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 선도지구의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 사례 연구
Abstract
This study sought to find examples of regionally linked education programs developed and operated in leading districts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cases of regionally linked education programs in three distric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ntents and literature that the researcher experienced while participating in consulting for the leading districts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implications that can be suggested for developing and operating regional-linked educational programs in the future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utilize various local resources inside and outside the district to develop and operate regionally linked education programs in the leading district. Second, there is a need for interest and support for regionally-linked education programs from metropolitan/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Third,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city/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local governments and nearby universities are necessary.
Keywords:
Regionally linked education, Educational program, High school credit system, Case studyⅠ. 서 론
2020년부터 시작된 교육부의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지원 사업은 2025년에 이루어질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에 앞서 고등학교-교육청-지자체-대학 등 기관 간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다양한 모델의 고교학점제 운영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고등학교의 교육 공간을 지역으로 확장함으로써 고등학교와 지역이 함께 교육공동체를 구축해나가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Woo et. al., 2021). 이 사업의 추진 과제 중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사업은 고등학교와 지역이 연계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도록 하는 사업으로서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지원 사업이 추구하는 지역 – 학교 간 연계를 잘 보여줄 수 있다. 사업의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지역대학 및 지역기관과 연계한 지역 특화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진로 체험처 발굴, 현장 전문가 멘토링 등의 추진과 학생의 진로와 적성을 고려한 지역 연계 교과 수업 개설 및 운영 등이 있다(Woo et. al., 2021).
한국교육개발원에서는 고교학점제 선도지구를 대상으로 매년 컨설팅을 실시해 오고 있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우수사례집과 컨설팅 종합 결과보고서 등을 발간하였다. 2021년도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컨설팅 종합 결과보고서(Lim et. al., 2022)에서는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과 관련하여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과 정규교육과정의 연계,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구체화, 학교 밖 교육 학점 인정에 대한 안내와 교육모형 창출 등의 내용을 제안하였다.
올해에도 교육부의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공모사업에 선정된 신규 지구들의 사업 운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컨설팅이 진행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22). 고교학점제의 전면 도입에 대비하여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이 보다 다양하고 내실있게 운영되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관련 사례들을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고교학점제 홈페이지 자료실(High School Credit System Homepage, 2022)의 연구자료에는 고교학점제 운영 사례, 우수 사례, 연구학교 사례 등 다양한 사례들이 안내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례들을 비교·분석할 수 있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사례들을 분석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와 내실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 선도지구에서 개발 ‧ 운영한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고교학점제 운영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도지구에서 개발·운영한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 사례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둘째, 선도지구에서 개발·운영한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 사례의 특징은 무엇인가?
Ⅱ.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정책과 지역 연계교육
고교학점제 정책은 2017년 4월 ‘고교학점제로 진로 맞춤형 교육 추진’이라는 대선 공약으로 제시되었다. 교육부는 고교학점제를 통해 교육의 다양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Ministry of Education, 2017). 학교 내 교육과정 다양화를 위해 과목 선택권을 확대하고,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타 학교, 지역사회 등과 협력하도록 하였다.
2020년 1월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지원 사업 및 교육소외지역 교육여건개선 사업 추진 계획이 발표되고 24개 선도지구 및 9개 교육소외지역이 선정되어 사업이 시작되었다. 2021년에는 10개 선도지구 및 1개 교육소외지역의 신규 선정이 이루어졌으며(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21), 2022년에는 총 14개의 선도지구 선정이 이루어졌다(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22). 이 사업은 지역과 고등학교가 연계된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새로운 과제를 만들어냈으며 교육부, 교육청, 지자체 등과 학교 간의 소통과 협력을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이 정책은 지역사회의 특징에 기반한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변화가 연구학교와 선도학교뿐만 아니라 일반학교에 적용되도록 촉진하는 의미도 지닌다(Woo et. al., 2021).
