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ㆍ해운계 고등학교의 NCS기반 교육과정 현황 분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ata that could help fisheries & maritime high schools effectively manage the NCS-based curriculum considering the problems that may arise when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curriculum. In order to complete the purpose, NCS-based curriculum of 11 fisheries & maritime high schools nationwide were analyzed. The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s restructured departments in the order of ship & navigation, agriculture & forestry & fisheries & Ocean, food processing , and machinery of the NCS-based curriculum. The total units of specialized courses were generally similar but, practical courses are organized lower than basic courses except for some schools.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nd operate the curriculum in consideration of the fusion of two or more jobs. Second, subsequent research, such as a complete survey or qualitative research, is required to find out the exact facts,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the experiences of students and teachers. Thir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process-oriented evaluation on performance so that the education and on-the-job skills can be unified.
Keyword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based curriculums, Fisheries & maritime high schoolⅠ. 서 론
21세기 세계화, 정보화 및 고도 산업화 사회의 수산ㆍ해운계열 교육은 신해양 시대가 요구하는 수산ㆍ해운계열 산업 및 해양 산업분야의 인재육성을 목표로 한다(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특히 생활수준의 향상과 주 5일제 근무 등으로 인한 여가 시간이 증대와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의 특성상 수산ㆍ해양과 관련된 양식, 식품가공, 생활 해양레저 및 해운산업 등은 미래 성장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신해양 시대에 새롭게 전개될 미래 산업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수산ㆍ해운 분야 산업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인력 양성을 위해 수산·해운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은 실무중심으로 적용되어야 한다(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현재 수산ㆍ해운계열 학과를 운영 중인 국내의 고등학교는 마이스터고등학교 3개교와 특성화고등학교 8개교가 있으며, 새로운 지식과 기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교육과정에 포함시켜 현장실무역량을 갖춘 숙련된 기능인을 양성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015개정교육과정에서 실무관련교육이 강조되었으며, 최소의 사회적 비용으로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현장 실무형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NCS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이 개발, 고시되었다. 이어 2016학년도부터 전국의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에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의 교육과정이 보급되었으며, 2018학년도부터 NCS기반 교육과정이 편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Kim, 2016). 그러나 학교현장에 익숙하지 않은 산업현장전문가들이 집필한 교재를 실무과목 교과서로 활용한다거나, 상당수의 특성화고 교원들이 산업체 근무 경험이 없고, 장비와 시설의 문제 등의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Kim, 2017). 따라서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이 각 학교의 특성에 맞게 효과적으로 안착되고 적용되기 위해서는 그 실태를 점검하고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하여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대학 등에서도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Byun, 2019; Choi et. al., 2015; Kim et. al., 2013; Kim, 2015; Lee, 2016; Ministry of Education, 2015), 수산ㆍ해운계열 고등학교의 NCS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현실이다. 최근 5년간 수산ㆍ해운계 고등학교의 NCS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는 식품가공관련학과의 교육과정 분석(Lee, 2019), NCS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수준분석(Cho, 2018), 해양레저 교육과정 개발(Kim, 2015) 등에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행 수산ㆍ해운 계열의 교과군 형황을 알아보고 전국의 11개 수산·해운계 고등학교의 NCS기반 교육과정 편성 실태를 분석하여, 학생들이 산업 현장의 직업기초능력을 갖추어 실무에 적용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ㆍ정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NCS기반 교육과정을 편성 및 운영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수산ㆍ해운계 고등학교가 효과적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수산ㆍ해운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산ㆍ해운계 고등학교의 학과분포 및 전문교과 편성비율은 어떠한가?
둘째, 수산ㆍ해운계 고등학교의 NCS기반 교육과정의 편성 현황은 어떠한가?
Ⅱ. NCS기반 교육과정 및 수산ㆍ해운계 특성화고등학교 NCS 교과군 현황
기존의 직업교육훈련과 자격체계가 산업현장이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으며(Kim et. al., 2013), 학교중심 직업교육의 현장성 부족으로 인해 졸업생들의 현장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산업체가 막대한 재교육비를 투입하고 있다는 지적(Lee, 2014)이 있어왔다. 이에 산업현장 및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직무능력을 산업부문별, 수준별로 국가차원에서 표준화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를 개발하였으며, NCS 능력단위를 교육 및 직업 훈련 시 활용할 수 있도록 NCS학습모듈을 구성하였다. NCS 학습모듈은 NCS의 능력단위를 교육 훈련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한 ‘교수ㆍ학습 자료’이다(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기반 교육과정이란 특정 직무에 대하여 NCS에서 규정된 능력단위를 토대로 구상한 교육과정을 의미하는데, 산업수요와 직업의 변화를 고려하여 학과를 개설하고 학과별 인력양성 유형, 학생의 취업역량과 경력개발 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 것을 말한다(Byun, 2019). 즉, 학교교육이라는 큰 틀 안에서 직업을 체험할 수 있도록 정비하고 직업교육을 내실화하여 전문적인 인재양성을 위한 직업교육을 강화하여(Choi et. al., 2015) ‘알기만 하는 교육’에서 ‘할 줄 아는 교육’으로 개선한 것이다.
