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5, No. 3, pp.483-499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3
Received 23 Mar 2023 Revised 24 Apr 2023 Accepted 02 May 2023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3.6.35.3.483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에 관한 연구

이영진 ; 원효헌
부경대학교(학생)
부경대학교(교수)
A Study on the Learning Transfer of Adult Learners in Lifelong Education
Young Jin LEE ; Hyo-Heon W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stud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051-629-5972, Wonhy@pknu.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arning transfer to effectively meet the motivation and purpose of adult learners in lifelong education. Through this,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will be able to present efficient management plans that can meet the needs of adult learners. Ultimately,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activate the learning transfer of adult learner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era of knowledge-based lifelong learning. In addition, it will be able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preparation of measures to improve the learning outcomes of adult learners in lifelong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74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registered with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focusing on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transfer. As a result of this study's analysis,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learning transfer of adult learners in lifelong education could be categorized into individual factors, curriculum factors, and situational facto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lifelong education adult learners to effectively apply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learned in lifelong education to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tasks are presented.

Keywords:

Lifelong learning, Learning transfer, Factor analysis, Motivation to transfer

Ⅰ. 서 론

오늘날 4차 산업혁명, IT 시대는 사회구조와 기술의 급격한 변화로 정규교육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로는 전 생애를 안정적으로 영위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우리나라 정규교육은 대부분 20대 초중반에 종료되므로 지속적인 교육을 요구하는 성인 학습자는 극복방안으로 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 참여를 선택하고 있다(Yoon et al., 2022). 이러한 사회적 요구는 학령기 아동 중심의 학교 중심 교육 패러다임을 평생교육 학습 패러다임으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교육은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의 참여 동기에 적합한 요구도를 반영하는 학습자 중심으로 옮겨갔다. 성인 학습자가 평생교육 학습에 참여하는 이유와 목적으로는 학습 자체의 흥미, 직업적 성취, 당면한 문제 해결, 새로운 기술습득, 자격증 취득, 사회적 관계 형성 등 보통 실생활과 관련된 현실적인 필요로 학습에 참여한다고 보고하였다(Burns, 2020). 그리고 성인 학습자는 시간과 비용, 교육기관의 문화가 자신에게 적합하고, 자신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을 때 학습에 참여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학습요구를 반영한 교육내용과 방법을 제공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Hyun. 2021).

성인 학습자들의 이러한 특성은 평생학습이 단순히 비 학령기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의 연장이 아니라, 학습자의 흥미와 요구를 중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참여가 이루어지기 위한 노력이 요구됨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Akther, 2020; Houle, 1961). 또 다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가 학습에 참여는 했지만, 의도한 바와 같이 학습 목표를 달성했는지, 학습역량이 실무에 적용되어 성과향상에 기여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음을 보고하였다(Neves et al., 2020). 이러한 실정에서 현재 국내·외에서는 평생학습의 학문적·실천적 영역 모두에서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평생교육 기관의 역할과 관련된 연구에서는 이 기관의 프로그램 계획자와 강사는 교육 프로그램에 있어서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가 개인적 혹은 업무적·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학습 내용에서 학습자가 요구하는 방향으로 구성함을 밝혔다(Merriam and Leahy, 2005).

또 다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 기관에서 발생한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장애 요인에 대한 분석을 살펴볼 수 있다. 이에 관한 많은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요구와 선호도 중 학습자의 개인 배경 요인이 참여 동기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음을 밝혔다(Bae, 2020; Shim et al. 2020).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는 개인 배경(나이, 성별, 교육 연수, 소득수준 등)뿐만 아니라 직업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So et al., 2019; Kim and

그리고 생애주기별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대학 평생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Ahn, 2020)와 특정 평생교육 기관의 프로그램에 한정하여 참여 동기와 지속요인(Bae, 2021; Lee, 2015)을 살펴보고 있다.

위의 연구들은 평생교육 기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인 학습자들의 평생학습 기회 확대 및 교육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종합적인 실태 파악이 선행될 필요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시적인 관점으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다양한 학습자의 요구와 선호도가 서로 다른 유형의 평생교육 기관이 가지는 특성과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학습자가 기관을 선택하고 참여를 결정하고 지속하게 하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기존 연구에서는 학문적으로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 연구를 포괄적으로 제시한 연구가 부재한 실정이다. 아울러 실무적인 관점에서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 연구에 어떠한 변인이 시사점을 제공하는지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을 개인적, 업무적으로 활용하는 의미(Lee and Park, 2012; Baldwin and Ford, 1988)를 가진 학습전이(Learning transfer)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학습전이는 교육 훈련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되며, 무엇보다 교육 훈련이 교육 성과와 학습자 개인의 개발에 어느 정도 기여했는가를 판단하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Ham and Choi, 2015). 즉 학습전이는 실제 학습성과에 얼마나 영향을 주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교육 훈련에서 학습한 지식, 기술, 태도를 실무에 적용하는 과정을 의미한다(Hyun. 2021). 이를 통해, 평생교육 영역에서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면,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 방법의 요구사항을 자세히 고찰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 연구는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참여 동기와 목적을 효과적으로 충족하기 위한 학습 동기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고, 평생교육 기관에 요구 수렴을 위한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지식기반 평생학습시대에 평생교육 현장에서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를 활성화하고 학습성과를 향상하는 방안 마련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학습자 개인 개발에 어떠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면서, 추후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 제공과 실무적 관점에서 평생교육 기관의 교육·훈련에서 성인 학습자의 지식, 기술, 태도를 실무에 원활히 적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의 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 연구의 발행 연도 및 연구 방법별 분포는 어떠한가?

둘째,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 연구의 대상별 주요 시사점은 어떠한가?

셋째,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에 대한 연구주제와 주요 변인은 어떠한가?


Ⅱ. 이론적 배경

1. 학습전이의 이론적 배경

교육학에서 학습전이가 등장한 것은 19세기 말 행동주의 학습이론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행동으로 보이는 것을 학습전이로 정의하면서부터이다. 이 시점 이후 학습전이는 1970년대부터 기업교육 평가 준거로 등장하면서, 교육 프로그램과 기업성과를 연결하는 고리로서 중요하게 받아들여졌다(Kirkpatrick, 1994). 학습전이와 관련된 연구도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학습전이에 대한 개념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가 간헐적으로 이루어졌다(Baldwin, Ford, 1988).

