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수행능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competence of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with 155 nursing students in B city from September 1 to 31 October, 2017.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ies,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competence of clinical practice.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competence of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was critical thinking(β=.375, p<.001), conflict to patient(β=-.198, p<.01). And these factors explained 19.7% of the variance in the competence of clinical practic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efforts to encourage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decrease stress of clinical practice, especially in conflict with patients, and build a supportive clinical environment should be made to strengthen competence of clinical practice of the nursing students.
Keywords:
Critical Thinking, Stress of clinical practice, Competence of clinical practice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간호교육은 이론교육과 실습교육을 통하여 질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직 간호사를 양성하는 데 있으며(Cho, 2007), 특히 임상실습교육은 간호지식을 실무에서 실제로 통합하고 적용하여 대상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살아있는 지식을 창조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이다(Lee et al., 2000). 하지만, 우리나라의 현 실정은 이론과 실무간의 연계성이 부족하고 간호기술의 습득기회가 부족하며, 실습지도교수의 부족과 학생들의 실습의욕저하 등의 이유로 다양한 간호활동을 제대로 경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어서(Bong, 2012), 강의실에서 배운 이론을 간호실무가 이루어지는 현장에서 확인하고 실제 간호대상자에게 적용하는 과정에서 간호학생들은 많은 어려움과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심리적 불안을 느끼게 된다(Kim & Lee, 2005; Whang, 2006).
이러한 지속적인 스트레스는 간호학생들이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 학과 교육과정의 특성상 다른 대학생들보다 스트레스와 우울의 수준이 더 높고 이로 인해 임상실습 만족도 및 임상실습 수행능력의 저하라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Jeong & Park, 2013; Son et al., 2010). 또한, Sheu et al.(2002)은 임상실습기간 중 스트레스를 줄여야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된다고 보고하며 스트레스 감소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최근 간호교육은 현장실습을 강화시키고 실습영역별 핵심술기 능력을 갖출 수 있는 다양한 실습교육방안을 연구하고 있으나. 실제 임상현장에서는 환자 권리 장전의 강화와 양질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증가로 간호학생이 직접 수행할 수 있는 간호술기 실습의 기회가 부족하고(Cho & Kwon, 2007), 직접적인 간호중재의 수행보다는 관찰위주의 실습이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Yang, 2007).
한편, 임상실습수행 개선을 위한 방법으로 성인 학습이론원칙의 기본이 되는 비판적 사고가 여러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어왔다(Distler, 2007; Simpson & Courtney, 2002). 비판적 사고는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하려는 목적을 두고 스스로 판단하여 그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면 이를 이용하려는 인지과정을 말한다(Facione et al., 1994). 빠르게 변화하는 복합적인 보건의료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는 필요하며, 많은 간호교육자들은 임상상황에서 학생들의 비판적인 사고력개발을 촉진하는 학습을 설계하고 전략을 개발하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Kwon et al., 2006).
임상수행능력이란 임상상황에서 적절한 지식, 판단, 기술을 보여주고 유능하게 기능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Celeste & Florence, 1998). 간호대학생이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때에 자신이 기대한 만큼 또는 그 이상의 내적, 외적 보상이 따르면 임상수행능력이 향상되고, 그렇지 못할 때에는 스트레스의 요인이 되어 임상수행능력에 불만족을 가져오며, 또한 스트레스가 심할 때 나타나는 의욕상실, 간호대상자에 대한 무관심은 환자간호의 질과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Park & Park, 2013).
