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6, No. 2, pp.426-436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4
Received 15 Mar 2024 Revised 01 Apr 2024 Accepted 08 Apr 2024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4.4.36.2.426

수산·해운 계열 고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 형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임종민 ; 조진호
국립부경대학교(학생)
국립부경대학교(교수)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Formation of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of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s
Jong-Min LIM ; jin-Ho CHO
Pukyong National University(stud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051-629-5973, 75jino@pknu.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enhanc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form community relationships to form the Fisheries and Maritime Teacher Learning Community(FMTLC).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which is a teaching system development procedure,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stages of Analysis→Design→Development→Implement→Evaluation. The characteristics of fisheries and maritime teachers were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r literature and demand surveys, and based on this, a program model was developed through an expert advisory meeting. Five teachers who work at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s were implemented and evaluated in three stages of relationship, cooperation, and sharing over a total of five sessions, and finally presented a program model. It can be seen that the program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provided meaningful data as a program that positively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s.

Keywords:

Teacher learning community, Fisheries maritime high schools, Teacher professionalism, Education programs

I. 서 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급변하는 사회에 대비하여 학교 교육에서는 능동적 학습을 강조하는 학습자 중심 교육을 통해 미래 사회를 이끌어나갈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 2022년부터 모든 직업계고에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는 고교학점제는 ‘교육의 주체로서의 학생’을 강조하고 있으며,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실무형 인재를 양성해야 하는 직업계고에서는 실무과목 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므로 프로젝트 수업과 같은 학습자 중심 수업이 중요하다. 학습자 중심 수업은 교사가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수업 태도를 이끌어야 하므로 수업 설계 및 운영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이 요구된다. 전문성을 신장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동료 교사들과 협력학습을 하며 소통과 나눔 속에서 전문성을 더욱 확대 시킬 수 있는데(Shin and Song, 2023), 교사학습공동체가 대표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교사학습공동체는 교사들로 구성되며 어느 공동체든 구성원의 전문성 신장과 학생의 학습능력 신장을 추구한다는 공통된 목적을 갖는다. 특히 실제 현장에서 교사의 능동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교사의 실천적 지식 신장과 수업 개선에 효과적이다(Seon and Bang, 2014). Ko et al.(2017)는 교사학습공동체를 비전과 목적을 공유한 교사들이 학생의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상호 협력하는 공동체 활동이라 보고하였다. 따라서 교사는 교사학습공동체 속에서 가치와 신념을 공유하고, 교직 경험과 이에 대한 피드백을 나누는 과정을 통해 교사로서 필요한 다양한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을 것이다.

2018년 기준 공업 계열 특성화고등학교만 195개교인 것에 비해 수산·해운 계열은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를 합하여 11개교로 전체 직업계고 중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적다(Park, 2018). Cho(2022)는 수산·해운 계열 고등학교는 전국 각 시·도에 분포한 지정학적 특성과 타교과에 비해 정규 교사의 공석이 부족하여 신규 교사를 수년에 걸쳐 임용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수산·해운 계열 교사학습공동체(Fisheries Maritime Teacher Learning Community: FMTLC)도 이러한 성격에 맞는 운영의 방향성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동료 교사와 상호 협력함으로써 전문성을 개발하고 교사 간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며 바람직한 교사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현재 산·해운 계열 교사학습공동체는 수년에 걸쳐 한 번씩 운영되거나 같은 학교 내의 교사공동체 등 작은 단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한 이를 직접적으로 지향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도 전무한 실정이다.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공동체를 이루는 구성원과 그들의 공동체적 관계성에 접근할 수 있는 모형이 필요한데, ADDIE 모형은 일반적인 교수설계(Instructional Design)뿐만 아니라 인간과 조직의 수행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수행공학(HPT: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분야에서 가장 빈번히 사용되고 있으므로 공동체적 역량 증진이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의미있는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Suk and Kweon, 201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 및 공동체적 관계를 지향하는 수산·해운 계열 교사학습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 과정을 통해 수산·해운 계열 고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FMTLC) 속에서 교사들의 성장 및 수산·해운 계열 고등학교의 미래 발전 방향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을 설정하였다.

연구내용1) 수산·해운 계열 교사학습공동체(FMTLC) 형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시안을 개발하여 적용한다.

