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5, No. 3, pp.464-482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3
Received 13 Mar 2023 Revised 26 Apr 2023 Accepted 05 May 2023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3.6.35.3.464

진로탐색교육 참여만족도와 학과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중국 국내 대학생과 재한 중국유학생의 비교

위래
회남사범대학교(강사)
The Effects of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 Comparison of Domestic Chinese College Students and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Lai WEI
Huainan Normal University(lecturer)

Correspondence to: weilai874325@gmail.com

Abstract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mong Chinese domestic university students and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as separate research subjects.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Looking at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of Chinese students, the statistics for domestic university students are higher than those for international students. Second, for Chinese domestic university stud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 that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participation (β=.158, p<.05) and major satisfaction (β=.558, p<.001) both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level.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lso show that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participation (β=.349, p<.001) and major satisfaction (β=.407, p<.001) both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level. Third, looking at th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for Chinese domestic university students,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Wald=3.650, p<.05)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ost-graduation career decision-making, while major satisfaction (Wald=22.959, p>.05) does not.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participation (Wald=10.872, p<.01)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ost-graduation career decision-making, while major satisfaction (Wald=5.072, p<.05)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Keywords: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making Level, Chinese College Student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Ⅰ. 서 론

취업은 민생의 근본이며, 모든 사람은 개인 발전을 이룰 수 있는 공간과 가능성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인구가 많은 중국에서 취업은 정부가 민생을 도모하는 가장 중요한 사안 중 하나이며, 심각한 취업 상황은 이미 사회생활의 거의 보편적인 상황이 되었다. 중국 개혁개방 심화와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의 수립과 완비에 따라 대학생들의 취업은 자율적인 직업 선택 위주로 이뤄지고 있다(Ran, 2021). 중국 교육사업이 크게 발전함에 따라 대학생들이 점차 증가하고, 졸업 후 취업 문제도 존재한다. 대학을 졸업한 사람들이 취업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대학생은 졸업과 동시에 직장을 잡지 못해서 실직 위기에 놓이고 있다는 것이다(Li, 2022).

[Fig. 1]은 2018년부터 시작하여 중국 대학 졸업생 수의 추이를 보여주고 있다. 중국 교육부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21년에 909만 명이었던 중국 대학 졸업생 수는 2022년에는 무려 1076만 명으로 늘어나, 전년 대비 167만 명이 증가하여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대학생들은 국가 안정과 단합된 국면을 유지하는 동시에 사회경제 발전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력으로 여겨진다(Kim, 2014). 그렇기 때문에 청년 취업난 완화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은 사회적 환경 변화와 일자리 부족 같은 외부 요인뿐만 아니라,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 개인의 내재적 요인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 제도의 개선과 함께, 청년들의 진로탐색 및 취업준비과정에서 필요한 멘토링, 인턴십, 직업 교육과 같은 프로그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Fig. 1]

Number of Chinese university graduates (2018-2023f).

한편,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경기 침체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과 금리 상승 등 경제 위기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경제적 불안요인과 경기 침체 분위기 속에서 기업들은 수시 채용을 늘리고 경력직 채용을 우대하는 추세가 강화되고 있어, 사회 초년생들은 취업 진입에 있어 더 큰 장벽을 마주하고 있다(Na et al., 2022; Yin, 2023).

[Fig. 2]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청년 실업률을 나타낸다. 2022년 후반기에 청년층의 실업률은 16%로, 8월부터 10월까지의 기간 동안 실업률은 사상 최고치인 20%를 기록했다. 그렇지만 의아하게도 중국 내 취업 시장은 졸업생들의 취업난과 기업들의 인력 구인난이 병행하는 상황을 보이고 있다. 졸업생들이 찾는 일자리의 공급과 수요가 균형을 맞추지 못해, 졸업생들의 구직 고충은 큰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중소기업 및 자영업자들은 맞춤형 인력 확보와 충원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Lee, 2011). 이에 따라 졸업생들의 취업난 완화를 위해서는 사회 환경 및 일자리 부족과 같은 외부적 요인뿐만 아니라, 청년들의 취업 준비과정에서의 내재적인 요소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Xiao, 2022). 중국 교육부가 2022년 초 중국 대학생 취업 플랫폼과 함께 실시한 '대학생 진로교육의 현황' 조사에 따르면, 대학생의 62.3%가 '대학 졸업 후 진로'를 가장 큰 고민으로 꼽아, 과반수의 대학생들이 진로 및 취업에 대한 관심과 걱정, 우려가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중국교육부, 2022). 따라서 중국의 대학들은 대학생들의 진로와 취업에 대한 불안감을 완화하고 진로 결정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진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교육지원 범위를 확대하여 대학 내 진로・취업 전담 부서와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Fig. 2]

China’s Unemployment Rate among 16-24 years-olds (2020-2023.1).

Wu, Chen(2022) and Li(2016)에 따르면 현재 중국 대학들은 대부분 전체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보편적이고 적용 가능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및 과목을 운영하고 있지만, 이러한 운영방식은 개인의 특성과 학과・전공 특성 및 진로 분야의 특수성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에 한계가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진행 중인 진로탐색교육 프로그램이나 과목에 대한 평가와 만족도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한국 학자 Park, Ko(2011)는 학과와 적성의 불일치와 취업에 대한 불안감 등 문제로 학생들이 자신의 전공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해 휴학이나 자퇴를 결정하는 경우가 있다고 지적했다. 학과만족도가 낮은 대학생일수록 학업, 대학생활 적응, 진로결정 등에서 복합적인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렇기 때문에 대학에서 제공하는 진로 교육 프로그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학과에서는 학과・전공 교수들의 진로상담, 졸업생들의 취업 특강, 선후배・동기간의 취업정보 교류 등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를 들어 사회적 지지(Lee et al., 2019; Lee, 2017), 학습몰입(Kim and Lee, 2020), 학업적 자기효능감(Ju and Bang, 2021) 등에 대한 선행연구가 활발히 진행됐다. 그러나 대학생이 자기이해, 진로탐색, 전공분야 진로정보 등의 진로탐색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와 검증이 아직 미흡하다.

