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0, No. 3, pp.1144-1155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8
Received 26 Apr 2018 Revised 31 May 2018 Accepted 05 Jun 2018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18.06.30.3.1144

부모양육행동과 부모유형개선을 위한 부부상담과 부모교육병행 미술치료프로그램 사례연구

정창숙
한국국제대학교
Case Study on Running Parallel with Couple Counselling and Parental Education through Art Therapy for Parental Rearing Behaviors and Parental Types Improvement
Chang-Suk JUNG
International University of Korea

Correspondence to: 055-751-7925, ckdtnr2358@naver.co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couple counselling and parental education through Art Therapy on parental types and rearing behavior change. The subjects are a husband and a wife, who show problems in rearing their child in the Parent Type Scale Test and have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 and themselves. The measurement tools in this study were Parent Type Scale and Rearing Behavior Scale. With pretest and posttest, the change of parent types and parental rearing behaviors was researched.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se steps revealed the change of the couple from the controlling and neglecting type to the benevolent and strict type resulting in positive chang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parent type and parental rearing behaviors of 1 couple brought about positive change. Therefore, running parallel with couple counselling and parental education through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parental rearing behaviors and parent type.

Keywords:

Art therapy, Couple counselling, Parental education

Ⅰ. 서론

아동사회면 뉴스에서 종종 아동학대나 방임, 유기 더 나아가 살인 등 부모가 힘없고 약한 영·유·아동에 대한 파렴치한 행태들이 나타나고 있는 건강하지 못한 가정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가정은 아이가 태어나고 성장하면서 사회적 관계를 맺는 첫 대상자가 부모이고, 아이가 성장하면서 가정에서 부모의 역할이나 부모의 양육에 의해 아동은 행동양식을 배우고 나아가 형제, 친구 등 주변 환경으로 부터 사회적 관계를 맺음으로서 복잡하고 다양한 아동의 기질적 다양성 또한 영향을 받는다(Kim, 2007). 아동이 사회의 일원으로 역할을 배우고 성장해 나가는 곳이 가정이며, 가장 영향력 있는 것이 가족이다(Lee, 2016). 하지만 오늘날 가정의 형태는 많은 변화를 나타내고 그에 따른 문제들 또한 종종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모의 경제활동으로 인한 아이양육에 대한 문제가 그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아이를 양육하는데 드는 비용의 상승으로 부모는 부담을 느끼며 그로 인해 가정에서의 가족역할도 점차 바뀌어 가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양육은 부모의 고유영역이며 어느 기간 동안 일시적으로 타 양육자에게 맡겨지면 부모는 어느 기간 동안의 양육을 회피하는 경우도 없지 않아 있다. 이런 경우 부모는 아이의 양육이나 문제로 인한 부담감을 느끼게 되고, 어려운 상황과 무력감, 좌절, 또는 체벌이나 통제 등의 방법을 선택하기도 한다(KimㆍLeeㆍKimㆍKim, & Park, 2005). 그로 인해 아이와 부모들의 소통의 시간이 감소하게 되고, 아이는 또 다른 문제를 추가적으로 유발하게 된다. 아이의 문제행동, 발달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또래와의 소통에도 문제가 나타나게 된다.

유·아동기에 일어나는 문제행동에 대해 보통은 아이의 문제를 중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중재를 하고, 그 다음 부모 상담이나 교육을 하는 순서가 일반적이다.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하는 사회·정서지원서비스 또한 유사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아동에게 우선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기질적인 부분까지 포함시키기도 한다. 아이를 유기하고 죽인 부모의 경우, 살인의 동기는 한결같다. ‘아이가 말을 안 들어서’, ‘힘들어서’, 이런 형태의 답변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아이들은 부모의 보호를 받고, 교육과 사회를 배울 수 있는 인격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당연시 되어야 할 인격이나 보호의 대상이 아니라, 말 안 듣고, 부모가 힘들다는 이유로 짓밟히고 있다. 부모와 자식 간의 쌍방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가정에서 사랑을 받고 행복한 생활을 하는 아동들이 물론 더 많지만 그렇지 못한 아이들을 위한 대책으로 교육부에서 취학전 아동 전수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월 새학기 시작 전에 미취학아동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실태점검을 벌인 것은 ‘경기도 부천 원영이 사건’ 발생 후 장기결석아동에 대한 조사였다. 이런 사건에 앞서 좋은 부모로서 인격이나 행동 등으로 건강한 가족이 구성되어야 하고, 가족구성원이 행복한 삶을 추구하기 위해선 부모인 양육자가 자식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고 양육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특히 심신이 건강한 부모, 부모가 갖추어야 할 덕목을 갖춘 부모, 양육에 대한 정보를 교육받은 부모 등 자질을 갖추는 것 또한 시급한 문제이다.