연구내용2) 수산·해운 계열 교사학습공동체(FMTLC) 형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도출한다.


Ⅱ. 연구 방법

1. 자료수집

가. 분석 : 문헌고찰과 심층면담

분석 단계에서는 문헌고찰과 요구도 조사를 위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먼저 국내학술지에 수록된 연구물 중 ‘수산·해운 계열 교사’, ‘교사학습공동체’, ‘직업계고 교사’, ‘관계’, ‘지원’ 등의 키워드로 검색되는 선행연구 10편을 분석하였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고찰하기 위해 수산·해운 계열 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과 프로그램 또는 훈련이라는 키워드를 가진 연구물을 조사 하였지만 연구가 미비하여 유·초·중·고등학교 교사로 대상의 범위를 넓혀 살펴보았다. 고찰 대상 연구물은 총 10편이었다.

요구도 조사를 위한 심층면담은 프로그램의 대상자와 이용자의 요구를 분석하기 위해 2023년 3월 2일부터 3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대상은 중등 수산·해운 계열 교육에 대한 현장경험이 풍부한 전문교과 교감 1인, 교사 2인, 대학 교수 2인, 총 5명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준비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교사를 대상으로 한 질문의 내용은 교육경력 등 기본정보를 포함한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인식에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 경험, 교사학습공동체 형성을 위한 교육의 방향에 대한 것이었다. 교수를 대상으로 한 질문의 내용은 교육경력 등 기본정보를 포함하여 교사와 교사학습공동체 의식을 공유한 경험,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입장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에 관한 것이었다. 준비된 기본 질문 목록 이외에도 추가적인 질문과 피면담자로부터 자연스럽게 도출되는 주제에 대한 질문으로 심층면담이 이루어졌다. 면담은 모두 녹음하였으며 녹음한 파일은 모두 전사하였다.

Basic Information of Participants of Needs Assessment

나. 설계 및 개발: 전문가 자문회의

설계 및 개발 단계의 전문가 자문회의는 해당 교육과 재직 교수, 현직 교사, 교육학박사, 해당 전공 박사과정생으로 구성된 7명의 전문가로 구성하였다. 설계 단계를 위한 자문회의에서는 분석 단계에서 드러난 수산·해운 계열 고등학교의 현황 및 특성, 수산·해운 계열 교사의 현황 및 특성, 수산·해운 계열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및 방법 요구를 반영하여 작성된 프로그램 계획안을 검토하고 자문을 구하는 것이었다. 모든 과정은 녹음하여 전사하였다.

개발 단계를 위한 자문회의는 설계 단계의 자문회의 구성원과 동일하며 프로그램의 구성과 내용에 대한 검토를 받았으며 이를 통해 수집 및 작성한 내용은 참여한 전문가에게 e-mail을 통해 다시 피드백을 받아 수정·보완하였다. 이후 현장 적용의 가능성과 오류를 검토하기 위한 자문회의를 진행하였으며 활동의 목표 반영 여부, 실제 적용 가능성 및 적합성, 활동별 프로그램 기본 방향과의 일치성을 검토하고 현장 적용에 관한 조언을 제시하였고 그 내용은 즉시 기록되었다. 검토한 결과를 반영하여 프로그램 모형을 확정하게 되었다.

Basic Information of Participants of Design and Development Phases

다. 실행 : 연구 참여자 개별 면담

실행 단계에서의 자료수집을 위하여 연구 참여자들을 실행 중간 과정과 종료 후 개별 면담을 하였고, 모든 내용을 녹음하여 전사하였다. 또한 실행 중 연구자와 연구보조자 1인이 참여관찰을 실행하였다.