또한, 경제 글로벌화로 인해 지금 해외 중국인 유학생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재한 중국 유학생들에게는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영어권 국가보다 유학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일부 학생들의 해외 유학 1순위로 떠오르고 있다(Hou et al., 2022). 해외 유학생들은 국내 대학생들과 다른 교육 환경과 문화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더 넓은 시야와 다양한 전문 지식을 갖게 되며, 이러한 경험은 취업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Li and Si, 2022). 국내 대학생들은 중국 시장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현지 네트워크 구축에 우위를 점하며, 국내 기업에서 취업할 때 큰 이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유학생들은 중국 시장에 대한 이해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Hu, 2020). 중국 연구자가 중국인 유학생과 국내 대학생 간의 취업, 진로 발전의 경쟁문제는 중요한 사회문제가 된다고 주장한다(Yang et al., 2021). 그러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중국 국내 대학생과 재한 중국인 유학생을 나눠서 연구대상으로 중국대학과 해외대학의 진로탐색교육 참여만족도, 전공만족도,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통해 국내외 중국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있어 진로탐색교육과정 참여만족도와 학과만족도에 대한 차이성 및 중요성을 도출하고, 대학에서 학과와 연계하여 진로탐색-진로준비 간 균형 잡힌 필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운영하는 것에 대한 이론적 토대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국내대학생 및 재한 유학생의 진로탐색교육 참여만족도, 학과만족도, 진로결정수준의 수준은 어떠한가? 차이가 존재하는가?

둘째, 중국 대학생의 진로탐색교육 참여만족도, 학과만족도, 진로결정수준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중국 대학생의 진로탐색교육 참여만족도, 학과만족도은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진로결정 여부에 대한 진로탐색교육 참여와 학과만족도의 통계적 유의성을 존재하는가?


Ⅱ. 이론적 배경

1. 진로탐색교육

진로탐색교육은 학생들이 자신의 관심, 역량, 가치관 등을 바탕으로 적합한 직업과 전공을 발견하고, 그 과정에서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는 교육 과정으로, 학생들이 개성과 특성을 이해하며 미래 직업 및 전공 선택에 대한 명확한 목표와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Jo, 2013). Jung(2014)의 연구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비즈쿨 창업교육을 받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탐색교육이 취업 불안, 진로 성숙도 및 진로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진로탐색교육에 참여한 실험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 집단에 비해 취업 불안이 감소되었으며, 진로 성숙도와 진로 의사결정 능력이 향상되었다. Na et al. (2022)은 서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진로탐색교육 참여 만족도와 학과 만족도가 진로 결정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미래의 직장생활에 대한 준비와 자신만의 성공적인 경로를 찾아 나갈 수 있을 것이다.

2. 중국대학 진로탐색교육과정 현황

취업탐색교육과정은 대학생들에게 직업계획과 창업교육, 취업능력 향상 교육 등을 제공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중국대학교에서 제공하는 취업교육과정은 학생들이 대학 입학부터 졸업까지의 전 학년에서 진행하고 있으며, 시간적으로도 길고 내용적으로도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인재 양성에 있어서 중요한 활동 중 하나이다(Li, 2022). 중국 교육부에 따르면, 2022년 중국 대학교 졸업생 수는 1076만 명으로 역사상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따라서, 대학교 졸업생들이 원활하게 취업, 합리적인 취업을 실현하는 것은 중국 대학교가 현재 직면한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Zhen et al., 2020). 특히 2012년 중국교육부는 대학생 전 학년에 대한 진로교육을 정규 의무교과목으로 편성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하였고, 이후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진로교육이 프로그램이나 정규 교과목의 형태로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중국 淮南师范学院(Huainan Normal University)의 운영하고 있는 진로탐색교육과정을 <Table 1>에 제시하였다.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Program in Huainan Normal University

대학의 진로탐색과정 교육 내용은 각 대학의 진로교육 센터가 주관하며, 전공과 상관없이 모든 학생이 온라인으로 수강할 수 있는 동일한 교육 내용을 제공한다. 진로탐색과정은 직업생활계획(Career planning), 창업기초(Entrepreneurship Fundamentals), 대학취업지도(University Employment Guidance) 세 가지 과목으로 구성된다. 직업생활계획 과목의 주요 목표는 학생들이 자신을 이해하고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대상은 주로 대학 신입생들이다. 창업기초 과목은 학생들에게 기본적인 사회 실무 지식과 창업 역량을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대상 역시 대학 신입생들이다. 대학취업지도 과목의 주요 목표는 개인 취업 역량 향상과 사회 취업 환경 이해로, 대상은 대학 3학년과 4학년 학생들이다. 중국 대학에서 이러한 교과 구성은 중국 대학생의 진로 탐색에 필요한 교육 내용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진로지도 표준안을 개발하고 전공별 지도자의 진로 상담을 의무화한 점에서 신입생의 진로 탐색에 특화된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Zhang, Li, 2012).

또한, 각 주차의 내용에 따라 자기인식서와 진로로드맵을 작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매주 개인당 1회 학과 진로 담당자와의 온라인 상담 후 소감문을 제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학과 진로 담당자와는 1개 상담 팀(6명 학생정도)당 15분의 상담 시간이 주어지며, 중간고사 이전 5~6주 차에 1차 상담, 기말고사 이전 12~13주차에 2차 상담이 이루어진다. 진로 담당자는 상담이 완료된 후 개별 상담 결과를 교내에서 제공하는 특정 웹페이지에 기록 및 저장한다. 한국 대학의 경우, 서울특별시 S대학 운영하고 있는 진로탐색교육과정을 <Table 2>에 제시하였다.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Program in Huainan Normal University

서울 S대학교의 진로탐색과정은 "대학과 진로(College and Profession)", "직업진로설계(Career Development Theories & Design)", "취창업과 진로설계(Employment, Entrepreneurship, and Career Design)" 세 가지 교과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학과 진로" 과정에서는 학생들이 대학교육의 이념과 목표를 고찰하며, 이를 바탕으로 대학 생활 동안 적절한 학문 연구 방법을 익히고, 비판적 사고와 전문 지식 습득을 돕는다. 또한, 대학교육과 노동시장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졸업 후 진로에 대한 구체적인 탐구와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준다. "직업진로설계" 과정은 진로 선택과 지도, 그리고 직업 개발의 이론을 배우고 설계하면서, 변화하는 학습 사회의 진로 및 직업 발달 문제를 연구한다. "취창업과 진로설계" 과정은 학생들의 취업과 창업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고, 자신의 경력과 미래 진로에 대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지원한다.

