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학교와 혁신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quality of the school life and the quality of the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novative high school(IHS)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general high school(GHS)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Second, students in the median score and lower score have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those in general school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students with the highest grades. The third, innovation schools in Jeolla-do area were more than satisfied with life in general schools in all regions. In Busan, however, general schools were more satisfied than innovative schools. The fact that the school is built by the spontaneity of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individuality is lower than the general school in Busan should be examined both in the school environment, structure and contents.
Keywords:
Satisfaction, School life, Innovation high school, General high school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오늘날 학교교육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고 미래를 이끌어 나갈 학생들에게 필요한 역량을 키워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세계 각국에서도 학교교육이 국가경쟁력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를 하고 있다, (Jeon et al., 2018). 이에 우리나라도 학교교육의 질을 높이고 필요한 인재를 양성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학교현장은 대학입시를 위한 주입식의 획일적인 교육과 비효율적인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교육과정의 수정과 함께 교사들의 역할도 바뀌어야 된다고 하지만 여전히 학교교육은 과거의 교육과 유사한 수업 방식을 그대로 고수하고 있다. 그래서 공교육에 대한 불신감은 커지고 위기감까지 높아지고 있다(Kim and Ji, 2011). 이런 위기감을 극복하기 위해 몇 몇 교사들은 수업의 흥미와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교육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Jung, 2012). 경기도 교육청은 입시위주의 경쟁적 학교교육에서 벗어나 자기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학습능력을 높여 공교육 정상화를 추구해야 한다고 했다. 그리고 교사와 학생이 함께 배우는 교육, 자발적으로 운영하는 학교, 소통과 협력의 학교 문화를 목표로 해야 한다고 했다(Jung et al., 2012). 이러한 대안의 필요성에 따라 남한산초등학교에서부터 시작된 새로운 학교운동이 최근 몇 년 사이 빠르게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남한산초등학교는 공교육의 제도 밖에서 이루어지는 대안학교의 형태가 아닌 공교육 제도 내의 학교에서 교육 본연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설립된 혁신학교로 교사와 학생들의 만족도가 일반학교 보다 더 높다고 보고하고 있다(Jung, 2012). 교사들은 수업혁신, 생활지도 효능감, 교육과정 혁신, 학교 공동체감, 교사 집단효능감 등에서 일반학교 교사들 보다 혁신학교가 더 높았고 학생들은 학교 가는 것이 좋고 개성을 표현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 학교생활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나타냈다고 했다(Jung 2012). 또한 부모들의 만족도 역시 더 높아 혁신학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 결과 조현초, 덕양중 등 교육주체들의 협력과 열정, 헌신을 바탕으로 학교혁신에 성공한 사례를 모델로 혁신학교 정책을 추진하였다(Baeg et al., 2013). 이에 경기도 교육청도 새로운 학교의 등장의 필요성과 함께 행복하고 안전한 학교에 대한 시대적 요구와 보편적 교육복지에 대한 공감대 형성을 위한 이유로 혁신학교 추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2009년 경기도 김상곤 교육감의 공약인 공교육 혁신과 미래지향 교육투자를 위해 공교육의 혁신 모델인 새로운 공립학교의 대안으로 혁신학교의 필요성이 제고 되면서 많은 혁신학교들이 등장하였다. 혁신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수업과정에서 경쟁이 아니라 협력을 통해 자연스러운 배움이 이루어지도록 교사들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의미 있는 교육을 하려고 노력한다.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는 것보다 입학한 학생이 졸업할 때 더 나은 역량을 갖고 사회에 나아갈 수 있도록 학교의 교육효과성에 더 관심을 기울인 수정과정을 편성하여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생활, 교육과정, 수업, 평가, 학교문화구축 등 학교 운영의 총체적 변화를 추구하여 많은 학교들이 생겨나고 있다. 또한 폐교 직전의 학교가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의 협력을 통해 성공적인 학교의 모습으로 다시 살아나게 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경기도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실시한 혁신학교는 2017년 3월 현재 경기도 <혁신학교> 868개, 서울특별시 <서울형 혁신학교> 158개교, 광주광역시 <빛고을 혁신학교> 57개교, 강원도 <행복+학교> 41개교, 전라남도 <무지개학교> 75개교, 전라북도 <혁신학교> 149개교, 부산광역시 <다행복학교> 60개교 등 각각 다른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시도 교육청별로 점차 확대해나가고 있는 실정이다1). 