학습전이의 정의는 Baldwin & Ford (1988)가 정의한 학습을 통하여 변화된 행동(changed behavior)을 직무 현장에서 유지하고 일반화하는 것이라는 의미가 현재까지 널리 활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습전이의 개념과 모형에서 제시한 유지는 학습한 내용을 같이 적용하는 학습전이이고, 일반화는 다양한 상황에서 학습한 내용을 응용하는 것이다. 학습전이의 전자는 근전이라 일컫고, 후자는 원전이를 의미한다(Keum and Jeong, 2005; Shin, 2014).

여태껏 수행된 대부분의 학습전이의 연구들은 Baldwin and Ford(1988)의 정의를 수용하고 있다(Shin, 2014; Hyun, 2022; Blume, et al, 2010; Ford and Weissbein, 1997; Kim, and Hyun, 2019).

학습전이의 특징을 살펴보면, 기업이나 직무 상황을 전제로 한 교육이나 학습의 결과로 이해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외 학습전이 연구 대부분은 기업이나 산업 부문에서 실시하는 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한 내용을 자신의 직무 현장으로 돌아가서 보여주는 것임을 전제로 하고 있다(Shin, 2014; Blume, et al, 2010; Burke and Hutchins, 2007; Kim, Kim, and Hyun, 2019).

하지만 평생교육 분야에서 학습전이는 직무 상황에 편중된 의미를 보완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Merriam and Leah(2005)는 학습전이를 개인적(Individual), 조직적(Organizational), 공동체적(Community) 상황을 고려해야 함을 보고하고 있다. 이의 의미는 학습전이가 ‘개인적’, ‘조직적’, ‘공동체적’의 세 수준 상황 설정이 성인 학습자의 활동 영역과 일치하는 것으로 학습전이를 직무 또는 조직적 상황만을 강조하는 점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학습전이와 관련한 2000년대 연구에서는 학습전이가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학습전이가 근전이와 원전이의 유형으로 구분하면서 진행하고 있다(Keum and Jeong, 2007; Holton and Baldwin, 2003).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근전이는 학습한 내용을 그대로 또는 변화 없이 활용하는 것이고, 원전이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변형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이 차이는 학습전이 상황의 질적 또는 구조적 차이를 이해할 것을 요구한다(Merriam and Leahy, 2005).

주목할 점은 Hyun(2021)에 따르면, 평생교육의 학습전이는 직무 현장이나 조직적 상황을 넘어서 개인적 상황과 공동체적 상황을 반영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개인적 상황은 가정이나 사적 관계와 같이 개인적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상황이고, 공동체적 상황은 지역사회나 학습동아리와 같이 사회적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상황이다. 학습전이는 이 두 상황에서 모두 발생할 수 있고, 이는 평생교육에서 학습전이를 규정하기 위한 중요한 고려사항임을 파악할 수 있다. 학습전이 상황의 다양성은 학습전이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는 근전이와 원전이를 개념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의 학습전이는 성인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을 개인적·조직적·공동체적 상황에서 변형하지 않거나, 또는 변형하여 적용하는 행동이나 수준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즉, 변형하지 않는 부분은 근전이이고, 변형하는 부분은 원전이라고 한다.

2. 학습전이의 선행연구 분석

학습전이는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 방법의 요구사항을 고찰할 수 있고,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참여 동기와 목적을 효과적으로 충족하기 위한 학습 동기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국내·외에서도 학습전이와 관련된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들이 지속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 학습전이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관련 연구에서의 시사점을 찾기 위해 학위논문과 전문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들은 통해 학습전이와 관련하여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 대상과 주제 및 주요 변인, 연구 방법 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관련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가. 학습전이와 학습자 영향요인 및 효과성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중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교육내용 자신감, 지역사회 기여기대, 주변인 지원이 근전이 및 원전이와 갖는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Hyun. 2021). 하지만 이 연구는 연구 대상이 교육 프로그램 자체가 지역사회에서 학습전이가 발생하는 것을 가정한 프로그램이었다. 따라서 프로그램 목적이 지역사회에 기대하게 하는 유형이라는 점에서, 다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서도 지역사회 기여기대가 학습전이의 유의한 영향 변수로 검증될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 영향요인은 대체로 평생교육을 받는 성인 학습자의 학습 동기에서부터 요인을 탐색하고 있다. 동기는 학습자가 교육을 수행하게 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학습자의 행동 발생과 방향을 결정해주는 요인이다(Kim, 2021). 그리고 학습 동기는 동기의 하위개념으로 학습자가 특정 학습을 지속하게 하는 내적·외적 조건이다.

성인 학습자의 학습 동기에 대해서는 학자마다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성인 학습자에 대한 학습 동기에 관한 선행연구는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로 분류하고 있다(Reiss, 2012; Ryan and Deci, 2000). 그리고 성인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목적 지향성’, ‘활동 지향성’, ‘학습 지향성’의 세 범주로 유형화한 Houle의 의견을 반영하는 연구도 있다(Kim and Yoo, 2010).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 영향요인은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로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즉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 중 Knowles et al.(1984), Sogunro(2015)는 성인 학습자가 자기 발전 혹은 흥미와 같은 내재적 동기가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학습 동기임을 설명하고 있다. Hegarty(2011)는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가 내재적 동기와 더불어 업무수행 향상 및 자격증 취득 등과 같은 외재적 동기도 학습 동기로 작용한다고 보았다.

Kim(2021)은 대학 부설기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학점은행제 학습자 특성 분석을 한 결과, 대학원 진학, 학위증 취득, 자격증 취득, 자아실현 순으로 주요한 학습 동기 결정요인을 보고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Kim(2019)은 학점은행제 직업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학습자의 학습 참여 동기를 분석한 결과, 졸업장 취득, 직무능력 향상, 전문성 향상, 자격증 취득, 교양 증진 순으로 학습 동기가 유발함을 보고하였다. 그리고 Kim et al.(2019)는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 동기가 직업에서 요구하는 전문 지식 혹은 기술과 같은 실질적인 필요를 충족하기 위하여 학습에 참여한다고 분석했다. Yeon(2020)은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참여 특성과 요구분석에서 사회적 인정, 새로운 기술과 지식 습득이 주요한 요인임을 보고하였다.

위의 선행연구를 정리해 보면,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 동기는 자기 발전, 흥미, 자아실현, 폭넓은 교양 증진 등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외재적 학습 동기로는 업무수행 향상, 자격증 취득, 사회적 관계 형성, 사회적 인정, 학위취득 등으로 파악할 수 있다.

나. 학습자 특성에 적합한 개념과 연구 필요

서비스 품질의 일반적인 특성은 무형성(intangibiliy), 비분리성(inseparability), 변화성(variability), 소멸 가능성(perishability)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품질의 속성은 평생교육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무형성은 유형의 상품서비스와는 달리 구매하기 전에 감각기관에 의해 감지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가 교육 서비스를 받기 전에는 교육 서비스 질을 평가할 수 없는 성격을 지닌다는 것이다.

