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2, No. 1, pp.109-117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9 Feb 2020
Received 11 Nov 2019 Revised 06 Dec 2019 Accepted 23 Jan 2020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0.2.32.1.109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사 인식의 현상학적 분석

신윤범 ; 원효헌
부경대학교(학생)
부경대학교(교수)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Yun-Beom SHIN ; Hyo-Heon W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stud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051-629-5972, wonhyo@pknu.ac.kr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introduction of a high school credit system that will support and materialize student choice-oriented curriculum at a time when the 2015 curriculum, which creates new knowledge and values, was introduced at school sites. To this end, the interview was conducted by dualizing the issues related to teachers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recording and transcription processes were analyzed through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s. As a result, seven themes related to teacher-related areas, such as 'Site of Schools with Too Much Work', 'Democratic and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The Necessity of Participating in Self-Governing System', 'Sufficient Support to Focus on Classes', 'Educational Education and Re-Organiz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ducation and Re-Oper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Keywords:

School credit system, Giorgi, Phenomenological research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997년 제7차 교육과정이 도입된 이후,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학생 선택 중심의 교육과정을 안착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최근에는 학생이 창의융합형 인재로 성장하기 위한 6가지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과 가치를 창출하는 교육과정인 ‘2015 개정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도입되며, 단위학교의 자율성을 확대해 다양한 선택과목을 학생들에게 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중심 교육과정이 고교현장에 단계별로 적용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학생들이 창의적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이 더욱 절실함에도 불구하고 대학입시에 맹목적으로 종속되어 획일적 교육과정과 줄 세우기식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에 대한 반성에서 비롯된 것이다(Shin, 2019).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학생의 요구에 기초하여 적성과 소질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고, 대학진학 및 사회로의 진출을 원활하게 해줄 수 있음에도,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의 진로에 적합한 개별화된 교육과정이 거의 없거나 빈곤한 상태에 이르고 있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Lee, 2018).

이처럼 대한민국의 선택형 교육과정은 그 필요성과 문제점에 대해 고교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며 지속적인 수정・보완을 거듭하다가, 2017년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면서 ‘고교학점제’라는 형태로 구체화되었다. 학생의 자율적 교과 선택권을 실현할 교육 1호 공약으로 고교학점제 추진을 공표하면서, 대학 입시에 초점을 맞춘 과도한 성적 경쟁과 입시에 대한 부담을 덜고, 진로와 적성에 따라 수업을 듣도록 유도하기 위한 단계적 도입을 진행하겠다고 발표했다(The Ministry of Education, 2017).

고교학점제는 전면시행을 현 시점을 기준으로 불과 5년을 앞둔 상황이기에, 교육현장을 비롯한 사회의 각 분야의 여러 장면에서 지속적인 논의가 이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추진 동력을 강화하기 위해 교육부, 교육청, 지원기관 합동 중앙추진단을 출범하고 제도 개선, 현장 중심 네트워크 구축 등 도입 기반의 본격 확대를 발표하기도 했다(The Ministry of Education, 2019).

이처럼 많은 분야에서 논의가 이루어지면서 고교학점제의 청사진에 대한 긍정적인 면을 살펴볼 수 있었지만, 대부분의 선행연구 및 포럼에서 고교학점제 도입에 관하여 ‘교원, 시설 및 환경마련’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이는 정부가 발표한 제도 정비를 위한 정책연구 과제(The Ministry of Education, 2017) 중 ‘단위학교 지원에 필요한 인프라 요소 파악’과 ‘중장기 교원제도 개선방향 도출’과도 맥이 같으며, 고교학점제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 정부를 중심으로 많은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교원 및 교육환경 관련 인프라 조성을 위한 준비를 해 나가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현장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고, 교육 전문가이자 고교학점제 운영의 주체인 고교교사를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FGI)를 진행하여 제도 도입과 관련한 그들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고, 이에 대한 분석방법으로는 질적 분석 방법의 하나인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분석 방법을 채택하였다. 기존의 설문조사나 델파이조사 형태의 고교학점제 연구는 교사들이 어떠한 문제를 인식하는 과정에 있어 맥락적이고 종합적인 이해를 하는 것과 제도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을 제시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교사들의 주관적 경험을 심층적이고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Giorgi의 분석방법을 활용한 질적 연구를 추진하게 되었다. 따라서 현재 교육장면에서 교사들의 주관적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고교학점제 도입단계에서 단위학교에서 인식하고 있는 교원 및 교육환경 관련 요소들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심층적이고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고교학점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제언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2. 연구 문제

