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5, No. 5, pp.891-904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3
Received 04 Sep 2023 Revised 18 Sep 2023 Accepted 28 Sep 2023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3.10.35.5.891

학생 말하기 교육에 K-Star+ 교수법 적용 및 효과성 연구

이소의
경성대학교(교수)
A Study on the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K-Star+ Innovative Teaching Method to Speaking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So-Eui LEE
Kyungsung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051-663-5955, monica2455@ks.ac.kr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by applying the K-Star+ innovative teaching method to university speaking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applied the K-Star+ method to the K University's liberal arts selection course, "Communication and Speaking" in the first semester of 2023, designed and conducted classes suitable for speaking education with a six-week Project Module, and its effectiveness was investigat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rst to fourth grades who took the course. Students' opinions were also investigated through the satisfaction surveys. The results of applying the K-Star+ method to college student speaking education were as follows. First, the method was an effective learning model that could promote a student-centered approach in university speaking education. Second, it was a learning model that promoted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Third, as a team-based teaching method, process-based learning such as collaboration between student facilitators and learners was carried out. Fourth, it was possible to provide timely and constructive feedback on students' speaking skills in online and offline spaces. Fifth, speaking and writing using online content were integrated. In conclusion, the K-Star+ method was estimated to b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hat allows colleg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speaking education by conducting discussions, using online tools, and reflecting student facilitators.

Keywords:

Speaking education, K-Star+ innovative teaching method, Student facilitator, Online and offline integrated education

Ⅰ. 서 론

말로 자신을 잘 표현할 수 있는 대학생은 자신의 생각, 아이디어 및 의견을 다른 사람에게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현재 많은 직장과 학업 환경에서 팀워크와 협업이 강조되고 있어 설득력 있고 자신감 있는 말하기 능력은 현대사회에서 대학생 개인의 성장과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이에 2020년 이후 국내 여러 대학에서는 ‘사고와 표현’, ‘스피치와 토론’, ‘의사소통’, ‘화법’, ‘말하기’, ‘프레젠테이션’, ‘커뮤니케이션’, ‘발표와 토론’, ‘창의적 소통’ 등 의사소통 영역 교과목이 글쓰기와 함께 다양한 명칭으로 필수 또는 선택과목으로 운영되고 있어 사회적 요구에 따른 말하기 교육 필요성을 반영하고 있다(Byoun, 2021; Lee and Lee, 2020). 그러나 말하기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는 다양한 교과목 운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소통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수 방법 연구가 부족하다.

외국 대학의 경우, 말하기 교육 역사가 비교적 긴 미국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말하기와 글쓰기가 통합된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 시스템은 교과목과 관계없이 1학년에서 4학년까지 학부 전체에서 토론과 글쓰기가 함께 이루어진다(Lee and Lee, 2020). 말하기를 위한 실습 교과목으로는 ‘인간 커뮤니케이션’, ‘논증과 토론’, ‘공공 스피치’, ‘비지니스 커뮤니케이션’, ‘설득 커뮤니케이션’ 등이 있다. 이러한 말하기 교육은 교수자의 이론 전달 비중을 줄이고 학습자의 직접적인 표현에 집중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Rhee and Yang, 2004). 또 ‘읽기-말하기-쓰기’가 통합적인 시스템으로 진행되고 있어 학습자들에게 지속적이면서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말하기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Jeon, 2012; Park, 2019).

2010년을 전후하여 국내 대학에서 이루어진 말하기 관련 논의를 살펴보면 큰 범주에서 말하기 평가도구와 평가내용 연구(Lee and Lee, 2015; Lee and Lee, 2019; Min et al., 2014; Park, 2014), 말하기 교과목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와 교수방법 연구(Min and Kim, 2014; Kim, 2012; Ou, 2022; Seo, 2011; Shin, 2013; Song, 2017), 말하기 교육의 현황분석 연구(Baek, 2009; Jeon, 2012; Jeon, 2014; Kim, 2013; Oh, 2009; Ou, 2022; Yang and Lee, 2015)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특히 교수법에 대한 말하기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기존의 대부분 교육이 교수자 중심이므로, 학습자 중심의 체계적인 교수 방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공통적이다. 이런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요즘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교수법으로 말하기 교육에 플립러닝(Song, 2017), PBL (Min and Kim, 2014), 퍼실리테이터(Kim and Hong, 2018; Lee and Lee, 2015; Lee and Song, 2018)를 적용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문제점들을 개선해 보려는 노력이 두드러진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K 대학교 교수학습센터에서 학습자와 교수자가 함께 힘을 모아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을 기반으로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통합적인 학습모형인 ‘K-Star+(경성) 혁신 교수법(이하 K-Star+)’이 개발되었다(KCTL, 2021).