둘째, 비분리성은 동시성의 의미가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유형 제품이 제조과정과 유통을 거쳐 소비자에게 전달되지만, 평생교육 서비스는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특성으로 가진다는 것이다. 셋째, 가변성은 평생교육 서비스가 언제, 어디에서, 누가, 어떻게 제공하는가에 따라서 만족도가 달라지고, 심지어 학습자가 누구냐에 따라서도 달라지는 등 여러 가지 상황 요인에 따라 상이가 결과가 나타남을 의미한다. 넷째, 소멸 가능성은 오프라인에서 제공되는 보편적인 평생교육 서비스가 일정 시점에 소비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그 가치가 없어져 버린다는 의미가 있다.

따라서 평생교육 서비스 품질에 대한 논의를 할 수 있는 대표적 모형이 Parasuraman(1985) 모형을 토대로 한 SERVQUAL 모형이다. 이는 다양한 서비스 산업에서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는데 적용돼왔다. Parasuraman et al.(1985, 1988)의 서비스 품질 측정 도구인 SERVQUAL은 Oliver(1980)의 기대-성과 불일치 모델에 기초하고 있다. 이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자가 특정 서비스를 받은 후 이에 대해 지각된 성과가 사전에 가졌던 기대보다 초과하면 긍정적 불일치(positive disconfirmation)가 발생하여 서비스에 대한 최종 만족도가 증가하게 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Asubonteng et al., 1996).

이러한 평생교육 서비스의 품질 모형을 근거로 평생교육 서비스 품질이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에 영향을 줄 것이라 보고 실증적 분석을 시도한 대표적인 선행연구로 So et al.(2019), Kim and Yang(2021); Hyun(2021) 등이 있다. 또한, 학습전이와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지만, 평생교육 서비스 품질 자체에 대한 초점을 맞춘 연구로 Park(2021), Kim and You(2010) 등의 연구가 있다. 이와 관련한 많은 연구에서는 SERVQUAL 모델을 적용하여 평생교육 서비스 품질이 평생교육의 신뢰성, 반응성, 확실성, 공감성, 유형성이 주요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요인인 것으로 보고하였다.


Ⅲ. 연구 방법

1. 분석대상

본 연구는 학습전이의 종합적 변수를 바탕으로 평생교육 영역에서 학습전이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의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학습전이 관련 논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는 고등교육을 졸업한 이후에 학업을 지속하는 성인이다. 국내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 요인에 대한 분석대상 논문을 선별하기 위하여 2023년 1월 중에 등록된 논문 중에 학습전이 논문을 중심으로 74편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 기간은 2023년 2월 11일부터 2023년 3월 10일까지 조사를 진행하였다.

2. 자료수집 및 분석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의 학습전이 관련 논문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이 자료수집과 분석 과정을 수행하였다. 우선,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의 자료를 검색하였다. 키워드는 ‘학습전이’, ‘훈련 전이’, ‘현업 적용도’를 검색하고, 2차로 교육학 중에 ‘인적 자원 개발학’, ‘평생 교육학’, ‘일반교육학’, ‘성인 학습자’를 검색하였다.

위의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전문학술 논문은 343편, 박사학위 논문은 35편으로 총 378편이 검색되었다.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박사학위 논문 24편, 전문 학술논문은 32편이 검색되었으며, 국회도서관에서는 박사학위 논문 23편이 검색되었다. 가장 많은 연구가 검색된 학술연구정보서비스는 다른 곳의 대부분 연구물을 포함하고 있어서 이 자료들을 모두 활용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논문 중 학술지 및 박사학위 논문 활용하여 ‘학습전이’ 키워드를 포함한 연구물 74편을 선별하여 적용하였다. 선별된 국내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를 연구 대상 논문을 토대로, 발행 연도, 연구 대상, 연구 방법과 주제 및 주요 변인 등을 판별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방법은 빈도와 판별분석(Frequency and discriminant analysis)을 수행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발행 연도 및 연구 방법별 분포 분석 결과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 연구 동향을 2000년 이전과 최근의 발행 연도별 분포를 살펴보면 <Table 1>과 같다. 총 74편 가운데 2000년 이전에 발행된 논문은 9편(12.16%), 2000~2010년에는 14편(18.92%), 2010~2020년 발행된 논문은 23편(31.08%), 2020년 이후에는 28편(37.84%)이었다. 주목할 점은 2020년 이후에 국내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2010년 이후에 이와 관련한 연구 활동이 본격적으로 진행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Papers published by publication year

이러한 발행 연도 및 연구 방법별 분포가 나타난 이유는 급속한 사회 변화 속에서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국내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를 통한 수요 분석 연구가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저 출생, 고령화로 대표되는 인구구조의 변화와 4차 산업혁명으로 표현되는 급속한 과학 기술의 변화,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 등 2010년 이후에 새로운 사회구조와 산업구조에 대응하기 위해서 질 높은 평생교육이 본격적으로 요청되기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연구 방법별로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 연구 동향을 분석한 분포는 <Table 2>와 같다. 총 74편 중 양적 연구는 60편(81.08%)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질적 연구는 12편(16.22%), 혼합 연구는 2(2.70%)를 차지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가 양적 연구임을 고려해 보면,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 연구는 연역적 추론을 토대로 일반화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모든 결과를 계량화하려는 시도로 측정 가능한 자료만 보려 해서 결과의 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질적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은 아직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 연구에서 관계를 통한 의미 파악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현실이 반영된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 연구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을 둘 다 활용하는 혼합 연구 방법(mixed method)을 활용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Distribution by study method

혼합 연구 방법은 양적 또는 질적 접근만으로는 연구 문제를 이해하고 설명하기에 미흡할 때, 또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장점을 동시에 활용함으로써 연구 문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설명할 수 있을 때 유용하기 때문이다(Creswell, 2009). 혼합 연구 방법은 한 연구 방법으로부터 얻은 연구과를 다른 연구 방법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연구 결과 도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혼합적 방법을 활용하면서 도출된 연구 결과가 하나의 큰 데이터베이스로 통합될 수 있고, 두 연구 결과가 서로를 보완하면서 강화하는데 데 협력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Creswell and Plano Clark, 2011).