특성화고등학교의 전문계열은, 농·생명산업 계열, 공업 계열, 상업정보 계열, 수산·해운계열, 가사·실업계열의 5개의 전문분야로 분류되었으며, 수산ㆍ해운계열의 기준 학과는 해양생산과, 수산양식과, 자영수산과, 수산식품과, 해양환경과, 냉동공조과, 동력기계과, 항해과, 전자통신과, 해양레저산업과, 항만 물류과, 해양정보과로 분류되었다(NCIC, 2009). 그러나 특성화고등학교를 구별하는 5개 계열은 1960년대부터 구분된 계열로 각 학교 특성과 현행산업 및 NCS분류체계와 연계가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었다(Jang et. al., 2014). 또한 급변하는 사회의 역동성과 현행 산업ㆍ직업의 분류체계를 반영하지 못하여 인력양성유형을 설정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Kim, 2017).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2015개정교육과정에서는 NCS 대분류와 교육과정의 연계 강화를 위해 한국고용직업분류(KECO)에 따른 인력구조 특성의 분석을 토대로 5개 계열을 17개의 교과군으로 재구조화하였다. 또한 기존의 251개 전문교과를 전문공통과목 1개, 기초과목 180개, 실무과목 364개로 개편하여(교육부 2018-150호)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연계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현행 수산ㆍ해운계열은 운전운송, 기계, 식품가공, 농림 어업의 NCS 대분류에 따라 ‘선박운항’, ‘기계’, ‘식품가공’, ‘농림ㆍ수산해양’ 교과군으로 분류되었다. ‘선박운항’ 교과군은 항해기초, 해사일반, 해사법규, 선박운용, 해사영어, 항해사실무 등을 포함하는 16개 기초과목과 항해, 선박통신, 선박기관운전, 선박갑판관리 4개의 실무과목으로 개편되었으며, ‘기계’ 교과군에는 개편 된 18개 기초과목 중 6개(냉동공조일반, 냉동공조기기, 선박이론 등), 56개 실무과목 중 12개(냉동공조설치, 냉동공조 유지보수관리, 선체품질관리 등)의 수산해운관련 교과목이 포함되어 있다. ‘식품가공’ 교과군은 식품과학, 식품가공기술, 식품분석 3개의 기초과목과 수산식품가공, 축산식품가공, 건강기능식품 제조가공, 식품품질관리 등 11개의 실무과목으로 개편되었으며, ‘농림ㆍ수산해양’ 교과군은 41개의 개편된 기초과목 중 15개(해양의 이해, 수산해운 산업 기초, 해양생산일반, 수산경영, 관관레저서비스 실무 등)와 40개의 실무과목 중 13과목(연안어업, 원양어업, 수산생물질병관리, 내수면어업, 수산종묘생산, 어촌체험상품개발 등)의 수산ㆍ해운계열 교과목이 포함되어 있다.
NCS 분류에 의한 교과군의 수산ㆍ해운계열 기준학과를 살펴보면, ‘선박운항’ 교과군은 항해과, 기계과로, ‘기계’ 교과군은 냉동공조과, 조선과로, ‘식품가공’ 교과군은 식품가공과로, ‘농림ㆍ수산해양’ 교과군은 수산양식과, 해양생산과, 해양레저과로 분류되어있다([Fig 1]).
전문교과Ⅱ 과목의 이수 단위는 시ㆍ도 교육감이 정하며, 전문공통과목, 기초과목, 실무과목은 모든 교과(군)에서 선택할 수 있다. 학과명은 NCS중분류 명칭, 교과군 명칭, 기준학과별 취득 가능 자격증 명칭 등을 고려하여 학교가 필요인력 양성 방향에 맞춰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Ministry of Education, 2018).
