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6, No. 4, pp.789-803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Aug 2024
Received 31 May 2024 Revised 25 Jul 2024 Accepted 30 Jul 2024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4.8.36.4.789

플립러닝이 대학 현대시 교육에 미치는 영향: 시 읽기와 쓰기 능력 및 인식의 변화

이소의
경성대학교(교수)
Study on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on Modern Poetry Education in University : Changes in Reading and Writing Skills, and Perception-View on Poetry
So-Eui LEE
Kyung Sung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051-663-4850, monica2455@ks.ac.kr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to modern poetry education and to find out the effects on students' ability to read and write poetry, and their interest in poetry class and perception-view on poetry. The study compared between two groups with 80 college students, one group of used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and the other applied flipped learning to poetry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s findings, both groups' ability to read and write poetry improved after education,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raising interest in poetry class and perception-view on poetry, but the group that applied flipped learning showed better results compared to the group that applied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to modern poetry education is first, students can better understand and express their feelings in the process of reading and writing poetry, second, their ability to empathize and understand other people's emotions and experiences is improved, third, their ability to grasp the meaning of poetry and to understand the artist's intentions is improved, and fourth, it is much more effective in developing the ability to express.

Keywords:

Modern poetry, Flipped learning, Reading, Writing, Literary education

I. 서 론

현대시는 인간의 감정과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한 문학 장르로, 인간의 삶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한국 현대시는 복잡한 시적 구조와 심오한 주제를 다루는 경우가 많아 학습자들에게 깊은 이해를 요구한다. 현대시 교육은 학생들이 문학 작품을 통해 비판적 사고 능력과 창의적 사고를 기를 수 있는 중요한 학습 영역이다. 학생들은 시문학의 능동적 참여로 실천적, 실용적인 글쓰기의 자기수용 과정을 체험할 수 있다. 시를 읽고 쓰는 가운데 궁극적으로 시적 주체가 자아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확대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자신의 언어적 문화적 삶의 과거 경험에서 끌어온 아이디어, 감각, 느낌, 이미지를 선택하여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새 경험을 시 작품으로 종합할 수 있다(Lee, 2011; Jung, 2015). 따라서 시문학 교육은 학습자가 자아를 완성하고 행복한 삶의 비전을 계획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많은 교육 현장에서 실시되는 현대시 교육은 주로 교수자의 해석과 설명에 의존하는 전통적인 방법에 치우쳐 있다. 이러한 교육 방식은 학생들이 수동적으로 학습하게 만들며, 학생들이 시에 대한 개인적이고 주체적인 이해를 방해할 수 있다는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Li, 2014; Oh, 2023; Jo and Lee, 2018).

현대시 교육의 중요성은 학생들이 복잡한 텍스트를 분석하고 다양한 해석을 도출해 내는 능력을 기르는 데 있다. 이는 학생들이 사회와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명확하게 표현하고, 타인의 의견을 존중하며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하지만 현재의 교육 방식은 학생들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학생들은 현대시를 읽고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며,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지 못해 현대시에 흥미를 가지지 못하거나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경우도 빈번하다(Yoon et. al., 2011; Li, 2014; Oh, 2023; Jo and Lee, 2018).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현대시 교육의 문제점을 명확하게 직시하고 교수학습에 있어 다양한 방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콘텐츠가 넘쳐나고 학제 간 융복합이 보편화된 시대에 학습자에게 텍스트 이해를 위한 분석만으로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이라는 현행 교육에 부응하지 못한다. 이러한 전통적인 교육과정에서 벗어나고자 본 연구에서는 플립러닝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현대시를 읽고 이해하며 능동적으로 구상하여, 창의적으로 활동하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은 전통적인 수업 방식을 뒤집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인 교육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플립러닝은 학생들이 수업 전에 온라인 강의를 통해 기본 개념을 학습하고, 수업 시간에는 교수자와 함께 심화학습과 토론, 문제해결 활동을 하는 방식이다. 이 접근 방식은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고, 교수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증진시켜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Choi and Kim, 2015).

여러 학문 분야에 걸친 플립러닝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플립러닝의 효율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Freeman et al.(2014)에서는 플립러닝 학습의 핵심 구성 요소인 능동 학습이 과학, 기술, 공학, 수학(STEM) 분야의 학업 성과를 크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beysekera and Dawson(2015)의 연구와 같은 인문학 연구에서는 학생 참여 및 메타인지적 사고 능력이 향상되어 플립러닝의 이점이 학문적 경계를 초월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교양 인문 분야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한 예로 Kim and Lee(2016)는 수업 전에 이루어진 학습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 역량을 향상하였다는 것을 발견했다. Lee(2019)의 연구와 같은 언어 및 문학 교육 분야의 연구는 학생들의 분석 능력과 문학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감상 능력에 있어 플립러닝 적용 효과를 강조했다. Yi and Lim(2020)은 플립러닝을 사용하면 학생들이 강의를 듣는 데 시간을 보내는 대신 수업 토론 중에 충분한 시간을 활용하여 복잡한 텍스트에 깊이 참여할 수 있어서 수업 시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Nam and Yoon(2016)는 플립러닝 적용이 수업 전 학습을 기반으로 한 적극적인 수업 내 문제해결 연습을 통해 역사적 사건에 대한 보다 심도있는 이해를 촉진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시 연구와 밀접하게 연관된 언어 영역에서 Mehring(2016)은 제2 언어로서의 영어(ESL) 교육에서 학생들이 집에서 교육용 비디오를 시청한 후, 수업 중 실제 작문 작업에 문법 개념을 더 잘 적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플립러닝 방법론이 문학 연구에서 분석기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는 시 분석에도 적용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선행 연구를 종합해 보면 플립러닝이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효과성이 검증되었으며, 구체적인 실증으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이 가장 향상되었고 다음으로 협동 능력, 수업 전에 이루어진 선행학습 효과 등으로 나타났다(Im, 2022). 그러나 플립러닝 방식이 일부 학생들에게는 초기 적응에 어려움을 줄 수 있으며(Strayer, 2012), 이러한 적응 어려움이 학습 성과와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는 부정적인 논의도 있다(Jo and Lee, 2018). 또, 교수자의 업무부담 증가, 학생들의 반감, 교수자의 플립러닝에 대한 이해와 준비 부족으로 인한 비효율적 수업운영 등 플립러닝 활용의 문제점과 능동적 학습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수행 능력에서의 개인차와 같은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점들을 제시한 연구(Lee, 2021), 인터넷 연결상태 불안정 등으로 사전 수업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 수업이 부담스러워지며, 수업 전략과 설계는 학습자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Shin, 2023; Robinson and Aronica, 2015) 지적도 있다. 다양한 논의를 참고하여 현재까지는 현대시를 읽고 쓰는 교육에 플립러닝을 활용한 사례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플립러닝을 현대시 교육에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 효과와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플립러닝을 적용한 현대시 수업이 전통적인 교수법에 비해 학생들의 시 읽기와 시 쓰기 능력을 얼마나 향상시킬 수 있는지와 시를 배우면서 시에 대한 인식과 관점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시 교육에의 플립러닝의 적용 가능성과 교육적 효과를 들여다보고, 이를 통해 현대시 교육의 교수학습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연구의 주요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플립러닝을 적용한 현대시 교육이 학생들의 시 읽기와 시 쓰기 학업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플립러닝을 통해 학생들의 시 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시에 대한 인식 및 관점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이 연구는 부산지역 K대학교에 개설된 선택 교양 교과목 <소통하는 시 읽기와 창의적인 시 쓰기>을 수강한 2개 분반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학생 1학년부터 4학년까지로 구성된 100명 중 사전 평가 및 사후 평가 설문에 모두 참여한 학생 최종 8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 수는 G power 3.1.9.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유의수준 0.05, 효과 크기 0.5, 검정력 0.71 수준이었다. 참여 학생들에게는 미리 연구동의서 작성을 통하여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알리고, 익명으로 참여할 수 있으며 언제든지 중단할 수 있음을 안내하였다. 2개 분반은 이공계열, 인문사회계열, 예술종합계열 학생들이 고루 분포되어 있다. 연구대상자 성별은 적용분반은 남학생 12명(30.0%)과 여학생 28명(70.0%), 비적용분반은 남학생 9명(22.5%)과 여학생 31(77.5%)명이었다.

