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변량분석에 의한 여수 백야도 어류양식장의 해양 환경분석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d the surface(10 variables) and bottom(10 variables) water quality, and sediment(3 variables) in the cage fish farm off Baegyado in Gamak Bay using a multivariate analysis from January 2013 to November 2014. Generally, the environmental data did not show a certain tendency by months during two years investigated. The pairwise simple correlation matrices among variables were also shown. The first four principal components of the surface water in 2013 explain 93% of the total sample variance;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z₁) showed the freshwater inflow and/or precipitation, z₂, z₃and z₄ related to freshwater inflow and/or precipitation, organic matters and eutrophy, respectively; the first four principal components of the bottom water in 2013 explain 93% of the total sample variance; the z₁, z₂ and z₄ related to freshwater inflow and/or precipitation, and z₃ water temperature. In 2014, at the surface water the first three principal components explain 87%; the z₁, z₂ and z₃ related to water temperature, eutrophy and freshwater inflow and/or precipitation, respectively; at the bottom water the first three principal components explain 93%; z₁, z₂ and z₃ related to water temperature, freshwater inflow and/or precipitation and eutrophy. Half of the principal components related to freshwater inflow and/or precipitation.
Keywords:
Fish aquafarm, Multivariate analysis, Water qualityⅠ. 서 론
여수연안은 반폐쇄성만으로서, 가막만을 중심으로 광양만, 남면해, 여수해, 보돌해, 장수만, 여자만 등지의 해양생물들의 서식처이며 양식어업에 적합한 천혜의 지형조건을 갖추고, 산란·서식장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수괴의 유통이 원활하고 먹이가 풍부하다(Yeosu Regional Marine Affairs and Fisheries Office, 2005)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임해공단의 본격적 건설로 인한 공업화·도시화의 영향으로 폐수와 하수의 유입과 대규모 연안 간척·매립에 따른 갯벌훼손으로 연안해역 자정능력의 상실 등 환경변화가 급격하다(Cho, 2006; Yoon, 2006; Lee, 2006). 어장 환경과 밀접한 관계인 패류생산성의 계속적 감소는, 그 생산성이 어장환경 악화에 기인함을 보이고 있으며, 실제로 여수연안의 양식 굴의 대량폐사가 빈번하다. 이는 어장환경이 악화되고 있음을 나타내므로 연안해역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Choi et al., 1999, 2000).
연안의 수·저질 상태는 시·공간적으로 육·해상기인 오염부하, 연안의 물리·화학적 및 지질·지형학적 특성, 양식장의 자가오염상태, 생물상의 변화, 에너지와 물질의 흐름 및 생지화학환상태, 기후·기상 및 해황의 변동 등의 상호작용, 즉, 연안의 물리학, 화학, 지질학, 지형학, 생물학, 생태학, 기상학 등의 분야가 어우러진 복잡계과학의 성질을 나타낸다. 거기에 연안의 양식장에는, 특히 특정양식생물의 현존량이 시간적으로 변동되며 수용력의 한계까지 포화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연안양식장의 생태계기반 관리와 현명한 이용을 위해서, 궁극적으로는 생태계서비스를 포함한 경제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장기적·체계적인 조사·분석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많은 요인들이 복잡하게 서로 얽혀있는 연안 양식장의 특성상 다변량분석법 중 주성분분석법으로 많은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취급하여 추출한 주성분, 즉 양식장의 종합적 특성치를 구해보는것도 한 방법이다.
다변량분석은 하나 이상의 변수를 동시에 분석하여 그 여러 변수들의 연관성을 측정, 설명 또는 예측하는 데 있다(Kang, 1990). 즉, 한 가지 이상의 변수들이 서로 상관관계를 맺고 있어 직접적으로 해석하기 어려운 변수들 간의 구조적 상관관계를 원래의 변수보다 적은 수의 요인을 상정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다(Lee et al., 1996). 이러한 다변량 분석방법에는 중회귀분석, 주성분분석, 요인분석, 판별분석방법 등이 있으며(Kang, 1990; Kim, 1998; Ishimura & Ryu, 2009), 이 중 주성분분석은 원래의 변수로 구성된 선형결합을 통하여 분산·공분산 구조를 설명하는, 즉, 몇 개의 변수의 종합적특성을 소수개의 주성분이라는 1차식으로 나타내는 통계적 방법으로, 그 목적은 자료의 축소 또는 구조의 간략화와 해석이다(Kang, 1990; Ishimura & Ryu, 2001).
