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 학생의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의 관계: 창업지원그룹의 조절효과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tart-up support grou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risk tolerance, innovation, proactiveness, and desire for achievement)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food and cooking subject group. 248 students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in food and cooking subjects in four region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Sampl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normality distribution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research method used SPSS Process Macro 4.2 proposed by Hayes(2018). As a result of the study,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the start-up support group was found in innovation among the sub-variables of entrepreneurship (β=-.1405, p<.05). Students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in the food/cooking subject group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on entrepreneurship and will to start a business based on subject group and human resource training type suggested policy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ntrepreneurship support group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group.
Keywords:
Specialized high school,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intentions, Startup Support GroupI. 서 론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 AI의 발달, 비대면 시스템의 정착 등으로 인해 산업구조가 빠르게 개편되고 있다. 이처럼 점차 불확실성이 커지는 시대를 살아갈 학생들에게는 이러한 사회적·경제적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향후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교육이 절실하다(OECD, 2019). 기업가정신을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도 기회를 추구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라는 다수의 연구자들의 정의하는 것처럼(Baron and Shane, 2005; Kang and Kim, 2014; Yang, 2019) 기업가정신은 불확신한 미래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나침반의 역할을 해줄 수 있다(Lee and Jeon, 2023).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의 최근 대학 진학률은 2021년 45.0%, 2022년 48.3%, 2023년 50.6%로 매년 높아지고 있는데(Education Statistics Service, 2023), 이는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최근 상황에서 특성화고등학교에서의 교육만으로는 자신의 미래가 불투명하다고 느끼는 학생들이 많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현상이다(Lee, 2024). 특히 2023년 졸업생 현황 중 교과군 분류 결과를 살펴보면 식품가공 교과군 졸업생 10,576명 중 취업자 3,017명, 대학 진학자 5,091를 제외한 2,139명은 졸업 후 취업 상황을 확인할 수 없어 창업 여부도 확인하기 어려웠다(Education Statistics Service, 2023). 또한 음식조리 교과군 졸업생 10,564명 중 취업자 2,989명, 진학자 5,255명, 취업 여부의 확인이 어려운 인원도 2,000명으로 조사되어 취업을 강조하는 중등 직업교육의 정책 방향과는 상반되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
Lim and Kim(2021)의 연구에서도 35세 미만 청년층의 폐업율이 전 연령층에서 가장 높았으며, 음식점업의 생존 시간도 2년 정도로 조사되어 청년층의 창업 관련 요인과 음식점업의 인력 양성 유형과 연계된 교과군의 창업, 창업의 요소로 거론되고 있는 기업가정신, 창업의지, 창업교육 등의 연구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음식점업은 연구 대상인 식품·조리 교과군의 인력양성유형(조리원, 제과제빵원 등)과 직무 범위가 유사한 창업 업종이므로 창업 관련 연구의 시급성과 당위성을 드러낸다.
따라서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 학생들의 기업가정신과 여러 창업 관련 변인들의 관계를 연구해 보는 것은 학문적을 필요성을 넘어 사회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 또한 연구를 토대로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 학생들이 불확실성이 강한 현재 창업 현실에 대비하여 필요한 역량과 교육 방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취업 의사가 없이 그냥 쉬고 있는 청년이 50만명을 육박하는 현재(KOSIS, 2023) 청소년들이 진취적인 도전을 할 수 있는 역량 강화 요소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 학생들의 창업지원그룹은 위험감수성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조절할 것이다.
가설 2.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 학생들의 창업지원그룹은 혁신성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조절할 것이다.
가설 3.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 학생들의 창업지원그룹은 진취성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조절할 것이다.
가설 4.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 학생들의 창업지원그룹은 성취욕구와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조절할 것이다.
Ⅱ. 이론적 배경
1. 식품·조리 교과군
계열 구분 차원에서 중등 직업교육과정을 구분하였던 다섯 개의 계열(농생명산업, 공업, 상업정보, 수산·해운, 가사·실업)은 급변하는 산업 구조 변화와 직업 다양화에 따라 현행 산업·직업의 분류 체계를 반영하지 못하여 인력양성유형 설정에 한계점을 드러냈다(Kim, 2017).
