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미학사상과 미육의 발전과정 탐색 연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tilize and practice the meaning and value of human beauty by explor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Chinese aesthetic ideology and beauty. Looking 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aesthetic thought and beauty in ancient China, it went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of Various schools and debates before the Qin dynasty, Confucianism after the Han dynasty, Wei-Jin's esoteric study, Song-Ming period's principle study, and the Eastern occupation of Western scholarship. After the Han dynasty revered only Confucianism, the aesthetics and aesthetics of Confucianism remained important in Chinese feudal society for a long time. The culture of the Han and Tang dynasties was the culmination of the development of ancient Chinese culture, furthermore, it had an open character. From the end of the Tang Dynasty to the middle of the Ming Dynasty, the aesthetic ideology formed the merging trend of the three families of Confucianism, Taoism, and Zen Buddhism and science, and the modern trend is that of the Eastern occupation of Western scholarship. The results of exploring the development process in these five stages emphasized beauty and goodness, emotion and reason, cognition and perception, and the unification of humans and nature.
Keywords:
Aesthetic ideology, Beauty education, Development process, AestheticismⅠ. 서 론
미는 인류 이전부터 존재했던 특별한 자연 규율이나 자연 속성이 아니다. 자연의 속성이나 규율은 오로지 인류의 사회 실천을 통해서 인류에 의해서 인식되고 통제·이용되며, 인간 자유의 긍정과 대상으로 될 때 비로소 미의 의미를 가지게 되고, 미의 가치를 지니게 되는 것이다. 세계를 개조하는 인류의 실천 활동은 근본적으로 인간의 본질 및 그 대상화의 발전을 결정하고 나아가서 객관 세계의 미와 인간의 객관 세계에 대한 심미 의식의 발전을 결정한다. 미의 본질과 인간의 본질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생각한다. 미는 인류사회가 실천을 통해 도달한 진과 선이고, 합규율성, 합목적성의 통일이며, 인류가 실천한 역사 성과의 자유로운 형식이다.
미학(美學)사상은 인류의 문화 지식이 상당히 축적된 단계에서 출현했으며, 독립된 학문 분야로서의 미학은 근대에 형성되었다. 그러나 미육 혹은 미술 활동은 원시인류의 생활과 교육 속에서 이미 이루어져 미학사상이 출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마르크스의 철학에 의하면 미는 실천이 미의 근원이며, 미는 실천 능동성을 지니고 있는 인류가 객관 세계를 개조한 산물이라고 본다(Byeun, 2000). 인간의 객관 세계에 심미 의식은, 인류가 세계를 개조해 나가는 오랜 역사 중에서 인간 본질의 대상화와 자연의 인간화에 따라 생성되고 발전된 것이다. 미가 인류 생활의 자연을 떠날 수는 없다고 하더라도 미가 결코 사회적 인간과 무관한 자연의 산물은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역사 시대의 미학 이론을 연구하려면 반드시 그 역사 시대의 심미 의식을 이해해야 하고 또 근원적으로 그 역사 시대의 사회 실천의 제약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아야 할 것이다. 사회 실천은 그 역사 시대의 심미 의식과 미학 이론을 인식하는 최종적 근거가 된다. 그중에서도 최후의 결정적 작용을 하는 것은 물질 생산의 실천이다. 미는 자연의 인간화를 이룸에 있어 그 시대의 인간과 인간의 관계, 그리고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떠날 수가 없다. 왜냐하면 인간의 본질은 바로 이와 같은 관계 속에서 형성되고 대상화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중국 미학사상과 미육의 발전과정 탐색을 통하여 미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반추해보고 이의 활용 대상을 찾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연구 문제는 인간과 인간의 관계, 인간과 자연의 관계는 어떤 것이며, 인간의 본질과 그 대상화의 관계를 발전 상황에 따라 구분하여 시대별로 나누어 고찰해 보는 것이다.
Ⅱ. 미학사상과 미육의 발전 과정
1. 미육사상과 미육의 출현 배경
심미교육과 원시 예술의 형태는 원시인의 생산노동과 사회생활, 의식, 원시 종교 교육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동 활동과 도구,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원시 예술의 다양한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사람들이 집단 노동을 하면서 냈던 ‘영차’, ‘어영차’와 같은 고함소리는 바로 원시 음악과 시가의 최초 형식이자 소재였다. “모든 짐승이 춤을 춘다”는(Lee, 2007) 것은 사람들이 짐승의 동작을 모방하고 수렵 후, 승리의 기쁨을 나타낸 것이면서, 또한 ‘단체’생활의 상징이기도 하다. 신화는 원시인류 생활을 반영한 것일 뿐만 아니라 원시인류의 사유와 상상력의 구체적인 표현으로, 원시사회를 추정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였다. 중국의 “반고가 천지를 개벽하다”, “여와가 하늘을 떠받치다”, “정위가 바다를 메우다”, “항아가 달로 달아나다”, “형천(刑天)이 방패와 도끼를 들고 춤을 추다” 등의 신화는 원시인이 자연과 생활 속에서의 영웅적 업적을 생동적으로 반영하여 그들의 각종 원망과 이상을 드러내고 있다(Lee, 2007). 이러한 노동과 생활 실천 가운데 원시적인 예술과 미육이 생겼다고 판단된다.
