서 대학생의 대학성적과 관련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Kim and Hwang, 2017; Yang et al., 2018). 본 연구는 대부분 대학생 학업성취도의 연구(Seo and Kim, 2022; Kim, 2022)에서 사용되는 평점평균(Grade Point Average: GPA)을 대학생 학업성취도로 이용하였다. 또한, GPA 제외하여 Seo and Kim(2021)에서 제시하는 측정항목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GPA문항은 1점, 2점, 3점, 4점, 4.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나머지 2문항의 응답방식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의 Likert scale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2. 연구모형 및 연구 가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문헌 및 제시된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외국인 유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그릿, 대학생활 적응, 학습몰입,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모형을 [Fig. 1]과 같이 설정하여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Fig. 1]에서 설정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H1: 그릿은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 대학생활 적응은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4: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의 영향관계에서 학업몰입은 매개효과를 미칠 것이다.

[Fig. 1]

Research model.


Ⅳ. 연구 결과

1. 표본 특성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대학교 6개교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위챗(Wechat)을 통해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22년 8월부터 2022년 10월말 까지 263명의 설문 대상자로부터 응답을 받았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231부가 최종 분석연구에 활용되었다. 또한, 설문조사에 수집된 표본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Table 1>은 설문조사 대상자들의 인구통계 특성을 보여준다. 설문대상자의 성별은 살펴보면, 남성이 103명(44.5%), 여성이 128명(55.5%)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20대가 164명(71.0%), 30대가 43(18.6%), 40대가 (8.7%), 50대가 4명(1.7%)이었다. 소속 대학은 한국어 어학원이 19명(8.2%), 학부가 145명(62.8%), 대학원이 67명(29.0%)이었다. 전공계열을 살펴보면, 인문사회전공이 104명(45.0%), 자연과학전공이 35명(15.2%), 공학전공이 21명(9.1%), 예체능전공이 52명(22.5%), 아직 전공 확정이 되지 않은 어학원 학생이 19명(8.2%)으로 나타났다.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2.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그릿,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 적응, 학습몰입, 학업성취도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결과는 <Table 2>에서 제시하였다.

Reliability of scale of variables

분석결과 그릿은 노력의 지속성, 흥미의 일관성 2가지 요인, 사회적 지지에서 가족지지, 친구지지 2가지 요인, 대학생활 적응에서 대학생활 적응, 사회적 적응, 정서적 적응 3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학습몰입에서는 학습과정몰입, 학습과제몰입, 사고통합몰입 3가지 요인, 학업성취도 1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요인분석에서 각 요인의 KMO 적합도는 모두 0.7 이상 매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Bartlett’s test를 통해 요인분석의 사용이 모두 1%수준 미만(p<0.000)의 값이 나왔으므로 유의한 요인분석임이 검증되었다.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각 요인에 대한 Cronbach’s α계수는 모두 0.7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각 요인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이 모두 검증되어 요인분석의 적합성도 확보되었다.

3. 상관관계 분석

유학생들의 그릿,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 적응, 학습몰입, 학업성취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Table 3>에서 보여준다.

Correlation among variables

사용된 5가지 주요 변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연구대상의 학업성취도는 그릿(r=0.358, p<.001), 사회적 지지(r=0.384, p<.001), 대학생활 적응(r=0.522, p<.001), 학습몰입(r=0.621, p<.001) 순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몰입은 그릿(r=0.492, p<.001), 사회적 지지(r=0.577, p<.001), 대학생활 적응(r=0.635, p<.001) 순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학생활 적응의 경우 그릿(r=0.465, p<.001), 사회적 지지(r=0.613, p<.001)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사회적 지지는 그릿(r=0.531, p<.001)과 높은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측정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상관계수가 판단기준인 .90보다 작게 나타나 다중공선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손주영, 2022).

4. 연구가설 검증

가. 사회적 지지와 그릿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Table 4>는 그릿,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회귀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GRIT on College Life Adaptation

사회적 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회귀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연구모형은 F 검증값의 유의수준이 .000으로 나옴으로써 회귀모형으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회귀모형의 수정된 R2 값은 0.528로 설명력이 52.8%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지(β=0.268), 친구지지(β=0.335)는 모두 대학생활 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변수 간의 표준화 상관계수의 크기를 비교할 때, 친구지지(β=0.335)는 가족지지보다 대학생활 적응에 현저히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그릿 및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회귀모형은 F 검증값의 유의수준이 .000으로 나옴으로써 회귀모형으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회귀모형의 수정된 R2 값은 0.655로 설명력이 65.5%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력의 지속성(β=0.205), 흥미의 일관성(β=0.097)은 모두 대학생활 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변수 간의 표준화 상관계수의 크기를 비교할 때 흥미의 일관성(β=0.335)은 다른 변인보다 대학생활 적응에 현저히 미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므로 연구가설 2는 채택되었다.