우리나라에서 주성분 분석을 연안해양의 수질과 저질평가에 적용한 예는 인천연안해역의 수질평가(Lee et al., 1991; Kim, 2006), 마산만 저층수의 수질평가(Lee et al., 1996), 낙동강 하구해역의 수질평가(Shin et al., 1998), 금강하구역의 수질평가(Kim, 1998)등이 있다.
가막만의 수질과 저질환경에 대한 연구는 Lee & Choe, (1985), Lee & Cho, (1990), Cho et al., (1994), Lee et al., (1995), Lee & Cho, (2002), Lee et al., (2005), Noh et al., (2006), Cho, (2009) 등이 있고, 해수유통에 관해서는 Lee, (1992), 플랑크톤에 관해서는 Yoon(1992, 1995, 1998)이 있고, 총설로서는「가막만: 자연환경과 산업」(Lee & Kim et al., 2006)이 있다. 이 연구는 가막만 양식장의 장기적인 수·저질 조사결과의 일부이다. 연안생태계의 자연적·인위적 교란이 더 심화되든가 없든가, 또는 현 상태로 거의 안정적이든가 아니면 조금 자기 회복 또는 관리에 의한 수복이 되었든가를 불문하고, 조사당시의 상황을 분석해서 기록 유지하기 위하여, 백야도 앞바다 어류양식장에서 측정된 표층수, 저층수 및 퇴적물의 자료로 주성분 분석을하고 추후 양식어장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Ⅱ. 조사방법 및 내용
1. 조사시기 및 조사지역
여수연안의 가막만 백야도 동쪽 앞(N 34。36’905”E 127。39’066”)에 위치한 어류가두리양식장의 해역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3년 1월부터 2014년 11월까지 2개월마다 총 12회에 걸쳐 양식장의 환경조사를 하였다([Fig. 1]).
2. 수질분석
수온(WT), 염분농도(Salinity), pH는 YSI-85 (Incorporated Yellow Springs, Ohio 45387 USA Model 85/50 FT)를 이용하였으며, 용존산소(DO)는 Winkler 변법으로 현장에서 고정 후 실험실로 옮긴 후 즉시 측정하였다. 표층수와 저층수의 시료는 Van Dorn을 이용하여 채수하였고, 실험실로 운반하여 분석 전까지 냉동보관 하였다.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은 알칼리성 과망간산 칼륨법으로 알칼리성 하에서 과망간산 칼륨의 소비량을 측정하였고, 영양염류는 Strickland and Parsons (1972)에 따라 분광광도계(Gensis-5, US/GENESYS)로, 암모니아성 질소(NH₃-N)는 Indophenol법, 아질산성 질소(NO₂-N)는 Sulfanilamid-NED법, 질산성 질소(NO₃-N)는 Cu-cd칼럼환원법, 인산성 인(PO4-P)는 Ascorbic acid법, 규산규소(Si(OH)4-Si`는 Molybden blue법에 의해 비색 정량하였다. 용존무기질소(DIN)는 암모니아성 질소(NH₃-N), 아질산성 질소(NO₂-N), 질산성 질소(NO₃-N)을 합한 값이다(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엽록소-a(Chl-a)는 채수한 해수 500㎖를 0.45㎛ membrane filter로 여과하여 여과지를 90% 아세톤 10㎖에 추출시킨 후 원심분리기(비전과학, VS-4000)(3000rpm, 10min)로 분리하여 상등액을 흡광도 630, 647, 664, 750nm에서 분광광도계(Gensis-5, US/GENESYS)를 이용하여 SCOR-Unesco (1969)의 계산식으로 구하였다. 알칼리도(Alkalinity)는 시료 50㎖를 취하여 메틸오렌지 용액 2~3방울을 떨어뜨린 후 0.1N 염산으로 색이 변할 때까지 투입한 양으로부터 알칼리도를 구하였다(Jo. et. al., 2009).