중국 고대의 미육과 예술 활동에 관한 기록은 순(舜)이 전악(典樂)에게 명하여 주자(胄子)에게 음악 교육을 하게 한 것으로 알 수 있다. “기(蘷)야, 너를 전악에 임명한다. 주자를 가르치되, 곧으면서도 거만함이 없는 성격이 되게 하라”고 한 것이다(Lee, 2007). 여기서 ‘전악’이라는 것은 주자를 가르치는 직책이다. 바로 이것은 음악을 이해하고 음악을 교육 수단으로 삼아 그들의 후계자를 교육한 것이다. 후계자로 하여금 솔직하면서 온화하고 관대하면서 엄숙하며 강직하면서도 법도에 어긋나는 점이 없고, 간단하게 하면서 경솔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동시에 “시란 마음에 있는 뜻을 말하는 것이고 노래란 말을 길게 뽑아 읊조리는 것을 말하며, 소리란 길게 뽑아 억양을 붙이는 것이고, 음률이란 소리가 조화를 이룬 상태인 것이다. 팔음이 조화를 이루어 서로의 음계를 빼앗지 않게 하면 신과 사람도 이로써 조화를 이룬다” 등을 설명하였다(Lee, 2007). 이로부터 당시에 음률과 소리, 소리와 읊조리는 것, 읊조리는 것과 노래, 노래와 시, 시와 뜻 등의 관계에 대해 초보적이나마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뜻이 시가 되고, 시가 노래가 되며, 노래는 읊조리게 되고 읊조리는 것은 음률이 되는 순서 관계를 비교적 과학적으로 설명하였다. 당시 음악 교육의 작용 및 그 음률에 대해 비교적 잘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써 팔음이 조화를 이루어 서로의 음계를 빼앗지 않게 되어, 신과 사람도 조화를 이루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에 미학과 미육 사상이 있는 것이며, 이것이 최초로 악교와 관련된 설명이기도 하다. 『여씨춘추』의 「적음(適音」편에 “옛날 갈천씨가 음악을 연주할 때 세 사람은 소꼬리를 잡고 발을 구르면서 팔절을 노래하였다. 여덟 곡은 각각 「재민(載民)」, 「현조(玄鳥」, 「수초목(遂草木)」, 「축오곡(畜五穀)」, 「경천상(敬天常)」, 「건제공(建帝功)」, 「의지덕(依地德)」, 「건제공(建帝功)」, 「충금수지극(總禽獸之極)」 등이다”고 하여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Sim, 2018). 이것은 노래, 춤, 음악이 서로 결합된 초기 문예활동을 기록한 것이다. 노래의 내용은 대체로 민족의 토템, 천신, 지지(地祗) 및 농사에 관한 것 등이다.
중국 고대 ‘육예(六藝)’의 가르침은 예, 악, 사(射), 어(御), 서, 수를 가리킬 뿐만 아니라 『시(詩)』, 『서(書)』, 『예(藝)』, 『악(樂)』, 『역(易)』, 『춘추(春秋)』를 말하는데, 여기에는 모두 적지 않은 미육 사상이 내재되어 있다(Liu et al., 2017). 앞서 언급한 육예 가운데 미육에 속하는 ‘악(樂)’을 제외하고 예, 사, 어, 서, 수에도 많은 내용이 미육과 관련되어 있다. 뒤에 언급한 ‘육+예’ 가운데 『회남자(淮南子)』의 「태족훈(泰族訓)」편에서 “육예는 상이란 부류를 대표하지만 그것들의 내용과 작용은 본질상 일치한다(Kim, 2019). 온화함, 은혜로움, 유순함, 선량함은 『시경』의 품격이다(Choi, 2014). 순박함, 관대함, 성실함, 너그러움은 『서경』이 가르치는 것이다(Lim, 2017). 분명함, 명석함, 정연함, 통달함은 『역』의 요지이다(Lim, 2017). 공손함, 겸약함, 겸손함, 양보함은 『예기』의 행위 준칙이다(Park, 2005). 너그럽고, 온화함, 간단하면서 쉬움은 『악』의 교화이다(Ju, 2005). 시대적 병폐를 풍자하고 옳고 그름을 분별하여 밝히는 것은 『춘추』의 아름다운 뜻이다”고 했다(An, 2010). 이상에서 설명한 육예의 내용은 대부분 도덕교육, 심미교육과 관련되어 있다.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미육은 중국 고대 교육에서 매우 중요하다. “악에서 이룬다”는 말은 공자가 행한 교육의 이상 경지이다. 『순자』의 「악론」, 『예기』의 「악기」는 공자의 이러한 사상을 나타낸 것이다(Lee, 2019).
