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6, No. 2, pp.352-361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4
Received 22 Feb 2024 Revised 20 Mar 2024 Accepted 26 Mar 2024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4.4.36.2.352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수산·해운 계열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중요도-실행도를 중심으로

허재영 ; 조진호
국립부경대학교(학생)
국립부경대학교(교수)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 Teachers on Teacher-Learning Community: Focusing on Importance-Performance
Jae Young HEO ; Jin-Ho CHO
Pukyong National University(stud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051-629-5973, 75jino@pknu.ac.kr

Abstract

In this stud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 teachers perceived Teacher Learning Community (TLC) at the level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assumption of normality was satisfi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kewness and kurtosis for confirming the normal distribution of the major variables of TLC.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 teachers for the main variables of TLC except for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shared vi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test. Third, as a result of IPA, most of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Focus on Student Learning' were included in the first quadrant, which was high in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so it was found to be a factor that should be maintained. On the other hand, the third quadrant, which is low in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cludes all questions related to the 'Support Environment', suggesting what factors TLC at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 should be interested in and make efforts in the future.

Keywords:

Fisheries and maritime,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 learning communit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 서 론

교사학습공동체는 학교 문화를 재구조화한다는 개념으로 시작되었다. 교사학습공동체로 하여금 학교 안 교사들의 능력을 계발하여 학교를 실질적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보았다(Eaker et al., 2002). 또한, 교사학습공동체는 교사의 교육 실천을 개선시키면서(McLaughlin and Talbert, 2006), 동시에 학생의 학습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Eaker et al., 2002; Hord, 2004).

교사 학습에 관한 많은 연구들은 교사학습공동체를 제안하고 있다. 교사학습공동체는 공동체로서의 학교를 의미하는데, 이는 공유된 신념, 공유된 이해, 상호작용과 참여, 상호 의존, 소수 관점에 대한 관심, 의미 있는 공동체의 주요 특성을 지니고 있다(Stoll et al., 2006).

Kwon(2010)은 중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의미와 실천 수준을 확인하여 바람직한 수업을 실현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에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좋은 수업이 지향해야 하는 관점과 주요 특성을 도출하고 현직 중등교사들이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행 수준을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Kwon and Park(2016)은 초등학교 구성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교육공동체의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교사와 학생들이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있어 어떤 요구들이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Sim and Lee(2021)는 전국의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특수교육대상 영유아 교육정책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그 차이를 파악하여, 그 시사점을 통해 유아특수교육 현장에 적합한 교육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Jang et al.(2023)은 다양한 교과 담당 교사들이 참여하는 다교과 교사학습공동체가 형성된 요인과 특징을 알아보고 다교과 교사학습공동체 경험 사례로부터 중등학교 체육교사가 참여하며 얻는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Cho(2022)는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수산・해운 계열 고등학교 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온・오프라인을 병행하는 교사학습공동체가 교사에게 더 전문적이고 동기부여를 유발할 수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상의 선행연구에서는 교사학습공동체의 특성에 주목하여 교사학습공동체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알아보고, 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범주화하여 정립하였다. 또한, 중등학교, 초등학교, 특수학교 등 학교급별에 따른 교사학습공동체의 인식 수준을 살펴보고 요구도를 분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수산・해운계열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인식 연구는 살펴볼 수 없었다. 따라서 수산・해운 계열 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들이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수산・해운 계열 고등학교 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교사학습공동체의 특성(교수학습비전 공유, 지원 환경, 협력적 학습, 학생의 학습력 신장)별로 수산・해운 계열 고등학교 교사들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수산・해운계열 고등학교 교사들의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수산・해운 계열 교사학습공동체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수산・해운 계열 고등학교 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Ⅱ. 이론적 배경

1. 교사학습공동체의 개념

교사학습공동체 개념은 학습조직, 전문학습공동체 등 다양한 용어가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Calderón(1999)은 교사학습공동체를 공동체의 협력과 노력을 통해 전문성 향상을 위해 끊임없이 개선하고 검토하는 데 용이한 구조로 정의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 상호 간에 지속적으로 그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 집단을 보았다.

