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5, No. 1, pp.132-141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8 Feb 2023
Received 16 Jan 2023 Revised 01 Feb 2023 Accepted 06 Feb 2023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3.2.35.1.132

수산·해운계고등학교의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몰입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이광빈* ; 황미영** ; 문희성* ; 김주완* ; 황용욱* ; 박종운
*부경대학교(학생)
**부경대학교(교수)
부경대학교(교수)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E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Major Flow in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
Gwang-Bin LEE* ; Mi-Young HWANG** ; Hee-Sung MOON* ; Ju-Wan KIM* ; Yong-Uk HWANG* ; Jong-Woon PARK
*Pukyong National University(stud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Pukyong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051-629-5971, pjun9017@pknu.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major flow perceived by students of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 to help students have satisfaction and pride in their major. In addition, it aims to help students select students by creating a tangible and intangible environment through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 business element, for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s, which are struggling with student recruitment due to the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on 253 students enrolled in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major flow,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ccording to gender,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ype and reliability among the sub-variable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depending on the grade.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major flow perceived by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 students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erceived by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 students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Four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major flow perceived by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 students.

Keywords: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s, Educational service qual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ajor flow

Ⅰ. 서 론

‘OECD 교육지표 2021’에 따르면 우리나라 청년층의 고등교육 이수율은 69.8%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으며, 2021년 교육통계서비스에 의하면 우리나라 고등학교의 대학 진학률을 73.7%로 세계 최고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학력인플레’라고 지칭하고 있으며,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이를 고학력의 사람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사회적인 지위가 떨어지는 현상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2010년 학력 인플레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일한으로 “고등학교 직업 교육 선진화 방안”을 발표하였고 직업계고등학교를 분야별 특화된 직업 교육기관으로 개편하였다.

하지만 현재 직업계고등학교는 설립 취지와는 다르게 심각한 상황에 놓여져 있다. Choi(2022)에 따르면 서울의 직업계고등학교 중 72.2%가 입학정원 미달 상황이며, 취업률은 2017년 50.6% 이후 꾸준히 하락하는 추세로 2021년 전국 직업계고등학교 취업률은 28.6%에 불과했다. 졸업 후 취업보다는 진학을 선택하는 학생은 매년 늘고 있어 진학율은 2017년 32.5%에서 2021년 45.0%로 크게 상승하였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직업계고등학교는 학과재구조화 및 개편을 통한 경쟁력 강화에 노력하고 있지만, 학생들 인기에 치중한 학과재구조화는 특정 인기 계열의 인기 학과의 쏠림현상을 유발하여 전통적인 수산·해운계열 전공학과는 경우 더욱 소외를 받고 있다(Hwang, 2022).

경쟁관계가 치열한 대학 및 사설학원에서는 타 교육기관에 비해 경쟁력의 우위를 위해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어왔으며, 그 중 대표적으로 교육서비스품질의 측정이 있다. 특히 최근 교육서비스품질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Ryu et al, 2019; Lee et al,, 2022; Kim, 2022; Yoo, 2021)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직업계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수산·해운계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문한 실정이다. 또한, 수산·해운계고등학교 학생들은 학생에서 미래 직업인이라는 진로 전환기애 놓여 있기 때문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매개효과로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산·해운계고등학교 학생들이 인식하는 수산·해운계고등학교의 교육서비스품질을 측정하고,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몰입의 관계를 구명하고, 여기에서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한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교육서비스품질, 전공몰입,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어떠한가?

둘째, 수산·해운계고등학생이 인식하는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몰입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Ⅱ. 이론적 배경

1. 교육서비스품질

교육서비스는 일반적인 서비스인 여행서비스, 금융서비스, 통신서비스 등과는 달리 특수성이 있어, 이를 명확하게 정의를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국가마다 사회적 특성에 달라 이를 명확하게 정의 내려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통계청의 표준산업분류에 따르면 교육은 서비스산업으로 구분하고 있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6). 이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사와 교직원 및 학교가 학생에게 물질적이고 정신적인 만족을 실현시켜주는 교육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기 때문이다(Choi, 2020). Park(1998)은 교육서비스품질이란 학교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활동에 대해서 학생들이 오랜 기간 체험을 통해 지각하게 되는 경험의 정도로 정의하였다.