K-Star+는 에듀테크 기반의 학생 중심 수업으로 디자인되었다. K-Star+는 수업 설계 시 4단계 학습 주기에 맞도록 수업 전 · 중 · 후로 나누어 과정 중심의 체계적인 단계별 학습 시스템 모형으로 개발되었다. 여기서 4단계 학습 주기는 1단계 ‘구체적 경험’, 2단계 ‘관찰과 성찰’, 3단계 ‘추상적 개념화’, 4단계 ‘새로운 상황에의 적용’이다(KCTL, 2021). 이러한 학습 과정이 Kolb (1984)의 경험학습 4단계 모형인 구체적 경험→반성적 관찰→추상적 개념화→능동적 실험과 유사한 맥락을 가지고 있어 모형에 대한 이해가 어렵지 않다. Kolb는 개인의 학습 과정을 어떤 상황이나 장소에서도 적용 가능한 학습 과정을 이론적으로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Kolb, 2015). Kolb의 경험 학습이론은 교육학, 철학 등 학습을 바탕으로 하는 여러 학문에서 활발하게 적용된 사례들이 많았다. 말하기와 관련해서는 외국인 학생 대상 한국어교육이나 어학교육에서 활용된 사례가 두드러졌다(Park et al., 201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말하기 교육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교수자 중심 교육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반영하여 학습자 중심교수법으로 개발된 K-Star+의 학습주기 4단계를 대학생 말하기 교육에 맞게 설계하여 적용해 보고, 그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첫째, 말하기 교육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각 상황에 적절한 실습과 피드백이 이루어지기 위해 동료학습을 통한 협력학습을 조직하고, 이를 기반으로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통합적인 학습을 설계한다. 둘째, 학습자가 주체가 될 수 있는 수업 운영을 위해 학생 퍼실리테이터를 활용하여 개별학습자 관리와 지원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한다. 셋째, 반복적 학습 순환과정을 통해 일회적인 말하기 수업이 아니라 지속적인 말하기 학습 경험을 통해 새로운 지식과 경험이 말하기 능력향상으로 이어지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완성해 나가도록 수업을 설계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tar+는 말하기 교육에 적용 가능한가? 가능하다면 효과적인가? 둘째, K-Star+로 설계된 말하기 수업을 경험한 학습자의 의견은 어떠한가?


Ⅱ. 이론적 배경

현재 대학 말하기 교육에 있어 제기된 다양한 문제점 중 교수 방법을 중심으로 논의된 문제점을 세부적으로 요약 정리해 보면 학습자 중심의 실습환경 조성, 과정중심 말하기 교육, 교수자와 학생들의 피드백을 강화하는 교수법, 수강 인원수 제한, 읽기-말하기-글쓰기 연계 교육의 필요성(Byoun, 2021; Kim, 2012; Kim, 2013; Lee and Lee, 2020) 등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PBL, 플립러닝, 퍼실리테이터 등을 적용한 교수 방법들이 활용되어 말하기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다수의 연구가 있다(Choi and Kim, 2019; Lee and Song, 2018). 그러나 PBL, 플립러닝, 퍼실리테이터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적극적인 학습 참여나 동료조직 간 협업의 어려움,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 미약, 학습 시간 부족 등의 문제점이 나타난다. 이에 그동안 대학 말하기 교육 교수법에서 나타났던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학습자들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K-Star+에 주목하였다([Fig. 1] 참조).

[Fig. 1]

Schematic diagram of K-Star+ innovative teaching method (KCTL, 2021).

K 대학교에서 만들어진 수업모델, K-Star+는 실제적인 학습문제를 기존의 교수자 중심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K-Star+는 교수자와 학습자가 끊임없이 상호 소통하면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KCTL, 2021). K-Star+는 [Fig. 1]과 같이 구체적 경험→관찰과 성찰→추상적 개념화→새로운 상황에 적용의 4단계를 순환적 과정을 거치며 학습자는 학습 역량을 향상한다. 이는 Kolb(1984)가 제시한 경험학습 과정과 유사한 맥락을 가지고 있다. Kolb의 경험학습은 학습자가 학습하는 과정을 4단계로 나누어 진행된다. 1단계에서 구체적 경험을 통해 그동안 배웠던 지식으로 새로운 학습을 받아들이며, 2단계는 1단계에서 경험한 것에 대해 생각하고 분석하며, 지식의 습득에 오류는 없는지 등을 고찰한다. 3단계는 추상적 개념화로 관찰을 통해 얻은 통찰과 관련하여 추상적인 개념과 연결 짓고, 이를 통해 새로운 이해와 개념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4단계는 실제로 해결해야 할 문제에 새로운 방법을 적용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Kolb, 1984). 이 이론은 학습자가 해결해야 할 문제에 대해 Kolb의 주기 학습을 순환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학습자는 문제에 대한 경험과 통찰, 개념화, 그리고 실제로 새로운 문제에 적용까지의 과정을 거치면서 학습력을 향상시켜 나가는 것이다(Choi et al., 2022; Jeon, 2013; Park, 2019). 이러한 특징을 가진 Kolb의 경험학습 주기를 접목하여 K-Star+가 개발되었다(KCTL, 2021).

