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학생의 온라인 학습 만족도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중국 유학생을 중심으로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and analyzed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various dimensions such as education platform, studying environment, the guidance of instructors, and learners. As a result, 51.32% responded ‘mostly satisfied’, with 24.15% as ‘relatively satisfied’, 18.49% as ‘moderate’, 3.4% as ‘relatively unsatisfied’, and 2.64% as ‘very unsatisfied’. The average value of satisfaction was 4.18. The average value of willingness to continue online education after the end of COVID-19 was 3.77, with 7.92% responded ‘strongly disagree’, 8.30% for ‘mildly disagree’, 23.40’% for mostly agree’, 20.00% for ‘relatively agree’, and 40.38% for ‘strongly agree’. In conclusion, international students are basically satisfied with the online education, but there are rooms for improvement in quality of online education. Also, the compounded education of online and offline needs to be further studied.
Keywords: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E-learning, Mixed teaching, Promotion stategyⅠ. 서 론
1. 연구 배경
NAVER 웹사이트에서 집계한 데이터에 따르면, 한국에서의 COVID-19로 인한 누적 확진자 수는 2022년 4월 9일 기준 15,169,189명이며, 특히 3월 16일 하루에만 새로운 확진자가 620,000명이 추가되었다([Fig.]). 한국 교육부도 COVID-19에 따른 유연한 수업 지침을 개정하였으며, 대부분의 한국 대학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의 혼합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에 다니는 중국 유학생들의 온라인 학습 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온라인 학습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 COVID-19 종식 이후 혼합형 교육의 질을 초안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한다.
2. 연구 목적 및 의의
이론적 관점에서 볼 때, 유학생의 온라인 학습 만족도에 대한 조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혼합 교육 개발에 참고 자료를 제공할 뿐 아니라 온라인 커리큘럼 지원 구축에 기초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학습 만족도는 교사가 학생의 학습 요구를 이해하고 온라인 수업의 교육 방법을 개선하며 온라인 학습 효과를 향상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온라인 학습 만족도 조사에 대한 학자들의 관심은 더욱 커지고 있다(Runqing, 2022; Xu-hua et al., 2022; Junyan et al., 2022; Rui and Weiqun, 2021; Xiaoyu, 2021). 그러나 유학생의 온라인 학습 만족도 조사는 상대적으로 적으며, 국가별로 나누어 연구하는 것은 더욱 그 예를 찾아보기 힘들다(Shujing et al, 2021; Han, 2021). 또한, 지금까지 대부분 정성적 연구를 주로 진행하였으며, 정량적 연구 논문은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수의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측면에서 다양한 주제로 설문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해 봄으로써 연구적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실질적 의의에서는, 한국 대학에 다니는 중국 유학생들의 온라인 학습 만족도 조사는 어느 정도 교수의 수업 품질과 효과에 대한 도움이 될 수 있다(Rongbin, 2020; Juntao, 2017). 또한, 한국 대학들이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을 혼합하는 방식을 탐색할 수 있는 연구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혼합형 교육의 교육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Dongbing and Kuo, 2022; Minjiao, 2021; Weijuan, 2021.; Xiuge, 2021).
3. 이론적 기반
미국 심리학자 Maslow(1943)는 욕구단계설 이론을 제시하였으며, 이 이론은 행동 과학 중 하나의 대표적 이론이다. 욕구단계설 이론은 사람이 가지는 욕구에 따라, 최하위 수준인 생리적 욕구(Physiological needs), 안전의 욕구(Safety needs), 애정 및 소속 욕구(Love and belonging), 존경 욕구(Love and belonging), 그리고 최고 수준인 자아실현 욕구(Self-actualization)의 다섯 가지 단계로 구분된다.