2. 연구 대상별 시사점 분석 결과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 연구 동향 중 궁극적으로는 성인 학습자 요구 반영을 위한 것이지만 주요 시사점 위주로 재정리를 하면 다음 <Table 3>과 같다.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 연구를 위해서는 정책 설계 및 법령 정비, 사업지원・운영의 합리성 제고, 학습자 요구 반영, 지원시스템 구축이 필요함을 정리할 수 있다. 2000년 이전에는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를 위해서 학습자 요구 반영과 지원시스템 구축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성인 학습자의 학비 지원, 직업・진로 및 경력개발 기능 강화와 생애주기별 특성을 반영한 평생교육 제공 등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Shim et al., 2020).

Distribution by research subject

그리고 2000년에서 2020년 기간에는 정책 설계 및 법령 정비의 연구가 2000년 이전에 비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정책 설계 및 법령 정비의 연구는 평생교육에 대한 체계적・종합적 법령 정비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Kwak, 2013). 2010년 이후에는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 연구에서 미시적 관점에서 사업지원・운영의 합리성 제고와 학습자 요구 반영, 지원시스템에 관한 요인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사업지원・운영의 합리성 제고는 성인 학습자 필요에 기반한 평생 교육기관 간 협력 촉진, 성공적 모델 창출을 위한 다년도 사업지원, 평생교육 재정지원의 합리적 근거 및 규모 확보, 성인 학습자를 위한 평생교육 역량 진단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Bae, 2021). 지원시스템은 재정지원사업의 성과관리시스템 구축과 수요자 정보시스템 구축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Hyun. 2021).

3. 연구주제 및 주요 변인별 분석 결과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 요인은 개인적 요인, 교육과정 요인과 상황적 요인으로 구분 지어 살펴볼 수 있다. 개인적 요인은 성인 학습자가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개인적 학습 동기, 학습능력, 태도, 기대 등을 일컫는다. 교육과정 요인은 성인 학습자의 교수 능력, 교육내용의 타당성, 전이 설계, 교육 방법,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 작용과 기술적 지원 등이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상황적 요인은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가 교육을 통해 학습한 것을 현업에 적용하는 것에 대한 기여 정도가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개인적 요인(Personal Factors)

학습전이는 적절한 교육과정과 상황적 요인을 갖추었다 하더라도 학습자가 교육에 적극적으로 임해야 비로소 학습전이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Baldwin and Ford, 1988; Noe and Schmitt, 1986; Richey, 1992). 즉, 이것은 학습자가 교육에 임하기 전에 교육 목적을 분명하게 인지하고, 교육의 필요성을 토대로 양질의 교육을 제공해야지만 교육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한 연구 중 Houle(1961)은 성인 학습자의 교육 참여 동기를 ‘목표 지향성’, ‘활동 지향성’, ‘학습 지향성’으로 유형화하면서, 목표지향적(the goal-oriented)은 성인 학습자가 자신의 특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습활동에 참여함을 의미한다. 활동 지향성(the activity-oriented)은 성인 학습자는 지루함 혹은 외로움으로 탈피를 위하여, 새로운 사람과의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을 위하여, 학위취득 등과 같은 이유로 평생교육에 참여함을 의미한다. 학습 지향성(the learning-oriented)은 성인 학습자가 학습 그 자체를 추구하면서 평생교육을 수행함을 의미한다.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에 미치는 개인적 요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Noe and Schmitt(1986)는 성인 학습자의 개인적 능력 이외에 태도, 동기, 기대, 통제, 위치 등의 요인을 제시하였다. Baldwin and Ford(1998)는 성인 학습자의 학습 동기, 학습능력, 성격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Holton(1996)은 학습 동기, 전이 동기, 능력이 성인 학습자의 평생교육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제시하고 있고, Holton et al.(2003)은 성인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학습자 준비도, 전이 동기, 전이 노력, 전이 능력 등을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으로 제시하였다.

Kim(2005)는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긍정적인 참여 유형을 ‘성공과 의지의 결합 유형’, 성공, 의지와 가치의 결합 유형’ 그리고 ‘성공, 의지, 가치와 즐거움의 결합 유형’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성공과 의지의 결합 유형은 성인 학습자가 자율 의지에 따라 학습하고 학습활동에서 성취감을 경험하는 것을 의미하며, 성공과 의지는 성인 학습자의 긍정적인 학습 동기로 작용하는 가장 기본이 됨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성공, 의지와 가치의 결합 유형은 성인 학습자가 자신이 학습하고 싶은 것을 성공적으로 학습할 뿐만 아니라, 자신이 학습하고 있는 것에서 가치를 발견하게 됨을 의미한다. 이는 성인 학습자가 학습활동에 신중히 처리하게 되는 요인이며, 이것으로부터 의미를 발견하게 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성공, 의지, 가치와 즐거움의 결합 유형은 성인 학습자가 자신이 가치 있게 생각하고, 배우고 싶은 것을 배우기 위해 자발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며 즐거운 감정을 가지고 성공적으로 배우는 학습자임을 전제로 하고 있다. 성인 학습자가 평생교육을 통해 느끼는 즐거움은 학습활동에 대한 완전한 참여의 즐거움이며, 학습활동에 완전히 몰입되었을 때 나타나는 현상임을 강조하고 있다.

나. 교육과정 요인(Curriculum Factors)

학습전이 요인 중 교육과정 요인에는 교수 능력, 교육내용의 타당성, 전이 설계, 교육 방법,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 작용, 기술적 지원 등 다양한 변인들이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Goldstein and Rouiller, 1993; Baldwin and Ford, 1988; Holton et al., 1998; Kim, 2003). 평생교육에서 성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 방법과 기술적 지원은 학습전이 설계를 포괄할 수 있는 개념이며,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 작용 측면에서 중요하게 작용한다(Kim et al., 2019). 그리고 교수자와 관리자의 특성, 교육내용, 전이 설계, 교육환경, 무형식학습 등은 실질적으로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 지속 의지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Hyun. 2021).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교육과정에 대하여 Bae et al.(2021)는 성인 학습자는 자기 주도적인 능동적 성향을 지니고 있으며, 자발적 동기에 의한 학습, 주위의 환경과 부합하는 생활 중심적인 교육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성인 학습자의 특성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을 위하여 이론적 수업방식이 아닌 현장 중심의 교육설 계가 필요함을 주장하고 있다(Lee, 2015).

그리고 이동국 외(2012)는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대부분의 성인 학습자가 자기 계발, 실무교육 등 실질적 측면에서의 교육적 요구가 높음은 밝히면서 이를 수행할 수 있는 강사의 자질 또한 학습전이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예전부터 평생교육에 있어 교육자의 자질은 교육 훈련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교육 훈련 실시자의 능력을 의미하며, 교육 훈련의 성공 여부는 교육자의 자격요건과 행동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Goldstein and Rouiller, 1993).