2016년과 2019년의 직업계고 학과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전국의 17개 시도에서 직업계고 학생 정원이 감소하는 추세이며(Ahn, 2020), 학생과 학부모 집단에서 특성화고의 선호도 또한 감소하고 있다(Kim, 2022). 이러한 중등 직업교육의 선호도 감소에도 직업계고 학과 개편 동향 분석 연구 결과 음식조리 교과군으로의 학과 개편 수요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yun and Kim, 2020). 대부분의 교과군에서 학생 수가 감소되었으나 음식조리, 식품가공 교과군은 학생 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인력양성유형의 비중을 분석한 결과, 제과제빵원, 조리사는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Ahn, 2020). 이러한 학생 선호도 증가와 시대 요구를 반영하여 기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식품가공 교과군, 음식조리 교과군으로 운영되었다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식품·조리 교과군으로 NCS 분류 체계를 개선하였다. 인력양성 유형과 새로운 직무 생성을 고려한 교과군 재구조화 및 미래 직무 변화를 반영한 교육내용과 위계적 학습 계통 체계화 등을 고려하여 식품·조리 교과군으로 통합하였다. 그러나 교과군 통합 이후 식품·조리 교과군 교육과정의 신규 개발, 교과군 변화에 따른 NCS 학습모듈 개선,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전공 만족도 조사 등의 후속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관련 연구 수행이 필요한 시점이다.
2.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 창업지원그룹
기업가정신에 대한 개념은 산업구조와 사회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변화되고 있고, 연구자들마다 다양한 개념을 토대로 기업가정신을 정의하고 있다. 기업가정신은 기회를 추구하고 혁신적인 행동을 바탕으로 기회를 추구하고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활동(Baron and Shane, 2005)으로 정의하였고, 위험성이 높은 상황에서도, 창의성을 바탕으로 시장과 조직에서 기회를 탐색하고, 기업이 지닌 혁신 역량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새로운 제품 개발과 신시장을 개척하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Kim et al., 2023). 본 연구에서 기업가정신은 ‘현재의 상황을 판단하여 불확실한 미래의 위험을 감수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 선진국에서는 기업가정신을 바탕으로 창업을 유도하여 청년 실업률을 타계할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창업을 주목하고 있다(Kim et al., 2023).
기업가정신의 하위요인으로 많은 연구자들은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등을 제시하였다(Miller, 1983; Covin and Slevin, 1989). Covin and Slevin(1989)은 기업가정신의 하위요인으로 혁신성은 새로운 변화와 혁신을 추구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 진취성은 새로운 기회를 선제적 및 적극적으로 포착하기 위한 노력, 위험감수성은 불확실한 결과가 예상됨에도 과감히 도전하려는 의지로 정의하였다.
최근 기업가정신의 하위요인으로 진취성, 혁신성, 위험감수성과 더불어 ‘성취욕구’에 주목하고 있다(Lee, 2019). 성취욕구는 창업가와 일반인을 구별하는 심리학적 요인으로 다양한 연구에서 성취욕구를 중요한 기업가정신의 요소로 고려되어 왔다(McClelland, 1961). 높은 성취욕구를 가진 사람을 성공에 대한 열망이 높은 사람, 노력을 통한 성취 목표를 이루는 성향이 높은 사람이 창업자가 된다고 언급하였다(Kim and Jeon, 2009; Park and Kang, 2007).
창업은 이익을 목적으로 조직을 만드는 것이라 하였고(Schumpeter, 1934), 위험을 감수하고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여 새로운 것을 창조함으로써 보상과 만족을 누리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Choi et al., 2016). 또, 창업을 개인이 하나의 조직을 만드는 과정으로 보면서(Gartner et al., 1992), 창업은 개인이 하나의 조직을 형성하는 과정 그 자체로 보기도 하였다(Kim and Jeon, 2009). 창업의지는 창업 전반을 이해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며, 창업의지를 행동성향으로 창업에 관하여 느끼는 가능성의 정도라 하였고(Choi, 2013), Kim(2014)은 기업을 설립하고 운영하는 행동에 앞서는 마음가짐으로 정의하였다.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었다. 관련 선행연구 중 본 연구에 참고한 연구에서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와의 관계에서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이 창업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Kwon and Yoon, 2013; Kim and Geum, 2020).
