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5, No. 5, pp.848-863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3
Received 21 Aug 2023 Revised 15 Sep 2023 Accepted 21 Sep 2023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3.10.35.5.848

ROTC 사관후보생의 셀프리더십과 사회적지지가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김덕기
청주대학교(교수)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Social Support on Self-Regulated Learning in ROTC Cadets
Tuck Key KIM
Cheongju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043-229-7859, lukekim@cju.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OTC cadets' self-leadership, social support, and self-regulated learning.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self-regulated learning was examined, and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social support was analyz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79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ROTC cadets from across the country as a popul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leadership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regulated learning. Secon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Thir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social support was noted. However, the natural reward strategy had no effect on friends support and family support, but showed an effect only on instructors support. Finally, social support showed a mediating effect between self-leadership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reward and self-regulated learning, only instructors support showed a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anded the scope of research by revealing that self-leadership has a direct influence on ROTC cadets' self-regulated learning.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instructors was proved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of military instructors, self-leadership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rough this, the direction of leadership education for ROTC cadets and the plan to improve the learning ability of junior officers were presented.

Keywords:

Self-leadership, Social support, Self-regulated learning, ROTC, Cadets

Ⅰ. 서 론

한국의 ROTC 제도는 미국의 제도를 이식하여 한국군의 방식으로 변용되어 운영되고 있는 제도이다(Yoon, 2012). 1961년 도입된 이래로 현재 109개 대학에서 운영하며 우수한 초급장교 충원과 예비전력 확보에 이바지하고 있다(Kim and Kim, 2022). ROTC 장교는 매년 임관하는 장교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특히 육군 초급장교의 85% 이상을 차지함으로써 육군의 창끝 전투력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Kim, 2022).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ROTC 지원율이 낮아지고 있는 와중에 ROTC 선발 경쟁률은 2014년 6.1대 1에서 2020년 2.3대 1로 절반 이상 하락했으며(Kim and Kim, 2022), 병 의무복무기간의 단축과 병 봉급 200만원 시대가 도래 함에 따라 2023년에는 사실상 미달이 되어 추가모집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Oh, 2023). 이러한 ROTC 지원율의 급속한 하락은 초급장교의 자질저하를 불러일으켜 군의 전투력 저하를 가져올 뿐 아니라 대한민국 안보의 위협요소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았던 ROTC 사관후보생의 셀프리더십, 사회적지지, 자기조절학습의 분석을 통해 ROTC 지원율 하락에 따른 초급장교의 자질 저하를 보완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셀프리더십이란 개인이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고, 인지전략을 사용하여 스스로 긍정적인 영향을 이끌어내어 성과를 미치는 과정을 의미한다(Manz, 1986). 상황이 급변하고 불확실한 전투상황에서 모든 것을 중앙에서 통제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현장 지휘관 및 지휘자는 상급지휘관의 의도 내에서 적시적이며 적절한 판단과 결정을 내리는 능력이 요구된다(Kim, 2018). 또한 초급 간부들이 효율적인 리더십을 함양할 수 있도록 주기적인 리더십 교육이 필요하다(Na, 2017). ROTC 사관후보생의 지원율이 하락하며 우려되는 자질하락을 셀프리더십 함양을 통해 조금이나마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ROTC 사관후보생들의 셀프리더십, 사회적지지 그리고 자기조절학습의 영향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ROTC 사관후보생의 셀프리더십이 사회적지지와 자기조절학습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ROTC 사관후보생의 셀프리더십이 자기조절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 셀프리더십의 개발을 통해 사관후보생의 역량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전투상황과 작전임무에서 개인 스스로의 능력을 이끌어 내어야 하는 사관후보생의 셀프리더십이 사회적지지와 자기조절학습에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는지 규명하여 ROTC 사관후보생의 자질과 역량을 높이고 사관후보생의 리더십교육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셀프리더십