라. 평가 : 참여일지, 활동 결과물, 연구 참여자 개별 및 집단면담

프로그램 모형을 확정하기 위한 평가는 실행 단계에 대한 참여일지, 활동결과물, 면담을 통해 실시하였다. 피면담자는 실행 단계의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여자 5명이었으며 그 내용은 녹음을 통해 전사하였다. 비공식적 면담은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에 의문이 들거나 이해가 되지 않을 때 재질문하거나 진행 중 떠오른 사안에 대한 의견을 수집 및 기록하였고 공식면담은 회기 종료 후 반구조화된 면담지를 활용한 집단면담으로 실시하였다. 모든 내용은 A4 용지 기준 19장의 분량으로 전사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실행 단계에서 참여일지와 활동 결과물을 전사한 자료와 함께 포함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2. 연구 참여자

연구 참여자의 선정은 수산·해운 계열 교사학습공동체 형성 및 이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있는 고등학교 교사로 선정하기 위해 질적 연구에서 사용되는 의도적인 표본추출전략인 편의표집(Convenience Sampling)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 시안을 실행하는 단계에서 편의표집된 교사 5명을 대상으로 연구윤리에 근거한 연구 동의를 얻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은 2023년 4월 30일 ~ 8월 4일에 걸쳐 4달간, 월 1회 ~ 2회 적용하였으며 평가를 포함하여 총 6회의 모임을 가졌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은 참여관찰, 녹음 및 영상 촬영을 통해 수집하였다.

Research participants Background and Basic Information

3.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요구도 조사, 실행 단계, 평가 단계에서 실시한 면담자료를 전사한 전사 자료였다. 전사된 자료는 여러 차례 읽고 의미 단위를 파악하며, 각 면접자의 진술 내용을 데이터에 부여된 의미 단위로 코딩하였다. 코딩은 전사 자료를 사용하여 전체 데이터 중 몇 개의 문단에 각 하나의 코드를 부여하고 이를 정리하였으며 전체적인 맥락을 반복하여 읽고 성찰하였다. 패턴 분석은 심층면담 과정에서 교사학습공동체 전체 맥락에 대해 질문한 뒤에 그에 대한 답변을 녹취록으로 작성하고 범주화하는 작업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공동체, 학생지도, 행정업무, 전문교과, 교사활동 등 범주화된 주제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도출하였다.

또한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자 외 연구보조원과 함께 참여관찰을 실시함으로써 연구자 편견 개입을 최소화하고 다른 연구보조자와 관점이 같은지 확인해보는 삼각측정법을 사용하였으며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프로그램 모형을 구성하고 수정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자의 편견 개입을 최소화하고 해석의 오류를 줄이도록 노력하였다.

4. 연구절차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절차는 ADDIE 모형의단계를 적용하여 분석(Analysis)-설계(Design)-개발(Development)-실행(Implementation)-평가(Evaluation)로 진행하였다. ADDIE모형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오랜 기간 사용된 과학적이고 표준화된 틀로서 다양한 교수체제 설계모형의 기초이다. 또한 요구분석 결과에 입각하여 투입의 최소화와 성과의 최대를 모색하는 절차적 모형이기 때문에 본 프로그램의 설계 모형으로 적절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구의 전체적인 절차는 [FIg. 1]과 같다.

[Fig. 1]

Research Procedure according to ADDIE Model.


Ⅲ. 연구 결과

1. 분석(Analysis) 단계: 교육 프로그램 분석

분석 단계에서는 수산·해운 계열 교사를 분석하기 위하여 그들의 특성과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문헌고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분석하여 본 교육 프로그램이 가진 과제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수산·해운 계열 교사의 특성은 첫째, 수산·해운 교과 및 교수법, 전문교과 관련 업무에 대한 전문성이 요구되며 둘째, 산업체와의 연계업무, 산업체 현장실습 등 학생 안전과 관련된 업무, 과도한 행정 업무, 신입생 미충원으로 인한 어려움 등에 의한 스트레스로 수산·해운 계열 교사는 심적으로 환기가 필요하며 셋째, 더 좋은 교사로 성장하기 위한 협력적 관계 문화가 필요함이 드러났다.

따라서 현시대 수산·해운 계열 교사의 특성으로, 교과 및 업무에 관한 전문성 강화 및 교직 생활 중 지치고 다친 마음을 위한 위로 및 힐링, 협력적 문화와 이에 대한 지원을 통한 공동체 문화 형성 및 역량 증진이 교사학습공동체 형성의 주요한 요소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함께 성장하는 수산·해운 계열 교사학습공동체 형성이 본 프로그램의 목적으로 선정될 수 있었다.