2. 수업설계

수업은 주 1회 2시간이며 플립러닝을 적용한 6주 동안, 두 강좌의 수업 주제 및 내용은 동일하며 플립러닝을 적용한 분반의 커리큘럼은 <Table 1>과 같다. 수업의 1주차는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시 읽기와 쓰기 능력에 대한 사전 평가와 시 수업에 대한 흥미도, 그리고 시에 대한 인식과 관점에 대한 설문이 이루어졌으며, 2주차부터 7주차까지 플립러닝 적용 분반과 비적용 분반의 비교 분석이 이루어졌다. 최근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플립러닝 수업 설계는 McLaughlin et al.(2014)의 수업모형, Lee(2013)의 ADDIE 수업모형, Choi and Kim(2015)의 PARTNER 수업모형이 대표적인데, 이 연구에서는 Choi and Kim(2015)의 수업모형을 참고하여 현대시 교육에 맞게 설계하였다.

Weekly Flipped learning lecture topics and classroom learning activities

① 플립러닝으로 수업을 설계한 분반은 교수자가 사전 온라인 수업으로 이론 교육을 하는 방식(Kim and Yu, 2019)으로 운영하였다. 사전 강의는 OB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약 15분 내외의 분량으로 영상을 제작하였으며, 오프라인 강의 일주일 전에 학교 LMS에 업로드하였다. 학교 LMS 시스템에서는 자동으로 출석과 퀴즈 성적이 명시되므로, 학생들의 참여도와 이해도 정도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수자는 오프라인 수업 전까지 모든 학생이 참여할 수 있도록 모바일 오픈채팅방을 통해 안내하였다. 동영상 강의 내용은 각 주차에 명시된 주제에 맞는 현대시의 기본 개념과 배경지식이었다. 수업 전에 학습한 내용과 관련하여 학습자는 학습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고 학습 내용 관련 퀴즈도 풀어야 한다. 수업 시간에는 학생들이 미리 제공된 시 3편을 읽고 사전 학습한 내용을 중심으로 팀별로 토론하고, 질문과 관련한 문제해결 과제를 수행하였다. 이때 각 팀의 구성원 중 한 명이 리더 역할을 수행, 팀원들의 토의‧토론 과정을 진행하고, 과제수행서 작성과 발표를 주도적으로 이끈다. 사전 학습의 중요도를 강조하고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 영상자료 시청 유무를 성적에 반영하고, 학습내용 정리노트를 점검하였다. 교수자는 학생들의 활동을 관찰하고 필요한 경우 문제해결을 위한 퍼실리테이터 역할과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수업 종료 10분 전에 핵심 수업 내용에 대해 전달하고, 수업 후 활동 지침과 다음 차시 수업을 안내하였다. 수업 후에는 공동 창작시 또는 개인별 창작시를 온라인 플랫폼(패들렛, 잼보드, 오픈채팅방)에 업로드하고, 동료 피드백과 교수자 피드백을 수행하였다.

② 전통적인 수업을 진행한 분반은 교수자가 현대시의 개념과 미리 공지한 작품 해석을 직접 설명하고, 학생들은 수업 내용을 듣고 필기하는 기존의 강의 중심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시간 내 활동으로는 주로 교수자의 설명과 질의응답으로 구성되었으며, 학생들은 학습 내용을 정리하고, 관련된 퀴즈를 풀고, 창작시를 작성해 본다. 수업 내용에 따라 3~4인 정도로 팀을 만들어 토의를 진행할 때도 있다. 창작시는 자발적으로 3인 정도 발표에 참여하고 교수자 피드백이 반드시 이루어졌다. 수업 후에는 개인별 창작시를 학교 LMS에 업로드하고 다음 시간까지 ‘댓글’, ‘좋아요’ 등을 통해 자유롭게 동료 및 교수자 피드백이 이루어졌다.

③ 주차별 교육 주제와 시 선정 기준은 학생들의 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다양한 시 기법을 익히며, 창의적 표현력을 기르는데 두었다.

1주차의 수업 안내 이후 2주차부터 시작된 첫 수업 주제는 ‘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로 선정하였다. 시의 주제, 화자, 구조를 이해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은 시 감상의 기초가 된다. 따라서 플립러닝 적용분반을 위해서 ‘시를 읽고 감상하는 법’을 수업 전 학습 동영상으로 제작하였다. 학습자는 학습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하고, 관련 퀴즈를 풀고, 미리 공지된 3편의 시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질문 내용을 작성해서 수업에 참여한다. 첫 수업에 활용한 3편은, 간결한 언어와 민요적 율격과 애절한 여성적 어조가 특징인 김소월의 ‘진달래꽃’과 깊은 철학적 메시지와 간결한 표현으로 시 읽기에 미숙한 독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윤동주의 ‘서시’, 상징적이고 서정적인 표현으로 시 읽기와 해석의 기초를 다지기에 적합한 이육사의 ‘청포도’로 선정하였다. 학습자는 미리 준비한 질문을 토대로 시 3편에 대해 각자의 감상을 토의‧토론하고, 수업 중에 주어진 질문에 대해 문제해결력을 위한 조별 활동을 진행한다. 팀에서 이루어진 활동내용을 질문 중심으로 정리하여 팀별로 2~3분 이내로 발표하고, 교수자의 피드백과 함께 최종 학습 마무리와 다음 차시 안내를 끝으로 수업이 종료된다. 학생들은 현대시의 기본 요소를 이해함으로써 이후 시 감상과 분석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으며, 시 읽기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3주차는 시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언어 감각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되도록 ‘시의 언어’를 주제로 다루었다. 학생들은 시적 언어의 독특함을 이해함으로써 언어의 창의적 사용 방법을 배운다.