청년 창업가는 대부분 개인의 형태이며, 창업 초기에 직면하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조언을 구할 수 있는 다양한 외부 지원 세력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청년 창업과 관련한 많은 연구에서 창업의지를 강화하는 변인으로 창업 지원 그룹이 연구되어 왔으며, 관련 변인을 연구 대상에 따라 구분하여 연구하여 왔다.
창업지원그룹에 관한 다양한 연구에서 창업멘토링과 관련된 Yoo and Lee(2023)의 연구는 대학생의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 창업멘토링을 멘토링 기능과 멘토 신뢰로 구분하여 창업 분야의 멘토와의 연결을 통해 창업멘토링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창업지원그룹을 창업 지원 사업, 창업 지원 정책, 부모의 창업 경험 등의 사회, 환경적 요인으로 보는 외부 요소로 구분하거나(Kim and Jeon, 2009), 창업지원그룹으로 부모의 창업 여부와 정서적 지지도 변수로 연구되었다(Yoon, 2003). 이러한 선행 문헌 검토 결과 청년 창업가는 대부분 개인의 형태이며, 창업 초기에 직면하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조언을 구할 수 있는 다양한 외부 지원 세력의 도움을 필요로 함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창업지원그룹의 조작적 정의 중 본 연구에서 창업지원그룹은 Kim and Jeon(2009)이 제시한 사회적 지원 세력과 창업의 성공적 역할 모델을 포함하는 범위로 한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도구
본 연구의 대상은 4개 지역(인천, 부산, 울산, 경남) 소재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은 2024년 5월 2일부터 4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총 248명의 학생이 참여하였고 이중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230개의 설문을 바탕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수인 창업의지는 Kwon and Yoon(2013), 독립변수인 기업가정신은 Lee(2019), 조절변수인 창업지원그룹은 Kim and Jeon(2009)의 연구를 기초로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학 박사 2명과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2명의 자문을 통계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분석
본 연구의 조절효과 검증을 앞서 정규성 분포를 검증한 결과 왜도값은 -.643 ~ -.142, 첨도값은 -.357 ~ 1.120으로 Kline(2010)이 제시한 왜도값이 절대값 3이하, 첨도값이 절대값 10이하를 충족하였다. 변인의 신뢰도 분석 결과 종속변수인 창업의지는 .803, 독립변수인 기업가정신 중 위험감수성은 .808, 혁신성은 .715, 진취성은 .833, 성취욕구는 .784를 나타냈다. 조절변수인 창업지원그룹은 .919로 모든 변인의 척도에서 신뢰도는 검증되었다.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각 변인간의 Pearson의 상관계수가 .260 ~ .688로 0.01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창업지원그룹의 조절효과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창업지원그룹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Hayes(2018)이 제안한 SPSS Process Macro 4.2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기업가정신 중 위험감수성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창업지원그룹의 조절효과는 아래 <Table 1>과 같다. 위험감수성은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β=.5143, p<.05), 조절변인인 창업지원그룹은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β=.5882, p<.05). 위험감수성과 창업지원그룹의 상호작용항은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해 조절효과가 없었다(β=.-.0726, p>.05). 또한 R² 증가분은 .0049(p>.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해 조절효과가 검증되지 못하였고, 통제변수인 성별과 부모의 창업여부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가정신 중 혁신성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창업지원그룹의 조절효과는 아래 <Table 2>와 같다. 혁신성은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β=.9047, p<.05), 조절변인인 창업지원그룹은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β=.8015, p<.05). 혁신성과 창업지원그룹의 상호작용항은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조절효과가 있었다(β=-.1405, p<.05). 또한 R² 증가분은 .0162(p<.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조절효과가 검증되었으나, 통제변수인 성별과 부모의 창업여부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지원그룹의 특정 값에서 혁신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조건부효과는 <Table 3>과 같다.
혁신성과 창업의지간의 단순기울기는 창업지원그룹값이 2.5721부터 4.5583의 범위에서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시각화하면 [Fig. 2]와 같다.