부모가 아이를 양육하는 데 있어서 여러 변인들이 있지만, 양육에 대한 반응 중 가정에서 아동에게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적 변인으로 양육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 부모유형 등의 변인들을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행동과 부모유형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아동이 태어나면서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직접적 환경은 부모가 환경적 요인 중의 하나이다. 아동은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정서적, 사회적 발달을 하게 되고, 적응행동을 학습하게 되므로 부모의 양육행동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Park, 2012). 부모의 양육행동은 아동의 기질과 아동의 문제행동 간에 활동성을 매개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아동이 문제특성을 가지고 있더라도 부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Kim, 2008). 부모유형은 세대를 전수하면서 획득되는 유형으로 부모자신도 자신의 부모유형에 대해서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며, 부모교육을 통해서 부적절한 형태의 부모유형의 변화를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가정환경에서 부모유형에 따라 자녀의 특성에서 자애롭기만 한 부모의 경우는 책임회피, 자신감 부족, 유아적 특성을 보이고, 엄격하기만 한 부모유형의 경우는 긴장과 불안을 동반하며, 부정적 자아와 자기비하가 많은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부모유형이 아동의 행동과 정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Baek & Choi, 1997).

따라서 (Park, 2012; Kim, 2008; Baek & Choi, 1997)의 선행연구에서부모의 양육행동과 부모유형에 따른 자녀의 정서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행동과 부모유형이 아동의 행동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변인으로, 아동의 좌절과 충족의 경험을 주로 통제하고 아동의 행동표현을 강화하거나 처벌하며, 아동행동의 모델이 되기도 한다. 적절하지 않은 방법을 통해 아동을 양육하게 되면 아동 또한 학습과 모델링을 통해 문제행동을 유발하게 되고, 부모는 아동에게 다시 부적절한 방법으로 처벌이나 강화를 하게 되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 특히 통제와 지적을 통해 아동에게 부적절한 양육(Park & Koo, 2004)과 신체적 처벌 및 심리적 통제(Kim & Doo, 2001) 및 방임과 허용적 양육행동(YunㆍKang, & Lee, 2005)등을 들 수 있다. Han, S. L.(2007)는 부모가 수용적이고 민주적인 양육을 할수록 아동의 행동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그러므로 부모유형은 물론이고 부정적인 양육방식의 개선이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부모양육행동과 부모유형은 아동의 행동과 정서에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으로서 이전 연구에서는 부모교육 및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어머니들만 참여를 하는 프로그램(Lee, 2001)이 주를 이루고 있다. 물론 아동기에는 어머니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아버지의 역할 또한 아동들이 성장하고 발달단계에 따라 필요함으로써 부모의 균형적인 역할 분담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부 상담과 부모교육을 실시하여 부모의 양육행동과 부모유형의 변화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살펴보기로 하겠다. 특히 미술매체를 활용한 무의식과 상징을 표현하고 서로를 이해함으로써 서로의 감정이나 생각을 방어 없이 탐색할 수 있는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부부상담 미술치료 선행연구로는 Lee, Y. O. & Choi, Y. S.(2009)은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와 미술활동을 이용한 부모 상담이 아동의 ADHD 증후를 완화하거나 예방하는데 긍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고 아동의 문제행동을 완화하기 위한 중재에서 부모 상담을 병행하였다. Lee, Y. Y. & Shin, J. H.(2016)의 연구에서는 불안아동의 애착증진과 불안완화를 위해 부부 상담을 병행한 미술치료를 실시하였으며, 부적절한 부모의 양육행동을 개선하고, 부모자녀관계를 원만하게 형성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Jin, L. J. & Lee, M. O.(2011)의 연구에서는 부모교육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에서 부모의 양육행동 전체와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전체와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Yang, W. Y. & Won, H. R(2012)Lee, S. K(2007)의 부모교육을 병행한 미술치료에서도 부모의 양육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부부상담과 부모교육을 통해서 자녀와의 소통이 가능하게 되고 대화법, 칭찬, 격려하기 등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양육자인 부모를 대상으로 부부 상담과 부모교육을 병행한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부모의 양육행동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행동에 대한 이해와 부부 상담을 병행하여 부부의 심리적 안정을 통해 부모 양육행동과 부모유형개선의 긍정적 변화와 자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에 실용적 효율성이 크다고 하겠다.