Chan and Pang(2006)은 교사학습공동체를 변화하는 생태계에 대응하여 새로운 교수방법을 경험할 수 있는 연구 집단으로 정의하고 있다. Wiliam(2007)은 교사학습공동체란 참여하는 교사들이 중심이 되어 상호 간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교사 간 협력관계에 초점을 둔 집단으로 설명하고 있다. Jung(2009)은 교사학습공동체가 전문성을 지닌 교사들끼리 상호 경험을 나누고, 공유된 규범과 가치를 창출하거나 공유된 가치를 통해 협력적 관계를 맺은 사회적 학습공동체로 설명하고 있다. Jang(2010)은 교사학습공동체를 학습과 결합된 학습공동체와 학습조직이 결합된 형태로 보았다. Kwon(2014)은 교사들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계획적으로 조직된 활동이면 그 모든 것이 교사학습공동체로 볼 수 있다고 말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교사학습공동체는 학습자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하여 가치와 규범을 가지고 교수자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함께 탐구하고 실천하는 교사 집단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교사학습공동체는 다양한 상황과 구성원의 참여와 협력의 정도에 따라 양질의 결과를 창출하면서 동시에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가 성장할 수 있는 밑거름으로 볼 수 있겠다.

2. 교사학습공동체의 특성

교사학습공동체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여러 학자들마다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개념을 조금씩 상이하게 정의하고 있어 각 학자들의 관점에 따라 교사학습공동체를 구성하는 요인 또한 여러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Hord(2004)는 전문가학습공동체의 특성으로 가치와 비전 공유, 적용, 개인적 경험 공유, 상호 협력, 지원 환경, 지원적・공유적 리더십 5가지로 정리하였다. Dufour and Eaker(1998)는 전문적학습공동체의 특성으로 가치와 비전 그리고 임무의 공유, 협력적 팀으로서 상호의존적 관계 형성, 집단적 탐구를 통한 실행, 계속적 개선, 활동 지향적, 결과지향적이라고 6가지를 제시하였다. Seo(2009)는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대안으로써 교사학습공동체의 개념을 강조하면서, 가치와 비전의 공유, 협력, 학습중심성 3가지를 뒷받침하여 제시하였다. Jang(2010)은 교사학습공동체의 특성으로 비전 공유, 협력, 지원 환경, 리더십 공유 4가지로 정리하였다. Song and Choi(2010) 역시 Jang(2010)과 마찬가지로 비전 공유, 협력, 지원 환경, 리더십 공유를 교사학습공동체의 특성으로 제시하였는데, 추가적으로 탐구 문화, 교사들의 학생학습 강조 2가지를 함께 덧붙였다.

위와 같이 여러 학자들은 바라보는 관점과 시각에 따라 교사학습공동체의 특성을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비전 공유, 지원 환경, 협력적 학습, 학생의 학습력 신장 4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Ⅲ. 연구 방법

1. 측정 도구

수산・해운 계열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교사학습공동체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지는 Kim(2015)An(2016)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문항들은 수산・해운계열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공동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필요수준(중요도)’와 ‘현재수준(실행도)’에 응답하도록 총 2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매우 낮다’ 1점, ‘낮다’ 2점, ‘보통’ 3점, ‘높다’ 4점, ‘매우 높다’ 5점의 Likert 척도로 응답하게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의 중요도와 실행도 신뢰도(Cronbach’s α)는 모두 .932로 나타났다.

가. 비전 공유

비전 공유에 관한 문항은 ‘분명한 철학과 목표 의식이 있다’, ‘교육 철학을 바탕으로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구성원들이 비전을 공유한다’, ‘각종 활동에서 교육적 가치를 우선시한다’, ‘서로 목적이 다르더라도 구성원들을 존중하고 신뢰한다’, ‘서로에게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는다’, ‘공동체 문화의 주체를 교사라고 인식한다’로 총 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베리멕스 회전방식과 주성분 분석을 통해 고유치 1 이상, 요인 적재치 0.5 이상인 것을 측정문항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요인의 KMO 적합성 검증값은 0.752이었으며, Bartlett's 구형성 검정결과는 552.913 (p<.000)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는 중요 수준 .643, 보유 능력 수준 .866으로 나타났다.