나. 대학생활 적응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able 5>에서는 대학생활 적응, 학업성취도에 관한 회귀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가설 3인 “대학생활 적응은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회귀모형은 F 검증값의 유의수준이 .000으로 나옴으로써 회귀모형으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수정된 R2 값은 0.351로 설명력이 35.2%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적응(β=0.240), 정서적 적응(β=0.279)은 학업성취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반면, 사회적 적응(β=0.128)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College life Adapt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다.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 관계에서 학업몰입의 매개효과

<Table 6>에서는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에서 학업몰입의 매개효과에 관한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1단계에서 독립변수인 대학생활 적응과 매개변수인 학업몰입 간에는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었다(β=0.565, p<.001). 2단계에서 독립변수인 대학생활 적응과 종속변수인 학업성취도 간에는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었다(β=0.342, p<.001). 3단계에서 매개변수인 학업몰입이 종속변수인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몰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살펴보면, 매개변수인 학업몰입은 종속변수인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β=0.479, p<.001)은 유의미하였으며, 2단계에서의 독립변수인 대학생활 적응이 종속변수인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력이 3단계(β=565, p<.001)에서는 상승세로 나타났다. 또한, Sobel's test 분석결과에서 매개변수인 학업몰입은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5.972, p<.000). 그러므로 가설 4는 채택되었다.

Analysis Results on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문헌을 바탕으로 외국인 유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그릿, 대학생활 적응, 학습몰입,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모형을 [Fig. 1]과 같이 설정하여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가설 1인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모형은 F 검증값의 유의수준이 .000으로 나옴으로써 회귀모형으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회귀모형의 수정된 R2 값은 0.528로 설명력이 52.8%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지(β=0.268), 친구지지(β=0.335)는 모두 대학생활 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유학생들이 사회 지지를 중시해야 하며 가족, 친구와 더 많은 소통을 하고, 학업생활 중 어려운 점에 대해 가족, 친구와 더 많이 상의하고, 조언을 많이 듣는 것이 가장 좋다. 이로써 유학생의 생활 적응력을 증강시키다.

둘째, 연구가설 2인 “그릿은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모형은 F 검증값의 유의수준이 .000으로 나옴으로써 회귀모형으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회귀모형의 수정된 R2 값은 0.655로 설명력이 65.5%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력의 지속성(β=0.205), 흥미의 일관성(β=0.097)은 모두 대학생활 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연구결과를 통해 그릿이 높은 학생은 학업적 적응력이 높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Lee and Sohn, 2013; Bowman et al., 2015; Duckworth, 2016). 그릿이 높은 대학생은 개인의 욕구나 충동, 장기적인 목표를 위한 노력 등 개인 내적인 요인들은 통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개인 내부적 성격은 대학생활 적응과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연구가설 3인 “대학생활 적응은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회귀모형은 F 검증값의 유의수준이 .000으로 나옴으로써 회귀모형으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수정된 R2 값은 0.351로 설명력이 35.2%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적응(β=0.240), 정서적 적응(β=0.279)은 학업성취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반면, 사회적 적응(β=0.128)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대학생활 적응 하위요인 중 학업적 적응, 정서적 적응이 높을수록 학업성취평가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유학생이 대학에서 학업성취에 만족하기 위해 노력하고, 사회적인 활동 및 학업적 활동을 하며, 대인관계에 대한 적응이 높을수록 자신의 학업성취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넷째, 연구가설 4인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의 영향관계에서 학업몰입은 매개효과를 미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1단계에서 독립변수인 대학생활 적응과 매개변수인 학업몰입 간에는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었다(β=0.565, p<.001). 2단계에서 독립변수인 대학생활 적응과 종속변수인 학업성취도간에는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었다(β=0.342, p<.001). 3단계에서 매개변수인 학업몰입은 종속변수인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β=0.479, p<.001)은 유의하였으며, 2단계에서의 독립변수인 대학생활 적응이 종속변수인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력이 3단계(β=565, p<.001)에서는 상승세로 나타났다. Sobel's test 분석결과에서 매개변수인 학업몰입은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5.972, p<.000). 그러므로 가설 4는 채택되었다. 매개모형 검증을 통해 학업몰입이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 사이를 부분 매개한다는 것이 증명되어 연구모형을 지지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사회적 지지 및 그릿 측면에서 살펴보면 동아리, 학생회 활동 등 다양한 경험, 체험활동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외국 유학생은 한국 학생동아리 활동을 많이 참여하고 학생회 활동과 같은 자치경험이 있을수록 대학생활에 더 잘 적응하며, 대학생활 적응 능력을 더 높게 느끼고 있었다. 둘째, 유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 유학생들이 학업에 어려움이 있을 때는 교수나 한국 친구들에게 적극적으로 문의해야 한다. 또한, Woo and Kim(2015)은 장학금 프로그램의 실행은 학업성취도와 학업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대학은 유학생을 대상으로 장학금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지원하여 이를 통해 학생들의 학업몰입을 강화시켜야 한다.