Ⅱ. 연구 방법 및 내용

1. 연구 방법

가.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문제행동자녀를 둔 부모로 잦은 부부싸움과 심리적 불편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부모양육행동 및 부모유형의 특징에서도 부적절 행동으로 인해 자녀의 양육에 문제양상을 나타내고 있는 부부이다. 연구대상 부부의 행동 및 특성은 부부와 외동아들을 둔 가족이며, 부부는 맞벌이를 하면서 양육하고 있었다. 남편의 양육형태는 통제적이고 아내의 경우는 과잉 보호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연구대상의 특성은 <Table 1>과 같다.

The Characteristics of Target Couple

나. 연구 도구

① 부모 양육행동

부모양육행동은 Km, M. J.(2008)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Park, Y. E.(1995)의 어머니 양육행동 모형을 온정/수용(40문항), 거부/제재(28문항), 허용/방임(12문항) 등 총 80문항을 Km, M. J.(2008)이 30문항으로 구성하여 만든 부모양육척도에서 부모용의 문항 중 (온정/수용, 거부/제재)문항으로 13문항을 사용하였으며, 요인별 하위항목은 온정/수용 7개 문항, 거부/제재 6개 문항으로 요인별 평균 신뢰도는 Cronbach's a는 .78이다.

② 부모유형

parker 외(1979)가 고안하였으며, Song, J. Y.(1992)이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것을 Baek, Y. H. & Choi, Y. S.(1997)가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도구로서 부모유형 척도를 사용하였다. 부모유형에는 엄격한 부모(애정24이하, 통제26이상), 과잉보호부모(애정24이상, 통제26이상), 방임부모(통제26이하애정24이하), 엄격하면서 자애로운 부모(통제26이하,애정24이상)로 구성되어 있다. 이 척도의 신뢰도 Cronbach's a는 .72이다. 부부가 사전과 사후에 질문지를 작성하여 척도변화를 살펴보았다.

③ 부부상담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Kim(2008)의 아동발달단계에 따른 아동의 이해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부부상담은 만다라문양을 사용하여 부부같이 참여하여 서로의 만다라에 표현된 자기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였다. 부부가 서로의 마음을 탐색하고 이해하면서 상대방의 심리상태나 정서적 변화에 대해 좀 더 면밀히 살펴보았다. 부부상담은 가정에서 서로의 역할이나 양육에 대해서 의논하고 바람직한 부부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10회기(1회기~10회기)로 진행하였으며, 부모교육은 6회기(11회기~16회기)에 걸쳐 아동의 발달단계를 탐색하며, 양육행동에 기술적인 방법을 부부가 역할 활동을 통해 양육기술인 칭찬, 격려, 비판, 제한 모델링 등을 통해 학습하고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양육자로서의 입장과 양육을 받는 입장에서의 간접체험으로 자녀의 입장과 생각, 사고 등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지게 함으로써 부모역할의 중요성과 방법적인 부분을 습득함으로써 부모역할을 적절하게 제공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만다라 문양과 미술매체를 사용하여 작업을 병행하면서 진행하였다. 부부상담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Appendix 1>과 같다.

다. 연구 설계 및 절차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부부상담과 부모교육 병행 미술치료가 종속변인인 부모유형과 부모양육행동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설계를 실시하였다. 부부의 개인내적 심리와 이해를 서로의 이해를 돕기 위해 부부상담을 먼저 진행 하였다. 부모교육은 미술매체를 활용함과 동시에 자녀의 발달교육과 이해를 돕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미술매체를 활용하여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바람직하지 못한 양육행동을 부모교육을 통해 수정 보완해서 가정에 적절한 적용을 할 수 있도록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8년 01월 05일부터 2018년 03월 20일까지이다. 총 실험은 중재 16회기로 주 1∼2회로 진행하였다. 부부상담 10회기와 부모교육 6회기로 구성하였다. 매 회기 소요시간은 70분(도입: 10분, 전개: 50분, 마무리: 10분)이었으며, 연구자인 미술치료전문가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라. 자료수집 및 자료처리

사전·사후검사 및 면담을 통한 자료 수집은 부모유형변화와 부모양육행동의 변화를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째, 부모유형에서는 남편의 부모유형과 아내의 부모유형의 척도검사에 나타난 사전·사후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둘째, 부모양육행동척도의 항목에 따라 사전사후 변화되는 추이를 통해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셋째, 부부면담을 통해 사전·사후 부모의 양육행동에 대한 반구조화 면담을 사전·사후실시 하였고 부부의 변화되는 양상을 자료수집 및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Ⅲ. 연구 결과