지역과 연계한 학교 교육은 Shane(1972)이 강조한 학교 밖 경험의 가치에 의해 지지된다. Shane은 미래주의 관점에서 학교와 사회를 넘나들면서 교육받는 유연한 교육체제를 제안하였다(Kim, 2021). 학교는 학생들이 평생 자기 교육을 할 수 있는 힘을 가지도록 가르치고, 교육의 변화, 사회의 변화, 기술의 혁신을 교육과정에 통합할 필요를 요구받고 있다(Long and Sharne, 1986). 지역 연계 학교교육은 양질의 교육을 지역사회 공동체가 제공하고 지역사회 공동체가 교육의 주체가 되는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Kim et. al., 2021).
지역과 연계한 학교 교육은 교육과정 지역화의 흐름에도 부합한다. 교육과정 지역화는 17개 시·도교육청 및 지역교육지원청에서 지역의 상황에 맞도록 시·도 지침을 편성·운영하여 학교를 지원·관리하며 학교에서 학교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편성·운영하는 과정으로 정의된다(Han et. al., 2022). 이는 고교학점제 선도지구에서의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는 데 필요한 시·도교육청과 지역교육지원청, 그리고 학교에서의 역할과 기능을 잘 설명한다.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을 위해 해당 시·도교육청 및 지역교육지원청과 학교에서는 지역과 학교의 실정 및 요구에 부응하여 협력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은 지역, 학교, 학생, 교사 모두에게 의미있는 가치를 제공한다(Ministry of Education, 2017). 지역 차원에서는 지역 인재 양성의 차원에서 학교 교육의 다양성 확보와 학생의 역량 개발을 지원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 학교 차원에서는 사회의 변화와 학생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며 학교 내 교육과정 다양성을 확보하고 학교 밖 교육 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 모델을 개발·운영하게 된다.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 개발에 필요한 역량을 학교 안과 학교 밖 지역에서 함양하는 기회를 가지며 자기주도적 학습자, 평생학습자로서의 역량을 함양하게 된다. 교사들은 학생의 성장을 지원하며 지역과 협력하여 다양한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는 창조적 역량을 함양하게 된다.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 개발·운영을 위해 학교와 지역사회에서는 제한된 학교 여건을 보완할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지역사회에서 학생의 역량을 향상하고 도움이 될 수 있는 자원을 충분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Ministry of Education, Korea Curriculum and Evaluation Institute, 2020).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지원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지역 기관으로는 초ㆍ중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 대학, 전문대학, 청소년수련시설, 비영리기관, 비영리민간단체, 공익법인, 의료기관 및 기타 지역기관ㆍ체 등과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내 ‘지역협력센터’ 및 ‘학습 치유 센터’ 등 기타 교육감이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운영에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기관 등이 있다(Ministry of Education, 2020; Woo et. al., 2021).
그리고 지역 전문가는 교사와 코티칭을 하거나 직접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다. 초·중등교육법 제21조제2항(Ministry of Legislation, 2022) [별표2]에서는 교육대학·전문대학의 조교수로서 2년 이상의 교육경력이 있는 사람에게 중등학교 정교사(2급)의 자격이 있는 것으로 명시하고 있어 대학 교수가 고등학교에서 교과목을 직접 강의할 수 있다. 중등학교 정교사(2급)의 자격을 갖추지 않은 전문가(예: 4년제 대학 교수, 박사, 실무자 등)의 경우 교사와 코티칭을 하여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다.
Ⅲ. 연구 방법
이 연구에서는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 개발·운영 사례를 분석하기 위하여 3개의 선도지구를 선정하였다. 이는 연구자가 2021년도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운영 지원 컨설팅에 참여하면서 경험한 지구로서 연구 자료에의 접근과 지구에서 운영한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이해가 용이하였기 때문이다. 3개 지구에 관한 현황을 소개하면 <Table 1>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3개 지구를 중심으로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운영 사례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사례로 학교 간 연계 교육과정은 제외하고 학교 밖 지역 기관과 연계한 교육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교육프로그램 사례들을 분석한 준거로는 교육프로그램 형태와 운영, 학교에서의 실행, 사례들의 특징을 설정하였으며, 준거에 근거하여 지구별로 내용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 사례 분석을 위해 활용한 자료 수집 범위와 분석 준거는 <Table 2>와 같다.