나. 지원 환경

지원 환경에 관한 문항은 총 4문항으로, ‘협력적 업무를 위한 시간이 확보되어 있다’, ‘협력적 학습을 하기 쉽도록 일정이 짜여져 있다’, ‘협의가 가능한 학년, 교과, 부서별 소집단이 형성되어 있다’, ‘필요시 재정적 자원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로 구성하였다. 추출된 요인의 KMO 적합성 검증값은 0.698이었으며, Bartlett's 구형성 검정결과는 273.931 (p<.000)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는 중요 수준 .815, 보유 능력 수준 .720으로 나타났다.

다. 협력적 학습

협력적 학습은 ‘새로운 시도를 존중한다’, ‘우수한 성과를 격려하고 인정한다’, ‘실수나 실패를 이해하는 분위기이다’, ‘다양한 집단 학습의 기회가 존재한다’, ‘지속적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아이디어를 존중한다’, ‘교육 개선을 위해 꾸준히 연구한다’, ‘다양한 학생의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한다’ 문항으로 총 8문항이었다. 추출된 요인의 KMO 적합성 검증값은 0.734이었으며, Bartlett's 구형성 검정결과는 943.969 (p<.000)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는 중요 수준 .878, 보유 능력 수준 .856으로 나타났다.

라. 학생의 학습력 신장

학생의 학습력 신장에 관한 문항은 총 8문항으로, ‘학생들의 삶의 변화를 목표로 삼는다’, ‘목표가 단순한 점수 향상이 아닌 학생의 학습과정을 강조한다’, ‘학생의 인지적 능력 발달뿐 아니라 전인 교육을 지향한다’, ‘모든 학생들을 고려한 교육 목표를 세운다’, ‘학생의 개인차를 인정하고 존중한다’, ‘학생들 간의 수준차를 줄이도록 노력한다’, ‘모든 학생들이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한다’, ‘학생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한다’로 구성하였다. 추출된 요인의 KMO 적합성 검증값은 0.798이었으며, Bartlett's 구형성 검정결과는 771.879 (p<.000)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는 중요 수준 .849, 보유 능력 수준 .842으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 및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전국 수산・해운 계열 고등학교 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거나 응답을 누락한 설문지 8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총 102명(92.7%)의 설문자료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수집된 표본자료는 SPSS 27.0 프로그램을 통해 각 변인별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량, 상관관계분석, 중요도와 실행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t검정을 통해 통계적 유의미성을 검증한 후 이를 토대로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N=102)


Ⅳ. 연구 결과

1. 기초통계량 및 상관관계

본 연구의 주요 변인들인 비전 공유, 지원 환경, 협력적 학습, 학생의 학습력 신장 등에 대한 기초통계량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2>와 같다.

Descriptive Statistics

주요 변인의 정규분포성 확인을 위한 왜도, 첨도를 살펴보았다. 정규분포의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첨도와 왜도의 절대치를 통해 판단할 수 있으며, 연구의 모든 측정변인들은 왜도의 절댓값은 3 이하, 첨도의 절댓값은 7 이하로 나타나며, 정규성 가정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전 공유, 지원 환경, 협력적 학습, 학생의 학습력 신장 중요도-실행도 변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는 <Table 3>에서 보여준다.

Correlation among Variables

비전 공유 중요도는 지원 환경 중요도(r=.245, p<.05), 협력적 학습 중요도(r=.406, p<.01), 학생의 학습력 신장 중요도(r=.297, p<.01)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전 공유 실행도는 지원 환경 실행도(r=.591, p<.01), 협력적 학습 중요도(r=.245, p<.05), 협력적 학습 실행도(r=.725, p<.01), 학생의 학습력 신장 실행도(r=.589, p<.01)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 환경 중요도는 협력적 학습 중요도(r=.680, p<.01), 학생의 학습력 신장 중요도(r=.454, p<.01)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 환경 실행도는 협력적 학습 중요도(r=.232, p<.05), 협력적 학습 실행도(r=.690, p<.01), 학생의 학습력 신장 중요도(r=.240, p<.05), 학생의 학습력 신장 실행도(r=.580, p<.01)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상관계수가 판단기준인 .90 보다 이하로 나타나서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2. 중요도와 실행도의 인식수준 차이

가. 비전 공유

비전 공유 특성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요도와 실행도의 문항별 평균과 표준편차, t검정 결과는 <Table 4>와 같다.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Characteristics of Shared Vision