교육 프로그램에는 ① 자기 성찰, ② 자신 치유하기, ③ 교육현장에서의 고충 공유하기, ④ 관계 맺기, ⑤ 소통하기, ⑥ 공감하기, ⑦ 공동체적 관계 유지하기와 같은 요소들이 개발되어 선정되어야 함이 드러났다.

2. 설계(Design) 및 개발(Development) 단계: 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방향과 목표, 활동내용을 작성하여 프로그램 1차 계획안을 수립하였으며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이를 검토해 보았다. 자문회의 결과, 활동내용에 대해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활동명을 설정하자는 의견이 제시되었고 이를 보완하여 2차 계획안을 작성하였다. 각 활동에 대한 명칭을 부여하면 전체 프로그램의 구조와 목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새로 합류하는 구성원이나 외부의 이해관계자들에게도 프로그램의 계획에 대한 가시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설계 단계에서 실시한 자문회의 구성원과 동일한 전문가들의 자문회의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구조 및 내용에 대한 적합성, 실제 현장 적용에 있어서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수정·보완하였다. 첫째, 각 단계별로 활동들이 많아 프로그램 참여자의 입장에서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으므로 프로그램의 목표와 내용을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는 전문가의 의견에 따라 각 단계별로 비슷한 성격의 활동들을 묶어 ‘주제’를 각각 설정하여 범주화하였다. 둘째, 수산·해운 계열 교사학습공동체 형성이라는 본 프로그램의 목적에 맞게 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한 활동에서도 경력별로 나누어 활동을 수행하지 않고 저경력 교사와 고경력 교사가 함께 하는 것이 교사학습공동체적 관점에서 적합하며 경력이 다른 교사 간 또 다른 배움이 일어날 수 있다는 의견을 반영하기로 수정하였다. 셋째, 수산·해운 계열 교사는 전국 각지에 근무하여 오프라인 만남을 자주 갖기 어려움이 있으므로 SNS 단체 연락망을 만들어 소통이 일상생활 중에도 활발히 일어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에 따라 이를 ‘공유’ 단계에 추가하였다. 이는 Cho(2022)의 연구에서 주장한 내용과 맥락을 함께한다.

3. 실행(Implementation) 단계: 교육 프로그램 실행

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전 연구자, 연구보조자, 연구 참여자들과 사전모임을 실시하였다. 사전모임은 프로그램의 목적과 활동내용을 안내하고 일정을 협의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사전모임과 프로그램 평가를 제외하고 총 5회기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매회기에 참여일지를 배부하여 이를 평가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작성을 안내하였다.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협의를 통해 최종 선정된 프로그램과 일정은 <Table 4>와 같다. 2023년 4월 30일부터 2023년 8월 4일까지 평균 월 1회 ~ 2회 진행되었으며 업무와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도록 주말 및 하계방학 기간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Training program schedule and content

4. 평가(Evaluation) 단계: 교육 프로그램 평가

가. 세대를 아우르는 수산·해운 계열 교사 간 친밀감 형성

‘관계’ 단계의 1,2회기 모임은 학교간 거리가 멀어 교육부나 교육청에서 주관하는 각종 연수 등의 경우를 제외하면 만나기 어려운 수산·해운 계열 교사 간 어색한 관계를 해소하고, 동교과를 지도하는 입장에서 서로의 고충을 털어놓으며 공감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였다. 또한 체육대회를 통해 학교 현장을 벗어나 교직 선·후배로 더 가까워질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이를 통해 다음 단계의 활동에서 의사소통이 더욱 활발히 일어날 것으로 평가되며, 이는 공동체 안에서의 수평적이고 원만한 상호작용은 교사의 정서적인 측면에 영향을 주며 협력하려는 태도가 나타난다는 연구(Son, 2019) 결과와 맥락을 함께 한다. 또한 교사들이 재직 중 인간관계를 가장 힘들어하는 경험(Na and Yi, 2012)으로 보고한 것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교내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은 수요일 6교시 마치고 활동 내용 업무나 사안에 대한 학과 업무, 학생지도 등에 관련한 내용으로 운영은 하고 있으나, 실제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서는 일반적인 사안에 대한 이야기를 해요(D교사 인터뷰).
나. 집단지성을 통한 수산·해운 계열 교사 전문성 향상

