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1, No. 1, pp.144-153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8 Feb 2019
Received 27 Dec 2018 Revised 09 Jan 2019 Accepted 16 Jan 2019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19.2.31.1.144

자유학기제에 대한 예비교사의 관심 단계 분석

박소영
대구대학교(교수)
A Study on the Pre-service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Perception of Free Semester System
So-Young PARK
Daegu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053-850-4364, syoungpark@daegu.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fine implications for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course by analyzing the pre-service teachers’ stages of concern on the free semester system using the CBAM model.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ly, how is the stages of concern of pre-service teacher on the free semester system? Secondly, what is the difference of the stages of concern of pre-service teacher on the free semester system depending on the variables such as the grade, learning experience on free semester system and awareness of expanding the free semester syste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ges of concern of pre-service teachers on free semester system, the stage 0(perception) was the highest, the stage 4(result) was the lowest, and the pattern of positive non-user was shown. Second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age of concern depending the grade of the pre-service teachers.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age of concern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o study the free semester system,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stages of concern except the stage 0 and 1. La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concern stag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agreed to expand the free semester system, the level of concern of disagreeing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greeing group in the 6th stage (refocusing).

Keywords:

Free semester, Free grade, Pre-service teacher, Stages of concern,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Ⅰ. 서 론

자유학기제는 중학교에서 한 학기 동안 지식·경쟁 중심에서 벗어나 학생 참여형 수업과 이와 연계한 과정중심 평가를 실시하며, 학생의 소질과 적성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체험 활동을 운영하는 유연한 교육과정 편성·운영이 가능한 학기를 허용한다(MOE·KEDI, 2018a). 2016년에 자유학기제가 중학교에 전면 시행되면서 자유학기-일반학기의 연계 운영과 자유학년제 운영이 확대되는 등 자유학기의 확대와 발전이 추진되고 있다. 그리하여 학교에서는 여건에 따라 자유학기제, 자유학기-일반학기 연계, 자유학년제, 진로교육집중학년·학기제 등 다양한 교육과정운영 모델을 선택하여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MOE·KEDI, 2018a; 2018b).

자유학기는 일반학기와 달리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전반에 걸쳐 변화와 혁신을 필요로 하므로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교원의 역량강화가 요구된다. 교원의 역량강화를 위하여 자유학기제 홈페이지(http://www.ggoomggi.go.kr)에서는 자유학기에 활용할 수 있는 교과 수업과 평가, 자유학기 활동, 연수와 연구 자료들을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다. 자유학기 운영을 위한 역량강화는 현장 교원뿐만 아니라 예비교사들에게도 요구된다.

예비교사의 자유학기 운영에 필요한 역량강화를 위하여 자유학기에 대한 예비교사의 관심 단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다. 이는 예비교사의 자유학기 관심 형태와 수준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가 되며, 교원양성과정에서 예비교사의 자유학기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예비교사의 관심 단계를 분석하기 위한 모형으로 관심기반채택모형(CBAM: Concerns-Based Adoption Model)이 있다. 이 모형은 새로운 변화에 대한 교사의 관심 단계를 7단계로 구분하며, 개인 내에서 나타나는 관심을 인식하고 이에 직면하여 해결하는 데 필요한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George et al., 2008). CBAM 모형을 활용하여 예비교사의 관심 단계를 분석한 연구들은 소프트웨어 교육(Jo, 2018), 플립드 러닝(Kang and Yoon, 2016), e-learning(Cha et al., 2010), 발명교육(Moon, 2010) 등 새로운 교육 변화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자유학기제에 대한 예비교사의 관심 단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에 대한 예비교사의 관심 단계를 CBAM모형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예비교사 양성과정 운영에서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에 대한 예비교사의 관심 단계는 어떠한가?

둘째, 자유학기제에 대한 예비교사의 관심 단계는 학년, 자유학기제 학습 여부, 자유학기제 확대에 대한 인식 등의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에 대한 관심이 높고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행하게 될 예비교사의 관심과 인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졌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자유학기제에 관한 예비교사의 관심 단계별 맞춤형 교육과정의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자료로서의 연구 의의를 가진다.