고대 중국의 미학 사상과 미육의 발전과정을 보면, 전체 교육 철학 사상의 발전과정과 비슷하다. 이것은 선진시기의 백가쟁명과 한대 이후의 유가독존, 위진의 현학화와 송명시기의 이학화 및 근대의 서학동점의 발전과정을 거쳤다(Lǐzéhǔ et al., 1993). 한대에 “백가를 몰아내고 유가만을 숭상하자”고 주장한 이후, 유가의 미학과 미육 사상은 오랜 기간 중국 봉건사회 속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Leem, 1989). 한·당의 문화는 중국 고대 문화발전의 절정기였고, 게다가 개방적 특징을 지녔다. “서한의 문장가에는 두 사마씨가 있다”고 했는데(Lǐzéhǔ et al., 1993), 이 가운데 사마천(司馬遷), B.C.145~B.C.86)의 『사기』는 이후 이십삼사(『사기』재외)를 이루는 선례가 되었다(Lǐzéhǔ et al., 1993). 『사기』의 문화적 가치는 노신(魯迅, 1881~1936)의 말처럼 사기의 절창이고, 소리 없는 초사이다(Choi, 2013). 한대 『악부(樂府)』는 후대 시가의 선구가 되었다. 당대는 시, 문, 서, 화가 전면적으로 더욱 번창하는 문화발전의 절정기였다(Lǐzéhǔ et al., 1993). 한유(韓愈, 768~824), 유종원(柳宗元, 773~819)이 고문운동을 이끌었는데, 이것은 ‘문(文)이 팔대의 쇠락을 일으켜 세우는’ 작용을 하였다(Kim, 2005). 당대의 시, 붓글씨, 회화도 많았을 뿐만 아니라 앞선 현인들을 능가했으며 후대에 이러한 것이 발전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 이러한 것들은 모두 당대 문화를 고대 중국 심지어 세계 문화발전의 정상에 올려놓았다.
그러나 철학 사상과 교육철학 사상에서 특징은 여전히 선진의 백가쟁명, 위진 시기의 현학, 남북조·수당, 당말에서 명 중엽까지의 유·도·선 3가의 합류 추세와 이학, 근대의 서학동점이다. 이러한 다섯 가지 단계로 나누어 그 발전과정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2. 춘추전국시대
이 시기의 ‘백가쟁명’은 중국 고대의 미학과 미육 사상의 토대가 되었다. 그 가운데 유가・도가・묵가의 영향이 비교적 컸다. 유가의 미학과 미육 사상은 입세적이다. ‘인’을 사상 기초로 하여, ‘시’와 ‘악’을 교육 내용과 수단으로 삼아 심미와 예술의 사회적 작용을 발휘하였다. 그러나 도가는 자연주의로써 미학의 사상적 기초로 삼았다. 개인 초탈을 목적으로 하면서, 사회 공리를 바꿔 개성을 발휘하도록 하였다. 그래서 후대의 유가와 도가가 서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면서, 유가와 도가는 심미사상의 정화를 흡수하고, 각자에게 부족한 면을 보충하여 중국 고대 미학 사상과 미육의 기본 특징을 형성하였다. 묵가는 소생산자 ‘농업과 공업에 종사하는 사람’을 대표하고, 당시 통치 계급의 방탕한 생활을 반대하면서, ‘절용(節用)’, ‘절장(節葬)’, ‘비악(非樂)’, ‘비공(非攻)’을 제창했으며, 농후한 공리주의 심미관을 드러내며 적극적으로 행동하였다(Yun, 2003). 그러나 미학과 미육 사상에서 ‘바탕이 먼저이고 문체가 후임(先質而後文)’을 제창하고, 심지어 질(質)을 중시하고 문(文)을 경시하였다. 마치 순자가 이러한 것을 비판하여 “질에 가리워 문을 알지 못한다”고(『荀子』 「解蔽」) 한 것 같이 편협된 공리주의 사상적 경향을 표출하고 있다(Jo, 1988).
『시경』과 『초사』는 당시 문학 방면에 있어서 대표적인 작품이다. 전자의 것이 시가 창작의 현실주의 전통을 표현했다면, 후자는 낭만주의 전통을 나타내고 있다. 음악 방면에서 춘추전국시기는 고대음악과 당대 음악에 모두 중요한 시기이다. 유가가 적극적으로 칭찬한 ‘소(韶)’, ‘무(武)’가 있었고, 유가가 심하게 비판하고 폄하한 ‘정성(鄭聲)’과 ‘요야지악(姚冶之樂)’이 있었다. 출토된 초나라의 편종(編鐘)은 당시 형초(荊楚) 문화의 발전 정도를 여실히 증명하고 있다(Kim, 2012).