또 다른 연구에서는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과정 요인은 설계적 특성과 내용의 타당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Baldwin and Ford, 1988; Holton et al., 1998). 이는 두 가지 측면에서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첫째는 성인 학습자가 미래에 대한 이해와 도전 의식을 바탕으로 지식과 정보 기술 활용능력을 배양하고, 혁신적인 변화에 창의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해야 함을 의미한다. 둘째는 기초 및 전문 지식 등의 배양을 통하여 현장에 적극 활용 할 수 있는 실용적 사고력을 갖추고,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한다. 이러한 교육과정 요인은 같은 조건의 설계 및 내용으로 교육을 시행할지라도 교수자의 능력에 따라 학습자의 만족도와 몰입에 다르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지적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교수자의 역량이 학습전이의 수준에 달리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Kim, 2003).

다. 상황적 요인(Situational Factors)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에 대한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교육 과정적 요인 이외에도 성인 학습자가 다양한 사회생활에 얽혀 있는 상황적 요인도 잘 파악해야 한다. 성인 학습자는 외부 환경적 변화요인인 직장, 가정 등 주변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하오선(2019)은 성인 학습자의 평생교육 학습에 어려움이 ‘직장 일과 학업 병행의 어려움’과 ‘학비 부담’ 등 외부 환경적 장애 요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외부적 환경의 변화는 평생교육 기관의 행정과 교수자가 통제할 수 없는 영역이다. 하지만 평생교육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제도적 측면인 외부 상황적 요인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책 마련이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평생교육 조직에서는 학습전이를 향상하는데 상황적 외부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들은 미미한 실정이다. 하지만 최근 많은 연구자는 평생교육에 참여한 성인 학습자의 상황적 요인이 학습전이의 주요 영향요인임에 공감하고 있다(Richey, 1992; Goldstein and Rouiller, 1993; Baldwin and Ford, 1998).

Noe(1986)는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가 교육을 통해 학습한 것을 현업에 적용하는 상황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하였다. 이것은 평생교육에 참여한 성인 학습자가 지식, 기술, 태도 등만으로 교육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상황적 요인은 평생교육의 안정적인 활성화를 한 정책 환경의 변화에 대한 대응, 혹은 정책을 유지하고 목표한 성과가 달성되도록 추진해 가는 과정의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Hegarty, 2011). 특히, 성인 학습자의 상황적 요인은 교육복지와 인적 자원개발 차원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Akther,2020). 현재 시점의 평생교육 정책은 지식과 기술의 수명이 짧아지고 평생학습사회로의 시대 변화 흐름에 부합하여 일과 학습의 병행으로 정책 방향 초점이 되고 있다.

Noe and Schmitt(1986)은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가 새로운 지식, 기술, 태도를 현업에 적용하면서 사회적 지원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장비 등에 대한 인식 등을 고려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경제적 상황, 시간 부족, 자녀 돌봄 문제, 학습 기회에 대한 정보 부족, 지리적 고립 등의 문제점을 명확히 파악해야 한다(Yang, 2011). 위의 연구를 정리해 보면,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상황적 요인은 성인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현업에 적용하는 데 있어 조직 환경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에 영향을 주는 중요 요인임을 파악할 수 있다,

이처럼 학습전이 관련 요인들은 개인적 요인, 교육과정 요인, 상황적 요인으로 구분하고 관련 하위요인을 탐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학습전이 활성화 요인의 구조화를 정리하면 다음 <Table 4>와 같다.

Structuralization of activating learning transfer factors


Ⅴ. 논의 및 결론

1. 논의

본 연구는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 관련 변수를 체계적으로 종합하고 그 관련성을 분석하여 내실 있는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습전이와 관련한 국내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에 관한 변수는 개인적 요인, 교육과정 요인, 상황적 요인 변수 군으로 범주화 할 수 있었다.

첫째, 본 연구 결과,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에 관한 변수를 개인적 요인, 교육과정 요인, 상황적 요인으로 범주를 구분할 수 있었다. 많은 연구에서는 이 3가지 요인 중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에 교육과정 요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공감하고 있었다(Hyun. 2021; Kim, 2021; Yeon, 2020). 이에 대한 이유는 성인 학습자가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목적이 교육을 통해 습득한 지식, 기술, 행동, 태도를 실무에 적용하는 정도로, 효과성을 향상하고 실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새로 습득한 지식,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에 관한 변수 중 개인적 요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개인적 요인 중 학습몰입과 조직몰입이 가장 주요한 변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학습몰입은 성인 학습자가 교육과정을 수행하면서 학습활동에 완전히 빠져들어 몰두한 상태로 정의하고 있다(Steele and Fullagar, 2009). 본 연구 결과는 Hyun(2021)과 같이, 성인 학습자의 학습몰입 경험은 그 자체로 이들에게 만족감을 제공하고 내재 동기를 증진하고 나아가 학습전이를 증가시키는 연구 결과와 일맥상통하다.

그리고 본 연구 결과,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학습 과정을 스스로 이끌어 나가는 학습활동을 의미하는 자기 주도 학습능력이 중요함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Reiss(2012)와 같이, 성인 학습자 스스로 평생교육에 참여하고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전략을 사용하면 만족스러운 학습 결과를 가져오고 만족감을 가진다는 것을 밝힌 연구를 지지한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는 Luthans(2002)이 제시한 것처럼, 성인 학습자 개개인이 자신의 발전을 추구하는 긍정적인 심리상태를 가지는 것이 전이 동기를 높이게 됨을 밝힌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셋째, 본 연구 결과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 중 교육과정 요인의 우선순위는 교육내용, 전이 설계, 교육자 특성, 교육환경, 관리자 특성, 무형식학습의 순으로 효과 크기를 나타냄을 밝힌 연구 결과에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Kim et al, 2014; Yoon et al., 2002; Bae et al., 2017). 이중 교육내용 측면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는 기회의 원리를 갖추기 위해 참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회의 원리는 평생교육의 목표와 일관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 목표가 시사하고 있는 내용 행동을 성인 학습자가 스스로 해볼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육목표가 시사하는 행동을 성인 학습자가 해보는 과정에서 만족감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성인 학습자가 요구하는 행동이 그들의 현재 능력, 성취, 발달 수준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야 함을 시사한다(Kwak, 2013; Kim, 2005).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적합하게 구성되어야지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가 일어난다고 판단된다.