셀프리더십이란 과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동기 및 방향을 개인이 얻어내도록 자기 자신에게 스스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의미한다(Manz and Sims, 1991). 셀프리더십은 자연적 동기를 통해서 과업을 실천하기 위한 행동을 성취한다(Manz, 1986). Kim(2007)은 셀프리더십을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개인이 스스로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통제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Lee(2013)는 개인이 전략적으로 인지와 행동을 발휘하여 추구하는 목표를 성취하도록 하는 능력과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셀프리더십은 행동중심전략, 자연적 보상전략, 건설적 사고전략의 3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Houghton and Neck, 2002). 행동중심전략은 성공적인 결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동기를 유도하는 것을 의미한다(Lee, 2020). 행동중심전략은 자기관찰, 자기목표설정, 자기보상, 자기처벌, 단서관리의 5가지 하위전략이 서로 연동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유도하게 된다(Kazan, 1999). 자연적 보상전략은 과업자체 또는 과업에 대한 동기를 스스로 부여하여 목표과업의 달성을 장려함으로써 개인이 자신에게 자연적(내재적) 보상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Houghton and Neck, 2002). 건설적 사고전략은 습관화된 생각의 기능적인 양식을 만들고 이를 유지하는 것과 관계있다(Neck and Manz, 1992, 1996). 건설적 사고전략이란 자신의 부정적이고 역기능적인 생각이나 가정을 자기 자신과의 대화를 통해 긍정적으로 바꾸면서 생각의 양식을 건설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Hoang, 2020). 건설적 사고전략은 신념과 가정분석, 성공적인 수행 상상하기, 자기대화의 3가지 하위전략이 상호 연동하여 바람직한 생각을 유도한다(Houghton and Neck, 2002).

셀프리더십을 독립변수로 다양한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오고 있다(Kim and Kim, 2014).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셀프리더십은 진로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Lee, 2015). 특히 군사학과 사관후보생의 경우 셀프리더십이 전공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Kim, 2023).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은 사회적지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Hwang and Moon, 2021; Kim, 2019; Kim and Youn, 2016). 또한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은 자기조절학습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Kang, Kim, and Kim, 2019). 그러므로 대학생인 ROTC 사관후보생의 셀프리더십은 사회적지지와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2. 사회적지지

사회적지지란 한 개인이 사회적 관계망(Social Network)을 통해 타인으로부터 지지, 배려, 사랑을 받고 있다고 인지함으로써 사회화 과정에서 상호의사소통과 책임감을 통해 사회적 관계망 내에 일원임을 믿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Cobb, 1976). 사회적지지는 개인이 감정적으로 편안하고,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고, 물질적 지원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자신이 사회적 관계망의 일부로 인식하게 해주는 대인관계의 과정이다(Cohen and Wills, 1985). Jiang(2021)는 사회적지지란 한 개인이 대인관계를 통해 받을 수 있는 물리적, 심리적, 인적자원과 주변의 환경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긍정적인 자원이라고 정의하였다. Lee(2023)는 사회적지지를 한사람의 개인이 사회적 관계망을 통해서 얻게 되는 모든 긍정적 자원을 의미하며, 제공받는 정보와 물질적인 원조 뿐 아니라 인정, 신뢰, 존중, 사랑 등을 포함한다고 정의했다.

사회적지지는 사회적지지 유형과 사회적 지지원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연구되고 있다(Ji, 2018). 사회적지지의 유형에 따른 하위구성요인의 개념은 학자마다 다르지만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평가적지지, 자존감지지, 물질적지지, 관계적지지, 도구적지지 등의 요소 중에서 3~4가지 개념으로 구성하고 있다(Lee, 2023). Cohen과 Hoberman(1983)은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인으로 정서적지지, 자존감지지, 평가적지지, 물질적지지를 구성하였다. Lee(2023)는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평가적지지로 사회적지지의 하위구성요소를 설정하였다.

Hwang and Ju(2011)는 부모, 친구, 교사와 같은 사회적지지의 지지원이 사회적지지 유형보다 더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지지의 연구에서 Ji(2018)는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인을 친구지지, 가족지지, 교수지지로 구성하였고, Jiang(2021)는 친구지지, 교수지지, 부모지지, 학교지지로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인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지지의 지지원을 친구지지, 가족지지와 더불어 ROTC 사관후보생을 직접 훈육하는 학군단 교관지지를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회적기업가의 사회적지지는 셀프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Lee, 2023).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한 연구에서 사회적지지는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쳤다(Choi and Sung, 2012; Lim, Lee and Ryu, 2016). 셀프리더십의 학업성취도, 진로준비행동,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는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Hwang and Moon, 2021; Kim, 2019; Kim and Youn, 2016). 따라서 셀프리더십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가 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3. 자기조절학습

자기조절학습이란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 활동의 주인이 되어 학습의 목표와 동기를 진단하고, 학습에 필요한 물적 · 인적자원을 관리함으로써 학습 전반의 모든 과정에서 의사 결정과 행위의 주체가 되는 학습을 의미한다(Chung, 1999). 자기조절학습능력을 갖춘 학습자는 자신의 강점과 한계를 알기 때문에 학습을 위한 사전준비를 하며,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과업과 연계된 학습전략을 세운다(Zimmerman, 2002). Kim(2012)은 자기조절학습을 학습자가 동기적, 인지적, 행동적 조절과정 등의 학습전략을 사용하는 학습이라고 정의하였다.