하지만 혁신학교의 성과로 볼 수 있는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해서는 초, 중학교에서는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지만, 고등학교에서 혁신학교는 경기도교육청과 서울특별시교육청을 제외하고는 2~3개의 학교 밖에 혁신학교를 운영하는 고등학교가 없을 뿐 더러, 대학입시를 중점으로 스펙 쌓기에 초점을 맞추는 교육과정과 교과활동에서 쉽게 변화를 추구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생활만족도를 분석하여 고등학교에서도 혁신학교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Kim et al.(2013)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개 연도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를 비교한 결과, 경기도교육청의 혁신학교가 전반적인 학업성취도 향상을 보이고 있으며, 혁신학교의 교육만족도는 해마다 점점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또, Na and Park(2013)은 서울, 경기 등 6개 교육청의 2011년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를 비교한 결과, 혁신학교가 일반학교보다 전체적으로 기초학력 미달비율이 더 높았으며, 학부모와 교원 설문에서는 혁신학교의 배움 중심 교육방법, 교육과정 다양화 및 특성화의 지표가 각각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보고했다(Yonhap News, 2011). Cha(2013)는 201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를 비교 분석한 결과, 경기도교육청의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에서는 혁신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해 전체적으로 학업성취도가 매우 떨어지고, 중학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이상의 선행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학교만족도 측면에서는 일관되게 혁신학교가 높은 성과를 나타내었다는 공통적인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인지적 영역의 학업성취도 측면에서는 분석 결과에서는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생활에 만족하는 정도가 일반학교와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지도와 교사들의 교과지도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혁신학교를 운영하고 정책을 수립하는데 교육적 자료로 유용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2. 연구 문제
첫째, 혁신고등학교와 일반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는 성적별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혁신고등학교와 일반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는 지역에 따라 권역별로 차이가 있는가?
Ⅱ. 이론적 배경
1. 혁신학교
혁신학교는 학교혁신에 대한 단위학교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노력과 교육지원청의 행정과 재정적 지원이 결합된 새로운 학교 모델이자 공교육 혁신의 전략이다. 혁신학교는 작은 학교를 지향하며 학교문화 혁신을 통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여 새로운 학교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거점학교(Pilot School)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Kim(2005)은 혁신학교란 교사가 학생을 이해하고 학생들이 현재 부딪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서로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학생들의 학습이 충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학교가 점진적으로 변화해 가는 것이라고 하였다. 학교혁신에 대한 다양한 개념은‘학교 교육 프로그램과 내부 구성원과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즉 교육의 가치지향성을 내포한다. 실질적이고 바람직한 변화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제도적, 문화적 개혁이 함께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혁신학교가 어느 한 가지의 유형이나 모델로 명확하게 규정되어있다고 하기는 어렵다. 그 이유는 혁신학교에 속하는 학교로는 기존의 학교가 신설학교도 있으며, 농촌 구도심 신도시에 위치한 학교도 있고, 초중고로 나누어지는 등 지역과 목표,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하기 때문이며, 각 단위학교의 특색에 맞는 혁신을 이루고자 노력하기 때문이다. 즉 혁신학교는 특정한 모델이 있는 학교라기보다는 단위학교의 여건을 바탕으로 하여 혁신을 시도하는 학교라고 할 수 있다(Kim, 2012). 즉 혁신학교란 교육공동체 즉 교사, 학생, 학부모의 민주적인 의사소통과 참여를 통해 학생들의 진정한 배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교문화를 새롭게 조성하는 학교라고 정의해 볼 수 있다.
혁신학교의 추진은 2009년 경기도 김삼곤 교육감이 당선되면서 공교육의 혁신을 통해 새로운 교육, 새로운 학교를 선보이겠다고 강조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이를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확산이 되었고 교사들도 주체가 되어 학교를 재구조화 하는 새로운 학교운동을 전개했다. 학급당 학생수를 25명 이내로 줄이고 교육과정운영에 일정 부분 자율권이 보장받으면서 성적위주의 수업보다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한 창의성 교육, 자기주도적 학습활동을 강조하면서 학생들과 교사들과 자유로운 의사소통에 중점을 둘 수 있도록 하였다(Yonhap News, 2011). 결과 혁신학교의 인식이 좋아지고 처음으로 시도된 남한산 초등학교와 조현초등학교가 혁신학교의 선구적인 모델이 되면서 전국적으로 전파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고등학교도 혁신학교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2. 학교생활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정의는 Park et al.(2008)은 교육이 이루어지는 장을 가정, 학교, 사회로 나눌 때 그 중 학교에서 학생이 받는 영향을 통틀어 학교생활이라고 하였다. 넓은 뜻에서 학교에서의 비교육적 영향도 학교생활에 포함된다고 주장하였다. Han(2011)은 학생들이 여러 활동에서 자기 욕구를 합리적으로 해결하여 만족감을 느끼는 조화 있는 관계를 유지하며 교사 및 교우들과의 관계가 조화되어 학교생활 전반이 만족스러운 상태라고 하였다. Park(2015)은 학교에서 접하는 수업활동, 사제관계, 교우관계, 수업 외 학교활동에 대해 학생이 견지하는 긍정적인 느낌이나 감정 또는 태도의 정도라고 하였다.