‘협력’ 단계의 3,4회기 모임은 수산·해운 계열 교사로서 필요한 다양한 영역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3회기에서 참여자들은 선배 교사의 전공 수업 경험담을 통해 실습 수업에 필요한 아이디어와 학생들의 실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의적인 교수법을 배울 수 있었다. Cho and Choi(2018)의 연구에 따르면 수산·해운 계열 교사가 다양한 교수유형을 수업에 적용한다면 학생의 평가적 수업만족도는 높아지며 학습자는 개인차가 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학생 개인별 특성에 따라 교사의 교수방식이 달라질 필요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므로 3회기의 모임은 매우 의미있는 활동으로 평가되었다.

4회기에서 참여자들은 학급 경영 및 중등직업육 관련 업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기회를 가졌다. Kim et al.(2022)는 미래 중등직업교육 교원의 역량 중 현시점에서 개선 요구가 높은 역량으로 트렌드 변화 및 대응으로 보고하였다. 신규 교사나 저경력 교사는 교육정책의 변화와 그 내용에 대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 있으므로 4회기와 같은 활동은 특히 저경력 교사에게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동료나 선배 교사로부터 전문성을 성장시킬 수 있으므로 3,4회기와 같은 활동은 저경력 교사와 고경력 교사가 함께 자신의 지식과 기술, 경험을 나누며 성장하는 시간이 될 것이다.

교육청에서 반강제적으로 실시하는 교사들의 활동에서 벗어나, 같은 전공, 다른 학교 교사, 선·후배 교사들이 함께 직업교육 중 우리 수산계열에 대해 집중하여 이야기했던 것이 가장 기억에 남아요(A교사 인터뷰).
저의 경우는 사실 학교에 온 지도 얼마 안 되고, 친한 선생님들이 보통교과라서 교과에 대해 직접 조언을 들을 수 없어서 아쉬웠는데, 이런 프로그램을 통해 아이들을 가르치고 지도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희망만으로 만족스러운 프로그램이라 생각됩니다(C교사 인터뷰).
다. 공동체 목표를 공유하는 수산·해운 계열 교사학습공동체 의식 함양

Kim and Won(2018)은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게 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참여자 개인의 교육적 신념이나 교직관에 따른 자발성과 동료 교사와의 관계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지만 개인의 자발성으로 시작하더라도 함께하는 동료와의 인간적 관계에 기초한 상호간의 신뢰와 존중의 문화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공동체의 지속적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Kim et al.(2022)의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교사학습공동체 참여요인으로 대화와 토론이 어려운 학교 분위기, 변화에 민감하지 않은 교사의 특성, 유연한 사고를 갖지 못한 교사들로 인한 폐쇄적인 학교 문화에 변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 구성원간 인간적인 관계에 기초한 공동체 문화 형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본 프로그램의 ‘공유’ 단계 활동은 이에 도움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5회기 모임은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교사들의 참여동기를 충족시키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기존 교내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에 비해 같은 타학교 같은 계열이 함께 교육과정 운영과 학생지도 등에 관련한 내용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되어서 그런지 글자 그대로 ‘공동체’라는 의식을 가지게 되는 것 같아요. 특히, 우리학교의 문제만이 아니라 여러 학교의 정보와 다양한 의견 듣고 일부 사안에 대해서는 문제점과 해결책을 논의하는 등 의미 있는 활동이었다고 생각합니다(B교사 인터뷰).

Ⅳ. 결 론

1. 결론

가.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교사의 전문성 신장 및 공동체적 관계를 지향하는 수산·해운 계열 교사학습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세부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산·해운 계열 교사 자신의 가치를 알고 교직관을 재정립한다. 둘째, 수산·해운 계열 교사 간 친밀감을 형성하고 직무 스트레스로 인하여 지친 심신을 위로와 공감을 통해 힐링한다. 셋째, 수산·해운 계열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향상한다. 넷째, 수산·해운 계열 교사로서의 공동체 의식을 함양한다.