비전 공유에 대한 문항별 중요도 인식은 3.92에서 4.46으로 나타났으며, ‘서로 목적이 다르더라도 구성원들을 존중하고 신뢰한다.’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비전 공유에 대한 문항별 실행도 인식은 3.31에서 3.79로 나타났으며, ‘서로에게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는다.’, ‘공동체 문화의 주체를 교사라고 인식한다.’, ‘각종 활동에서 교육적 가치를 우선시한다.’에서 높은 반응이 관찰되었다. 반면, ‘교육 철학을 바탕으로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에서 가장 반응이 저조하였는데, 이는 비전 공유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교육 철학을 기반으로 한 공동체 문화를 구축하거나 이미 형성된 공동체 문화를 보완할 필요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t검정 결과를 살펴보면, ‘공동체 문화의 주체를교사라고 인식한다.’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01). 그중에서 특히 차이가 큰 요인은 ‘구성원들을 존중하고 신뢰한다.’이며, ‘공동체 문화의 주체를 교사라고 인식한다.’가 가장 차이가 적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 지원 환경

지원 환경 특성의 중요도와 실행도 문항별 평균과 표준편차, t검정 결과는 <Table 5>와 같다.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Characteristics of Supported Environment

지원 환경에 대한 문항별 중요도 인식은 4.15에서 4.25로 나타났으며, ‘필요시 재정적 자원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었다.

지원 환경에 대한 문항별 실행도 인식은 2.81에서 3.32로 나타났으며, ‘협력적 학습을 하기 쉽도록 쉽게 일정이 짜여져 있다.’와 ‘협의가 가능한 학년, 교과, 부서별 소집단이 형성되어 있다.’에서 높은 반응이 관찰되었다.

t검정 결과에서는 모든 문항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p<.001), 그중 특히 차이가 큰 요인은 ‘협력적 업무를 위한 시간이 확보되어 있다.’가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협력적 학습을 하기 쉽도록 일정이 짜여져 있다.’가 가장 적은 차이를 보였다.

다. 협력적 학습

협력적 학습의 중요도와 실행도 문항별 평균과 표준편차, t검정 결과는 <Table 6>과 같다.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on

협력적 학습에 대한 문항별 중요도 인식은 4.21에서 4.41로 나타났으며, ‘지속적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아이디어를 존중한다.’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었다.

문항별 실행도 인식은 3.31에서 3.85로 나타났으며, ‘우수한 성과를 격려하고 인정한다.’에 가장 높은 반응을 나타낸 반면, ‘교육 개선을 위해 꾸준히 연구한다.’에서 가장 낮은 반응을 보였다.

t검정 결과에서는 모든 문항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p<.001), 그중에서 특히 차이가 큰 요인은 ‘교육 개선을 위해 꾸준히 연구한다.’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우수한 성과를 격려하고 인정한다.’에서 차이가 가장 적었다.

라. 학생의 학습력 신장

학생의 학습력 신장의 중요도와 실행도 문항별 평균, 표준편차, t검정 결과는 <Table 7>과 같다.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Characteristics of Focus on Student Learning

학생의 학습력 신장에 대한 문항별 중요도 인식은 4.15에서 4.48로 나타났으며, ‘학생의 인지적 능력 발달뿐 아니라 전인교육을 지향한다.’를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학생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평가방법을 활용한다.’와 ‘모든 학생들을 고려한 교육목표를 세운다.’는 상대적으로 중요성을 낮게 인식하였다.

문항별 실행도 인식은 3.68에서 4.02로 나타났으며, ‘모든 학생들이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한다.’에 가장 높은 반응을 나타낸 반면, ‘모든 학생들을 고려한 교육목표를 세운다.’, ‘학생들의 삶의 변화를 목표로 삼는다.’에 낮은 반응을 보였다. 특히, ‘모든 학생들을 고려한 교육목표를 세운다.’는 중요 수준, 보유 능력 수준 모두에서 낮은 반응을 보였다.

t검정 결과를 보면, 모든 문항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p<.001), 그중에서도 ‘학생의 인지적 능력 발달뿐 아니라 전인교육을 지향한다.’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모든 학생들이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한다.’에서 가장 적은 차이를 보였다.

