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4, No. 2, pp.302-311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2
Received 11 Feb 2022 Revised 10 Mar 2022 Accepted 16 Mar 2022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2.4.34.2.302

농업계열 고등학교 플립러닝 수업의 학습동기와 학습실재감이 수업흥미도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임종민 ; 조진호
김해생명과학고등학교(교사)
부경대학교(교수)
The Influence of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Presence on Class Interest and Class Satisfaction in Flipped Learning Classes in Agricultral High Schools
Jong-Min LIM ; Jin-Ho CHO
Gimhae High School Of Life Science(teacher)
Pukyong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051-629-5973, 75jino@pknu.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what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presence, class interest, and class satisfaction are formed in flipped learning classes, and how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presence affect class interest and class satisfaction. To collect the data, a survey was conducted with students of four specialized agricultural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sangnam-do. A total of 306 students participa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presence, class interest, and class satisfaction for flipped learning, overall, all of them is above the normal level. It was confirmed that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presence for flipped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class interest and class satisfaction. Teachers need to improve their class interest and class satisfaction with the class by elicit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presence as much as possible. Therefore, teachers need to actively apply flipped learning to their classes, and constant efforts are needed to develop various competencies required for it.

Keywords:

Flipped learning,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presence, Class interest, Class satisfaction

Ⅰ. 서 론

최근 교육은 COVID-19로 인해 많은 변화를 가져온 분야 중 하나이다. 언택트(untact)에서 온택트(ontact) 교육으로의 변화로 정부는 학교 및 학생들에게 웹캠, 마이크 등 원격 수업을 위한 기자재 확보를 위하여 노력하였고, 교사들은 유례없는 원격수업을 위한 콘텐츠를 직접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COVID-19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직업계고등학교는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에서도 등교수업이 허용되어 원격수업과 관련된 학교 현장의 혼란은 어느 정도 감소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기회를 통해 미래 교육을 대비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첨단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요즘 학생들은 수업에서 제공되는 지식이 아니더라도 스스로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찾는 것에 능숙하다. 또한 이번 코로나 사태로 인한 갑작스러운 비대면 수업 전환과 같은 상황이 발생했을 때를 대비하여 디지털을 활용한 교육 역량은 필요하다. 이러한 교육 현장에 새롭게 등장한 교수 모델이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이다. 학습자가 스스로 주체가 되어 선행학습을 하고 난 뒤 뒤 교실 안 수업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플립러닝을 활용한 교과 수업들은 자기주도적 학습을 강조하는 교육정책과 방향을 같이 하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Seo, 2015).

우리나라에서의 공·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비교하면 여전히 농업은 등한시하며 기피되어 온 산업이다. 이는 급속한 산업화의 진행과 산업의 경제적인 측면만 강조하면서 농업의 중요한 가치를 점점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Heo, 2008). 경제성장과 소득의 증가로 소비자 입장에서도 양적인 풍요에서 질적 풍요로 먹거리에 대한 유기농이나 무농약 등의 건강식에 대한 선호 및 관심과 욕구가 늘어나는 추세이며, 생산적 측면에서도 IT와 AI를 접목한 선진농업을 선호하는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젊고 유능한 농업 인재를 양성하는 것은 우리나라 농업의 위급한 사안이 되었다. 이에 우리나라 농업 분야의 중등직업교육기관인 농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특성화고등학교에 입학하고 있는 학생들의 대부분은 저소득 가정, 결손가정 등 어려운 가정환경으로 단순히 일찍 취업을 위한 학생이거나 인문계고등학교 진학 실패 후 차선책으로 입학하여 학습동기가 낮고 다소 무기력하여 수업에 몰입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학생들의 학습 의욕의 저하는 교사의 교직에 대한 회의감을 느끼게 하여 열의를 감소시키고 수업 개선에 대한 노력 없이 강의식 수업만을 고집하는 악순환이 일어나게 된다.