넷째, 많은 연구에서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의 상황적 요인 중 상사 및 동료지원의 중요성에 공감하고 있다(Kim et al., 2019). 동료지원은 공통된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동등하고 지지적인 관계를 의미한다(Ahn, 2020).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 학습자들의 유사한 경험을 가진 동료들이 있다는 사실 그 자체가 이들에게 가치 있고 즐거운 삶들로 이끌 수 있음을 밝힌 연구 결과와 일맥상통하다. 그리고 주목할 점은 Kim et al. (2020) 연구에서 밝힌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의 상황적 요인 중 조직 환경, 전이 기회, 조직풍토 또한 상대적으로 큰 효과 크기를 보였고, 조직의 지원,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학습조직, 상사의 리더십, 조직문화, 조직 보상, 변화 가능성은 중간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조직풍토와 조직문화가 다른 조직과 구별되는 그 조직만 가지고 있는 독특한 분위기임을 고려한다면, 성인 학습자가 경험하는 총체적 평생교육 기관의 환경의 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조직풍토와 조직문화는 조직이 갖는 생활체제나 성격과 같이 조직 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활동을 포함하여 조직구성원 간에 이루어지는 조직 특유의 인간적‧문화적 관계가 형성하는 총체적 특성이다. 따라서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의 상황적 요인 중 조직풍토와 조직문화는 인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심리적 실체로서 평생교육 기관과 성인 학습자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의 변수를 탐색한 결과, 평생교육 영역에서 학습전이의 활성화를 모색할 수 있는 요인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주목할 변수는 심리적 웰빙, 지식공유, 상호의사소통이었다. 이와 관련된 요인들은 Kim and Cha(2016)의 연구 결과와 같이 성인 학습자의 심리적 특성과 함께 타인과의 관계나 사회적 맥락에서의 성과를 보여주는 특징과 일맥상통하였다. 따라서 심리적 웰빙과 사회적 관계 요인은 기존 연구수행 빈도가 낮지만,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 학습자의 심리·사회적 의미가 있는 학습전이 요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이는 평생교육이 행동적 학습전이 성과에 초점을 두는 것도 중요하지만, 평생교육 구성원의 심리적 안정이나 사회적 관계 확장 등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영향요인임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생교육이나 성인교육 영역에서 학습전이 연구가 현저하게 낮은 상황에서 학습전이의 의의를 새롭게 조명할 수 있는 요인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평생교육 영역에서 학습전이 연구의 확장을 위한 디딤돌을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학습전이 요인탐색은 향후 평생교육의 영역에서 학습자의 심리·사회적 긍정 상태를 주제로 다루는 것도 필요하다. 특히 학습자의 자신감, 사회적 관계, 심리적 웰빙, 의사소통 등의 확대에 대한 실증적 연구 결과가 축적될 필요가 있다(Shin and Hyun 2021).

정리하면, 평생학습 영역에서 학습전이의 정착은 교육 프로그램과 성과를 연결하는 요소로서 중요한 의미를 시사한 것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개인적 요인, 교육과정 요인, 상황적 요인을 검토하여 평생교육 영역에서의 학습전이의 활성화 방안을 구조화하였다. 구조화된 분석 결과는 지식기반 평생학습시대에 평생교육 현장에서 학습전이를 촉진하고 학습성과를 향상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2.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결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는 연구자마다 다양한 변인을 시사하고 있었다. 하지만 발행 연도 및 연구 방법별 분포를 살펴본 결과, 2020년 이후 현재 시점 급속한 사회 변화 속에서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국내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를 통한 수요 분석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발행 연도 및 연구 방법별 분포를 살펴보면서 향후 연구 방향을 예측하고, 지향점을 제시하고 있는 측면에서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아울러 2020년 이후 평생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는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는 점이 고무적이었다.

