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과 유아교육기관 조직창의성의 관계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y in implementing play-based curriculum (CIPBC) and the organizational creativity (OC)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survey of 283 early childhood teachers reveal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IPBC and the OC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Moreover, the results of the stepwised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OC at an individual level and the professional skil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the most critical factors that affect their CIPBC. The outcomes suggest that it is crucial to enhance the professional skills of teachers individually to improve their CIPB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must provide the support necessary for the same purpose.
Keywords:
Early childhood teacher, Competency, Organizational creativity, Play-based curriculumⅠ. 서 론
21세기 들어서면서 글로벌화, 디지털화, 기후 위기, 불평등 심화 등의 사회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교육이 추구해가야 할 방향에 대한 관심 또한 높다.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생애 학습역량이 강조되면서, 획일적 경쟁을 유발하고 기계적 효율성 중심의 교육체제에서 벗어나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개인과 공동체 속에서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역량 중심의 학습체제, 기본학습 역량을 인간의 권리 수준으로 책임지는 교육, 평생학습 기회를 시민권으로 보장하는 교육, 지식 수입에서 지식 창출로의 사회, 삶의 과정에 스며드는 생태계형 교육 시스템, 시민을 교육수요자에서 교육주권자로 세우는 교육(Lee, 2023) 등이 담론화되고 또 구현되고 있다. 학생의 자기 주체성에 기반하는 교육과정의 유연성, 교사와 학생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담아낼 수 있는 방향으로 교육의 지향이 변화함에 따라 유아교육(과정)의 패러다임 또한 변화하고 있다.
유아교육에서도 교사의 사전 계획과 주도적 안내 중심의 전통적 교육(과정) 방식에서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의 가치를 존중하면서 유아와 교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추구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방향 전환은 2019년 7월 고시된 국가 수준의 유아교육과정(이하,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과 그 실행을 통해 본격적으로 모습이 드러나고 있다. 개정 누리과정은 유아가 유능한 놀이 주체자로 일상에서 흥미 있는 경험을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놀이로 표현하고, 놀이를 통해 배우는 존재임을 전제한다. 그리고 유아가 스스로 놀이하며 배울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하는 것, 즉 놀이지원자로서의 유아교사의 역할을 강조한다(Yu and Lee, 2021).
놀이중심 교육과정임을 표방한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교사는 유아와 함께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만들어가는 존재로, 개방적인 태도로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고 유아의 다양한 요구에 적절히 반응하면서 놀이가 배움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Yoo, 2020). 개정 누리과정(Ministry of Education and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9)은 유아교사가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실천해야 하는 것, 놀이 과정에서 배움이 일어나도록 흥미롭고 교육적인 놀이환경을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것, 놀이와 배움을 기록하고 평가하며 유능한 관찰자가 되는 것, 교사와 유아 모두 배우고 성장할 수 있는 공동놀이자가 되는 것으로 그 역할을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핵심적인 직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전문적 역량을 갖추어야 하고 또 갖추도록 노력해야 한다.