3. 중요도와 실행도(IPA) 분석

위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산·해운 계열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주요 특성별 중요도와 실행도 평균값을 이용하여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행도를 x축으로, 중요도를 y축으로 하고 중요도 전체 평균 4.27점과 실행도 전체 평균 3.56점을 기준으로(x, y축의 교차점) 각 항목의 점수에 따라 4사분면으로 구성된 매트릭스에 27개 요인을 나타내면 [Fig. 1]과 같다.

[Fig. 1]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on Teacher Learning Community(V: Shared Vision, E: Supported Environment, C: Collaboration, L: Focus on Student Learning)

그 결과, 지속유지(1사분면) 9개, 개선노력 집중(2사분면) 4개, 우선순위 낮음(3사분면) 8개, 과잉노력 지양(4사분면)에 6개 특성이 분포되었다.

먼저, 중요도, 실행도가 모두 높은 1사분면에는 ‘학생의 학습력 신장’에 관한 문항 대부분과 ‘비전 공유’ 문항 중 ‘구성원들이 비전을 공유한다.’, ‘서로 목적이 다르더라도 구성원들을 존중하고 신뢰한다.’, ‘서로에게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는다.’가 포함되어 있었다. 위 항목들은 교사들이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므로, 현재 수준으로 잘 유지해야 할 것이다.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은 2사분면은 ‘협력적 학습’에 관한 문항 중 ‘지속적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아이디어를 존중한다.’, ‘공동체 문화를 변화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다.’, ‘교육 개선을 위해 꾸준히 연구한다.’와 ‘비전 공유’ 문항 중 ‘분명한 철학과 목표 의식이 있다.’가 제시되었다. 위 항목들은 향후 좋은 교사학습공동체 구성을 위해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은 3사분면에는 ‘지원 환경’에 관한 문항 전체, ‘협력적 학습’ 문항 중 ‘실수나 실패를 이해하는 분위기이다.’, ‘다양한 집단 학습의 기회가 존재한다.’, ‘다양한 학생의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한다.’, ‘비전 공유’ 문항 중 ‘교육 철학을 바탕으로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가 있었다. 위 항목들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인식되는 대목이라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중요도는 낮으나 실행은 비교적 잘 이루어지는 ‘과잉노력 지양’ 항목은 ‘비전 공유’, ‘협력적 학습’, ‘학생의 학습력 신장’ 특성별로 각각 2가지 문항이 포함되어 있었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수산・해운 계열 고등학교 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수준을 살펴보고,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요도와 실행도를 중심으로 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면, 각 변인별로 ‘구성원 간 존중과 신뢰’, ‘협력적 업무를 위한 시간 확보’, ‘교육 개선을 위한 꾸준한 연구’, ‘인지적 능력 발달 및 전인교육 지향’에 있어 그 차이가 매우 컸다. 특히, ‘협력적 업무를 위한 시간 확보’와 ‘교육개선을 위한 꾸준한 연구’는 발전적인 수업을 위해 중요하다고 인식하나, 협력과 연구를 위한 시간을 보장받지 못하여 실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학교 차원에서 교사 간 협력과 교육개선을 위한 연구를 위한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제공하기 위한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IPA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학생의 학습력 신장’ 대부분과 ‘비전 공유’ 중 ‘구성원 간 비전 공유’, ‘존중과 신뢰’, ‘칭찬과 신뢰’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요소로 보았다. 반면, ‘협력적 학습’ 중 ‘아이디어 존중’, ‘공동체 문화 변화를 위한 노력’, ‘교육 개선을 위한 꾸준한 연구’와 ‘비전 공유’ 중 ‘분명한 철학과 목표 의식’은 어떤 특성보다도 우선순위를 두고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교사들이 분명한 철학과 목표 의식을 가지고 변화와 개선을 꾀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존중하는 학교 문화를 형성하고 교육 연구에 대한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의 주요 변인 4가지 만을 가지고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요인들을 포함하고 추세나 경향성도 함께 알아볼 수 있는 양질의 연구를 실시하여 좋은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심층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수산・해운 계열 고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3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1S1A5A8069500)