학습은 학습자가 흥미를 가져야 학습 시간과 활동량이 늘어나며 그 교육의 효과도 그에 따라 정비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ang, 2015). 학습 내용에 흥미를 느끼는 사람은 재미의 대상이나 활동에 유쾌한 감정과 태도를 보이고 의도적인 노력이나 주의를 덜 들이고도 더 높은 주의 집중력과 학습효과를 보이며, 자발적이고 지속적으로 관여하는 경향을 보인다(Won, 20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소재 농업계 특성화고등학교 4개 학교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한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학습동기, 학습실재감, 수업흥미도, 수업만족도가 어떠한지 알아보고, 학습동기 및 학습실재감이 수업흥미도와 수업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플립러닝(flipped learing)이라는 용어는 ‘뒤집다’라는 뜻의 영어단어를 플립드(flipped)와 학습을 뜻하는 러닝(learning)의 합성어로 우리나라 말로는 ‘뒤집어진 학습’,‘거꾸로 학습’,‘반전학습’등으로 표현되고 있다. 플립러닝(flipped learing)은 전통적인 교육 방식을 거꾸로 실시하는 교육방법이다. 플립러닝은 교실에서 이루어지던 교수자의 강의를 사전에 온라인으로 학습하고 수업 중에는 학습자의 활동을 중심으로 그룹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등 교수자-학습자 및 학습자-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늘리고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수업 설계 방법이다(Lee and Lee, 2017). 교사와 학생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으로 교사의 관심과 기대가 학생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학습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Ahn, 2010).

동기(motive)란 인간의 모든 의도적이고 목표지향적인 행동의 근원이다(Kim, 1998). 동기는 자신이 가진 지식 그리고 경험을 바탕으로 어떤 것을 추구할 것인지 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결정 이후에 쏟는 노력의 정도를 포함한 말이다(Kang, 2018). Ahn(2020)는 고등학생들은 자신의 학습동기를 전반적으로 높게 인식하였지만,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은 외국어고등학교 학생보다 학습동기를 낮게 인식하였으며 학습동기는 학생의 학습몰입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학습자의 적성과 흥미를 고려한 학습자 중심의 학습을 장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학습실재감은 학생들이 플립러닝 학습 환경 내에서 학습 내용을 인식하고 문제를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해결하려는 인지활동으로, 학습 내용의 이해와 구조적 조작화,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 및 학습을 하면서 학습 환경에 대해 느끼는 개인의 감정 등이 포함된다(Kim, 2018). Park and Yu(2014)은 SNS를 활용한 대학수업에서 학습실재감과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한 결과 학습실재감은 학습만족도 및 학습 지속 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어떤 분야에 대해 흥미가 있다고 하면, 이는 개인의 마음을 끌거나 호기심을 자극하는 주제에 대한 자발적인 탐색 활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내적동기의 한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Yoon(2005)은 교과흥미란 특정 교과에 마음이 끌리는 감정을 수반하는 관심이라고 정의하였다. Mo(2018)의 연구에서는 “나는 다른 학생들에 비해 과제활동을 더 잘했다”고 느낀 학생들이 무용 수업에 대한 자신감과 자기효능감 및 성취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용수업 흥미와 수업참여도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만족이란 학습자가 학습을 한 후에 느끼는 전반적인 만족을 의미하는 것으로 느낌이나 감정뿐만 아니라 판단적 신념을 모두 포함하며 학습만족도란 학습을 통해 모자람이 없이 마음에 드는 흡족한 정도다(Lee, 2018). 수업만족도는 수업 상황에서 학습자의 욕구가 충족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수업만족도는 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중요한 지표로 자주 활용되어 왔다(Feldman, 1997). Cho and Choi(2018)의 연구에 따르면 교사마다 교육내용과 방법이 불일치하거나 교육내용과 평가가 불일치하여 학생들에게 혼란을 야기한다고 보고한다. 따라서 교사는 수업 중 설명이나 시연을 구체화하여 정보를 전달하고, 학생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방법으로 수업이 이루어진다면 특성화고 학생들의 수업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 방법