간호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충분한 실무수행능력과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있는 간호사를 배출하는 것이며,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인지과정이나 임상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에 부정적 또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Struthers et al., 2000). 기존의 연구에서 임상실습관련요인을 조사하는 연구가 대부분으로, 자기효능감(Whang, 2006), 자아존중감(Kim et al., 2005), 셀프리더십(Yang & Moon, 2011), 자아탄력성(Shin & Cho, 2012) 등을 관련 요인으로 보고하고 있고, 임상실습스트레스가 임상수행능력과 임상실습만족도를 떨어뜨리고 학습능력을 저하시킨다는(Kim et al., 2011; Yang & Moon, 2011) 등의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또한 몇몇 연구에서 간호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교육의 효과를 증대하기 위한 전략으로 비판적 사고와 임상수행능력을 측정(Callister et al., 2007; Kim et al., 2011)하고는 있지만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실습교육 환경변화에 따라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 임상실습스트레스 및 임상수행능력을 파악하고 임상실습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1)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실습수행능력정도를 파악한다.
- 2) 간호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수행능력의 차이를 파악한다.
- 3)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 임상실습스트레스 및 임상수행능력간의 관계를 파악한다.
- 4)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수행능력의 정도를 파악하고 임상실습수행능력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및 윤리적 고려
본 연구의 대상은 P광역시 3개 대학 재학 중인 학생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자료수집에 참여를 서면 동의한 간호학생으로 대학병원, 종합병원 등의 다양한 실습지에서 1년 이상 임상실습을 경험한 학생을 대상으로 자료수집하였으며, 표본의 수는 G*power 3.1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05, 효과크기 .15, 검정력 .95를 기준으로 확인했을 때, 본 연구에 필요한 최소 표본수는 172명이었다.
3. 연구도구
본 연구에서는 Yoon(2004)이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적 상황에 적합하게 개발된 비판적 사고성향 도구로 총 27개 문항으로 7개 영역의 하부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영역은 지적열정/호기심 5문항, 신중성 4문항, 자신감 4문항, 체계성 3문항, 지적 공정성 4문항, 건전한 회의성 4문항, 객관성 3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에 1점, ‘매우 그렇다’에 5점의 Likert척도로 측정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신뢰도 Cronbach’s α는 .84 이었으며, 본 연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83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Beck & Srivastava(1991)의 선행연구를 기초로 Kim & Lee(2005)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도구는 5개 영역의 총 24개 문항이며, 실습교육 환경(5문항), 바람직하지 못한 역할모델(6문항), 실습업무분담(4문항), 대인관계 갈등(4문항), 환자와의 갈등(5문항)으로 각 문항은 ‘매우 그렇다’에 5점, ‘전혀 그렇지 않다’에 1점의 5점 Likert 척도이며 평균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높음을 의미한다. Kim & Lee(2005)이 개발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82 이었으며, 본 연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84이었다.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는 Schwirian, Patricia (1978)의 Six-Dimension Scale을 기반으로 Lee et al.(1991)이 개발하고 Choi(2005)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도구는 5개영역, 총 45문항이며, 간호과정(11문항), 간호기술(11문항), 교육/협력관계(8문항), 대인관계/의사소통(6문항), 전문직 발전(9문항)으로 각 문항은 ‘매우 잘한다’에 5점, 매우 잘 못한다’에 1점의 5점 Likert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임상수행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Choi(2005)이 개발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92였으며, 본 연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95였다.
4.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해 부경대학교 연구윤리위원회의 승인(1041386-20170804-HR-023-03)을 받고 2017년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회수율을 고려하여 200부를 배부하였으나, 수거된 설문지는 178부(회수율 89%)였고, 이 중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하고 155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5.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 첫째,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실습수행능력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 둘째, 간호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수행능력의 차이는 t-test와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 셋째,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 임상실습스트레스 및 임상수행능력간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 넷째,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차이검정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차이검정은 <Table 1>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간호학전공만족도의 경우 비판적 사고, 임상실습스트레스, 임상수행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만족’이 ‘보통이하’에 비하여 비판적 사고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3.370, p<.01). 또한 ‘보통이하’가 ‘만족’에 비하여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2.278, p<.05). 또한 ‘만족’이 ‘보통이하’에 비하여 임상수행능력 전체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2.935, p<.01).