그는 다섯 가지 수준의 욕구는 각각 그 이전 단계의 욕구가 충족되어야 다음 단계로의 욕구를 느끼게 되며, 따라서 자아실현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 이전 단계의 모든 욕구가 충족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중국 유학생은 온라인 학습 시에도 각자의 수준에 따라 만족도 판단 기준이 달라지며, 자아실현에 대한 필요성도 다르게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중국 유학생이 온라인 학습 시에 원활한 네트워크 환경 (Lijian, 2003), 교사의 관심 (Meichen, 2014), 한국에서의 소속감 (Lili and Yang, 2021), 학습 만족도 (Junyan et al., 2021; Kailun et al., 2021) 등을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스스로의 학습 욕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울 것이다.
4. 관련 개념 정의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 유학생의 온라인 학습 만족도 문제를 연구하고자 하므로 본 연구와 관련된 ‘온라인 학습 만족도’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였다. 온라인 학습은 인터넷을 이용한 학습을 말하며, 전통적인 수업과 비교하여 가장 큰 특징은 온라인 소프트웨어를 통해 학생과 교수자의 비대면 수업을 실현하는 것으로, 이러한 온라인 학습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깨고 더 큰 학습 선택성을 제공한다. 학습 만족도란 학생이 교수자의 교육 환경,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육 효과 등 교수자의 교육과 교습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요약하면, 온라인 학습 만족도는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교육의 질에 대한 만족이라고 할 수 있다.
Ⅱ. 연구 방법
1. 설문지 설계
본 설문지의 첫 번째 부분은 조사 대상자의 기본 정보로 성별, 학력, 한국 체류 기간, 한국어 학습시간, 한국어 수준, 온라인 학습 사이트, 온라인 학습 플랫폼을 질의하였다. 설문지의 두 번째 부분에서는 국내 유학생의 온라인 학습 만족도를 학습 플랫폼, 학습 환경, 교수자, 학습자의 차원 등으로 나누어 질의하였다. 설문지의 두 번째 부분은 리커트 5등급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그중 5등급은 매우 만족, 4등급은 만족, 3등급은 보통, 2등급은 불만족, 1등급은 매우 불만족으로 설정하였다. 설문지 3부는 COVID-19 기간 동안 온라인 학습의 시간 배치, 온라인 학습 방식, 온라인 학습의 효과, COVID-19 이후에도 온라인 학습을 계속 선택할 것인지 여부, 온라인 학습의 좋은 점과 나쁜 점 등 전반적인 온라인 학습의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학습 플랫폼, 학습 환경, 교수자, 학습자 차원에서 조사 및 연구를 수행하며, 설계는 Han(2021)의 윈난성 태국 유학생 온라인 학습 만족도 조사 및 분석을 수정·보완하여 작성하였다.
또한 설문지는 설계 과정에서 Shenggen et al.(2020)의 전염병 기간 대학생의 온라인 학습 만족도 혼합 연구-학생 참여 이론 시각 및 Liancai et al.(2020)의 대학생의 온라인 학습 만족도 및 영향 요인 및 향상 전략 연구 설계 설문지의 일부를 참조하였다.
2. 조사대상
본 논문은 한국에서 온라인 학습을 한 경험이 있는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전 조사 기간은 2022년 3월 18일부터 2022년 3월 24일까지 진행하였으며, 본 조사는 2022년 3월 24일부터 2022년 4월 16일까지 진행하였다.
3. 조사방법
문헌검토 방법은 중국 학술정보원 데이터베이스인 CNKI 등에서 관련 문헌 및 자료를 조사하고, COVID-19로 인한 각국 유학생의 온라인 학습 시행 관련 연구를 정리하였다. 또한, 한인 유학생의 온라인 학습 만족도 조사 및 향상 전략 연구의 설문 설계에 관련 참고 자료를 바탕으로 한인 유학생의 온라인 학습 만족도에 관한 추가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 조사방법은 설문지를 통해 한국 유학생의 온라인 학습 만족도를 이해하기 위해 한국에 유학하는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행하였으며, 데이터 수집한 후 SPSS 26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 및 처리하여 온라인 학습 만족도를 높이는 향상 전략을 제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신뢰도 검사 및 기술 분석
이번 조사는 COVID-19로 인해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설문지 스타 사이트를 이용하여 온라인 설문지 링크를 생성하여 유학생, 동료, 지인 등의 도움을 받아 다양한 중국 유학생 커뮤니티에 발송하였으며, 총 265개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233개의 유효한 설문지를 회수하여 예상 수량을 달성하였다.