수업에 활용한 3편의 시는, 독특한 언어사용과 지역 방언이 특징인 백석의 ‘여우난골족’, 대표적인 참여시인 신동엽의 ‘껍데기는 가라’, 근원적 고독과 성찰을 담은 정호승의 ‘수선화에게’였다.

4주차는 ‘시의 리듬’을 주제로 시의 감정과 분위기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를 배운다. 리듬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은 시의 정서적 깊이를 느끼게 하며, 시의 음악성을 경험하게 해준다. 수업에 활용한 시는, 전통적인 운율이 돋보이며 독특한 리듬과 운율이 특징인 박목월의‘나그네’, 한용운의‘님의 침묵’, 김영랑의‘돌담에 속삭이는 햇발’로 선정하였다.

5주차는 학생들이 다층적인 시 해석 능력을 갖추며, 창의적 사고를 촉진하는‘시의 기교-비유법’을 주제로 학습하였다. 따라서 비유법이 뛰어난 김기림의‘바다와 나비’, 김광규의‘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이상화의‘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를 선정하여 활동을 진행하였다.

6주차는 시를 통해 문학 작품 전반에 대한 분석 능력을 높일 수 있는‘시의 함축적 의미’를 주제로 했다. 대상 작품은, 상징이 시 전체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시의 의미를 전달하는 이상의‘오감도’, 김춘수의‘꽃’, 김수영의‘푸른 하늘을’로 정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7주차는‘심상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주제로 선정했다. 학생들의 시각적 상상력과 창의적 표현력을 향상할 수 있으며, 예술적 감수성을 키울 수 있다. 수업에 활용한 시는, 강렬한 심상이 돋보이는 작품에서부터 시각적 심상, 감각적 이미지가 특징인 서정주의‘국화 옆에서’, 황동규의‘즐거운 편지’, 신경림의‘갈대’로 선정하였다.

수업의 각 차시는 감상 능력 향상, 창의적 표현력 증진, 비판적 사고력 강화, 언어 감각 향상, 정서적 공감 능력 강화를 목표로 현대시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Table 1> 참조).

3. 측정 도구

플립러닝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측정 도구는 시 읽기와 시 쓰기 교육에서 플립러닝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와 학생들의 시에 대한 인식과 흥미도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시 읽기와 시 쓰기 사전 사후 평가문항 개발 및 평가는 문학 전공자 3인이 참여하여 검토하고 교차 분석하였다. 평가 기준은 ‘매우 그렇다 5점,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능력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되는 5점의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가. 시 읽기 평가

학생들의 시 읽기 능력의 사전 사후 평가는 김소월의 ‘산유화’를 대상으로 시를 읽고 4개의 문항에 학생들이 서술형으로 답하면, 교수자 3인이 교차로 학생들의 시 읽기 능력을 평가하였다. 학생을 위한 문항은 첫째, “시에서 '산에 피는 꽃'을 통해 어떤 체험이나 감정을 느꼈는지 설명해 보자,” 둘째, “김소월의 '산유화'의 주제는 무엇인지 시의 제목과 내용 그리고 분위기를 통해 설명해 보자,” 셋째, “ ‘산에 피는 꽃’과 ‘혼자서 피어 있네’라는 시어가 시의 내용과 분위기를 어떻게 더욱 깊이 있게 만드는지 설명해 보자,” 넷째, “김소월이 이 시에서 사용한 표현 방식이 시의 내용을 전달하는 데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설명해 보자”였다.

학생들의 서술형 답변에 대한 교수자의 평가문항은 Wilhelm and Smith(2016)을 참고하여 만든 ‘Q1. 가치 있는 체험을 선택하고 다양한 표현방법을 활용하여 작품을 해석하였는가’, ‘Q2. 시의 주제와 내용을 파악하였는가(시의 제목, 시의 내용, 시의 분위기 파악)’, ‘Q3. 시어의 의미와 역할을 이해하였는가(시의 내용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 ‘Q4. 시의 표현 방식을 이해하였는가(시의 내용을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의 4개였다.

나. 시 쓰기 평가

학습자가 쓴 시의 사전 사후 평가를 위한 문항은 ‘Q1. 생각이나 느낌을 솔직하게 표현했는가?’, ‘Q2. 대상을 포착하는 화자의 태도와 언어가 독창적인가?’, ‘Q3. 글의 흐름이 매끄럽고 자연스러운가?’, ‘Q4. 행이나 연의 구분이 분명하고 짜임새가 있으며 어법이나 맞춤법에 오류가 없는가?’였다. 각 문항은 Anderson(2017)의 연구를 참고 하였다.

다. 시 수업에 대한 흥미도 설문

흥미도 조사를 위한 문항으로는 ‘Q1. 시 수업에 참여하는 것을 즐기는가?’, ‘Q2. 시 수업이 흥미롭다고 느끼는가?’, ‘Q3. 시를 읽거나 쓰는 활동에 흥미를 느끼는가?’, ‘Q4. 시 수업 시간에 집중을 잘할 수 있는가?’, ‘Q5. 시 수업이 창의성을 발휘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가?’의 5개였다. 조사 문항은 Deci and Ryan(2000)Guthrie et al.(2012)를 참고하여 만들었다.

라. 시에 대한 인식 및 관점 설문

설문항으로는 ‘Q1. 시는 중요한 문학 장르라고 생각하는가?’, ‘Q2. 시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가?’, ‘Q3. 시를 배우는 것이 문학적 소양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가?’, ‘Q4. 시를 통해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생각을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Q5.시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일상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의 5개였다. 인식 및 관점 조사 문항은 Dweck(2006)Eccles and Wigfield(2002)의 연구를 토대로 만들었다.