자기조절학습은 자기조절과 학습결과물간의 전략적 관계를 인지하고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를 실천하며 상위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 자기지향평가 등을 체계적으로 활용한다(Zimmerman, 1990). Chung(2005)은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하여 자기조절학습의 하위요인을 동기조절, 인지조절, 행동조절로 구성하고 대학생을 위한 자기조절학습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자기조절학습의 동기조절은 스스로 학습의 동기와 흥미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셀프리더십의 자연적 보상전략과 영향관계일 것으로 추측된다. 자기조절학습의 인지조절은 학습내용을 개념화하여 정리하고 학습의 순서를 정하는 면에서 셀프리더십과 관련이 있으며 또한 잘 이해되지는 않는 부분에 대해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는 면에서 사회적지지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기조절학습의 행동조절은 구체적인 학습목표와 공부방법을 설정하고 실천하는 점에서 셀프리더십의 행동중심전략이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OTC 사관후보생들의 셀프리더십과 자기조절학습의 영향관계와 사회적지지원인 친구, 가족, 학군단 교관 집단이 두 변수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ROTC 사관후보생이다. 전국 학군단 설치 대학의 3학년(63기), 4학년(62기) ROTC 사관후보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남 · 여후보생을 모두 포함하였다.

2. 검사도구

가. 셀프리더십

본 연구에서는 ROTC 사관후보생의 셀프리더십 측정을 위해 Houghton과 Neck(2002)이 개발한 RSLQ를 한글로 번안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Sin et al, 2009). 총 35개 측정문항으로 하위구성요인별로 행동중심전략 18문항, 자연적 보상전략 5문항, 건설적 사고전략 12문항을 사용하였다.

나. 사회적지지

본 연구에서는 ROTC 사관후보생의 사회적지지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Park(1985)의 사회적지지 측정도구 문항을 Ji(2018)가 수정한 것을 사관후보생에 맞도록 다시 수정하였다. 총 15개 측정문항으로 하위구성요인별로 친구지지 5문항, 가족지지 5문항, 교관지지 5문항을 사용하였다.

다. 전공만족

본 연구에서는 ROTC 사관후보생의 자기조절학습을 측정하기 위해 Chung(2005)의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Cha(2017)가 사용한 문항 중에 군사학전공 대상에 적합하다고 판단한 30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하위구성요소별로 동기조절 10문항, 인지조절 10문항, 행동조절 10문항을 사용하였다.

3.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본 연구는 사회적지지와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독립변수로 셀프리더십을 선정하고 셀프리더십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사회적지지의 매개역할을 제안하면서 [Fig. 1]과 같이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Fig. 1]

Research Model.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ROTC 사관후보생의 셀프리더십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ROTC 사관후보생의 사회적지지가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ROTC 사관후보생의 셀프리더십이 사회적지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ROTC 사관후보생의 셀프리더십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4. 자료수집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23년 7월 20일에서 8월 3일까지 15일간 전국의 ROTC 사관후보생 79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수집한 797개의 설문지 중에 불성실한 응답의 2부를 제외하고 총 795부를 분석하였다.

5. 자료분석

본 연구는 ROTC 사관후보생의 셀프리더십과 사회적지지를 측정하고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

설문조사 데이터 분석과 변수들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량과 상관계수를 분석하였으며, 셀프리더십, 사회적지지, 자기조절학습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셀프리더십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결과 행동중심전략의 문항 9, 10, 11, 12가 제거 후 신뢰도가 상승하여 삭제하였다. 4개 문항 제거 후에 신뢰도는 Cronbach's α .926을 나타내었다. KMO .918로 매우 좋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자연적 보상전략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860을 나타내었으며, KMO .851로 좋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건설적 사고전략의 문항 9가 제거 후 신뢰가 상승하여 삭제하였다. 문항 제거 후에 신뢰도는 Cronbach's α .915을 나타내었다. KMO .913로 매우 좋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Reliability of scale of variables

사회적지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결과 친구지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939을 나타내었으며 KMO .904로 매우 좋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가족지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949을 나타내었으며 KMO .903로 매우 좋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교관지지의 문항 2가 제거 후 신뢰가 상승하여 삭제하였다. 문항 제거 후에 신뢰도는 Cronbach's α .872를 나타내었다. KMO .796로 적합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자기조절학습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결과 동기조절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887을 나타내었으며 KMO .903로 매우 좋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인지조절의 문항 10이 제거 후 신뢰가 상승하여 삭제하였다. 문항 제거 후에 신뢰도는 Cronbach's α .904를 나타내었다. KMO .929로 매우 좋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행동조절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856을 나타내었으며 KMO .895로 좋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2. 연구변인간의 상관관계 분석

Peason의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셀프리더십, 사회적지지, 자기조절학습의 모든 하위구성요소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상관관계분석결과는 <Table 2>와 같다.