각 과정은 주당 3시간씩 진행되며, 대면 수업과 화상 수업의 두 가지 형태로 제공되고, 다양한 수업 방식을 통해 학생들의 편의와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수업 중에는 학생들이 4명씩 팀을 이루어 한 달에 한 번씩 수업 담당자와 면담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며, 면담을 통해 학생들은 진로 탐색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이나 의문점을 해결하고, 개인별 피드백과 지도를 받아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3. 참여만족도

참여만족이란 참여하는 과정에서 개인이 느끼는 긍정적인 정서와 태도, 그리고 욕구의 만족 수준을 의미하며, 이러한 감정은 개인이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가진 욕구를 충족시키며, 실제 생활에서도 자신감을 가지고 활동할 수 있도록 심리상태를 만들어 준다(Yoon, 2008). 참여만족도는 프로그램 내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참여에 대한 만족도로 정의되며, 프로그램 참여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다(Li et al., 2020). Park et al.(2022)은 진로탐색 교육 과정이 학생들이 진로에 대한 자기 인식과 이해를 돕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Wang and Kwon(2021)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탐색 프로그램 참여동기와 참여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은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특히 프로그램에서 경험한 직업체험과 멘토링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참여동기와 참여만족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참여만족도은 진로결정수준과 관련 있는 변수로 보고되었다. Breaux(2004)은 교육협력 참여만족도와 진로불확실성, 진로결정수준, 진로선택방식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교육협력참여는 진로불확실성을 줄이고, 진로결정 수준을 높이며, 진로선택방식을 개방적으로 만드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Na et al.(2016)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결과, 진로탐색교육 참여만족도와 학과만족도는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탐색교육 참여 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4. 학과만족도

학과만족도는 대학생이 자신이 소속된 학과에 대해 느끼는 심리적 또는 주관적인 감정으로, 개인의 미래 목표나 욕구 달성에 대한 주관적인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Lee, 2021). Kim(2014)은 학과에 대한 기대와 만족도는 대학생 개개인의 진로 선택과 진로 준비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즉, 학생들이 자신의 학과에 대한 기대와 만족도를 높일수록, 그들의 진로 선택과 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Yoon(2019)은 학과만족도가 대학생이 자신이 속한 학과에 대해 가지는 긍정적인 태도로, 학과에서 제공되는 교육 프로그램, 교수-학생 관계, 학과 시설 등에 대한 만족도를 포함한다고 주장하였다. 학과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신의 전공에 대한 관심도뿐만 아니라 학업적 책임의 충실한 이행과 학과 성적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Lee, 2021), 학업성취, 취업가능성 등의 결정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William and Spencer, 2015).

Wang and Yin(2016)의 연구는 중국대학생들의 학과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으며, 학과만족도와 학업성취도, 대학입학성적, 학과교수진 등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Wu et al.(2016)은 중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과만족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조사결과, 학생들이 학과만족도를 결정하는 주요요인으로 교육환경, 교육품질, 교수의 가르침 방식, 취업기회 등이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학과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을 연결시킨 연구를 살펴보면, Shin(2013)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가정교육의 질과 학생들의 학과만족도 및 진로결정수준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습니다. 특히, 학과만족도이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Jo and Song(2011)은 예비 유아교사들의 학과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의 일반적인 배경에 따른 차이를 조사하고, 학과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결과적으로, 4년제 대학이 2, 3년제 대학보다 전반적인 학과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학과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진로결정수준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진로결정수준(career decision-making level)'은 연구마다 약간씩 다른 정의를 제시하고 있다. Crites and Savickas(1978)는 진로결정수준을 자신의 진로결정과정에서 나타나는 진행 수준과 진로에 대한 결정의 확고함으로 정의하며, 진로결정이 필요한 시점에 합리적으로 진로를 결정할 수 있는 상태로 정의한다. Savickas(1997)는 진로결정수준을 개인이 진로결정과정에서 보여지는 자기판단의 확고함과 진로관련 불확실성에 대한 대처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국내학자 Park and Park(2018)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을 진로결정과 관련된 정보 수집 능력, 진로결정의 의지와 결단력, 선택한 진로에 대한 만족도 및 성취감 등의 인식으로 정의하였다. Heo(2012)의 연구에 따르면, 진로결정수준은 진로결정에 대한 확신 정도로, 개인이 일생동안 진로 결정과 미결정 양극단의 연속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선택의 한 지점으로 볼 수 있다. 즉, 학생들의 진로선택과 관련한 의사결정 진행수준과 미래의 진로에 대한 확고한 신념 정도를 의미하며, 역으로 진로 미결정 수준을 나타내기도 한다.

중국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Yang(2011)는 진로결정수준을 자신이 원하는 진로를 설정하고 그에 대한 근거를 찾아가는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 연구 결과, 중국 유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은 중간 정도에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진로결정수준은 성별, 전공, 학업성취도, 한국어 능력 등과 관련이 있다. Li and Liu(2014)은 중국대학생 진로결정수준의 정의를 진로선택 과정에서 개인이 믿고 신뢰할 수 있는 능력과 자신감을 가지는 정도로 정의하였고, 이를 측정하기 위해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을 사용하였다. 또한, 중국학생 진로결정수준에는 가족의 지원, 학교의 진로지도 프로그램, 친구 및 동료와의 대화, 그리고 진로탐색 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분석되었다. 진로결정수준은 중국대학생이 진로를 결정하고 추진하는 능력과, 진로에 대한 자기이해, 진로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능력 등을 포함하고, 대학생의 발달과정과 교육 경험, 문화적 배경 등 다양한 영향 요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Tian & Liu, 2017).


Ⅲ. 연구 방법

1. 측정 도구

본 연구에서는 진로탐색교육 참여 만족도, 학과만족도, 진로결정수준을 변인으로 설정하였고, 각 변인의 측정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측정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였다. 성별, 전공계열, 진로결정 여부의 일반 문항을 포함하였다. 일반 문항을 제외한 세 가지 변인의 측정도구는 모두 Likert scale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중국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탐색교육 참여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Park et al.(2005)의 연구에서 사용하여 Na et al.(2022)이 수정하고 타당화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학과만족도는 일리노이대학(University of Illinois)의 연구팀이 개발한 학교평가조사를 토대로 Na and Song(1985)이 번안한 것을 Kim and Ha(2000)이 국내 문화에 맞게 수정하였다. 전공교과 만족과 교수-학생관계 만족을 제외한 전공학문만족(7문항), 학과사회인식 만족(4문항), 학교사회인식만족(6문항) 3개 구성요소의 총 17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진로결정수준은 Lee and Jeong(2021)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적합성(5문항), 구체성(5문항), 확신성(5문항) 3개 구성요소의 총 1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변인 측정에 사용된 설문 문항구성 및 각 변인 별로 신뢰도 결과는 <Table 3>과 같다.

Reliability of Scale of Variables

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에 있는 4년제 대학에서 교양 필수 지정 과목인 진로 탐색 프로그램을 이수한 중국 재학생들 두 그룹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중국 국내 대학생의 경우, 중국 淮南师范学院(Huainan Normal University)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위챗(Wechat)을 통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경우, 한국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S 대학교의 중국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위챗(Wechat)을 통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과 대상을 고려하여 2022년도 진로탐색 과정을 이수한 2학년 이상 재학생 중 연구 참여 의사가 있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2학년 이상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설문 응답 이전 연도에 해당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이수하였기 때문이다. 설문 기간은 2022년 10월 초부터 2023년 1월 말까지 약 4달간에 걸쳐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첫째, 응답자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본적인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주요 변인인 진로탐색교육 참여만족도, 학과만족도,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변수들에 대한 왜도, 첨도 등 기술통계량과 변인들 사이의 다중공선성 문제 확인 및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각 변인들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대상들의 실제 진로결정 유무에 대한 진로탐색교육 참여만족도와 학과만족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자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두 독립변인 설문결과가 실제 진로결정을 얼마나 예측하고 있는지도 확인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표본 특성

설문조사 참여한 345명의 응답 결과 중 중국에 있는 대학생의 경우, 무성의하게 응답한 17명의 응답을 제외한 총 16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유학생의 경우, 무성의하게 응답한 14명의 응답을 제외한 총 15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중국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성별, 전공계열, 졸업 후 진로결정 여부를 살펴보았다.