신뢰도는 본 논문에서 설문지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본 연구의 설문지를 보다 표준화하고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먼저 설계된 설문지에 대한 사전 테스트를 수행하여 총 32개의 표본을 회수했으며 회수된 데이터에 따라 SPSS 26을 사용하여 신뢰도 테스트를 수행하였고, Cronbach's α 계수는 0.938로 본 설문지의 신뢰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신뢰도 분석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유효성은 설문지의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사전 테스트 데이터의 KMO와 Bartlett를 검증한 결과 KMO 값이 0.848로 설문지의 각 변수와 상관관계가 양호함을 나타내며, Bartlett 구형도 유의수준 P값이 0.01 이하로 유의성을 보였다. 결과는 <Table 2>와 같다.
표본의 성별은 남성이 33.21%, 여성이 66.79%로 성별의 편차가 컸다. 학력으로는 7.55%가 어학부 재학생, 57.36%가 학부생, 14.34%가 석사과정, 20.75%가 박사과정으로 학부생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한국 체류 기간은 반년 이하 40.38%, 반년~1년 13.21%, 1~2년 18.49%, 2~3년 10.19%, 3년 이상 15.09%였다. 무성적 한국어 능력이 41.89%, TOPIK(1-2) 18.49%, TOPIK(3-4) 31.32%를 차지했으며, TOPIK(5-6)이 8.30%를 차지하였다.
온라인 학습 장소의 경우 ‘집에서 공부한다.’고 응답한 학생은 45.66%이며, ‘학교(기숙사, 연구실 등)’ 51.32%, ‘PC 방’ 3.02% 등을 차지했다. 온라인 학습 플랫폼은 Zoom 85.66%, 학교 자체 플랫폼(웹사이트, LMS 등) 13.58%, Webex 온라인 학습 플랫폼 등 기타 플랫폼이 0.75%를 차지하였으므로, 본 연구는 Zoom 학습 플랫폼에 대한 국제 학생들의 만족도 연구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다.
2. 국내 유학생의 온라인 학습 만족도 통계 분석
분석결과는 <Table 3>과 같으며, 데이터 관점에서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매우 만족은 51%~55%, 보통 만족은 27%~36%, 불만족은 2%~3%로 나타났다. 특히 소프트웨어 작동, 소프트웨어 기능에서 과제 제출, 그룹 토론, 체크인 등 온라인 플랫폼에서 학습자의 만족도에 개선의 여지가 많다는 것을 나타낸다. 소프트웨어 영상 및 사운드의 비접근성, 소프트웨어의 안정성, 충돌, 비정상적인 기능 등의 문제가 있는지를 조사하여 컴퓨터 기술과 교육을 결합한 안정적인 온라인 학습 플랫폼 구축이 요구된다.
온라인 학습 환경 만족도 조사에서 학습 환경 이하의 일반적인 비율은 거의 40%에 이르렀고, 네트워크 학습 환경 및 학습자의 감정은 모두 학습 환경에서 저평가 요인이 되었다. 교수 만족도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교수자의 지도에 상대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며 기본 만족과 매우 만족의 비율은 82%~91%로, 교수의 상호작용, 교수 내용, 교수 진행 상황, 교수 업무량 등에서 이상적인 상태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만족도 설문 결과에 따르면 학습자의 30%가 온라인 학습 시 5점 척도에서 평균 이하로 평가하여 학습자가 온라인 학습 중에 휴대폰 활용이 서툴러서 이용이 원활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습자의 약 30%가 상호작용 여부, 사소한 일이 많음, 전자교재 등의 5점 척도에서 보통 이하로 평가했다.
