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2, No. 3, pp.770-779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0
Received 08 May 2020 Revised 13 May 2020 Accepted 22 May 2020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0.6.32.3.770

‘좋은 수업’에 대한 수산ㆍ해운계고 교사들의 인식 연구

조진호
부경대학교(교수)
Perception of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 Teachers for 'Good Teaching'
Jin-Ho CHO
Pukyong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051-629-5973, 75jino@pknu.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teachers at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 about 'good classes'. To that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00 teachers of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s. A survey of teachers' awareness, in-depth interviews and journal writing was conducted on 25 items comprised of categories of class perspectives, instructional content, instructional methods, instructional environment and atmosphere, and evaluation.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In the area of class perspective, 'effective delivery of class content' and 'building a reliabl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ere chosen, while in the area of instructional content, 'classes that clearly present class goals and students' were recognized as characteristics of good classes. In the instructional method area, ‘Class using class strategies that stimulate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was chosen, ‘Class with active student-centered collaborative interaction’ was recognized in the instructional environment and atmosphere area, and ‘Class that creates a reliable evaluation atmosphere for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evaluation area was recognized as good classes.

Keywords:

Good classes, Fisheries maritime high school, Teacher, Vocational education

Ⅰ. 서 론

우리 교육 체제에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다보스포럼 World Economic Forum(WEF)은 ‘21세기 핵심 기술’을 새로운 교육의 비전으로 제안하였고, 정부도 새로운 시대에 필요한 역량(Ministry of Education, 2015b; Kwak et al., 2014)을 길러 나가는 것을 교육 목표로 설정하는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 양성’과 ‘학습 경험의 질 개선을 통한 행복한 학습의 구현’을 강조하며 학교는 어떤 인재를 기르고 앞으로의 미래 사회에 우리 아이들에게 어떤 삶을 살게 할 것인가의 측면에서 공교육을 바라본다면 어느 때보다 희망적인 교육체제로 느껴진다. 그러나 실제 공교육 현실은 입시위주의 교육, 인성교육의 실천 문제, 교사와 학생간의 갈등, 교육정책의 빠른 변화 그리고 사교육 영역의 꾸준한 확장 등 관련된 현안들이 우리 교육을 힘들게 하고 있다. 나아가 공교육에 대한 위기론이 끊임없이 제기되면서 공교육이 변해야 한다는 현장의 공감대가 형성되고 교육부 차원에서도 학교교육 위기에 대한 실태 파악, 원인 분석, 대책 마련을 위한 연구(Cho et al., 2001)와 학교 교육의 정상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학교 교육의 정상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교수학습 상황 다시 말해 수업에 대한 질적 수준을 높이는 부분에 대해서는 수업을 둘러싼 환경(정책, 재정 등)에 대한 논의만 무성할 뿐 정작 학교 수업에 대한 개혁안이나 실체를 찾아보기 힘들다(Seo and Yoo, 2004).

이와 같은 현장의 다양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점을 찾기 위해 고민하고, 공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좋은 수업’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Kim, 2002, Kwon, 2010; Seo, 2005; Chung, 2007). 전통적인 학교 수업의 한계를 극복보고자 하는 대안으로써 좋은 수업에 관한 현장 교사들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좋은 수업을 실행하고자 하는 노력 또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장 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노력이 새로운 교육의 비전 제시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의 연장선상이라고 보고 있다.

교사라면 누구나 좋은 수업을 하고 싶어 하며 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고민은 교육이 시작된 초기부터 계속되어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좋은 수업이 어떤 것인지 명확하게 개념화하기 힘든 게 사실이다. ‘좋은’ 이라는 용어 자체가 가지는 주관적 성격과 수업의 복합성으로 인해 학자와 시대에 따라 재해석되어 왔는데 이러한 좋은 수업에 대한 관심은 우리 교육의 방향과 새로운 교육의 비전을 구체화 하고자하는 노력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수업을 바꾸고자 하는 주체인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이 무엇인지 인지하고 이해하는 것을 중요한 일이다.