직업계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교육서비스품질의 연구는 다음과 같다. Kim(2011)은 서울 소재의 인문계고등학교와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서비스품질의 차이를 비교하여 교육서비스품질이 학교브랜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인문계고등학교 학생들보다 교육서비스품질에 따른 학교브랜드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준다고 나타났다. 이는 특성화고교의 경우 일반교과보다 전공교과에 대한 관심이 큰 학생들이 선택한 학교이기 때문이기로 주장하였다. Kim(2019)은 미용관련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교육서비스품질의 각 구성 요인들이 진로준비행동과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공감성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으며, 교육만족도를 위해서는 교육서비품질의 하위요인 중 유형성, 공감성, 확신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주장하였다. Kim(2022)은 조리관련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베이커리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 학습태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SNS관여도를 조절변수로 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베이커리 교육서비스품질의 모든 하위 요인(교육과정, 신뢰성, 상호작용성, 유형성)에서 교육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 관여도가 높을수록 교육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Hwang et al.(2022)는 수산·해운계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만족도 사이에서 진로준비행동의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2. 전공몰입

몰입의 개념을 최초로 제시한 Csikszentmihalyi(1975)는 몰입을 인간 삶에 있어 최고 감정과 최상의 즐거운 경험 및 행복한 심리상태라고 정의하고 이를 몰입경험이라 하였다. 이후 Csikszentmihalyi(1993)는 전공몰입의 개념을 최초로 제시하였는데, 개인이 어떠한 과제에 완전히 몰두하여 최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정의하였다.

전공몰입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있어 중요한 요소이고, 전공몰입을 향상할 수 있는 요인들을 찾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어왔다. Hwang(2017)은 부산지역 조리전공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조리실습에 있어 멘토링 기능이 학습몰입과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멘토링 기능을 통해 멘티뿐만 아니라 멘토에게도 학습몰입과 진로결정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 and Lee(2017)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Jung(2015)은 각 권역별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수업몰입과 교사의 사회적지지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사회적지지는 학생의 수업몰입에 있어 높은 영향을 끼치며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감과 적응력을 높여줄 수 있고 자아형성과 정서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3.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개념은 Bandura(1977)의 자기효능감감이론에서 처음 시작되었으며, 자기효능감은 개인이 특정한 과업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로 하는 능력에 대한 자신 스스로의 확신이라 정의하고 있으며, 이는 인간의 특정 행동이나 행동의 변화에 중재자의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였다(Betz and Hackett, 2006).

직업계고등학교 학생들은 학생에서 전문 직업인이라는 진로전환기에 놓여져 있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통해 직업계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에 도움을 주고자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Yoon(2017)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느끼는 부모애착, 진로적응성, 정서지능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정서지능 향상의 중요성을 시사하였고, 이를 위해 상담개입의 전략이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Hwang et al.(2022)는 부산지역의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와 진로자기결정효능감 및 취업준비행동 간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계획수립, 직업정보수집, 목표설정이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 방법

가. 조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현재 수산·해운계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253명으로 설정하였다. 이 중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111명,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 142명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성별을 살펴보면, 남학생이 220명(87.0%)으로 33명(13.0%)인 여학생에 비해 많았다. 학년별로는 고1이 92명(36.4%), 고2가 73명(28.9%), 고3이 88명(34.8%)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나. 측정 도구

본 연구에서의 측정도구는 교육서비스품질,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공몰입으로 구성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사용된 문항은 총 39문항으로 각 문항은 Likert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5=‘매우 그렇다’)로 측정되었다.

교육서비스품질의 측정을 위하여, Hwang(2005)Kim(2022)의 연구에서 사용한 문항을 수산·해운계고등학교의 교육서비스품질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측정을 위하여, Taylor and Betz(1983)가 개발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검사(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CDMSES)를 활용하여 Lee and Lee(2017)가 연구에서 사용한 문항을 수산·해운계고등학교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전공몰입의 측정을 위하여, Jackson and Marsh(1996)가 개발한 몰입척도를 Kim(2006)이 수정하여 연구에 사용한 문항을 수산·해운계고등학교의 전공몰입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기술통계분석

Kline(2010)은 정규분포에 충족되는 측정변수를 위해서는 왜도값이 절대값 3이하, 첨도값이 절대값 10이하로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변수들의 왜도 범위는 –0.70 ~ -0.00이며, 첨도 범위는 –0.74 ~ 0.16로 나타나 정규성의 가정을 충족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 변수들의 기술통계 결과는 <Table 1>과 같다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for Analytical Variables(N=253)

2. 연구변인간의 상관관계

Pearson의 상관분석를 실시하여 연구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의 <Table 2>와 같다. 교육서비스품질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r=.673, p<.01),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전공몰입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r=.783, p<.01),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몰입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628, p<.01). 이는 교육서비스품질이 증가하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전공몰입이 증가하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증가하면 전공몰입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Correlation between research variables