3. 퇴적물분석
채니기를 이용하여 채취한 후 실험실로 운반하여 분석 전까지 냉동보관 하였다. 함수율은 채니기로 채취한 퇴적물을 20~30g정도 취하여 건조기(HST-520M, 150L)에 105℃로 24시간동안 건조시킨 뒤 건중량과의 차이로 계산하였으며, 강열감량(IL)은 도가니에 건조된 시료 5g을 넣고 550℃의 온도로 2시간동안 가열한 후 데시케이터에서 냉각시키고, 실온으로 식힌 후 측정하였다(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퇴적물COD(S-COD)는 과망간산알칼리법으로 하였으며, 산 휘발성 황화물(AVS) 측정은 검지관을 사용하여, 습시료 1g을 취하여 기체 발생관에 넣고 진한 황산 2㎖를 가한 후 검지관을 진공펌프와 연결하여 황화수소가 검지관에 흡수되도록 하였다. 발생한 황화수소의 양과 검지관 눈금으로부터 AVS를 구하였다(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4. 자료분석
여수 백야도 동쪽 앞 어류양식장의 표층수와 저층수의 수질 및 퇴적물의 성상에 관해 측정된 자료로 SPSS 23.0을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을 하였다. 단, 퇴적물의 자료는 저층수에 포함시켰다. 수온, 염분, 알킬리도와 pH는 물리적요인이고, DO, COD, IL, AVS는 유기오염에, 질소와 인, Chl-a는 부영양화와 관련이 있다. 이들 요인간에는 서로 양(+) 또는 부(-)의, 또는 무상관관계가 있다(The Japan Society for Analytical Chemistry, Hokkaido Branch, 1994 : Japan Fisheries Resource Conservation Association,(1990); The Oceanographic Society of Japan, 1985, 1986, 1990). 표층수와 저층수의 수질의 평가에 주성분 분석법을 적용하여 그들의 상태를 결정하는 주요인을 도출하고, 정보량의 크기에 따른 소수개의 새로운 주성분으로 자료를 축소하여 분석, 검토 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환경분석
2013년 표층수의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WT는 6.64~23.87℃(15.71±6.97℃)이었고, Salinity는 30.11~33.10psu(32.30±1.14psu), pH는 7.94~8.18 (8.10±0.09), DO는 5.69~9.59㎎/ℓ(7.53±1.35㎎/ℓ), 표층수COD(SW-COD)는 0.49~8.96㎎/ℓ(2.21±3.34㎎/ℓ), DIN은 0.04~0.30㎎/ℓ(0.13±0.10㎎/ℓ), PO4-P는 0.009~0.636㎎/ℓ(0.140±0.244㎎/ℓ), Si(OH)4-Si는 0.142~0.561㎎/ℓ(0.303±0.162㎎/ℓ), Chl-a는 0.39~6.01㎍/ℓ(1.90±2.09㎍/ℓ), Alkalinity는 51~147㎎/ℓ(98±32.98㎎/ℓ) 이었다([Fig. 2]).
2013년 저층수의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수온(WT)은 6.66~22.97℃(15.40±6.65℃)이었고, Salinity는 30.25~33.27psu(32.47±1.13psu), pH는 7.91~8.19(8.09±0.10), DO는 6.18~8.29㎎/ℓ(7.25±0.85㎎/ℓ), 저층수COD(BW-COD)는 0.208 ~8.848㎎/ℓ( 1.955±3.40㎎/ℓ), DIN은 0.02~0.32㎎/ℓ(0.10±0.11㎎/ℓ), PO4-P는 0.004~0.160㎎/ℓ(0.044±0.060㎎/ℓ), Si(OH)4-Si는 0.131~0.519㎎/ℓ(0.266±0.146㎎/ℓ), Chl-a는 0.65~6.74㎍/ℓ(2.53±2.15㎍/ℓ), Alkalinity는 58~111㎎/ℓ(94±19.97㎎/ℓ), IL는 5.81~5.87%(5.83±0.03%), S-COD는 7.05~15.26(9.50±3.07㎎/g), AVS는 0.005~0.169㎎/g(0.064±0.065㎎/g) 이었다([Fig. 2]).
2014년 표층수의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WT은 7.80~23.55℃(15.98±6.61℃)이었고, Salinity는 31.50~34.07psu(32.78±0.91psu), pH는 8.02~8.25 (8.13±0.09), DO는 6.83~9.47㎎/ℓ(8.01±1.15㎎/ℓ), SW-COD는 0.45~2.02㎎/ℓ(0.96±0.55㎎/ℓ), DIN은 0.03~0.15㎎/ℓ(0.07±0.05㎎/ℓ), PO4-P는 0.004 ~0.191㎎/ℓ(0.062±0.072㎎/ℓ), Si(OH)4-Si는 0.110~0.491㎎/ℓ(0.226±0.140㎎/ℓ), Chl-a는 0.70 ~11.75㎍/ℓ(4.30±4.22㎍/ℓ), Alkalinity는 52~145㎎/ℓ(84±31.53㎎/ℓ) 이었다([Fig. 2]).