Ⅲ. 수산ㆍ해운계 특성화고등학교의 NCS교육과정 분석
본 연구에서는 수산ㆍ해운계 NCS기반 교육과정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전국 11개 수산·해운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수집하였다. 교육부, 특성화고ㆍ마이스터고 포털, 학교알리미 사이트와 각 학교의 홈페이지에 탑재된 정보를 활용하였으며, 편성표에 제시된 내용 중 교육부 고시 2018-150호가 적용되는 2019학년도 입학생의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편성된 교과목의 NCS 능력단위 수준를 파악하여 분석하고자 하였으나, 각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표에는 전문교과의 실무과목명만 제시되어 있어 능력단위 수준은 본 연구의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학과분포 분석결과 학교별로 적게는 2개, 많게는 5개의 학과가 운영되고 있었으며, 학 학과별로 1~5개의 NCS기반 교과목이 편성되어 있었다. 현재 운영 중인 전문교과를 기초과목과 실무과목으로 구분하여 편성비율을 확인하였으며, 각 학교의 NCS기반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자료를 조사하여 비교하고, 편성 현황을 분석하였다.
1. 수산ㆍ해운계 고등학교의 학과 분포 및 NCS기반 실무과목 운영 현황
수산ㆍ해운계 학과를 운영하는 전국의 고등학교는 마이스터고 3개교와 특성화고등학교 8개교가 있다. NCS 중분류의 ‘선박운항’교과군을 기반으로 한 학과는 항해과, 기관과, 어선운항관리과, 항해사관과, 기관시스템학과 등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농림ㆍ수산해양’교과군을 기반으로 한 학과는 수산자원양식과, 자영해양생산과, 해양생명과학과, 해양생산과, 자영수산과, 해양기술과, 해양산업기술과, 해양산업과 등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식품가공’교과군을 기반으로 한 학과는 수산식품가공과, 식품외식산업과, 해양식품가공과, 자영수산과, ‘기계’교과군을 기반으로 한 에너지시스템과, 동력기계과, 냉동공조과, 해양산업기계과 등이 운영되고 있었다. 각 학교들은 교육목표나 특성화고의 다양화, NCS기반 직업교육과정에 따른 산업수요 및 인력양성에 맞추어 NCS 교육과정에서 고시한 기준학과명 외에도 식품외식산업과, 해양레저관광과 등 융합적으로 다양한 학과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며, 동일학과 내에서도 다른 코스를 운영하여 다양한 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농림ㆍ수산해양, 선박운항, 식품가공, 기계 교과군의 순으로 기준학과가 재구조화되어 있으며, ‘정보ㆍ통신’ 교과군을 기반으로 한 해양통신시스템학과, ‘전기ㆍ전자’ 교과군의 실무과목인 내선공사를 실무과목으로 편성한 동력기계과, ‘재료’ 교과군의 피복아크용접을 실무과목으로 편성한 해양산업기술과 등 융합적으로 학과 및 NCS기반 실무과목이 운영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전문공통과목인 ‘성공적인 직업생활’을 전문교과의 공통과목으로 선택하였으나, 포항해양과학고는 보통교과군의 기술ㆍ가정을 대체하여 개설하였으며, 선택하지 않은 학교도 있었다. 모든 학교의 모든 학과에서 1과목 이상의 NCS기반 교과목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부산해사고, 인천해사고, 완도수산고와 충남해양과학고, 포항해양과학고, 여수해양과학고는 모든 학과에 3과목 이상의 NCS기반 교과목을 운영하고 있다. 충남해양과학고는 학생선택과목을 개설하여 학생이 계열과정, 전공 학과의 필요한 교과목을 선택하고 이수해 나갈 수 있도록 자기주도적 선택형 교육과정을 기본으로 하여 운영하고 있다.
실무과목은 인천해양과학고 식품외식산업과의 ‘한국조리(1학년 1, 2학기)’, 여수해양과학고 자영수산과의 ‘내수면양식(1학년 1, 2학기)’를 제외하고는 모두 2~3학년에 편성되어 있다. 1개 학기에만 실무교육이 편성된 학교와 학과는 포항해양과학고 해양산업기술과의 ‘원양어업(3-1)’과 ‘선박통신(3-1)’, 해양산업기계과의 ‘냉동공조설치(2-2)’, ‘피복아크용접(2-2)’, 해양통신시스템과의 ‘선박통신(2-2)’, ‘무선통신구축ㆍ운용(2-2)’, 해양생명과학과의 ‘해면양식(3-1)’, 인천해양과학고 항해사관과의 ‘선박통신(2-2)’, ‘어선전문(2-2)’, 식품외식산업과의 ‘김치ㆍ반찬가공(2-2)’, 신안해양과학고 수산가공조리과의 ‘한국조리(2-1)’, ‘제빵(2-2)’, 경남해양과학고 자영해양생산과의 ‘내수면양식(3-1)’, 완도수산고 어선운항관리과 기관코스의 ‘기관사직무(2-2)’, 그리고 부산해사고와 인천해사고 기관과의 ‘선박기관정비(3-2)’, ‘선박보조기계정비(3-2)’이다.