3. 배경변인에 따른 교육서비스품질,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공몰입

가. 성별에 따른 교육서비스품질,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공몰입의 차이

성별에 따른 수산·해운계고등학교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육서비스품질,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공몰입의 차이를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t검증 결과 교육서비스품질,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공몰입의 모든 하위변인에서 성별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나. 학년별에 따른 교육서비스품질,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공몰입의 차이

학년별에 따른 수산·해운계고등학교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육서비스품질,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공몰입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Scheffe의 방법을 통해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변인 중 유형성과 신뢰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4. 매개효과 검증

가. 위계적 회귀분석

수산·해운계고등학교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몰입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1단계에서 독립변인인 교육서비스품질이 매개변인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14.429, p<.001), 2단계에서 독립변인인 교육서비스품질이 종속변인인 전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12.795, p<.001). 3단계는 2단계에서 종속변인인 전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교육서비스품질이 B=.797에서 B=.235로 감소하였지만 그 유의성에는 변함이 없었다. 또한 매개변인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전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12.686, p<.001).

The mediating effect of a variable

나. Sobel test

위계적 회귀분석의 변인들 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Sobel test를 결과 Sobel의 Z값은 9.558이며 p<.001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Sobel test를 통한 변인들 간의 유의도 검증의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따라서,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몰입 사이에서 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며, 이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results of sobel-test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수산·해운계고등학교에 재학중인 253명을 대상으로 한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몰입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교육서비스품질, 전공몰입,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에 따라서는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변인 중 유형성과 신뢰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학년 때 가장 높게 인식되었으나 3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낮아졌다. 이는 입학 당시 높았던 교육서비스품질의 중 유형성과 신뢰성 수산·해운계고등학교를 재학하면서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산·해운계고등학교 학생들이 입학 초기 높게 기대하고 인식하는 교육서비스품질을 졸업 때까지 잘 유지하고 성장시켜줄 수 있도록 수산·해운계고등학교와 선생님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학생들이 인식하는 수산·해운계고등학교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증가할수록 학생들의 전공몰입을 증가한다. 이는 Ryu et al.(2019)Lee et al.(2022)의 선행연구를 지지한다. 이를 통해 수산·해운계고등학교 학생들이 자신의 전공에 대한 몰입감을 높여 빠져들게 하기 위해서는 학교의 유·무형의 환경 개선을 통해 학생들이 전공수업에 대한 면학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 셋째, 학생들이 인식하는 수산·해운계고등학교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증가할수록 학생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증가한다. 이는 Lee and Kim(2021)Won(2022)의 선행연구를 지지한다. 이를 통해 수산·해운계고등학교이 학생에게 제공하는 양질의 교육서비스품질은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진로에 대해 확신과 성공에 대한 자신감을 부여해 준다는 것을 나타낸다. 넷째, 수산·해운계고등학생이 인식하는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몰입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인다. 이는 교육서비스품질이 전공몰입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이를 강화시켜주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육서비스품질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수준을 높이고, 이를 통해 진공몰입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수산·해운계고등학교 학생들의 전공몰입 향상에는 유·무형의 환경인 교육서비스품질과 자신의 진로에 대한 확신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제시해주는 결과이다.

2. 제언

본 연구를 바탕하는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산·해운계고등학교는 양질의 환경 조성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전공과 관련된 진로에 대한 확신과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도움을 주어야 한다.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22)의 ‘수산계 마이스터고교의 취업률 현황’에 따르면 포항해양과학고등학교와 완도수산고등학교의 2021년 수산·해운계 관련 산업 취업률은 각각 19%와 32%에 불과하였으며, 특히 최근 5년간 졸업 후 수산 관련 창업 사례는 전무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수산·해운계 전문인력 양성이라는 설립 취지에 맞도록 양질의 교육서비스품질 향상에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수산·해운계고등학교 학생들이 개인의 전공에 몰입하기 위해서는 진로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Hwang et al.(2022)는 수산·해운계고등학교 교사들은 수산·해운계고등학교가 타 계열의 직업계고등학교보다 사회적 인식이 부정적이라고 지적하였지만, 수산·해운업은 미래성장동력이 우수한 산업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연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미래에 대한 긍정적 기대가 학생들에게도 전이되어 전공 관련 진로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는 다방면의 접근이 필요하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이광빈의 박사학위논문의 일부를 발췌하여 수정보완 하였음.