2014년 저층수의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온은 7.90~23.58℃(15.84±6.45℃)이었고, Salinity는 31.64~33.93psu(32.85±0.82psu), pH는 8.02~8.24 (8.13±0.09), DO는 6.50~9.55㎎/ℓ(7.91±1.23㎎/ℓ), BW-COD는 0.300~1.300㎎/ℓ (0.735±0.38㎎/ℓ), DIN은 0.02~0.12㎎/ℓ(0.04±0.379㎎/ℓ), PO4-P는 0.004~0.142㎎/ℓ(0.056±0.059㎎/ℓ), Si(OH)4-Si는 0.055~0.501㎎/ℓ(0.217±0.162㎎/ℓ), Chl-a는 0.96~ 4.00㎍/ℓ(1.93±1.13㎍/ℓ), Alkalinity는 46~150㎎/ℓ(83±36.31㎎/ℓ), IL는 5.81~5.87% (5.84±0.03%), S-COD는 6.29~11.49(8.29±1.87㎎/g), AVS는 0.007~0.334㎎/g(0.106±0.123㎎/g) 이었다([Fig. 2]).
일반적으로 표층수, 저층수와 퇴적물의 분석결과는 2년간 월별로 비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2 주성분분석
2013년 표층수의 상관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WT 는 DO(r=-0.759)와 높은 부(-)상관성을, Salinity는 Chl-a(r=-986)와 높은 부상관성을, pH는 Si(OH)4-Si(r=0.596)와 중위의 정(+)상관성을, DO는 WT(r=-0.759)와 높은 부상관성을, SW-COD는 Si(OH)4-Si(r=0.721)와 높은 정상관성을, DIN은 Alkalinity(r=0.877)와 높은 정상관성을, PO4-P는 Si(OH)4-Si(r=-0.515)와 중위의 부상관성을, Si(OH)4-Si는 SW-COD(r=0.721)와 높은 정상관성을, Chl-a는 Salinity(r=-0.986)와 높은 부상관성을, Alkalinity는 DIN(r=0.877)와 높은 정상관성을 나타내었다(<Table 1>).
주성분분석결과, 4개의 주성분이 추출되었으며, 주성분 1부터 4까지의 누적기여율은 92.50%로서 전체 표층수 수질 변동의 93%를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추출된 각 주성분과 변수와의 관계는, 제1 주성분은 Chl-a와 DO가 부(-)의, Salinity와 WT는 양(+)의 인자부하량을 나타내고 있어서 육수유입 또는 강수관련 물리적요인은 정의 상관, 이들과 유기오염 및 부영양 지표요인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제1주성분은 육수유입 및 강수와 관계가 있다. 제2 주성분은 DIN과 Alkalinity가 정의 인자부하량을 나타내어, 부영양 지표와 물리적요인의 상관성으로, 제2 주성분 역시 육수유입 및 강수와 관계가 있다. 제 3 주성분은 pH, SW-COD, Si(OH)4-Si가 정의 인자부하량을 나타내므로 유기오염과 관계가 있다. 제 4 주성분은 PO4-P가 정, WT와 Chl-a도 부의 인자부하량을 나타내므로, 유기물유입으로 인한 부영양과 관계가 있다고 설명할수 있다(<Table 2>와 [Fig. 3]).
2013년 저층수의 상관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WT는 IL(r=0.887)와 높은 정상관성을, Salinity는 Chl-a(r=-0.986)와 높은 부상관성을, pH는 WT(r=-0.499)와 중위의 부상관성을, DO는 Si(OH)4-Si(r=0.817)와 높은 정상관성을, BW-COD는 IL(r=0.584)와 중위의 정상관성을, DIN은 PO4-P(r=-0.945)와 높은 부상관성을, PO4-P는 DIN(r=0.945)와 높은 정상관성을, Si(OH)4-Si는 PO4-P(r=0.945)와 높은 정상관성을, Chl-a는 Salinity(r=-0.986)와 높은 부상관성을, Alkalinity는 Chl-a(r=0.492)와 중위의 정상관성을, IL은 WT(r=0.887)와 높은 정상관성을, S-COD는 PO₄는 -P(r=0.904)와 높은 정상관성을, AVS는 WT(r=-0.702)와 높은 부상관성을 나타내었다(<Table 3>).