현실주의와 낭만주의 그리고 공리주의 미학 사상의 영향 아래에서 당시 심미사상의 거센 흐름과 선과 악, 문과 질, 아(雅)와 속(俗), 도와 예, 허와 실, 중화와 비중화 등의 미학 범주가 초보적으로 형성되어 중국 고대 미학과 미육 사상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3. 위진 남북조 시대
이 시기는 현학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미학 사상에 커다란 변화와 발전이 있었고, 일종의 새로운 미학과 미육관을 이용하여 과거의 선을 중시하고 미를 경시하던 유학의 전통을 수정해서, 미육의 사회 작용을 중시하던 것에서 개성의 해방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였다(Hur, 2011). 또한 이 시기는 진정한 이성의 사변적 철학이 형성되기 시작했고, 문예이론의 틀이 마련되었으며, 처음으로 미학 이론의 상대적 독립성과 가치를 인정받았다. 심미사상은 이미 문학예술 영역의 각 부분에 확대되었고, 일부 미학사상을 구비한 문예이론으로 세상에 알려졌다(Oh, 2001). 예를 들어 조비(曹丕, 187~226)의 『전론(典論)・논문(論文)』, 종영(鍾嶸, 미상~518)의 『시품(詩品)』, 육기(陸機, 261~303)의 『문부(文賦)』, 유협(劉勰, 약466~538)의 『문심조룡(文心彫龍)』, 고개지(顧愷之, 345추정~406)의 『화론(畵論)』, 위부인(衛夫人)의 『필진도(筆陳圖)』 등 이들 모두 이 시기를 전후하여 탄생한 것으로 문예이론에 있어 중요한 논저이다(Oh, 2001). 이러한 작품으로 중국 고대에 있어 체계적인 문예이론의 공적을 세우기 시작한 것들이다. 왕희지(王羲之, 303~361)의 붓글씨, 고개지의 그림, 도연명(陶淵明, 365~427)의 시는 당시에만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후대에도 오랫동안 영향을 미쳤다(Sim, 2003).
그 외 불교의 영향 때문에 각 민족의 융합, 음악과 건축, 조소 등의 방면에서도 새로운 발전이 있었는데, 예를 들어 돈황의 벽화, 용문의 석굴 등이 모두 불교의 영향을 받은 뛰어난 작품으로, 세계에 영향을 미친 귀중한 보물이다(Jung, 2013). 이것은 모두 당대 예술의 발전에 기여했고, 중국 문화 예술 발전의 최고봉에 오르는데 견실한 기초와 토대를 마련하였다.
4. 남북조·수당시대
불교는 중국에서 새롭게 발전을 하고 점점 중국화 되었다. 그래서 도가를 유가에 적용하는 것에서부터 불가를 유가에 적용하여 송명이학이 탄생하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송명이학은 객체화되고 윤리도덕 성격을 갖춘 ‘리’를 지고무상한 지위까지 끌어올렸다. 이것은 윤리 도덕적 경지와 심미적 경지를 관련시켜 심미적 요구를 윤리·도덕적 요구에 맞추었다(Lee, 1995). 이러한 사상에서 비록 미와 선은 통일을 이루었지만, 오히려 미학과 미육 사상의 독립된 발전을 저해하기도 하였다.
미학 사상의 영향 아래에서 철리(哲理)를 구비한 시문도 나오게 되었는데, 예를 들어 범중엄(范仲淹, 989~1052)의 『악양루기』에서 “천하 사람이 근심하기에 앞서 근심하고 천하 사람이 즐긴 후에 즐긴다”고 한 것은 맹자(B.C. 372~B.C. 298)가 말한 “세상 사람들과 함께 즐거워 하고 근심하라”는 사상을 확대한 것이다(Lee, 2019). 주희가 쓴 『춘일(春日)』, 『관서유감(觀書有感)』은 시편을 읽고 난 뒤, 마음이 확 트이고 눈이 환해지며, 사리에 정통한 심정을 쓴 것이다(Lee, 2014). 이처럼 철리가 풍부한 시문은 한 시대의 특색 있는 문풍(文風)이 되어 사람들에게 고군분투하도록 했다. 이 기간 동안 일부 사대부들이 선종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선론시(禪論詩)로 선종의 철리를 이용하여 시작 방법을 구하였다. 예를 들어 소식(蘇軾, 1035~1101)이 그의 시문에서 말한 “고요하면 모든 움직임을 깨달을 수 있고, 비어 있으면 온갖 경계를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은 바로 돈오를 말하는 것이다(Cha, 2013). 그 외, 많은 학식을 가진 유명한 스님들도 역시 대 시인과 철학자가 되었는데, 예를 들어 가도(賈島, 779~843), 혜능(慧能, 638~713) 등이다(Chai, 2016). 원호문(元好問, 1190~1257)이 “시는 선객(禪客)에게 비단 위 꽃이 되고 선(禪)은 시가(詩家)의 옥을 자르는 칼이라네”라고 한 것은 불교가 중국화된 선의(禪義)와 시론으로 문화예술이 새롭게 발전하도록 한 것이다(Park, 2003). 또 한 가지 언급해야 할 만한 사실은 민간에 토대를 둔 소설이 서민 계층의 발전과 더불어 중국 문화예술 영역 내에서 새로운 꽃을 피웠다는 것이다. 이것은 민간에서 시작되어, 또다시 민간으로 돌아갔다. 그래서 소설이 민간에 광범위하게 전파될 수 있도록 하였고, 심미교육(審美敎育)에 크게 영향을 주었다. 아울러 민족문화가 사람들의 마음에 자리 잡도록 하였다.