본 연구는 고교교사들이 학교현장에서 마주하는 경험세계를 바탕으로 고교학점제의 도입이 그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파악하고, 제도가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단위학교에 필요한 교원 및 교육환경 관련 요소에 대한 의견을 심층적인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에 대한 사항은 아래와 같다.

첫째, 고교학점제 도입에 관한 교원 관련 쟁점을 고교교사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고교학점제 도입에 관한 교육환경 관련 쟁점을 고교교사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참여자는 부산・경남지역 일반계 및 직업계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 중 고교학점제 정책에 관심이 있는 10명으로 구성하였다. 고교학점제는 단위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이며, 이를 운영하게 될 주체는 고교교사이기 때문에 이들 집단의 참여의지가 제도의 성패를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교사집단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다양하고 폭넓은 현장의 견해를 수렴하고자 연구대상의 교직경력, 학교유형, 담당교과 등의 변인을 고려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고교학점제는 2025년 모든 단위학교에서 전면 시행될 예정이며, 제도의 도입과 관련한 이슈들을 교원과 교육환경 관련 영역으로 구체화시켰고, 교육의 전문가이자 실무자이며 향후 제도를 운영하는 집단인 교사들을 초점집단으로 설정하여 인터뷰를 진행한 뒤 이를 분석하였다. 최종 연구 참여자의 인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2.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고교학점제 도입에 관한 고교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는 고교학점제에 관한 선행연구, 정부 보도자료 및 포럼 등에서 언급된 내용을 바탕으로 반구조화 된 문항으로 제작되었다. 관련 선행 자료로 부터 고교학점제 도입과 관련한 이슈들 중 교원 및 교육환경 관련 쟁점들을 추출하여 예비 질문지를 작성하였고, 교육학 박사 3명 및 연구 미참여 교사 2명의 검토를 거쳐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작된 질문지를 응용조사 실행방법(Krueger and Casey, 2014)에 제시된 포커스그룹인터뷰 질문유형에 따라 재구성하였고, 최종적으로 제작된 반구조화 질문지의 형태는 <Table 2>와 같다.

Semi-structuralized Questionnaire for the Perception Analysis of High School Teachers on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Grading System

3. 자료 분석

고교학점제 도입에 관한 고교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분석 4단계의 방법 및 절차를 활용하여 의미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가 질적 분석의 방법 중 하나인 현상학적 분석을 채택한 이유는 고교학점제가 혁신적인 교육제도인 만큼 이를 운영하기 위한 교사들의 인식 또한 굉장히 다양하고 주관적이며, 현상학적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일선 고등학교 교사들이 현재 학교 현장에서 마주하고 경험하는 것을 기반으로 제도 도입과 관련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고, 분석을 통해 어떠한 이론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기에 Giorgi의 분석방법은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분석방법이었다. 이에 현상학적 연구는 교사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 학교현장에서의 다양한 맥락을 보다 심층적이고 통합적으로 이해하는데 적합한 연구방법이라 할 수 있고, 교사 개개인의 주관적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고교학점제 도입과 관련한 교원 및 교육환경 관련 쟁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데 적절한 방법이라고 판단하였다. 연구의 분석절차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분석 4단계를 따랐으며, 구체적인 분석 절차는 <Table 3>과 같다.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Analysis Step 4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분석 방법은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마주하고 경험하는 것들을 바탕으로 제도의 도입에 관한 인식 정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기에 적절한 방법이다. 이에 <Table 3>에서 제시한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분석 4단계에 따라 포커스그룹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였다.