주성분분석결과, 4개의 주성분이 추출되었으며, 주성분1부터 4까지의 누적기여율은 92.65%로서 전체 저층수 수질 변동의 93%를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추출된 각 주성분과 변수와의 관계는, 제1주성분은 Si(OH)4-Si와 PO4-P와 S-COD가 정의 인자부하량을 나타내고, WT는 부의 인자 부하량을 나타내어 육수유입 및 강수와 관계가 있다. 제2주성분은 Salinity가 정의 인자부하량을 나타내고, Chl-a는 부의 인자부하량을 나타내므로 육수유입 및 강수와 관계가 있다. 제3주성분은 AVS가 부의 인자부하량을 나타내고, WT는 정의 인자부하량을 나타내어 수온과 관계가 있다. 제4주성분은 BW-COD, Alkalinity와 pH가 정의, Salinity가 부의 인자부하량을 나타내므로, 육수유입 및 강수와 관계가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Table 4>와 [Fig. 4]).
2014년 표층수의 상관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WT는 DO(r=-0.955)와 높은 부상관성을, Salinity는 SW-COD(r=0.840)와 높은 정상관성을, pH는 DO(r=0.918)와 높은 정상관성을, DO는 WT(r=-0.955)와 높은 부상관성을, W-COD는 PO4-P(r=0.891)와 높은 정상관성을, DIN는 Chl-a(r=-0.407)와 중위의 부상관성을, PO4-P는 SW-COD(r=0.891)와 높은 정상관성을, Si(OH)4-Si는 Alkalinity(r=0.807)와 높은 정상관성을, Chl-a는 PO4-P(r=-0.680)와 높은 부상관성을, Alkalinity는 Si(OH)4-Si(r=0.807)와 높은 정상관성을 나타내었다(<Table 5>).
주성분분석결과, 3개의 주성분이 추출되었으며, 주성분 1부터 3까지의 누적기여율은 86.74%로서 전체 표층수 수질 변동의 87%를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6>) 추출된 각 주성분과 변수와의 관계는. 제1주성분은 WT가 부의 인자부하량을 나타내고, pH와 DO는 정의 인자부하량을 나타내므로, 수온과 관계가 있다. 제2주성분은 Chl-a가 부의 인자부하량을 나타내고, PO4-P가 정의 인자부하량을 나타내고 SW-COD도 정이므로, 부영양과 깊은 관계가 있다. 제3주성분은 Si(OH)4-Si와 Alkalinity는 정의 인자부하량을 나타내므로, 육수유입 및 강수와 관계가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Table 6>와 [Fig. 5]).
2014년 저층수의 상관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WT는 DO(r=-0.979)와 높은 부상관성을, Salinity는 BW-COD((r=0.735)와 높은 정상관성을, pH는 WT(r=-0.920)와 높은 부상관성을, DO는 WT(r=-0.979)와 높은 부상관성을, BW-COD는 Salinity(r=0.735)와 높은 정상관성을, DIN는 Alkalinity(r=0.846)와 높은 정상관성을, PO4-P는 IL(r=-0.755)와 높은 부상관성을, Si(OH)4-Si는 DIN(r=0.946)와 높은 정상관성을, Chl-a는 AVS(r=0.928)와 높은 정상관성을, Alkalinity는 DIN(r=0.846)와 높은 정상관성을, IL은 WT(r=0.886)와 높은 정상관성을, S-COD(r=0.886)와 높은 정상관성을, S-COD는 DO(r=0.658)와 높은 정상관성을, AVS는 Chl-a(r=0.928)와 높은 정상관성을 나타내었다(<Table 7>).
주성분분석결과, 3개의 주성분이 추출되었으며, 주성분 1부터 3까지의 누적기여율은 93.35%로서 전체 수질 변동의 93%를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8>). 추출된 각 주성분과 변수와의 관계를 보면, 제1주성분은 WT와 IL이 부의 인자부하량을 나타내고, pH와 DO가 정의 인자부하량을 나타내므로 수온과 관계가 있다. 제2주성분은 DIN과 Si(OH)4-Si이 정의 인자부하량을 나타내어 육수유입 및 강수와 관련이 있다. 제3주성분은 Chl-a, AVS, BW-COD와 Salinity가 정의 인자부하량을 나타내므로, 부영양과 깊은 관계가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Table 8>와 [Fig. 6]). 표층수와 저층수의 수질을 주성분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추출된 14개의 주성분 중에서 정보량의 크기에 관계없이 육수유입 및 강수관련이 7개 주성분, 수온관련과 부영양관련이 각각 3개, 유기물관련이 1개 주성분으로 나타나, 이 지역은 주로 육수의 유입과 강수의 영향이 큰 곳이며 아직까지는 부영양화와 유기오염의 영향이 미미하다고 할 수 있다.