5. 당나라 말기·명나라 중기
대체로 당나라 말기부터 명나라 중기까지 중국 미학의 발전은 분명히 유·도·선 3가의 합류 추세를 나타내었고, 선종의 영향은 부단히 강화되어 유·도 양가의 사상 속에 침투되었다(Lǐzéhǔ et al., 1993). 그 원인은 선종 사상이 유·도 양가에 비해 훨씬 심각하게 심미 특징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 다른 면으로는 선종 사상이 주관 심령의 능동성을 극도로 강조하여, 중국 후기 봉건 사회 중에서 개체와 사회의 분열이 이러한 일종의 객관적 사회 역사 상황과 사회 심리를 부단히 심화시키는 데 적응하였기 때문이다(Lǐzéhǔ et al., 1993).
중국 봉건 사회는 차차 후기로 진입하였다. 미학 영역에서 이러한 변화를 대표하는 인물은 두목(杜牧), 사공도, 엄우(嚴羽) 등이다. 두목의 문장은 뜻을 위주로 한다. 그가 강조한 것은 도가 아니고 의이며, 더구나 의가 주가 된다고 하였다(Noh, 2017). 두목에 약간 뒤지는 사공도는 당대의 성세가 돌이킬 수 없이 붕괴되어 가는 역사 시대에 있어서 상술한 미학의 새로운 추향을 크게 발전시켰다(Kim, 1984). 그는 병란이 사방에서 일어나고 지주 계급의 수많은 지식 분자 또한 부득불 이러저리 도피하는 시대에 처하여 봉건 교조의 선전이나 유가 이상의 실현은 불가능해지고 오로지 현실 생활을 도피하여 이른바 기인, 고인, 유인, 가인 따위의 허황된 미를 환상, 추구, 포착, 감상했던 것이다. 이른바 웅혼, 경건의 미에다 환상적 색채를 입혀서 고난의 시대에 아픈 마음을 달래는 하나의 안위와 자아 만족을 꾀한 것이다.
이러한 사상은 선종 철학 중에 이미 분명히 나타났고, 유가 사상의 통일 천하를 타파하게 되었다. 그리고 미학상으로 선명하고 우뚝하게 표현된 것은 사공도에서 비롯된다. 사공도의 미학은 중국 전기의 봉건 사회 미학으로서부터 후기 봉건 사회 미학으로 전환하는 극히 중요한 관건이 된다. 북송 전기 구양수 등을 비롯해서 평담천연(平淡天然)은 시가미(詩歌美)의 극치를 이루었다. 회화상으로는 소연 담박한 뜻과 한화 엄정한 마음의 표현을 추구하였고(Han, 2006), 방원에서 규격을 무시하고 채회에서 정연을 도외시한 일격을 예술 최고의 풍격으로 높이는 등등, 상술한 송대 미학의 기본 특색을 표현하지 않는 것이 없다(Park, 2007). 다른 일면으로 이러한 심미적 취미와 이상은 또 미의 영역을 확대하여 미와 개인의 일상생활을 더욱 밀접하게 연결시켜 봉건 제도가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개인 심미의 정취와 요구는 비교적 자유로운 발전을 획득하였으며 다소간의 봉건 윤리·도덕의 속박을 벗어나 모종의 기회와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6. 근대 시대
근대에 이르러 서학동점(西學東漸)으로 서양의 미학 사상이 유입되고, 중국의 미학과 미육 모두 새로운 단계에 접어들었다. 이 시기에는 앞서 언급한 두 번의 충격이 있었다. 그 하나는 유학을 도교로 보완하는 현학사상이 미학과 미육에 영향을 미치게 한 것이다. 또 서양의 사유방식으로 유학을 해석하는 이학 사상이 미학과 미육에 영향을 미치게 했다. 또는 중국에 원래 있었던 사상 영역 내에서 말한다면 서학동점의 영향은 서양 자본계급 체제의 충격 아래 진행된 것으로 중국 미학과 미육 사상이 근본적으로 변화하도록 하였다(Jeon, 2009).
공자진(龔自珍, 1792~1841), 위원(魏源, 1794~1857) 등은 전통적 경세지학에서 근대 신학문으로 건너가는 교량역할을 하였다. 용굉(容閎, 1828~1912), 강유위(康有爲, 1858`1927), 엄복(嚴復, 1854~1921), 양계초(梁啓超, 1873~1929) 등은 외국에서 적극적으로 새로운 지식을 찾았다(Kim, 1999). 이를 통하여 새로운 미학과 미육 사상의 탄생을 알리며, 새로운 미학과 미육 사상의 발전을 위한 지름길을 제시하였다. 왕국유(王國維, 1877~1927)와 채원배(菜元培, 1868~1940)는 칸트 사상의 영향 아래 미학사상을 혁신하고 미육을 실시하는 많은 논자를 써서, 새로운 미학과 미육을 수립하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Ji, 2014). 5.4운동을 기점으로 하여 무산계급 사상을 지닌 지식인들은 마르크스주의의 미학사상을 전파하면서 신문화를 맞이하였다.