K-Star+의 특징은 첫째, 교수자와 학습자 간 소통을 위해 다양한 에듀테크를 기반으로 학습을 구현한다. 원활한 소통을 위해 온라인 학습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K 대학교 교수학습센터에서 추천하는 온라인 학습 도구의 예로는 미로, 카훗, 페들렛, 멘티미터, 잼보드 등이 있다. 둘째, Project Module을 6주 이상 활용하고 구성과 배치는 적용 교과목에 따라 자유롭게 설계한다. 또 확산적 · 수렴적 사고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설계한다. 셋째, Project Module 운영은 학습자의 참여,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해 동료학습조직을 구성하여 진행한다. 넷째, Project Module은 학습자의 경험학습의 사이클 즉, 구체적 경험→관찰과 성찰→추상적 개념화→새로운 상황에의 적용으로 선순환 과정을 수업 전 · 중 · 후의 단계별로 설계한다. 단계별 학습 예시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KCTL, 2021).

① 수업 전은 프로젝트 수행 이전 사전 온라인 학습으로 진행된다. 이는 학습자의 배경지식을 활성화하는 단계이다. 주로 영상콘텐츠를 제작한 자료나 읽기자료, ppt 자료 등을 제공한다. 내용은 수업 전에 미리 학습내용을 학습자가 흥미롭게 다가갈 수 있도록 질문형식의 문제 제시 등 다양하게 교과목 특성에 맞게 구성할 수 있다. 이 단계는 학습자가 프로젝트 수행단계로 가기 전 사전 온라인 학습을 통해 학습 내용을 요약하여 학습자 간 공유할 수 있고, 질문에 답하기 등으로 사고의 확장을 도울 수 있는 수업 전 학습 단계이다.

② 수업 중에는 학습자의 프로젝트 수행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단계로서, 수업 전 학습 내용을 한 번 떠올리고→프로젝트 활동 방법을 안내하고→팀별 활동을 수행한다. 교수자는 팀활동 진행 상황 확인과 피드백 및 수업 중 학생 퍼실리테이터 활동을 조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팀별 진행 상황을 온라인 학습 도구를 통해 공유하며, 팀별 질의응답, 팀활동 모니터링을 통해 다양한 활동에 대한 피드백 과정을 거치며 학습자는 개선점을 점검하고 재이행할 수 있도록 한다.

③ 수업 후는 활동 성찰 단계로서 팀별 활동 내용을 발표 영상으로 만들거나 활동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한다. 이때 피드백과 함께 교수자 평가와 동료학습자 평가를 병행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경험의 확장이 일어날 수 있도록 더 생각하기 문제, 심화 과제 등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수업 전 · 중 · 후 단계는 경험학습의 4단계 사이클을 교과목 특성에 맞게 설계한다. 다섯째, 학생 퍼실리테이터(S-facilitator)를 활용한다. S-퍼실리테이터는 팀학습을 촉진하는 학습자로서 팀에서 팀원들의 학습상황을 잘 관찰하여 적절하게 도와주는 등 수업의 보조자로서 역할을 한다. S-퍼실리테이터는 학습 주제에 대해 팀원들 간의 의견 차이를 조율하고, 팀원들이 스스로 조직화하여 변화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이다.

이와 같이 K-Star+는 구체적 경험→관찰과 성찰→추상적 개념화→새로운 상황에의 적용으로 선순환하는 사이클을 수업 전 · 중 · 후 단계별로 설계하여 매주 수업을 통해 체화하면서, 온오프라인을 넘나드는 메타시대에 맞는 새로운 교수 학습전략으로 기대된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수업 설계

대학생 말하기 교육에 K-Star+를 적용하여 그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2023년도 1학기 K 대학교 선택 교양 교과목 <소통과 말하기> 강좌를 수강한 1학년~4학년 40명이다. 수업은 주 1회 2시간 동안 이루어진다. K-Star+를 적용한 6주의 Project Module 수업 설계는 <Table 1>과 같다. 수업 첫 주에 K-Star+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질의응답을 통해 이해도를 점검하였다. 팀 구성은 모두 6팀으로 한 팀당 6~7명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팀에 전공, 학년, 성별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조정하였다. 학생 퍼실리테이터에 대한 이해를 위해 역할을 설명하고 매주 주제가 바뀔 때마다 각 팀의 퍼실리테이터 바꾸기를 권장했다. 이는 팀원 모두에게 팀의 리더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①수강생 전체가 역할 분담이 고르게 되고, ②팀원들 간의 불협화음도 최소화할 수 있으며, ③리더로서의 역량도 팀원 모두 함양되기 때문이다. 각 주차는 주제에 맞는 학습 목표와 주요 내용을 토대로 수업 전 · 중 · 후의 단계별로 설계하였으며 주제와 단계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Design of the K-Star+ innovative teaching method project module

Questionnaire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K-Star+ innovative teaching method before and after the class

Questionnaire of satisfaction survey of the K-Star+ innovative teaching method

K-Star+를 적용한 6주 Project Module의 각 주차 수업 주제는, 첫째 주차는 발표 불안증 극복을 주제로 말하기에 대한 학습자 자신의 심리, 태도, 극복 방법을 알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주차는 1분 스피치를 주제로 말하기 기초 훈련을 통해 학습자들은 스피치 영상콘텐츠를 제작하고 동료 피드백, 교수자 피드백을 거쳐 3회 실습을 반복한다. 셋째 주차는 프레젠테이션을 주제로 발표의 원리와 방법을 익혀 이를 효율적으로 계획하고 팀별로 실습하여 동료조직, 교수자 피드백을 통해 보완하고 개선해 나갔다. 넷째 주차는 설득력 있는 의사표현, 다섯째 주차는 올바른 의사소통, 마지막으로 여섯째 주차는 경청을 다루었다. 이와 같은 수업 내용은 수업 전 활용된 설문지의 주관식 문항에 작성된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결과이다.

