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차 스케일링 기법에 기초한 비선형 PID 제어기 설계 및 전기-유압 서보시스템에의 응용
Abstract
In designing of controller, linear PID controllers display a conflicting relationship: a fast response requires large gains which, in turn, gives rise to a large overshoot. Recently, many studies introducing nonlinearities into the structure of the standard PID controller and changing them onlinely have been performed to solve this conflicting relationship. They can be divided roughly into two categories: one of them is nonlinearly to scale the input errors of the linear PID controller and the other is directly to realize three gains with nonlinear functions. This paper presents a NPID controllers with smooth nonlinear functions and time-varying gains. The parameters of the NPID controller were tuned in keeping with minimization of the ITAE ceriterion using an RCGA. The simulation works performed on electro-hydraulic servo-system with actuator saturation shows the feasibility of using the proposed method.
Keywords:
Error signal, Nonlinearity, PID controller, Genetic algorithm, Electro-hydraulic servo-systemⅠ. 서 론
종래의 선형 PID 제어기는 다른 제어기보다 설계와 동조가 쉽고, 간단한 제어시스템에서는 제어성능이 우수하면서도 현장 기술자들이 비교적 쉽게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선형 PID 제어기에서는 응답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이득을 크게 하면 오버슈트가 크게 되고, 반대로 오버슈트를 줄이기 위해 이득을 감소시키면 응답속도가 느려진다. 이와 같은 상반된 관계 때문에 실제 현장에서 적용할 때는 빠른 응답속도와 작은 오버슈트 발생 요구 간에 적절한 타협이 필요하다. 또한, 파라미터가 고정된 기존의 제어기는 설계 시의 조건과 다른 제어 환경에서 사용하면 우수한 성능을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불안정해질 수도 있다.
최근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퍼지이론, 게인 스케줄링, 신경회로망, 적응기법 등을 접목하는 연구(Banu et al., 2008; Chen et al., 1999)와 표준형 선형 PID 제어기의 구조에 비선형 요소를 추가하고 온라인으로 제어기 이득을 변경하는 일련의 연구들이 많이 수행되어 오고 있다.
비선형 PID 제어기의 이득을 온라인으로 변경하는 기법에는 오차신호를 비선형적으로 스케일링한 후, 이 스케일된 오차를 비례, 적분 및 미분 제어기에 각각 입력하여 비선형 이득을 구현하는 방법과 제어기의 세 이득을 비선형 함수로 직접 구현하는 방법 등 이 있다.
전자에 의한 연구 예로 Seraji(2000)는 오차신호를 비선형적으로 스케일링한 후 선형 PID 제어기에 입력하는 단순한 형태의 비선형 제어기를 제안하였으며, 스케일링 함수로는 시그모이드(sigmoid)와 하이퍼볼릭(hyperbolic) 함수의 사용을 검토하였다. Jiang et al.(2001)은 PID 제어기의 비례, 적분 및 미분 동작을 동일한 형태의 비선형 함수로 구현한 NPID 제어기를 제안하고 차량 ABS(Anti-Lock brake system)의 제동 문제에 적용하였다.
제어기 이득을 비선형 함수로 직접 구현하는 연구에는 비선형 함수로 하이퍼볼릭 시컨트(hyperbolic-secant) 함수 및 지수함수를 많이 이용한다. Isayed et al.(2007)은 하이퍼볼릭 시컨트(hyperbolic-secant) 함수 및 지수함수를 이용한 비선형 PID 제어기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서보 시스템에 적용하여 성능을 향상시켰으며, Zhang et al.(2012)이 세 이득을 하이퍼볼릭 시컨트와 지수 함수로 표시한 표준형 PID 제어기를 제안하고 발전기의 여자 제어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또한, Chen et al.(2012)은 오차의 제곱을 입력으로 받아 비선형 비례 및 적분 제어를 구현하고, 오차에 대한 지수함수를 사용하여 비선형 미분이득을 구현하여 전기-유압 서보시스템에 적용하여 성능을 향상시켰지만 동조해야 할 파라미터가 많고 제어 성능이 다소 떨어진다.