마. 플립러닝 적용 시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이 느낀 점을 알기 위해서 주관식 3개 문항 즉, ‘Q1. 시 수업에서 가장 흥미로웠던 활동은 무엇이었나? 왜 그렇게 생각하는가?’, ‘Q2. 시 수업을 통해 배운 것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무엇인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Q3. 시 수업을 개선하기 위해 추가되었으면 하는 활동이나 내용이 있는가? 있다면 무엇인가?’로 설문하였다.

바. 현대시 교육에 있어서 플립러닝 적용 교육에 대한 만족도 조사는 Kim(2016)이 개발한 12문항 중 8개를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조사 문항은 ‘Q1. 플립러닝의 온오프라인 학습환경은 학습 활동에 편리했다’, ‘Q2. 플립러닝의 사전 영상 시청은 학습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Q3. 플립러닝의 교실 활동은 학습내용 이해를 심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Q4. 플립러닝의 교실활동은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Q5. 플립러닝 수업활동은 수업 후 학습 내용을 성찰하고 정리하는 데 도움을 준다’, ‘Q6. 플립러닝은 학습의 협력 능력을 높인다’, ‘Q7. 플립러닝은 학습자의 자기주도 역량을 높여준다’, ‘Q8. 플립러닝 수업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였다.

이 연구에 활용한 평가 및 조사 문항의 신뢰도(Cronbach’s α)는 시 읽기 능력 0.919, 시 쓰기 능력 0.935, 시 수업 흥미도 0.906, 시 수업 인식 및 관점 0.781, 시 수업 만족도 0.948로 조사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자료분석

본 연구 결과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사전, 사후 검사 자료는 SPSS 29.0.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서 Levene’s test로 두 분반의 사전 동질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 항목의 사전, 사후 값의 비교는 paired t-test로 95% 신뢰수준으로 평균 간의 차이를 검토하였고, 플립러닝 적용 그룹과 적용하지 않은 그룹과의 차이 비교는 unpaired t-test로 실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사전 동질성 검증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의 플립러닝 적용군과 비적용군의 시 읽기, 쓰기, 수업 흥미도와 인식에 대한 사전 조사 점수를 이용하여 사전동질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Table 2>에 나타내었다. 시 읽기 능력 평가 2번 문항(t=3.720, P<0.05)을 제외한 모든 조사 항목에서 두 분반 간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P>0.05), 실험에 참여한 두 분반은 연구를 위한 동질성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Results of pre-homogeneity

2. 플립러닝 적용 효과

대학생 현대시 읽기 및 쓰기 교육에 플립러닝 적용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플립러닝을 적용한 분반과 적용하지 않은 분반을 교육하기 전과 교육 후로 구분하여 학생들의 능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가. 시 읽기 교육에 플립러닝 적용 분반과 비적용 분반의 교육 전후의 시 읽기 능력을 평가한 결과는 <Table 3>, <Table 4>와 같다.

Results of pre- and post-training poetry reading ability evaluation of Flipped learning applied and non-applied group

Results of post-training poetry reading ability of Flipped learning applied (Exp) and non-applied (Con) group

시 교육 사전 사후의 시 읽기 능력은 4가지 평가 문항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비적용분반의 2번 평가 문항 즉, 시의 주제와 내용을 파악하는 능력을 제외하고는 모두 항목에서 사전에 비해서 사후에 유의적인 능력 향상이 나타났다(P<0.05). 플립러닝 교육을 적용한 사후 시 읽기 능력을 비교한 결과 모든 평가 문항에서 적용분반이 비적용분반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나. 현대시 쓰기 교육에 플립러닝을 적용하지 않은 비적용분반과 플립러닝을 적용한 적용분반의 시 쓰기 능력을 평가한 결과는 <Table 5>, <Table 6>과 같다. 시 쓰기 능력의 평가를 위해서 개발한 4가지 평가 문항으로 분석한 결과 4개 평가 문항과 문항 전체 평균 모두에서 플립러닝 적용분반, 비적용분반 모두 사전에 비해 사후에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P<0.05). 사후 비교에서 시 쓰기 교육에 플립러닝을 적용한 적용분반의 시 쓰기 능력은 비적용분반에 비해 전 평가항목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Results of pre- and post-training poetry writing ability evaluation of Flipped learning applied and non-applied group

Results of post-training poetry writing ability of Flipped learning applied (Exp) and non-applied (Con) group

다. 플립러닝 적용 교육이 학생들로 하여금 시 수업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5개 문항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는 <Table 7>, <Table 8>과 같다.

Results of pre- and post-training interest in poetry of Flipped learning applied and non-applied group

Results of post-training interest in poetry of Flipped learning applied (Exp) and non-applied (Con) group

5개 평가문항으로 시 수업에 대한 흥미도를 설문한 결과 플립러닝의 적용 유무에 관계 없이 모든 분반에서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에 흥미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교육이 진행된 사후에 시 수업에 대한 흥미도를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플립러닝을 적용한 분반이 비적용분반에 비해서 높은 값을 보였으나, 시 수업이 흥미롭다고 느끼는가를 묻는 2번 문항과 수업 시간에 집중을 잘 할 수 있는가를 묻는 4번 문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라. 플립러닝 적용 교육이 학생들의 시에 대한 인식 및 관점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에 대한 조사하기 위해서 5개 문항으로 조사한 결과는 <Table 9>, <Table 10>와 같다. 시 교육 전과 후의 시 교육에 대한 인식 및 관점은 플립러닝의 적용 유무와 관계없이 모든 평가문항에서 사전에 비해서 사후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사후에 플립러닝 적용분반과 비적용분반을 비교해 본 결과 전체적으로는 적용분반에서 높은 값을 보였으나(P<0.05), 시를 중요한 문학 장르로 생각하는지 묻는 1번과, 시 수업 내용을 일상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지 묻는 5번 문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Results of pre- and post-training perception-view on poetry of Flipped learning applied and non-applied group

Results of post-training perception- view on poetry of Flipped learning applied (Exp) and non-applied (Con) group

마. 학생들의 의견을 서술식으로 종합해 본 결과, 긍정적인 내용은 ‘시를 직접 써보니 시인의 입장에서 생각해 볼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었다.’, ‘창작 과정이 어렵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고 완성된 시를 보니 뿌듯했다.’, ‘실제로 수업에서 배운 기법들을 적용해 보니 더 이해가 잘 되었다.’, ‘시로 토론하는 것이 재밌었다.’, ‘수업 전 영상을 보고 오니 시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었다.’, ‘예습을 통해 시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아, 수업 시간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다.’, ‘스스로 공부하는 법을 배웠다.’, ‘수업 시간에 질문을 할 수 있어서 좋았다.’, ‘수업 시간에 토론하면서 서로 다른 의견을 듣고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었다.’, ‘피드백 받는 것이 좋았다.’, ‘플립러닝 덕분에 현대시에 흥미를 느끼게 되었다.’, ‘이때까지 들었던 시 수업 중 가장 재미있게 수업했다.’ 등의 긍정적 반응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주관식 답변 중 개선점으로 제시된 의견으로는 ‘영상 예습이 많아 다른 공부와 병행하기 힘들다.’, ‘영상을 놓치면 수업 시간에 이해가 어렵다.’, ‘인터넷 연결이 불안정해서 영상 못 볼 때가 있었다.’, ‘영상 강의가 집중이 안된다.’, ‘수업 전에 할 일이 너무 많아 부담스럽다.’, ‘영상을 안 보고 오는 학우가 있어 수업 진행이 힘들었다.’, ‘수업 전후로 해야 할 과제가 많아 스트레스가 쌓였다.’ 등이 있었다.