역량(competency, competence)은 어떤 일을 실제 해낼 수 있는 힘으로, 유아교사의 역량은 ‘유아교사의 특성, 유아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전문성, 유아교사의 역할, 유아교사로서의 자질 등을 포괄하는 핵심적인 직무 수행 능력’(Sung, Boo, Hand and Lee, 2009)을 말한다. 이러한 정의에 비추어 볼 때, 개정 누리과정에서 추구하는 유아교사의 핵심적인 직무수행 능력은 한마디로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competency in implementing play-based curriculum)’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대해 개념화 및 구인을 위한 연구 노력이 개정 누리과정의 고시 및 시행 전후로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Lee(2019)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개정 누리과정 실천을 위해 교육과정의 권리와 힘에 대해서 그리고 배움∼가르침의 관계에 대해 교사들이 끊임없이 질문하는 것 그리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귀 기울이기와 회절하기를 윤리적 행위로 설명하면서 비판적 사유와 윤리적 실행을 유아교사의 역량으로 풀이한 바 있다. Lim(2020)은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유아교사들이 생각하는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을 위해 필요한 역량의 키워드로 ‘놀이 이해’, ‘지원하는’, ‘관찰력’, ‘환경 조성’ 등을 보고한 바 있으며, Cho(2020)는 문헌 분석 및 교사 면담을 통해 ‘놀이이해’, ‘놀이관찰’, ‘놀이운영’, ‘놀이반응·소통’의 4개 역량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유아교육 전문가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실행을 위한 역량을 제안한 Lee and Kwon(2020)은 ‘놀이 사유하기’, ‘놀이 알아차리기’, ‘유아중심 놀이 실천하기’의 3개 범주를 제시한 바 있다. 유아교사의 자기평가용 도구로서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을 개발한 Yu and Lee(2021)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이해’와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실천’의 2개 영역에 ‘유아 이해’, ‘놀이 이해’, ‘국가 수준 교육과정 이해’, ‘교육적 신념’, ‘환경적 지원’, ‘소통적 지원’, ‘관찰 및 평가’, ‘공동협력’, ‘전문성 함양’의 9개 범주 그리고 39개 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유아교사용 놀이전문성 척도(Play-based professionalism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를 개발한 Lim and Lee(2022)는 유아교사가 유아의 놀이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바탕으로 놀이의 본질이 살아나도록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며, 교사 자신의 놀이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와 함께 놀이를 만들어가는 공동구성자이자 놀이지원자로서의 역할 수행의 전문성을 ’놀이전문성‘이라고 정의하면서, 3개 요인(유아놀이에 대한 이해 역량,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 유아교사의 놀이성)의 11개 하위요인(놀이하는 유아의 이해 등), 53개의 요소(고유성 등) 및 문항(나는 유아가 놀이하는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믿는다 등)으로 구성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이 중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 요인은 유아교사가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재조직하여 유아의 놀이를 지원하는 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기반으로, ‘놀이환경 지원’, ‘상호작용 지원’, ‘놀이 관찰 및 기록’, ‘교육공동체와의 협력’, ‘놀이지원 역량 함양’을 측정 문항으로 제시하였다. 즉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은 놀이환경과 상호작용을지원할 수 있으며, 놀이를 관찰 및 기록할 수 있고 공동체와 협력하면서 스스로 역량 함양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포괄하는 역량이다.
놀이환경을 지원한다는 것은 놀이중심으로 유연하게 일과를 운영할 수 있고, 놀이공간을 유아와 함께 공동으로 구성하고 유연하게 공간을 구성할 수 있는 능력, 다양한 놀잇감을 제공하고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호작용을 지원한다는 것은 유아에게 적극적으로 귀 기울이고, 적절히 질문하거나 제안, 참여하는 것 그리고 정서적으로 지지하면서 다양한 관계를 지원할 수 있는 것을 뜻한다. 또 놀이를 관찰하고 기록하고 평가할 수 있는 것, 그리고 동료교사나 가정 및 지역사회와 협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스스로 교사로서의 전문성과 책무성을 인식하고 성찰해가면서 자신의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 또한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해당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은 어떻게 함양될 수 있을까? 또는 무엇이 교사 역량에 영향을 미칠까? 등의 질문이 뒤따른다.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전·현직 교사 연수나 교육과정 실행 경험 등과 같은 역량 함양의 기본 조건들 외에 주요 영향력을 지닌 변인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변인이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기관 변인에 주목할 수 있겠다. 특히, 조직 차원의 변인과 접목하여,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역량과의 관계나 영향력을 검증하는 작업은 이론적, 실천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즉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의 성격을 지닌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의 성격과 이러한 교육과정 실행의 장이 유아교육기관이라는 점을 상기해 볼 때, 유아교육기관 변인은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과 의미 있는 관계에 있는 변인으로 추정할 수 있다.