본 연구는 자발적으로 조사에 참여한 재한 중국인 유학생만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기에 성별, 전공, 학년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일부 집단에 편중된 결과를 보여 일반화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학습동기의 문제 역시 재한 중국인 유학생뿐만 아니라 모든 유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문제이기에 후속 연구는 연구 대상을 확장하여 다양한 국적의 유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중국유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그릿, 대학생활 적응, 학업성취도관계 및 학업성취도에 학업몰입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해 보는 조사연구에 머물렀으나 이후에는 다양한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몰입 수준 분석이나 사회적 지지, 그릿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를 기초로 한 구조모형검증, 학교현장에서의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질적인 접근 등 구체적이고 다양한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 Ahn JH, Ahn YM, Woo SI, Sohn ML and Sohn M(2016). International Students’ Use of a University Health Center.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2(1), 29~36. [https://doi.org/10.4094/chnr.2016.22.1.29]
  • Arkoff A(1968).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New York: McGraw-Hill.
  • Bae SH and Hong JI(2013). The Effects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and Supportive Campus Climate on Chinese Students’ Active Classroom Engagement.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23(6), 109~134.
  • Baik JS(2012). Variables Affecting College Adaptation among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29(3), 119~131.
  • Baker RW and Siryk B(1984).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 179~189. [https://doi.org/10.1037/0022-0167.31.2.179]
  • Bowman NA, Hill PL, Denson N and Bronkema R(2015). Keep on truckin’or stay the course? exploring grit dimensions as differential predictors of educational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intentions.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6(6), 639~645. [https://doi.org/10.1177/1948550615574300]
  • Carini RM, Kuh GD and Klein SP(2006). Student Engagement and Student Learning: Testing The Linkage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47(1), 1~32. [https://doi.org/10.1007/s11162-005-8150-9]
  • Chen X and Kang JR(2018).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Emotion Regul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15), 361~382.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15.361]
  • Cho BR and Lee JM(2019). Eff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 Stress,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n College Life Adjust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4), 1~11. [https://doi.org/10.14400/JDC.2019.17.4.001]
  • Choi YS(2022). The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on college life adaptation,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 Cohen S and Hoberman HM(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 Csikszentmihalyi M and Csikzentmihaly M(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Vol. 1990). New York: Harper & Row.
  • Duckworth AL, Peterson C, Matthews MD and Kelly DR(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1101. [https://doi.org/10.1037/0022-3514.92.6.1087]
  • Duckworth A and Duckworth A(2016). Grit: the Power of Passion and Perseverance, simon and schuster.
  • Gu YA(2022). The Effect of Chinese University Taekwondo Instructors’ image on the Grit, Psychological State and Performance of Taekwondo athlete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 Han HJ, Yang JH, Kim HY and Kim YM(2018). Analysis of affecting career maturity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4(2), 381~397. [https://doi.org/10.24159/joec.2018.24.2.381]
  • Han SJ and Park SH(2022). A Study on GRIT, Empowerment and Internship Satisfaction for Tourism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37(4), 25~43. [https://doi.org/10.21719/IJTMS.37.4.2]
  • Hockerts KK(2017). Determinants of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41(1), 105~130. [https://doi.org/10.1111/etap.12171]
  • Hou CY, H G and Won HH(2022).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North-east Asian Cultures, 72(9), 53~68. [https://doi.org/10.17949/jneac.1.72.202209.004]
  • Hwang BU(2010). A Qualitative Study on the Adaptation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to School Universitie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 Jin JG, Kang BY, Guo YO and Yim SH(2022).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Social Support,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Foreign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35(5), 987~1005. [https://doi.org/10.18032/kaaba.2022.35.5.987]
  • Jin SH and Kim GH(2019). The effects of freshmen’s adaptability to university life on academic achievement and dropout.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20), 805~824. [https://doi.org/10.22251/jlcci.2019.19.20.805]
  • Jin HJ and Chi EL(201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llege Adaptation Scale for Chinese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8(1), 1~23.
  • Kang MH and Kang MZ(2015).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7(4), 489~510. [https://doi.org/10.17927/tkjems.2015.27.4.489]
  • Kang JW(2017).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Achievement Motivation and Learning Flow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1(5), 151~164. [https://doi.org/10.21184/jkeia.2017.07.11.5.151]
  • Kim SH and Huang CI(2017). A Study on the Undergraduate Grad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Types, Locations, Scales and Subjects of Universities in Korea.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6), 267~275. [https://doi.org/10.14257/AJMAHS.2017.06.65]
  • Kim JH(2022).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Grit, Hope,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School Curriculum. Korean Journal of Thinking Development, 18(2), 69~88. [https://doi.org/10.51636/JOTD.2022.08.18.2.69]
  • Kim JH(2003). Structural analysis on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commitment of adult education program participants. Ph.D’s thesi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 Kim HJ(2019). Recognition of happiness as a learning outcome according to adult learners' learning tendency. Ph.D’s thesis, Ajou University Graduate School.