연안의 환경은 해수와 퇴적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유동과 혼합, 함유 화학성분의 기원, 농도, 분포 및 순환, 연안으로의 물질공급과정 및 서식하는 해양생물, 그리고 이들 요소들의 물리, 화학, 지질, 기후 및 생물적 작용과 그 상호작용 등 시공간적으로 매우 복잡하다. 이러한 복잡계내에서 가두리양식장에서는 적정수용력의 한계 내에서 양식생물의 상품성과 성장잠재능력을 최대한 끌어올려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경영목표의 하나일 것이다. 양식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양식 집중지역에서는 오염물질이 확산될 수도 있고, 오랜 기간에 걸쳐 누적되는 영향, 특히 저질에 대한 영향이 심각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경영자들은 자체적으로 양식장환경평가 프로그램을 통하여 양식장의 오염부하여부를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
이번 조사지역은 지리적 특성과 해수 유동상태로 봐서도 오염이 되기 쉽지 않은 곳이지만, 원래 공공재자원인 연안수역에서 양식 산업의 하부요소인 양식어업을 영위하는 것이므로 건강한 양식 환경을 제공할 의무가 있다. 따라서, 환경작용과 환경형성 작용의 양면에서 위험요소가 있을 때에는 과학적 불확실성이 존재할지도 사전예방원칙에 의존하여 미리 대비해야 할 것이다.
가막만 일원의 지정해역은 1987년 수출용 패류생산지역으로 지정되었고, 2000년부터 환경보전해역으로 지정되었으며, 2012년에는 한미패류위생협정이 체결되었다. 정부에서는 환경관리해역(환경보전해역과 특별관리해역)에 대한 ‘제 2차 해역별관리계획(2014~2018)’을 2014년에 발표하여, 해역별 수질, 저질, 생태계의 조사·분석과 이행평가를 강화하였다. 그러나, 가막만에 대한 연구는 최근들어 미미한 상태이다(Kim et al. 2004:).
물론 장기적인 조사연구가 필요하겠지만, 단기적인 조사연구의 축적도 필요하다.
앞으로, 이번 조사지역을 포함하여 여수연안의 환경을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양식생물과 해역의 최대 잠재생산성을 예측하고 지속가능성 어장으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Ⅳ. 결 론
여수 백야도 앞바다 어류양식장의 2013~2014년의 환경특성은 월별로 유사한 경향이 없었고, 주성분분석법으로 해석한 결과, 2013년 표층수와 저층수의 수질은 각각 4개의 주성분으로 각각의 수질의 93%를, 2014년의 표층수와 저층수의 수질은 각각 3개의 주성분으로 87%와 93%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의 표층수의 경우, 제1, 2주성분은 육수유입 및 강수, 제3과 4주성분 각각 유기물과 부영양, 저층수는 제1, 2, 4 주성분이 육수유입 및 강수, 제3 주성분이 수온으로 모두 물리적요인이었다. 2014년의 표층수의 제 1, 2, 3, 주성분은 각각 수온, 부영양, 육수유입 및 강수, 저층수의 제 1, 2, 3 주성분은 수온, 육수유입 및 강수와 부영양과의 관련성을 보였다. 즉, 이 지역은 육수의 유입과 강수의 영향이 커서 아직까지는 부영양화와 유기오염의 영향이 미미하다.