각 학교와 학과별 특색에 따라 실무과목의 선택과 단위 수는 차이가 나타났다. ‘NCS 선박운항 교과군’ 중 실무과목으로 가장 많이 선택한 과목은 7개 학교 8개 학과의 ‘선박통신’과목으로 2~15단위로 편성되어 있었으나, 편성단위에 있어서는 ‘선박운항관리’가 9~49단위로 가장 많이 편성되어 있었다. ‘농림ㆍ수산해양 교과군’ 중 가장 많이 편성되어 있는 실무과목은 7개 학교의 ‘내수면 양식’으로 6~26단위였으며, 그 다음으로 ‘원양어업’이 4개 학교에서 4~15단위로 편성되어 있었고, 어촌체험상품개발(23단위), 수산종묘생산(14단위) 등의 과목도 개설되어 있었다. ‘기계 교과군’에서는 4개 학교의 냉동공조(장치)설치 4~36단위, 3개 학교의 선박기관정비 6~10단위, 2개 학교의 선박보조기계정비 각 6단위 외에 냉동공조설계(20단위), 냉동공조 유지보수관리(22단위) 등의 과목이 개설되어 있었다.
식품가공관련 학과를 개설한 학교는 완도수산고, 신안해양과학고, 여수해양과학고, 인천해양과학고, 포항해양과학고로 학교별로 ‘식품가공 교과군’에서 편성된 과목은 ‘수산식품가공’이 5개 학교에서 4~16단위로 가장 많았으며, 제빵(4~7단위), 김치반찬가공(4단위), 한국조리(7단위), 축산식품가공(12~16단위), 제과(8단위), 건강기능식품가공(8단위), 식품풀질관리(8단위), 일식복어조리(8단위)의 과목이 편성되어 있었다.
이상으로 살펴보면 각 학교와 학과가 추구하는 인력양성유형에 따라 교육과정이 편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나 편성단위가 일부과목에 편중되어 있는 경우도 볼 수 있다. 또한, 학과와 관련이 없어 보이는 과목이 편성된 경우도 찾아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검토와 꾸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2. 수산ㆍ해운계 고등학교의 교과 편성비율 및 취업률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특성화고등학고의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편성 단위가 각각 66단위 이상, 86단위 이상으로 기준이 되어 있는데, 분석한 11개 학교의 보통교과와 전문교과의 편성단위를 살펴보면, 동일 학교 내에서는 학과와 상관없이 보통교과와 전문교과의 편성단위가 동일하였다.
보통교과는 최소 66단위, 최대 86단위로 편성되었으며, 전문교과는 최소 94단위에서 최대 114단위로 편성되었다. 11개 학교 모두 교과(군)의 총 이수단위는 180단위이며, 창의적체험활동 24단위를 포함한 총 이수단위는 204단위이다.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편성비율의 차이가 가장 적은 학교는 경남해양과학고로 47.8:52.2의 비율을 보였으며, 그 다음은 울릉고(47.2:52.8), 신안해양과학고(45.6:54.4), 충남해양과학고(44.4:55.6), 여수해양과학고(42.2:57.8), 인천해양과학고(41.1:58.9), 완도수산고(40.6:59.4), 성산고(37.8:62.2), 부산해사고(36.7:63.3), 인천해사고(36.7:63.3), 포항해양과학고(36.7:63.3)의 순이었다([Fig 2]).
전문교과의 기초과목(공통과목 포함)과 실무과목의 편성비율은 경남해양과학고를 제외하고는 동일 학교라 하더라도 학과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전문교과의 총 이수단위는 대체로 비슷하였으나, 부산해사고, 인천해사고, 신안해양과학고, 여수해양과학고, 충남해양과학고를 제외하고는 실무과목이 기초과목보다 낮게 편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Table 2>).