Ⅱ. 이론적 배경

1. 자유학기제

자유학기제는 2013년 연구학교에서 시작하여 2016년 중학교에 전면 시행되었으며, 현재 연계학기와 자유학년으로 확대되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한 자유학기제 운영의 만족도 분석 결과에서는 교사와 학생의 만족도가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학부모의 만족도 또한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Choi and Lee, 2016; Gim, 2017)

자유학기를 경험한 학생들은 자기 표현력 증가, 교사-학생 간 친밀도 증가, 공부의 즐거움 증대, 공부 스트레스 감소 등 긍정적인 경험을 한 것으로 응답하였다(Choi et al., 2015). 학생들은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경험을 하며 이에 대해 만족감과 아쉬움의 양가감정을 표현하면서도 또래나 교사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매우 긍정적인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Ha et al., 2018). 또한 자유학기제 수업 전과 후의 학생 만족도에 따른 성적변화를 분석한 결과, 자유학기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성적이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Kim, 2018). 한편, 교사들은 학생 중심의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가 높고, 수업에 대한 동기와 보람을 얻을 뿐만 아니라, 교사 개인의 전문적 성장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난다(Park, 2015; Hong, 2016).

2013년-2015년 자유학기를 운영한 연구학교와 희망학교에서 나타난 자유학기제 운영의 긍정적 성과와 함께 일부 학교에서는 자유학기의 수업 방식 등을 인접 학기에 연계하려는 자발적인 움직임이 있었으며, 2016년에는 자유학기와 일반학기 연계 시험학교의 80개교 운영, 2017년에는 그 수를 400개교로 확대하였다(Gim, 2017). 2018년에는 중학교 1학년(2개 학기)을 대상으로 하는 자유학년제를 학교의 희망 및 시도교육청의 여건을 바탕으로 희망학교 중심(약 1,500교, 전국 중학교의 약 46%)으로 운영할 계획이며, 광주, 경기, 강원 교육청에서는 관내 전체 중학교에서 도입하여 시행할 예정으로 보고된다(MOE·KEDI, 2018b).

자유학기·자유학년제·연계학기는 공통적으로 학생 참여형 수업 강화, 학생의 역량을 강화하는 자유학기 활동 운영 내실화, 개별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는 과정중심 평가를 근간으로 운영된다(MOE·KEDI, 2018a). 자유학기·자유학년제·연계학기의 ‘자유학기 활동’시수를 비교하면, 자유학기에서는 학기당 170시간 이상, 자유학년제에서는 221시간 이상, 자유학기-일반학기 연계학기에서는 학기당 51시간 이상 편성·운영하도록 한다(MOE·KEDI, 2018a).

이상과 같이 자유학기의 확대와 발전이 추진되는 현 시점에서 자유학기제에 대한 예비교사의 관심 단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예비교사의 자유학기 이해와 운영 역량을 높일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2. 관심기반채택모형(CBAM)

CBAM(Concerns-Based Adoption Model)은 교사의 관심에 기반을 두고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실행수준 및 형태를 진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지원책을 개발하여 변화를 촉진하는 모형이라 할 수 있다(Kim, 2017). CBAM에서 진단하고자 하는 세 요소 중 특히 관심 단계는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실행하면서 가지는 느낌에 초점을 두며, 자신, 업무, 영향의 3영역으로 구분되며, 다시 7단계로 세분화된다(George et al., 2008).

CBAM은 교사의 관심 정도가 지각, 정보, 개인 관심, 운영, 결과, 협동, 강화 단계로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며, 교사가 높은 관심을 보이는 단계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교육과정 실행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Kim, 2017). 각 단계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Table 1> 참조).