  • Kim JH(2003). Structural analysis on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commitment in adult education program participation. Ph.D’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 Kim JS(2021). A structural model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ositive emotional expansion. Ph.D. thesis, Graduate School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Kim SI(2005). Pedagogical Paradigm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1), 151~170. [https://doi.org/10.26857/JLLS.2005.05.1.1.151]
  • Koo BJ(2019). The Effect of Self-Direction,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action 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College Students' Online Distance Learning. Korean Journal of Convergence Science, 11(7), 103~119. [https://doi.org/10.24826/KSCS.11.7.7]
  • Lee HJ(2019).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college students on employment possibilit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h.D’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 Lee HJ, Jo MR, Kang NK, Yang JH, Shim HI and Hwang JH(2020). The effects of grit,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life-stress of undergraduate students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2(10), 683~693. [https://doi.org/10.22251/jlcci.2022.22.10.683]
  • Lee JM(2020). An Exploratory Study on Effects of Loneliness and YouTube Addiction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the Distance Education During COVID-19.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7), 342~351. [https://doi.org/10.5392/JKCA.2020.20.07.342]
  • Lee KK(2007). Effect of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and Web-based Instruction on Academic Performances: Focus on Computerized Practical Accounting.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16, 29~36.
  • Lee NR, Seo HS and Lee SG(2022). The Effect of Gri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smetology Students.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16(3), 109~129. http://data.doi.or.kr/10.22649/JBAM.2022.16.3.109
  • Lee SR and Sohn YW(2013). What are the strong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Deliberate practice and Grit.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10(3), 349~366. [https://doi.org/10.16983/kjsp.2013.10.3.349]
  • Lee SJ(2011).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of the Autonomy, Relatedness, Competence, Academic achievement, Emotional-adjust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5(4), 903~926.
  • Lee SJ and Park JY(2018). The Effects of Grit and Stress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2), 269~276. [https://doi.org/10.14400/JDC.2018.16.2.269]
  • Min YS(2020). The effect of GRIT of participants in daily sports and swimming on exercise continuity intention and physical self-efficacy.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Noe RA and Schmitt N(1986). The Influence of Trainee Attitudes on Training Effectiveness: Test of a Model. Personnel psychology, 39(3), 497~523. [https://doi.org/10.1111/j.1744-6570.1986.tb00950.x]
  • Oh YJ, Lee ES, Park MS and Lee EM(2021). The Effect of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Self-leadership on Nursing student’s College life adjustm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3(2), 787~797. [https://doi.org/10.37727/jkdas.2021.23.2.787]
  • Park JW(2010).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Commitment, Self-esteem, and Str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Park AJ(2015). The impact of tea ceremony program on culture adapting stress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The Journal of Tea Culture & Industry Studies, 28, 79~126.
  • Sczekan M and Betz M(1973). Effect of values, social support, and academic performance in stabilizing occupational choice. Nursing Research, 22(4), 339~343. [https://doi.org/10.1097/00006199-197307000-00009]
  • Seong JA, Yeom EY and Do YS(2014). Image of Nurses and Nursing Professional Values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1), 798~809.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798]
  • Seo MG, Kang YS and Choi BY(2020).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Self-Encouragement, Depression, and Academic Burnout on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Comparison of Korean College students and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0), 537~557. [https://doi.org/10.22251/jlcci.2020.20.20.537]
  • Seo HE and Kim HJ(2022).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in a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during COVID-19: Links to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ge Life Adaptation.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2(7), 41~51. [https://doi.org/10.22251/jlcci.2022.22.7.41]
  • Seo ES and Chung KA(2015).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Satisfaction with Major, Adjusting to College Life and Self-Esteem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at a University on Academic Achievement.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17(3), 213~226. [https://doi.org/10.17337/JMBI.2015.17.3.213]
  • Son JY(2022).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Code and Self-efficacy.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3(3), 2609~2622. [https://doi.org/10.22143/HSS21.13.3.181]
  • Song YJ and Cho GP(2016).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Korean Education Inquiry, 34(4), 61~77. [https://doi.org/10.22327/kei.2016.34.4.061]
  • Wang R, Lee YJ and Kim DJ(2022). The Relationship among the Level of Sports Participation, Depression and Adaptaion to College Life in Chinese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 of Grit.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27(3), 63~78. [https://doi.org/10.15831/JKSSPE.2022.27.3.63]
  • Won JY and Seong GB(2015). Effects of Dispositional Empathy, Grit, and Adjustment to College on University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6), 837~851.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6.837]
  • Woo MS and Kim JH(2015). The Effectiveness of Korean Government Scholarship Program on the College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and Engagement.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24(3), 163~185.
  • Xiao AJ(2022). A Need Analysis on Empathic Learning of Korean and Chinese students for college life adjustment.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 Yi MJ and Kim SS(2018).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Learning Motiv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4), 607~614. [https://doi.org/10.21742/AJMAHS.2018.04.83]