Correlation between research variables

셀프리더십의 하위구성요인 행동중심전략, 자연적 보상전략, 건설적 사고전략과 사회적지지의 하위구성요인 친구지지, 가족지지, 교관지지 그리고 자기조절학습의 하위구성요인인 동기조절, 인지조절, 행동조절의 9개의 모든 연구변인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3. 다중회기 분석

가. 셀프리더십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과 자기조절학습의 영향관계에서 행동중심전략이 동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5.302였으며, 자연적 보상전략이 동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5.811이었고, 건설적 사고전략이 동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7.174로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동기조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Durbin-Watson는 2.124로 적합한 회귀모형으로 판명되었으며 R² 이 .462로 46.2%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Table 3>).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Motivational Regulation

셀프리더십과 자기조절학습의 영향관계에서 행동중심전략이 인지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11.200이었으며, 자연적 보상전략이 인지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3.516이었고, 건설적 사고전략이 인지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6.804로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동기조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Durbin-Watson는 2.504로 적합한 회귀모형으로 판명되었으며 R² 이 .541로 54.1%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Table 4>).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Cognitive Regulation

셀프리더십과 자기조절학습의 영향관계에서 행동중심전략이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10.129이었으며, 자연적 보상전략이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3.392이었고, 건설적 사고전략이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5.624로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동기조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Durbin-Watson는 2.038로 적합한 회귀모형으로 판명되었으며 R² 이 .483로 48.3%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가설1은 셀프리더십의 모든 하위변인들이 자기조절학습의 모든 하위변인에 영향관계를 나타내어 채택되었다(<Table 5>).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Behavioral Regulation

나. 사회적지지가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와 자기조절학습의 영향관계에서 친구지지가 동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7.420 이었으며, 교관지지가 동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7.342로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족지지는 t값이 1.369로 동기조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Durbin-Watson는 1.954로 적합한 회귀모형으로 판명되었으며 R² 이 .300로 30.0%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Table 6>).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Motivational Regulation

사회적지지와 자기조절학습의 영향관계에서 친구지지가 인지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6.490 이었으며, 가족지지가 인지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4.666이었고, 교관지지가 인지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7.603로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Durbin-Watson는 1.993로 적합한 회귀모형으로 판명되었으며 R² 이 .361로 36.1%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Table 7>).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Cognitive Regulation

사회적지지와 자기조절학습의 영향관계에서 친구지지가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4.912 이었으며, 가족지지가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4.194이었고, 교관지지가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8.719로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Durbin-Watson는 1.948로 적합한 회귀모형으로 판명되었으며 R² 이 .329로 32.9%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Table 8>). 따라서 가설2는 사회적지지의 하위변인들 중 가족지지가 자기조절학습의 하위변인 중 동기조절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하위변인들 간의 영향관계가 확인되었으므로 부분채택 되었다.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Behavioral Regulation

다. 셀프리더십이 사회적지지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과 사회적지지의 영향관계에서 행동중심전략이 친구지지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6.394 였으며, 건설적 사고전략이 친구지지에 미치는 영향은 6.220으로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친구지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연적 보상전략은 t값이 1.222로 친구지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Durbin-Watson는 1.980로 적합한 회귀모형으로 판명되었으며 R² 이 .331로 33.1%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Table 9>).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Friends Support

셀프리더십과 사회적지지의 영향관계에서 행동중심전략이 가족지지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7.661이었으며, 건설적 사고전략이 가족지지에 미치는 영향은 3.955로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가족지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연적 보상전략은 t값이 -.189로 가족지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Durbin-Watson는 1.950로 적합한 회귀모형으로 판명되었으며 R² 이 .257로 25.7%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Table 10>).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Family Support

셀프리더십과 사회적지지의 영향관계에서 행동중심전략이 교관지지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4.159이었으며, 자연적 보상전략이 교관지지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2.978이었고, 건설적 사고전략이 교관지지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3.659로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교관지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Durbin-Watson는 2.012로 적합한 회귀모형으로 판명되었으며 R² 이 .228로 22.8%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Table 11>). 가설3은 셀프리더십의 하위변인들 중 자연적 보상전략이 사회적지지의 하위변인 중 친구지지와 가족지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하위변인들 간의 영향관계가 확인되었으므로 부분채택되었다.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Instructors Support

4. 매개효과 분석

가. 친구지지의 매개효과 분석

친구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1단계에서 행동중심전략(β=.285)와 건설적 사고전략(β=.288)은 친구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적 보상전략(β=.057)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므로 제외되었다. 2단계에서 행동중심전략(β=.373)과 건설적 사고전략(β=.289)은 자기조절학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단계에서 매개변수인 친구지지가 자기조절학습에 99%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중심전략과 건설적 사고전략의 표준화된 회귀계수값이 2단계에서 .373 과 .289 로 3단계의 .325 과 .241 보다 크므로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Kim and Kim, 2008). 3단계에서 행동중심전략과 건설적 사고전략은 자기조절학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므로 친구지지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Table 12>).