분석내용은 아래 <Table 4>와 같다. 본 연구에 참여한 설문 응답자는 중국에 있는 대학생의 경우, 남학생 85명(53.1%), 여학생 75명(46.9%)이었다. 전공계열은 인문계열이 57명(35.6%)으로 가장 많았고, 자연과학계열이 38명(23.8%), 이공계열이 36명(22.5%), 예체능계열이 19명(11.9%), 기타가 10명(6.3%) 순으로 확인되었다. 졸업 후 진로 결정 여부는 결정했다는 응답자 104명(65%), 결정하지 못했다는 응답자 56명(35%)으로 높은 비율의 응답자가 이미 졸업 후 진로를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 있는 유학생의 경우, 남학생 103명(66.9%), 여학생 51명(33.1%)이었다. 전공계열은 자연과학계열이 57명(37%)으로 가장 많았고, 인문계열이 47명(30.5%), 이공계열이 30명(19.5%), 예체능계열이 13명(8.4%), 기타가 7명(4.5%) 순으로 확인되었다. 졸업 후 진로 결정 여부는 결정했다는 응답자 127명(82.5%), 결정하지 못했다는 응답자 27명(17.5%)으로 매우 높은 비율의 응답자가 이미 졸업 후 진로를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2. 기술통계량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 1인 "중국 국내 대학생 및 재한 유학생의 진로탐색 교육 참여 만족도, 학과 만족도, 진로 결정 수준이 어떠한지와 그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각 변수에 대한 통계치 수준을 조사하고 비교하며, 중국 국내 대학생과 재한 유학생 간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중국 학생의 진로탐색교육 참여 만족도, 학과만족도, 진로결정수준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 <Table 5>와 같다.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mong Variables

중국 국내 대학생 연구대상자의 경우, 진로탐색교육 참여만족도는 Mean= 3.477(SD=.945), 학과만족도는 Mean=3.415(SD=.771), 진로결정수준은 Mean=3.556(SD=.883)으로 다 보통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중국인 유학생 연구대상자의 경우, 진로탐색교육 참여족도는 Mean=3.305(SD=1.021), 학과만족도는 Mean=3.233(SD=.752), 진로결정수준은 Mean=3.362(SD=.868)로 보통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았을 때, 중국 국내 대학생 연구대상자의 진로탐색교육 참여 만족도, 학과만족도, 그리고 진로결정수준의 평균값은 모두 중국인 유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중국 국내 대학생과 중국인 유학생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규분포의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첨도와 왜도의 절대치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중국 국내 대학생 연구대상자의 경우, 변인의 왜도는 -.325 ~ -.029로 모두 절대 값 3을 넘지 않았으며, 첨도는 –1.086 ~ -.967로 절대 값 10을 넘지 않아 분석에 적합한 자료로 나타났다(Bae, 2014). 중국인 유학생 연구대상자의 경우, 변인의 왜도는 -.216 ~ -.062로 모두 절대 값 3을 넘지 않았으며, 첨도는 –1.298 ~ -1.032로 절대 값 10을 넘지 않아 분석에 적합한 자료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든 측정변인들은 정규성 가정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상관관계 분석

연구문제 2인 "중국 대학생의 진로탐색교육 참여만족도, 학과만족도, 진로결정수준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분석 결과는 <Table 5>에 제시하였다. 중국 국내 대학생 연구대상자의 경우, 진로탐색교육 참여 만족도는 학과만족도(r=.613, p<.01), 진로결정수준(r=.500, p<.01)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만족도는 진로결정수준(r=.655, p<.01)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한 중국인 유학생 연구대상자의 경우, 진로탐색교육 참여 만족도는 학과만족도(r=.605, p<.01), 진로결정수준(r=.595, p<.01)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과만족도는 진로결정수준(r=.618, p<.01)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상관계수가 판단기준인 .90보다 이하로 나타나서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4.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회귀분석

진로탐색교육 참여와 학과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에 앞서 다중회귀분석 가정요건 충족 여부를 검토하였다. 독립성 판단을 위해 Durbin-Watson 값을 확인하였고, 분석결과 D-W 값이 2.066로 측정되어 기준값인 2에 가까우므로 자기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Table 6>는 공선성통계량(공차, VIF값)을 보여준다. 공차한계(Tolerance)는 0.1미만, 분산팽창지수(VIF)는 10 이상일 경우 다중공선성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는데 분석결과 각 공차한계는 .624 ~ .634이며 각 분산팽창지수는 1.603 ~ 1.576으로 기준을 초과하지 않아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Park, 2010).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이상의 다중회귀분석 가정요건 만족 여부 확인 후 연구문제 3인 "셋째, 중국 대학생의 진로탐색교육 참여만족도, 학과만족도은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분석결과는 <Table 5>에 제시하였다. 중국 국내 대학생의 경우, 다중회귀모형의 적합도는 F값 62.828(p<.001)로 유의하게 나타나 본 연구에서의 회귀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진로탐색교육 참여(β=.158, p<.05)와 학과만족도(β=.558, 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진로결정수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국인 유학생의 경우, 다중회귀분석의 적합도는 45.9%의 모형 설명력과 함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63.947, p<.001).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진로탐색교육 참여(β=.349, p<.001)와 학과만족도(β=.407, 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진로결정수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 진로결정 여부에 대한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

연구문제 4인 "넷째, 진로결정 여부에 대한 진로탐색교육 참여와 학과만족도의 통계적 유의성을 존재하는가?"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Table 7>에 제시된 바와 같이 졸업 후 진로를 결정한 그룹과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그룹 간 진로탐색교육 참여와 학과만족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기술통계 결과 중국 국내 대학생의 경우, 진로탐색교육 참여와 학과만족도 모두 졸업 후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그룹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중국인 유학생의 경우, 진로탐색교육 참여와 학과만족도 모두 졸업 후 진로를 결정한 그룹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Descriptive Statistics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and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Decision Making

실제 졸업 후 진로결정 여부 응답에 대한 진로탐색교육 참여도와 학과만족도의 인과관계를 추정하고자 아래<Table 8>과 같이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Results of Model Testing and Accuracy of Classification of Career Decision after Graduation

먼저 중국 국내 대학생의 경우, 모형검정 및 진로결정 여부 분류의 정확도에서 상수만 포함하고 있는 모형과 본 연구에서 설정된 이론모형의 차이를 나타내는 Hosmer and Lemeshow 검정값은 4.671, 이에 대한 유의확률은 .792로 진로탐색교육 참여와 학과만족도에 의해 졸업 후 진로결정을 예측하는 모형과 실제 모형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 모형을 잘 예측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Howell, 2012). 졸업 후 진로결정 여부에 대한 관측치와 예측치 간의 차이를 보면 진로를 결정한 경우 82.7%,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경우 64.3%가 정확히 분류되었고, 전체적으로는 76.3%의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고 있다.