[Fig. 1]

[Fig. 1]
Research model.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Characteristics Division N(%) Characteristics Division N/(%)
Gender Male 103(44.5%) Age 20s 164(71.0%)
Female 128(55.5%) 30s 43(18.6%)
Major filed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104(45.0%) 40s 20(8.7%)
Natural science 35(15.2%) 50s 4(1.7%)
Engineering 21(9.1%) Degree Language school 19(8.2%)
Art, music, physical 52(22.5%) College 145(62.8%)
Undetermined 19(8.2%) Graduate school 67(29.0%)

<Table 2>

Reliability of scale of variables

Variable Number of items Cronbach’s α KMO value Bartlett’s test
Note: ***p<.001
GRIT Perseverance of effort 3 .781 .764 595.431***
Consistency of interest 4 .711
Social support Family support 4 .714 .788 632.761***
Friend support 4 .756
Collage life adaptation Academic adaptation 5 .880 .885 2741.938***
Social adaptation 4 .816
Emotional adaptation 4 .882
Learning flow Learning process flow 5 .722 .815 1228.992***
Learning project flow 4 .772
Thinking integration flow 3 .818
Academic achievement 3 .732 .862 2553.752***

<Table 3>

Correlation among variables

Variable 1 2 3 4 5
r(p)
Note: ***p<.001
1. GRIT -
2. Social support .531*** -
3. Collage life adaptation .465*** .613*** -
4. Learning flow .492*** .577*** .635*** -
5. Academic achievement .358*** .384*** .522*** .621*** -

<Table 4>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GRIT on College Life Adaptation

Variable B SE β t F(sig.) R2 Adjusted R2 pass or not
Note: *p<.01, **p<.05, ***p<.001
(Constant) .473 .127 3.172*** 132.368
(.000)
.532 .528
Family support .249 .054 .268 4.623*** pass
Friend support .325 .059 .335 5.535*** pass
(Constant) .534 .146 3.672*** 157.129
(.000)
.659 .655
Perseverance of effort .199 .053 .205 3.764*** pass
Consistency of interest .092 .054 .097 1.708* pass

<Table 5>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College life Adapt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Variable B SE β t F(sig.) R2 Adjusted R2 pass or not
Note: *p<.01, **p<.05, ***p<.001
(Constant) 1.652 .193 8.568*** 58.723
(.000)
.351 .345
Academic adaptation .231 .080 .240 2.878*** pass
Social adaptation .124 .078 .128 1.595 reject
Emotional adaptation .267 .066 .279 4.082*** pass

<Table 6>

Analysis Results on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Step Independ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 R2 SE β F t
Note: *p<.01, **p<.05, ***p<.001
1 Collage life adaptation Learning flow .319 .049 .565 153.600 12.394***
2 Collage life adaptation Academic achievement .479 .061 .342 89.812 8.572***
3 Collage life adaptation Academic achievement .582 .060 .464 102.512 10.456***
Learning flow .046 .479 10.263***
Sobel’s test Z value p
5.972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