임상실습만족의 경우 ‘보통이하’가 ‘만족’에 비하여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3.731, p<.001).
시뮬레이션 실습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비판적 사고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2.104, p<.05).
2.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수행능력
본 연구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51±0.27점,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2.93±0.43점이었고, 임상수행능력은 5점 만점에 3.47±0.45점 이었다(<Table 2>).
3.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
비판적 사고,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임상수행능력의 간호과정은 비판적 사고(r=.321,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임상실습스트레스의 대인관계갈등(r=-.256, p<.01), 임상실습스트레스의 환자와의 갈등(r=-.253, p<.01)와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비판적 사고, 대인관계갈등, 환자와의 갈등은 간호과정과 선형관계를 가지고 있고, 비판적 사고가 높을수록 간호과정능력 역시 높아지고, 대인관계갈등, 환자와의 갈등이 높을수록 간호과정능력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임상수행능력의 간호기술은 비판적 사고(r=.379,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임상실습스트레스의 대인관계갈등(r=-.251, p<.01), 임상실습스트레스의 환자와의 갈등(r=-.285, p<.01)와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비판적 사고, 대인관계갈등, 환자와의 갈등은 간호기술과 선형관계를 가지고 있고, 비판적 사고가 높을수록 간호기술능력 역시 높아지고, 대인관계갈등, 환자와의 갈등이 높을수록 간호기술능력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판적 사고가 높을수록 임상수행능력 역시 높아지고, 대인관계갈등, 환자와의 갈등이 높을수록 임상수행능력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able 3>).
4. 대상자의 임상실습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임상실습수행능력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임상실습수행능력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비판적 사고와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단계식(stepwise)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총 6개의 독립변수를 투입한 단계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적으로 공선성 통계량인 VIF가 10보다 작았고, 공차는 0.1보다 크게 나타나 다중공선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임상실습수행능력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F=18.635, p<.001), 분포에 포함된 독립변인들이 임상실습수행능력을 19.7%(R2=.197) 설명할 수 있었다.
이들 독립변인 중에서 비판적 사고(β=.375, p<.001)와 환자와의 갈등(β=-.198, p<.01)이 임상실습수행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즉, 비판적 사고의 정도가 높을수록, 환자와의 갈등이 낮을수록 간호과정능력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상대적으로 비판적사고가 임상실습수행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Ⅳ. 논의
본 연구는 간호 학생의 비판적 사고, 임상실습스트레스 및 임상수행능력의 관계를 파악하고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점수는 평균 3.50점으로 Oh & Kang(2013)의 연구의 3.76점보다는 다소 낮지만 Hur et al.(2013)과 Yang et al.(2009)와 마찬가지로 중간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나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간호교육에서 비판적 사고력을 강조하고 훈련의 기회를 제공해온 결과로 생각된다. Kwon et al.(2006)은 간호교육의 목표는 주어진 상황에서 무비판적으로 간호 실무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를 적용하고 분석, 종합, 추론하며 의사결정시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자기의견을 논리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력을 갖춘 간호사를 양성하는 데 있다 하였다. 또한, 끊임없이 변화하고 복잡한 의료환경 속에서 유의한 정보를 파악하고, 능력있고 안전하게 간호를 수행할 수 있는 간호사를 준비시키기 위해서는 간호교육과정을 통해 비판적 사고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한다(Kim & Kim, 2007).