본 논문은 전자에 해당하는 방법으로서 오차신호를 비선형적으로 스케일링하기 위해 세 개의 유사하고 간단한 비선형 함수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비선형함수들의 출력이 PID제어기의 동작신호로 작동하여 출력을 구현하는 비선형 PID(NPID; Nonlinear PID) 제어기를 설계하고 그 파라미터들을 최적으로 동조하는 문제를 다룬다. 특히 미분제어를 위한 오차함수는 오차와 오차 변화율의 곱이 양이 될 때 큰 제동이 걸리도록 그 크기를 변경해주는 비선형 함수를 사용하였다.
또한, 이상적인 미분동작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미분동작에 필터를 가진 수정된 미분 제어기를 사용하고, 현장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포화기를 고려한 제어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제안하는 NPID 제어기의 파라미터들은 제어기, 포화기, 플랜트 등으로 이루어진 전체 제어 시스템에서 설정값 추종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평가함수 ITAE(Integrate Time Absolute Error)를 최소화하는 관점에서 실수코딩 유전알고리즘(RCGA: Real Coded Genetic Algorithm)으로 동조된다(Jin, 2000).
제안한 N-PID제어기는 Chen et al.(2012)이 그들의 비선형 PID 제어기를 테스트하기 위해 사용한 3차 전기-유압 서보시스템에 적용하고 다른 두 방법과 비교하여 그 유효성을 확인한다.
Ⅱ. 연구 방법
1. Chen의 NPID 제어기
일반적으로 비선형 PID 제어기는 시간영역에서 식 (1)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Kp(e(t)), Ki(e(t)) 및 Kd(e(t))는 각각 비례이득, 적분이득 및 미분이득을 의미하는 시변이득(time-varying gains)이고 이들은 오차 e(t)의 함수로 특정 지워진다.
(1) |
편의상 e(t)를 e로 간략히 표기하고 식 (1)을 주파수 영역으로 표현하면 제어기의 전달함수 C(s)는 식 (2)와 같이 쓸 수 있다.
(2) |
Chen et al.(2012)은 전기-유압 서보시스템의 위치제어를 위해 NPID 제어기를 제안하였고, 비례이득, 적분이득 및 미분이득을 식 (3)과 같이 오차 e의 함수로 정의하였다.
(3a) |
(3b) |
(3c) |
여기서 kpj(j = 1,2), kij(j = 1,2), kdj(j = 1,2,3)는 각각 비례이득, 적분이득 및 미분이득과 관련된 미결정 파라미터이고 ρj(j = 1,2,3)는 가중치를 의미한다.
2. 제안하는 NPID 제어기
본 연구에서는 표준형 PID 제어기에서 일어날 수 있는 미분폭주 현상을 줄이기 위해 표준형 NPID 제어기의 미분동작 부분을 식 (4)처럼 변경한 것을 사용하며 세 이득은 시변적으로 변경된다.
(4) |
여기서 Kp(e)와 Ki(e)는 오차의 비선형 함수로서 각각 시변 비례이득 및 시변 적분이득이고, 는 오차 및 오차 변화율의 부호에 따라 달리 선택되는 비선형 함수로서 시변 미분이득이다. 는 미분시간이며, N은 8~20 사이에서 경험적으로 정해지는 상수이고 여기서는 10이 사용된다(Åström, 2006).
(1) 비선형 비례이득(Nonlinear proportional gain)
비례동작은 비례이득과 현재 오차의 크기에 비례해서 커지며, 응답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오차가 클 때에 비례이득도 적절히 크게 해줄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응답이 설정치 부근에 도달해 오차가 작을 때에도 계속 큰 비례이득을 유지하면 과도한 제어로 오버슈트와 진동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해 NPID 제어기의 비례이득 Kp(e)는 오차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비선형적으로 조절되도록 식 (5)와 같은 함수를 제안한다.