셋째, 기업가정신 중 진취성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창업지원그룹의 조절효과는 아래 <Table 4>와 같다. 진취성은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β=.6741, p<.05), 조절변인인 창업지원그룹은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β=.6208, p<.05). 진취성과 창업지원그룹의 상호작용항은 창업의지에 유의마한 영향을미치지 못해 조절효과가 없었다(β=-.0952, p>.05). 또한 R² 증가분은 .0085(p>.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해 조절효과가 검증되지 못하였고, 통제변수인 성별과 부모의 창업여부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가정신 중 성취욕구와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창업지원그룹의 조절효과는 아래 <Table 5>와 같다. 성취욕구는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β=.6461, p<.05), 조절변인인 창업지원그룹은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β=.7862, p<.05). 성취욕구와 창업지원그룹의 상호작용항은 창업의지에 유의마한 영향을미치지 못해 조절효과가 없었다(β=-.1114, p>.05). 또한 R² 증가분은 .0081(p>.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해 조절효과가 검증되지 못하였고, 통제변수인 성별과 부모의 창업여부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결 론
1. 결 론
본 연구는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 학생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위험감수성, 혁신성, 진취성, 성취욕구)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창업지원그룹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수인 기업가정신의 하위 요인으로 제시한 위험감수성, 혁신성, 진취성, 성취욕구는 종속변수인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가정신을 연구한 기존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되는 내용으로 불확실한 상황을 견딜 수 있는 위험감수성이 높을수록, 기존의 틀을 벗어나 새로운 것을 시도하고자 하는 혁신성이 높을수록, 어려움이 있더라도 상황을 벗어나고자 하는 진취성이 높을수록, 목표한 바를 이루고자 하는 성취욕구를 내포할수록 창업의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Choi et al, 2016; Im, 2020) 기존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 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를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강의 형태의 기존 기업가정신 함양 프로그램이 창업의지를 고취하는 매개로 작용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교육과정 운영의 논의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둘째, 조절변인인 창업지원그룹은 기업가정신(위험감수성, 혁신성, 진취성, 성취욕구)의 하위 요인과 창업의지의 관계에 유의미한 조절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수행을 위해 설정한 ‘연구 가설 1, 2, 3, 4(창업지원그룹은 기업가정신(위험감수성, 혁신성, 진취성, 성취욕구)의 하위 요인과 창업 의지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조절할 것이다’는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가정신의 하위 요소인 위험감수성, 혁신성, 진취성, 성취욕구와 창업지원그룹의 상호작용항의 효과는 ‘혁신성’에서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위험감수성, 진취성, 성취욕구와 창업지원그룹의 상호작용은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해 조절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혁신성과 창업지원그룹의 상호작용항은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에 창업지원그룹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창업지원그룹은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 간의 관련성에 있어 혁신성에서 정(+)의 방향으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한다(Lee et al., 2019). 또한, 수도권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Kang(2016)의 연구에서 혁신성이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위험감수성과 진취성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Kang(2016)의 연구 결과도 본 연구 결과와 부분 일치하여 변인간의 상호작용 및 조절효과 검증을 위한 추가 연구 수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통제변수인 성별과 부모의 창업여부는 창업의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지 못하였다. 이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통제변수인 성별이 창업의지에 효과성을 갖는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대비되는 내용이다. 성별에 따라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에 따라 차별성이 있는 선행연구가 있었지만(An and Chun, 2023; Park and Yang, 2014), 청소년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Koo and Hahn(2016)의 연구에서 성별이 창업 의지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본 연구의 결과와 일부 일치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2. 논의 및 제언