본 연구에서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 중 영역별 평균은 지적 호기심이 가장 높았고, 체계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Yoon(2004), Kim et al.(2011)에서 객관성이 높은 것과는 다소 다른 연구결과이나, 체계성이 낮게 나타난 것은 일치하는 연구결과이다. 체계성이 유독 평균 점수가 낮은 것은 우리나라의 전반적 교육환경이 학생에게 비판적 사고력을 기르기 보다는 정보제공이나 단순암기식의 교육에 치우쳐 있으며, 이러한 전반적 교육 환경이 간호교육에도 영향을 미쳐(Kim et al., 2011) 지식 중심의 암기위주 주입식 학습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간호교육을 위한 비판적 사고 향상 수업은 임상적 상황에서의 최선의 판단과 적절한 문제해결을 목표로 해야 할 것이다(Kim et al., 2014). 본 연구에서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시뮬레이션 경험이 있는 경우 비판적 사고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Park & Han(2015)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는 창의적 사고와 합리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문제의 발견, 이해, 평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Shin et al., 2006) 학생들은 비판적 사고를 통해 주체적 학습이 가능해지며,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는 주체적인 인간이 될 수 있다. 끊임없이 변화하고 복잡한 의료환경 속에서 유의한 정보를 파악하고, 능력있고 안전하게 간호를 수행할 수 있는 간호사를 준비시키기 위해서는 간호교육과정을 통해 이러한 비판적 사고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한다(Kim & Kim, 2007).
또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은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보고한 Sullivan et al.(2009)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해서 다양한 시나리오 시뮬레이션 실습을 경험하게 하여야 하며, 임상실습 전에 시뮬레이션 실습을 경험하게 하여 임상실습에 대한 불안감이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안이 되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평균 2.93점으로 Bong(2012)의 2.86점보다는 높고, Kim 등(2011)의 3.16점, Whang(2006)의 연구 3.87점, Yu(2015)의 3.25점보다 낮은 수치였다. 각 연구마다 대상자가 다양하여 단순비교는 어렵지만, 본 연구대상자의 임상실습스트레스는 보통이상 수준으로, 추후 반복연구를 통해 임상실습스트레스의 수준과 임상실습 스트레스로 작용하게 되는 요인들을 분석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하부 영역별로 살펴보면, 실습교육환경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실습업무분담, 바람직하지 못한 역할 모델, 환자와의 갈등, 대인관계 갈등 순이었다. Kim & Lee(2005)의 연구에서도 실습업무부담, 실습교육 환경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간호학생은 다른 전공의 학생들과는 달리 이론과 임상실습을 병행하는 교육과정과 과중한 학습량에 의해 높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임상실습 현장에서도 실습병동을 옮겨 다니며, 바쁜 임상실습환경에 적응하고 실습 보고서 작성과 임상실습에서 배정받는 업무 등으로 과도한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업무의 실태를 파악해 불필요한 업무를 줄이고 임상실습교육에 적합한 실습교육 환경을 개선하고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전공만족도, 실습만족도에 의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공만족도와 실습만족도에 불만족하는 군에서 실습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이는 실습만족도와 임상실습스트레스는 부적인 관계가 있다고 보고한 Shin & Park(2012), Park & Park(201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는 학과 전공만족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습득한 이론적 지식을 임상실습을 통하여 적용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는 것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결과이므로,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임상실습 수행능력의 전체 평균은 3.47점으로 Kim et al.(2011)의 연구 3.49점과 비슷한 점수이다. 본 연구의 임상실습 수행능력 하부 영역 중 전문직 발전이 3.56점으로 가장 높고 간호과정이 3.17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는데, Kim et al.(2011)은 간호과정이 가장 높게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는 상반된 연구결과를 보였다. 학생들은 실습 도중 실제 간호술기를 접할 수 있는 기회는 줄어들고 컨퍼런스를 통해 간호과정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실습지도자에 의해 간호과정을 적용함으로써 일관된 간호과정을 적용하지 못하고 교수자마다 천차만별의 간호과정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에게 간호과정을 어렵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실습지도자간의 워크샾을 통하여 간호과정 교육의 일원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간호학생들의 임상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병원실습현장에서 부족한 간호술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등을 활용한 실습교육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상자들의 자료 수집 및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를 위한 간호과정 적용은 매우 중요하므로 간호과정 교육의 강화가 필요하며 각 전공 교과목 이론수업에서의 다양한 사례를 제시한 간호과정 적용 수업이나 각 실습교과목 컨퍼런스 시간의 간호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임상수행능력은 전공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Yu(2015)의 연구와 Shin & Cho(2012)의 연구, Park & Han(2015)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하여, 임상실습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도를 적극 반영하여 이론수업과 실습수업의 운영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임상실습만족도는 임상수행능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가져오지 못하여 임상실습만족도에 따른 임상수행능력정도는 반복 연구를 통해 확인해볼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에서 비판적 사고와 임상수행능력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실습수행능력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Kim et al.(2011)의 연구와 Park & Kim(2009), Profetto McGrath(2005)의 연구에서 비판적 사고성향과 간호수행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이는 문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논리적으로 평가하는 정신과정인 비판적 사고를 통해 임상실무에서 대상자의 문제를 보다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방식으로 해결하려는 성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임상실습 수행능력간의 하위 영역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임상실습 스트레스 중 대인관계 갈등과 환자와의 갈등이 높을수록 임상수행능력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수행능력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19.7%으며, 임상실습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비판적 사고와 임상실습 스트레스 하위변수인 환자와의 갈등이었다.