(5a) |
(5b) |
여기서 kp는 양의 상수이고, gp(e)는 두 매개변수 ap(≥1) 와 cp(>0)를 가지는 비선형 함수이다. 식 (5b)에서 오차가 무한대로 커지면 gp(e)는 상한값 1로 수렴하고, 반대로 오차가 0이면 하한값 (1-1/ap)로 수렴하며 그 크기는 ap값에 따라 달라진다.
[Fig. 2]는 ap와 cp 중 한 개는 고정하고 나머지 한 개를 변화시켰을 때 오차에 대한 gp(e)의 변화 형태를 보여준다. gp(e)가 작아지는 지점의 깊이는 ap값에 의해 결정되며 ap값이 작을수록 깊어진다. cp값은 폭을 결정하며 cp값이 작을수록 폭은 넓어진다.
(2) 비선형 적분이득(Nonlinear integral gain)
적분동작은 누적오차 값이 클수록 또는 적분이득이 클수록 커진다. 오차의 절대값이 클 때에는 적분이득 값을 줄여 오버슈트 발생에 대비하고, 오차의 절대값이 작을 때에는 적분이득 값을 크게 해서 정상상태 오차를 줄이도록 적분이득을 설계한다. 이를 위해 식 (6)의 함수를 제안한다.
(6a) |
(6b) |
여기서 ki는 양의 이득이고, gi(e)는 ci(> 0)를 파라미터로 갖는 비선형 함수이며 0과 1 사이의 값을 갖는다.
[Fig. 3]은 ci가 1, 2, 3일 때 오차의 변화에 따른 gi(e)의 모양을 나타낸 것으로 ci는 함수의 폭을 결정하며 ci값이 작을수록 폭은 넓어진다.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오차가 0이면 gi(e)는 상한값 1로 수렴하고 반대로 오차가 무한대로 커지면 하한값 0으로 수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3) 비선형 미분이득((Nonlinear derivative gain)
미분동작은 오차의 변화율과 미분이득에 비례해서 커지고, 비례동작과 적분동작이 커지면 출력도 같이 커질 것을 미리 예측하고 제동을 걸게 된다. 전체 제어 사이클 동안 필요 이상의 제동을 걸면 응답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그러나 만약 특정 사이클 동안만 제동을 걸면 비례동작과 적분동작을 더 과감하게 활용할 수 있어 오버슈트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오차와 오차 변화율의 곱이 양()인 영역에서 좀 더 큰 제동을 걸도록 미분이득의 크기를 변경하며 이를 위해 식 (7)로 기술되는 시변 함수의 사용을 제안한다.
(7a) |
(7b) |
여기서 kd는 양의 이득이고, 는 두 매개변수 ad(≥1)와 cd(>0)를 가진 비선형 함수이고 역시 0과 1 사이의 값을 갖는다.
[Fig. 4]는 현재의 오차와 오차의 변화율 를 변화시켜 가며 를 그린 것이다. 그림의 평면에서 e의 절대값이 크면 는 1로 수렴하고, 반대로 작으면 (1-1/ad)에 수렴하지만 그 크기는 ad값에 따라 달라진다.
한편 식 (4)에 있는 로부터 구할 수 있다.
Ⅲ. 연구 결과
1. 모의 실험 및 검토
이 장에서는 앞 장에서 설계한 NPID 제어기를 Chen et al.(2012)이 제안한 NPID 제어기와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그들이 제어대상으로 사용한 식 (8)과 같은 3차 전기-유압 서보시스템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하고, Chen-NPID 제어기 및 Chen이 비교 대상으로 사용한 선형 PID 제어기(이후 Chen-LPID라 함)와 비교 검토한다.