놀이중심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은 교사의 창의적 능력을 요구하는 것으로, 개인이 소속된 인적, 물적, 조직풍토와 관련된 다양한 변수와의 역동적인 상호작용 과정에서 구현될 수 있다(Lee and Hwang, 2021), 창조의 단위를 개인의 차원에서 더 나아가 조직 차원에서 창의성을 관리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조직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로 강조되는 것이다. 이 관점에서 주목받고 있는 개념이 바로 조직창의성(organizational creativity)이다. 조직창의성은 조직구성원 개인의 창의성이 집단특성 및 조직특성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통해 새롭고 유용한 조직의 성과를 산출하는 능력(Jang, 2018)을 말한다.
유아교육기관은 구성원 다수가 여성인 비교적 소규모의 조직으로서, 다양하고 복합적인 업무와 공동체 윤리가 중시되는 조직문화적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창의성은 개인이 집단과 조직의 창의성에 영향을 주고받는 과정을 통해 조직의 성과를 산출하게 되는 것으로, 개인수준, 집단수준, 조직수준에서 이루어진다(Lee and Hwang, 2022). 유아교사는 개인적인 지식 및 기술, 동기뿐만 아니라 조직구성원과 상호작용하며 자율적으로 의사를 결정하고, 협력적인 교육공동체를 형성하여 놀이를 지원해야 한다. Lee and Hwang(2022)은 유아교육기관의 조직창의성 척도를 개발하면서 개인수준에서는 ‘전문적 역량’, ‘창의적 인성’, ‘창의적 효능감’을, 집단수준에서는 ‘관리자의 리더십’, ‘자율성’, ‘의사소통’을, 조직수준에서는 ‘조직문화’, ‘창의적 운영제도’를 조직창의성의 구성요인으로 제시하고 타당화 하였다.
유아교육기관의 조직창의성과 교사의 역량의 관계와 관련하여, 개인수준 창의성과 유아교사의 역량 간 관계(Kang, 2018; Kim, 2022; Kwon, 2019; Yim, 2021)나 집단·조직수준 창의성과 유아교사의 역량 간 관계(Ha, 2019; Kim, 2022; Lim, 2019; Yun, 2015)를 분석한 연구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이들 연구에 따르면, 개인·집단·조직수준 창의성은 유아교사의 역량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나아가 유아교사의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유아교육기관 조직문화 형성, 다양한 교육 기회 제공,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팀티칭 프로그램 형성, 사회·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조직창의성과 유아교사의 역량 간 정적 관계가 확인되었으나, 현행 국가 수준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바에 따른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과의 관계나 이에 미치는 조직창의성의 영향력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과 유아교육기관의 조직창의성 간 관계가 어떠한지 그리고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조직창의성의 영향력이 어떠한지 실증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의 관련 변인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역량 함양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과 유아교육기관의 조직창의성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대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창의성의 영향은 어떠한가?
Ⅱ. 연구 방법
1. 조사대상 및 절차
본 연구는 B시 소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누리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유아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임의표집을 통해 연구참여를 의뢰하고 참여에 동의한 28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Naver Form)를 실시하였다.
문항 수의 적절성 및 이해도, 소요 시간 등을 알아보기 위해 임의 선정한 유아교사 6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22.10.7.-10.13)를 실시하여 문항에 대한 이해도 및 응답 시간 등을 확인한 후, 본조사(22.10.14~10.28)를 실시하였다. 응답자 중 일부 문항에 대한 응답이 누락된 자료를 제외하여, 최종적으로는 280명 교사의 응답 자료를 통계분석에 포함하였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조사대상 유아교사들의 평균 연령은 약 32세(SD=4.76세), 평균 경력은 약 6년 1개월(SD=44.06월)이었다.