재한 중국인 유학생 연구대상자의 경우, 먼저 모형검정 및 진로결정 여부 분류의 정확도에서 상수만 포함하고 있는 모형과 본 연구에서 설정된 이론모형의 차이를 나타내는 Hosmer and Lemeshow 검정값은 11.267, 이에 대한 유의확률은 .187로 진로탐색교육 참여와 학과만족도에 의해 졸업 후 진로결정을 예측하는 모형과 실제 모형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 모형을 잘 예측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Howell, 2012). 졸업 후 진로결정 여부에 대한 관측치와 예측치 간의 차이를 보면 진로를 결정한 경우 94.5%,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경우 44.4%가 정확히 분류되었고, 전체적으로는 85.7%의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고 있다.

진로결정 여부에 대한 진로탐색교육 참여와 학과만족도의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 <Table 9>와 같다. 중국 국내 대학생의 경우, 진로탐색교육 참여만족도(Wald=3.650, p<.05)는 졸업 후 진로결정 여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과만족도(Wald=22.959, p>.05)는 졸업 후 진로결정 여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해 도출된 회귀식은 다음과 같다.

LogitCareer decision after graduation=-9.401+.553Participation satisfaction(1)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n career decisions after graduation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회귀계수는 독립변수가 1단위 증가하면 종속변수인 졸업 후 진로결정 여부에 있어 결정할 확률이 결정하지 못할 확률보다 eB만큼 증가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른 독립변수들의 점수가 같다고 가정할 때 각 독립변수에서 1점 높은 결과를 나타내는 학생은 진로결정을 할 확률이 결정하지 못할 확률보다 진로탐색교육 참여 만족도에서는 e.553=.641배 정도 높아진다고 예측할 수 있다. 이상의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졸업 후 진로결정에 있어 진로탐색교육 참여 만족도의 설문결과가 실제 진로결정을 적절히 예측함을 확인할 수 있다.

중국인 유학생 연구대상자의 경우, 진로탐색교육 참여(Wald=10.872, p<.01)는 졸업 후 진로결정 여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과만족도(Wald=5.072, p<.05)는 졸업 후 진로결정 여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해 도출된 회귀식은 다음과 같다.

LogitCareer decision after graduation=-11.225+1.453Participation satisfaction+1.153Major satisfaction(2) 

다른 독립변수들의 점수가 같다고 가정할 때 각 독립변수에서 1점 높은 결과를 나타내는 학생은 진로결정을 할 확률이 결정하지 못할 확률보다 진로탐색교육 참여 만족도에서는 e1.453=4.274배, 학과만족도에서는 e1.153=3.167배 정도 높아진다고 예측할 수 있다. 이상의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졸업 후 진로결정에 있어 모든 변인의 설문결과가 실제 진로결정을 적절히 예측함을 확인할 수 있다.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중국 국내 대학생과 중국인 유학생을 구분하여 연구대상으로 진로탐색교육 참여만족도, 전공만족도,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과 한국에 있는 4년제 대학에서 교양필수 지정 과목인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이수한 중국 재학생들 두 그룹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중국에 있는 대학생의 경우, 중국 淮南师范学院(Huainan Normal University)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위챗(Wechat)을 통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한국에 있는 유학생의 경우,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S 대학교의 중국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위챗을 통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인 "중국 국내대학생 및 재한 유학생의 진로탐색교육 참여만족도, 학과만족도, 진로결정수준의 수준은 어떠한가? 차이가 존재하는가?"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중국에 있는 대학생 연구대상자의 진로탐색교육 참여 만족도, 학과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의 통계치는 모두 유학생 연구대상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중국에 있는 대학생들은 대학의 진로탐색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중국 국내 대학생은 일반적으로 중국 유학생보다 국내 취업 환경에 더 잘 적응한다고 주장한 Yang et al.(2021)의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중국 국내 대학은 진로탐색교육에서 가르치는 지식과 기능이 국내 취업환경에 더 적합하고, 국외 대학의 경우 국외 취업환경에 더 적합하기 때문이다(Wang, 2021). 연구문제 2인 "중국 대학생의 진로탐색교육 참여만족도, 학과만족도, 진로결정수준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중국 국내 대학생 연구대상자의 경우, 진로탐색교육 참여 만족도는 학과만족도(r=.613, p<.01), 진로결정수준(r=.500, p<.01)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만족도는 진로결정수준(r=.655, p<.01)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한 중국인 유학생 연구대상자의 경우, 진로탐색교육 참여 만족도는 학과만족도(r=.605, p<.01), 진로결정수준(r=.595, p<.01)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과만족도는 진로결정수준(r=.618, p<.01)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국 국내 대학생과 재한 중국인 대학생 모두 자신의 전공에 만족하고, 진로결정수준이 높을수록 진로탐색교육 참여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학생들에게 질 높은 진로 탐색 교육을 제공하는 것의 중요성을 나타났고,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진로결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Yang et al., 2021).

연구문제 3인 "중국 대학생의 진로탐색교육 참여만족도, 학과만족도은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중국 국내 대학생의 경우,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진로탐색교육 참여(β=.158, p<.05)와 학과만족도(β=.558, 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진로결정수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국인 유학생의 경우,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진로탐색교육 참여(β=.349, p<.001)와 학과만족도(β=.407, 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진로결정수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국 국내 대학생이나 중국인 유학생의 진로탐색교육 참여가 개인의 진로결정수준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진로탐색교육 참여 및 학과만족도가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긍정적인 도움을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다(Na et al., 2022; Jo and Song, 2011)는 연구경과와 일치한다.