차이 분석을 위한 분석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주로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분산법을 채택하여 성별, 학력, 한국 체류기간, 한국어 학습 시간, 한국어 수준, 온라인 학습 주소 등을 분석하였다. 온라인 학습 플랫폼 전반적인 만족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1) 성별에 따른 온라인 학습 만족도 차이 분석
성별에 따른 온라인 학습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적인 표본 t 검정을 채택하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p 값이 모두 0.05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성별은 위의 차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효과도 없었다.
(2) 온라인 학습 플랫폼, 환경, 교사, 교육 배경이 다른 학습자의 차이 분석
서로 다른 교육적 배경은 온라인 학습 플랫폼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온라인 학습 플랫폼의 소프트웨어 기능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p값은 0.05 이하이다. 이는 교육적 배경이 다른 사람들은 과제 제출, 그룹 토론 및 소프트웨어 기능에 대한 요구 사항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과는 <Table 4>와 같으며, 그 외의 온라인 학습 플랫폼 만족도 조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한국어 수준별 온라인 학습 플랫폼, 환경, 교사, 학습자의 차이 분석
한국어 수준의 차이가 온라인 학습 플랫폼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한국어의 온라인 학습 플랫폼, 환경, 교사, 학습자 차이에 대한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플랫폼과 학습자 사이의 일부 지표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소프트웨어 운영 및 사용만족도, 소프트웨어 기능 만족도, 소프트웨어 안정성에 대한 한국어 수준별 p 값은 모두 0.05 미만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한국어 수준이 다른 사람들은 소프트웨어 작동, 소프트웨어 기능(과제 제출, 그룹 토론, 로그인 등), 소프트웨어 안정성(입력 불가, 플래시백 여부, 비정상적인 기능 등)에 대한 요구 사항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조사 결과는 <Table 5>와 같다.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교사와 상호작용을 하는지, 학습자가 다른 사소한 일(가사, 활동, 쇼핑 등)이 많은 경우에도 학습을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조사 결과, 두 지표의 p 값은 0.05 이하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학습자가 교수자와 상호작용하는 데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 사소한 일이 많아지면 한국어 학습에 영향을 미치게 됨을 보여준다. 결과는 <Table 6>과 같다.
교육 배경과 한국어 수준이 다른 것을 제외하면 온라인 학습 플랫폼, 환경, 교사 및 학습자에 대한 p 값은 0.05 이상으로 다른 지표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4) 만족도 상관관계의 통계적 분석
온라인 학습 플랫폼, 학습 환경, 교사 교육, 학습자 및 온라인 학습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각각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한 결과 네 가지 차원이 온라인 학습 만족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7>은 학습 플랫폼과 온라인 학습 만족도의 상관관계 분석도이다. 이는 학습 플랫폼, 학습 환경, 교수자의 교수법, 학습자 모두가 온라인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국내 유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학습 만족도를 조사하여 학습 플랫폼, 학습 환경, 교수자 지도, 학습자 등 여러 차원에서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매우 만족이 51.32%로 나타났으며, 만족 24.15%, 보통 18.49%, 불만족 3.40%, 매우 불만족 2.64%로 평균은 4.18이었다. COVID-19 종식 후 온라인 교육을 계속 받을 의향의 평균값은 3.77이며, 그 중 매우 반대 7.92%, 다소 반대 8.30%, 보통 23.40%, 다소 동의 20.00%, 매우 동의가 40.38%로 나왔다. 요컨대, 외국인 학생들은 기본적으로 온라인 학습에 만족하지만, 온라인 교육의 질에는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많이 있으며 온라인과 오프라인 혼합 교육이 더 탐구되어야 한다.