바. 현대시 교육에 플립러닝을 적용하였던 적용분반의 학생들의 만족도 조사 결과는 <Table 11>과 같다.

Results of students’ satisfaction survey on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in modern poetry class

플립러닝 수업 진행의 학습환경부터 학습 효과성까지 총 8개 문항으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4.0~4.6점, 평균 4.4점으로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Ⅳ. 결 론

본 연구는 현대시 교육에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대학생의 현대시 읽기 및 쓰기 능력, 시에 대한 인식과 관점의 변화, 시 수업에 대한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과 플립러닝 수업 만족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플립러닝을 적용한 그룹이 전통적인 교육 방법을 적용한 그룹보다 전체적으로 더 우수한 성과를 보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와 연구 문제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립러닝을 적용한 학생들은 시를 읽고 쓰는 능력에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다(P<0.05). 이는 플립러닝이 학습 성과를 높였다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는 선행 연구인 Choi and Kim(2015), Kim and Lee(2016), Freeman et al.(2014), Jo and Lee(2018)Lee(2019)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현대시 교육에서 플립러닝 적용했을 때의 시 읽기 능력과 시 쓰기 능력의 향상은 다음과 같은 현상으로 추론할 수 있다. 첫째, 학습자가 자신의 감정을 더 잘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학생들은 다른 사람의 감정과 경험에 공감하고 이해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시의 의미를 파악하고 작가의 의도를 이해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넷째, 플립러닝은 표현하는 능력을 개발하는 데 훨씬 효과적이다.

이러한 결과는 Deci and Ryan(2000)의 자율성 및 자기 결정 이론에 부합하며, 학생들의 정서적 학습에 플립러닝 적용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또한, Abeysekera and Dawson(2015)에서 플립러닝은 학생들의 메타인지적 사고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Lee(2011)Jung(2015)의 연구에서 시문학 교육이 학습자의 자아 정체성을 확인하고 확대하는 경험을 제공한다는 주장과도 일치한다.