Ⅳ. 연구 결과
1. GM 지구
GM 지구에서는 지구 단위에서의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과 지구가 속해있는 교육청 단위에서의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사례를 살펴볼 수 있었다. 우선 지구 단위에서는 마을공동체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정규 교과 교육과정 및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하여 운영 중에 있다. GM 지구에서는 GM개방형 고교학점제를 운영한다(GM Office of Education Support, 2020). 미래를 향해 함께 성장하는 GM개방형 고교학점제라고 하는 비전을 설정하여 고교학점제 온마을캠퍼스를 운영한다. 온마을 캠퍼스는 마을공동체 자원을 활용한 정규 교과 교육프로그램이다. 마을의 강사와 순회전담교사가 협력하여 운영하는 공동교육과정(고교학점제 마을캠퍼스)으로 2021년 기준 4개 교과가 정규 교육과정으로 운영되었다. 마을캠퍼스 과목으로는 문학관, 문화재단,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미디어센터 등과 연계하여 운영되는 문예 창작 입문(ooo 문학관), 연극의 이해(oo문화재단), 상담심리(oo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영상제작의 이해(oo시 미디어센터)가 운영되었다.
지구 단위에서 마을공동체 자원을 활용한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방법을 살펴보면, 학생들은 정규 일과 중 특정한 요일과 시간에 학교 밖 마을 캠퍼스로 이동하여 마을 캠퍼스 과목을 수강하게 된다. 마을캠퍼스 과목은 진로선택과목으로 편성되며 프로젝트법이나 실습 중심의 학생 중심 수업으로 운영된다. 나이스(NEIS) 업무는 거점학교의 담당 교사가 담당하게 된다.
또한 GM 지구가 소속된 G 교육청 단위에서도 다양한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운영 중에 있는 사례를 살펴볼 수 있었다. G 교육청에서는 ‘oo 꿈의대학’이라는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신청하여 이수하도록 한다. ‘oo 꿈의대학’은 G 교육청 소재 고등학교 재학생이 교육청과 업무협약을 맺은 대학 또는 기관에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개설한 강좌를 학생의 희망 선택에 의해 신청하여 수강하도록 하는 교육프로그램이다(Gg University of Dreams, 2022). 참여기관으로는 약 100여개의 대학과 30여개의 전문기관이 있다.
교육청 단위에서 운영하는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방법은 다음과 같다. ‘oo 꿈의대학’에서는 2022년 1학기 기준 1,100여개의 강좌를 운영하며 GM 지구에는 8개의 거점학교가 운영된다. 프로그램은 학기별로 각 8주씩 운영되며 주중 저녁 또는 주말 오전에 수강하도록 안내된다. 프로그램들은 무학년제로 운영되며, 기관이 인증한 석사 이상의 전공자 또는 해당 분야 3년 이상 경력자의 강사가 담당한다. 강좌당 70% 이상 출석시 학교생활기록부 창의적 체험활동의 진로활동 특기사항으로 기재된다(Gg University of Dreams, 2022).. 운영 유형으로는 학생이 해당 대학 또는 기관을 방문하여 수강하는 방문형, 강사가 지역의 학교 또는 지정 시설에서 강의를 하는 거점형, 전체 강의를 실시간 쌍방향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하는 온라인형, 17차시 강의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방문형, 거점형, 온라인형으로 진행하는 모듈형이 있다(Gg University of Dreams, 2022).
GM 지구에서 개발·운영하는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이 학교에서 실행되는지 현황을 확인하기 위해 Kh 고등학교 사례를 살펴보았다. Kh고등학교의 경우 2020년 온라인 공동교육 거점센터 운영교였으며, 2021년 온라인 공동교육 거점센터 및 oo개방형 공동교육과정 거점학교로서 온마을캠퍼스와 온라인교육과정클러스터를 운영 및 지원하였다(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2021). 매주 수요일 5~7교시를 ‘공동교육과정 운영 시간’으로 지정하여 운영하였으며, 지역사회 시설을 활용한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Kh고등학교에서는 2019년 ooo문학관 연계 수업 경험을 바탕으로 ooo 문학관, oo시 미디어센터, oo문화예술지원센터, oo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등의 지역시설을 공동교육과정 운영 장소로 지원받아, 일과 중 공동교육과정 온마을 캠퍼스로 4과목을 개설 운영하였다. 프로그램 운영 성과로는 교육적 효과의 극대화, 학생 참여도 향상, 인간관계 확장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2021). 2022년에는 일과시간 내 공동교육과정으로 8개의 온마을캠퍼스 과목(문예창작입문/연극의 이해/상담심리/영상제작의이해/공연실습/창업일반/광고콘텐츠제작/무용음악실습)과 3개의 온라인캠퍼스 과목(영화기술/사진영상편집/음악감상과비평)을 편성하였다(Gh High School, 2022).