Analysis Results on the Mediating Effect of Friends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Self-Regulated Learning

나. 가족지지의 매개효과 분석

가족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1단계에서 행동중심전략(β=.360)와 건설적 사고전략(β=.193)은 가족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적 보상전략(β=-.009)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므로 제외되었다.

2단계에서 행동중심전략(β=.373)과 건설적 사고전략(β=.289)은 자기조절학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단계에서 매개변수인 가족지지가 자기조절학습에 99%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중심전략과 건설적 사고전략의 표준화된 회귀계수값이 2단계에서 .373 과 .289 로 3단계의 .317 과 .259 보다 크므로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Kim and Kim, 2008). 3단계에서 행동중심전략과 건설적 사고전략은 자기조절학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므로 가족지지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Table 13>).

Analysis Results on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Self-Regulated Learning

다. 교관지지의 매개효과 분석

교관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1단계에서 행동중심전략(β=.199), 자연적 보상전략(β=.150), 건설적 사고전략(β=.182)은 교관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에서 행동중심전략(β=.373), 자연적 보상전략(β=.192), 건설적 사고전략(β=.289)은 자기조절학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단계에서 매개변수인 교관지지가 자기조절학습에 99%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중심전략, 자연적 보상전략, 건설적 사고전략의 표준화된 회귀계수값이 2단계에서 .373, .192, .289 로 3단계의 .333, .161, .253 보다 크므로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Kim and Kim, 2008). 3단계에서 행동중심전략, 자연적 보상전략, 건설적 사고전략은 자기조절학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므로 교관지지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Table 14>).

Analysis Results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structors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Self-Regulated Learning


Ⅴ. 결 론

본 연구의 목적은 셀프리더십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사회적지지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는 아래와 같다.

첫째, ROTC 사관후보생의 셀프리더십은 자기조절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인 행동중심전략, 자연적 보상전략, 건설적 사고전략 모두 자기주도학습의 하위변인인 동기조절, 인지조절, 행동조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관계임을 밝혀냈다. 따라서 셀프리더십의 개발에 의한 자기조절학습 능력의 증진을 통해 학습성과의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 ROTC 사관후보생의 사회적지지는 자기조절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사회적지지의 하위구성요인과 자기조절학습의 하위변인 거의 모두에서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판별되었다. 단, 가족지지는 동기조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는 못했다. 이는 학습에 대한 동기와 흥미는 교수자 또는 친구들 간의 경쟁을 통해서 부여될 수 있지만 부모나 가족으로부터의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셋째, ROTC 사관후보생의 셀프리더십은 사회적지지와 긍정적인 영향관계이다. 셀프리더십의 행동중심전략과 건설적 사고전략은 사회적지지의 하위변인인 친구지지, 가족지지, 교관지지 모두와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자연적 보상전략은 친구지지 및 가족지지와는 영향이 없었고 교관지지와만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과업에 대한 내재적 동기와 흥미는 교수자의 지도와 훈육을 통해 유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ROTC 사관후보생의 셀프리더십과 자기조절학습 간에 사회적지지가 매개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셀프리더십의 하위구성요소 중 사회적지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던 행동중심전략 및 건설적 사고전략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에서는 사회적지지의 하위변인 친구지지, 가족지지, 교관지지 모두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자연적 보상전략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에서는 교관지지만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요컨대 본 연구결과를 통해 ROTC 사관후보생의 경우 셀프리더십이 자기조절학습과 사회적지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자연적 보상전략은 교관지지와만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사회적지지는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지만, 가족지지는 동기조절에 영향을 나타내지 못했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변수들의 하위구성요소 각각의 영향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변수들 간의 관계를 보다 정밀하게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ROTC 지원율이 감소하는 가운데 군이 우수자원을 획득하고, 초급장교의 셀프리더십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ROTC 사관후보생에 대한 셀프리더십 교육을 통한 셀프리더십 및 자기조절학습능력 함양이다. ROTC 사관후보생에 대해서 현재 체계적인 리더십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자신의 리더십 수준이 높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일수록 셀프리더십 수준이 높은 결과를 나타낸다(Kim, 2007). Oh(2016)는 간호학과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16시간의 리더십교육을 실시한 결과 교육받은 집단이 교육을 받지 않은 집단보다 셀프리더십, 변혁적리더십, 서번트리더십의 모든 영역에서 높은 수준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사관후보생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교육을 진행함으로써 셀프리더십의 함양은 물론 그 영향으로 자기조절학습의 배양도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자율성 지지를 통한 자기조절학습의 함양이다. 학생이 교수자와 부모로부터 학습에서 자율성과 지원을 높게 지각할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몰입은 높은 결과를 나타낸다(Cha, 2017). 따라서 ROTC 사관후보생의 교육과 훈육에 있어서 교수방법 및 동기부여 시 자율성을 보장하는 방법으로 교수설계가 이루어진다면 자기조절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군단 교관 역할의 중요성이다. 셀프리더십의 하위구성요인 중 자연적 보상은 친구지지 및 가족지지와는 영향관계를 나타내지 못했고 오직 교관지지만 영향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는 과업자체의 흥미와 동기를 부여함에 있어 교관의 지지와 공감이 매우 중요함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학군단 교관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과 상담에 대한 기본소양교육이 진행된 후에 교관에 의한 교육 및 솔선수범이 이루어진다면 ROTC 사관후보생들의 셀프리더십 수준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ROTC 사관후보생은 분소대전투기술만 습득하고 대학생활을 영위하다가 부족한 지식과 경험만 가지고 또래의 병사들을 지휘하고 낯선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스스로를 먼저 통제하고 부족한 지식과 경험을 학습을 통해 보완하는 셀프리더십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매우 필수적이다. 또한 ROTC 사관후보생이 교육과 장교복무를 통해 사회에서 요구하는 리더십을 얻을 수 있다면 ROTC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가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ROTC 사관후보생의 능력 향상과 이를 바탕으로 튼튼한 국방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References