가. 조사 대상

본 연구는 경상남도에 소재한 4개의 농업계 고등학교에서 플립러닝을 1회 이상 수강한 학생 33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먼저 플립러닝을 수업에 1회 이상 적용한 교사를 파악하였으며 해당 교사가 학생들에게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정의와 특징을 충분히 설명한 후 설문을 진행하였다(<Table 1> 참조).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나. 측정 도구

학습동기, 학습실재감, 수업흥미도, 수업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Kim(2018)의 연구에서 플립러닝을 통해 학생들이 지각하는 학습동기와 학습실재감이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 문항들과 Min(2018)의 연구에서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된 문항들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였다. 교육학 전문가 2인의 검토를 받아 사용하였으며 5점 리커트 척도(1점: 전혀 그렇지 않다~5점: 매우 그렇다)로 구성하였다. 각 변인에 대한 설문의 신뢰도는 <Table 2>와 같다.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tools

다. 조사 방법

본 조사는 2021년 8월 2일 ∼ 8월 31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총 330부를 배부하였고 불완전한 응답을 제외한 후 총 306부의 설문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설문지의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여 신뢰성 분석(reliability test)을 실시하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동기, 학습실재감, 수업흥미도, 수업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농업계 고등학교에서 플립러닝 수업 후 학생들이 지각하는 수준이 어떠한지 파악하였다.

넷째, 학습동기 및 학습실재감과 수업흥미도 및 수업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동기, 학습실재감, 수업흥미도, 수업만족도의 차이

가. 일반적 특성에 따른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동기와 학습실재감의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른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동기와 학습실재감의 차이는 <Table 3>과 같다.

The Differences i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pres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학습동기는 주의집중 차원에서 B학교(3.95), C학교(3.87), D학교(3.68), A학교(3.63) 순으로(p<.05), 자영과(3.95), 식품가공과(3.87), 조리과(3.64) 순으로(p<.05), 2학년(3.88), 3학년(3.79), 1학년(3.6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5).

학습실재감은 사회적 실재감 차원에서 자영과(3.99), 식품가공과(3.87), 조리과(3.66) 순으로(p<.05), 인지적 실재감에서 자영과(3.95), 식품가공과(3.63), 조리과(3.62)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5).

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플립러닝에 대한 수업흥미도와 수업만족도의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른 플립러닝에 대한 수업흥미도와 수업만족도의 차이는 <Table 4>와 같다. 수업흥미도는 B학교(3.93), D학교(3.63), C학교(3.62), A학교(3.44) 순으로(p<.01), 자영과(3.91), 식품가공과(3.62), 조리과(3.49)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1).

The Differences in Class interest and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수업만족도는 학교, 학과, 성별, 학년 모두에서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동기 및 학습실재감이 수업흥미도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동기가 수업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동기가 수업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학습동기를 독립변인으로, 수업흥미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5>와 같이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학습동기는 수업흥미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F=225.381, p<.001) 변인임이 확인되었으며, 학습동기가 수업흥미도를 설명한 총 변량은 69.1%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플립러닝 학습법을 통해 진행되는 수업에 대한 학습동기가 긍정적일수록 수업흥미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for flipped learning on Class interest

구체적으로 학습동기 차원별 영향력을 살펴보면, 학습동기의 3차원 중 주의집중 차원이 수업흥미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가장 큰 영향(β=0.498, t=5.929,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신감 차원도 유의한 영향(β=0.262, t=3.397, p<.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련성 차원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나.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동기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동기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학습동기를 독립변인으로, 수업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6>과 같이 나타났다.