2. 연구도구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을 측정하기 위해, Lim and Lee(2022)가 개발한 ‘놀이전문성척도(Play-based professionalism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에서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 요인의 20개 문항을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해당 문항은 놀이환경 지원, 상호작용 지원, 놀이관찰 및 기록, 교육공동체와의 협력, 놀이지원 역량 함양을 측정하는 내용으로 진술되어 있으며, 응답은 5점 평정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 측정 문항의 문항내적합치도(Cronbach’s α)는 .87로 산출되어, 비교적 신뢰로운 측정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기관의 조직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Lee(2021)가 개발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창의성 척도(Organizational ceativity scal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OCS-ECEI)’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3개 수준의 8개 요인 즉, 개인수준의 전문적 역량, 창의적 인성, 창의적 효능감 요인, 집단수준의 관리자의 리더십, 자율성, 의사소통 요인 그리고 조직수준의 조직문화, 창의적 운영제도의 총 48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평정형으로 응답하도록 되어 있다. 전체 문항의 문항내적합치도(Cronbach’s α)는 .94로 신뢰도가 높은 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에는 SPSS 27.0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체 문항 및 요인별 문항내적합치도 계수(Cronbach‘s α)를 산출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먼저,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과 유아교육기관의 조직창의성에 대한 인식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고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창의성이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 측정치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조직창의성 전체 측정치와 수준 및 요인별 측정치를 투입변수로 설정하여 단계투입방식으로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회귀모형들의 적합성 확인을 위해 공차, VIF 계수를 산출하여 다중공선성 유무를 확인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과 유아교육기관의 조직창의성의 상관관계
유아교사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과 유아교육기관의 조직창의성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고 유의미성을 검증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전체적으로, 유아교사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과 유아교육기관의 조직창의성 간 상관계수가 r=.77(p<.001)로 산출되면서, 이 둘 간에 정적 유의미한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위변인 간 관계를 살펴보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과 조직창의성의 하위요인들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r=.45~.78, p<.001)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은 교사 개인수준에서 전문적 역량, 창의적 인성, 창의적 효능감이 긍정적일수록, 또 집단수준에서 관리자의 리더십, 자율성, 의사소통이 긍정적일수록, 그리고 조직수준에서 조직문화, 창의적 운영제도가 긍정적일수록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2.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조직창의성의 영향력
조직창의성이 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앞서, 연구자가 설정한 회귀모형의 적합성 확인을 위해 다중공선성(multicolinearity)을 검증하였다. 공선성 검증 결과, 공차(1.00)와 분산팽창계수(VIF)가 1.00(기준 10 이하)로 나타나 설정한 회귀모델에 공선성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먼저, 전체 조직창의성 전체 점수를 투입변수로 하여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모델이 유의미하며(F=394.53, p<.001), 조직창의성이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대해 59%의 설명력(R2)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상당한 영향력을 지닌다고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조직창의성의 수준에 따른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단계적 투입방식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차와 VIF의 기준에 의거하여 공선성에 문제가 없는 2개의 유효한 모형이 도출되었다.
모형 1(F=558.23, p<.001)의 경우에는 개인적 수준의 조직창의성이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역량을 67%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기에 집단수준의 조직창의성이 추가된 모형 2(F=313.23, p<.001)에서는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대한 설명력이 2% 추가되어 총 69%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대해 조직창의성의 수준별로는 집단이나 조직수준보다 개인수준 창의성이 상대적으로 더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대한 조직창의성의 영향력을 8개 요인에 따라 단계투입 방식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차와 VIF가 기준에 충족되어 공선성의 문제가 없는 4개 모형이 도출되었다.
모형 1(F=421.72, p<.001)에서는 개인수준의 전문적 역량 요인이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역량을 60%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기에 조직수준의 의사소통 요인이 추가된 모형 2(F=269.88, p<.001)에서는 6%가 증가하여 66%의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2에 개인수준의 창의적 효능감이 추가된 모형 3(F=213.28, p<.001)은 4% 증가하여 70%의 설명력이, 그리고 마지막으로 개인수준의 창의적 인성 요인이 추가된 모형 4(F=167.37, p<.001)은 1% 증가하여 전체 71%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영향력을 가진 조직창의성 요인은 전문적 역량임을 알 수 있다.