References

  • An SH(2016).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Elementary School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Calderón M(1999).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for cooperation in diverse settings. Theory Into Practice, 38(2), 94~99.
  • Chan CK and Pang MF(2006). Teacher collabor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Teaching Education, 17(1), 1~5. [https://doi.org/10.1080/10476210500527899]
  • Cho JH(2022). A Qualitative Study on the Direction of Learning Community Operation to Cultivate Teacher Professionalism - Focusing on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s -.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4(5), 883~892. [https://doi.org/10.13000/JFMSE.2022.10.34.5.883]
  • DuFour R and Eaker R(1998).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t work : Best practices for enhancing student achievement. Bloomington, IN.: National Education Service: Alexandria, Va.
  • Eaker R, DuFour R and DuFour R(2002). Getting started: Reculturing schools to becom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Bloomington, IN: National Educational Service.
  • Hord M(2004).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n overview. In S.M. Hord (Ed.), Learning together, leading together : Changing schools through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New York : Teachers College Press, 5~14.
  • Jang H(2010). A Study on the Formation Level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ccording to Public School Categorie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Jang PJ, Han DS, Kim YS and Yi JW(2023). A Case Study o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 Multi-Subject Teacher Learning Community. 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4(2), 183~215. [https://doi.org/10.18612/cnujes.2023.44.2.183]
  • Jung WJ(2009). The Effect of Principal Leadership, Teachers' Collaborative Culture, Empowerment on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6(3), 289~310. [https://doi.org/10.24211/tjkte.2009.26.3.289]
  • Kim YJ(2015). A Study on the Structure Rel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Learning Community, Knowledge Sharing, and Job Performance.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 Kwon DN and Park HS(2016). Needs Analysis on Members of Elementary School for Building ‘Ddadeutan’ Educational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3), 1637~1653.
  • Kwon NY(2014). The Role of Community for Teacher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0(2), 59~81. [https://doi.org/10.24159/joec.2014.20.2.59]
  • Kwon SY(2010). Teachers` conceptions of good teaching in secondary school: the analysi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6(1), 185~215.
  • McLaughlin MW and Talbert JE(2006). Building school 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Professional strategies to improve student achievement.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Seo GH(2009).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6(2), 243~276. [https://doi.org/10.24211/tjkte.2009.26.2.243]
  • Sim SB and Lee BI(2021). A Study on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toward Educational Policy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IPA). 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1(2), 33~56. [https://doi.org/10.21214/kecse.2021.21.2.33]
  • Song KO and Choi JY(2010). Analysis on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Level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179~201. [https://doi.org/10.24211/tjkte.2010.27.1.179]
  • Stoll L, Bolam R, McMahon A, Wallce M and Thomas S(2006).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Educational Change, 7, 221~-258. [https://doi.org/10.1007/s10833-006-0001-8]
  • Wiliam D(2007). Changing Classroom Practice. Educational Leadership, 65(4), 36~42.

[Fig. 1]

[Fig. 1]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on Teacher Learning Community(V: Shared Vision, E: Supported Environment, C: Collaboration, L: Focus on Student Learning)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N=102)

Characteristics Division N (%) Characteristics Division N (%)
Gender Male 56 54.9 Subject in Charge a specialized subject 79 77.5
Female 46 45.1 an ordinary subject 23 22.5
Career less than 5 years 33 32.4 Major Fisheries 20 19.6
5~14 years 27 26.5 Aquacultures 16 15.7
15~24 years 2 22.5 Foods 7 6.9
more than 25 years 19 18.6 Engine 21 20.6
Post Position senior teacher 29 28.4 Refrigeration 3 2.9
common teacher 73 71.6 Navigation Science 12 11.8
Homeroom Teacher Status homeroom teacher 57 55.9 Region Gyeongsangnam-do 60 58.8
Gyeongsangbuk-do 41 40.2
Not homeroom teacher 45 44.1
Busan 1 1.0

<Table 2>

Descriptive Statistics

Index Variable Mean. Min. Max. Skewness Kurtosis Range
Importance Shared Vision 4.25 3.43 5.00 .442 -.443 1~5
Supported Environment 4.21 2.25 5.00 -1.234 2.243 1~5
Collaboration 4.28 2.38 5.00 -.891 2.789 1~5
Focus on Student Learning 4.32 2.88 5.00 -.649 .960 1~5
Performance Shared Vision 3.61 1.86 5.00 -.415 -.140 1~5
Supported Environment 3.10 1.50 5.00 .050 .011 1~5
Collaboration 3.50 2.00 5.00 -.104 -.306 1~5
Focus on Student Learning 3.80 2.38 5.00 -.077 -.243 1~5