청말 민초 서학의 충격 아래에서 중국의 고대 미학과 미육사상은 봉건사상의 속박에서 벗어나, 서양의 자본가계급 미학과 미육 사상을 받아들였다. 나아가 마르크스주의 미학과 미육 사상의 영향을 받으며 발전했는데, 이것이 바로 중국 미학과 미육 사상 발전의 과정이다(Chin, 2013).
이러한 발전과정 속에서의 특징과 경험 및 교훈을 분석해서 어떤 규칙을 찾아내는 것은 중국 특색을 구비한 미학과 미육 이론을 조금씩 구축해 나아가는 것이다.
Ⅲ. 중국 미학사상과 미육의 시사점 탐색
중국 미학의 정수와 영혼은 유가·도가·선종·굴원의 전통을 포괄하고 있지만 근본은 유가이고 도가 문화는 유가 문화와 대응해서 서로 보완하며 발전하는 과정을 겪었다.
중국 미학의 궁극적인 본체는 자연이 아니라 인간이며 이는 인류학의 본체론과 관련이 있다고 사료된다. 중국 미학사상의 철학적 기초는 주체성 실천철학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인간은 임의적이고 주관적인 감정을 지니는 주체가 아니라 역사적으로 규정되는 객관적인 인류의 실천을 행하는 주체를 말한다. 주체성 실천철학에서 자연의 인간화의 과정이자 성과인 미는 두 가지 특질을 갖는다. 첫째, 미의 본질은 인간의 본질과 긴밀하게 연결되고 둘째, 자유의 형식이라는 자연법칙의 필연에 대한 지배로 얻게 되는 보편적인 형식의 역량이다. 객관적인 행동에 있어서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법칙을 운영하는 주체의 실천에 의해 도달된 자유형식이 바로 미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미의 정의로서 합목적과 합법칙의 통일을 의미한다. 따라서 축적된 광의의 미는 이성으로부터 감성으로 발전되고 사회에서 개인으로 발전되며 역사에서 심리로 진보되는 구조과정을 가리킨다. 이에 반해 협의의 축적은 심미적인 심리감정의 구조를 가리킨다.
중국 미학사상과 미육의 발전과정에서 나타난 시사점은 개인적인 보편과정과 자율적인 감성 심리로 발전한다는 것이다. 중국 미학과 미육사상의 발전과정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이 몇 가지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고대 원시시대에 지닌 신비색체의 심미주의 의식에서부터 유가가 사회의 근본이 된 시기의 심미적 요구에 이르기까지, 신격화에서 사회화의 발전과정 속에 반영되어 나타났다. 도가는 자연을 숭상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고 유가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것을 중시하던 심미의식을 개성을 목적으로 하는 심미의식으로 전환시켰다. 나아가 유가와 도가를 서로 보완하면서 현실주의와 낭만주의를 결합시키고, 중국 고대 미학과 미육은 개인과 사회, 사람과 자연간의 조화(和諧)와 통일이라는 더 높은 경지로 발전시켰다. 이로써 중국의 고대 미학사상과 심미교육이 장점을 갖도록 했다. 유, 도, 불 결합의 전제 하에, 송명이학을 중심으로 심미사상이 이학화(理學化) 되었다(Lim, 2016). 이것은 중국의 고대 미학과 미육이 나아가야 할 최후의 단계이다.
Ⅳ. 결론 및 제언
중국은 고대 노예 사회로부터 봉건 사회에 이르기까지 윤리·도덕이 주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세계 각 나라의 민족과 문화 전통 중에서 중화 민족은 윤리·도덕의 역할을 가장 중시한 민족 중의 하나이다. 이 점은 중국 철학과 중국 예술에 많은 영향을 미쳤고 동시에 중국 미학에도 깊은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하여 중국 철학과 예술의 상호 영향, 중국 미학의 특징을 탐색하며 관찰할 수 있다. 그것을 종합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와 선의 통일이다. 중국 예술은 역사적으로 윤리·도덕상의 감화 효과를 중시하는데 미학상으로 말하면 미와 선의 통일 요구로 나타난다. 둘째, 정과 이의 통일이다. 중국 미학은 정감의 표현을 중시함과 동시에 정과 이의 통일을 강조한다. 이것은 물리도 포함되지만 더 근본적으로 윤리를 말한다. 셋째, 인지와 지각의 통일을 강조한다. 중국 미학에서 예술의 창조와 감상 문제를 논의할 때에는 직관의 주요한 작용에 대해서 주목하였고, 동시에 직관과 인지는 상호 분할이 아니라 통일되어야 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넷째, 인간과 자연의 통일이다. 인간과 자연의 문제는 미학과 연계되는 문제이고 중국 철학에서 부단히 토론되는 중대한 문제로서 바로 천인관계를 말한다. 다섯째, 고대 인도주의 정신이 강하다. 심미와 예술은 인간의 건전하고 합리적인 발전을 촉진하고 인간과 자연, 개체와 사회의 화해를 달성하는 하나의 주요한 수단으로 간주되었다. 여섯째, 심미 경계가 인생의 최고 경계이다. 자연에 부합하면서 동시에 자연을 초월하는 고도의 자유 경계일 것이며 하나의 심미적 경계인 것이다. 선의 최고 경계에 도달한다는 것은 근본적이고 넓은 의미에서 바로 미의 경계에 도달함을 말한다.