우리나라 공교육 내에서 제공되는 교육과정 상 학교 설립별, 교과별 특성과 목표에 따라 수업의 과정과 평가하는 방법이 다르게 마련이다. 특성화고 중 수산ㆍ해운계 고등학교 현장의 수업에 대한 논의는 찾아보기 힘들다. 특히, 수산ㆍ해운계 고등학교 교사의 교육 여건에 비추어보면, 교사 개인이 담당해야하는 많은 수의 전문교과 과목과 실습, 진로 취업 지도를 겸해야 하는 등 보통교과 교사와는 차별화된 수업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수산ㆍ해운계 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좋은 수업의 특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좋은 수업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하여 어떤 수업이 좋은 수업인지 규명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Klaus Schwab(2016)의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의제 설정 이후 미래 교육에 대한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지금까지와는 현격히 다를 거라는 교육 상황을 예측하는데 주로 미래 사회에서는 교사의 역할이 크게 달라질 것이라는 주장하고 있는데, Chung et al.(2017)은 앞으로의 학교 교사는 크게 교과담당 교사와 학습컨설턴트, 특별강사제도 등을 통해 학생의 학업을 관리하고 도와주는 조력자, 상담자의 역할로 전문화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는 학교 밖 교육 장소, 인적 자원 등을 잘 활용할 수 있어야 하고 학생의 할 줄 아는 능력과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능력이 조화를 추구해야 하는 인식의 관점 전환이 요구되는 부분(Cho, 2020)을 포함해 구체적으로 수업 방식이 어떻게 달라져야 이러한 요구들에 응답할 수 있을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 교육이 마주하고 있는 공교육의 성공과 실패는 교사와 학생이 교육현장에서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는 교실에서 얼마나 질 좋은 수업이 이루어지느냐에 달려 있다.

좋은 수업의 개념, 특성에 대한 논의는 교육부 주도 사업과 연계하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을 중심으로 2000년대에 이르러 관련된 연구들이 수행되면서 본격화되었으며, 2010년 이후부터는 교과, 학교급에 따른 교사 인식의 세분화가 이루어졌으며 학습자에 대한 관심, 교수-학습 방법 등 다양한 특성 탐색이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국내 학계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을 기반으로 하여 일반적 개념에서부터 교사별, 교과별 좋은 수업의 특징을 논의한 연구들로 다양화되고 있는데 각 연구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7차 교육과정 체제에서 Cho et al.(2001)의 연구는 학교교육 내실화 방안의 일환으로 ‘좋은 수업’에 대해 ‘의미 있고 균형 잡힌 수업’, ‘다양한 상호 작용적 수업’, ‘높은 집중률을 유지하는 협동적 학습 분위기’, ‘학습에 도움을 주는 평가를 실시하는 수업’을 제시하였다. 후속 연구에서 Kim(2002)은 좋은 수업을 하는 교사들의 교수 학습 방법으로 ‘학습자의 능력과 적성을 고려한 수업’, ‘학습 동기 유발’, ‘자기주도적 학습 강조’, ‘실생활 경험 중심의 교육내용’, ‘활동 위주의 교수법’, ,‘통합 학습 경험’, ‘ICT의 효율적 활용’, ‘학생들의 오개념 활용’, ‘협동학습의 일반화’, ‘도우미의 활용’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들은 좋은 수업의 사례를 교사와 학생을 분리하여 접근한 반면 Seo(2004)는 학교 현장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수업에 대한 관점으로 전달, 구성, 관계, 결과 네 가지를 도출하였다. 전달 관점에서 좋은 수업이란 교사가 교과내용을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해주는 수업을 의미하며, 구성 관점에서 좋은 수업이란 학생들이 자신의 현재 지식을 더욱 높은 수준으로 재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수업이며, 관계 관점에서 좋은 수업이란 교사와 학생들이 활발하게 상호 작용하며 서로 존중하고 신뢰를 쌓아가는 수업이며, 결과 관점에서 좋은 수업이란 계획한 대로 수업을 진행하여 의도한 수업목표를 성취한 수업으로 보았다. Yune(2012)은 대학에서 학생과 교수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학생들의 강의평가 질적 내용과 다시 수강하고 수업 에세이, 그리고 학생들이 추천하는 교수의 수업노하우 에세이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둔다.