두 그룹 모두에서 시 수업에 대한 흥미와 시에 대한 인식 및 관점이 향상되었으며, 플립러닝 적용 그룹이 전통적 교육 방법을 적용한 그룹보다 더 높은 흥미도와 긍정적인 인식 및 관점을 보였다. 이는 Herreid and Schiller(2013)의 연구와 Choi and Kim(2015) 연구에서 플립러닝이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학습 동기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점과 일치한다. 다만, 흥미도 부분에서 ‘시 수업이 흥미롭다’와 ‘수업 시간에 집중할 수 있다’는 문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학생들이 이미 시 수업에 대해 높은 흥미를 가지고 있었다면, 플립러닝이 높은 수준의 흥미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의 흥미를 더욱 증가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K대학교의 선택 교양 교과인 ‘소통하는 시 읽기와 창의적인 시 쓰기’ 과목을 자의적으로 선택하였기에 이미 높은 흥미도를 가지고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이는 Deci and Ryan(2000)의 자기결정 이론에 따르면, 학생들이 이미 내재적인 동기를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는 외부 요인의 변화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시에 대한 인식과 관점 조사에서도 전체적으로 플립러닝 적용 분반이 비적용 분반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시를 중요한 문학 장르로 생각하는지’와 ‘시 수업 내용을 일상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이러한 결과 역시 Deci and Ryan(2000)가 말하는 학생들의 높은 내재적 동기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일상생활에의 활용 가능성에서는 학습법의 차이보다 학생들의 개인적인 경험과 인식에 더 많이 의존될 수 있을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평균 4.4점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다. 주관식 문항에서도 대부분 긍정적인 의견이었으나, 일부 ‘예습 영상이 많아 다른 공부와 병행하기 힘들다.’, ‘영상 강의 집중도가 낮다.’, ‘인터넷 연결의 기술적 문제’ 등은 플립러닝 적용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이러한 부정적 의견은 일부 학생들은 전통적인 수업 방식에 익숙해져 있어 플립러닝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수업 초기에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Strayer, 2012)와 온라인 학습 자료의 접근성 문제 즉, 온라인의 기술적 문제를 제시(Mehring, 2016; Robinson and Aronica, 2015)하고 있는 부분과도 맥을 같이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현대시 교육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한 교육이 학생들의 시 읽기 능력, 시 쓰기 능력, 시 수업에 대한 흥미와 시에 대한 인식 및 관점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는 플립러닝이 전통적인 교육 방법에 비해 학생들의 시 학습 참여와 시 교육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 현장에서 더욱 널리 활용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특정 대학의 특정 과목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표본의 크기와 구성에서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은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어려움을 줄 수 있다. Bishop and Verleger(2013)의 연구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플립러닝의 효과는 교육 환경과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플립러닝의 적용 범위를 확장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 Abeysekera L and Dawson P(2015). Motivation and Cognitive Load in the Flipped Classroom: Definition, Rationale and a Call for Research. Higher Edu. R & D, 34, 1~14. [https://doi.org/10.1080/07294360.2014.934336]
  • Anderson J(2017). Mechanically Inclined: Building Grammar, Usage, and Style into Writer's Workshop. Stenhouse Publishers.
  • Bishop J and Verleger M(2013). The Flipped Classroom: A Survey of the Research. ASEE National Conference Proceedings, Atlanta, GA.
  • Choi JB and Kim EG(2015). Developing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Flipped Learning for Institutes of Technology and a Case of Operation of a Subject.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8(2), 77~88. [https://doi.org/10.18108/jeer.2015.18.2.77]
  • Deci E and Ryan R(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4), 227~268.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1104_01]
  • Dweck C(2006). Mindset: The New Psychology of Success. Random House.
  • Eccles J and Wigfield A(2002). Motivational Beliefs, Values, and Goal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3(1), 109~132.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3.100901.135153]
  • Freeman S, Eddy S, McDonough M and Wenderoth M(2014). Active Learning Increases Student Performance in Science, Engineering, and Mathematics. PNAS, 111, 8410~8415. [https://doi.org/10.1073/pnas.1319030111]
  • Guthrie J, Wigfield A and You W(2012). Motivations for Reading Information Books: Relations to Science Learning in Grade 4 and Grade 7 Students. Reading Research Quarterly, 47(3), 300~311.
  • Herreid C and Schiller N(2013). Case studies and the flipped classroom. J. of College Science Teaching, 42(5), 62~66. [https://doi.org/10.4236/ce.2022.1311218]
  • Im IH(2022). A Case Study of Convergence Class through Modern Poetry Educatio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76, 331~367. [https://doi.org/10.37192/KLER.76.10]
  • Jo BR and Lee JM(2018). Meta-Analysis of the Learning Effects of Flipped Learning. J. of Educational Technology. [https://doi.org/10.14400/JDC.2018.16.3.059]
  • Jung JS(2015). A Study on the Education Contents of Creative Reading of Poetry.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57, 79~104. [https://doi.org/10.17247/jklle.2015.57.79]
  • Kim HW and Lee GB(2016).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Class Based on Team Activity on Physical Education Majored Students’ Learning Participation and Course Evaluation.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21(1), 15~27. [https://doi.org/10.15831/JKSSPE.2016.21.1.15]
  • Kim M and Yu H(2019). A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in College Liberal Arts Classes. Korean J. of General Education, 13(6), 521~545.
  • Kim YK(2016). Development of a Flipped-Learning Instructional Model Based on Activity Theory for Higher Education. Ph. D. Thesis. Chung-Ang University. [https://doi.org/10.23169/cau.000000182330.11052.0000565]
  • Lee DY(2013). Research on Developing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Flipped Learning. J. of Digital Convergence, 11(112), 83~92.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2.83]
  • Lee HR(2019). Effects of College English Grammar Class Based on Flipped Learning. Linguistics Studies, 52, 197~216. [https://doi.org/10.17002/sil..52.201907.197]
  • Lee J(2021). A Systematic Review of Flipped Learning Research in Domestic Engineering Education. J.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24(3), 21~31. [https://doi.org/10.18108/jeer.2021.24.3.21]
  • Lee MH(2011). Reading Poems and Writing for Problem Solving Post Writing. Liberal Arts Education Research, 5(1), 339~366.
  • Li HM(2014). A Study on the Response Text Writing Centered Korean Modern Poetry Educatio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McLaughlin J, Roth M, Glatt D, Gharkholonarehe N, Devidson C, Griffin L and Mumper R(2014). The flipped classroom: A course redesign to foster learning and engagement in a health professionals school. Academic Medicine, 89(2), 236~243. [https://doi.org/10.1097/ACM.0000000000000086]
  • Mehring J(2016). Present Research on the Flipped Classroom and Potential Tools for the EFL Classroom. [https://doi.org/10.1080/07380569.2016.1139912]
  • Nam MK and Yoon GJ(2016). The Effects of Problem Based Learning(PBL)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Gender, Grade, and PBL Prior Experience. J.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9), 243~270. [https://doi.org/10.22251/jlcci.2016.16.9.243]
  • Oh Y(2023). Theoretical Studies on Categorization of Study Agency and Collaborative Reading in Modern Poetry Education - Focusing on Question Formulation Technique (QFT).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43, 269~290. [https://doi.org/10.24008/klle.2023.43.008]
  • Robinson K and Aronica L(2015). Creative Schools: The Grassroots Revolution That's Transforming Education. Viking.
  • Shin BS(2023). A Study of Research Trend on Flipped Learning in Korea Higher Education: Focusing on the Instructional Process. The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21(2), 195~215. [https://doi.org/10.31352/JER.21.2.195]
  • Strayer J(2012). How Learning in an Inverted Classroom Influences Cooperation, Innovation and Task Orientation. Learning Environment Research, 15, 171~193. [https://doi.org/10.1007/s10984-012-9108-4]
  • Wilhelm J and Smith M(2016). Reading Unbound: Why Kids Need to Read What They Want—and Why We Should Let Them. Scholastic.
  • Yi ES and Lim HS(2020). Factors Affecting Learning Methods and Flipped Learning by Flipped Learning. J. of Digital Convergence, 18(6), 45~52. ISSN 2713-6434/eISSN 2713-6442. [https://doi.org/10.14400/JDC.2020.18.6.045]
  • Yoon YT, Choi MS, Kim JW and Cho GE(2011).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and Direction of its Education in the Modern Poetry Education. Associ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27, 215~260. [https://doi.org/10.1016/j.aaf.2021.04.009]