1. 부부의 양육행동 변화

본 연구에서는 부부상담과 부모교육 병행을 통한 미술치료가 부모유형과 부모양육행동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부모양육행동 척도를 하위영역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양육행동 사전·사후 변화를 <Table 2>에 제시하였으며, 시각적 분석을 위한 그래프는 [Fig. 1]에 제시하였다.

parents' nurture behavior change

[Fig. 1]

parents' nurture behavior

가. 남편의 양육행동 변화

부모양육행동 사전 검사에서 남편의 양육행동은 온정/수용에서는 낮은 점수 5점을, 거부/제재에서는 높은 점수인 23점을 나타냈다. 남편의 양육행동으로 자녀의 불안 수준이 높고, 문제행동, 등교거부나 분리불안, 신체화 증상 등의 여러 문제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사후검사에서는 다소 문제시 되는, 또는 부부싸움의 원인이 되는 남편이 윽박지르고, 안된다고 하는 형태의 행동들이 자녀의 이야기를 먼저 들어보고, 상황을 파악하는 형태로 바뀌기도 하였다. 변화된 점수를 살펴보면, 온정/수용 점수가 5점에서 15점으로 향상을 보였고, 10점이 상승하는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거부/제재에서 사전에는 점수가 25점으로 높아 자녀를 양육하는데 불합리한 양육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사후에는 거부/제재에서는 어느 정도 허용함으로써 16점으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나. 아내의 양육행동 변화

아내의 경우는 사전에서는 허용/방임에서 점수는 25점을 나타내었고, 거부/제재에서는 5점의 점수를 나타내었다. 아내의 양육행동의 특징으로는 허용/방임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거부/제재가 낮은 수준으로 나타난 것이 아내의 양육행동이었다. 사후에는 허용/방임에서는 1점 정도의 변화로 허용범위는 비슷하면서도 거부/제재에서 5점에서 점수가 13점으로 상승하였으며, 허용과 거부의 적절한 양육행동을 하는 양상으로 변화하였다고 볼 수 있다.

2. 부부의 부모유형 변화

연구 참여 부부의 부모유형척도 사전검사에서 남편은 엄격하기만 한 애정 없이 통제만 하는 관계 부모유형으로 자율/통제항목은 29 점이며, 거부/애정항목은 22점으로 애정 보다는 거부에 가까운 형태의 부모유형을 나타냈다. 남편은 <Table 3>에서 나타나듯이 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서 자율항목과 애정항목에서 점수가 낮았으며, 자녀와의 상호소통이나 정서적 유대를 할 수 없는 유형으로서 엄격한 부모로 군림하고 있었다. 아내의 경우 애정과 통제가 집중된 관계 부모유형으로 하위항목인 자율적 측면은 허용하지 않고, 통제하고 지적하는 등의 자녀에 대한 믿음이 없으며, 자녀를 통제만 하려고 하는 유형으로 과잉보호 부모유형의 애정이 집중된 형태로 나타났다. 아내의 경우 자율/통제항목은 28점으로 자율에 비해 통제가 많았으며, 거부/애정항목은 28점으로 애정이 더 집중된 점수에 해당된다. 아내의 경우 애정이 집중된 과잉보호 부모유형으로 최근부모의 유형으로 많이 나타나고 있다. 사후점수는 부모유형의 긍정적 방향성을 제시해주고 있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유형척도 사전·사후 변화를 <Table 3>에 제시하였으며, 시각적 분석을 위한 그래프는 [Fig. 2]와 같다.

Parents' type change

[Fig. 2]

Parents' type change

가. 남편의 부모유형 변화

연구 참여 부부의 부모유형척도 사전검사에서 남편은 엄격하기만 한 애정 없이 통제만 하는 관계 부모유형으로 자율/통제항목은 29 점이며, 거부/애정항목은 22점으로 애정 보다는 거부에 가까운 형태의 부모유형을 나타냈다. 남편은 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서 자율항목과 애정항목에서 점수가 낮았으며, 자녀와의 상호소통이나 정서적 유대를 할 수 없는 유형으로서 엄격한 부모유형으로 나타났다. 사후 점수에서는 자율/통제항목에서 통제는 29점에서 26점으로 줄어들면서 거부/애정에서는 애정의 점수가 많아지면서 부모유형의 긍정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나. 아내의 부모유형 변화