해외의 사례에서는 대학 수업의 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미 교수법 및 평가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전통적인 수업 방식을 개선하고자 노력 했는데, Meyer(2011)의 경우 ‘민주적인 수업 문화의 틀 아래서 교육 본연의 과제에 기초하여 그리고 성공적인 학습 동맹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의미 생성을 지향하면서 모든 학생의 능력의 계속적인 발전에 기여하는 수업’을 좋은 수업이라 지칭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좋은 수업의 개념을 정리하거나 정의를 내리고, 좋은 수업의 일반적인 특징, 기준, 조건, 원리 등을 다루고 있다. 좋은 수업으로 나타난 특징은 다양한 요인들로 제시되고 있지만 일정 부분 공통점을 보이고 있으며, 좋은 수업의 원리에 나타나듯 그런 요인들과 서로 밀접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선행연구를 종합하면, 좋은 수업의 기준들은 모든 교과목, 모든 수준의 학교, 모든 학교 형태에 적용될 수 있는 타당성을 띠고 정식화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하지만 좋은 수업에 대한 기준들은 경험적이라기보다는 규범적인 것들로 수업에 대한 반성과 개선, 그리고 수업에 대한 질적 근거 마련을 위한 지속적인 논의와 성찰이 따라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Meyer, 2011).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이 연구에서는 각 권역에 소재하는 6개 수산ㆍ해운계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교사 100명을 비율층화표집법을 통해 표집 된 학교에 사전에 연락을 취해 유선 또는 e-메일을 통해 연락하는 방식으로 협조를 요청하였다. 총 100부의 설문지를 우편 또는 e-메일을 활용하여 배부하였고, 이 중 미회수 및 불성실하게 작성된 질문지 4부를 제외한 나머지 96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질문지 배부와 취합은 2019년 5월 17일 ~ 6월 8일 사이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연구에 참여한 교사 중 부장교사와 일반교사 비율은 부장교사 34.4%, 일반교사 65.6%였으며 설립 유형으로는 특성화고 70.8%, 마이스터고 29.2%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상세한 일반적인 현황은 <Table 1>과 같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2. 연구 도구

‘좋은 수업’에 대한 수산ㆍ해운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Seo(2004)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좋은 수업’의 4가지 전달, 구성, 관계, 결과 관점과 ‘좋은 수업’의 특징 24개를 도출한 Kwon(2010)의 연구에서 제시하는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 환경 및 분위기, 평가 관점과 과학 교과에서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을 제시한 Lee(2016)의 연구를 종합하여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질문지의 목적과 응답요령에서 ‘좋은 수업’은 선생님들이 교과에서 자신이 경험한 특성의 관점에서 응답하도록 안내하였으며, 문항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연구 도구의 타당도 및 현장에 대한 적합도를 높이고자 교육학을 전공하는 3인의 전문가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토 받아 일부 문항의 내용을 수정ㆍ보완하였다. 질문지의 내용과 문항이 이해하기 어렵거나 표현이 어색한 부분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1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설문지를 수정ㆍ보완한 후 ‘수업에 대한 관점, 교육 내용, 교육 방법, 수업 환경 및 분위기, 평가’ 등 5개 영역 총 25문항 최종 문항을 확정하였다. 질문지에 대한 응답은 Likert 5점 척도(1=전혀 중요하지 않다, 5=매우 중요하다)를 사용하였으며, 연구 도구의 영역별 신뢰도(Cronbach’ α)를 살펴보면, 수업 관점 .602, 교육 내용 .771, 교육 방법 .779, 교육 환경 및 분위기 .641, 평가 .625로 나타났다.

3. 연구 절차

이 연구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해 좋은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와 심층면담 및 저널쓰기를 활용하였다. 질문지 결과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통해 독립표본 t-검증 및 일원분산분석(사후분석)이 이루어졌는데, 빈도 분석 후 경력, 지위, 설립유형, 전공, 지역 등에 대해 인식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적합한 면담 참여자를 선정하기 위해 각 학교 교무부장 혹은 전문부장 교사에게 연구의 목적을 상세히 설명한 후에, 교직 경력이 1년 이상이거나 학교를 옮긴지 3년이 넘지 않은 수산ㆍ해운계 전공 출신 교사 중에서 연구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적합한 면담 대상자 6명을 추천 받았다.