결론적으로 중국 철학에서 추구하는 인생 경계는 심미적 세계이다. 인생의 최고 경계를 심미에 두고 종교의 해탈을 구하려 하지 않는 것이다. 인간은 현세의 생존을 귀하게 생각하고 죽음에 대해서는 매우 달관적 태도를 취하므로 다른 종교에서와 같이 사후에 대해서 꾸미거나 애탄하는 일이 없고, 사후의 불후를 바라지도 않는 것이 심미관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연구 결과에서 보여주는 중국 미학사상과 미육의 발전과정은 인간중심의 심미적 세계관으로서 현대인의 심미관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을 뿐 아니라 삶의 지혜로서 계속 발전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광범위한 중국 역사에서의 각 시대별 특징을 깊이 있게 탐색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동명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2021년)에 의해 연구되었음.
References
- An CB(2010). The Central standpoint on the Virtue is familiar with Parents of ‘Confucius’ against the Actions which ruin Parents for the Greatist Duty in 『Chunchu』, The Study of Confusian Philosophy and Culture, 0(41), 94~99. [https://doi.org/10.23012/tsctc..41.201009.89]
- Byeun SC(2000). Eine Studie u¨ber Georg Luka´cs’ Literatur- und Kunsttheorie : Die marxistische Praxis seines ku¨nstlerischen Denkens, Sogang University Doctor’s Thesis, 60~65.
- Cha YI(2013). Sūshì's Literary Studies of Huáng zhōu qī, Korea University Doctor’s Thesis, 78~83.
- Chai SY(2016). Study on seeking for officer & seeking Truth consciousness in Jiadao poetry, The Society Of Chinese Studies, 0(78), 14~16.
- Chin SS(2013). The Origin of Qi-philosophy in the Qing Dynasty,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0(64), 99~105.
- Chinese Aesthetics, Korea Textbook Co., Ltd., 40~45.
- Chinese Aesthetics, Korea Textbook Co., Ltd., 41.
- Choi MR(2014). (A) study on the human nature recovery theory in 『Sijing』, Sungkyunkwan University Doctor’s Thesis, 11~14.
- Choi YS(2013). The image sublimate of resistance consciousuess expressed in the poetry of Luxun and Lee yook sa, The Korea Society for Chinese Studies, 0(67), 77~82.
- Han JH(2006). A Study on Ouyangxiu's Life & His Works, Sungkyunkwan University Master’s Thesis, 53~66.
- Hur IS(2011). The Neo-Taoists" Way of Understanding of Buddhism in Wei-jin Period, The Journal of East-West comparative literature, 0(25), 197~200.
- its cultural and philosophical meaning,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0(57), 317~324. [https://doi.org/10.17299/tsep..57.200902.304]
- Jang JW(2015). Comparative Studies of China Ancient Humanism Theory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Journal of Fishier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7(3), 735~746. [https://doi.org/10.13000/JFMSE.2015.27.3.735]
- Jang JW(2016). A Study on the Main Categories and Educational Influence of Chinese Ancient Humanism, Journal of Fishier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8(1), 137~149. [https://doi.org/10.13000/JFMSE.2016.28.1.137]
- Jang JW(2018). A Study on the Controversy of Ethical Thought in the Chines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the Age of Warring States , Journal of Fishier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0(6), 1901~1912. [https://doi.org/10.13000/JFMSE.2018.12.30.6.1901]
- Jang JW(2019). A Study on the Rén and Zhōngyōng of Chinese Ancient Ethics Thought , Journal of Fishier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1(6), 1828~1830. [https://doi.org/10.13000/JFMSE.2019.12.31.6.1820]
- Jang JW(2020). A Study on education system centered virtuous action in Ancient China , Journal of Fishier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2(1), 277~278. [https://doi.org/10.13000/JFMSE.2020.2.32.1.269]
- Jang JW(202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heory and Education of Chinese Ancient, Journal of Fishier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2(1), 154~156. [https://doi.org/10.13000/JFMSE.2020.2.32.1.153]
- Jeon HS(2009). The influence of SòngrúlǐXué on the modern European Enlightenment and
- Ji KS(2014). Wang Guowei's Historycal Research during the Xinhai Revolution period Ji Kwansoon, The Korean Association For Studies Of Modern Chinese History, 0(61), 7~14.
- Jo HS(1988). A Study on the Cognitive Theory of Sun-tzu, The Study of Confusian Philosophy and Culture, 3(0), 253~261.
- Ju YW(2005). In about to the subjective opinion of 「Lè·Lǐ(樂·禮)」 read in 『Lè Jì(樂記)』, Korean Traditional Music Society, 0(6), 770~775.