여러 연구를 토대로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논의를 종합한 결과, 학교생활만족도는 ‘학생들이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활동과 인간관계 형성을 통해 주관적으로 느끼는 긍정적이고 만족스러운 감정 또는 태도’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학교생활만족도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견해가 다양하나 본 연구에서는 학교생활만족도란 ‘학생들이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활동과 인간관계 형성을 통해 주관적으로 느끼는 긍정적이고 만족스러운 감정 또는 태도’라고 정의하였다. 이와 함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학교생활만족도의 구성요소로 수업 및 학습활동, 사제관계, 교우관계, 수업 외 학교생활의 4개 영역을 학교생활만족도의 영역으로 분류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전남, 부산의 일반 인문계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다. 설문지는 혁신학교 223부, 일반학교 244부를 회수하여 총 467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고 누락이 많은 설문지 12부를 제외한 455부(혁신학교 215부, 일반학교 240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2. 연구 측정 도구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로는 Park and Sua(2014)와 Kwak(2012)의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검사지는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를 수업 및 학습활동, 교사관계, 교우관계, 수업 외 학교생활의 4개 영역으로 나누었고, 각각의 하위영역별로 10문항, 6문항, 8문항, 9문항으로 구분하여 총 3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하위요인별 Cronbach’s α계수가 .717 ~ .910의 범위에 걸쳐 있고. 척도 전체의 Cronbach’s α계수가 .964로 나타나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연구 절차
본 연구에서는 혁신고등학교와 일반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설문결과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값을 산출하였으며,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비교하기 위해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계산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배경변인에 따른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Ⅳ. 연구결과 및 해석
1.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성적별 학교생활만족도 차이
<Table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성적 상위그룹의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는 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성적 중위그룹의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전체 학교생활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영역별로는 수업 외 학교활동의 인성 및 생활지도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권역별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성적별 학교생활만족도 차이
<Table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서울 지역의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전체 학교생활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영역별로는 수업 외 학교 활동의 인성 및 생활지도영역과 창의적 체험활동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라도 지역의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전체 학교생활만족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수업 및 학습활동 중 교수방법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교수방법에서는 일반학교가 혁신학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Table 7>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라도 지역의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전체 학교생활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는 수업 및 학습활동의 교수방법영역과 학습동기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교사관계, 교우관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수업 외 학교활동의 인성 및 생활지도영역과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일반학교 학생보다 혁신학교 학생의 생활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Ⅴ. 논의 및 제언
1. 논의
이상과 같이 혁신고등학교와 일반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들의 성적별 학교생활만족도에서는 성적 상위그룹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는 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위그룹과 하위그룹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서는 수업 외 학교활동의 인성 및 생활지도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성적이 낮아 수업시간에는 자존감이 낮은 학생들이 혁신학교에서 추진하는 수업 외 학교활동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에서 자신의 개성을 드러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됨으로써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여겨지며, 앞서 언급한 혁신학교의 학생중심의 학교문화 조성과 관련이 깊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혁신학교는 일반학교에 비해 학생중심으로 교과과정이 편성되어 있고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 구성을 하였기 때문에 더 높게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공부를 할 수 있는 주체를 교사보다는 학생이 주심이 된 프로그램의 구성이 영향을 준 것임을 알 수 있다 . 그러므로 스스로 자신의 학습계획을 세워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마련된 혁신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해 더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교교육의 당면문제를 극복하고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도입된 혁신학교는 학생이 중심이고 교사의 자발성이 학교의 구조와 문화를 변화시키려고 하였다. 