면담은 2019년 7월 8일, 2020년 1월 21일 두 차례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좋은 면담을 위해 교사와 자연스럽게 래포(rapport)를 형성하면서 학교 현장에서 경험한 좋은 수업에 대한 의견을 자유롭게 개진하도록 하였다. 원활한 의견이 개진되지 않을 경우에는 연구자가 미리 반구조화한 내용을 중간에 질문하여 가급적 대상 교사가 자연스럽고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가급적 일반적인 내용보다는 수산ㆍ해운계고 교육 현장의 현실을 반성적(reflective)으로 되돌아볼 수 있는 좋은 수업에 관한 내용을 집중적으로 면담하였다. 면담 내용은 정확한 상황과 의견을 기록하기 위하여 모두 녹음하여 전사하였다.

저널쓰기의 경우 연구 기간 중 1회 실시하였으며 좋은 수업에 대한 본인이 가지고 있는 교육신념,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과 그에 대한 변화 과정에 대해 기술하도록 하였다. 특히 수산ㆍ해운계고 현장 경험과 타 계열 고등학교 근무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본인이 느낀 사례를 중심으로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 과정을 포함하도록 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수업 관점

수업 관점 영역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수산ㆍ해운계고 교사들의 인식 결과는 <Table 2>와 같으며 ‘수업 내용을 효과적인 전달하는’ 전달(4.74)의 관점과 ‘교사-학생 간 신뢰로운 관계를 구축하는’ 관계(4.74)의 관점을 동일한 수준으로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다음으로 활발한 상호작용과 신뢰가 구축되는 수업(관계 관점)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학습자의 능동적인 지식구성을 지원하는 수업(구성 관점)과 의도한 학습목표를 달성하는 수업(결과 관점)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관점 영역 중 경력, 직위, 학교급, 전공, 지역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의도한대로 수업목표를 달성 수업’ 즉, ‘결과’(충남〈경남)’관점이 지역별로 유의미한 차이(p<.05)를 나타내었다.

Teacher's perception of good class 'class perspective' category(N=96)

좋은 수업이란 교사가 학습 전반의 내용을 학생들에게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제시해 주는 수업이 아닐까요? 여기에는 개별 교사가 가진 풍부한 경험과 연결된 삶의 이야기도 녹아있다고 봅니다. <Interviewer 2>
교수학습방법, 학습자 중심 수업, 거꾸로 수업 등 최근에 많이 활용되는 수업의 방법적 측면 보다 우선하는 것은 교사가 아이들과 호흡하며 수업을 이어나갈 수 있는 그러한 상호작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Interviewer 6>

2. 교육 내용

교육 내용 영역에서 좋은 수업 인식의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수업목표와 학생에게 기대하는 바를 분명히 제시’하는 점을 가장 중요한 좋은 수업의 특징으로 인식한 반면 ‘문제해결, 추론 능력 등 고차원적 사고를 개발하는’(4.08) 수업을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eacher's perception of good class 'instructional content' category(N=96)

변수별 차이 분석 결과 ‘실생활과 관련된 실제적인 교육 내용으로 구성하는 수업’이 전공별(식품〈기관)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수업을 시작할 때, 수업 중간에, 수업이 끝날 때 학생들에게 학습 목표를 제시하고 학습 목표에 도달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절차는 학생들이 수업 내용을 놓치지 않고 따라가도록 돕기 때문에 중요하다. <Interviewer 2>
우리학교(수산계) 수준에서도 학생 개개인의 능력과 수준은 다를 수 있지만 전체 수준을 설정하여 수업 내용의 경우 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지적 수준에 맞도록 재구성하여 가르치는 것이 필수입니다. <Interviewer 3>

교육 내용은 교사와 학습자 사이를 연결시켜 주는 의미에서 교육의 매개체인 것이다. 수업에서 교사는 학습자의 수준이나 흥미, 선수학습 요소 등을 파악하고 학습자에 맞게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전달함으로써 학습자의 이해를 돕고, 학습에 대해 흥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특히, 식품 전공에 있어서는 이론적인 내용보다는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을 우선시함을 알 수 있다.