The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for flipped learning on Class satisfaction

전체적으로 학습동기는 수업흥미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F=380.589, p<.001)변인임이 확인되었으며, 학습동기가 수업흥미도를 설명한 총 변량은 79.1%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플립러닝 학습법을 통해 진행되는 수업에 대한 학습동기가 긍정적일수록 수업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학습동기 차원별 영향력을 살펴보면, 학습동기의 3차원 중 주의집중 차원이 수업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가장 큰 영향(β=0.337, t=5.008,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신감 차원도 유의한 영향(β=0.266, t=4.312,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련성 차원도 유의한 영향(β=0.253, t=3.832,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실재감이 수업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실재감이 수업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학습실재감을 독립변인으로, 수업흥미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7>과 같이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학습실재감은 수업흥미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F=170.947, p<.001) 변인임이 확인되었으며, 학습실재감이 수업흥미도를 설명한 총 변량은 62.9%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플립러닝 학습법을 통해 진행되는 수업에 대한 학습실재감이 긍정적일수록 수업흥미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학습실재감 차원별 영향력을 살펴보면, 학습실재감의 3차원 중 인지적 실재감이 수업흥미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가장 큰 영향(β=0.290, t=4.650,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감성적 실재감이 유의한 영향(β=0.263, t=3.750,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사회적 실재감이 유의한 영향(β=0.190, t=2.702, p<.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 of Learning presence for flipped learning on Class interest

라.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실재감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실재감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학습실재감을 독립변인으로, 수업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8>과 같이 나타났다.

The Effect of Learning presence for flipped learning on Class satisfaction

전체적으로 학습실재감은 수업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F=456.466, p<.001)변인임이 확인되었으며, 학습실재감이 수업만족도를 설명한 총 변량은 81.9%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플립러닝 학습법을 통해 진행되는 수업에 대한 학습실재감이 긍정적일수록 수업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학습실재감 차원별 영향력을 살펴보면, 학습실재감의 3차원 중 감성적 실재감이 수업흥미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가장 큰 영향(β=0.337, t=7.072,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사회적 실재감이 유의한 영향(β=0.322, t=6.749,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인지적 실재감이 유의한 영향(β=0.159, t=3.769,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농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플립러닝 수업의 실태를 살펴보고, 플립러닝 수업을 통해 형성된 학습동기, 학습실재감, 수업흥미도, 수업만족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라 이들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학습동기 및 학습실재감이 수업흥미도 및 수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동기, 학습실재감, 수업흥미도, 수업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4가지 변인 모두에서 보통 이상 수준의 점수를 보였다.

둘째,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동기가 수업흥미도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동기가 수업흥미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업흥미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동기의 차원은 주의집중 차원, 자신감 차원 순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련성 차원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동기가 수업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동기의 차원은 주의집중 차원, 자신감 차원, 관련성 차원 순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실재감이 수업흥미도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실재감이 수업흥미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업흥미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실재감의 차원은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이 순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실재감이 수업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실재감의 차원은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순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동기와 학습실재감이 긍정적일수록 수업흥미도와 수업만족도가 높다는 것이 확인되어 학습동기 및 학습실재감이 수업흥미도 및 수업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학습실재감이 수업의 흥미도 및 만족도에 매개역할을 하며 학습동기가 긍정적일수록 수업흥미도와 만족도가 높다는 Kim(2018)의 연구 결과를 뒷받침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동기, 학습실재감, 수업흥미도, 수업만족도에서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 이상의 수준을 보였지만 눈에 띄게 높은 수준을 보이지는 않았다. 플립러닝 수업은 강의식 수업보다 학생들의 학습동기, 학습실재감, 수업에 대한 흥미 및 만족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요소가 많지만 교사가 사전학습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우며 수업 시간에는 학생이 수업의 주체가 되므로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이 더욱 강조된다(Yi and Lim, 2020). 따라서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력에 따라 학습결과에 큰 차이를 보일 수 있으므로 교사는 자신이 속한 학교의 학습환경 및 학생의 특성에 맞는 플립러닝 수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업 중 순회 지도와 적절한 코칭(coaching)을 통해 다른 학생들보다 학습 속도나 능력이 부족한 학생의 학습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수자의 태도와 교수법에 대한 의견을 묻는 설문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응답을 한 것으로 보아 교수자가 열의를 가지고 수업을 잘 준비할수록 학생들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Park(2018)의 연구에서 교수자들이 플립러닝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짜임새 있는 수업설계와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플립러닝 관련 교수법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 해준다.