둘째, 연구 방법별로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 연구 동향을 분석한 분포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 양적 연구에 치중되어 있었다. 국내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를 통한 수요 분석 연구를 다양한 연구 방법을 적용한다면 연구의 질적 성장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학습전이는 성인 학습자가 교육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는가 전반적으로 인식하는 것이며, 교육 성과나 학습자 개인의 개발에 어느 정도 기여했는가를 판단하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So et al., 2019). 그리고 학습전이는 실제로 학습성과에 얼마나 영향을 주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교육에서 학습한 지식, 기술, 태도를 실무에 적용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개념을 가진 학습전이는 성인 학습자 대상으로 심층 면접과 같은 질적 연구를 수행하거나 양적 연구와 접목하여 밝힐 필요성이 제기된다. 질적 연구는 개인의 내부에서 학습전이가 어떻게 형성되고 성장하는지 이의 과정을 심도 있게 탐색할 수 있다. 그리고 양적 연구 방법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성인 학습자의 경험을 해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무엇보다 다양한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전이 향상을 위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깊이 있게 밝히기 위해서는 연구 대상 범위를 확대하거나, 아니면 특정 연구 대상자를 선정하여 학습전이를 높일 수 있는 심층적인 방법과 이의 효과를 향상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학습전이 관련 학술지에서 가장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분야가 대학교 안의 평생교육원이었다. 이러한 점은 외부 평생 교육기관의 다양한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 효과성을 밝히기에는 역부족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다양한 평생교육 기관의 특성과 변인을 반영하면서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넷째,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대안은 평생교육에 대한 내실 있는 정책 설계 및 법령 정비, 사업지원・운영의 합리성 제고, 학습자 요구 반영 그리고 지원시스템 구축 등이 필요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 기존에는 정부 관점에서 평생교육에의 사업지원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시사하고, 운영의 합리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평생교육을 거시적 관점에서 살펴보면서, 성인 학습자 필요에 기반한 평생 교육기관 간 협력 촉진과 성공적 모델 창출을 위한 재정지원의 합리적 근거 및 규모 확보 등을 주장하는 연구가 많았다. 하지만 2010년 이후에는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를 위한 평생교육 역량 진단과 성과관리시스템을 구축할 필요성이 제기한 연구와 성인 학습자 정보시스템 구축과 더불어 수요자의 맞춤식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향후 연구에서는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와 같은 미시적 접근을 통한 내실 있는 연구가 많이 수행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무엇보다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의 학습전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때 고려할 점은, 기존의 학습전이에 대한 연구자들의 영향요인을 잘 반영하고, 현재 시점의 사회 변화와 성인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향후 연구에서는 성인 학습자 특성과 사회 환경에 적합한 학습전이의 재개념화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추후 연구에서는 현재 상황과 성인 학습자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학습전이 개념을 재정의할 수 있는 연구가 함께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 Affarella RS(2002). Planning programs for adult learners, A practical guide foreducators, trainers, and staff developers (2nd ed.). San Francisco, Jossey-Bass. [https://doi.org/10.21225/D56K63]
  • Ahn HY(202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adult learners' satisfaction with operational factors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Society, 20(7), 438~45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7.438]
  • Akther J(2020). Influence of UNESCO in the Development of Lifelong Learning. Open Journal of Social Sciences, 8(03), 103. [https://doi.org/10.4236/jss.2020.83010]
  • Asubonteng P, McCleary KJ and Swan JE(1996). SERVQUAL revisited: a critical review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https://doi.org/10.1108/08876049610148602]
  • Bae EG, Park W, Lee MY(2017).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RD Consultant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ubjective Carrer Success. HRD research, 13(4), 35~63. [https://doi.org/10.1108/JMP-12-2018-0562]
  • Bae NR(2020).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motivation of highly educated adult learn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21(12), 182~191. [https://doi.org/10.5762/KAIS.2020.21.12.182]
  • Bae YJ(2021).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system support project (LiFE) and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system conversion. Adult Continuing Education Research, 12(2), 63~84. [https://doi.org/10.1080/0305792032000127766]
  • Baldwin TT and Ford JK(1988). Transfer of training, A review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Personnel Psychology, 41(1), 63~10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88.tb00632]
  • Boshier R(1971). Motivational orientations of adult education participants, A factor analytic exploration of Houle's typology. Adult Education Quarterly, 21(2), 3~26. [https://doi.org/10.1177/074171367102100201]
  • Broad ML(1997). Transfer concepts and research overview. In M. L. Broad(Ed.).Transferring learning to the workplace(pp. 1-18). Alexandria, VA,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 [https://doi.org/10.1002/ace.20040]
  • Burns R(2020). The adult learner at work: The challenges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new millennium. Routledge. [https://doi.org/10.4324/9781003134213]
  • DeSimone Rand Harris D(1998). Human Resource Development(2nd ed.). San Diego, CA, Harcourt College Publishers.
  • Foxon M(1997). The influence of motivation to transfer, action planning, and manager support on the transfer process.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10(2), 42~63. [https://doi.org/10.1111/j.1937-8327.1997.tb00048]
  • Goldstein IL and Rouiller JZ(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ansfer climate and positive transfer of train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4(4), 377~390. [https://doi.org/10.1002/hrdq.3920040408]
  • Ham HJ and Choi WS(2015). The effect of informal learning mehod upon transfer of learn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y capital. HRD research, 17(4), 105~132. [https://doi.org/10.1080/158037042000225245]
  • Hegarty N(2011). Adult learners as graduate students: Underlying motivation in completing graduate programs. The Journal of Continuing Higher Education, 59(3), 146~151. [https://doi.org/10.1080/07377363.2011.614883]
  • Holton EF and Baldwin TT(2003). Making transfer happen, An action perspective onlearning transfer system. In E. F. Ⅲ. Holton & T.T. Baldwin(eds.), Improving Learning Transfer in Organizations. San Francisco, Jossey-Bass, 8. [https://doi.org/10.1016/j.edurev.2012.05.007]
  • Holton EF(1996). The flowed four-level evaluation model.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7(1), 5~21. [https://doi.org/10.1016/j.jbusres.2022.113458]
  • Holton EF, Bates RA, Ruona WE and Leimbach, M.(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neralized learning transfer climate questionnaire, Final report. Proceedings of the 1998 Academ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nual Meeting, Chicago, IL. [https://doi.org/10.1002/1532-1096(200024)]
  • Hyun YS(2021).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transfer of adult learners in lifelong education-focused on confidence in educational contents, expectations of contributing to the community, and support from those around them. lifelong Education Research, 27(1), 97~128. [https://doi.org/10.52758/kjle.2021.27.1.97]
  • Hyun YS(2021). The Factors influencing Adult Learner’s Learning Transfer in lifelong Education- Focused on confidence on educational contents, expectancy of contributing on a local society. [https://doi.org/10.14400/JDC.2018.16.12.109]
  • Hyun YS(2022). Variable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Lifelong Education Data. The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28(4), 97~136. [https://doi.org/10.13106/jafeb.2020.vol7.no10.909]
  • Keum HJ and Jeong JS(2007). Clarific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Metacognition, Academic Achievement, Transfer climate, and Near and Far transfer of Learning in Corporate Education Program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23(3), 1~30. https://doi.org/G704-000394.2007.23.3.002
  • Kim EI(2021).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of adult learners in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Mediating effect on creativity. Study on learner-centered subject education, 21(9), 149~167. [https://doi.org/10.5762/KAIS.2022.23.10.284]
  • Kim HK, Yoon HJ and Jin SH(2019).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n adult learner-friendly liberal arts curriculum. Liberal Arts Education Research, 13(3), 147~177. [https://doi.org/10.3390/cancers15061642]
  • Kim HK, Yoon HJ, Jin SH(2019). A Study on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dult Learner-Friendly Liberal Arts Curriculum, Liberal Education Research 13(3), Korean Society for Liberal Education, 147~177. [https://doi.org/10.14400/JDC.2021.19.5.163]
  • Kim IS and Yang JH(2021). Analysis of adult learners'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ion and educational needs: Focusing on 3 districts in A city. Lifelong Learning Society, 17(3), 179~212. [https://doi.org/10.26857/JLLS.2022.2.18.1.36]
  • Kim JH(2005). Structural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Learning Commitment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Participants.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37(4), 275~301. https://doi.org/G704-000511.2005.23.3.014
  • Kim JG, Ahn DH and Park YM(2014). According to the Creative Economy of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Training and Matastasis in Educational Training to the Duty Functioning of Police Officers. Korea Local & Municipal Police Academic Association, 7(4), 34~60.
  • Kim JH(2003). Validity of a training model in Korean corporation.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3.307]
  • Kim JH, Kim EB and Lee YS(2020). A Research on Mediated Moderation Effects of Performance-Outcome Expectation on the Relationships among Training Characteristics, Motivation to Transfer, and Learning Transfer in a Korean Conglomerate, KJHRDQ, 22(4), 102~123. [https://doi.org/10.14400/JDC.2021.19.6.039]
  • Kim SM(2019). A Study on the Types of Adult Learners in Lifelong Education. Korean Community Welfare Studies, 68, 43~69. [https://doi.org/10.15300/jcw.2019.68.1.43]
  • Kim SY and Yoo TY(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self-assessment and continuous learning activities: the mediating effect of goal orient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ior support. Journal of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Industry and Organization, 23(1), 131~154. [https://doi.org/10.5392/JKCA.2019.19.05.316]
  • Kim SM and Cha MS(2016). The effects of Authentic Leadership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ffective Comitment of Member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 & Training Transfer. Korean Association of Industrial Economics, 29(1), 347~382. [https://doi.org/10.15207/JKCS.2019.10.9.283]
  • Kirkpatrick DL(1994). Evaluating training programs, The four levels. San Francisco, Berrett-Koehler Publishers. [https://doi.org/10.1177/152342230629300]
  • Kwak SE(2013). Adult learners in a lifelong learning society and the challenges of higher education reform. Lifelong Learning Society, 9(3), 1~26. [https://doi.org/10.4324/9780203389812]
  • Lee JE and Park AR(2012). A review of transfer measurement in the training studies in Korea during 1996-2011. KSLP, 14(1), 177~203. https://doi.org/G704-002126.2012.14.1.007
  • Lee SH.(2015).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members'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learning transfer climate. Lifelong Education Leadership Study, 2, 7~30. [https://doi.org/10.5762/KAIS.2016.17.2.579]
  • Merriam, SB and Leahy, B(2005). Learning transfer, A review of the research in adult education and training. PAACE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14, 1~24. [https://doi.org/10.1177/014920630935288]
  • Neves, C and Henriques, S(2020). Exploring the impacts of distance higher education on adult learners' lives and reclaiming lifelong learning as a human development process. Open Praxis, 12(4), 439~456. https://search.informit.org/doi/10.3316 [https://doi.org/10.5944/openpraxis.12.4.1084]
  • Noe, RA(1986). Trainees' attributes and attitudes, Neglected influences on training effectiveness.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4), 736~749. [https://doi.org/10.5465/amr.1986.4283922]
  • Oliver, RL(1980).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7(4), 460~469. [https://doi.org/10.1177/0022243780017004]
  • Park MS(2021). The effect of lifelong educators' facilitation competency on adult learners' learning presence,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12(4), 823~837. [https://doi.org/10.22143/HSS21.12.4.59]
  • Reiss S(2012).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Teaching of psychology, 39(2), 152~156. [https://doi.org/10.1177/0098628312437704]
  • Richey RC(1992). Designing instruction for the adult learner. London, UK, Kogan Page 12~38.
  • Ryan RM and Deci EL(2000).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1), 54~67. [https://doi.org/10.1006/ceps.1999.1020]
  • Shim SY, Kim JH and Kim HJ(2020).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learning immersion measurement tools for adult learners who conduct non-face-to-face remote classe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11(5), 1203~1216. [https://doi.org/10.1016/j.nedt.2022.105363]
  • Shin EK and Hyun YS(2021). Research Trends of the Influencing Variable on learning Transfer, Centered on the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from 1996 to 2020. KJHRDQ, 23(3), 51~98. [https://doi.org/10.14400/JDPM.2014.12.1.539]
  • Shin EK(2014). Analyses about Trends of Measurement and Reliability Generalization of Tools for Learning Transfer, Centered on articles published on Korean Journals Between 1996-2013. KJHRDQ, 16(4), 51~86. [https://doi.org/10.18211/kjhrdq.2014.16.4.003]
  • So SS, Park JW and Suh YS(2019). A study on the effect of work-learning interac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transfer. Journal of Global Business Administration, 16(5), 99~116. [https://doi.org/10.5093/jwop2019a4]
  • Sogunro OA(2015). Motivating factors for adult learners in higher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er Education, 4(1), 22~37.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36862]
  • Yang JY(2011). The Impac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n Bsank Service Education and Training Transfer.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https://doi.org/10.13106/jafeb.2020.vol7.no11.499]
  • Yeon JH(2020). A case study on the flexibilization of the academic system of participating universities in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support project of universities: Focusing on the differences in interests among participating entities.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IJACE), 23(3), 1~27. [https://doi.org/10.22955/ace.11.4.200811.99]
  • Yoon JR, Kang SB and Kim HC(2002).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Training Participants on their Training.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33, 3~44. [https://doi.org/10.7236/JIIBC.2020.20.2.215]
  • Yoon KW, Kim MS and Kim JS(2022). The Construction and Internal Validation of Lifelong Education ISD Model.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JCCT), 8(3), 213~219. [https://doi.org/10.17703/JCCT.2019.5.4.105]