3. 교육 방법

교육 방법 영역의 좋은 수업 인식에 대한 결과는 <Table 4>와 같으며 ‘학생의 흥미와 동기를 자극하는 수업 전략을 사용하는 수업(4.70)’을 가장 중요한 좋은 수업의 특징으로 인식한 반면 ‘학생에게 적절한 권한, 책임, 선택권을 부여하는 수업(4.41)’에 대해 가장 낮은 인식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다양한 자료, 매체, 도구를 적절히 활용하는 수업’에 대해 지역별(인천〈전남)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Teacher's perception of good class 'class perspective' category(N=96)

교직에 처음 들어와 잘 가르치겠다는 욕심에 교과 수업을 정말 많이 준비했는데 정작 아이들은 집중을 못하고 힘들어하는 것 같았어요. 한참 뒤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추고 학생들이 좋아하는 주제로 수업을 풀어나갔을 때 흥미를 느끼고 자기의 것으로 잘 받아들인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어요. <Interviewer 1>
고등학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 사이에 있는 것 같아요. 교사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할지?” 모든 면에서 “교사의 역할부터 엄마의 역할까지” 하고 있어요. 저 뿐만 아니라 우리학교 대부분의 선생님은 지극히 교사 주도의 수업을 하고 있습니다. <Interviewer 5>

일부 특성화고등학교에서는 수업 시간에 교과서, 노트, 필기구를 모두 준비한 학생이 많지 않아 교사가 필기구를 나눠 주는 경우가 있다(Kim et al., 2019).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학습 동기 특성을 지닌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원활한 수업을 위해 교사들이 동기 유발에 초점을 맞춘 학습 자료 및 도구의 활용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과 흐름을 같이 한다.

4. 교육 환경 및 분위기

교육 환경 및 분위기 영역에 대한 좋은 수업 인식 결과는 <Table 5>와 같으며 ‘학생 중심의 협력적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수업(4.56)’을 가장 중요한 좋은 수업의 특징으로 인식하였으며, ‘물리적 환경이 잘 구비되어 있는 상태(4.30)’에 대해 가장 낮은 인식의 수준을 보였다. 변수별 차이 분석 결과 ‘학생이 스스로 참여하고 활동하는 것에 중점을 두는 수업’이 경력별(5년 이하 〈 6~10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eacher's perception of good class 'instructional environment and atmosphere' category(N=96)

학급에서 모둠 활동 시 ‘나 정도는 참여 안 해도 상관없을 거야.’라는 생각하거나 ‘누군가는 해결하겠지.’하면서 협동학습 참여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게 되는데 이러한 결과는 역시 학급 전체 분위기가 소극적으로 흘러가게 되는 원인이 된다. <Essay 4>
교육할 수 있는 분위기는 교사에게도 적용이 되어야 합니다. 아니 우선 교사의 수업 전문성 장려를 위해 과도한 행정업무와 수업과 무관한 출장 등이 방해요소이기에 이러한 부분을 선 제거 후 교실수업 분위기를 기대해야 한다고 봐요 <Interviewer 3>

수업은 민주적 수업 문화 테두리에서 교육적 이상을 교사-학생 상호작용을 통해 경험의 의미와 인식의 폭을 넓혀 주며, 학생들의 지속적인 능력 개발에 기인한다(Meyer, 2004). 교육에 참여하는 두 대상의 교감이 없이는 교육적 성취가 있을 수 없다. 수업 중 교감의 도구로 교사와 학생 모두가 흥미를 가질 수 있는 SHS 등 실습기자재를 선도적으로 활용한 인천 지역의 경우 매체와 도구의 사용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인 것과 맥락을 같이 함을 알 수 있다.

5. 평가

평가 영역에 대한 좋은 수업 인식 결과는 <Table 6>과 같으며 ‘교사와 학생이 신뢰할 수 있는 평가 분위기를 조성하는 수업(4.83)’을 가장 중요한 좋은 수업의 특징으로 인식하였으며, ‘지식의 이해, 적용할 수 있는 통합적 능력을 평가하는 수업(4.30)’ 점을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별 차이 분석 결과 ‘개인의 발전 정도에 따라 공정하게 평가가 이루어지는 수업’이 경력(5년 이하〈6-10년)과 지역(인천〈전남)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Teacher's perception of good class 'evaluation' category(N=96)

많은 학교에서 학기말 수행평가 기간이 되면 학생들은 적잖이 스트레스를 받더라구요. 교사 입장에서는 한 과목이지만 학생들은 거의 모든 과목에 대해 수행평가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죠. 비단 우리 학교만의 문제는 아닐 겁니다. 과연 이런 평가는 누구를 위한 평가인지 저도 혼란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Interviewer 1>
학년말이 되면 항상 드는 생각이 있다. ‘과연 내가 아이들에게 수업에 대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한 상호작용을 통해 아이들이 원하는 것을 이루고자 했는지?’ ‘아이들에게 더 필요한 것이 무엇이 있었을지’를 파악하는 반성적 사고 과정을 거친다. 교원능력개발평가 시기가 다가 왔을 때 말이다. <Essay 5>