셋째,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동기와 학습실재감이 수업흥미도 및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통해 교사들은 플립러닝을 수업에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수업을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 또한 이를 플립러닝 수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해 나가기 위해 필요한 역량을 세분화하여 이들을 개발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이는 플립러닝 수업 운영을 위한 교사 역량으로 수업 전 단계에서는 학습 설계 역량, 학생 관리 역량이 보다 강조되며, 수업 중 단계에서는 학생 활동 촉진 역량, 학생 수행 조절 역량, 교사 태도 역량, 의사소통 촉진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수업 후 단계에서는 심화 학습 지원 역량, 학습 평가 역량이 요구된다는 연구(Kim et al., 2016)와 견해를 같이한다. 또한 교수자의 ICT 활용에 대한 전문성 및 기술적 향상, 전공 수업에 더 많은 노력과 관심 역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플립러닝, 증강현실을 활용한 수업 등 교실 현장에서 이미 ICT를 활용하고 있으므로 ICT를 적절한 수준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Woo et al., 2018).

농업계 특성화고등학교에는 특성화고등학교 및 고졸 취업에 대한 사회적 부정적 인식으로 인해 특성화고등학교의 취지에 맞는 학생들의 입학은 적고, 자신이 선택한 전공에 기본적인 관심과 학습 의욕이 부족한 학생들이 아직 많은 실정이다. 수업에 대한 흥미와 만족은 곧 자신의 전공학과에 대한 생각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특성화고등학교의 설립 목적인 특정 분야 인재 양성과도 직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는 플립러닝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습실재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법에 대한 현장연구와 이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후속 연구가 병행되어야 직업계고등학교 수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혁신적이고도 올바른 설계도를 구상할 수 있을 것이다(Cho, 2020).

본 연구의 의의는 농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농업계 특성화고등학교의 플립러닝 수업 실태에 대한 연구와 플립러닝을 통한 학습동기, 학습실재감, 수업흥미도, 수업만족도 그리고 학습동기와 학습실재감이 수업에 대한 흥미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했다는 데에 있으므로 농업계 특성화고등학교를 포함한 모든 계열의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플립러닝 수업을 위한 환경을 준비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부경대학교 자율창의학술연구비(2021년)에 의해 연구되었음.

이 논문은 1저자의 석사학위논문을 수정·보완하여 작성하였음.