NCS기반의 실무과목의 편성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충남해양과학고의 냉동공조과로 78단위(78%)를 편성하였으나, 전체학과평균 가장 높은 실무과목 편성학교는 67단위의 부산해사고였다. 실무과목의 편성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로 대부분의 학과에서 10%이하의 편성률을 보였으나, 학과필수 전문과목과 학생선택 전문과목을 분류하여 계열 과정이나 전공 학과의 교과목을 선택ㆍ이수해 나가면서 실용적인 심화전공으로 완성해 나갈 수 있도록 자기주도적 선택형 교육과정을 기본으로 운영하고 있다.
2018년 기준 취업률 평균은 10.88%~97.06%로 학과별로 2~4과목의 NCS교과목을 운영하는 완도수산고의 취업률은 학과 평균 97.06%, 부산해사고 90.38%, 인천해사고 93.39%로 마이스터고의 취업률이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다. 3과목의 NCS기반 교과목을 운영하는 경남해양과학고는 전체 졸업생 36명 중 20명이 취업하여 특성화고등학교 중 가장 높은 취업률을 보였다.
여수해양과학고는 학과별로 3~4과목을, 울릉고, 충남해양과학고, 포항해양과학고는 모든 과에 3과목씩 NCS기반 교과목을 운영하고 있는데, 각각 48.85%, 50.0%, 34.44%, 37.67%의 취업률을 보였다. 이는 2017년 기준 특성화고등학교의 평균 취업률 50.6% 이하로, NCS기반 교과과정의 운영과 취업률의 관련성은 크지 않음이 시사된다.
Ⅳ.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수산·해운계열 고등학교의 NCS기반 교육과정의 현황을 파악하여, 학생들에게 필요한 현장 중심의 직무능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정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수행되었다.
학교유형별로 수산ㆍ해운계열 고등학교의 학과분포 및 명칭을 분석한 결과 수산ㆍ해운계 고등학교의 학과는 NCS기반 교과군의 선박운항, 농림ㆍ수산해양, 식품가공, 기계의 순으로 기준학과가 재구조화되어 있으며, ‘정보ㆍ통신’ 교과군을 기반으로 한 해양통신시스템학과도 운영되고 있다. 그 외에 동력기계과에서 ‘전기ㆍ전자’ 교과군의 실무과목인 ‘내선공사’를, 해양산업기술과에서 ‘재료’ 교과군의 ‘피복아크용접’을 편성하여 필요인력 양성 방향에 맞춰 운영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문교과의 총 이수단위는 대체로 비슷하였으나, 몇몇 학교를 제외하고는 실무과목이 기초과목보다 낮게 편성되어 있고, NCS기반 교과과정의 운영과 취업률의 관련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의 교육목표에 따라 효율적이고 다양한 교육과정 편성을 위해 두 가지 이상의 직무가 융합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편성ㆍ운영할 필요가 있다. 특성화고의 NCS기반 교육과정은 NCS에 기반하여 필요에 따라 능력단위 중 일부를 선택하여 실무과목을 운영하거나, 시ㆍ도 교육청이 정하는 지침에 따라 새로운 실무과목을 개설할 수 있다(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그러나 NCS는 현재의 직무절차를 중심으로 기술되어 있기 때문에 미래에 도래할 직무를 예측하거나 준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다(Kim, 2017). 현재 NCS교육과정은 능력단위별로 고졸이하 수준에서 박사 수준까지 8단계의 수준체계로 나누어져 있고, 각 능력단위별로 한 권의 학습모듈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한 가지 직무라 하더라도 근무 환경이나 기업의 규모, 조직의 특성에 따라 업무의 범위와 수행내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교육과정 편성 시에 학교의 교육목표에 따라 두 가지 이상의 직무가 융합되는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NCS학습모듈의 본질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내용분석을 실시한 후 교수ㆍ학습방법과 자료제작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실무과목을 가르치는 교사들이 산업 현장에 대한 실제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NCS기반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교원의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방안을 확립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별 혹은 학과별로 전수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거나, 심층인터뷰를 통해 실태를 파악하는 질적분석 등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Kim(2017)은 학습모듈의 수준이 해당 분야의 직무기술을 처음 배우는 학생들에게 적합하지 않은 사례들을 발견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Byun(2019)의 연구 결과 진학보다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들의 NCS인식과 학과 전체 교육과정 만족도, NCS 기반 교육과정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리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이므로 수산ㆍ해운계 고등학생들에게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수 있다. 하지만 급변하는 직업 및 교육 환경의 변화와 선취업 후진학이라는 특성화고등학교의 목적에 맞도록 학생들의 요구 및 만족도를 고려한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수 설문조사나 질적연구를 통해 교과목을 운영하는 교사와 교육 수요자인 학생들의 경험에서 정확한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NCS 능력단위별로 평가지침이 제시되어 있지만, 기존의 평가방법이 NCS기반 교육과정에 적합한가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Choi et. al.(2014)는 구체적인 평가방법이 고안되고 이것이 실행되지 않는다면 새로운 교육과정의 도입으로 인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각 지역의 특성 및 전략 산업과 연계된 인력양성유형에 따라 교육과 현장 실무 능력이 일원화 될 수 있도록 과정중심형 실무훈련(수행) 평가를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시 반영할 필요가 있다.