이는 현재의 간호교육과정이 이론 암기위주의 주입식 교육에 치중되어 있어 실제 임상에서 필요로 하는 대인관계 능력이나, 의사소통기술능력, 갈등관리 등의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가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간호학생이 대인관계 형성의 장애요인을 제거하고, 원활한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의 기초역량을 강화하여 임상실습 중 간호사, 의료팀, 환자와의 관계에서 원만한 인간관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야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줄이고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과 실습교육에서 간호과정학습을 일원화하여야 하며, 실습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환경 스트레스요인을 관리하고, 갈등관리 및 의사소통역량강화를 통하여 환자와의 갈등에 성숙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해야 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 이 논문은 부경대학교 창의학술연구비(2017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 Barrett, Celeste, & Myrick, Florence, (1998), Job satisfa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or,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7(2), p364-371.
- Bong, Young Mi, (2012), Relationships between Maternity & Women's Health Nursing and Pediatric Nursing Theoretical Education Hours and Clinical Competency and Stress Associated with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Callister, Lynn Clark, Matsumura, Gerry, Lookinland, Sandra, Mangum, Sandra, & Loucks, Carol, (2007), Inquiry in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Fostering evidence-based practic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4(2), p59-64.
- Cho, Hak Soon, (2007),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32(2), p57-72.
- Cho, Mi Hye, & Kwon, In Soo, (2007),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n Nursing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2), p143-154.
- Choi, Mi Suk, (2005),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ffectivenes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The Graduate School of Clinical Health Sciences, Ewha Womens University.
- Deborah, Beck, & Rani, Srivastava, (1991), Perceived level and sources of stress i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0(3), p127-133.
- Elaine, Simpson, & Mary, Courtney, (2002),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education: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8(2), p89-98.
- Hur, Hea Kung, Park, So Mi, Shin, Yoon Hee, Lim, Young Mi, Kim, Gi Yon, & Kim, Ki Kyong, et al., (2013),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evaluation of an emergent care management simulation practicum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9(2), p228-240.
- Jeong, Sun Hwa, & Park, Sung Hee, (2013), Relationship among stress, depression and satisfaction to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Rehabilitation Nursing, 16, p47-54.
- John, W Distler, (2007),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competence: results of the implementation of student-centered teaching strategies in an advanced practice nurse curriculum, Nurse education in practice, 7(1), p53-59.
- Kim, Gyung Hae, & Kim, Gyung Duck,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2), p229-236.
- Kim, In Sook, Jang, Youn Kyung, Park, Su Ho, & Song, So Hyeon, (201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17(3), p337-345.
- Kim, Soon Lae, & Lee, Jong Eun, (2005), Relationship among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Self-esteem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1), p98-106.