(8) |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안하는 NPID 제어기는 3개의 시변이득 를 가지며 여기에는 총 8개의 조정해야 할 파라미터가 존재한다. 각 파라미터를 동조할 때 실제 조작기(actuator)의 동작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제어기와 플랜트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비선형 포화기가 있는 것으로 가정하며 umin = -250, umax = 250으로 하였다.
(9) |
이들 파라미터에 대한 동조는 포화기 및 전기-유압서보 모델 P(s)가 결합된 전체 제어 시스템이 원하는 설정치 추종 성능을 만족하도록 적절히 수행된다. 이때 일어나는 다변수 최적화 문제는 [Fig. 5]와 같이 RCGA(Real Coded Genetic Algorithm)를 이용하여 해결한다.
시스템의 성능이 좋고 나쁨을 계량하기 위해 식 (10)의 ITAE(Integral of time-weighted absolute error)를 성능지수로 사용한다.
(10) |
여기서 ϕ= [kp,ki,kd,ap,cp,ci,ad,cd]T∈R8은 NPID 제어기의 이득과 관련된 조정할 파라미터로 구성되는 벡터이고, e(t)는 오차, yr(t)는 설정치, y(t)는 출력이며, 적분시각 tf는 이후의 적분 값이 무시될 수 있도록 충분히 큰 값이다.
RCGA로 조정 파라미터를 최적화 할 때 각 파라미터는 구간 0≤kp≤600, 0≤ki≤100, 0≤kd≤50, 1≤ap,cp,ci,ad,cd≤50에서 탐색되었으며, 집단의 크기 Psize= 50, 교배확률 Pc= 0.9, 돌연변이 확률 Pm= 0.05, 돌연변이 매개변수 b= 5를 사용하였다.
[Fig. 6]은 최적으로 동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약 60 세대에서 해를 찾는 것을 알 수 있다.
Chen-NPID 제어기 내에 있는 10개의 미결정 파라미터 값은 PSO(Particle Swarm Optimization) 알고리즘에 의해 ITAE를 최소로 하는 관점에서 탐색되었는데 본 논문에서는 Chen et al.(2012)의 연구 결과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또한, Chen-LPID 제어기의 이득도 그들의 논문에서 제시한 값을 그대로 인용하여 사용하였다. <Table 1>은 각 제어기 내에 있는 동조된 파라미터들을 정리한 것이다.
[Fig. 7]은 설정치 추종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각 제어기들의 계단상 응답과 그 때의 제어입력 을 나타낸 것으로 시스템 내에는 비선형성 마찰을 포함하고 있다. [Fig. 8]은 이때 제안한 NPID 제어기의 각 이득 값이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시변 비례이득은 오차가 클 때 크고 오차가 어느 정도 작아지면 급격히 작아진다. 시변 적분이득은 오차가 클 때 작고 오차가 작을 때는 커져서 정상상태 오차를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변 미분이득은 응답의 그래프에서 오차가 양이고 오차의 변화율이 음이므로 변하지 않는다.
각 제어기들의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도달시간 tr과 봉우리 시간 tp, 오버슈트 Mp, 2% 정정시간 ts, 절대오차의 적분(Integral of Absolute Error: IAE)을 사용하였다. 이때 Mp = |y - ymax| 또는 |y - ymin|를 의미한다. <Table 2>는 이들을 계산하고 요약한 것이다.
[Fig. 7]과 <Table 2>에서 알 수 있듯이 제안한 NPID 제어기에는 약간의 오버슈트가 발생하지만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며, Chen et al.(2012)이 제안한 제어기보다 더 짧은 상승시간 tr과 정정시간 ts를 나타내고 있고 IAE도 훨씬 작다. 특히 Chen이 비교대상으로 택한 LPID 제어기는 추종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
실제 적용에서는 계측잡음의 포함될 수 있다. 잡음에 대해 제안한 NPID 제어기의 강인함을 입증하기 위해 피드백 되는 출력신호에 0.03×sin(500t)+0.002×(300t) 크기의 잡음에 의해 교란되는 것으로 간주하고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Fig. 9]와 <Table 3>에서 알 수 있듯이 제안한 NPID 제어기와 Chen-NPID는 잡음이 있더라도 성능 변화가 거의 없지만, Chen-LPID 제어기는 제어 입력이 빠른 속도로 진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은 제어시스템이 외란에 대해서도 강인하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유압모터가 설정치 만큼 회전하여 있는 상태에서 3초 시점에 설정치의 약 20%에 해당하는 계단상의 각변위 외란을 부가하였다.