첫째, 전체적 맥락을 염두에 두고 기술내용 읽기(Read the description for the sense of the whole)다. 연구자는 녹음파일을 모두 전사하여 총 10부의 인터뷰를 축어록 형태의 파일형태로 제작하였고, 의미의 정확한 파악을 위해 여러 차례 반복하여 읽었다. 축어록을 반복적으로 읽어나가면서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편견 없이 자유로운 상태로 받아들이는 과정을 거쳤고, 이 과정을 거치면서 연구문제에 부합하는 답변의 맥락을 인식하기 위해 주관적인 태도를 배제하고, 중립적이고 현상학적 태도를 유지하려고 노력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의 경험이 표현된 의미를 주어진 맥락 그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연구자의 편견과 전문지식을 배제하는 판단중지적 태도를 취하였다.

둘째, 기술 내용을 의미단위로 나누기(Divide the description into meaning units)다. 연구자는 원자료(raw data)를 기반으로 연구문제에 부합하는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세계를 의미단위로 구별하였고, 이에 대한 기술은 그들의 언어표현을 최대한 적용하였다. 즉, 현상의 본질을 탐구하는 자세와 의도를 견지하고 연구 참여자들의 표현을 토대로 의미단위를 구분하고자 하였다. 1단계에서 개별 연구 참여자의 진술로부터 전체적인 인식을 얻었다면, 2단계에서 다시 연구 참여자의 기술로 돌아가서 고교학점제 도입이 교사에게 어떠한 의미로 다가가는지 본질적 구조에 초점을 맞추어 의미단위를 구분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총 10명의 개별 연구 참여자의 면담내용에서 추출된 의미단위를 기술 및 분류하고, 분류된 모든 의미단위는 연구자의 관점에서 다시 한 번 분류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의미단위는 총 119개였다.

셋째, 의미단위를 가장 근접한 학문적 표현으로 변형하는 단계(Transform meaning units into best disciplinary expression)다. 2단계에서 나눈 의미단위를 반복해서 읽으며 관련성과 대조성을 파악하며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학문적 용어로 변형하는 작업을 거쳤다. 연구자는 교사들이 학교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변인들 속에서 현장에서 마주하는 경험을 토대로 고교학점제 도입이 그들에게 갖는 의미구조에 주목하면서,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개별 연구 참여자들의 일상적인 표현을 학문적 언어로 전환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만약 전환 과정에서 적절한 학문적 표현이 없을 경우 Giorgi(2004)가 제안한대로 현상학적 관점에서 상식적인 언어를 사용하였다.

넷째, 전환된 의미단위를 구조로 통합하기(Synthesize transformed meaning units into structure)다. 이 단계에서는 3단계에서 연구자가 학문적 표현으로 전환한 의미단위들을 통합하는 단계로, 현상의 본질을 파악하는 과정이다. 고교학점제 도입이 교사에게 갖는 의미의 일반적 구조를 도출하고, 연구자는 1단계에서 했던 것처럼 도출된 일반적 구조가 과연 타당한지 원자료를 반복해서 읽고 확인하는 작업을 거쳤다. 이런 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교원 관련 영역에서 86개의 의미단위, 22개의 중심의미, 7개의 주제가 도출되었고, 교육환경 관련 영역에서는 33개의 의미단위, 7개의 중심의미, 3개의 주제가 도출 되었다.


Ⅲ. 연구 결과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관한 고교교사의 인식을 경험에 근거하여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인터뷰 주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먼저 교원 수급, 교원 운용, 교원 연수, 교원 문화 등에 관한 교원 관련 주제, 그리고 학교시설,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등 교육환경에 대한 주제가 그것이다. 따라서 이들 주제에 따른 두 가지 형태의 이원화 된 분석을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진행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원 관련 인식분석

Giorgi의 4단계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한 고교교사의 교원 관련 쟁점들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총 86개의 의미 있는 진술(significant statements)을 추출되었고, 이들 진술을 포함하는 상위 개념 차원의 22개의 중심의미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로 22개의 중심의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동질적이라 판단되는 중심의미들을 모두 7개의 주제(themes)로 범주화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Table 4>와 같다.