GM 지구에서 운영한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마을캠퍼스 과목을 정규 교육과정으로 편성하였다. 정규 일과 중 특정한 요일과 시간에 마을캠퍼스 과목을 수강하도록 운영하여 학생들은 지역과 연계하여 이루어지는 마을캠퍼스 과목을 학교 교육과정으로 간주하여 참여하게 된다. 둘째, 마을캠퍼스 과목이 지속적으로 운영되며 매년 그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2019년의 지역 연계 교육을 바탕으로 2021년에는 4과목, 2022년에는 8개의 온마을캠퍼스 과목을 운영하는 등 마을캠퍼스 과목의 개발과 운영에 대한 학교의 관심과 열정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한 다양한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들이 방문형, 거점형, 온라인형, 모듈형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학생들이 희망 강좌를 온라인으로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는 시스템이 체계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창의적 체험활동의 특기사항으로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될 수 있어 학생들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2. BJ 지구
BJ 선도지구의 사업은 2021년 시작되었으며 시교육청-J구청-지역대학-유관기관 등의 협력 체제를 구축하여 선도지구 내 18개 고등학교를 지원하고자 하였다(BS Office of Educaion, 2020).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은 2가지 형태로 개발, 운영되었다(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21). 운영 방법에 대하여 유형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유형은 인근 지역 대학의 물적, 인적 자원을 활용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한 것이다. 일반고등학교 2, 3학년을 대상으로 전문교과 Ⅰ, Ⅱ 중 수요가 있는 6개 과목을 2단위(34시간)로 학기 중에 운영하였다. 학생의 높은 만족도와 학교의 다과목 개설 부담 완화를 위하여 2학기부터 6개 과목에서 10개 과목으로 증대를 계획하였다. 학생들은 원거리 이동에 따른 어려움과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아쉬움을 모두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실습·실험·실기 수업을 위한 구체적인 수업 지침 마련과 다양한 지역에 위치한 대학의 참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개발 등의 필요성을 확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유형은 지역 특화 프로그램 개발이며 금융과 해양 부문에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금융 부문의 프로그램은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MOU 참여기관(한국거래소, 한국은행 부산본부 등)의 전문가와 교사의 코티칭으로 운영되었다. 사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지만 희망 학교에 프로그램을 충분히 제공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Ministry of Education,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21). 해양 부문의 경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해양문화와 기술」 교과의 교육과정 재구성 지원을 위해 한국해양수산개발원과의 연계를 통해 교재 개발이 이루어졌다. 2021년 2학기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을 통해 「해양문화와 기술」 교과를 운영하였다(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2021).
BJ 지구에서 운영하는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이 학교 단위에서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BJ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표를 살펴보았다. BJ 고등학교의 경우 2022년 신입생 3개년 교육과정 편성표에 따르면, 3학년 진로 선택 교과로 「해양문화와 기술」을 5단위로 편성하여, 선도지구에서 의도한 해양 부문의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과의 연계성을 보여주었다(BJ High School, 2022).