각 주차의 수업 전 · 중 · 후 단계별 수업 운영 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수업 전에 제공된 학습자료를 살펴보면 1~3 주차에는 교수자가 자체 제작한 온라인 영상 콘텐츠(obs 프로그램 활용, 10분 내외)를 구글클래스룸에 업로드하였다. 4~6 주차에는 주요 학습내용을 ppt로 제작하여 구글클래스룸에 업로드하였다. 공통으로 각 주차에 필요한 자료는 수업 일주일 전에 pdf 파일로 학습자에게 제공하였다. 수업 전 학습자료는 각 주차 학습 내용과 관련하여 문제를 제기하는 형식으로 만들어 학생들의 사고를 확장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또, 모바일을 활용한 오픈채팅방을 통해 실시간 수업내용 업로드 상황과 온라인 학습도구 링크 등을 공지하였다.

학습자들은 시간,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든지 가능한 시간에 접속하여 수업 전에 문제 제기에 대한 해결방안을 미리 생각해보고, 조 편성이 되어 있는 온라인 학습도구(잼보드, 패들렛)에서 학습내용에 대해 의견을 피력하였다. 학습자는 주차에 따라 다양하게 업로드된 학습자료 중 활동지나 퀴즈 같은 경우 답안만 작성하고, 학습내용에 대한 질문도 자유롭게 제시하도록 했다.

수업 전에 학생들이 올려놓은 내용을 바탕으로 교수자는 수업에 들어가기 전 학습자의 학습 정도, 내용 이해 정도, 요구 등을 파악하여 수업 준비에 반영하였다. 수업내용에 따라 S-퍼실리테이터에게 미리 팀별로 문의한 보충 자료 등을 제공하고 수업 중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상호소통하였다.

② 수업 중에는 수업 전에 미리 학습한 내용을 질문하기로 시작하여 수업 전 활동을 점검하고 팀별로 토의·토론한 내용을 활동주제→활동내용→활동 피드백 순서로 정리한다. 수업내용에 따라 팀별 영상을 업로드하거나, 팀원 각자가 표현한 내용을 온라인 학습도구를 통해 공유한다. 주차마다 달라지는 학습 주제에 따라 활동한 내용은 학습자가 온라인 학습창(패들렛, 잼보드, 오픈채팅방, 구글클래스룸)에 실시간 업로드한다. 개별 스피치, 팀별 발표 영상, 팀 토의·토론 활동 정리 보고서 등 업로드된 활동 내용은 동료와 교수자 피드백을 통해 개선점을 반영하여 최종 업로드한다. S-퍼실리테이터는 팀의 학습상황에 대한 업데이트 및 필요에 따라 지침이나 지원을 구하기 위해 교수와 자주 소통하며 소통된 내용을 팀원에게 개진한다. 또한 S-퍼실리테이터는 중립적인 입장에서 팀원들의 협력학습을 촉진하고 팀 구성원의 말하기 및 듣기 기술 향상을 돕는 것을 포함하여 팀 구성원에게 피드백 및 학습을 지원하는 등 팀원의 적극적인 참여를 장려한다.

③ 수업 후는 팀별 토의 내용 정리, 해결안 발표 내용에 대해 교수자 피드백과 동료 피드백을 참고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강한다. 마지막으로 S-퍼실리테이터는 팀별 활동 최종보고서를 작성하여 정해진 시간까지 온라인 학습 창에 공유한다. 최종활동 보고서는 과제점수로서 성적 평가에 반영된다.

2. 자료 분석 방법

말하기 교육에 K-Star+를 적용하여 학습자의 수업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6주 Project Module에서 이루어진 각 주차의 주제에 맞게 발표불안증 극복, 1분 스피치 능력, 프레젠테이션 능력, 의사표현 능력, 의사소통 능력, 경청 능력에 관련된 평가 문항을 수업에서 이루어진 학습 내용을 고려해 각각 3문항씩 만들어 6개 영역 능력에 대한 사전 · 사후 점수 차이를 비교해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검증하기 위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항목의 교육 전ᆞ과 교육 후의 자료를 t 검정(paired t-test)을 통하여 신뢰수준 95%에서 평균 간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설문에 사용된 문제는 말하기 관련 교과목 담당 교수자의 견해와 말하기 교육 평가도구 연구를 참조하여 만들었다(Lee and Lee, 2019). 수업 전에 이루어진 주관식 서술 문항은 ‘① 자신의 의사소통 능력향상을 위해 가장 역점을 두고 노력해야 할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적어보시오 ② 본 수업을 통해 꼭 배워서 익혀두고 싶은 것이 있다면 우선순위에 따라 써 보시오’이다. 수업 전 작성된 주관식 항목의 답변은 Project Module의 각 주차 주제를 최종 확정하는 데 활용되었다. 설문조사 답변은 5점을 만점으로 5단계로 나누고, 매우 우수하다 5점, 우수하다 4점, 보통이다 3점, 미흡하다 2점, 매우 미흡하다 1점의 점수를 부여했다(<Table 2> 참조).