<Table 3>

Correlation among Variables

Variable 1 2 3 4 5 6 7 8
r(p)
Note: * p<05; ** p<01.
1. Importance Index for Shared Vision 1
2. Performance Index for Shared Vision .194 1
3. Importance Index for Supported Environment .245* .078 1
4. Performance Index for Supported Environment .060 .591** .099 1
5. Importance Index for Collaboration .406** .245* .680** .232* 1
6. Performance Index for Collaboration .144 .725** .023 .690** .208* 1
7. Importance Index for Focus on Student Learning .297** .118 .454** .240* .659** .161 1
8. Performance Index for Focus on Student Learning .130 .589** -.015 .580** .227* .669** .360** 1

<Table 4>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Characteristics of Shared Vision

Questions N Importance Performance t p Rank
M SD M SD
1. have a clear philosophy and a sense of goal. 102 4.28 .680 3.51 .962 6.648 <.001 4
2. form a community culture based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102 4.13 .655 3.31 .901 7.557 <.001 3
3. members share the vision. 102 4.33 .586 3.59 .927 7.912 <.001 2
4. prioritize educational values in various activities. 102 4.27 .706 3.69 .890 6.201 <.001 5
5. respect and trust the members, even if they have different objectives. 102 4.46 .575 3.64 1.064 7.947 <.001 1
6. give each other praise and encouragement. 102 4.37 .628 3.79 1.066 5.576 <.001 6
7. recognize the subject of community culture as a teacher. 102 3.92 .935 3.74 .924 1.488 .140 7

<Table 5>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Characteristics of Supported Environment

Questions N Importance Performance t Rank
M SD M SD
Note: * p<05.
1. be time in place for cooperative work. 102 4.20 .732 2.81 .898 11.303* 1
2. be scheduled to make collaborative learning easier. 102 4.23 .688 3.32 1.016 8.322* 4
3. small groups are formed by grade, subject, and department that can be cooperative. 102 4.15 .763 3.28 .916 10.174* 3
4. can easily use financial resources when necessary. 102 4.25 .780 2.99 .960 10.217* 2

<Table 6>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on

Questions N Importance Performance t Rank
M SD M SD
Note: * p<05.
1. respect the new attempt. 102 4.23 .506 3.72 .849 5.532* 7
2. encourage and acknowledge excellent performance. 102 4.27 .692 3.85 .938 3.769* 8
3. be an atmosphere of understanding mistakes or failures. 102 4.23 .743 3.41 .968 7.044* 5
4. be various opportunities for group learning. 102 4.21 .694 3.35 1.059 7.348* 4
5. respect the idea so that continuous research can be done. 102 4.41 .680 3.53 .962 7.607* 3
6. constantly strive to change the community culture. 102 4.35 .670 3.33 .937 8.748* 2
7. continuously research to improve education. 102 4.29 .623 3.31 1.034 8.866* 1
8. research to address the needs of various students. 102 4.21 .665 3.45 1.001 7.028* 6

<Table 7>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Characteristics of Focus on Student Learning

Questions N Importance Performance t Rank
M SD M SD
Note: * p<05.
1. aim to change students' lives. 102 4.29 .712 3.69 .923 5.446* 6
2. goal is not to simply improve the score, but to emphasize the student's learning process. 102 4.32 .706 3.77 .900 5.484* 5
3. aims not only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ognitive abilities, but also for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 102 4.51 .558 3.85 .894 7.148* 1
4. establish educational goals that take into account all students. 102 4.19 .625 3.68 .760 6.120* 3
5. recognize and respect students' individual differences. 102 4.48 .558 3.87 .886 6.641* 2
6. strive to reduce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students. 102 4.31 .660 3.75 .841 5.859* 4
7. do our best to make all students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102 4.28 .680 4.02 .796 3.362* 8
8. various evaluation methods are used to support student growth. 102 4.15 .723 3.78 .886 4.12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