<Table 1>

Weekly Flipped learning lecture topics and classroom learning activities

Wk Objectives and key contents Pre-Class In-Class Post-Class
1 Orientation - •Completion of consent form for research participation
•Preliminary survey
-
•Description of class contents
2 How to read a poem -Video 1
‘The basics of reading poems.’
(With LMS)
-Summary Note
-Quiz challenge
•Discussion: The theme of poetry, the feelings of the speaker, and the structure of poetry
•Activities: Announce the results of each city's analysis in small groups
•Question: Discuss what to look out for when reading poetry and the various interpretability of poetry
• Writing creative poems: Writing imitation poems by referring to the theme or form of a poem you read
• Pedlett activities
- Feedback upon creatio
•Reading materials
-Kim Sowol ‘Azalea Flower’
-Yoon Dongjoo's ‘Seosi’
-Lee Yooksa's 'Green Grape'
3 Linguistic features of poetry -Video 2
‘Characteristics of poetic language.’
(With LMS)
-Summary Note
-Quiz challenge
•Discussion: Discussing the meaning and effectiveness of linguistic expressions used in poetry
•Activities: Analyzing and presenting verbal expressions in each poem in small groups
•Question: Discuss how the language of a poem contributes to the overall mood or theme of a poem
•Writing creative poems: Writing short poems using your own unique language expressions
• Pedlett activities
- Feedback upon creation
•Reading materials
-White stone ‘Fox egg yolk’
-Shin Dong-yup‘Go away with the skin.’
-Jeong Ho-seung‘Dear to Soo-hwa’
4 Rhythm and cadence of a poem -Video 3
‘Understanding the rhythm of poetry.’
(With LMS)
-Summary Note
-Quiz challenge
•Discussion: Discussing the Impact of Rhythm on Poetry's Emotions and Message Delivery
•Activities: Analyzing the rhythm of each poem in small groups and comparing readings
•Question: Discuss how the rhythm of poetry affects the reader's feelings and understanding
•Writing creative poems: Writing short poems using specific rhythms
• Pedlett activities
- Feedback upon creation
•Reading materials
-Park Mok-wol's ‘The Traveler’
-Han Yong Un ‘Your Silence’
-Kim Youngrang's ‘Like the sunshine whispering in a stone wall’
5 Art of poetry- Figures of speech -Video4
‘The Types and Effects of the figures of speech’
(With LMS)
-Summary Note
-Quiz challenge
•Discussion: Discuss how metaphors are used in poetry and how they work
•Activities: Analyzing the analogy of each poem in small groups and expressing it visually
•Question: Discuss how metaphors contribute to the meaning and feelings of poetry
•Writing creative poems: Writing short poems using metaphors
•Jamboard activity
-Feedback upon creation
•Reading materials
-Kim Ki-rim ‘The Sea and Butterfly’
-Kim Kwang-kyu's ‘a faint shadow of old love’
- Lee Sanghwa's ‘Does spring come even in the fields that are taken away?’
6 Symbol of a poem -Video 1
‘Understanding the Symbols.’
(With LMS)
-Summary Note
-Quiz challenge
•Debate: Discussing the Role of Symbols in Poetry
•Activities: Grouped into small groups to analyze the symbols of each poem and announce their meaning and effectiveness
•Question: Discuss how symbols connect with the poem's overall message
•Writing creative poems: Writing short poems using symbols
•Jamboard activity
-Feedback upon creation
•Reading materials
That's all for ‘Five Senses’
-Kim Choonsoo's ‘Flower’
-Kim Sooyoung's ‘The blue sky’
7 Image of a poem -Video 1
‘Importance of imagery’
(With LMS)
-Summary Note
-Quiz challenge
•Discussion: Discussing the impact of imagery on the mood and meaning of poetry
•Activity: Analyzing the image of each poem in small groups and expressing it visually
•Question: Discuss how imagery contributes to the reader's imagination and understanding
•Writing creative poems: Write a poem based on the image you feel, and explain the role of the image in the poem
•Jamboard activity
-Feedback upon creation
•Reading materials
-Seo Jeong-ju's‘Next to the chrysanthemum’
-Hwang Dong-gyu's ‘Happy letter’
-Shin Kyung-rim's ‘Haldae’

<Table 2>

Results of pre-homogeneity

Category Division N Mean SD Levene t-test
F p t p
Poetry reading ability Q1 Con. 40 2.8 1.2 1.134 0.29 1.308 0.195
Exp. 40 2.5 1.2
Q2 Con. 40 3.3 1.2 28.038 0.001 3.720 0.001
Exp. 40 3.3 1.0
Q3 Con. 40 3.0 1.3 4.712 0.033 0.601 0.550
Exp. 40 3.2 0.9
Q4 Con. 40 3.0 1.2 0.156 0.694 0.487 0.627
Exp. 40 3.1 1.1
Total Con. 40 3.2 0.9 0.007 0.936 1.015 0.313
Exp. 40 3.0 0.9
Poetry writing ability Q1 Con. 40 2.9 1.2 2.383 0.127 1.852 0.068
Exp. 40 3.4 1.0
Q2 Con. 40 2.8 1.2 3.133 0.081 0.196 0.845
Exp. 40 2.8 1.0
Q3 Con. 40 2.9 1.2 1.832 0.180 1.728 0.088
Exp. 40 3.3 1.0
Q4 Con. 40 3.2 1.3 8.595 0.004 0.574 0.567
Exp. 40 3.4 1.0
Total Con. 40 3.0 1.1 9.927 0.002 1.155 0.252
Exp. 40 3.2 0.8
Interest in modern poetry Q1 Con. 40 3.8 0.8 5.901 0.017 1.117 0.268
Exp. 40 3.9 0.6
Q2 Con. 40 3.9 0.8 3.320 0.072 1.262 0.211
Exp. 40 4.1 0.6
Q3 Con. 40 3.9 0.9 0.127 0.723 0.395 0.694
Exp. 40 4.0 0.8
Q4 Con. 40 3.9 0.8 0.007 0.934 0.142 0.888
Exp. 40 4.0 0.8
Q5 Con. 40 3.9 0.6 1.967 0.165 0.794 0.430
Exp. 40 4.1 0.8
Total Con. 40 3.9 0.7 0.877 0.352 0.852 0.397
Exp. 40 4.0 0.6
Perception and perspectives in class Q1 Con. 40 4.0 0.7 1.753 0.189 1.148 0.255
Exp. 40 4.1 0.6
Q2 Con. 40 3.9 0.8 1.885 0.174 0.443 0.659
Exp. 40 4.0 0.7
Q3 Con. 40 3.9 0.9 2.742 0.102 1.549 0.125
Exp. 40 4.2 0.6
Q4 Con. 40 3.9 0.8 0.33 0.567 0.543 0.589
Exp. 40 4.0 0.8
Q5 Con. 40 3.4 1.1 0.004 0.947 0.505 0.615
Exp. 40 3.5 1.1
Total Con. 40 3.8 0.6 0.766 0.384 1.067 0.289
Exp. 40 4.0 0.6

<Table 3>

Results of pre- and post-training poetry reading ability evaluation of Flipped learning applied and non-applied group

Group N Mean SD t p
Con Q1 Pre- 40 2.8 1.2 5.410 0.000
Post- 40 4.0 0.8
Q2 Pre- 40 4.0 0.5 0.701 0.485
Post- 40 4.1 0.7
Q3 Pre- 40 3.0 1.3 4.539 0.000
Post- 40 4.1 0.9
Q4 Pre- 40 3.0 1.2 4.805 0.000
Post- 40 4.1 0.8
To. Pre- 40 3.2 0.9 4.904 0.000
Post- 40 4.1 0.7
Exp Q1 Pre- 40 2.5 1.2 9.535 0.000
Post- 40 4.6 0.6
Q2 Pre- 40 3.3 1.0 7.137 0.000
Post- 40 4.6 0.6
Q3 Pre- 40 3.2 0.9 8.051 0.000
Post- 40 4.6 0.6
Q4 Pre- 40 3.1 1.1 6.588 0.000
Post- 40 4.5 0.7
To. Pre- 40 3.0 0.9 9.942 0.000
Post- 40 4.6 0.5

<Table 4>

Results of post-training poetry reading ability of Flipped learning applied (Exp) and non-applied (Con) group

Group N Mean SD t p
Q1 Con 40 4.0 0.8 3.326 0.001
Exp 40 4.6 0.6
Q2 Con 40 4.1 0.7 3.717 0.000
Exp 40 4.6 0.6
Q3 Con 40 4.1 0.9 2.849 0.006
Exp 40 4.6 0.6
Q4 Con 40 4.1 0.8 2.216 0.030
Exp 40 4.5 0.7
To. Con 40 4.1 0.7 3.626 0.001
Exp 40 4.6 0.5