교과 교육과정 편성표와 단순한 수치의 분석으로 각 학교들의 교육과정 전체를 판단하는 것은 일반화의 오류를 범할 수 있다. 그러나 계속 변화하는 산업현장에 맞추어 현장적합성이 높은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알기만 하는 지식교육’에서 수행 중심의 ‘할 줄 아는 교육’ 즉, 실무중심의 교육과정이 끊임없이 개발되어 운영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학교, 산업체, 교사, 학생의 의견을 다각적으로 수렴하여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수산해양교육학회의 2019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을 수정ㆍ보완한 것임
References
-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http://www.riss.kr
- Byun, HJ, (2019), A Study on the Operation Status of NCS-based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of Culinary Art in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Graduate School of Uiduk University.
- Cho, JH, (2018),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Level for NCS based Vocational Curriculum in High School Teachers of Fisheries & Maritime, Studies on Education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30(2), p733-743. [https://doi.org/10.13000/JFMSE.2018.04.30.2.733]
- Choi, DS, & Hong, SI, (2011), Development of a special education course and amendments to revise the master course curriculum of fisheries and maritime Specialize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 Choi, DS, Kim, SJ, Kim, ST, NA, HM, Byun, SY, Ok, JP, Lee, NC, Lee, YM, Jeong, HJ, Hong, SI, (2015),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High School’s Vocational Education based on National Voc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 Ministry of Educationㆍ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ㆍ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 Educational Statistics Service of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http://kess.kedi.re.kr
- Homepage of National fisheries and Marine specialized high school
- Jang, MH, Jeon, SH, Jung, DY, (2014), The Improvement Needs Analysis for Pre-service Education, Induction Program and In-service Training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Teachers in NCS-based Curriculum,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3(6), p159-182.
- Kim, DY, & Kim, JS, (2013), Analysis of Korea'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Trends, Korean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13(3), p22-46.
- Kim, JS, (2015), 3rd Forum of 2015 Vocational Education Organization Joint Conference and High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ㆍ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 Kim, JY, (2017), Application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NCS-based Curriculum in Master's Thesis Specialization, The HRD review, 2017-11, p32-45.
- Kim, MK, (2017), A Study on the Analysis of Curriculum for Commercial Information Specialized High School - Focused on the Department of Related Financing in Jeollabuk-do Province -, Kunsan National University.
- Kim, ST, (2014),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reform plan using NCS and learning modul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14.
- Kim, YH, (2015), Curriculum Development for Marine Leisure in Fisheries High Schools : Focusing on the needs analysis based on core competenci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Lee, YM, (2016), The Actual Situation and Task that The Industrial Area High schools Organiz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Based Curriculum,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s, 41(1), p22-43. [https://doi.org/10.35140/kiiedu.2016.41.1.22]
- Lee, YS, (2019), Analysi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Based Curriculums in Food Processing-Related department at Specialized High School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Special course in fisheries and marine, 361(24).
-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basic survey data of NCS-based high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2015-11.
- Ministry of Education, (2016), State Council's Report on the Revised NCS-based High School Vocational Curriculum(2016, 03, 15).
- Moon, TN, (2017), Analysis of the level of interest of commercial specialization teachers in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NCS, Korea University.
-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http://www.ncs.go.kr
- 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http://ncic.re.kr
- Park, SY, (2015), An Analysis of Curriculum of Vocational Hish Schools, Studies on Education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27(2), p488-504. [https://doi.org/10.13000/JFMSE.2015.27.2.488]
- School alerts http://www.schoolinfo.go.kr
- Specialized & Meister High School web Portal http://www.hifive.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