  • Cha YM(2017). Structural Relations among Autonomy Support,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as Perceived by Junior College Students.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eimyung University. [https://doi.org/10.51636/JOTD.2018.03.14.1.27]
  • Choi MG and Sung SY(2012). Structur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self-regualtion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11), 357~373.
  • Chung MK(1999). Structural model 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Chung MK(2005).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Test for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 Evaluation, 18(3), 155~181.
  • Cobb S(1976). Social Support as Medi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 Cohen S and Hoberman HM(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 Cohen S and Wills TA(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357.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10]
  • Hoang NP(2020).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Smart Work Environment and Moderating Effect of The Leader-Member Exchange(LMX).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 Houghton, J. D., and Neck, C. P.(2002).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17(80), 672~691. [https://doi.org/10.1108/02683940210450484]
  • Hwang EJ and Moon SJ(2021).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20), 347~357.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20.347]
  • Hwang HS and Ju HJ(2011). The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School Adjustment of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1(4), 525~545. [https://doi.org/10.22251/jicci.2021.21.20.347]
  • Ji YO(2018).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Job-Seeking Stress, Cognitive Flexibility,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s.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Dong-A University. [https://doi.org/10.22251/jlcci.2019.19.22.743]
  • Jiang JY(2021).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University Commit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Beauty Arts. Docto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eokyeong University.
  • Kang YJ, Kim MS and Kim JS(2019).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self-control learning ability of adult college students on satisfaction of school lif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5(3), 171~176. [https://doi.org/10.17703/JCCT.2019.5.3.171]
  • Kazan AL(1999). Exploring the Concept of Self-Leadership: Factors Impacting Self-Leadership of Ohio Americorps Members.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The Ohio State University.
  • Kim DJ(2012). A Study on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 Kim HR and Kim SU(2008).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on the Effects of Developmental Culture Characteristics on Employee Attitudes. Korea Association Business Education, 12, 153~161.
  • Kim HS(2019).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Relationships between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Korea Association Business Education, 34(3), 367~384. [https://doi.org/10.23839/kabe.2019.34.3.367]
  • Kim IS(2018). The Study on the Effects of the mission command on Proactive Behavior & Organizational Commitment.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Hannam University.
  • Kim KH and Kim JH(2014). Self-Leadership in Korea: Review and Theoretical Implication. The Korean Leadership Quarterly, 6(1), 77~98.
  • Kim MJ(2007). An Inquiry into Learner Factors influencing the Self-Leadership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Docto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 Kim ML(2022). A Study on the Acquisition of Primary Grade Officers in the Aspect of Competency-Based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nyang University.
  • Kim ML and Kim CK(2022). A Study on the Improvment Plan of ROK Army’s ROTC System in the Aspect of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Focusing o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peration System-.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22(1), 141~148. [https://doi.org/10.14396/jhrmr.2018.26.1.143]
  • Kim TK(2023).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on Job Choice Motivation and Major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Military.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Education, 35(3), 500~513. [https://doi.org/10.13000/JFMSE.2023.6.35.3.500]
  • Kim YJ and Youn CS(2016). A Study on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Self-leadership upon Job-seeking Str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Leadership, 3(1), 47~72.
  • Lee JC(2013).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up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Employability. Docto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 Lee JH(2023).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Innovation Behavior of Social Entrepreneurs.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 Lee JW(2015).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of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Social Support, Career Motiv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 Lee WK(2020).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Personality Traits on Employee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Midwest University.
  • Lim SA, Lee GS and Ryu LD(2016).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Self-regulated Learning by the Mediation Role of Achievement Emotion: Low- and High-achievement Group Differenc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1), 407~426. [https://doi.org/10.21509/KJYS.2016.01.23.1.407]
  • Manz CC(1986).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3), 585~600. [https://doi.org/10.2307/258312]
  • Manz CC and Sims HP Jr.(1991). Superleadership: beyond the myth of heroic leadership. Organizational Dynamics, 19, 18~35. [https://doi.org/10.1016/0090-2616(91)90051-A]
  • Na YJ(2017). A Study o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and LMX in the Special Forces Uni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Justice.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eoul Venture University.
  • Neck CP and Manz CC(1992). Thought self-leadership: The influence of self-talk and mental imagery on performanc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3; 681~699. [https://doi.org/10.1002/job.4030130705]
  • Neck CP and Manz CC(1996). Thought self-leadership: The impact of mental strategies training on employee cognition, behavior, and affec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7(5), 445~467. [https://doi.org/10.1002/(SICI)1099-1379(199609)17:5<445::AID-JOB770>3.0.CO;2-N]
  • Oh KY(2023). Army ROTC, first additional recruitment in history... Recruitment shortage for junior officers ‘serious’. www.kmib.co.kr, . on July 31, 2023. search. August 31, 2023.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8518498&code=61111911&cp=nv
  • Oh SE(2016).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Leadership Camp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Doctor's thesis, Graduate School of Inha University.
  • Park JW(1985). A Study to Devel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 Sin YK, Kim MS and Han YS(2009).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RSLQ) for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6(3), 313~340. [https://doi.org/10.16983/kjsp.2009.6.3.377]
  • Yoon SW(2012). The Introduction of R.O.T.C in the Army of the Republic of Korea. Quarterly review of Korean history, 86, 325~359.
  • Zimmerman BJ(1990).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al Psycologist, 25(1), 3~17.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501_2]
  • Zimmerman BJ(2002). Becoming a Self-Regulated Learner. Theory into Practice, 41(2), 64~70. [https://doi.org/10.1207/s15430421tip4102_2]