나. 프로그램 내용

Suk and Kweon(2019)Son(2019)의 연구에서 교사학습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절차를 제시하고 있다. Suk and Kweon(2019)의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세 단계로 구성하고 첫 번째 단계로 자신의 마음을 알아차리고 공유하는 단계인 ‘마음 열기’, 두 번째 단계로 구성원들을 연결하는 실천적 경험을 제공하는 ‘이어가기’, 세 번째 단계로 구성원들의 건강한 관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엮어가기’ 순서로 제안하였다. Son(2019)의 연구에서는 교사학습공동체의 내부적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관계 다지기, 성찰하기, 설계하기, 실천하기, 반성하기, 공유하기의 단계로 순서를 제안하였다.

Suk and Kweon(2019)Son(2019)의 연구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의 목표와 기본 방향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내용을 세 단계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 단계인 ‘관계’는 관계 만들기, 관계 잇기, 관계 다지기의 주제로 구성되고, 자신을 성찰하고 교직관을 재정립하며 수산·해운 계열 교사 간 친밀감을 형성하고 교직 생활 중 지치고 다친 마음을 힐링할 수 있는 활동을 포함한다. 두 번째 단계인 ‘협력’은 교과, 비교과의 주제로 구성되며 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한 경험을 제공한다. 세 번째 단계인 ‘공유’는 하나되기의 주제로 구성되며 수산·해운 교사 간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며 관계가 단단해져 가는 단계이다. 본 프로그램은 단순 모임이나 일회성 관계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경험을 통해 공동체라는 소속감을 갖고 지속적 활동을 지향한다. 세부적인 프로그램 모형은 <Table 5>와 같다.

Education Program Model

다. 프로그램 운영 및 접근

프로그램의 운영 시 수행할 활동은 주어진 환경이나 상황 또는 공동체의 협의에 따라 최종 프로그램 모형으로 제시한 활동 중 선택하거나 병합하여 운영할 수 있다.

라. 프로그램 평가

프로그램의 질적인 평가는 각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 일지, 회기별 활동 결과물, 참여자들의 개별 혹은 집단면담을 통해서 실시한다. 또한 활동 종료 후 설문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개선사항·요구사항 등을 작성하여 향후 프로그램의 설계·운영을 보완할 수 있다. 프로그램 유형이나 상황에 맞게 평가 방법을 선정하여 설정한 목표 달성에 어려움은 없는지, 보완할 점은 없는지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논의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논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수산·해운 계열 교사학습공동체 형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모형에는 첫 단계로 수산·해운 계열 교사들 사이의 친밀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활동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교사 간 친밀감이 형성되어 이후 소통에 도움이 될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다양한 배경의 교사들이 만나 처음에는 서먹한 느낌이 있었지만 ‘관계’ 단계의 활동들을 통해 어색함을 해소할 수 있었고 덕분에 활발히 소통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 내에서 교사의 인적 구성이 다양함에 따라 갈등과 소통 부족이 일어날 우려가 존재하지만 이러한 차이를 극복하고 교사 간 수평적인 관계와 소통을 유지할 때 교사들의 높은 전문성 성취를 이루어낼 수 있기 때문에(Jang, 2018) ‘관계’ 단계의 활동은 수산·해운 계열 교사학습공동체 형성을 위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둘째, 수산·해운 계열 교사들은 전문성 향상에 대한 욕구와 열의가 있으며,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교사 간 협력적 관계 문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간 협력하는 문화는 이들의 소속감을 높여주고, 책임감을 갖고 함께 발전하기 위해 탐구하고자 하는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Oh et al., 2016) 학교 현장에서는 행정업무나 학생상담 등으로 전문성 향상을 위한 시간 확보가 어려우며 동료 교사와 관계 문화는 협력보다는 개인적 성향의 문화가 강하다. 따라서 수산·해운 계열 교사학습공동체는 이러한 학교 현장에서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수산·해운 계열 교사학습공동체는 계속성과 지속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런 의미에서 ‘공유’ 단계 활동은 수산·해운 계열 교사학습공동체 형성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함께 식사를 하며 교사 간 대화의 장이 열려 정서적으로 유대감을 느낀 시간이었다고 하였고, SNS를 공유함으로써 수산·해운 계열 교사 간 소통의 제약이 해결되고, 일상 중에도 정보를 즉각적으로 공유하며 공동체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 하였다. 따라서 ‘공유’단계 활동은 교사 간 정서적 유대감을 통해 공동체적 관계를 유지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을 것이며, 학습공동체가 정서적 유대감을 바탕으로 한 자발적 관계 속에서 결속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연구(Sergiovanni, 1994)와 맥락을 함께한다.