수업 후에는 K-Star+ 적용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K 대학교 교수학습센터에서 제공하는 10가지 문항으로 설문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주관식 문항으로 본 수업에 대해 좋았던 점, 학습방식에 대한 의견, 개선점 등을 위주로 성찰일지를 적도록 하였다(<Table 3> 참조).


Ⅳ. 연구 결과

1. K-Star+ 적용에 따른 수업 효과 분석

2023년 1학기 K 대학교 <소통과 말하기> 수업에 K-Star+의 적용이 대학생 학습자들의 말하기 능력에 미친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수업 전 · 후 설문지를 통해 살펴보았다. <Table 4>는 Project Module 각 차시의 발표불안증 극복, 1분 스피치 능력, 프레젠테이션 능력, 의사표현 능력, 의사소통 능력, 경청 능력의 6개 영역능력에 대한 사전 · 사후 점수의 차이를 t-검정을 통해 95% 신뢰수준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Table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K-Star+ 적용 전과 후를 살펴보면, 발표불안증 극복은 적용 전 2.8이었는데 적용 후에는 4.2로 1.4 향상되었다. 1분 스피치 능력은 적용 전 3.5에서 적용 후 4.3으로 0.8 향상되었고, 프레젠테이션 능력은 적용 전 3.0이었는데 적용 후 3.9로 0.9 향상되었다.

The results of the student’s ability survey before and after the class and effect analysi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K-Star+innovative teaching method(n=40)

의사표현 능력은 적용 전 3.2에서 적용 후 4.3으로 1.1 향상되었으며, 의사소통 능력은 적용 전 3.4에서 적용 후 4.4로 1.0 향상되었고, 경청 능력은 적용 전 3.5에서 적용 후 4.5로 1.0 향상되었다. 이와 같이 대학생 <소통과 말하기> 수업에 K-Star+를 적용했을 때 말하기 교육 6개 영역 모두에서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중에서도 발표불안증 극복이 가장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말하기 불안을 개선했더니 자신감 상승으로 이어져 말하기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Byoun(2021)의 연구처럼 발표나 스피치, 토론의 중요성은 알지만 불안한 심리로 인해 말하기를 시도하기 두려워하는 학습자에게 발표불안증 극복이 우선되어야 이후에 말하기 실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6주 Project Module 학습주제를 구체적 경험-관찰과 성찰-추상적 개념화-새로운 상황에 적용의 선순환적 학습모형인 K-Star+가 전체 수업 운영에 도움이 되어 말하기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로 이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반복적 학습경험이 대학 말하기 교육에 있어 중요성을 강조한 Ahn(2012)의 연구와 맥락을 같이 한다. 이러한 결과는 K-Star+가 대학생 말하기 수업 설계에 가능하며,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향상에도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2. K-Star+ 적용에 따른 학습자 교육 경험

가. 학습자 성찰일지

대학생 말하기 교육에 K-Star+를 적용하여 6주 Project Module로 설계하고 수업 후 설문을 통한 학습자 의견을 성찰일지를 통해 알아보았다. 성찰일지에 나타난 내용은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개진되었다.