평가는 학습목표 달성을 위해 수업의 과정이 이루어지고 이후 학생들이 목표를 이루었는지, 교사와의 상호작용은 얼마나 더 필요한지 등을 파악하는 반성적 역할을 한다. 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성취 수준을 파악할 수 있고, 이 결과를 분석하여 여러 가지 교육의 과정상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Ⅴ.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수산ㆍ해운계 고등학교 교사들이 어떤 수업을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과 논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좋은 수업의 특징으로 수업 관점 영역에서는 ‘수업 내용의 효과적인 전달’, ‘교사-학생 간 신뢰로운 관계 구축’ 관점을 선택하였고, 교육 내용 영역에서는 ‘수업목표와 학생에게 기대하는 바를 분명히 제시하는 수업’을 좋은 수업의 특징으로 인식하였다.

교육 방법 영역에서는 ‘학생의 흥미와 동기를 자극하는 수업 전략을 사용하는 수업’을 선택했고, 교육 환경 및 분위기 영역에서는 ‘학생 중심의 협력적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수업’을, 평가 영역에서는 ‘교사와 학생이 신뢰할 수 있는 평가 분위기를 조성하는 수업’을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수업 관점과 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에서 본 연구와 Lee and Lee(2011)가 제시한 교과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수업과 ‘좋은 수업’을 탐색한 Kwon(2010)의 연구에서 가장 우선한 특징으로 제시한 것과 같은 맥락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사는 교육에서 중요한 변수이며 이들에 의한 학생들의 성장은 교사와 상호 작용으로 이루어지는 것(Cho, 2018)으로 좋은 수업은 교사와 학생 간의 신뢰와 존중의 관계가 형성되면서 학생이 기대하는 바를 효과적인 교육내용 전달을 통해 이어지는 수업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교사가 교과내용에 대해서 아무리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수업을 철저히 준비한다고 하더라도 학생이 교사를 믿고 따르지 않으면, 교과내용 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Seo, 2004).

교육 방법의 변화를 통해 좋은 수업을 실현하기 위한 관심은 교육학자들이 꾸준히 연구하고 있는 영역이다. Schunk(2016)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지식 습득의 의미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 환경과의 밀접한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물로, 학습자가 학습과정에 적극적 참여를 통해 확산적 사고를 발산하고 지식을 재구성하는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고 보았다. 특히, 상대적으로 학업에 대한 관심보다 취업에 대한 관심이 높고 실무를 중시하는 특성화ㆍ마이스터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에서 학습동기유발 자극을 통해 학생의 수업에 대한 흥미 유발을 할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 개발과 이에 따른 맞춤식 연수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는 점은 이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교육 방법 영역과 교육환경 및 분위기 영역에서 공통으로 통용되는 좋은 수업이란, 교사와 학습자가 협력하는 분위기에서 성공적인 목표 수행을 위해 효과적인 교수법을 활용하여 학습자 개인의 발전을 꾀하는 수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학생들은 그들이 평가 될 것이라고 믿는 것에 대해 학습 하는 경향을 보인다(Kwon, 2010). 그렇기 때문에 수업 시간에 제시하는 학습 목표와 평가의 연결성 중요한데, 이는 교사와 학생이 평가에 대해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는 수업인가로 귀결된다는 것이다. 즉, 좋은 수업을 하는 교사들은 수업과 평가를 긴밀히 연계하여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자극하고 유발하여, 교수학습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으며 나아가 다양한 평가 결과를 수업 개선에 적극으로 활용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Kennedy(2010)는 좋은 수업에 대한 명확한 정의나 과정에 대해서 합의를 도출하지 못하고 있으며 하나의 좋은 수업이란 존재할 수 없으며 하나의 관점만을 반영하는 좋은 수업을 개념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보았다. 좋은 수업에 대한 다양한 관점은 수업을 바라보는 하나의 시각일 뿐이며 여러 관점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행동 및 수업방법을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Pratt, 2002). 결국 수산ㆍ해운계고 교사들은 교사-학생이 ‘신뢰로운’ 관계 설정과 ‘학생이 기대하는 바를 분명히 제시’하여 ‘흥미와 동기를 자극하는 수업 전략’을 통해 ‘학생 중심의 협력적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수업’ 과정을 지향하여 ‘수업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수업을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는 ‘좋은 수업’에 대한 수산ㆍ해운계고 교사의 인식에 따른 다양한 사례와 지원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부경대학교 신임교수 학술연구지원사업(2019년)에 의해 연구되었음.