아내의 경우 사전에는 애정과 통제가 집중된 관계인 과잉보로 부모유형으로 하위항목인 자율적 측면은 허용하지 않고, 통제하고 지적하는 등의 자녀에 대한 믿음이 없으며, 애정이 집중된 형태로 나타났다. 아내의 경우 자율/통제항목은 28점으로 자율에 비해 통제가 많았으며, 거부/애정항목은 28점으로 애정이 더 집중된 점수에 해당된다. 아내의 경우 애정이 집중된 과잉보호 부모유형으로 최근부모의 유형으로 많이 나타나고 있다. 사후점수는 부모유형의 긍정적 방향성을 제시해주고 있는데 엄격하면서도 자애로운 부모유형 양상의 방향성을 제시해 주었으며, 사후 변화되는 부모유형으로는 적절한 부모유형인 자애로우면서도 엄격한 부모유형으로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었다.

3. 부부면담을 통한 사전·사후 변화

일상생활에서 부부면담을 통해 부부가 서로 변화되는 모습을 알 수 있었다. 부부의 변화된 행동으로 자녀의 행동이 달라진 것에 대한 이야기도 나누었다. 남편의 경우 사전에는 자녀의 부적절한 행동을 보면 큰소리가 나고, 자녀를 윽박지르는 행동을 계속했을 것인데 사후에는 조금 천천히 지켜보는 시간을 가지게 됨으로써 아주 극한 상황으로 가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사전에는 아내의 경우 자녀의 요구를 거절 못했고, 아내가 자녀에게 필요한 것을 요구하는 상황에서는 항상 철회가 일어날 수밖에 없었다. 사후에는 자녀도 부모의 말을 경청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대화를 하다가 항상 싸움으로 이어지는 상황이 너무 싫어서 아예 말을 안했는데. 미술치료를 접하고 나서 서로의 마음을 알아볼 수 있었으며, 남편도 자기마음을 모르고 나도 모르니까 항상 싸움만 했고, 또 부모가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몰랐어요. 지금은 가벼워지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좀 알 것 같아요’-아내

Parents' nurture behavior change through parents interview change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미술치료를 통한 부부 상담과 부모교육 병행이 부모양육행동과 부모유형에 긍정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논의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부부 1쌍으로 양육에 문제를 나타내며 자녀와의 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부이다. 자녀와의 관계에 어려움과 부모로서 해야 할 역할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잘못된 양육행동과 적절하지 못한 부모유형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부에게 만다라를 이용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부부 상담과 부모교육을 병행하여 실시한 결과 부모양육행동과 부모유형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부가 양육자로서 아동발달을 이해하고 인지해야 할 정보에 대해서 양육자의 모델링, 칭찬, 격려, 제한설정에 대한 교육과 실습을 통해서 부모양육행동을 이해하고 실제에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부부 상담을 통해 부부 상호간에 심리내적 갈등과 서로를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개인내적 문제를 서로가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공통된 양육태도를 확보하고 자녀에게 제공함으로써 가족 간 갈등도 해소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자인 부부 1쌍을 만다라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부부 상담과 부모교육을 병행하여 실시할 경우, 각각의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보다 중재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술치료를 통한 부부 상담과 부모교육을 병행하여 부부의 부모양육행동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으로, 부부 개인별 차이는 있지만 부부 모두 부모양육행동(온정/수용, 거부/제재)에서 허용과 제재에 대한 정도에서 긍정적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상담을 통해 부모로서의 역할과 건강한 가족기능에 대한 이해를 돕고, 부모교육을 통해 자녀의 발달을 미술매체를 작업을 통해 스스로 부모역할에 대한 이해와 올바른 부모양육행동 방식을 습득하고, 자녀에게 적절한 양육환경을 제공하는데 부부가 가족의 정서를 들여다 볼 수 있었으며 가족체계의 왜곡된 상을 바라볼 수 있었다. 부모의 올바르지 못한 부모역할은 지나치게 통제와 지적을 하게 되면 선행연구(Park & Koo, 2004)에서 살펴보았듯이 문제행동을 유발하게 되는 시발점이 될 수도 있다. 지나친 허용과 방임적 태도(YunㆍKang & Lee, 2005) 또한 자녀의 올바른 교육에 있어서 맹점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부모의 일관성 없는 양육태도는 이중매세지로 인해 자녀는 혼란스럽고 행동에도 문제점으로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ark & Koo, 2004; YunㆍKang & Lee, 2005)의 연구와 일치하고 부부 상담과 부모교육을 병행함으로써 가족의 기능을 회복하고 가족 구성원의 서로간의 이해와 협력을 통해서 자녀의 양육에 변화를 살펴볼 수 있었다. 부모의 행동 변화에 자녀는 즉각 반응을 일으키며, 부모의 적절한 양육행동은 자녀의 발달과 적응적 성장을 위해 필요하고 부모가 원하는 바람직한 가정과 행복한 가족을 구성하는데 지대한 역할을 한다고 본다.