[Fig. 10]은 이때의 응답과 입력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에도 제안한 방법은 효과적으로 외란을 억제하고 있지만 Chen에 의한 방법은 회복시간이 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각 제어기들의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외란의 영향이 소멸되고 출력이 설정치로 회복되는데 걸리는 회복시간 (Recovery time) trcy와 절대오차의 적분 IAE를 구하였다. trcy는 출력 y가 설정치 yr의 2% 이내로 회복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제안한 제어기의 회복시간은 Chen-NPID보다 약 2.7배 짧아진 것을 볼 수 있고 IAE도 제일 작다.
Ⅳ.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오차신호를 비선형적으로 스케일링하기 위해 세 개의 유사한 비선형 함수를 사용하며 이러한 비선형함수들의 출력이 제어기의 동작신호로 작동하여 출력을 구현하는 비선형 PID 제어기를 제안하였다. 또한, 이상적인 미분동작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필터를 가진 수정된 PID 제어기를 사용하고, 포화기를 고려한 제어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제어기 내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은 ITAE를 최소로 하는 관점에서 유전알고리즘으로 동조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3차 전기-유압 서보시스템의 각변위를 제어하는 문제에 적용하였고, 그 성능을 검정하기 위해 Chen의 비선형 PID 제어기 및 선형 PID 제어기와 비교한 결과 제어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차후 안티와인드업기법을 결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References
- Åström, K, and Hägglund, T, (2006), Advanced PID Control, ISA-The Instrumentation, Systems, and Automation Society.
- Banu, US, and Uma, G, (2008), Fuzzy gain scheduled CSTR with GA-Based PID, Chemical Engineering Communication, 195, p1213-1226. [https://doi.org/10.1080/00986440801907003]
- Chen, CT, and Peng, ST, (1999), Learning control of process systems with hard input constraints, Journal of Process Control, 9, p151-160. [https://doi.org/10.1016/S0959-1524(98)00038-9]
- Chen, J, and Lu, B, (2012), A nonlinear PID controller for electro-hydraulic servo system based on PSO algorithm, Applied Mechanics and Materials, 141, p157-161. [https://doi.org/10.4028/www.scientific.net/AMM.141.157]
- Isayed, BM, and Hawwa, MA, (2007), A nonlinear PID control scheme for hard disk drive servosystems, Proc. of the 15th Mediterranean Conf. on Control and Automation, T16-014. [https://doi.org/10.1109/MED.2007.4433790]
- Jiang, F, and Gao, Z, (2001), An Application of Nonlinear PID Control to a Class of Truck ABS Problems, Proc. of the 40th IEEE Conference on Decision and Control, p516-521. [https://doi.org/10.1109/CDC.2001.980154]
- Jin, G, (2000), Genetic Algorithms and Their Applications, Kyowoo Publishing Co.
- Seraji, H, (2000), A New Class of Nonlinear PID Controllers, Proc. of 2000 IFAC Workshop on Digital Control. [https://doi.org/10.1016/S1474-6670(17)44245-5]
- So, GB, (2014), RCGA-based design of nonlinear PID controller, M.S. Thesis, Department of Control & Instrumentatio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p23-27.
- Zhang, H, and Hu, B, (2012), The application of nonlinear PID controller in generator excitation system, Energy Procedia, 17, p202-207. [https://doi.org/10.1016/j.egypro.2012.02.0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