이를 토대로 내린 본 연구의 논의 및 제언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신규 교과군인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 학생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창업지원그룹의 조절 효과를 살펴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과군 인력양성유형에 따라 교육과정을 다양화할 수 있는 편성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기업가정신의 하위요소인 위험감수성 혁신성, 진취성, 성취욕구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창업지원그룹을 통한 창업 실무 특강, 멘토링 등을 교육과정 내에서 수용할 수 있는 범위와 방법에 관한 논의 필요성을 상기하였다. 둘째, 취업에 초점되어 있는 기존 특성화고 관련 연구와 정책에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정책 변화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취업률과 산업사회 요구에 맞는 인력양성 훈련이라는 틀에 갇힌 중등 직업교육 정책에 다각적인 변화 필요성을 제기하고, 특성화고 학생의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의 관계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진학하지 않고, 취업하지 않는 청년이 증가하는 상황에 맞는 특성화고 운영 방향을 제안하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청년층 창업과 관련한 정부 지원 정책 방향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외식 창업을 희망하는 청년층의 경우 정부의 정책 지원이 창업의지를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조사되었는데(Lee et al., 2013), 이러한 정부 예산 지원, 정책 사업 시행은 창업지원그룹의 성격으로 볼 수 있으므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취업에 한정되어 있는 직업교육 정책 방향을 창업까지 포함하여 확대할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실무능력을 갖춘 기능 인력 양성 차원이라는 점에서 중등 직업교육에서 고졸 취업 정책은 지속될 필요가 있지만(Choi, 2017), 정책의 방향이 취업으로 일원화되어 있는 점은 오히려 취업 이외의 진로를 제한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특성화고의 선호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취업 위주의 현 중등 직업교육의 정책이 창업을 포함한 정책으로의 변화에 학계를 비롯한 정책 기관의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이를 토대로 제안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 지원으로 청년층이 초기 창업에 실패하더라도 이를 회복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제도 마련책이 선행되면 청년층의 창업의지를 높이고 창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의 제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교과군과 인력양성유형에 근거한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의 영향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맥락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NCS 교육과정이 도입됨에 따라 중등 직업교육은 기존 계열 구분 차원에서 교과군으로 변화되었음에도 여전히 직업계고 관련 연구는 계열에 따라 연구대상 구분하여 교과군 교육과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 어려웠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식품가공 교과군, 음식조리 교과군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식품·조리 교과군으로 통합되고, 학생 선호도 상승 및 학과 개편이 증가함에도 여전히 식품·조리 교과군 관련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수행한 본 연구는 계열에서 교과군으로 연구 대상이 분류되는 전환점이 될 것이며, 교과군 구분에 따른 산업 사회 요구 및 인력양성유형 등을 반영한 후속 NCS 교과군 연구의 모델로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과군에 따른 취업, 진학, 창업 등 졸업 후 현황을 분석하여, 식품·조리 교과군 학생의 기업가정신, 창업의지, 창업 역량 강화 방안과 관련한 다양한 후속 연구의 수행을 기대한다. 또한 기업가정신의 형성 과정에 관한 개인적, 환경적, 사회적 요인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등의 연구 방법적 다양화를 제안한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이광빈, 김미환(2024)의 2024년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을 기반하여 작성하였음.
References
- Ahn JY(2020). Changes in vocational high school departments between 2016 and 2019. KRIVET Issue Brief. 2020(189).
- An EJ and Chun DP(2023). The Effect of Adolescent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the will to Start a Business : Focused on High Schools in Busan. Asia-pacific Journal or Convergent Recearch Interchange. 9(11), 749~762. [https://doi.org/10.47116/apjcri.2023.11.58]
- Baron RA and Shane SA(2005). Entrepreneurship: A Process Perspective, Thomson, Ohio: South-Western.
- Byun SY, Kim HJ and Shin DJ(2023). Analysis of trends in vocational high school department reorganization over the past five years. KRIVET Issue Brief. 2023(254).
- Choi BG(2013).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and market orientation of prospective entrepreneur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 Choi DS(2017). Employment status of high school graduates. THE HRD REVIEW, 20(3), 26~41.
- Choi YS, Lee JE, Kim SG and Han GR(2016). Youth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cholastic Performance.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1(5), 15~27. [https://doi.org/10.16972/apjbve.11.5.201610.15]
- Covin JG and Slevin DP(1989), Strategic management of small firms in hostile and benign environment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0(1), 75~87.
- Gartner WB. Mitchell TR and vesper KH(1992). Acting as if: differentiating entrepreneurial from organizational behavior.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6, 13~31.
- Hayes(2018).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Guilford Press, New York.