References

  • Bandura A(1977). Selfsystem : Toward a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 logical Review, 84,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 Betz NE and Hackett G(2006). Career self-efficacy theory : Back to the futur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4, 3~21. [https://doi.org/10.1177/1069072705281347]
  • Choi MS(2022). The downfall of the profession. Korea Economic Daily, May 22, 2022.
  • Choi YW(2020). Continuing Education Practical Dance Influence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Career Education on the Academic Persistence Attitude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 Competition. Sejong University, Seoul.
  • Csikszentmihalyi M(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The experience of play in work in work and games.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 Csikszentmihalyi M(1993). The evolving self. New York : Harper Collins.
  • Hwang IH(2005).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structural causality of student satisfac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yeongsangnam-do.
  • Hwang JH(2017). The Effect of the Mentoring Function of Cooking Practice on Learning Immersion and Career Decision. Nambu University, Gwangju.
  • Hwang MY, Park JW and Lee GB(2022).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Major Satisfaction in Fisheries and Shipping High School.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41(6), 45~58. [https://doi.org/10.37210/JVER.2022.41.6.45]
  • Hwang MY, Park JW, Lee GB, Moon HS, Kim JW, and Hwang YU(2022).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Based on the Current Status Recognition of Fisheries and Shipping High 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41(5), 51~68. [https://doi.org/10.37210/JVER.2022.41.5.51]
  • Hwang MY, Park JW and Lee GB(202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Career Self-Determination Efficacy,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41(1), 69~88. [https://doi.org/10.37210/JVER.2022.41.1.69]
  • Jackson SA and Marsh HW(199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a measure optimal experience: The flow state scale.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8, 17~35. [https://doi.org/10.1123/jsep.18.1.17]
  • Kim BA(2022). The Effect of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in Cooking High School on Educational Satisfaction,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Honam University, Gwangju.
  • Kim BR(2019). The Effects of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mong Students from Academia & Industry-partnered Apprenticeship Schools in Cosmetology. Honam University, Gwangju.
  • Kim HJ(2006).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Flow Experience on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 Kim HJ(2022). The effect on the Culinary education quality, value, focus depth, for the practice in classes for major subjects taught in English : Case study base on Culinary programs in W university in Daejeon. Woosong University, Daejeon.
  • Kim SY(2011). Study on Effect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in High School on School Brand Satisfaction : ocusing on Difference between Education Service Quality in Genera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Hongik University, Seoul.
  • Kim YH and LEE CH(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Academic Engagement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17(3), 127~143. [https://doi.org/10.34138/KJTE.2017.17.3.127]
  • Kline RB(2005). Principle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Guilford.
  • Lee MH and Kim JS(2021). The Effects of Barista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Self-efficiency of Career Decisi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Entreprenuerial Intention. Journal of Contemporary Society and Safety Culture, 4(2), 108~121. [https://doi.org/10.33090/SFCC.4.2.8]
  • Lee SB and Lee JH(2017). The Mediating Effect of Outcome Expec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Planning of Career Interrupted Women.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6(2), 1~17. [https://doi.org/10.37210/JVER.2017.36.2.1]
  • Lee YR, Jung SJ and Yoon HS(2022). Effect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Major Commitment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 For students majoring in tourism at Gyeongin Regional University. International Journal of rism Management and Sciences, 37(5), 69~88. [https://doi.org/10.21719/IJTMS.37.5.4]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22). Current Status of Employment at Meister High School in Fisheries.
  •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16).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 Park JH(1998). An Empiric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rvice Quality Factors and the Improvement of Satisfaction of Foreign Hotel Customers to Enhanc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Hotel Enterprises in Korea.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5(2), 339~364.
  • Ryu IP, Kang DW and Lee JG(2019).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of College Students on Major Satisfaction, Major Commitmen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ourism Research 44(3), 81~106. [https://doi.org/10.32780/ktidoi.2019.44.3.81]
  • Taylor KM and Betz N(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 63~81. [https://doi.org/10.1016/0001-8791(83)90006-4]
  • Won HJ(2022). The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quality,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31(1), 479~491. [https://doi.org/10.35159/kjss.2022.2.31.1.479]
  • Yoo JM(2021). The Effect of the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Students’ Major Engagement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the Department of Aviation Services: The Moderated Mediating Role of Temporal Distance. Sejong University, Seoul.
  • Yoon SE(2017).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arental attachment, career adapt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Konyang University, Chungcheongnam-do.