설문지의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습 플랫폼, 교수자 수준, 학습자 수준의 세 가지 측면에 관한 대응책 연구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학습 플랫폼에 대한 제언
본 설문 결과에 따르면 학교의 온라인 실시간 수업에서 자주 사용되는 학습 플랫폼은 Zoom이 85.66%, 학교 자체 플랫폼(웹사이트, LMS 등)이 13.58%, Webex 온라인 학습 플랫폼 등 기타 플랫폼이 0.75%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학습 플랫폼에 대한 관련 제언은 주로 ZOOM 플랫폼에 대한 것이다.
첫째, 학습 플랫폼 기능을 향상해야 한다. 설문지에서는 소프트웨어 운영 및 사용만족도, 소프트웨어 기능 만족도(과제 제출, 그룹 토론, 로그인 등), 소프트웨어 영상 화면 만족도, 소프트웨어 영상 음향 만족도, 소프트웨어 안정성(비정상적 기능 등)에 대해 불만족한 학생들이 일정 비율 있으므로 이러한 측면에서 기능을 보완해야 한다.
둘째, 메뉴 및 통번역 관련 기능을 향상해야 한다. 유학생들이 본국어가 아닌 다른 언어로 수업을 받을 때 영어나 중국어로 된 메뉴를 제공하고, 또한 자막이나 음성으로 통번역된 내용을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유학생들의 학습 플랫폼 접근성을 높여주어야 한다.
셋째, 학습자를 위한 기술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소프트웨어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여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수강생 진입 불가, 충돌 여부, 기능 이상 등 소프트웨어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는 경우, 예상치 못한 소프트웨어 문제에 대해 학생들이 독립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교수자 수준에 대한 제언
첫째, 교수자 수준에서는 먼저 학생들의 학습 압박을 줄여 주어야 한다. 유학생들은 유학 생활 중 소속감 압박, 학업 압박, 경제적 압박, 정서적 압박, 적응 압박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온라인 수업의 시행으로 인해 외국인 학생들이 교수자의 실재감을 느끼기가 어렵고 소외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에 교수자들은 학생들의 학업 불만을 줄이기 위해 온라인 수업에 대한 감독, 수업 진행률 및 수업의 만족도에 대한 피드백을 꾸준히 수렴하고, 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불편함이 없는지 계속해서 관리해야 한다.
둘째, 다양한 유형의 학습 리소스를 제공해야 한다. 온라인 교육을 보완하기 위해 교사는 PPT 코스웨어, 녹화된 수업, 웹 페이지, 사진 및 기타 다양한 유형의 학습 리소스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학습 의지를 높일 수 있어야 한다.
셋째, 학생들과의 상호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 교육 설계에서 수업 전 아이스 브레이크, 그룹 토론, 게이미피케이션 및 기타 형식과 같이 학생들과의 친밀감 및 신뢰를 높이는 방안을 도입해야 한다.