* 이론 수업보다 말하기 실습이 많아 좋았다. 말하기에서의 나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 방법을 찾아 실제 말하기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수업이 이루어져 도움이 되었다. 뮤지컬 전공으로서 다른 사람 앞에 설 일이 많은데 스피치와 프리젠테이션 실습에서 배운 발음, 속도, 성량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찾아 실천하고 팀원들의 피드백, 교수님의 피드백을 받고 다시 탑재하는 방법을 통해 습관적인 발성 요인도 고쳤으며, 개인적으로 말하기에 부족했던 부분을 발전할 수 있었던 수업이었다. <학생1>
* 발표 불안증이 있어 대학 생활 3년 내내 발표 수업을 피해 다녔다. 취업 시 면접이나 직장 생활에서 말하기 능력은 꼭 필요한 사항이라 더 이상 미룰 수가 없게 되어 수강하였는데 말하기 능력이 많이 향상되어 만족하는 수업이었다. 발표불안증을 극복하기 위해 그 주차에 자진해서 퍼실리테이터 역할을 하였고 발표불안증의 원인부터 유형별 해결 방법까지 찾아냈던 경험이 재밌었다. 특히 팀원들의 유형을 이해하고 협업하여 유형과 관련된 처방전을 피드백해 주면서 서로를 이해하고 격려해 주는 과정이 감동적이었다. 발표불안증 극복 방법을 활용해서 1분스피치를 할 때 다른 때와는 달리 덜 떨렸으며 앞 차시에 배웠던 것들을 구체적으로 경험하고 또 적용하고를 반복하다 보니 발표할 때 준비도 많이 했지만 자신만만하게 발표하여 교수님 피드백 때 칭찬을 받았다. 후배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수업이다. <학생2>
* 팀원이 7명이고 수업 중에 활동이 많아 수업 시간이 부족하겠다는 걱정이 있었다. 피드백이나 최종보고서 등 수업 중에 다하지 못해 남은 과제들을 위해 다시 모여야 하는데 전공 수업이나 아르바이트 등 시간 조율이 어려웠다. 그런데 교수님께서 매시간 온라인 학습 창을 열어 주셔서 유용했다. 다른 수업과는 다르게 전체 학생들 활동하는 내용들이 실시간 공유되어 뭔가 막막했을 때는 도움도 많이 받고 다른 팀들의 기발한 아이디어나 협업하는 것을 보면서 같이 속도를 맞춰 다소 분량이 많은 활동인데도 최종보고서 제출 날짜까지 전체 팀들이 완료했었다.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같이 활용하니 수업에서 최대 효과가 나온 것 같다. 수업 분위기, 수업 내용, 팀 활동 전부 만족한다. 이번 학기에 이 수업만 기억날 정도로 좋은 수업이었다. <학생3>
* 이 수업은 수업 전에 이론 학습 요점 영상이나 수업자료를 올려줘 다음 차시에 수업할 내용을 예습하고 들어가 생각해 볼 시간이 있어 수업에 더 집중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수업에 오면 수업 전에 올려놓은 학습자료 점검을 간단히 하고 바로 팀 수업으로 들어가 토론이 시작되고 그 주에 퍼실리테이터를 맡은 팀원이 리더가 되어 팀을 이끌었는데 이런 리더 역할을 돌아가면서 할 수 있어서 보고서 쓰는 것도 부담이 없었고, 주제에 따라 순서를 정해놓고 각자 책임을 다하는 모습이 좋았다. 매시간 토론이나 스피치, 프레젠테이션 등 이론과 말하기 실습, 피드백까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6주 동안 알차고 보람된 수업이라 스스로 뿌듯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다른 수업들도 이렇게 수업을 진행한다면 수업에 훨씬 열심히 참여할 것 같다. <학생4>

말하기 교육에 K-Star+를 적용하여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성찰일지에 대한 답변 내용을 정리해 보면 첫째, 말하기 수업에 피드백이 중요하다. 둘째, 말하기 교육에서 발표불안증 극복이 우선되어야 한다. 셋째, 온라인 학습도구를 활용한 말하기 수업은 효과적이다. 넷째, 말하기 수업에 경험학습 사이클 기반의 수업 전 · 중 · 후 단계별 수업 설계가 도움이 된다. 다섯째, S-퍼실리테이터 경험이 소통하는 말하기 교육에 촉매제 역할을 했다 등이다. 본 연구에서 S-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은 팀토론 구성 및 주도, 팀 구성원 특성에 맞는 작업 및 책임 할당, 모든 구성원의 활동 참여 장려, 피드백 및 지원 제공, 교수와의 소통, 수업 후 최종활동보고서 제출까지이다. 이와 비슷한 맥락으로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한 Lee and Lee(2015)의 연구가 있다. 이처럼 퍼실리테이터의 활동은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공동체 전체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문제해결 역량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예시로 제공된 학생 성찰일지 외에 제출된 글을 키워드로 정리하면, 긍정적인 답변으로는 팀 협업 잘됐다, 팀 구성원 격려, 자기주도적인 수업, 열정적인 수업 준비, 집중되는 수업, 자발적 참여, 유쾌한 수업, 흥미로운 활동, 한 번 더 듣고 싶은 수업 등이었다. 부정적인 답변은 시간 부족, 온라인 접속 문제, 퍼실리테이터의 독단적인 선택과 요구, 피드백 부족, 팀원의 짜증과 가식적인 행동, 활동이 많고 힘들었다 등이었다.

나. K-Star+ 적용 학습자 만족도 조사 결과

<Table 3>에서 10가지 문항으로 이루어진 학습자 만족도 조사에 따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설문 문항의 질문내용을 비슷한 키워드들끼리 묶어서 6가지로 살펴보았다. 첫 번째 K-Star+ 적용 말하기 수업에 대한 호기심(문항 7)과 흥미도(문항 8)는 똑같이 4.6으로 수업에 대한 참여도가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프로젝트 수업 활동이 학습에 도움이 되었나’라는 질문(문항 1)에는 4.7의 높은 만족도가 나와 학습자 스스로 6주 Project Module로 설계된 단계별 수업 운영방안이 도움이 되었다는 반응이다. 세 번째 학습자료 제공에 대한 만족도(문항 5)는 4.8, K-Star+ 수업 방법에 대한 만족도(문항 10)는 4.6이 나왔으며, 네 번째 교수자 피드백(문항 6)과 동료 피드백(문항 2) 질문에 대한 만족도는 4.7, 4,8이 나왔다. 이는 Lee and Lee(2019)가 말하기 수업에서 피드백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다섯 번째 온라인 학습도구를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나의 질문(문항 4)에는 4.8이 나왔는데, 성찰일지에서도 가장 많이 언급된 부분으로 온라인 도구 활용에 어려움이 없는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특성이기도 하다. K-Star+의 특징인 온오프라인 연계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온 것을 참고하여 향후 다른 교과목 수업에도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여섯 번째 S-퍼실리테이터가 팀학습을 촉진하는 데 도움되었냐는 질문(문항 3)에는 4.7이 나왔다. 이 부분 역시 성찰일지에서 많이 언급되었는데 본 수업에서는 S-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을 고정하지 않고 모든 학습자가 경험하게 하였기 때문에 역할에 대한 이해와 실천 사항을 체험한 학습자들이라 높은 만족도 결과가 나왔다. Kim and Hong(2018)의 연구에서도 학생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을 한 학생이 영어 말하기 수업에서 자신감, 말하기 능력, 학습 등이 모두 향상되었다는 긍정적인 만족도 결과와 맥락을 같이한다.