BJ 지구에서 운영한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인근 지역 대학의 자원을 활용하여 수요가 있는 전문교과를 학기 중 운영함으로써 학생들의 다양한 정규 과목 이수를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지역 전문 기관과 연계하여 금융과 해양 부문의 지역 특화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해당 부문의 지역 인재를 양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3. GuM 지구
GuM 지구에서는 도교육청을 중심으로 대학/직업교육기관과 연계한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사례들을 다양한 형태로 보여주었다. GuM 선도지구의 사업은 2020년 시작되었다. 이 지구에서는 선도지구 공동교육 생태계 구축을 위하여 「GuM교육협력센터」를 중심으로 도교육청, 도청/시청, 대학/직업교육기관과 연계하여 지역특화 교육 모델을 개발하고 보다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을 수립하였다(Gsb Office of Education, 2020). 학업 부적응 학생 지원과 진로설계 지원 꿈 찾기 문화예술 체험 지원을 위한 연계 기관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운영 방법으로는 특히 인근 4년제 대학들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대학 방문 전공 체험 및 진로 특강, 진학 상담 등을 실시하였으며, 직업전문학교, 한국폴리텍대학 GuM 캠퍼스와 연계하여 직업위탁과정 운영 및 일반고 자격증 취득과정을 지원하였다.
또한 GuM 지구에서는 선도지구 사업을 시작한 2020년부터 지역 대학과 연계하여 교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하고 운영해왔다. 운영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원의 진학지도 역량 강화와 교양 과목(교육학, 심리학 등) 지도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와 부전공 자격 취득 및 신산업 관련 대학원 진학을 위한 지원 등 교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하여 인근 대학과 연계한 교육프로그램들을 다양하게 개발·운영하였다. 진학지도 역량 강화를 위해 K대학교와 업무협약을 하고 학생부종합전형 전문가 양성 연수 과정을 개설하여 운영하였다. 교양 과목 및 4차 산업혁명 기술 관련 대학원 진학시 학비를 지원하였다. 또한 교양 과목 지도 역량 강화를 위하여 교육학, 심리학, 철학 과목의 지도 역량 강화 연수를 D대학교에 위탁 운영하였으며, 연수를 위해 D대학교와 협약하여 과목별 34차시 분량의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여 보급하였다.
GuM 지구에서 개발·운영한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이 학교 단위에서 실행된 사례로 교육과정 박람회를 들 수 있다. G고등학교에서는 고교학점제 선도학교로서 진로 설계 교육과정 박람회를 실시하였다(G High School, 2022). 학생의 진로 설계를 돕는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기반 조성을 위해 한 주간 동안 저녁 2시간을 활용하여 교과 설명회를 개최하고, 계열별 학과와 학과 진학을 위해 추천하는 교육과정 설계안을 학생들에게 안내하였다. 해당 주간에는 선택과목의 안내 자료를 관람할 수 있도록 배너를 설치하여 운영하였으며, 학교 홈페이지에는 학생들이 상시적으로 참고할 수 있도록 계열별 학과와 추천 교육과정 설계 정보를 탑재하고 있다(G High School, 2022). 이는 선도지구에서 운영한 지역 대학과 연계하여 교원의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한 성과이자 학교 단위에서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실행할 역량을 갖추어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자료로 볼 수 있다.
GuM 지구에서 운영한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도교육청 단위에서 인근 대학과 연계하여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교과, 비교과 등의 다양한 학생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교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하여 교육프로그램도 다양하게 개발, 운영하였다. 교과 운영, 진학지도, 교양 및 신산업 관련 과목 지도 등을 위하여 연수, 대학원 진학 지원 등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들이 인근 대학과 연계하여 이루어졌다. 둘째, 학교에서 교사들의 진학지도 역량 및 교육과정 이해와 설계 역량을 충분히 발휘한 교육프로그램들이 개발·운영되었다. 학생들의 진학지도를 위한 학과 소개와 학과별 추천 교육과정을 교사들이 협력하여 설계하고 이를 학생들에게 제안함으로써 교사들의 교육과정 이해와 설계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였다.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선도지구에서 개발·운영한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 사례를 찾아 그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운영 지원 컨설팅에 참여하면서 경험한 내용과 문헌들을 중심으로 3개 지구의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살펴본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 사례들은 학교와 학교 밖 마을 및 지역 기관이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이 단순히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 자원을 활용한 프로그램으로서의 의미를 지니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정규 교과 교육과정 및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하여 운영됨으로써 고등학교 교육과정 목표와 내용을 잘 반영한 프로그램으로서의 의미를 지닌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과 정규 교육과정의 연계를 강조한 연구(Choi and Choi, 2021; Lim et. al., 2022)들은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이 교과 활동과 유기적으로 의미있게 연계될 때 프로그램의 의미와 질이 높아질 가능성이 더 커진다고 보았다. GM, BJ, GuM 지구에서는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들을 정규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하여 운영함으로써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의미와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측된다.