<Table 1>

Papers published by publication year

Division Before 2000 2000-2010 2010-2020 After 2020 Total
N of Papers 9 14 23 28 74
Percentage(%) 12.16% 18.92% 31.08% 37.84% 100
note 23(31.08%) 51(68.92%)

<Table 2>

Distribution by study method

Research method Before 2000 2000-2010 2010-2020 After 2020 Sum
Quantitative research 9 12 16 23 60(81.08%)
Qualitative research 0 2 6 4 12(16.22%)
Mixed study 0 0 1 1 2(2.70%)
Sum 9 12 23 28 74(100%)

<Table 3>

Distribution by research subject

Target Before 2000 2000-2010 2010-2020 After 2020 Total
Policy design and legal reform 1 4 4 0 9(12.16%)
Improving the rationality of business support and operation 2 3 5 1 11(14.86%)
Reflecting learner needs 3 4 11 17 35(47.30%)
Establishment of support system 3 3 3 10 19(25.68%)
Sum 9 14 23 28 74(100%)

<Table 4>

Structuralization of activating learning transfer factors

Categorization  Variables Sub-factors
Personal Factors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Motivation, Participation Motivation, Achievement Motivation
Transfer Motivation
Self-efficacy Self-efficacy, Learning self-efficacy, Occupational self-efficacy, Creative self-efficacy, E-learning Self Efficacy, Transfer self-efficacy
Ability Learning ability, Meta-cognition, Transfer ability
Expectation Expectation, Learning expectation, Achievement expectation, Transfer expectation
Attitude Education Attitude, Learner Preparation
Immersion Job immersion, Learning immersion
Control Location Control Location, Internal control
Career planning
Self-regulated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Positive psychology resources
Personal Characteristics
Curriculum Factors Lecturer/Trainer Lecturer, Lecturer ability, Lecturer/Professor Characteristics
Administrator Administrator role, Coaching support, Cognitive role of tutor
Education Contents Education Contents, quality level of education contents, Usefulness of Education Contents, Task correlation of Education Contents
Transfer Organization Education Method, Education design, Transfer design, Aim purpose
Education Environment Education Environment, Educational facilities, Environment and facilities, Contents utilizing environment, Situation, Technical support, Learning presence, User convenience
Learning Satisfaction
Informal learning
Situational Factors Superior/Peer support Superior/Peer support, Superior/Peer transfer support, support of members, team support,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support
Organizational Compensation
Transfer planning
Possibility of change Possibility of change, Openness of Constitutional changes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 climate
Group environment Environment of formation, Transitional environment
Leaning group Leaning group, Leaning group formation factors, Leaning group activities
Leadership Owner leadership, Transactional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Coaching leadership
Group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