Results of satisfaction survey of the K-Star+ Innovative teaching method application(n=40)

10가지 설문지 문항에 대체로 평균이 고르게 나타났으며 전체 평균은 4.7(5점 만점)로 이는 대학생 말하기 교육에 K-Star+ 교수법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가 전체적으로 높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대학 말하기 교육에 K-Star+의 적용 가능성과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제 교양 선택 교과목 <소통과 말하기> 수업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따라 말하기 교육 수업에 적합하게 수업 설계가 가능하였으며, 말하기 교육 6개 영역 모두에서 향상된 결과가 나타나 효과성이 증명되었다. 또한 학습자들의 수업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만족도 조사와 성찰일지를 통해 학습의 주체인 학생들의 긍정적인 의견들과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과정과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말하기 교육에 K-Star+ 적용과 관련하여 본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tar+는 대학생 말하기 교육에 있어 학생 중심 접근 방식을 촉진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모형이다. 학습자가 학습에 대한 주인의식을 갖고, 질문하고, 의견을 표현하고, 토론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 K-Star+ 교수법을 적용하여 진행할수록 S-퍼실리테이터 역할 등 학생들이 편안하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둘째, K-Star+는 학생의 능동적 참여를 촉진하는 학습모형이다. 여기에는 팀 토론, 자신의 말하기 능력에 대한 문제해결 활동 및 1분 스피치, 프레젠테이션이 포함될 수 있다. 학생들이 자신의 이론과 실전을 적극적으로 적용할 기회를 활용하여 말하기 능력을 향상해나갈 수 있는 교수법이다. 셋째, K-Star+는 팀 기반 교수법으로 학생들의 협업과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하였다. 학생들이 함께 작업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전체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 협력적 접근 방식은 동료학습을 촉진하고 학생들이 의사소통 및 의사표현 능력을 개발하도록 돕고 역동적인 교실 환경을 조성한다. 넷째, K-Star+ 적용으로 온오프라인 공간에서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에 대해 시의적절한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었다. 강점과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다루기 위해 개인 및 그룹 피드백을 모두 제공하였다. 다섯째,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말하기와 글쓰기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졌다. K-Star+는 체계적인 학습 단계별 교수법 모형으로, 수업 전에 제공한 온라인 콘텐츠는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인 요즘 학생들에게 유효했다. 스피치와 발표 영상 콘텐츠를 만들어 공유했고 ‘말하기실습→모니터링→피드백’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적인 교수법 모듈이었다. 이와 같이 대학생 말하기 수업에 적용한 K-Star+는 팀별 토론 진행, 온라인 도구 사용, 학생 퍼실리테이터 반영 등을 통해 학생들을 말하기 교육에 능동적으로 참여시키고, 적극적인 학습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교수법이다.

K-Star+ 적용에 대한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교양수업 2시간 안에 수업 전 · 중 · 후 단계별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수업준비도’ 역량에 따라 수업의 완성도가 정해진다. 그러나, 주어진 시간에 준비한 학습활동을 거의 모든 학습자가 따라올 수 있도록 조정하기 위해서는 K-Star+를 축소 또는 선택적 학습, 2주에 걸친 프로젝트 설계 등 적절하게 배분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둘째, 학습자가 핵심 수업내용에 대한 개념 이해와 실천 활동, 학습자 스스로 능력을 인지하고 다음 학습에서 경험을 통해 자기주도적으로 문제해결력을 가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학습 시스템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학기마다 학생들의 특성과 수준을 고려하여 수업설계를 적절히 조정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다 많은 학생 자료와 그룹을 대상으로 한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향후 K-Star+를 적용한 많은 수업 사례가 연구되어 보다 효과적인 말하기 교육 교수법으로 보완 발전되길 기대한다.