미술치료를 통한 부부 상담과 부모교육을 병행하여 실시한 결과, 부모 유형의 변화에서 적절한 부모유형(자율/통제, 거부/애정)으로 통제 보다는 자율성이 증가하고 거부보다는 애정이 증가하는 긍정적 변화 양상을 나타내었다. 남편의 경우 어렸을 적 아버지에 대한 기억이 없었던바 좋은 본보기를 찾아보기 어려웠던 환경적 특성이 크게 작용하여 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서 책임과 의무감으로 항상 부모의 역할에만 충실하려고 하였다. 자녀의 입장보다는 부모의 입장에서 주로 행동하였고 가족 간의 정서적 유대를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었다. 미술치료 이후 남편의 부모유형은 변화를 보여주었으며, 본인의 잘못된 생각과 행동으로 자녀에게 힘듦을 갖게 하였다는 것을 알게 됨으로써 통제보다는 자율의 기회를 제공하는 양상으로 변화하였다. 부모의 올바른 양육행동은 자녀의 정상적인 발달과 성장을 기대하고, 가정에서의 정서적 유대를 돈독히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가족 구성원들의 노력으로 가정을 화목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가장인 아빠의 역할이 중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자녀를 잘 키우고 싶은 마음은 모든 부모의 희망이고 꿈일 것이다. 하지만 방법적인 부분에서 우리가 제대로 알지 못한다면 자녀의 미래 또한 밝게 비추지 못할 수 있으며, 병리적인 가정의 구성이 가족 전체에 불행을 가지고 올 수 있다. 부모교육과 부부상담이 부부와 자녀에게 행복을 줄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스스로 되돌아 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부부 면담을 통한 사전·사후변화에서 부모유형의 변화는 순식간에 일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부부 상담에서 자기 스스로를 돌아보고 자신을 이해하는 과정과 부부 서로간의 심리 내외적 상황을 같이 들여다보면서 부부가 서로를 좀 더 알아가고 이해하는 시간이 되었다. 부모 상담과 부모교육을 통한 선행연구(Lee & Choi, 2009; Lee & Shin, 2016; Kim, 2007; Kim, 2008; Park, 2012) 에서 살펴보았듯이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의 역할을 잘 수행하는 것이 자녀의 문제행동이나 심리적 불편감으로 부터 벗어날 수 있을 수 있으며, 자녀의 건강한 성장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와 일치한다. 자녀에게 사랑스러운 목소리로 부모가 이야기를 한다는 것은 아마도 행복함의 극치일 것이다. 부모가 항상 지지해주고 편이 되어 주면서 자녀의 정서적 유대를 돈독히 하는 공간이 가정이라는 곳에서 일어난다면 자녀의 성장뿐만 아니라 자존감 또한 높을 것이며, 자존감이 높은 자녀들은 긍정적이고 유능감이 높으며, 동기에 있어서도 능동적이며, 성취감도 높다.

또한 부부가 서로 소통하고 이야기를 통해 자녀의 양육에 대한 고민과 의논을 하는 과정에서 부모는 성숙해지고 유능한 부모, 자애로운 부모의 역할을 다하게 된다. 이에 부부는 서로에게 감사하고, 자녀는 부모의 긍정적 지지와 사랑으로 성장하고, 또한 나아가 사회구성원으로서 적응적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부부 상담과 부모교육을 병행한 미술치료가 부모양육행동과 부모유형에 긍정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부부 상담만 실시한 경우에서 볼 수 없었던 변화양상을 부부 상담과 부모교육을 병행한 연구에서 부모양육행동과 부모유형의 긍정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고,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부부 상담은 물론 부모교육은 같이 병행하여 가족 간의 정서체계를 건강하게 유지시켜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연구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연구기간이 짧으면 지속적인 효과성에 대한 예측이 어렵고 긍정적 변화양상에 대한 유지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충분한 연구기간 확보가 필요하다. 그리고 부부 상담에서 개인적인 접근 프로그램이 더 진행이 되었으면, 부모의 입장에서 해야 할 양육행동에 대한 접근 또한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 졌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가족 프로그램의 많은 사회적 접근이 필요하고 건강한 가족을 구성하기 위한 가족 참여 프로그램의 접근 또한 요구된다.