<Table 5>

Results of pre- and post-training poetry writing ability evaluation of Flipped learning applied and non-applied group

Group N Mean SD t p
Con Q1 Pre- 40 2.9 1.2 5.887 0.000
Post- 40 4.2 0.6
Q2 Pre- 40 2.8 1.2 3.929 0.000
Post- 40 3.8 1.1
Q3 Pre- 40 2.9 1.2 5.045 0.000
Post- 40 4.1 1.0
Q4 Pre- 40 3.2 1.3 4.122 0.000
Post- 40 4.3 0.8
To. Pre- 40 3.0 1.1 5.296 0.000
Post- 40 4.1 0.7
Exp Q1 Pre- 40 3.4 1.0 6.339 0.000
Post- 40 4.5 0.6
Q2 Pre- 40 2.8 1.0 9.695 0.000
Post- 40 4.6 0.6
Q3 Pre- 40 3.3 1.0 6.788 0.000
Post- 40 4.5 0.5
Q4 Pre- 40 3.4 1.0 6.627 0.000
Post- 40 4.6 0.6
To. Pre- 40 3.2 0.8 9.197 0.000
Post- 40 4.6 0.4

<Table 6>

Results of post-training poetry writing ability of Flipped learning applied (Exp) and non-applied (Con) group

Group N Mean SD t p
Q1 Con 40 4.2 0.6 2.256 0.027
Exp 40 4.5 0.6
Q2 Con 40 3.8 1.1 3.839 0.000
Exp 40 4.6 0.6
Q3 Con 40 4.1 1.0 2.321 0.023
Exp 40 4.5 0.5
Q4 Con 40 4.3 0.8 1.998 0.049
Exp 40 4.6 0.6
To. Con 40 4.1 0.7 3.235 0.002
Exp 40 4.6 0.4

<Table 7>

Results of pre- and post-training interest in poetry of Flipped learning applied and non-applied group

Group N Mean SD t p
Con Q1 Pre- 40 3.8 0.8 2.623 0.010
Post- 40 4.2 0.8
Q2 Pre- 40 3.9 0.8 3.329 0.001
Post- 40 4.4 0.5
Q3 Pre- 40 3.9 0.9 2.509 0.014
Post- 40 4.3 0.6
Q4 Pre- 40 3.9 0.8 2.953 0.004
Post- 40 4.4 0.6
Q5 Pre- 40 3.9 0.6 2.193 0.031
Post- 40 4.3 0.7
To. Pre- 40 3.9 0.7 3.249 0.002
Post- 40 4.3 0.5
Exp Q1 Pre- 40 3.9 0.6 5.191 0.000
Post- 40 4.6 0.5
Q2 Pre- 40 4.1 0.6 3.787 0.000
Post- 40 4.6 0.5
Q3 Pre- 40 4.0 0.8 3.806 0.000
Post- 40 4.6 0.7
Q4 Pre- 40 4.0 0.8 3.369 0.001
Post- 40 4.5 0.6
Q5 Pre- 40 4.1 0.8 4.384 0.000
Post- 40 4.7 0.5
To. Pre- 40 4.0 0.6 4.963 0.000
Post- 40 4.6 0.5

<Table 8>

Results of post-training interest in poetry of Flipped learning applied (Exp) and non-applied (Con) group

Group N Mean SD t p
Q1 Con 40 4.2 0.8 2.709 0.008
Exp 40 4.6 0.5
Q2 Con 40 4.4 0.5 1.640 0.105
Exp 40 4.6 0.5
Q3 Con 40 4.3 0.6 2.032 0.046
Exp 40 4.6 0.7
Q4 Con 40 4.4 0.6 0.545 0.588
Exp 40 4.5 0.6
Q5 Con 40 4.3 0.7 3.250 0.002
Exp 40 4.7 0.5
To. Con 40 4.3 0.5 2.530 0.013
Exp 40 4.6 0.5

<Table 9>

Results of pre- and post-training perception-view on poetry of Flipped learning applied and non-applied group

Group  N Mean SD t p
Con. Q1 Pre- 40 4.0 0.7 4.436 0.000
Post- 40 4.6 0.5
Q2 Pre- 40 3.9 0.8 2.953 0.004
Post- 40 4.4 0.6
Q3 Pre- 40 3.9 0.9 3.693 0.000
Post- 40 4.6 0.6
Q4 Pre- 40 3.9 0.8 3.115 0.003
Post- 40 4.4 0.6
Q5 Pre- 40 3.4 1.1 3.683 0.000
Post- 40 4.2 0.7
To. Pre- 40 3.8 0.6 4.699 0.000
Post- 40 4.4 0.5
Exp. Q1 Pre- 40 4.1 0.6 5.556 0.000
Post- 40 4.8 0.4
Q2 Pre- 40 4.0 0.7 5.414 0.000
Post- 40 4.7 0.5
Q3 Pre- 40 4.2 0.6 4.697 0.000
Post- 40 4.8 0.4
Q4 Pre- 40 4.0 0.8 4.254 0.000
Post- 40 4.6 0.5
Q5 Pre- 40 3.5 1.1 4.204 0.000
Post- 40 4.4 0.7
To. Pre- 40 4.0 0.6 5.848 0.000
Post- 40 4.7 0.4

<Table 10>

Results of post-training perception- view on poetry of Flipped learning applied (Exp) and non-applied (Con) group

Group N Mean SD t p
Q1 Con 40 4.6 0.5 1.604 0.113
Exp 40 4.8 0.4
Q2 Con 40 4.4 0.6 2.644 0.010
Exp 40 4.7 0.5
Q3 Con 40 4.6 0.6 2.046 0.044
Exp 40 4.8 0.4
Q4 Con 40 4.4 0.6 2.111 0.038
Exp 40 4.6 0.5
Q5 Con 40 4.2 0.7 1.630 0.107
Exp 40 4.4 0.7
To. Con 40 4.4 0.5 2.397 0.019
Exp 40 4.7 0.4

<Table 11>

Results of students’ satisfaction survey on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in modern poetry class

Question Score
Mean SD
Learning environment convenience 4.0 0.6
Watching the pre-video to understand the learning 4.6 0.6
Classroom activities to apply learning content. 4.5 0.6
Classroom activity to actively participate 4.6 0.6
Class activity to reflect 4.5 0.6
Enhance the cooperative ability 4.4 0.6
Enhance learners' self-directedness 4.5 0.6
Flipped learning satisfaction 4.4 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