또한, 이 해역은 조류가 백야도와 화양면 힛도사이로 진입하면서 유속이 빨라지는 양상을 보이며 가막만에서 여수시 방향과 장수만 방향으로 나뉘어 왕복한다. 그래서인지 아직까지는 그다지 오염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보이고, 해역등급도 1등급으로 보였다(Press Release 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6. 02. 18). 각 물리적 요인들과 물질들의 기원, 변동과 대사 등 그 거동상황의 상호작용, 즉 지각-해양-대기의 공장에서의 생지화학적순환(Libes, 2009)이 유수와 같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연안생태계를 포함하는 생태계는 비정상적이만, 연안생태계의 보전과 관리차원에서 생태리스크에 대처하고 그 리스크의 관리에는 만능은 아니지만 적응적관리(adaptive management)방식에 주민참여((Matsuda, 2014). 즉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해야 할 것이다 연안역을 생태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이용과 경영(Environmentally sound Sustainable Use and Management, ESSUM), 즉 현명한 이용과 경영(Wise use and management)을 해야만 한다.
References
- Cho, Chang-Hwan, and Park, Kyung-Yang, (1982), Eutrophication of shellfish farms in Deukryang and Gamagyang bay, Bull. Korea Fish. Soc, 15(3), p233-240.
- Cho, Eun-Seob, (2009), Compared of temporal and spatial sea water quality in the southern coasts of Kore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8(2), p141-151. [https://doi.org/10.5322/jes.2009.18.2.141]
- Cho, Hyeon-Seo, Yu, Young-Seok, and Lee, Kyu-Hyong, (1994), Characteristics of seasonal fluctuation of water quality and sediment environment in Kamak bay, Bull. Mar. Sci. Inst., Yosu. Nat’l Fish. Univ, 3, p21-33.
- Cho, Hyeon-Seo, and Choe, Kyu-Jung, (1995), Season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round aquaculture area in Hwatae island, Bull. Mar. Sci. Inst., Yosu. Nat’l Fish. Univ, 4, p17-30.
- Cho, Hyeon-Seo, (2006), Water-quality and sediment environment, p52-75, In Lee, Yeon-Gyu, Jong-Kyu Kim, et al , Gamak Bay(Natural environment and industry). Gooduk.
- Choi, Sang-Duk, Kim, Sung-Youn, Yang, Moon-Ho, Park, Jong-Soo, Rah, Sung-Ju, Woo, Chan-Yeoul, Kim, Doo-Yong, and Jung, Dae-Sin, (1999), Mass mortality of oyster, Crassostrea gigas in Kamak Bay(I), J. of Res. Ind., Yosu Univ, 8, p259-266.
- Choi, Sang-Duk, KIm, Yang-Seop, Woo, Chan-Yeoul, Lee, Yong-Han, Cho, Ju-Hyun, Kim, Doo-Yong, and Choe, Kyu-Jung, (2000), Growth and survival rate of ark shells, Scapharca broughtonii cultured on hanging and bottom in Kamark bay, Bull. fish. Sci. Inst., Yeosu Nat`l Univ, 9, p122-127.
- Ishimura, Sadao, and Ryu, Shin, (2009), Environmental statistics by multivariate analysis, Kyoritsu Publishing Co, p248.
- Japan Fisheries Resource Conservation Association(ed.), (1980), Manual of water pollution research, New edition, Koseisha Koseikaku, p552.
- Jo, Min-ki, Chae, Gi-Tak, Koh, Dong-Chan, Yu, Yong-jae, and Choi, Byoung-Young, (2009), A Comparison Study of Alkalinity and Total Carbon Measurements in CO2-rich Water, J. Soil & Groundwater Env, 14(3), p1-13.
- Kang, Byeong-Seo, (1990), Multivariate statistics, Beobmunsa, p573.
- Kang, Chang-Keun, Lee, Pil-Yong, Park, Joo-Suck, and Kim, Pyoung-Joong, (1993), On the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nearshore surface sediment of Korea, Bull. Korea Fish. Soc, 26(6), p557-566.
- Kim, Do-Hoon, Park, Jin-Hyung, and Shin, Jong-Ahm, (2004), A preliminary study on growth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Zostera marina(Zosteraceae) in Gamak Bay, Yeosu. Algae, 19(1), p49-57.
- Kim, Jong-Gu, (1998),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n the Keum river estuary by multivariate analysis, J. Korean Env. Sci. Soc, 7(5), p591-598.
- Kim, Jong-Gu, (2006), The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n coastal sea of Incheon using a multivariate analysis, J. Environmental Sciences, 15(11), p1017-1025. [https://doi.org/10.5322/jes.2006.15.11.1017]
- Lee, Byung-Don, Kang, Hyung-Ku, and Kang, Yong-Joo, (1991), Primary production in the oyster farming bay, Bull. Korea Fish. Soc, 24(1), p39-51.