The Stages of Concern

예비교사는 학교 현장에서 자유학기제를 직접 운영하는 상황에 있지 않기 때문에 높은 단계의 관심을 가지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자유학기제에 관한 예비교사의 관심 단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들이 관심을 가지는 단계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의 4년제 대학교 2개교에서 교직과목을 이수하는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해당 2개 대학교의 사범대학은 10여개 이상의 다양한 교과교육 전공을 확보하고 있다. 교육과정, 교육학개론, 교육사 및 철학을 수강하는 예비교사 19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동시 수강자가 응답하지 않도록 분반을 선정하였다.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총 172부를 분석하였다(<Table 2> 참조).

The Subjects of Survey

2. 측정 도구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에 대한 교사의 관심 단계와 인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George et al.(2008)에 제시된 관심단계설문지(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를 활용하였다. 관심단계를 조사하는 설문지는 각 단계별로 5개 문항씩 총 3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에 대해 자신의 상태와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0~7점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 도구의 신뢰도는 각 단계별로 산출하여 Cronbach’s α값이 .63에서 .92 사이로 나타났다(<Table 3> 참조).

Reliability of Stages of Concern

3. 분석 방법

자유학기제에 대한 교사의 관심 단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2주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버전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각 단계별 문항들의 원점수 평균을 산출하고, George et al.(2008)에 제시된 산출표를 활용하여 관심 단계의 상대적 강도를 나타내는 백분위 점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학년과 자유학기제 학습 여부, 자유학기제 확대 찬반 여부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유학기제 확대 찬반의 이유를 서술한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자유학기제에 대한 예비교사의 관심 단계

자유학기제에 대한 예비교사의 관심 단계별 원점수 및 상대적 강도와 관심도 프로파일은 다음과 같다(<Table 4>, [Fig. 1] 참조).

Stages of Concern in Free Semester System

[Fig. 1]

Profile of Stages of Concern in Free Semester System

자유학기제에 대한 예비교사의 관심 단계는 0단계(지각)가 94%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2단계(개인) 76%, 1단계(정보) 75%의 순으로 높았다. 그리고 가장 낮은 단계는 4(결과)단계로 33%로 나타났다

이는 전형적인 비사용자의 관심 단계 프로파일과 유사한 형태로서 0, 1, 2, 3단계가 높고 4, 5, 6단계는 낮으며 5단계에서 살짝 올라가는 형태이다. 예비교사들은 자유학기제에 관심이 없는 경우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자유학기제가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개인적 관심이 많으며, 자유학기제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원하거나, 자유학기제의 운영 과정에 관심이 많은 반면, 자유학기제의 영향이나 협동, 재조정 등에 대해서는 관심이 낮은 편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학년에 따른 자유학기제 관심 단계

학년에 따른 관심 단계를 분석하기 위해 3학년과 4학년 이상을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응답자의 학년 분포가 2학년 30.8%, 3학년 62.2%, 4학년 이상 6.4%로 나타났으므로 3학년과 4학년 이상으로 학년을 구분하였다.

예비교사의 학년에 따른 자유학기제 관심 단계별 원점수 및 상대적 강도와 관심도 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Table 5>, [Fig. 2] 참조).

Difference of Stages of Concern According to Grade Variable

[Fig. 2]

Profile of Stages of Concern According to Grade Variable

3. 학습 여부에 따른 자유학기제 관심 단계

예비교사들 중 자유학기제를 학습한 과목 수가 1~2개 과목인 경우가 가장 많고, 3~4과목이나 5과목을 학습한 것으로 응답한 비율이 각각 4.1%, 0.6%에 불과하였으므로 1개 이상의 과목에서 학습한 경우 ‘학습’으로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자유학기제 학습 여부에 따른 예비교사의 관심 단계별 원점수 및 상대적 강도와 관심도 프로파일은 다음과 같다(<Table 6>, [Fig. 3] 참조).