하지만 성적이 상위그룹인 학생들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성적이 높은 학생은 자신의 목표와 진로가 정해져 있어서 학교구조와 문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성적이 상위권인 학생들은 어떤 상황이나 환경에서도 자신의 목표를 위해 계획하고 실천하는 경향이 있어서 학교구조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들의 4개의 권역별 학교생활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혁신학교와 같은 구역에 있는 인근 일반학교에 설문조사를 의뢰하였다. 그 결과를 권역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서울의 혁신학교에서 수업 외 학교활동 영역에서 인성 및 생활지도, 창의적 체험활동하위영역의 수치가 일반학교보다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다양한 교육과정 편성 운영이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였다고 추론할 수 있다. 전라도 지역의 혁신학교는 거의 모든 영역에서 일반학교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는데, 이는 학급 수가 몇 개 안되는 작은 시골학교에서 혁신학교가 운영되면서 교사와 학생 즉 교육구성원 간의 소통과 화합의 결과가 수치화 되어 나타난 것으로 보이며, 혁신학교의 정의인 지역성을 잘 반영한 교육과정이 편성되고 운영됨으로써 학생이 행복한 학교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의외의 결과인 것은 혁신학교의 근원지인 경기도 지역의 혁신학교 설문조사 결과이다. 수업 및 학습활동 영역에서 교수방법 하위영역에서 일반학교가 더 높게 나타났다. 물론 설문조사 학교와 학생의 개인적 성향 차이는 있겠지만, 이런 결과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즉 학생의 자발성과 교사들의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통해 교수방법이 마련되었을 텐데 혁신학교가 일반학교 학생들 보다 만족도가 낮다는 것은 교사와 학생들의 눈높이를 맞추는 교육을 하고 있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교사들도 자신의 열정과 능력을 믿고 학생들과 교감이 없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과 대화를 통해 수시로 점검하고 평가하여 문제점을 찾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부산의 설문조사 결과로 일반학교의 수치가 수업 및 학습활동 영역에서 수업방법, 학습동기, 교사관계, 교우관계, 그리고 수업 외 학교활동 영역에서 창의적 체험활동 하위영역에서 혁신학교 보다 높은 수치가 나왔다. 이는 혁신학교는 가장 늦게 시작되었고 그 운영기간이 가장 짧고 시작단계라서 아직은 성과가 제대로 드러나지 않는 과도기적 수치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부산은 여전히 혁신학교가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요구에 맞지 않거나 학생들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교과과정 편성이 되어 있지 않아 그럴 수 있다. 그러므로 총체적으로 혁신학교의 구조화 문화 및 교육과정을 점검하고 보완해야 될 것이다.
셋째, 수업 외 학교활동 영역 중 인성 및 생활지도에서 혁신학교 학생들의 만족도가 더 높게 측정되었다. 이 결과는 Yonhap News(2011)에서도 혁신학교의 만족도가 일반학교보다 높았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는 혁신학교 운영 후 새로운 학교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학생에게 친절하고, 학생들의 인권을 존중하며, 학생의 참여를 활발하게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이와 관련된 학생중심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때문에 일반학교와 차이가 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하지만 수업활동과 학습 영역에서 자기만족에서는 혁신학교보다 오히려 일반학교 학생들의 만족도가 더 높게 측정되었는데, 이는 혁신학교 운영에서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고 수업을 혁신할 수 있는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일반학교에 확산되고 그로 인한 교사들의 수업공개, 학습자 중심의 교육활동들이 많이 도입되면서 혁신학교가 아닌 일반학교의 학생들이 느끼는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아졌을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혁신학교와 일반학교를 막론하고 성적이 높은 학생이 성적이 낮은 학생보다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은 수치로 나타나는데, 이는 학생에 대한 평가를 성적이라는 잣대로만 평가하는 현행 교육제도 하에서 문제를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학생의 특성을 다양한 척도로 평가할 수 있고, 그 결과를 대학입시에도 반영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다양한 재능을 가진 학생들이 미래를 이끌어 나갈 이 시점에 학교성적만으로 학생을 평가하여 저울질 하는 것이 현실에 맞지 않다고 본다. 그러므로 국가기관에서는 이런 요구들을 반영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꿈과 끼를 발휘하여 자신의 능력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그런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제언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혁신고등학교와 일반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생활만족도 차이를 처음으로 비교 분석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하지만 서울, 경기, 전남, 부산 소재의 지역, 학년, 운영시기 등이 제한되어 있을 뿐 아니라,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 비교는 여러 가지 변인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권역별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를 2개 학교만 선정해서 만족도 차이 분석을 한 것이 설문조사 대상학교의 학교 지역성과 환경, 경영철학, 학교문화에 따라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현재 운영되고 있는 전국의 혁신학교의 결과라고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둘째, 혁신학교의 효과성이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초등학교나 중학교와는 달리 혁신고등학교와 일반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결과를 통해 우리는 현재 당면한 고등학교의 현실을 마주하지 않을 수 없다. 인문계고등학교를 다닌다는 것은 대학진학을 희망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고등학교의 학교생활과 학습에 대한 어느 정도의 기대치를 가지고 학교생활을 하고 있다. 그래서 학생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의 다양화, 특성화 그리고 학생들의 진학과 관련된 진로지도와 특색 있는 교육활동을 중점적으로 집중과 선택을 통해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따라서 고등학교에서 혁신학교를 운영할 학교를 선정함에 있어 정책적으로나 획일적으로 선정할 것이 아니라 지역성, 학교특성, 경영철학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선별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자가 설문대상인 혁신학교 선정 시 2011년부터 실시하여 비교적 혁신학교 운영이 확립된 학교를 선정하려 했으나, 설문조사의 번거로움으로 거절을 하는 학교가 많아서 동일한 운영시기에 학교를 섭외하는 것이 여의치 않았다. 그러므로 혁신학교 운영시기가 동일한 학교를 대상으로 비교하고 분석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지면 좋을 것으로 보인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7년 김은수 석사 학위 논문을 수정 및 보완하였음