[Fig. 1]

[Fig. 1]
Research Model.

<Table 1>

Reliability of scale of variables

Variable Number of items Cronbach's α KMO Value
Self-Leadership Behavior Focused Strategy 14 .926 .918
Natural Reward Strategy 5 .860 .851
Constructive Thinking Strategy 11 .915 .913
Social Support Friends Support 5 .939 .904
Family Support 5 .949 .903
Instructors Support 4 .872 .796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al Regulation 10 .887 .903
Cognitive Regulation 9 .904 .929
Behavioral Regulation 10 .856 .895

<Table 2>

Correlation between research variables

Division Behavior
Focused
Strategy
Natural
Reward
Strategy
Constructive
Thinking
Strategy
Friends
Support
Family
Support
Instructors
Support
Motivational
Regulation
Cognitive
Regulation
Behavioral
Regulation
** p < .01
Behavior Focused Strategy 1
Natural Reward Strategy .709** 1
Constructive Thinking Strategy .702** .735** 1
Friends Support .528** .471** .531** 1
Family Support .489** .388** .439** .695** 1
Instructors Support .433** .424** .432** .515** .476** 1
Motivational Regulation .594** .613** .626** .495** .405** .452** 1
Cognitive Regulation .693** .621** .652** .531** .497** .485** .756** 1
Behavioral Regulation .657** .589** .610** .484** .461** .491** .669** .795** 1

<Table 3>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Motivational Regulation

Variable B SE β t Adjusted R² pass or not
Note : * p < .05, ** p < .01, *** p < .001
Constant .954 .111 8.555 .462 .460
Behavior Focused .223 .042 .212 5.302*** pass
Natural Reward .223 .038 .244 5.811*** pass
Constructive Thinking .291 .041 .298 7.174*** pass

<Table 4>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Cognitive Regulation

Variable B SE β t Adjusted R² pass or not
Note : * p < .05, ** p < .01, *** p < .001
Constant .614 .108 5.710 .541 .540
Behavior Focused .455 .041 .413 11.200*** pass
Natural Reward .130 .037 .136 3.516*** pass
Constructive Thinking .266 .039 .261 6.804*** pass