- Jung BY(2013). The Dunhuang Buddhist culture of the Early Middle Age viewed in Dunhuang Bianwen and Mogao grottoes, Institute of Chinese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 57(0), 85~91. [https://doi.org/10.18077/chss.2013.57..005]
- Kim CK(2012). A Comparative Study on the Cultural Sprit and Historic Poetry in Qin (秦)Chu(楚) Area - Focused on 「Shi-jing(詩經)」 and 「Chu-ci(楚辭)」 -, Journal of North-east Asian cultures, 1(3), 333~336. [https://doi.org/10.17949/jneac.1.31.201206.017]
- Kim HM(2019). An aesthetic interpretation of 'Xiang(象)' in 『Huainanzi(淮南子)』, Oriental Art, 42, 108~120.
- Kim JW(1999). A Study of Gong Zi-zhen's(공자진) National Defense and Economic Thought, Journal of humanities studies, 0(54), 201~205.
- Kim SH(2005). The view of Dasan(茶山) about Han, You(韓愈)Ryu, Jong-won(柳宗元), Dankook University Academy of Asian Studies, 0(38), 53~65.
- Kim YM(1984). Ssu Kong Tu, the Person who Criticized the Poetry with the Zen = A Brief Study on the Poetry Criticism of Ssu Kong Tu, Journal of the Graduate School Student Association, 2(0), 155~160.
- Lee DH(1995). Xùnzi and sòng mínglxue, ǐ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0(15), 173~178.
- Lee EH(2007). (A) study on mythicism of the canon of Yauo(堯典) in Shang-Shu(尙書), Sungkyunkwan University Master’s Thesis, 49~65.
- Lee EH(2007). (A) study on mythicism of the canon of Yauo(堯典) in Shang-Shu(尙書), Sungkyunkwan University Master’s Thesis, 66~76.
- Lee EH(2007). (A) study on mythicism of the canon of Yauo(堯典) in Shang-Shu(尙書), Sungkyunkwan University Master’s Thesis, 77~79.
- Lee GE(2014). A study on how Korean's poets accepted Juja's “Felts after reading”, The Scociety For Humanities Studies In East Asia, 27(0), 102~117.
- Lee SS(2019). A Study on Fulun(賦論) of Fan Zhongyan(范仲淹), Korean Society of Chinese Prose Literature, 9(0), 97~103. [https://doi.org/10.22419/TJCPCOM.9.5]
- Lee WJ(2019). The moral educational interpretation on the art theory of Confucianism - Focused on Confucius, Xunzi, and Book of Music -, The Korean Society of Yang Ming Studies, 0(55), 282~289.
- Leem BD(1989). Articles : The Different Thought of Chun-Diu-Fun-Lou(春秋繁露),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istory Society, 2(0), 73~79.
- Lim BH(2017). I-Ching of Silsagusi shown on the SeoKyoungYeonUi(『書經衍義』) of Le Quy Don(黎貴惇), The Journal of Toegye Studies, 141, 207~210. [https://doi.org/10.46264/toegye.2017.141.06]
- Lim BH(2017). I-Ching of Silsagusi shown on the SeoKyoungYeonUi(『書經衍義』) of Le Quy Don(黎貴惇), The Journal of Toegye Studies, 141, 211~215. [https://doi.org/10.46264/toegye.2017.141.06]
- Lim HT(2016). A Study of Wangmaohong`s Zhuzinianpu(朱子年譜), Yulgok Society, 0(32), 211~213.
- Liu MY and Choi DJ(2017). An Educational Significance on Six Arts Curriculum, Journal of Educational Enovation Reacerch, 27(4), 175~183. [https://doi.org/10.21024/pnuedi.27.4.201712.173]
- Lǐzéhǔ, Liǔ kāngjī, Gwon DJ and Kim SS(1993).
- Lǐzéhǔ, Liǔ kāngjī, Gwon DJ and Kim SS(1993).
- Lǐzéhǔ, Liǔ kāngjī, Gwon DJ and Kim SS(1993). Chinese Aesthetics, Korea Textbook Co., Ltd., 22~56.
- Noh YP(2017). Comparative Review on Lives of Chang Po-go-Chong Nyon from Du Mu’s Fan Chuan Qen Ji, Song Qi’s New History of the T’ang Dynasty, Kim Pu-sik’s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The Korean Society of History of Historiography, 0(36), 140~142. [https://doi.org/10.29186/kjhh.2017.36.136]
- Oh TS(2001). Wèi jīnnán cháoxiǎn Literature and Art History,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38(1), 253~263.
- Park HS(2003). (The) study of Yuan, Hao-Wen's essay of poetry, Kyungsung University Master’s Thesis, 55~60.
- Park LK(2005). (A)study on the structure of 『Liji(禮記)』 and it's theories of li(禮), Yonsei University Doctor’s Thesis, 220~222.
- Park SH(2007). (A) study on the idea of aesthetics of Huang xiu fu's art granding theory in north Song China, Sungkyunkwan University Master’s Thesis, 102~107.
- Sim GH(2003). A study on the literary and social meaning of writing in Chinese literature, The Association Of Chinese Language, Literature And Translation In Korea, 10(0), 15~40.
- Sim JW(2018). Consideration of Study on East Asian Music Rule System Formation Process in Ancient Times, Busan National University Doctor’s Thesis, 22~23.
- Yun MH(2003), The educational thought of Mohists,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0(32), 236~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