연구문제 4인 "진로결정 여부에 대한 진로탐색교육 참여와 학과만족도의 통계적 유의성을 존재하는가?"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중국 국내 대학생 연구대상자의 경우, 진로탐색교육 참여만족도(Wald=3.650, p<.05)는 졸업 후 진로결정 여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과만족도(Wald=22.959, p>.05)는 졸업 후 진로결정 여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유학생 연구대상자의 경우, 진로탐색교육 참여(Wald=10.872, p<.01)는 졸업 후 진로결정 여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과만족도(Wald=5.072, p<.05)는 졸업 후 진로결정 여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진로결정 여부에 대한 진로탐색교육 참여만족도와 학과만족도의 인과관계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에서는 국내 대학생이나 해외 유학생의 학과만족도가 진로탐색교육 참여만족도보다 영향력이 모두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에게 진로 결정 이전의 진로탐색 단계에 중점을 둔 진로 교육 제공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현재 중국의 각 대학들은 취업스킬, 자기소개서 작성 및 면접 준비, 컨설팅 등 진로가 결정된 이후 실제 진로 준비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을 중점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대학 교수 및 자문단의 역량 강화와 함께 상담 서비스 제공 및 희망 직장 종사자와의 멘토링 서비스를 개발하여, 취업 준비와 경력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제언된다. 이와 별개로, 대학 차원에서는 진로탐색 교과정을 장기적인 운영을 통해 교육 과정을 지속적으로 보완하여 매년 재학생들의 경험과 만족도를 파악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진로탐색과정에 초점을 두어 학생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진로 결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Xiao, 2022). 대학생들이 취업에 대한 걱정 없이 희망하는 직장으로 성공적인 취업을 할 수 있도록 가장 중요한 것은 미래 지향적인 정보 제공 정책과 맞춤형 취업 지도 전략을 강화하는 것이다(Ko and Nam, 2013). 이는 전공 강화를 통해 직업으로 연결되는 취업 전략 수립이다. 기업 중심 취업 전략에서는 기업 내에서 전공 활용 업무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취업 전략을 구상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채용 조건에 맞는 맞춤형 취업준비 내용을 제공하여 취업 가능성을 높이고, 취업스트레스를 줄이며 실질적인 취업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최근 몇 년 동안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콘텐츠가 다양화되면서, 특히 온라인 교육 관련 동영상 콘텐츠가 많이 늘어났다(Huang, 2023). 이러한 추세는 중국 국내 대학생과 재한 유학생의 진로교육탐색 능력에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과외 온라인 동영상 형태의 진로교육탐색 교과의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최근에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와 같은 개방형 온라인 수업은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으며, Yu(2022)은 이런 새로운 온라인 수업 콘텐츠 플랫폼이 학생들이 더 높은 수준의 지식을 습득하도록 돕고, 더 많은 교육 자원을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중국 MOOC은 대학생들에게 전공지식 뿐만 아니라 취업기능 및 전공취업정보와 같은 자원공유도 매우 중요하다(Yang and Wu, 2022). 따라서, 국내 대학생과 중국 유학생들의 취업 결정 수준을 높이고 진로 탐색을 돕기 위해, 대학들은 다양한 진로교육에 관한 공개강좌나 수업 등 콘텐츠를 중국 국내 China University MOOC(中国大学慕课), Tencent(腾讯), Iqiyi(爱奇艺), Youku(优酷) 등의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을 통해 발포하여 더 많은 젊은이들이 진로탐색과 진로결정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제언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주로 중국 안후이성(安徽省)의 1개 대학교와 서울특별시 S대학에 분포되어 있으며, 연구에서 사용하는 표본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넓은 지역의 중국 국내 대학생 및 다른 국가의 중국인 유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중국 대학생의 진로탐색교육 참여만족도, 전공만족도,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나, 변수 간에 대학생의 심리적인 매개변수가 존재하거나 조절 변수가 있는지 이론적으로 조사하지 않았다. 향후연구에서는 세 변수 사이에 성별, 학년 등 제어변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규명하여 해외 대학과 중국 대학의 진로탐색교육의 과목설정의 차이를 비교하고, 중국 대학생의 진로상황 관련 분야에 대한 연구를 더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References