Ⅳ. 결 론
개정 누리과정의 고시 및 시행을 전후로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이 직무 수행의 중요한 요소로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과 유아교육기관의 조직창의성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교육적 함의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 결과와의 비교 논의와 실천적 시사점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과 유아교육기관의 조직창의성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변인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창의성의 전체 측정치와의 관계뿐 아니라 수준별 하위변인들과의 관계에서도 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과 모두 높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즉 교사의 역량이 높을수록 조직창의성이 긍정적인 것으로 그리고 조직창의성이 긍정적일수록 교사의 역량이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Lee, Hong and Hwang(2015)이 개발한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역량 도구와 Yu and Lee(2021)가 개발한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 도구를 사용하여 이들 간에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있음을 보고한 Kim(2022)의 연구 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이 외에도 조직창의성 개인수준의 교수창의성과 놀이지원 역량의 정적 상관관계를 밝힌 연구들(Kim, 2021; Kim, 2022; Yim, 2021)이나 집단수준의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과 유아교사의 역량 간 정적 상관관계를 밝힌 연구(Ha, 2019) 결과를 지지하는 것이라 하겠다.
둘째,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조직창의성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조직창의성 전체 측정치가 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창의성의 수준과 요인별로 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수준별로는 개인수준이 그리고 요인별로는 전문적 역량 요인의 설명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대한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의 설명력을 확인한 Kim(2022)의 연구와 맥을 같이하면서, 개인수준의 창의성이 유아교사의 수업역량(Kang, 2018; Kwon, 2019)이나 개정 누리과정의 실행(Kim, 2021)이나 놀이지원 역량(Yim, 2021)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진다고 보고한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함의를 읽을 수 있다. 먼저,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과 유아교육기관 조직창의성 간 정적 상관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유아교사가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역량, 즉 놀이환경의 지원, 상호작용 지원, 놀이관찰 및 기록, 교육공동체와의 협력, 놀이지원 역량 함양을 위한 노력과 같은 역량을 갖추고 또 증진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육기관의 조직창의성이 뒷받침되어야 할 뿐 아니라, 이러한 교사의 역량이 유아교육기관의 조직창의성을 증진할 수 있다는 두 변인 간의 선순환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조직창의성의 개인수준에 해당하는 전문적 역량이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결과는 교육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해 준다. 놀이중심의 일과 운영, 유연한 일과 운영, 놀이공간의 공동 구성, 유연한 공간 구성, 다양한 놀잇감 제공, 유연한 놀잇감 사용, 적극적 경청, 질문 및 제안, 참여, 정서적 지지, 다양한 관계 지원, 놀이 관찰, 놀이 기록, 놀이 평가, 동료와의 협력, 가정과의 협력, 지역사회와의 협력, 전문성, 책무성, 성찰과 같은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은 교사 개인의 전문적 역량, 즉 조직구성원으로서 유아교육기관과 유아교육 업무의 장에서 갖추어야 할 행동 특성이나 능력의 영향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유아교육기관 조직구성원으로서 유아교육에 관해 전문지식을 갖추고, 유아교육(기관)의 목적과 목표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교육업무를 수행하는 데 몰입하고 흥미와 즐거움, 끈기를 가지며, 근무 기관에 대해 만족하는 것은 결국 학급 단위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을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개정 누리과정이 유아교육기관 단위의 교육과정뿐 아니라 개별 학급 단위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의 다양성을 보다 추구한다는 것을 상기해 볼 때, 집단 및 조직수준보다 교사 개인수준의 전문적 역량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에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난 연구결과는 충분히 이해 가능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유아교육에 대해 전문지식을 갖추고 유아교육의 목적과 목표를 충분히 이해하는 것은 학급 단위의 교육과정을 유아들과 함께 만들고 실행하는 교사에게 매우 중요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육의 전문적 역량 개념을 명확히 하고 현장에 기반하여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전·현직 교사교육의 방향 및 내용을 구상하고 구현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이와 함께, 조직 안에서 유아교사 개인이 충분히 창의적 전문역량을 함양하고 발휘할 수 있도록, 긍정적 분위기 및 조직문화를 형성하는 노력 또한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구성원 간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들 수 있는데, 집단수준의 의사소통 요인이 개인수준의 전문적 역량 요인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대한 영향력이 크게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가 그 근거이다. 즉 유아교육기관 조직구성원들이 다양한 토론에 참여하여 결정할 기회가 있고, 조직 내에서 정보와 지식 교류 등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설적으로 이루어지는 분위기,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고 유대감을 높여 협력하는 조직구성원들의 긍정적인 의사소통(Lee and Hwang, 2022)은 개인의 전문적 역량과 더불어,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는데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끝으로, 교사의 개인 및 소속 기관의 배경을 반영한 세부 분석을 제시하지 않았다는 연구를 한계를 밝히는 한편, 현행 국가 교육과정의 지향 하에서 유아교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나아가 이러한 역량의 주요 환경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창의성 그리고 개인 및 집단수준의 전문적 역량과 구성원 간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요약할 수 있겠다. 또한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과 조직창의성의 관계를 바탕으로, 전·현직 유아교사가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구체화하는 작업을 후속 과제로 제안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제1저자 장다영(2023)의 석사학위 논문을 수정·보완 한 것임.