References

  • Bain K(2004). What the best college teachers do. Harvard University Press. 22~27.
  • Bogdan CR and Biklen KS(2010).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Cho JS Trans.). Seoul, Korea: Kyungmoonsa.(Original work published in 2007). 1~428.
  • Cho JH(2018). The Effect of Teaching Styl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on Student Class Flow and Class Satisfaction.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0(2), 690~699. [https://doi.org/10.13000/JFMSE.2018.04.30.2.690]
  • Cho JH(2020). An IPA Analysis on NCS-based Curriculum Recognized by Teachers of Fisheries High School.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2(1), 80~90. [https://doi.org/10.13000/JFMSE.2020.2.32.1.80]
  • Cho NS, Yang JM, Ryu JA, Jung M-K, Jang YJ and Kim SC(2002). Study on Korean Education Quality Improvement Measures(Ⅰ). Comprehensive Report of Joint Research of Korea Institution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Research Report RRC 2001-16.
  • Chung MK(2007). Pre-teachers perception of good college instructional practice in the teacher education.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5(3), 247~264. [https://doi.org/10.15708/kscs.25.3.200709.010]
  • Chung MK, Hwang JS, Lee SH, Hur EJ, Choi SJ, Park SW, Ahn SH and Min SB(2017). Educational Innovation Outlook and Tasks(Ⅱ) -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 Research Report(RR2017-01), 69~76.
  • Kennedy MM(2010). Against Boldnes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1(1-2), 16~20. [https://doi.org/10.1177/0022487109347876]
  • Kim JH(2002). Improving the quality of Korean school education (II): a qualitative case study for good instruction in the secondary school. Seoul, Korea: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0~74.
  • Kim MJ, Park SH and Kim HJ(2019). Analysis of need for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flip learning clas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5), 231~240.
  • Klaus, S.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World Economic Forum. 11.
  • Kwak YS, Son, JW, Kim MY and Ku JO(2014).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curriculum focused on key competencies and creative fusion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3), 321~330.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3.0321]
  • Kwon SY(2010). Teachers’ conceptions of good teaching in secondary school: the analysi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6(1), 185~215.
  • Lee BW(2016). Secondary Science Teachers’ Concepts of Good Science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1), 103~112.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1.0103]
  • Lee J and Lee SH(2011).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n Perspective and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7(1), 41~59.
  • Meyer H(2011). Was ist guter Unterricht? , Cornelson Verlag Scriptor GmbH & Co. KG, Berlin, 2004. (Son SN and Jeong CH Trans, 『what is good class?』, Seoul: Samuban, 2011. 1-323.
  • Ministry of Education(2015b). 2015 National Curriculum(General & Subject) Announcement, Press release(2015.9.23).
  • Pratt DD(2002). Good teaching: One size fits all?. New directions for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93, 5~16. [https://doi.org/10.1002/ace.45]
  • Schunk, DH(2016). Learning theories: An educational perspective. Noh SJ, Choi BY, Cha HJ, Jang KW, Oh JE, So HJ, translators. Paju: Academypress, 1~686.
  • Seo KH(2004). The perspectives and conceptions about good instructional practice: An interview study of teachers and student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2(4), 165~187.
  • Seo KH and Yoo SY(2004). The good instructional practice from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Perspective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4), 258~315.
  • Yune SJ(2012). Analysis of Good College Teaching Characteristics by multi-faceted approach.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4(6), 963~976. [https://doi.org/10.13000/JFMSE.2012.24.6.963]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Freq(N) Per(%)
Gender male 63 65.6
female 33 34.4
Career ~5y 22 22.9
6~10y 25 26.0
11~20y 25 26.0
21y~ 24 25.0
Position Dept. head teacher 33 34.4
Teacher 63 65.6
School type Vocational 68 70.8
Meister 28 29.2
Major Fishing 15 15.6
Aquaculture 11 11.5
Food processing 8 8.3
Marine engine 21 21.9
Refrigeration 4 4.2
Voyage 8 8.3
General subject 29 30.2
Area Busan 15 15.6
Incheon 23 24.0
Gyeongnam 11 11.5
Gyeongbuk 17 17.7
Chungnam 16 16.7
Jeonnam 14 14.6
Total 96 100.0