둘째,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 사례들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목적과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어 지역사회 발전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는 데 기여할 가능성을 지닌 것으로 볼 수 있었다. 학령인구가 급격히 감소하고 지역소멸의 위기에 직면한 상황 속에서 지역의 인재를 육성하고 유치하기 위해서는 지역과 학교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수적이다(Kim and Cho, 2021). GM, BJ, GuM 지구에서 지역 전문 기관의 인적, 물적 자원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은 정규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등과 연계하여 개발, 운영됨으로써 학생들의 진로 교육에 효과적으로 기여함과 동시에 지역의 인재를 양성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BJ 지구에서는 금융과 해양 부문에서 지역 소재 전문 기관과 협력하여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해양수산지역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GuM 지구에서도 지역 대학과 연계하여 직업위탁과정 및 자격증 취득과정을 지원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취업 지도와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GuM 지구가 포함된 지역의 경우 도로교통, 농업기술혁신, 전력기술 등의 특색이 존재하므로(Kim and Cho, 2021) 이를 반영한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운영에도 관심을 기울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은 교육과정 지역화와 교원의 전문성 함양을 촉진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교육과정 지역화란 시·도 교육청 및 지역교육지원청에서 지역의 상황에 적합하게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며 학교에서 학교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편성·운영하도록 지원·관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개념이다(Han et al., 2022). 고교학점제 선도지구의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 사례들은 시·도 교육청과 교육지원청에서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을 지역의 상황에 맞추어 다양하게 개발·운영하며, 학교에서도 자율적으로 편성·운영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도지구에서는 교원의 진로교육 및 과목지도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박람회 등을 통해 교원들에게 교육과정 이해와 설계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은 지역, 학교, 그리고 교원들에게도 의미있는 가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Ministry of Education, 2017).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데 제안할 수 있는 시사점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도지구 내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데 있어 지구 안과 밖의 다양한 지역 자원들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현재의 고교학점제 선도지구 사업은 해당 선도지구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이므로 선도지구 내의 지역 자원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나, 학교와 지역 사회를 넘나드는 유연한 교육 체제가 필요한 것처럼(Kim, 2021), 해당 지구와 지구 밖을 넘나드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 해당 지구와 인접한 다양한 지역이 협력한다면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가 더욱 촉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더 나아가 시·도교육청 간의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학생들에게 필요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면, 학생들을 위한 진로맞춤형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시·도교육청 및 지역 교육청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단위 학교에서 지역 기관들과 협약을 맺고 적합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GM 지구가 소속된 G교육청, BJ 지구가 소속된 B 교육청, GuM 지구가 소속된 GB 교육청에서는 교육청 단위에서 지역과 연계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청 및 지역교육지원청에서는 교육과정 지역화 차원에서 학교를 지원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Han et. al., 2022), 고교학점제를 운영하는 고등학교에서의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해서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협력할 필요가 있다. 특히 지역과 연계한 교육프로그램이 정규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하여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적합한 교육과정 재구성과 운영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지원하는 교재와 매뉴얼 등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Choi and Choi, 2021).