<Table 1>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for Analytical Variables(N=253)

Division M SD skewness kurtosis
Educational
Service Quality
Materiality 3.88 0.80 -0.53 -0.02
Curriculum 4.28 0.66 -0.70 -0.17
Reliability 4.09 0.77 -0.61 -0.20
Interactionality 4.23 0.75 -0.73 -0.24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Gathering information 3.91 0.78 -0.20 -0.73
Goal setting 3.85 0.84 -0.35 -0.18
Planning 3.86 0.80 -0.25 -0.27
Problem Solving 3.82 0.74 -0.00 -0.18
Self-evaluation 3.96 0.83 -0.21 -0.74
Major Flow Emotional factors 3.97 0.90 -0.67 0.16
Control and behavioral factors 3.98 0.91 -0.62 -0.16
Intellectual curiosity factors 4.00 0.83 -0.45 -0.32
Change the flow of time factors 3.89 0.92 -0.55 -0.13

<Table 2>

Correlation between research variables

Divisio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ajor Flow
**p<.01
Educational Service Quality 1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673** 1
Major Flow .628** .783** 1

<Table 3>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Division M SD t p
M F M F
*p<.05, **p<.01, ***p<.001
Educational
Service
Quality
Materiality 3.85 4.09 0.81 0.70 -1.56 .118
Curriculum 4.27 4.37 0.67 0.60 -0.86 .388
Reliability 4.09 4.13 0.77 0.73 -0.31 .753
Interactionality 4.23 4.27 0.76 0.68 -0.29 .772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Gathering information 3.91 3.97 0.78 0.82 -0.45 .650
Goal setting 3.83 4.01 0.85 0.78 -1.12 .264
Planning 3.85 3.93 0.81 0.77 -0.57 .569
Problem Solving 3.80 3.90 0.75 0.69 -0.72 .472
Self-evaluation 3.94 4.61 0.82 0.89 -0.72 .468
Major Flow Emotional factors 3.95 4.07 0.91 0.85 -0.67 .504
Control and behavioral factors 3.98 4.00 0.91 0.90 -0.10 .915
Intellectual curiosity factors 4.00 4.02 0.83 0.81 -0.08 .935
Change the flow of time factors 3.87 4.04 0.94 0.77 -0.93 .350

<Table 4>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Division grade N M SD F Scheffe
*p<.05, **p<.01, ***p<.001
Materiality 1 92 4.11 0.74 7.104** 1>3
2 88 3.86 0.70
3 73 3.67 0.90
Curriculum 1 92 4.40 0.61 2.244
2 88 4.20 0.63
3 73 4.24 0.73
Reliability 1 92 4.28 0.66 4.501* 1>3
2 88 4.04 0.74
3 73 3.95 0.87
Interactionality 1 92 4.36 0.63 2.085
2 88 4.15 0.74
3 73 4.18 0.87
Gathering information 1 92 4.02 0.69 1.295
2 88 3.86 0.76
3 73 3.86 0.90
Goal setting 1 92 3.94 0.72 1.030
2 88 3.86 0.76
3 73 3.76 1.02
Planning 1 92 3.89 0.73 .092
2 88 3.83 0.72
3 73 3.87 0.95
Problem Solving 1 92 3.88 0.67 .461
2 88 3.78 0.70
3 73 3.80 0.86
Self-evaluation 1 92 4.04 0.80 .835
2 88 3.88 0.79
3 73 3.95 0.90
Emotional factors 1 92 4.07 0.87 1.408
2 88 3.84 0.82
3 73 3.98 1.00
Control and behavioral factors 1 92 4.15 0.81 2.502
2 88 3.84 0.89
3 73 3.93 1.02
Intellectual curiosity factors 1 92 4.09 0.72 .839
2 88 3.93 0.74
3 73 3.98 0.99
Change the flow of time factors 1 92 4.03 0.79 1.780
2 88 3.75 0.85
3 73 3.89 1.10

<Table 5>

The mediating effect of a variable

Step independent
variable
B SE β t R2 F
Step 1 (Educational Service Quality →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Educational
Service Quality
.728 .050 .673 14.429*** 0.453 208.183***
Step 2 (Educational Service Quality → Major Flow) Educational
Service Quality
.797 .062 .628 12.795*** 0.395 163.720***
Step 3 (Educational Service Quality →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Major Flow) Educational
Service Quality
.235 .066 .185 3.563*** 0.632 214.482***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773 .061 .658 12.686***

<Table 6>

results of sobel-test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mediating
variable
a(SE) b(SE) Z
(sobel value)
p
Major Flow Educational
Service Quality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728
(.050)
.773
(.061)
9.558*** <.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