References

  • Baek, Y. H., & Choi, Y. S., (1997), Research : Effect of Environment and Parent - Bonding Relationship on rural high School students' Differentiation of Self,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5(6), p71-86.
  • Jin, L. J., & Lee, M. O., (2011),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with Parent Education on the Parent's Nurturing Attitudes and Nurture Stress,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18(2), p309-324.
  • Kim, H. K., (2017), A study on development of models for special schools' parents education programs,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 Korea.
  • Kim, J., & Mahoney, G., (2004), The effects of mother's style of interaction on children's engagement,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4(1), p31-38. [https://doi.org/10.1177/02711214040240010301]
  • Kim, J. H., (2005),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program utilizing theraplay to improve mother-child interaction- on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Busa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s degree claim thesis.
  • Kim, J. S., (2001), A Review of Object Relations Theory and Its Application in Counseling,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2), p327-343.
  • Kim, J. Y., Lee, K. J., Kim, E. S., Kim, J. H., & Park, J. Y., (2005),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Perceived by the Families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A Qualitative Inquiry, Korea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1(1), p58-81.
  • Kim, M. J., (2008),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tervention program for aggressive young children: Focus on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and parent education introduction to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 Uni., Korea.
  • Kim, M. J., & Do, H. S., (2001), The influence of parenting behaviors, martial conflict, and sibling relations on aggression in children, The Journal of child korea, 22(2), p149-166.
  • Kim, S. S., (2007),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for Predict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Aggression among Children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Korea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32, p65-95.
  • Kobak, R. R., & Hazan, C., (1991), Attachment in marriage: Effect of security and accuracy of working mode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6), p861-869. [https://doi.org/10.1037/0022-3514.60.6.861]
  • Kwon, K. D., Kim, D. Y., & Choi, Y. S., (1993), Theory and Practice of Family Art Therapy, Seoul, Special Education.
  • Lee, E. J., (2006), The Effects of self Growth Group Art Therapy on Parenting Stress and Mother-Child Interaction in Mothers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s degree claim thesis.
  • Lee, K. E., (2008), The Effects of Mother- Children Art Therapy on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and Mother-Children Relationship, Soonchunh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s, Master’s degree claim thesis.
  • Lee, M. E., (2004),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Attachment Security and Social ability of insecurely attached children, Gyeongs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s degree claim thesis.
  • Lee, S. H., (2003), The Effectiveness of the Mother-Child Theraplay program Enhancing Empathy and Drecreasing Parenting Stress, The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Welfare, 3(3), p63-82.
  • Lee, S. H., Park, E. H., & Kim, Y. T., (2000), Single Subject Research in Education and Clinical Settings, Seoul, Hakjisa.
  • Lee, S. K., (2007), Effects co-treatment of on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incorporated with mothering education to improve ADHD child's problem behavior, Yeung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degree claim thesis.
  • Lee, Y. O., & Choi, W. S., (2009), The effects of children's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and parental counseling with art activities on ADHD tendency of children,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16(4), p543-567.
  • Lee, Y. Y., & Shin, J. H., (2016), An Art Therapy case study combined with parent counseling for attachment promotion and anxiety relief of insecure children,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3(3), p735-761.
  • Lim, S. B., (1998), Effects of a Mother-Child attachment romo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 Seoul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s degree claim thesis.
  • Mahoney, G., (1999), Family/Child curriculum: A relationship focused approach to parent education/early intervention, Tallmadge, OH, Family Child Learning Center.
  • Mckey, J. M., Pickens, J., & Stewart, A. L., (1996), Inventoried and observed in parent-child interactions, Current Psychology: Development·Learning·Personality·Social Fall, 15(3), p223-234. [https://doi.org/10.1007/BF02686879]
  • Mun, K. L., (2007),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Mother-Child Interaction, Yeung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s degree claim thesis.
  • Park, E. M., (2012), The Effects of a Meta-Cognitive Strategies Based Center-Home Cooperative Gameplay Program on the Problematic Behaviors, Executive Functions of Children with ADHD and the Maternal Response of their Mother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s degree claim thesis.
  • Park, L. K., (1999), A study of the development on family training program to promote parent-child Social Interaction for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Disorders, Ewha Woman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s degree claim thesis.
  • Park, M. H., (2002), The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mother and Son Interactive Art Therapy on the Change of Mothernal Stress Through the Interactions between and ADHD Child and his Mother,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degree claim thesis.
  • Proulx, L., (2003), Strengthening emotional ties through parent-child-dyad Art Therapy: Interventions with infants and preschoolers, London and Philadelphia, Jessica Kingsley Publishers.
  • Song, Y. H., (2002), A Study for developing the model of training program of play therapist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18(2), p1-14.
  • Su, K. N., (2003), The Case Study on the Parent-Child Interaction Training of the Child with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Rehabilitation Sciences, Master’s degree claim thesis.
  • Sung, Y. H., (2004), Enhancing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through Therapy-Anaysis the MIM,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9(4), p375-390.
  • Yang, W. Y., & Won, H. R., (2012), The effects of art therapy with parent education for improving social competence, Brain quotient od ADHD tendency children and mother's-rearing attitudes,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19(1), p43-68.
  • Youn, J. J., Kang, J. J., & Lee, B. J., (2005), A study for young children's aggression and relationship of relative factors - concentrating on young children's temperament, self-regulation and mother's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behaviors -,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14(5), p761-771.
  • Yu, C. E., & Kim, J. U., (2008), A Comparison between the Effects of Individual Approach-Based Group Counseling and Family Approach-Based Group Counseling: Focusing on the better adaptation of children who are exposed to domestic violenc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9(4), p1625-1640. [https://doi.org/10.15703/kjc.9.4.200812.1625]
  • Yun, J. Y., (2004), Development of Pregnant Women-Fetus interaction program and its effects on enhancing mother-newborn baby interaction, Seoul Woman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s degree claim thesis.