셋째, 시·도교육청 및 교육지원청 단위에서는 지방자치단체 및 인근 대학과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소통할 필요가 있다. 교육청과 교육지원청 인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지방자치단체가 있고, 각 단체에서는 지역의 발전과 지역 주민을 위한 교육활동지원사업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구청에서 강사비를 지원받아 지역사회 및 공공기관과 연계하여 정규 과목을 운영한 선도지구 사업 사례(Ministry of Education,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21)에서는 교육청과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력 관계 형성이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대학에서도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이나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을 추진 중이므로 고등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올해 선도지구 사업이 마지막 차인 지구인 경우 내년도 선도지구 사업 예산이 확보될 것인지에 대해 우려하고 있으므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지방자치단체 및 대학의 교육사업과 연계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선도지구의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다음의 제한점을 지닌다. 첫째, 연구자가 선도지구 사업 컨설팅에 참여한 3개 지구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을 일반화하기 어렵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사례를 소개한 문헌이나 웹사이트, 관계자들과의 면담에 근거하여 내용을 제시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운영 실제에 대해서는 다루지 못하였다. 후속적으로 다양한 선도지구들을 대상으로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실제를 분석할 수 있는 연구가 수행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고교학점제 선도지구에서 개발·운영된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 사례별 특징과 시사점 분석의 결과는 향후 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데 필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cknowledgments
이 연구는 2019학년도 대구대학교 학술연구비지원으로 수행되었음
References
- Kim HJ and Cho DJ(2021). A study of a curriculum on regional human resources. Chosun Law Journal, 28(3), 209~231. [https://doi.org/10.18189/isicu.2021.28.3.209]
- BJ High School(2022).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evaluation plan, 3~4. Retrieved from https://www.schoolinfo.go.kr/ei/ss/Pneiss_b01_s0.do#none, on Sep. 22.
- BS Office of Education(2020). 2021 High School Credit System Leading District Business Plan. 7~20.
- Cho JH(2018). The effect of teaching styles of fisheries high school teacher on students’ participaion in classes. JFMSE, 30(2), 661~670. [https://doi.org/10.13000/JFMSE.2018.04.30.2.661]
- Choi YH and Choi KA(2021). The present and future tasks of community-linked education for liberal arts education in college.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5(6), 179~190. [https://doi.org/10.46392/kjge.2021.15.6.179]
- G High School(2022). High school credits bulletin board.. Retrieved from http://school.gyo6.net/kumigo/200044/board/160408, on Sep. 22.
- Gg University of Dreams(2022). About Gg university of Dream. Retrieved from https://udream.goe.go.kr/common/greeting.do#, on Sep. 22.
- Gh High School(2022). 2022 School Curriculum Operation Plan, 7~8. Retrieved from https://www.schoolinfo.go.kr/ei/ss/Pneiss_b01_s0.do, on Sep. 22.
- Gm Office of Education Support(2020). 2021 Gm Open High School Credit System Leading District Operation Plan. 11~21.
- Gsb-do Office of Education(2020). 2021 High School Credit System Leading District Business Plan, 1~11.
- Han JH, Lim YN and Hong HJ(2022).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curriculum localization.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40(2), 151~179. [https://doi.org/10.15708/KSCS.40.2.7]
- High School Credit System Homepage(2022). reference Room. Retrieved from https://www.hscredit.kr/data/gdData.do, on Sep. 22.
-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Center,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2022). A guide on how to consult (Ⅱ) for the 2022 high school credit system leading district support project, 1~4.
- Kim DH(2021). Understaning of Curriculum(2th). Hakjisa, Seoul, 62~63.
- Kim HJ et. al.(2021). A study on ways to strengthen the public nature of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Focusing on early childhood and lower elementary grades.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4~26.
-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2021). 2021 high school credit system foundation project guide material for excellent general high school programs, 3~10.
- Lim JH, Kim JA and Woo SY(2022). 2021 High School Credit System Leading District Consulting Comprehensive Result Report, 178~179.
- Long S. and Shane HG(1986). Reflections on the past and visions of the future: An interview with Harold G. Shane. The Phi Delta Kappan, 67(7), 527~531.
- Ministry of Education(2017). High school credit system promotion direction and research school operation plan (draft), 1~5.
- Ministry of Education(2020). High School Credit System Leading District Support Project Promotion Plan (Draft), 6.
-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Curriculum and Evaluation Institute(2020). A guide to operating a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 59~61.
-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2021). 2021 High School Credit System Leading District Major Operation Cases, 5~11, 111~124.
-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2022). 2022 High School Credit System Leading District Support Project Leading District and Educational Underprivileged Area Consulting Consultant Guidebook, 9~22.
- Ministry of Legislation(2022). Article 21 Paragraph 2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 Shane HG(1972).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future. Office of Program Planning and Evaluation, Washington, D.C., 72~73.
- Woo SY, Lim JH, Hong JO, Whang EH(2021). Current statu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leading districts and future tasks.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