Difference of Stages of Concern According to Learning Variable

[Fig. 3]

Profile of Stages of Concern According to Learning Variable

자유학기제 학습 여부에 따른 예비교사의 관심 단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2, 3, 4, 5, 6단계 모두에서 자유학기제를 학습한 집단과 학습하지 않은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유학기제를 학습한 집단이 2, 3, 4, 5, 6단계에서 학습하지 않은 집단보다 관심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자유학기제를 학습한 경험이 관심 수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4. 자유학기제 확대 동의에 따른 관심 단계

자유학기제 확대에 동의하는지 여부에 따른 관심 단계를 분석하기 위해 먼저 자유학기를 자유학년으로 확대하는 것에 대한 예비교사의 동의 여부를 분석하였다. 자유학기를 자유학년으로 확대하는 것에 대해 동의 56.4%, 동의하지 않음 43.6%로 나타났다. 이는 동의한다는 응답이 12.8% 포인트 더 많은 차이이다(<Table 7> 참조).

Agreement of Expanding Free Semester

자유학기제 확대 동의 여부에 따른 예비교사의 관심 단계별 원점수 및 상대적 강도와 관심도 프로파일은 다음과 같다(<Table 8>, [Fig. 4] 참조).

Difference of Stages of Concern According to Agreement of Expanding Free Semester

[Fig. 4]

Profile of Stages of Concern According to Agreement of Expanding Free Semester

자유학기의 확대에 대하여 동의하는지 여부에 따른 예비교사의 관심 단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6단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단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6단계에서는 자유학기 확대에 동의하지 않는 집단이 동의하는 집단보다 더 관심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자유학기제 확대에 동의하지 않는 집단이 자유학기제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에 대한 관심이 더 많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자유학기제 확대에 동의하는 이유를 서술한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먼저 동의하는 이유로 많이 제시된 의견은 다음과 같다.

• 충분한 시간 확보 필요
• 다양한 체험과 경험 학습 기회 제공
• 자기주도적 학습과 진로 탐색 기회 제공
• 창의 교육을 강조하는 시대의 흐름에 부합

다음으로 자유학기제 확대에 동의하기 어려운 이유로 많이 제시된 의견은 다음과 같다.

• 교과 및 이론을 학습할 시간 감소
• 자유학기제의 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음
• 자유학기제가 정착되지 않았기 때문
• 현 입시제도와 맞지 않음
• 학교교육과정 운영상의 어려움 및 교사 부담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에 대한 예비교사의 관심단계와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예비교사의 자유학기제 운영을 준비하기 위한 양성과정 운영에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에 대한 예비교사의 관심 단계를 분석한 결과, 0(지각)단계가 가장 높고, 4(결과)단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0, 1, 2, 3단계가 높고, 4, 5 6단계는 낮은 편으로 분석되었다. 예비교사의 플립드 러닝에 대한 관심도를 분석한 Kang and Yoon(2016)의 연구에서도 0단계(지각)가 가장 높고, 1, 2단계가 높게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가 일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Kang and Yoon(2016)의 연구에서는 6단계(재초점)가 가장 낮게 나타난 반면, 본 연구에서는 4단계(결과)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Jo(2018)Moon(2010)의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의 관심이 지각 단계의 상대적 강도가 가장 높고, 결과 단계의 상대적 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나며 5단계(협력)에서 다소 상승세를 보이다가 6단계(재초점)에서 다시 떨어지는 패턴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와 같은 긍정적 비사용자의 패턴을 나타냈다.