<Table 2>

Teacher's perception of good class 'class perspective' category(N=96)

Class Perspective M SD t / F(p) Post-hoc
(Duncan)
Position type Career Major Area
*p<.05, M=Mean; SD=Standard deviation
Communicate the contents of a class effectively 4.74 .464 1.203 .341 .702 .632 .845
The learner actively constructs knowledge 4.53 .615 -.185 -.045 .607 1.046 1.771
Achieve class objectives as intended 4.42 .691 1.327 -1.752 .855 1.323 2.430*
(.041)
Chungnam〈 Gyeongnam
Establish a reliabl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4.74 .548 -.550 .289 1.083 1.185 1.200

<Table 3>

Teacher's perception of good class 'instructional content' category(N=96)

Instructional Content M SD t / F(p) Post-hoc
(Duncan)
Position type Career Major Area
*p<.05
Organize the content of the training according to the student's intellectual level 4.57 .661 -.944 1.380 .339 .225 1.941
Organize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interests 4.48 .740 -.816 1.038 .694 .715 .761
Organize with practical educational content related to real life 4.46 .631 .979 .295 .823 2.942*
(.012)
.370 Food processing
〈 Marine engine
Construct around basic and specific concepts and principles 4.45 .647 -.258 -.852 .317 1.775 1.452
Focus on grasping the overall context 4.38 .603 -1.206 .185 1.265 2.126 1.472
Develop high-level thinking, such as problem solving and reasoning ability 4.08 .706 -.531 -1.169 1.592 1.642 1.242
Make clear the objectives of the class and what you expect from the student 4.65 .562 .262 -.365 .097 1.088 1.807

<Table 4>

Teacher's perception of good class 'class perspective' category(N=96)

Instructional Method M SD t / F(p) Post-hoc
(Duncan)
Position type Career Major Area
*p<.05
Use a class strategy that stimulates student interest and motivation 4.70 .484 .873 1.659 .232 1.822 1.349
Organize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in harmony and explain it in an easy way to understand 4.57 .576 .406 .795 .478 .766 .589
Classes reflect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tudents 4.46 .614 -.742 .303 .595 .967 .621
Utilize various methods of education. 4.46 .679 1.229 -.055 .771 1.423 .838
Appropriate use of various materials, media and tools 4.48 .615 .065 -1.689 .484 .803 2.449*
(.040)
Incheon〈 Chungnam
Give students appropriate authority, responsibility and choice 4.41 .748 -.402 .411 .364 1.283 1.210

<Table 5>

Teacher's perception of good class 'instructional environment and atmosphere' category(N=96)

Instructional Environment and Atmosphere M SD t / F(p) Post-hoc
(Duncan)
Position type Career Major Area
*p<.05
Student-centered collaborative interactions are active 4.56 .595 -.562 .282 2.513 .549 1.870
Focuses on students'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on their own 4.51 .649 -.941 -.589 2.802*
(.044)
1.229 1.994 -5y〈 6-10y
Classes in a well-equipped physical environment 4.30 .698 .624 .467 .546 .564 .335
Class management is done well through the setting of rules in the classroom 4.31 .715 1.415 -.391 .319 1.716 1.146

<Table 6>

Teacher's perception of good class 'evaluation' category(N=96)

Evaluation M SD t / F(p) Post-hoc
(Duncan)
Position type Career Major Area
*p<.05
Create a reliable evaluation atmosphere 4.83 .375 -.859 .798 .614 .763 .194
Students are given equal and equitable opportunities 4.78 .440 -1.364 -1.085 .310 1.069 2.097
Depending on the degree of personal development, (absolutely) fair evaluation is required 4.76 .453 .428 -.846 2.814*
(.044)
.703 2.478*
(.038)
6-10y 〈 ~ 5y
Incheon 〈 Jeonnam
To evaluate the understanding of knowledge, the integrated ability to apply 4.53 .597 .168 -1.177 .455 1.521 .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