3. 학습자 수준에 대한 제언
첫째, 학습자는 먼저 자신의 학습 태도를 정비해야 한다. 온라인 학습은 대면 수업의 효과를 내기 어려우므로 비대면 컴퓨터 화면을 마주할 때 학습 태도를 정비하고 학습 목표를 구체화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둘째, 자기 학습의 자기 통제 능력을 향상해야 한다. 온라인 수업은 학습자를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어려우므로 학습자는 학습에 대한 자기 통제 능력을 향상해야 한다. 학습자의 자기 통제 능력이 특히 약한 경우 외부 도움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국의 “토마토 TODO” 앱은 기본 통화 설정을 제외하고 다른 소프트웨어가 지정된 시간 내에 실행할 수 없는 기능을 구현하여 학습자의 학습 자기 제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자신의 학습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온라인 학습 시 학습자는 온라인 학습에 더욱 잘 적응하기 위해 학습 환경의 네트워크 문제, 주변 환경, 교과 분위기, 학급 감정 등 다양한 문제에 대처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국 유학생들의 온라인 교육 만족도에 관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으나, 향후 다양한 국적 유학생들의 학습 만족도 비교 연구 및 제도적 지원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 Dongbing L and Kuo W(2022). Research on the Blended Teaching Quality Evaluation System of Higher Vocational Colleges in 5G Era. China Modern Educational Equipment. (07), 159~161. [https://doi.org/10.13492/j.cnki.cmee.2022.07.038]
- Han T(2021).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of Thai Students at Yunnan Normal University during the Epidemic. Yunnan Normal University. [https://doi.org/10.27459/d.cnki.gynfc.2021.001505]
- Juntao W(2017). Research on the Teaching Quality Evaluation Mechanism of University Teachers Based on Student Satisfaction. The Guide of Science & Education. (15) 43~44. [https://doi.org/10.16400/j.cnki.kjdkx.2017.05.020]
- Junyan Y, Wei W, Li Z and Yingwen Z(2021). Investigation and Research on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of Medical Students and Influencing Factors in Post-epidemic Situation. Heilongjiang Science. (23), 162~164.
- Liancai Z, Ning W and Yatao D(2020). Research on the Influencing Factors and Promotion Strategies of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National Academy of Education Administration. (05), 82~88.
- Lijian S(2003). Monitoring Online - Study in Network Environment.Journal of Southwest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hilosophy and Social Sciences Edition). (01), 50~52.
- Lili S and Yang H(2021). The sense of belonging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China and its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Harbin Medical University. (03) 328~332.
- Maslow A(1943).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50, 370~396. [https://doi.org/10.1037/h0054346]
- Meichen L(2014). The Ethical Thinking of Teacher's Concern for Students. Education Teaching Forum. (31), 189~190.
- Minjiao L(2021). Research on the Strategie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Blended Teaching in Higher Vocational Colleges from the Perspective of Deep Learning. Journal of Shazhou Profess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04) 33-37+42.
- Rongbin T(2020). An Empirical Study on Student Satisfaction with Practical Teaching Quality of Part-time Teachers in Higher Vocational Colleges——Taking 3 Higher Vocational Colleges in Fujian. Neijiang Science and Technology. (10), 93~95.
- Rui H and Weiqun X(2021). Analysis of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and Its Influencing Factors——A Case Study of Nursing Students in a College of Chinese Medicine.Health Vocational Education. (21), 147~150.
- Runqing W(2022). Explore Strategies to Improve College Students’ Online Learning: Based on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During the COVID-19 Epidemic. Review of Higher Education. (01) 76~82.
- Shenggen F, Huang Y, Zhao Q and Shi L.(2020). A Mixed-Method Study on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in COVID-19 Epidemic Period——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 Participation Theory.Journal of the College of Northwest Adult Education. (05), 60~66.
- Shujing H, Zichen D, Youjun Z and Jin W(2021).On the Satisfaction of Online Education in Colleges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Journal of Ningbo Polytechnic. (03), 55~59.
- Xu-hua W, Yingming L and Yanxia W(2022). How to Improve the Online Teaching Effect? Research on Influencing Factors of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Higher Education of Sciences. (01) 95~103.
- Weijuan Z(2021). Research on the Quality Assurance Mechanism of Mixed Teaching Based on MOOC in Higher Vocational Colleges.Hebei Vocational Education. (06), 68~72.
- Xiaoyu C(2021).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Learning Interactive Experience,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and Online Learning Input. The Chinese Journal of ICT in Education. (19), 10~17.
- Xiuge T(2021). Research on teaching quality evaluation system of higher continuing education under blended teaching mode. Computer Era.(12) 87~90. [https://doi.org/10.16644/j.cnki.cn33-1094/tp.2021.12.021]
- Kailun Y, Hongli W, and Mingcheng L(2021). Study on online foreign language learning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Foreign Language World. (05), 2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