예비교사들은 자유학기제의 비사용자로서 아직은 관심이 없이 지각 단계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지만, 자유학기제가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이나 자유학기제 자체, 그리고 자유학기제 운영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알고 싶어 하는 예비교사도 많은 것으로 나타나 이들이 자유학기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아직 자유학기제를 운영한 경험을 가지지 못하였기 때문에 자유학기제의 운영 결과나 교사 간 협동, 자유학기제를 재조정할 수 있는 방안 등에 대해서는 관심을 가지기 어려웠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Kang and Yoon(2016)의 연구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예비교사는 새로운 교육방법의 비사용자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단계가 높아짐에 따라 관심도가 낮아지는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예비교사의 학년에 따라 자유학기제에 대한 관심 단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2, 3학년 학생들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학년에 따른 교직 이수 과목의 차이가 그리 크지 않아 관심 단계의 차이가 잘 드러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교생 실습 기간 중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예비교사들을 연구 대상에 포함한다면 학년에 따른 관심 단계의 차이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셋째, 자유학기제 학습여부에 따라 자유학기제에 대한 관심 단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0, 1단계를 제외한 모든 관심 단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학기제를 학습한 집단은 2단계(개인), 3단계(운영), 4단계(결과), 5단계(협력), 6단계(재초점)에서 학습하지 않은 집단보다 상대적 강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Jo(2018)의 연구에서 예비교사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수준이 높은 집단이 2단계(개인), 4단계(결과), 5단계(협력)에서 다른 집단보다 상대적 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결과, 그리고 Moon(2010)의 연구에서 발명교육 및 연수 경험이 있는 집단이 0단계를 제외한 1, 2, 3, 4, 5, 6단계에서 관심도 프로파일이 높게 나타난 결과와 일치한다. 이는 학습 경험을 가지는 것이 긍정적 관심을 가지는 데 기여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자유학기제에 관한 학습 기회를 가지는 것이 예비교사의 관심 단계를 높이는 데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넷째, 자유학기제 확대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자유학기를 자유학년으로 확대하는 것에 대한 찬성의 응답이 반대의 응답보다 조금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유학기제 확대에 동의하는지 동의하지 않는지 여부에 따른 관심 단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확대에 동의하지 않는 집단이 동의하는 집단보다 6단계(재초점)에 대한 관심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자유학기제 확대에 동의하는 주요 이유로는 한 학기의 자유학기로는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 확보를 위해 자유학기 확대를 찬성한다는 설명이 많았다. 반면, 자유학기 확대에 동의하기 어려운 이유로는 교과 및 이론을 학습할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예비 교사 집단은 자유학기제의 확대에 대해 긍정과 부정이라는 양가의 감정을 모두 가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Lim(2016)의 연구에서 언급된 양가성 현상과 관련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자유학기제로 촉발된 긍정적인 변화에 대한 기대감과 자유학기제로 인한 변화에 대한 불안감은 학생, 교사, 학부모에서뿐만 아니라 예비교사에서도 나타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자유학기제의 효과에 대해 잘 인식하지 못하는 것은 자유학기제 운영의 성과에 대한 구체적인 학습 기회가 부족한 데서도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이루어진 자유학기제의 긍정적 성과를 분석한 연구들은 자유학기제에 대한 교원, 학생, 학부모의 만족도가 높다는 점을 보여준다(Choi and Lee, 2016; Choi et al., 2015; Park, 2015). 또한 자유학기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성적향상이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된 연구도 있다(Kim, 2018). 따라서 자유학기제의 운영 성과를 공유할 수 있는 학습 경험을 예비 교사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자유학기제의 확대 흐름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사고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예비교사 양성과정 운영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 학습 여부가 예비교사의 관심 단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온다는 점에 비추어, 정규 교직 교육과정을 활용하여 자유학기제에 대해 학습할 기회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 ‘교육학개론’,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평가’, ‘교육행정’ 등 관련 교직 과정에서 자유학기제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학습할 수 있도록 내용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교육과정’에서는 자유학기제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에서는 학생 참여형 수업 방법을, ‘교육평가’에서는 과정중심평가를 ‘교육행정’에서는 자유학기제 정책의 효율적인 지원 방안 등을 다룰 수 있는 교육과정 설계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자유학기제 운영에 대한 예비 교사의 기대감과 불안함을 포괄할 수 있는 좀 더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자유학기제의 의미와 효과, 실천 전략, 실행 방안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자유학기제 확대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이유로 예비교사들이 제시한 의견들은 교과 학습 시간 감소, 효과 낮음, 불안정한 운영, 입시 제도와의 불일치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의문들을 해소하는 동시에 자유학기제 운영에 관한 구체적인 지식과 기능을 학습할 수 있도록 보다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이 자유학기제의 다양한 장점과 효과를 이해하고 이를 운영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정규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비정규 교육과정을 활용하여 자유학기제 관련 학습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중학교 자유학기제 담당 교사 특강 및 멘토링, 자유학기 관련 봉사 활동(동아리, 진로, 학생참여형 수업 보조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안내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는 예비 교사들에게 자유학기제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관련 지식을 현장감 있게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의 2개 대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하여 이루어졌으므로 그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후속적으로는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다양화함으로써 자유학기제에 관한 예비교사의 관심과 인식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관심 단계별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6학년도 대구대학교 학술연구비지원에 의한 논문임.