<Table 5>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Behavioral Regulation

Variable B SE β t Adjusted R² pass or not
Note : * p < .05, ** p < .01, *** p < .001
Constant .827 .108 7.694 .483 .481
Behavior Focused .411 .041 .397 10.129*** pass
Natural Reward .125 .037 .139 3.392** pass
Constructive Thinking .220 .039 .229 5.624*** pass

<Table 6>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Motivational Regulation

Variable B SE β t Adjusted R² pass or not
Note : * p < .05, ** p < .01, *** p < .001
Constant 1.406 .131 10.774 .300 .297
Friends Support .297 .040 .321 7.420*** pass
Family Support .049 .036 .058 1.369 not
Instructors Support .225 .031 .260 7.342*** pass

<Table 7>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Cognitive Regulation

Variable B SE β t Adjusted R² pass or not
Note : * p < .05, ** p < .01, *** p < .001
Constant 1.136 .130 8.719 .361 .358
Friends Support .260 .040 .268 6.490*** pass
Family Support .168 .036 .188 4.666*** pass
Instructors Support .233 .031 .257 7.603*** pass

<Table 8>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Behavioral Regulation

Variable B SE β t Adjusted R² pass or not
Note : * p < .05, ** p < .01, *** p < .001
Constant 1.285 .126 10.220 .329 .326
Friends Support .190 .039 .208 4.912*** pass
Family Support .146 .035 .173 4.194*** pass
Instructors Support .258 .030 .302 8.719*** pass

<Table 9>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Friends Support

Variable B SE β t Adjusted R² pass or not
Note : * p < .05, ** p < .01, *** p < .001
Constant 1.594 .134 11.869 .331 .328
Behavior Focused .324 .051 .285 6.394*** pass
Natural Reward .056 .046 .057 1.222 not
Constructive Thinking .304 .049 .288 6.220*** pass

<Table 10>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Family Support

Variable B SE β t Adjusted R² pass or not
Note : * p < .05, ** p < .01, *** p < .001
Constant 1.811 .153 11.837 .257 .254
Behavior Focused .442 .058 .360 7.661*** pass
Natural Reward -.010 .053 -.009 -.189 not
Constructive Thinking .220 .056 .193 3.955*** pass

<Table 11>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Instructors Support

Variable B SE β t Adjusted R² pass or not
Note : * p < .05, ** p < .01, *** p < .001
Constant 1.591 .154 10.349 .228 .225
Behavior Focused .241 .058 .199 4.159*** pass
Natural Reward .157 .053 .150 2.978** pass
Constructive Thinking .204 .056 .182 3.659*** pass

<Table 12>

Analysis Results on the Mediating Effect of Friends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ep Independ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 SE β t
Note : * p < .05, ** p < .01, *** p < .001
1 Behavior Focused Friends Support .331 .051 .285 6.394***
Natural Reward .046 .057 1.222
Constructive Thinking .049 .288 6.220***
2 Behavior Focused Self-Regulated Learning .594 .033 .373 10.742***
Natural Reward .031 .192 5.257***
Constructive Thinking .032 .289 8.017***
3 Behavior Focused Self-Regulated Learning .613 .034 .325 9.342***
Natural Reward .030 .182 5.106***
Constructive Thinking .032 .241 6.669***
Friends Support .023 .168 6.221***

<Table 13>

Analysis Results on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ep Independ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 SE β t
Note : * p < .05, ** p < .01, *** p < .001
1 Behavior Focused Family Support .257 .058 .360 7.661***
Natural Reward .053 -.009 -.189
Constructive Thinking .056 .193 3.955***
2 Behavior Focused Self-Regulated Learning .594 .033 .373 10.742***
Natural Reward .031 .192 5.257***
Constructive Thinking .032 .289 8.017***
3 Behavior Focused Self-Regulated Learning .612 .034 .317 9.008***
Natural Reward .030 .193 5.414***
Constructive Thinking .032 .259 7.274***
Family Support .020 .155 6.034***

<Table 14>

Analysis Results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structors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ep Independ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 SE β t
Note : * p < .05, ** p < .01, *** p < .001
1 Behavior Focused Instructors Support .228 .058 .199 4.159***
Natural Reward .053 .150 2.978**
Constructive Thinking .056 .182 3.659***
2 Behavior Focused Self-Regulated Learning .594 .033 .373 10.742***
Natural Reward .031 .192 5.257***
Constructive Thinking .032 .289 8.017***
3 Behavior Focused Self-Regulated Learning .625 .033 .333 9.865***
Natural Reward .029 .161 4.582***
Constructive Thinking .031 .253 7.221***
Instructors Support .020 .202 8.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