References
- Cho WJ(2020). Content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ies in supporting play.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15(4), 83~102. [https://doi.org/10.16978/ecec.2020.15.4.004]
- Ha SB(2019). A Study of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e on Relationships between the Creative Capability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Organization and Child Development.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yungsung University.
- Jang H(2018). An Analysis of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of Government R&D Organizations: A Focus 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Doctoral De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Jeonbuk University. [https://doi.org/10.24145/KJPA.56.3.7]
- Kang BM(2018). A study on the teaching competencies and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Kim EA(2021).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er Efficac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 Kim EH(2022).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and Teaching Creativity on Play Support Competenc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ungshin Women’s University.
- Kim HJ(2022). The Effect of Creative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on Teachers' Competence to Implement Play-Centered Curriculum.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Kwon DE(2019). The Mediation Effect of Teaching Efficacy on Pla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ing Competence of ECE Teacher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ungshin Women’s University.
- Lee KH(2019). Early Childhood Teacher Competences towardActualizing the 「2019 Nuri Curriculum」. Journal of Young Children Becoming Curriculum, 9(2), 5~33. [https://doi.org/10.26834/kscice.2019.9.2.5]
- Lee KH(2023).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hat’s Next? : An essay on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Journal of Young Children Becoming Curriculum, 13(2), 19~44. [https://doi.org/10.26834/ksycbc.2023.13.2.19]
- Lee SB and Hwang HS(202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Organizational Creativity Scal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Journal of cognitive Enhancement and Intervention, 13(2), 1~24. [https://doi.org/10.21197/JCEI.13.2.1]
- Lee SB, Hong SH, ans Hwang HS(2015). Influence of the Creativ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elf - efficacy and Teaching Flow on Happines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2(4), 345~367.
- Lee WM and Kwon YH(2020). Exploring the Play-centered Curriculum Action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FGI Analysis.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16(4), 93~110.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4.093]
- Lim JH and Lee KH(2022). Development of play-based professionalism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21(1), 161~184. [https://doi.org/10.30761/ecoece.2022.21.1.161]
- Lim SA(2020). Exploring of the Perception about the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lay-oriented Curriculum.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7(4), 209~226. [https://doi.org/10.24211/tjkte.2020.37.4.209]
- Lim YR(2019). Creativity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enters and Teaching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 Ministry of Education and Ministry of Health & Welfare(2019). Guide for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and Ministry of Health & Welfare.
- Sung BC, Boo JY, Han KI, and Lee KH(2009). Perception of Education Community about Teacher's Competency. Jon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1(1), 78~95.
- Yim JS(2021).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Leadership by Hea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Support Compet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Doctoral De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Anyang University.
- Yoo SY(2020). A Study on the Playing Process and the Teachers’ Practice for Play Support Based on Play-Centered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4(6), 75~100. [https://doi.org/10.32349/ECERR.2020.12.24.6.75]
- Yu SJ and Lee KH(2021). Preliminary Study of Development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 s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Scale.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22), 445~462.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22.445]
- Yun JJ(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ly supported environment. The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24(2), 73~91. [https://doi.org/10.17643/KJCE.2015.24.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