References

  • Cha, JH, BAEK, SS, and OH, JS, (2010), Survey 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Concern Levels on E-Learning, 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0(4), p191-215.
  • Choi, SD, and Lee, SE, (2016), Survey Results on Satisfaction of Operaion of Free Semester System Research School in 2015 2nd Semester, KEDI.
  • Choi, SD, Lee, SE, Kim, GS, Kim, MH, Kim, JC, and Park, SY, (2015), Comprehensive Report of Case Studies of Free Semester System Research School in 2014 2nd Semester, KEDI.
  • George, A.A., Hall, G.E., and Stiegelbauer, S.M., (2008),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 SEDL.
  • Gim, CC, (2017), Reflections on the Free-semester Pro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52(3), p5-35. [https://doi.org/10.20880/kler.2017.52.3.5]
  • Ha, JH, Kim, MH, Cho, YA, and Kim, SH, (2018),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ree Learning Semester,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42, p139-162. [https://doi.org/10.20993/jSSW.42.7]
  • Hong, CN, and Kim, HY, (2016), A Case Study on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3(2), p157-179. [https://doi.org/10.24211/tjkte.2016.33.2.157]
  • Jo, MH, (2018), Analisi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ncern on Software Education Using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2(5), p535-543.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5.535]
  • Kang, MH, and Yoon, SH, (2016), Analysis on Pre-Service Teachers’ Stage of Concerns About Flipped Learning: An Application of CBAM, Teacher Education Research, 55(4), p427-440. [https://doi.org/10.15812/ter.55.4.201612.427]
  • Kim, DH, (2017), Understanding of Curriculum(2nd), Seoul, Hakjisa.
  • Kim, JY, (2018), A Study on Changes to Students’ Academic Records according to Their Satisfaction with the Free Semester System before and after its Implementation(2015-2017),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18), p293-316.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18.293]
  • Lim, JH, (2016),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Operation Process of Free Semester Program,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4(4), p99-128.
  • MOE·KEDI, (2018a), Free Grade and Interactive Semester Operations Guide.
  • MOE·KEDI, (2018b), Expansion and Development Plan of Free Semester for Middle School, 2018 Free Grade and Intermediate Semester Research School Consultant Workshop Resources, p5-28.
  • Moon, DY, (2010), The Stages of Concerns about Invention Educa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according to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3(3), p245-262.
  • Park, SY, (2015), A Case Study on Free Semester Hope School in Middle School, Gyeongsangbuk-do Office of Education.

[Fig. 1]

[Fig. 1]
Profile of Stages of Concern in Free Semester System

[Fig. 2]

[Fig. 2]
Profile of Stages of Concern According to Grade Variable

[Fig. 3]

[Fig. 3]
Profile of Stages of Concern According to Learning Variable

[Fig. 4]

[Fig. 4]
Profile of Stages of Concern According to Agreement of Expanding Free Semester

<Table 1>

The Stages of Concern

Stages of Concern Explanation
Source: George et al., 2008.
Impact 6 Refocusing exploring ways to reap more universal benefits
5 Collaboration coordinating and cooperating with others
4 Consequence the innovation’s impact on students
Task 3 Management the processes and tasks of using the innovation
Self 2 Personal uncertain about the demands of the innovation, one’s adequacy to meet those demands
1 informational a general awareness of the innovation and interest in learning more details
0 Unconcerned little concern about or involvement with the innovation