- https://kess.kedi.re.kr/, (2023). vocational high school employment statistics annual report)
- Im JH(202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epreneurship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Satisfaction of University Life Influencing the Start-up Intention.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1, 11(4), 1267~1278. [https://doi.org/10.22143/HSS21.11.4.89]
- Kang JH(2016). A study on effect of the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and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opportunity recognition. Hoseo University, Chungcheongnam-do.
- Kang KK and Kim BK(2014). Exploring the Process of Constructing Entrepreneurship in Youth, 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14(3), 37~58.
- Kim JG(2017). An Empirical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Participating inthe Venture Contest, Moderating Effect ofEntrepreneurial Supporting Policy. Hoseo University, Chungcheongnam-do.
- Kim JH and Geum YP(202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influencing factors in one’s youth and the entrepreneurial behavior.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1(7) 555~263. [https://doi.org/10.5762/KAIS.2020.21.7.555]
- Kim JU(2014). An Analysis of Factors on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cused on the Motivation and Intended Startup Time.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9(1), 79~87. [https://doi.org/10.16972/APJBVE.9.1.201402.79]
- Kim MH(2022).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NCS confectionery class model based on blendedlearning for job competency improvem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usan.
- Kim MH, KIM BH and Kim CY(2023). The Effect of Perception of Entrepreneurship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Korea and Vietnam Youth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lobal Recognition. Journal of the Korean Entrepreneurship Socieity, 18(3). 379~406. [https://doi.org/10.24878/tkes.2023.18.3.379]
- Kim YM and Jeon JE(2009).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Entrepreneurial Intention : focu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Research Institute for Business, 47(1), 133~149.
- Kline RB(2005). Principle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Guilford.
- Koo JH and Hahn JS(2016).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Korean Youth. Journal of Korean Economic Development. 23(2) 1~29.
- Kwon YG and Yoon HH(2013).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oodservi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by Gender.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19(4), 193~210. [https://doi.org/10.20878/cshr.2013.19.4.014]
- Lee GB(2024).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Major Satisfaction in Specialized High Schools: A Multi-Group Analysis between Gender. JOU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6(3), 634~642. [https://doi.org/10.13000/JFMSE.2024.6.36.3.634]
- Lee IS, Kim Os and Rha YA(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Young Entrepreneurs' Growth Factors on Entrepreneurial Capabi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 Focused on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nd Foodservice.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19(4), 25~39. [https://doi.org/10.20878/cshr.2013.19.4.003]
- Lee JH(2019).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Pusan University, Pusan.
- Lee JH, Yoo CH and Park JS(2019).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 Students of Taxation High School-Including the Adjustment Effect of the Start-up Support Group. TAX ACCOUNTING RESEARCH, 0(61), 173~195. [https://doi.org/10.35349/tar.2019..61.008]
- Lee JY and Jeon BH(2023). Development of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Based on OECD Learning Compass 2030.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3(4), 765~782. [https://doi.org/10.22251/jlcci.2023.23.4.765]
- Lim SH and Kim JO(2021). Survival Analysis of Private Start-up Businesses: Focusing on administrative data from 2010 to 2018. Journal of Korean official statistics. 26(2), 1~30. [https://doi.org/10.22886/jkos.2021.26.2.1]
- McClelland D(1961). The achieving society. Princeton: Van Nostrand.
- Ministry of Education,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2023). 2023 Employment Statistics Yearbook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Statistical data CSM 2023(10).
- OECD(2019).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OECD Learning Compass 2030: A Series of Concept Notes.
- Park JY and Yang HS(2014).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 Focusing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mpleted Prefounder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9(2), 97~107. [https://doi.org/10.16972/APJBVE.9.2.201404.97]
- Schumpeter JA(1934).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An Inquiry into Profits, Capital, Credit, Interest, and the Business Cycle, Transaction publishers.
- Yang HB(2019).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motion and development tasks : Benchmarking advanced countries. Journal of SME finance, 39(3), 57~77. [https://doi.org/10.33219/jsmef.2019.39.3.003]
- Yoo YC and Lee WI (2023). The Effect of Satisfaction Level with the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cognition of Support System, and Mentoring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8(2), 187~200. [https://doi.org/10.16972/apjbve.18.2.202304.187]
- Yoon BS(2003),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KOREAN BUSINESS REVIEW. 17(2), 89~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