- Kim, Sung Hee, Nam, Hyun A, & Kim, Mi Ok, (2014),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Simulation-Based Assesment of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in Pediatric Nursing,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4), p294-303.
- Kwon, In Soo, Lee, Ga Eon, Kim, Gyung Duck, Kim, Young Hee, Park, Kyung Min, Park, Hyun Sook, Sohn, Sue Kyung, Lee, Woo Sook, Jang, Keum Seong, & Chung, Bok Yae, (2006), Development of 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al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36(6), p950-958.
- Lee, Jong Eun, & Kim, Soon Lae, (2005), Relationship among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self-esteem in nursing students tatking clinical experienc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11, p98-106.
- Lee, Kyu Eun, Ha, Na Sun, & Kil, Suk Young,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losure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30(3), p571-583.
- Lee, Won Hee, Kim, Cho Ja, Yoo, Ji Soo, Hur, Hea Kung, Kim, Kyung Suk, & Im, Sung Min, (1990), A research tool for clinical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Bulletin of Yonsei Nursing, 13, p17-29.
- Noreen, Facione, Peter, Facione, & Carol, Sanchez, (1994),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s a measure of competent clinical judgement:The development of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3(8), p345-350.
- Oh, Yun Jeong, & Kang, Hee Young, (2013),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imulation Learn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20(3), p239-247.
- Park, Hyeon Sook, & Han, Ji Young, (2015), Self-leadershi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3), p695-706.
- Park, Jin Ah, & Kim, Bog Ja, (2009),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36(6), p840-850.
- Park, Sun Jung, & Park, Byung Jun, (2013), Relationship of Clinical Practice Stress to Clinical Competence among One Colleg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Stress Research, 21(4), p313-320.
- Profetto McGrath, J., (2005), Critical Thinking and Evidence-Based Practice,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1(6), p364-371.
- Schwirian, Patricia, (1978),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nurses:A multidimensional approach, Nursing Research, 27, p347-351.
- Sheu, Sheila, Lin, Huey Shyan, & Hwang, Shiow Li, (2002), Perceived stress and physio-psycho-social status of nursing students during their initial period of clinical practice:The effect of coping behavior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39, p165-175.
- Shin, Eun Jung, & Park, Yeong Sook, (2012), Emotional intelligence, ego resilience, stress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 Shin, Kyung Ah, & Cho, Bok Hee, (2012), Professional Self-Concept,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c Fundamental Nusring, 19(1), p46-56.
- Shin, Kyung Rim, Jung, Duk Yoo, Shin, Sujin, & Kim, Myoung Soo, (2006),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and Skills of Senior Nursing Students in Associate, Baccalaureate, and RN-to-BSN Programs,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5(6), p233-237.
- Son, Yeong Ju, Choi, Eun Yeong, & Song, Yeong A,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tress Research, 18, p345-351.
- Struthers, Ward, Perry, Raymond, & Mence, Verena, (2000),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tress, coping, motivation, and performance in college,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41(5), p581-592.
- Sullivan-Mann, Joann, Perron, Carrie A., & Fellner, Angela N., (2009), The effects of simulation on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scores: A quantitative study,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9(2), p111-116.
- Whang, Sung Ja,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2), p205-213.
- Yang, Jin Ju, (2007), An Analysis of Nursing Outcomes and Interventions According to Nursing Diagnoses for Inpatients with Brain Hemorrhages by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12(1), p59-69.
- Yang, Nam Young, & Moon, Sun Young, (2011),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stress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Administration, 17, p216-225.
- Yang, Sun Hee, Lee, Og Cheol, Lee, Woo Sook, Yoon, Jin, Park, Chang Seung, & Lee, Suk Jeong, (2009), Critical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3 nursing college with different education method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5(2), p149-158.
- Yoon, Jin, (2004),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In Nursing, A Dissertation submitted to the graduate schoo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 Yu, Hye Soon, (2015), Relationship among Stress of Clinical Practice, Practice Satisfac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2), p1129-1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