  • Breaux AH(2004). The impact of cooperative education participation on career indecis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style among college students, Ph. D. thesis, Temple University.
  • Bae BR(2014). Amos 21 Structural Spinning Modeling, Seoul: Cheongram.
  • Crites JO and Savickas ML(1978). Career maturity inventory, Sage.
  • Heo JC(2012). Effect of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Female Colleg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10), 227~236. [https://doi.org/10.5392/JKCA.2012.12.10.227]
  • Hou CY, Heo G and Won HH(2022).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North-east Asian Cultures, 72(9), 53~68. [https://doi.org/10.17949/jneac.1.72.202209.004]
  • Hu ZP(2020). The Analysis of Employment Issue in Chinese Returned Studying Abroad Students. China University Students Career Guide, 2020(19), 34~39.
  • Huang L(2023). Exploration of the Optimization Path of Blended Learning Mode from the Perspective of MOOCs: A Case Study of Information Technology Course. China Management Informationization, 26(1), 224~227. [https://doi.org/10.3969/j.issn.1673-0194.2023.01.058]
  • Jung EJ(2014). Analysis of the Bizcool-Connected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Effectivenes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9(3), 89~95. [https://doi.org/10.16972/apjbve.9.3.201406.89]
  • Jo JO and Song JY(2011). Relationship of Department Satisfaction to Career Decision Level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Korean Journal Child Education, 20(3), 287~301.
  • Jo JH(2013). Effects of Learning through Type-based,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on Future Career Education in a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Ph. D. thesis, Sangmyung University.
  • Ju ES and Bang YS(2021). A Study on Academic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Major,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ealth Science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2(5), 1593~1604. [https://doi.org/10.22143/HSS21.12.5.112]
  • Kim BS(2014). A Study about Structural Position of Network of Advisers` Sharing Relationship by Students of University in China: Job Information and Two-mode Network. China Knowledge Network, 4(4), 135~154. [https://doi.org/10.35389/ckn..4.201403.135]
  • Kim JN(2014). A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major satisfaction in college students and job-seeking stress -Comparison between tourism and non- tourism major-.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Studies, 16(6), 40~58.
  • Kim KH and Lee GH(2020).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 among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Flow,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Key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8(4), 117~143. [https://doi.org/10.18230/tjye.2020.28.4.117]
  • Kim GH and Ha HS(2000). A Study on the Causes of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with Department and Undergraduate Studies. Counseling Studies, 1(1), 7~20.
  • Lee HS(2021). The impact of university students’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 of openness to divers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2(3), 273~280. [https://doi.org/10.15207/JKCS.2021.12.3.273]
  • Lee MH(2017).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 of Meister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7(2), 121~141. [https://doi.org/10.34138/KJTE.2017.17.2.121]
  • Lee HM and Jeong JC(2021). Career Decision Instrument Development for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Decision Instrument Development for Undergraduate Students, 34(1), 175~203. [https://doi.org/10.3234/JECR.2021.3.34.1.175]
  • Lee EY, Oh SY and Kwak H(2019). Longitudinal Study among Social Support,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of Adolescent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2(4), 307~330. [https://doi.org/10.32341/JCER.2019.12.32.4.307]
  • Lee DH(2011). Roles of Career Barriers in Career Decision-Making:Predicting Variable or Moderating Variabl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2(1), 59~80. [https://doi.org/10.15703/kjc.12.1.201103.59]
  • Li D and Si XL(2022). Reflection and exploration on the recruitment of state-owned enterprises - Taking returning overseas students as an example. China Economist, 2022(12), 273~275.
  • Li SE(2016). On the Evaluating Index System of the Graduates' Employment Quality in Vocational Education Based on Fuzzy Membership Function. Heilongjiang Researches on Higher Education, 2016(7), 98~102.
  • Li HP(2022). Exploration on the Reform of College Students' Employment Guidance Course. The Theory and Practice of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5(20), 27~29.
  • Li X and Liu H(2014). A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Chines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5(3), 329~338.
  • Li JL, Ma JT, Li SW and Li ZN(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Sports Commitment,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ng Intention of Winter Sports in the Context of Beijing Winter Olympics. Journal of Chengdu Sport University, 46(6), 74~79.
  • Na HY, Bea JY, Kim YR, Cho SH, Lee SH and Joo MH(2022).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Satisfaction in Career Exploration Class and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Decision Level.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3(6), 2255~2270. [https://doi.org/10.22143/HSS21.13.6.155]
  • Na DJ and Song JH(1985). Major-aptitude mismatch students: Current status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Journal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Student Life Research Institute, 16(2), 424~431.
  • Park JH, Lee HH and Lee HY(2022). A Study on the Effects of ARCS Learning Motivation and Vocational Value of College Student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Major Commitment, and Career Decision Level.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12(4), 143~174. [https://doi.org/10.35273/jec.2022.12.4.007]
  • Park MS and Park JW(2018). In the Fusion Era of Ju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fectionism and Career Indecision: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1), 79~81. [https://doi.org/10.22156/CS4SMB.2018.8.1.079]
  • Park HI and Ko JG(2011).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f career issues by undergraduate students with low major satisfaction that experience discordance of major-aptitude.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4(4), 173~190.
  • Park SY, Nam MW, Kim HS and Choi JI(2005). University employees’ satisfaction, need, and contents and method preference of job competency education, and educational effect and satisfaction of e-Learning job competency program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37(3), 169~194.
  • Ran HQ(2021). The Study on China’s Local Government Policies in Promoting Graduates’ Employment: Based on Xi’an City, Shanxi Province. Ph.D’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 Wang J and Kwan IT(2021). Structural Relationship of Adult Learners' Career Decision-Making Factors in Credit Accreditation Courses at Chinese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27(1), 129~157. [https://doi.org/10.52758/kjle.2021.27.1.129]
  • Wang YH(2021). The Status and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Education in Vocational Colleges
-from the Perspective of "Double-high" Plan. Journal of Tianjin College of Commerce, 9(3), 91~96. https://10.16130/j.cnki.12-1434/f.2021.03.014. [https://doi.org/10.16130/j.cnki.12-1434/f.2021.03.014]
  • Wu TX and Chen S(2022). Analysis of employment-oriented higher Vocational Education teaching quality evaluation Standard. China Journal of Multimedia Network Teaching, 2022(05), 121~124.
  • Wang YH and Yin HR(2016). Empirical Study of College Students’ MOOC’s Learning Satisfaction-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of Students from Ocean University of China. Journal of Teachers College Qingdao University, 4(10), 35~43.
  • William BW and Spencer GN(2015). An Integrative Model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Career Opportunities, and Gender.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42(4), 291~304.
  • Savickas C(1997). Career adaptability: An integrative construct for life-span, life-space theory.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5(3), 247~259. [https://doi.org/10.1002/j.2161-0045.1997.tb00469.x]
  • Shin HW(2022).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students i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25(1), 55~66.
  • Tian XW and Liu JY(1997). A Critical Review of Career Decision-Making Research with Chines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44(5), 405~420.
  • Xiao Y(2022). Causes and Countermeasures of University Graduates' Difficulty in Employment. PR Magazine, 2022(23), 152~154. [https://doi.org/10.16645/j.cnki.cn11-5281/c.2022.23.039]
  • Yang GF and Wu Y(2022). New Exploration to the Workplace: Rise and Enlightenment of MOOC Micro-credential in China. Adult Education, 42(01), 154~156. [https://doi.org/10.3969/j.issn.1001-8794.2022.01.009]
  • Yang JF, Wen JH and Lu G(2021). Comparison of the Current Stuation of Job Hunting and Discussion of Job Hunting Countermeasures between Returnee International Students and Domestic Graduates. China University Students Career Guide, 2021(21), 44~47.
  • Yin ZH(2023). Investigating the Influencing Factors and Improving Measures of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Competitiveness in the New Era. Journal of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Beijing(Social Sciences Edition), 39(2), 174~180. [https://doi.org/10.19979/j.cnki.issn10082689.2022070047]
  • Yoon HJ(2008). A Study on th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Participation in Winter Sports among Adults.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 Yoon JC(2012).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of Self-Esteem,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Focusing on undergraduate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Journal of the Aviation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7(2), 3~27. [https://doi.org/10.30529/amsok.2019.17.2.001]
  • Yang SH(2011).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for Chinese students attending Korean univers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ntents, 11(12), 476~485.
  • Yu(2022).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MOOC Resource Development.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20(24), 153~156. [https://doi.org/10.16661/j.cnki.1672-3791.2206-5042-6623]
  • Zhai XD, Bai Y, Luo N(2020). Exploration and practice of teaching path for employment guidance course under the concept of 'integrating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into curriculum'. Journal of Jinan Vocational College, 2020(5), 67~69.
  • Zhang W and Li G(2012). Teaching Experience and Exploration on ‘The College Students Career Planning and Employment Guidance’- A Case Study of Tianjin Agricultural University. China University Students Career Guide, 2012(16), 30~35.

[Fig. 1]

[Fig. 1]
Number of Chinese university graduates (2018-2023f).

[Fig. 2]

[Fig. 2]
China’s Unemployment Rate among 16-24 years-olds (2020-2023.1).