Notes
References
- Baeg, BB, Song, SH, Nam, ML, and Lee, KA, (2013), Analysis of Gyeonggi Provincial Innovation High School Performance Analysis, Gyeonggi-do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 Bang, JH, (2008),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in School Life, Major in Consulting, Mokpo University Graduate School.
- Cho, TW, (2016), Analysis on the Effect of Innovation School, Education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Cho, YS, (2010), A Study on Improvement Measures of The Innovation School Policy in Gyeonggi-Do, Department of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Graduate of Joongbu University.
- Choi, JH, (2012), An analysis on the Reconstruction of Educational Views and Social Networks of Teachers Who Participate in 'Innovative School', Major in Educational Soci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 Gyeonggi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2009), 2009 Innovation School Promotion Plan.
- Gyeonggi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2011), 2011 Innovation School Promotion Plan.
- Gyeonggi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2012), Innovation School Promotion Plan.
- Gyeonggi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2012), Innovation school, we will make together.
- Gyeonggi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2013), Analysis of Gyeonggi Province Innovation School Performance by 2013.
- Han, HY, (2011),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G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wan Dong University.
- Jung, JY, (2013), A Case Study on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eachers' Culture within Recently Opened Innovative Elementary,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Jung, UB, (2011), The impact of student's social relationship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 with a focus on the relationships with parents, teachers and peers,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 Jung, YJ, Park, JS, Oho, TK, and Choe, SH, (2012),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Kim, DN, Kim, SC, Park, HS, So, YS, Oh, JK, Lim, SB, and Joong, BC, (2013), Innovation Training White Paper, Gyeonggi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 Kim, SG, and Oh, JA, (2011), Kim, Seong cheon happy school speaks pleasant educational innovation, Seoul, Window of the Age.
- Kim, SG, and Oh, JG, (2012), All of the innovative schools that parents should know, Seoul, Mome Dream.
- Kim, (2005), Study on the alternativ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Gongju University Graduate School.
- Kwak, SK, (2012),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Perceptions in Innovativ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Anyang University.
- Lee, MK, (2013), A study on sustainability of innovation school : Focused on analysis of the efficacy of the faculty in Gyeonggido Innovation school, Major in Human Resources Polic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al Policy and Administration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Na, MJ, and Park, SY, (2013), Autonomic school performance analysis, innovation school model Korea.
- Park, KH, (2008),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wandong University.
- Park, SA., (2015), A Study of Students' Satisfaction In School Life At Innovative Schools - The Case Under Gwangj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Major in General So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Park, SY, (2016), Comparison in School Life Satisfaction of Innovative Middle Schools and General Middle Schools in Jeollabuk-do, Major in Educational Methods and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nkwang University.
- Seo, NW, (2006), Music-centered Music Therapy (Chapter 6,12,13) Translation, Graduate School of Music Therapy, Sookmyung Wome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