Appendix

<Appendix-1> Couple Counselling and Parental Education program

[Fig. 1]

[Fig. 1]
parents' nurture behavior

[Fig. 2]

[Fig. 2]
Parents' type change

<Table 1>

The Characteristics of Target Couple

Target Husband Wife
Division
Parents' type A strict parent Overprotective parent Overprotective parent
Do not allow pornography to question the authority of the parent without praise, and intellectual and punishment in parenting behavior They listen to all the demands of the child and are not decisive, bowing to their children and using double messages
Parents' nurture behavior Warmth/acceptance(score 5)
Denial/sanctions(score 25)
Warmth/acceptance(score 25)
Denial/sanctions(score 5)

<Table 2>

parents' nurture behavior change

Division Pre score Post score Change
Husband Warmth/acceptance 5 15 +5
Denial/sanctions 25 16 -9
Wife Warmth/acceptance 25 26 +1
Denial/sanctions 5 13 +8

<Table 3>

Parents' type change

Division Item Pre score Post score Change
Husband Strict parents Autonomous/controlled
Denial/affection
29
22
26
24
-3(controlled 10%↓)
+2(affection 9% ↑)
Wife Overprotective
parents
Autonomous/controlled
Denial/affection
28
28
30
23
+2(Autonomous 9% ↑)
-5(Denial 11%↓)

<Table 4>

Parents' nurture behavior change through parents interview change

Division Item Pre score Post score
Parenting behavior ◌: lowness, ◑: that some, ●: height
Husband Strict parents Autonomous/controlled
Denial/affection


Wife Overprotective
parents
Autonomous/controlled
Denial/affection


Session Activity contents Goal of Activity Materinal
1 Couple Counseling Mandala-self The process of exploring and understanding yourself pattern paper, color pencils
2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Expression of Negative Emotion and Expression Process pattern paper, color pencils
3 Depression/anxiety discovery Explore your own shadows pattern paper, color pencils
4 Fear exploration Fear of the future and the search process to overcome pattern paper, color pencils
5 Role A better understanding and exploration of roles pattern paper, color pencils
6 Happiness Efforts to find happiness pattern paper, color pencils, pencil, Eraser
7 Explore the real me Life graph pattern paper, color pencils, pencil, Eraser
8 Now Find your current self color pencils, pencil, Eraser
9 future Preparing for the future and finding hope color pencils, pencil, Eraser, paper
10 Happy couple Understanding and exploring couples color pencils, pencil, Eraser, paper
11 Parent Education Child Developmental Stages Child Developmental Stages-searching color pencils, pencil, Eraser, paper
12 Problem behavior of a child Problem behavior of a child-searching paper, clay
13 Parenting Skills - Modeling Training of parenting skills paper, clay
14 Parenting skills-praise, encouragement, criticism Training of parenting skills paper, clay
15 Parenting Skills-limit Training of parenting skills paper, clay
16 Parenting Practice-Role activity between parent and child Role Activities paper, 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