<Table 1>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Program in Huainan Normal University

Subject for Career Exploration Subject for Career Preparation
Course 职业生涯规划
Career planning
创业基础
Entrepreneurship Fundamentals
大学就业指导
University Employment Guidance
Target 1st–2nd year students 3rd–4th year students
purpose - Exploring Career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Personal Development -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concepts and essential skills of entrepreneurship - Increase personal employability skills
- Understand the current employment environment in society
Course Contents - The Significance of Career Exploration Plan
- The Concept of Career Exploration
- Understanding and Analyzing Self-Situation
- Future Career Information in Major Fields
- Personal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 The Concept of Entrepreneurship
-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ial Teams
-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and Risks
- Resources Needed for Entrepreneurship
- Entrepreneurial Planning
- Company Establishment
- Social Entrepreneurship Cases
- Understanding Career Exploration and Job Search Planning
- Understanding the Causes of Employment Traps for University Students
- Understanding the Rights and Obligations Necessary for Employment
- Ability to Write a Resume
- Ability to Interview
- Self-Regulation Skills When Facing Challenges in the Workplace
- Labor Law

<Table 2>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Program in Huainan Normal University

Subject for Career Exploration Subject for Career Preparation
Course 대학과 진로(전선)
College and Profession
직업진로설계(전선)
Career Development Theories & Design
취창업과 진로설계(교양필수)
Employment, Entrepreneurship, and Career Design
Target 1st–2nd year students 3rd–4th year students 3rd–4th year students
purpose - Understanding of university life and career development - Plan for future career development
- Analyze the current employment environment
-Improve students'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abilities.
-Help students plan for their future development
Course
Contents
- How to adapt to college life
-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college life and high school life
- How to analyze one's own personality
- Understanding about future planning
- How to find a suitable career for oneself
- Understanding Career Exploration and Job Search Planning
- Learn about basic employment skills
- Understanding the Rights and Obligations Necessary for Employment
- Ability to Write a Resume
- Ability to Interview
- Learn how to enhance personal competitiveness
- Protect one's labor rights and interests by utilizing labor laws.
- Basic skills required for employment
- Social employment environment
- Basic skills required for entrepreneurship
- Risks and challenges in entrepreneurship
- How to plan for personal development
- How to choose a suitable workplace
- Interpersonal skills required in the workplace

<Table 3>

Reliability of Scale of Variables

Variable Number of items Study in China Study in Korea
Cronbach‘ α
Note: ***p<.001
Participation satisfaction 6 .919 .916
Major satisfaction Professional satisfaction 7 .860 .877
Major social satisfaction 4 .846 .875
School social satisfaction 6 .924 .908
Career decision level Compatibility 5 .837 .842
Concrete 5 .818 .856
Certainty 5 .893 .900
Kaiser-Meyer-Olkin and Bartlett's test
Standard forming adequacy’s KMO measures .923 .921
Bartlett's sphericity test χ2 5089.019 4933.951
df 703 703
p .000*** .000***

<Table 4>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Characteristics Study in China(N=160) Study in Korea(N=154)
Division N(%) Division N(%)
Gender Male 85 53.1 103 66.9
Female 75 46.9 51 33.1
Major filed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57 35.6 47 30.5
Natural science 38 23.8 57 37
Engineering 36 22.5 30 19.5
Art, music, physical 19 11.9 13 8.4
Undetermined 10 6.3 7 4.5
Career decision Yes 104 65 127 82.5
No 56 35 27 17.5

<Table 5>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mong Variables

Panel A : Correlation among variables
Study in China Study in Korea
1. 2. 3. 4. 5. 6. 7. 8. 9. 1. 2. 3. 4. 5. 6. 7. 8. 9. 9.
Notes: **p<.01;
1. Participation satisfaction; 2. Major satisfaction; 3. Professional satisfaction; 4. Major social satisfaction; 5. School social satisfaction; 6. Career Decision Level; 7. Compatibility; 8. Concrete; 9. Certainty.
1. 1 1
2. .613** 1 .605** 1
3. .658** .701** 1 .654** .703** 1
4. .367** .641** .520** 1 .452** .697** .680** 1
5. .535** .708** .543** .405** 1 .385** .647** .324** .292** 1
6. .500** .655** .569** .505** .580** 1 .595** .618** .579** .445** .501** 1
7. .435** .610** .519** .455** .561** .666** 1 .465** .563** .466** .370** .558** .543** 1
8. .442** .604** .522** .459** .544** .662** .545** 1 .570** .561** .544** .409** .433** .556** .601** 1
9. .456** .536** .477** .434** .449** .643** .491** .633** 1 .534** .512** .518** .396** .347** .647** .464** .636** 1
Panel B : Descriptive statistics
Characteristics Study in China Study in Korea
1. 2. 6. 1. 2. 6.
Mean 3.477 3.415 3.566 3.305 3.233 3.362
S.D. .945 .771 .883 1.021 .752 .868
Min. 1.330 1.840 1.670 1.170 1.800 1.800
Max. 5.000 4.770 5.000 5.000 4.450 4.870
Skewness -.325 -.029 -.228 -.216 -.062 -.063
Kurtosis -.967 -1.086 -1.084 -1.032 -1.298 -1.174

<Table 6>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Characteristics Variable B S.E. β t p Tolerance VIF
Note: *p<.05, **p<.01, ***p<.001
Study in China (Constant) .870 .247 3.524 .001**
Participation satisfaction .147 .070 .158 2.095 .038* .624 1.603
Major satisfaction .639 .086 .558 7.412 .000*** .624 1.603
F=62.828, p<.001, R2=.445, Adj R2=.437, Durbin-Watson=2.066
Study in Korea (Constant) .864 .233 3.704 .000***
Participation satisfaction .296 .064 .349 4.636 .000*** .634 1.576
Major satisfaction .470 .087 .407 5.413 .000*** .634 1.576
F=63.947, p<.001, R2=.459, Adj R2=.451, Durbin-Watson=2.168

<Table 7>

Descriptive Statistics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and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Decision Making

Characteristics Variable Mean S.D.
Study in China Make career decision
(N=104)
Participation satisfaction 3.165 .895
Major satisfaction 3.087 .703
Unable to make career decision (N=56)
Participation satisfaction 4.057 .746
Major satisfaction 4.024 .461
Study in Korea Make career decision
(N=127)
Participation satisfaction 4.018 .772
Major satisfaction 4.007 .639
Unable to make career decision (N=27)
Participation satisfaction 3.685 .574
Major satisfaction 3.597 .658

<Table 8>

Results of Model Testing and Accuracy of Classification of Career Decision after Graduation

Characteristics Observed value  Predicted value Accuracy(%)
1 2
Note: 1.Make Career Decision; 2. Unable to Make Career Decision.
Study in China 1 86 18 82.7
2 20 36 64.3
Total 76.3
Hosmer&Lemeshow=4.671(df=8, p=.792), Nagelkerke R2=.528
Study in Korea 1 120 7 94.5
2 15 12 44.4
Total 85.7
Hosmer&Lemeshow=11.267(df=8, p=.187), Nagelkerke R2=.418

<Table 9>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n career decisions after graduation

Characteristics Variable B S.E. Wald df p Exp(B)
Note: *p<.05, **p<.01, ***p<.001
Study in China Participation satisfaction .553 .289 3.650 1 .045* .641
Major satisfaction 1.881 .393 22.959 1 .056 1.738
(Constant) -9.401 1.485 40.082 1 .000*** 6.563
Study in Korea Participation satisfaction 1.453 .441 10.827 1 .001** 4.274
Major satisfaction 1.153 .512 5.072 1 .024* 3.167
(Constant) -11.225 2.289 24.045 1 .000***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