본 연구는 수산·해운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 및 교수를 대상으로 요구분석을 거쳐 수산·해운 교육의 특성에 부합하는 교사학습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의미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프로그램을 통한 교사의 전문성 향상 또는 관계성의 변화에 대해 양적으로 증명해 볼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더욱 내실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수산·해운 계열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이 활성화되고, 교사의 삶의 질 및 전문성을 높여 수산·해운 교육의 발전을 위한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3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1S1A5A8069500)

References

  • Ahn JY(2020). Discussion and Tasks on Learning, Career and Performances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9(6), 1~17. [https://doi.org/10.37210/JVER.2020.39.6.1]
  • Cho JH(2022). A Qualitative Study on the Direction of Learning Community Operation to Cultivate Teacher Professionalism - Focusing on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s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4(5), 883~892. [https://doi.org/10.13000/JFMSE.2022.10.34.5.883]
  • Cho JH and Choi YS(2018). The Effect of Teaching Behavior Styles of Fisheries & Maritime High School Teacher on Students' Satisfaction in Major Subject Classe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7(2), 129~143. [https://doi.org/10.37210/JVER.2018.37.2.129]
  • Jang MK(2018). An Action Research on Building and Implementing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a School.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octoral Thesis.
  • Kim HJ and Won HH(2018). Exploring the Factors for Activating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0(6), 2210~2219. [https://doi.org/10.13000/JFMSE.2018.12.30.6.2210]
  • Kim JM, Choi SJ, Lee C, Kim YH, Min JS, Song H and Jeon JY(2022). Importance-Performance Gap Analysis(IPGA) of Future Competencies of Specialized Subject Teacher in Vocational High School.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41(3), 107~127. [https://doi.org/10.37210/JVER.2022.41.3.107]
  • Kim MH, Lee HM and Kim JW(2016). Examining Elements of School Culture Measurement for Forming and Invigorating School-bas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Journal of Education and Culture, 22(6), 87~113. [https://doi.org/10.24159/joec.2016.22.6.87]
  • Kim SC and Yang JH(2007). Learning to be a professional teacher leader through teachers' active study group.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17(4), 1~33. [https://doi.org/10.32465/ksocio.2007.17.4.001]
  • Kim YI(2022). Factors of Participation in Teacher Learning Community Operational Process Features and Difficulties -focusing on convergence subject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Master’s Thesis.
  • Kim YI, Choi SH and Kim DJ(2023). The Teacher’s Participation Factor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TLC) and the Characteristics and Difficulties in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onvergent Subject TLC.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9(2), 87~116. [https://doi.org/10.14333/KJTE.2023.39.2.05]
  • Ko YJ, Kim YJ, Lee HJ and Lim KY(2017). Research Trends in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Korea: A Thematic Analysis of Korean Journal Publication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4), 429~457. [https://doi.org/10.22251/jlcci.2017.17.4.429]
  • Lee CJ, Song NH and Kang CM(2023).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for Happiness Indicators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48(2), 1~17. [https://doi.org/10.35140/kiiedu.2023.48.2.1]
  • Lee CJ, Song NH and Ryu BK(2022). A Comparative analysis study on the Happiness index of teacher in Vocational high school, Meister high school, and General high schools.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47(1), 1~21. [https://doi.org/10.35140/kiiedu.2022.47.1.1]
  • Na SH and Yi HJ(2012). In child-care Centers, Teacher`s Go Through the Process of Experiencing Child Caring, Human Relationship, Difficulties and Solution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6(1), 69~94.
  • Oh JY, Choi JY and Kim YK(2016). A Comparative Case Study on a Teacher-l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a Principal-l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Elementary School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2(2), 213~241. [https://doi.org/10.14333/KJTE.2016.32.2.213]
  • Park GY(2018). Education Policy Forum, 305, 44~47.
  • Seon and Pang(2014). An Analysis of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he Study of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s via Teacher Learning Community.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7(3), 189~203. [https://doi.org/10.7468/jksmec.2014.17.3.189]
  • Sergiovanni TJ(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 Shin KC and Song JH(2023). Finding ways to improve subject expertise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s of participants in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 learning community.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27(6), 17~27. [https://doi.org/10.15831/JKSSPE.2023.27.6.17]
  • Son(2019). The Development of Korean Teacher Learning Community Program.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Thesis.
  • Suk SH and Kweon MR(201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form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4(6), 181~210. [https://doi.org/10.20437/KOAECE24-6-08]
  • Won HH and Kim HJ(2018). Exploring the Factors for Activating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0(6), 2210~2219. [https://doi.org/10.13000/JFMSE.2018.12.30.6.2210]
  • Yu SD and Kim DK(2023). A Cas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aching through the Out-of-School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cused on the Chung-nam Association of Primary English Educa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41(3), 317~339. [https://doi.org/10.22553/keas.2023.41.3.317]