<Table 2>

The Subjects of Survey

Division N(%)
University D 105(61.0)
K 67(39.0)
Gender F 104(60.8)
M 67(39.2)
Grade 2 53(31.0)
3 107(62.6)
4th and above 11(6.4)
Belong College of Education 125(73.1)
General Department 37(21.6)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9(5.3)
Major General Subject 11(64.5)
Infant, Elementary Special 35(20.3)
Secondary Special 6(3.5)
Non-teaching Subject 20(11.6)
Number of Subject that Studied Free Semester 1~2 65(38.5)
3 or more 8(4.7)
0 96(56.8)
Total 172(100)

<Table 3>

Reliability of Stages of Concern

Stage 0 1 2 3 4 5 6
Reliability .80 .92 .91 .76 .92 .63 .65

<Table 4>

Stages of Concern in Free Semester System

Stage M SD Percentile Scores
0 16.2 5.56 94
1 21.0 6.99 75
2 21.1 7.18 76
3 18.3 6.02 69
4 20.8 7.37 33
5 20.2 7.16 48
6 15.6 5.92 47

<Table 5>

Difference of Stages of Concern According to Grade Variable

Stage Grade n M SD Percentile
Scores
t p
0 2 52 16.1 6.21 94 -.110 .912
3 ~ 117 16.2 5.29 94
1 2 53 21.2 6.57 75 .160 .873
3 ~ 118 21.0 7.03 75
2 2 52 21.6 7.62 78 .579 .563
3 ~ 117 20.9 6.87 76
3 2 53 18.2 5.93 69 -.239 .811
3 ~ 117 18.4 6.06 69
4 2 50 20.7 7.25 33 -.174 .862
3 ~ 118 20.9 7.38 33
5 2 53 20.2 7.25 48 -.187 .852
3 ~ 118 20.4 7.04 48
6 2 53 15.9 5.6 47 .330 .742
3 ~ 118 15.6 6.00 47

<Table 6>

Difference of Stages of Concern According to Learning Variable

Stages Learning n M SD Percentile Scores t p
*p<.05, **p<05, ***p<.001
0 Learning 72 15.2 4.94 87 -1.972 .050
Non-L. 95 16.9 5.96 94
1 Learning 73 21.7 5.75 80 1.604 .111
Non-L. 96 20.1 6.72 72
2 Learning 72 22.6 6.04 80 2.283 .024*
Non-L. 95 20.0 7.84 72
3 Learning 72 19.5 5.64 77 2.204 .029*
Non-L. 96 17.5 6.21 69
4 Learning 72 22.6 6.30 43 2.641 .009**
Non-L. 94 19.6 7.90 30
5 Learning 73 22.1 6.35 55 2.831 .005**
Non-L. 96 19.0 7.51 44
6 Learning 73 17.6 5.78 57 3.884 .000***
Non-L. 96 14.2 5.66 38

<Table 7>

Agreement of Expanding Free Semester

Division n %
Agree 92 56.4
Disagree 71 43.6
Total 163 94.8

<Table 8>

Difference of Stages of Concern According to Agreement of Expanding Free Semester

Stages Agreement n M SD Percentile
Scores
t p
*p<.05
0 Agree 90 15.7 5.43 94 -1.503 .135
Dis- 71 17.0 5.78 94
1 Agree 92 20.9 5.93 75 -.417 .677
Dis- 71 21.4 8.23 75
2 Agree 90 21.5 6.78 78 .400 .690
Dis- 71 21.0 7.54 76
3 Agree 91 18.2 5.47 69 -.930 .354
Dis- 71 19.0 6.38 73
4 Agree 91 21.1 7.31 33 .298 .766
Dis- 69 20.8 7.23 33
5 Agree 92 20.9 6.65 52 .991 .323
Dis- 71 19.8 7.47 48
6 Agree 92 15.0 5.49 42 -2.070 .040*
Dis- 71 16.9 6.27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