References

  • Ahn DJ(2020). The Effects of High School Classroom Teacher's Servant Leadership on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ha University, Master’s Thesis.
  • Ahn JS(2017). The Effect of TBL(Team-based learning) based Flipped Learning on the Self-efficacy for Group Work,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Verification on the Mediating Effect of Team Mental Mode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kuk University, Master’s Thesis.
  • Cho JH and Choi YS(2018). The Effect of Teaching Behavior Styles of Fisheries & Maritime High School Teacher on Students' Satisfaction in Major Subject Classes.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7(2), 129~143. [https://doi.org/10.37210/JVER.2018.37.2.129]
  • Cho JH(2020). An IPA Analysis on NCS-based Curriculum Recognized by Teachers of Fisheries High School.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2(1), 80~90. [https://doi.org/10.13000/JFMSE.2020.2.32.1.80]
  • Feldman, K. A(1997). Identifying exemplary teachers and teaching: Effective from student ratings. Effective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368~395.
  • Heo YJ(2008).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Farmer Education with the Purpose of Construction of Farmer's Lifelong Learning System.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40(2), 1~31. [https://doi.org/10.23840/agehrd.2008.40.2.1]
  • Kang HJ(2018). The effects of English instructor's leadership on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learning motivation and class satisfac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 Kang Y(2015). The Effect of Reenactment History Learning on Interest in History Classe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 Kim AY(1998). Educational Application of Motivation Theories and Issues for Future Research : Focused on Self - efficacy Theor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2(1), 105~128.
  • Kim EG(2018).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Presence of Flip Learning on Interest and Class Satisfaction of Beauty-related Classe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onam University, Master’s Thesis.
  • Kim KS, Lee DH and Song HD(2016). What Competencies are Required for Teachers to Effectively Implement Flipped Learning Class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3(2), 181~207. [https://doi.org/10.24211/tjkte.2016.33.2.181]
  • Lee BK(2018). An Empirical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rning Satisfaction Based on Blended Learning. Graduate School of Culture Creation, Kyung Hee Cyber University, Master’s Thesis.
  • Lee ES and Lim HS(2020). Factors Affecting Learning Methods and Flipped Learning by Flipped Lear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6), 45~52.
  • Lee SM and Lee JY(2017). Flipping a college science course with offline quizzes: A case stud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3(3), 397~431. [https://doi.org/10.15833/KAFEIAM.23.3.397]
  • Min HL(2018). Effect of Learning Presence of Flipped Learning Courses on Academic Achievement,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 Mo SH(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in Dance Class and Class Particip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Master’s Thesis.
  • Park HJ and Yu BM(2014).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Presence,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with the Use of SNS in University Classe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0(4), 649~674. [https://doi.org/10.15833/KAFEIAM.20.4.649]
  • Park HJ(2018). Analysis on the Experience and Intention of Acceptance, Attitud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about Flipped Learning of University professor.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8(1), 295~312. [https://doi.org/10.21024/pnuedi.28.1.201803.295]
  • Seo YE(2016).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Using Flipped Learning Model on EFL Learner's English Performance and Attitude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ha University, Master’s Thesis.
  • Won JE(2013). A Qualit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terested in History subjects.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Master’s Thesis.
  • Woo HJ, Jo HJ and Choi Y(2018). The Trends and Prospects of ICT based Education. informatization policy, 25(4), 3~36.
  • Yi ES and Lim HS(2020). Factors Affecting Learning Methods and Flipped Learning by Flipped Lear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6), 45~52.
  • Yoon MS(2005). The Effects of Types of Performance Feedback, Perceived Competence, and Goal Orientation on Task Interests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9(1), 115~133.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Sortation Frequency %
School A 108 35.3
B 52 17.0
C 107 35.0
D 39 12.7
Department Food processing 107 35.0
Cooking 52 17.0
Independent agriculture 147 48.0
Sex man 177 57.8
woman 129 42.2
Grade 1st 95 31.0
2nd 105 34.3
3rd 106 34.6
Total 306 100

<Table 2>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tools

Variables Cronbach’s α Questions
Learning motivation 0.980 14
Learning presence 0.975 12
Class interest 0.839 6
Class satisfaction 0.903 7