[Fig. 1]

[Fig. 1]
Research Procedure according to ADDIE Model.

<Table 1>

Basic Information of Participants of Needs Assessment

Research
participants
Sex Age Position Career
(year)
School
a M 62 Vice principal 30 IM school
b M 37 Assistant professor 15 K university
c M 45 Associate Professor 22 G university
d M 49 Head teacher 25 I school
e F 44 Head teacher 21 C school

<Table 2>

Basic Information of Participants of Design and Development Phases

Research
participants
Sex Age Career
(year)
Positon
f M 48 22 Associate Professor of P University
g F 42 21 Adjunct Professor of P University
h M 34 5 Ph.D. in Education
i M 45 20 Teacher of C school
j F 42 - the doctor's course
k M 33 - the doctor's course
l M 35 - the doctor's course

<Table 3>

Research participants Background and Basic Information

Research
participants
Sex Age Position Career
(year)
High School
A M 38 Head teacher 15 B
B F 43 Regular teacher 19 I
C M 51 Head teacher 23 M
D M 62 Regular teacher 31 I
E M 27 Regular teacher 2 I

<Table 4>

Training program schedule and content

Stage Date Title Activity name Method
pre-meeting 4.30
(Sun)
pre-consultation FGI
Relationship First 5.6
(Sat)
Making a relationship Self-introduction Discussion
Self-reflection Discussion
Connecting relationships Develop a relationship Discussion
Second 5.28
(Sun)
Building a relationship Physical Activity Experience
Cooperation Third 6.18
(Sun)
Subject Sharing Practicum Items by Major Senior Teacher's Experiences
Fourth 7.16
(Sun)
Nonsubject Sharing Teaching Responsibilities Discussion with Senior Teachers
Sharing Fifth 7.28
(Fri)
Unifying Emotional Discourse Discussion
Healing the Mind Discussion
Social Media Sharing Activities Experience
Evaluation 8.4
(Fri)
Program Evaluation FGI , Individual meeting

<Table 5>

Education Program Model

Stages Title Objective Activity name Activity Content
Realationship Making a relationship ·Understanding one's own values and redefining one's teaching philosophy

·Forming intimacy and healing between Fisheries and Marine teachers
Self-introduction Introduce oneself
Exploration of personality Explore personality using tools such as MBTI, MMTI
Self-reflection Reflect on and share insights about oneself as a teacher
Connecting relationships My teachers image Introduce one's teaching philosophy and establish teaching principles
Develop a relationship Share challenges faced as maritime and fisheries teachers and provide feedback
Building a relationship Physical Activity Use physical activities to ease tension and relieve stress
Cultural experience and travel Cultivate intimate relationships through cultural experiences and travel, creating a healing atmosphere
Cooperation Subject ·Improving professionalism as a fisheries and Marine teacher Sharing Practicum Items by Major Share various ideas and teaching methods for major-related practicum items
Sharing theoretical knowledge in the major Share theoretical knowledge related to the trends in the maritime and shipping industry.
Nonsubject Sharing Teaching Responsibilities Share knowledge related to class management, administrative tasks, and vocational education
Sharing Unifying ·Promoting communal spirit as a fisheries and Marine teacher Emotional Discourse Engage in communication over a meal in a comfortable atmosphere
Healing the Mind Share personal concerns and difficulties, providing positive feedback
Social Media Sharing Activities Create a group network on social media for ongoing communication in daily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