The significance and theme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n the Issues of School human resource

2. 교육환경 관련 관련 인식분석

고교교사의 교원 관련 쟁점에 관한 인식 분석에 이어서 Giorgi의 4단계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한 고교교사의 교육환경 관련 쟁점들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33개의 의미 있는 진술(significant statements)을 추출되었고, 이들 진술을 포함하는 상위 개념 차원의 7개의 중심의미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로 7개의 중심의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동질적이라 판단되는 중심의미들을 모두 3개의 주제(themes)로 카테고리화 하였다. 교육환경 관련 쟁점의 진술, 중심의미, 주제가 교원 관련 영역보다 작게 도출된 이유는 연구 참여자들의 ‘정의적(affective) 부연설명의 여부’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교육환경 관련 쟁점에 대한 진술에 비해 교원 관련 쟁점에 대한 진술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본인의 경험에 근거하여 느낌, 감정 등을 포함한 정의적 영역으로 풀어내는 경향이 짙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교육환경 분석에 따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The significance and theme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n the Issues of Educational Environment


1. 결론

1. 결론

본 연구는 2025년 전면도입을 앞두고 있는 학생 선택 중심 교육제도인 고교학점제의 도입에 관한 고교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고교학점제는 많은 선행연구에서 실제 적용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많은 만큼 다양한 범위와 주제로 충분한 논의와 검토가 이루어져야 하는 교육제도이다. 따라서 연구 대상 또한 학생, 학부모, 행정담당자, 교육전문가 등 다양한 집단이 있을 것이지만 본 연구는 학교현장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고, 교육 전문가이자 고교학점제 운영의 주체가 될 집단으로서의 교사 집단을 주목했다. 따라서 교사 집단을 초점집단(focus group)으로 설정하고 교원 수급, 연수, 교원 문화 등에 대한 교원 관련 영역과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학교 시설, 교육 환경 등의 교육환경 관련 영역을 이원화 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녹음 및 전사 과정을 통해 이를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관한 교원 및 교육환경 관련 영역의 교사인식을 알아보는 것으로, 각 연구문제별 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교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관한 교원 관련 영역에 대해 현장에서의 실효성 및 유용성에 대한 검토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업무 경감을 위한 역할 분담, 행정직원 배치, 교원 수급 등의 지원이 실제로 업무 경감의 효과로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행정실무원의 경우 실제 학교 현장에서 그 역할이 제한적이고, 배정되는 인원마저 많지 않아서 교사가 피부로 느끼는 업무의 피로도가 가중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질 높은 수업 제공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행정실무원의 업무의 역할과 범위를 재정립하고 적재적소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한편 다교과 담당교사를 위한 수업연구 지원, 인센티브 지원 등도 실제로 수업에 집중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대해서는 여러 방안들이 도출되었는데 제도적으로 점수화 되는 인센티브를 지급한다던지, 누적된 점수에 따른 연가를 지급한다던지 하는 형태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따라서 교육부, 교육청, 단위학교 차원에서 이루어 질 교원 관련 영역의 지원들은 교사들이 현장에서 실제로 지원을 받고 있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현장조사 및 요구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둘째, 교사들은 고교학점제의 운영 주체인 만큼 내적 동기에 기인한 자율적 참여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혁신적인 제도의 시행을 위한 지속적인 중앙 차원의 정책 추진이 교육청 차원부터 단위 학교로 진행될 것인데, 통보식의 제도 시행 및 강제적 연수 참가는 제도의 실패로 이어질 것이라고 하였다. 의무적인 제도의 참여가 아닌 희망하는 개인부터 신청을 받아서 복수전공, 부전공, 관련 연수 등을 이수하게 하여 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교사들에게 고교학점제는 나와 함께 간다라는 인식을 줄 수 있는 더욱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안내 및 홍보가 이루어져야 하며, 제도의 참여에 있어서 교사의 자율성을 존중해야 할 것이다.