<Table 3>

The Differences i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pres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ortation N Learning motivaton Learning presence
Confidence Attention Relationship Social presence Cognitive presence Emotive presence
M SD M SD M SD M SD M SD M SD
*p<.05
School A 108 3.67 0.88 3.63 0.84 3.65 0.85 3.87 0.89 3.63 0.85 3.80 0.88
B 52 3.90 0.94 3.95 0.94 3.92 0.91 3.66 0.87 3.62 0.88 3.70 0.85
C 107 3.82 0.79 3.87 0.69 3.85 0.73 4.01 0.89 3.97 0.95 3.96 0.97
D 39 3.77 0.80 3.68 0.74 3.67 0.78 3.63 0.94 3.63 0.85 3.68 0.82
Total 306 3.77 0.85 3.77 0.80 3.77 0.82 3.79 0.90 3.68 0.88 3.78 0.88
F 1.071 2.707* 1.915 2.455 2.272 1.207
Department Food processing 108 3.82 0.79 3.87 0.69 3.85 0.73 3.87 0.89 3.63 0.85 3.80 0.87
Cooking 53 3.90 0.94 3.95 0.94 3.92 0.91 3.99 0.90 3.95 0.95 3.94 0.97
Independent agriculture 145 3.70 0.86 3.64 0.82 3.65 0.83 3.66 0.89 3.62 0.87 3.70 0.84
Total 306 3.77 0.85 3.77 0.80 3.77 0.82 3.79 0.90 3.68 0.88 3.78 0.88
F 1.263 3.787* 2.778 3.370* 3.071* 1.568
Sex man 177 3.74 0.89 3.75 0.85 3.77 0.86 3.78 0.90 3.66 0.94 3.77 0.92
woman 129 3.82 0.80 3.80 0.74 3.77 0.75 3.80 0.90 3.72 0.80 3.78 0.81
Total 306 3.77 0.85 3.77 0.80 3.77 0.82 3.79 0.90 3.68 0.88 3.78 0.88
t -0.776 -0.492 -0.005 -0.214 -0.584 -0.128
Grade 1st 95 3.64 0.81 3.64 0.82 3.67 0.82 3.67 0.93 3.62 0.85 3.64 0.84
2nd 105 3.91 0.74 3.88 0.69 3.86 0.73 3.94 0.78 3.78 0.84 3.91 0.81
3rd 106 3.76 0.96 3.79 0.89 3.76 0.89 3.76 0.97 3.65 0.95 3.77 0.96
Total 306 3.77 0.85 3.77 0.80 3.77 0.82 3.79 0.90 3.68 0.88 3.78 0.88
F 2.507 2.290* 1.480 2.369 0.948 2.529

<Table 4>

The Differences in Class interest and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ortation N Class interest Class satisfaction
M SD M SD
**p<.01
School A 108 3.44 0.75 3.71 0.73
B 52 3.93 0.89 3.95 0.85
C 107 3.62 0.76 3.83 0.77
D 39 3.63 0.72 3.71 0.72
Total 306 3.61 0.79 3.79 0.77
F 4.592** 1.396
Department Food processing 108 3.62 0.75 3.83 0.77
Cooking 53 3.91 0.89 3.94 0.85
Independent agriculture 145 3.49 0.75 3.72 0.73
Total 306 3.61 0.79 3.79 0.77
F 5.593** 1.803
Sex man 177 3.61 0.82 3.78 0.80
woman 129 3.61 0.74 3.81 0.71
Total 306 3.61 0.79 3.79 0.77
t 0.032 -0.365
Grade 1st 95 3.61 0.81 3.75 0.72
2nd 105 3.60 0.74 3.85 0.72
3rd 106 3.62 0.82 3.77 0.86
Total 306 3.61 0.79 3.79 0.77
F 0.011 0.492

<Table 5>

The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for flipped learning on Class interest

Independ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ation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F R2 Durbin-
Watson
B SE β
***p<.001
(Constant) Class Interest .517 .122 4.225*** 225.381
***
.691 1.643
Confidence .262 .077 .282 3.397**
Attention .498 .084 .509 5.929***
Relationship .060 .082 .062 0.729

<Table 6>

The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for flipped learning on Class satisfaction

Independ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ation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F R2 Durbin-
Watson
B SE β
***p<.001
(Constant) Class satisfaction .565 .098 5.757*** 380.589
***
.791 1.967
Confidence .266 .062 .295 4.312***
Attention .337 .067 .354 5.008***
Relationship .253 .066 .270 3.832***

<Table 7>

The Effect of Learning presence for flipped learning on Class interest

Independ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ation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F R2 Durbin-
Watson
B SE β
***p<.001
(Const5ant) Class interest .831 .126 6.599*** 170.947
***
.629 1.836
Social presence .190 .070 .217 2.702**
Cognitive presence .290 .062 .326 4.650***
Emotive presence .263 .070 .294 3.750***

<Table 8>

The Effect of Learning presence for flipped learning on Class satisfaction

Independ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
Non-standardization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F R2 Durbin-
Watson
B SE β
***p<.001
(Const5ant) Class satisfaction .713 .086 8.329*** 456.466
***
.819 2.200
Social presence .322 .048 .378 6.749***
Cognitive presence .159 .042 .184 3.769***
Emotive presence .337 .048 .387 7.0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