- Lee, Dae-In, and Cho, Hyeon-Seo, (2002),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loads in Kamak bay watershed, J. Environmental Sciences, 11(9), p945-954.
- Lee, Gyu-Hyong, (1992), The pattern of sea water circulation on Kamak bay, Bull. Korean Fish. Tech. Soc, 28(2), p117-131.
- Lee, Hung-Jae, Lee, Hyung-Jin, Han, Jin-Suk, and Kwon, Sook-Pyo, (1991), Evaluation of Incheon coastal area water quality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J. Korean Water Pollut. Res, 7(1), p9-19.
- Lee, Kyu-Hyong, and Cho, Kyu-Dae, (1990), Distributions of the temperature and salinity in Kamak bay, Bull. Korea Fish. Soc, 23(1), p25-39.
- Lee, Kyu-Hyong, and Choe, Kyu-Jung, (1985), Distribution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transparency in Kamak bay on June, Bull. Korean Fish. Soc, 18(2), p157-165.
- Lee, Moon-Ock, Kim, Byeong-Kuk, Park, Sung-Jin, and Kim, Jong-Kyu, (2005), Som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Gamak bay observed in October and November of year 2004,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8(4), p165-173.
- Lee, Moon-Ock, (2006), Changes of ocean environment by reclamation, dredge and other ocean development-cause, p222-247, In Lee, Yeon Gyu, Jong Kyu Kim, et al , Gamak bay(Natural environment and industry). Gooduk.
- Lee, Mu-Kang, Lee, Jeung-Wook, and Choi, Young-Kwang, (1996), Water quality evaluation on the bottom water of Masan bay by multivariate analysis J. the Korean Env. Sci, 5(1), p15-23.
- Lee, Yeon-Gyu, Hwang, Jin-Yeon, and Jung, Kyu-Kui, (1995), Surface sediment characteristics and clay minerals in Kamag bay,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6(6), p477-488.
- Lee, Yeon-Gyu, Kim, Jong-Kyu, et al , (2006), Gamak Bay(Natural environment and industry), Gooduk, 247.
- Libes, Susan B., (2009), Introduction to marine iogeochemistry, 2nd ed, Elsevier, p928.
- Matsuda, Hiroyuki, (2014), Marine conservation ecology, Univ. of Tokyo Press, p224.
-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Processes of the Korean Standard Methods for Marine Environment, p549.
- Noh, Il-Hyeon, Yoon, Yang-Ho, Kim, Dae-Il, and Park, Jong-Sick, (2006),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on the surface sediment and tis origin in Gamak bay,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9(1), p1-13.
- SCOR-Unesco Working Group, (1966), Determination of photosynthetic pigments, unesco Monogr. Oceanogr. Methodol, 1, p9-18.
- Shin, Sung-Kyo, Park, Chung-Kil, and Song, Kyo-Ook, (1998), Evaluation of water quality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J of Korean Env. Sci. Soc, 7(2), p17-176.
- Strickland, Jon D. H., & Parsons, Timothy R., (1972), A practical handbook of seawater analysis, 2nd ed, Fisheries Research Board of Canada, p310.
- The Japan Society for Analytical Chemistry. Hokkaido Branch (ed.), (1994), Water analysis, 4th ed, Kagaku Dojin, p493.
- The Oceanographic Society of Japan (ed.), (1995), Handbook of sea environmental methods, Revised ed, Keseisha keseikaku, p666.
- Yeosu Regional Maritime Affairs & Fisheries Office, (2005), Aqua-farm Environmental Research Annual Report in Yeosu Area, 2000~2004, 1, p461.
- Yoon, Yang-Ho, (1992), A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phytoplankton growth I nthe coastal water of Yosu by multivariate analysis(MVA), J. KSWPRC, 8(3), p141-149.
- Yoon, Yang-Ho, (1995), Seasonal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red tide organisms in the northern Kamak bay, southern Korea, Bull. Mar. Sci. Inst., Yosu Nat`l Univ, 4, p1-15.
- Yoon, Yang-Ho, (1998), The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southern Kamak bay, Korean south sea, Bull. Fish. Sci. Inst., Yosu Nat`l Univ, 7, p129-144.
- Yoon, Yang-Ho, (2006), The present state of red-tide occurrence and dynamics of red-tide organisms, p208-221, In Lee, Yeon Gyu, Kim, Jong Kyu, et al , Gamak Bay(Natural environment and industry). Good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