셋째, 시대의 흐름에 맞는 학교의 변화를 지향하고 있었다. 관리자는 수직적이고 강압적 리더십이 아닌 민주적이고 분산적인 리더십을 지향해야하고, 강사를 포함한 학교 현장의 교직원들은 선생님으로서의 책무성을 가지고 전문성 및 기본소양 신장을 위해 개인 및 학교차원에서 부단히 노력해야 함을 강조했다. 이는 단위학교, 지역사회, 범국민적으로 협력적인 문화 속에서 고교학점제가 안정적이고 유기적으로 시행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단위학교에서의 교장선생님의 리더십의 방향이 하향식, 명령식이 아닌 민주적이고 수평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면서 교육현장의 패러다임이 변하는 만큼 장(長)에게 리더십이 집중되는 것이 아닌, 교사들에게 리더십이 공유되는 분산적 리더십이 이루어져야 협력적 학교문화를 만드는데 기여할 것이라 강조하였다.

넷째, 선진 운영사례를 바탕으로 한 교육환경의 개선이다. 연구 참여자들의 진술에 따른 학교현장은 지역별, 설립시기별,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지만 교과교실 운영, 교육행정 시스템, 휴식공간 등의 교육환경에 관해서는 고교학점제를 시행할 만한 충분한 인프라를 갖추지 못했음이 드러났다. 따라서 교원 관련 영역에서의 현장조사 및 요구분석을 포함하여 해외 운영사례 및 연구‧선도학교의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환경의 개선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특히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의 경우 사용자들이 도입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나서 현재는 불편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제도의 시행을 위한 기능들이 앞으로 더욱 추가된다면 사용자들은 또 다시 혼란을 느낄 것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사전에 충분한 홍보 및 교육을 통해 사용자 친화적 기능을 도입해야 할 것이고, 학생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교실의 재구조화, 휴식 공간 마련 등 혁신적인 교육환경의 구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바이다.

2. 제언

고교학점제 도입과 관련한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대상이 부산‧경남 지역의 10명의 교사들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고교교사 전체로 일반화 한다는 것은 무리가 있다. 따라서 지역별, 학교유형별로 연구대상을 확대하고, 고교학점제의 정책적 진행상황에 따른 설문의 구체화를 통한 양적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교사의 학교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학교현장을 심층적이고 현상학적으로 이해하여 고교학점제의 교원 및 교육환경 관련 영역에서의 개선방향을 도출했다는 것에는 의의가 있다.

둘째, 고교학점제를 어떻게 평가하고 이를 대학입시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에 대한 주제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연구문제를 고교학점제에 관한 교원 및 교육환경 관련 영역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고교학점제의 주된 평가방법으로 고려되는 성취평가제를 어떠한 방법과 형태로 적용하고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성취평가제는 2022학년도에 부분도입 후 2028학년도에 전면 시행되는 제도인 만큼 고교학점제의 성공적 시행을 위해 심도 깊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 분야이다.

셋째, 고교학점제에 관한 정부의 역할이다. 학교 현장에서 실효성과 유용성이 높은 실질적인 지원, 정부의 교체마다 바뀌는 교육정책이 아닌 지속적인 추진, 단위 학교에의 적극적인 안내 및 홍보, 학생중심 교육환경의 개선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2019년 발족된 고교학점제 중앙추진단의 더욱 적극적인 역할이 기대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신윤범의 석사학위논문을 재구성하였음.

References

  • Giorgi A(2004).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ousands Oak, CA:Sage. 2~55.
  • Kim HJ(2017).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Kyung-s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a master's thesis. 1~29.
  • Lee JY(2018).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Elective-centered Curriculum in General High School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399~419.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399]
  • Richard A. Krueger, Mary Anne Casey(2014). Focus Group(Application investigation execution method). Min BO, Jo DH translation. Myeong-In Munhwasa. 1~369.
  • Shin JA(2019). A Study on the Analysis of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 master's thesis. 1~82.
  • The Ministry of Education(2017). A Study on the Direc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Planning of Research School. a press release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1~26.
  • The Ministry of Education(2018). A Study on the Reform of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in 2022 and the Innovation of High School Education. a press release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1~15.
  • The Ministry of Education(2019). 2019, Strengthen the momentum for the introduction of a high school grading system. press release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1~9.

<Table 1>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Sortation Career Gender Subject Type of school
participants A 5 years Female Counseling Private
participants B 28 years Male Electron Public(Meister)
participants C 15 years Female Mathematics Public
participants D 31 years Female German Public
participants E 17 years Female History Public
participants F 30 years Male Career Private
participants G 16 years Female Japanese Public(Vocational)
participants H 6 years Male Physical Education Public
participants I 3 years Male Korean language Private
participants J 9 years Female English Private

<Table 2>

Semi-structuralized Questionnaire for the Perception Analysis of High School Teachers on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Grading System

Question Type Question content
Introduction ・ You are very busy these days because it's the new semester, aren’t you?
· Tell me about your teacher's daily.
Change · Do you know abou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What do you think about the applicability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our country?
Core · (Human resource)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please give your opinion on multi-disciplinary, multi-major qualification, instructor management, teacher culture, and teacher training.
· (Educational environment) Please tell me your opinion about NEIS, school spac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Closing · Please let me know if you have any further suggestions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able 3>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Analysis Step 4

Step 1 Read the description for the sense of the whole
Read the participant's description, confirm the ending, go back to the first part and read it several times to get a general awareness of the overall story stated by the study participant.
Step 2 Divide the description into meaning units
The process of creating units of meaning in the language of study participants. In other words, it is a process that reflects the intention of the researcher, through which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study participant is read from the first part in the attitude of the phenomenological hospitality, and then underline and mark where the meaning shift is thought to occur. Caution that it is not a grammatical representation of a sentence or a paragraph unit, and the problem of artificiality itself is solved by showing the semantic unit created by the researcher to others and proving its objectivity. The derivation process of this semantic unit is not based on theory, but is a purely practical process.
Step 3 Transform meaning units into best disciplinary expression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derived semantics into the most suitable academic expression, active transformation of raw materials that did not occur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will occur. Convert the technical content expressed in participants' everyday languages into the academic terms that researchers want to use. At this point, among the units of meaning, one should recognize that there are important and non-critical units, and the means of free change are utilized for the conversion to academic terms.
Step 4 Synthesize transformed meaning units into structure
The task of structurally integrating the nature of the study subjects' experiences obtained in Step 3. After expressing the data in general content, go back to the original data and review it in the context of the structure. The structure created this way serves to represent 'trends' in quantitative terms, similar to means. These processes are then integrated into coherent statements, taking into account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s.

<Table 4>

The significance and theme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n the Issues of School human resource

Significance Themes
① Limited Role of Executive Officers 1. an overworked school field
② An excess of non-classical work
③ Another task: Instructor management.
④ Students are passive and dependent 2. Difficulty in operation of the curriculum focused on the selection of students
⑤ Difficulties in providing quality classes
⑥ Difficulty in obtaining instructors
⑦ Frequent policy changes
⑧ Toward a Democratic School Culture 3. Towards a Democratic and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⑨ Toward a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⑩ Toward a Respecting school culture
⑪ Participation in training according to the teacher's willingness to participate 4. the need for autonomous participation in the system
⑫ Multiple majors according to the teacher's willingness to participate
⑬ Need to share roles in schools 5. Enough support to focus on the class
⑭ Incentive payments to teachers in charge of multi-disciplinary studies
⑮ Practical work relief
⑯ Class research support
⑰ Supply of teachers(teachers, circuit teachers)
⑱ Sufficient demand analysis 6. Practically helpful teacher training direction
⑲ Formal teaching training
⑳ Perception diffusion required
㉑ The quality of teachers is the quality of education. 7. Emphasize the professionalism and accountability of teachers
㉒ The role of teachers in keeping with the trends of the times.

<Table 5>

The significance and theme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n the Issues of Educational Environment

Significance Themes
① NEIS improvement 1. Improvement and Reorganiz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②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related to institutions and facilities
③ Difficulty in the operation of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2. Difficulty in operation of the curriculum focused on the selection of students
④ Difficulties in the operation of joint education courses
⑤ Difficulty in the operation of online curriculum
⑥ A Positive Function of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3. A Positive Function of the system
⑦ A Positive Function of online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