References

  • Ahn BS(2012). Repeated Learning Experience centered Teaching-Learning and Learning Community for Speech Education at the University. Studies in linguistics 0(23), 75~98. [https://doi.org/10.17002/sil..23.201204.75]
  • Baek MS(2009). Der status und die richtung des redeunterrichts als ein allgemeinbildungslehrgang -Am beispiel von <speech and debate>. Korean journal of rhetoric 10, 322~348.
  • Byoun SY(2021). Can online public speaking courses reduce speech anxiety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207~231. [https://doi.org/10.24173/jge.2021.01.14.8]
  • Choi SR, Kang SM and Song JH(202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and experiential learning steps of the online co-curricular program learning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s of Kolb learning theor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2(15), 479~494. [https://doi.org/10.22251/jlcci.2022.22.15.479]
  • Choi YJ and Kim DH(2019). Improving KFL speaking skills through classroom debate activities. Korean literature 72(72), 689~711. [https://doi.org/10.23016/kllj.2019.72.72.689]
  • Jeon EJ(2012). The present status and the improvement plan for speaking education of university. Journal of humanities therapy 32, 167~191.
  • Jeon EJ(2014). A suggestion for the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the college as general education. Journal of speech communication 24, 9~39. [https://doi.org/10.18625/jsc.2014..24.9]
  • Jeon MA(2013). A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styl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science and engineeri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38(2), 240~266.
  • Kim HJ(2013).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speaking classes in universitie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7(3), 597~625.
  • Kim JY(2012). Was lehrt man über Rede und wie lehrt man es? -Unter berücksichtigung des lehrplans für redeunterricht der seoul nationl universität. Korean journal of rhetoric 16, 65~96.
  • Kim SY and Hong SH(2018).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facilitation discussion technique for the elementary English speaking class. Primary English education 24(4), 169~189. [https://doi.org/10.25231/pee.2018.24.4.169]
  • Kolb D(1984).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 Kolb D(2015). Experiment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2nd ed.).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 KCTL(2021). TFT result report on development of innovative teaching method model. Kyungsung university.
  • Lee DU and Lee YJ(2020). A study of curriculum development to improve speaking ability in liberal arts education ―A case study of Konkuk university glocal campus. Culture and convergence 42(2), 445~478. [https://doi.org/10.33645/cnc.2020.02.42.2.445]
  • Lee YJ and Lee DU(2019).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evaluation of speech classes in universit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6), 333~352. [https://doi.org/10.22251/jlcci.2019.19.6.333]
  • Lee YJ and Lee HS(2015). A study on the critically reflective facilitator. The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47(4), 73~97. [https://doi.org/10.23840/agehrd.2015.47.4.73]
  • Lee YJ and Song YS(2018). Professors' facilitation competencies and applying method in speaking education at universitie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19), 653~676.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19.653]
  • Min BG, Jung JM and Park JH(2014). Analysis of an assessment of Korean speaking skills for adults. Journal of speech communication 24, 101~136. [https://doi.org/10.18625/jsc.2014..24.10]
  • Min IK and Kim KA(2014). A study on the teaching program of speaking on the practical using of PBL and the strategic text. Ratio et oratio 7(2), 255~282. [https://doi.org/10.19042/kstc.2014.7.2.255]
  • Oh SJ(2009). Critical review and alternative perspective on speech education of university in Korea. Humanities journal 25, 87~114.
  • Ou YR(2022).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 of university speaking education during non-contact era. Korean language & literature 121, 5~29. [https://doi.org/10.21793/koreall.2022.121.5]
  • Park HC(2019). Innovative strategies for high impact teaching and learning of college courses: New design based on review of examples in the United States. Korean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studies 10(1), 37~65. [https://doi.org/10.20512/kjace.2019.10.1.37]
  • Park HR, Nam EY, Jang MS and Lee SJ(2019). Field trip based on the theory of Korean experienced learning in Kolb - for field trip at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in a university.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10(6), 1375~1386. [https://doi.org/10.22143/HSS21.10.6.102]
  • Park JH(2014). Oral communication subject contents for improving college student’s presentation ability.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aching 49, 5~22.
  • Rhee JW and Yang SM(2004). Current status of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at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 current status of speech education at American universities: Implications for speaking education at Korean universities. Journal of speech, media & communication research, 127~165.
  • Seo SA(2011). A study on debate based speaking learning -In a persuasive speaking class for undergrates-. Journal of speech communication 19, 297~323. [https://doi.org/10.18625/jsc.2011..19.297]
  • Shin HS(2013). Education to cultivate female college students’ thinking and expression ability - based on speech education case studies i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he journal of asian women 52(1), 87~132.
  • Song JH(2017). Examination of recognition and effectiveness of university speaking lesson using flipped learning -Focusing on <effective communication and creative speaking> in Hanshin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1(5), 267~288.
  • Yang SJ and Lee SH(2015). An analysis on the educational needs to improve college students’ speech competence : aimed at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s. Journal of search,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26, 115~161.

[Fig. 1]

[Fig. 1]
Schematic diagram of K-Star+ innovative teaching method (KCTL, 2021).

<Table 1>

Design of the K-Star+ innovative teaching method project module

Learning objectives and main contents Application of K-Star+ innovative teaching method
1 Orientation of class operation and evaluation guidance Explanation of K-Star+ innovative teaching method
2 <Overcoming presentation anxiety>
∙ Understanding and resolution of presentation anxiety
∙ Find out my diagnostic index with the presentation anxiety checklist(Diagnose the checklist in advance and prepare a prescription that fits your diagnostic index)
∙ Refer to the 7 basic principles of presentation anxiety management (discussion by group)
∙ S-Facilitator activity
[Before class]
Providing online video content and ppt learning materials in the Google Classroom
[In class]
Perform team activities and facilitator activities (real-time discussion and feedback using online learning tools)
[After class]
Upload instructor and colleague evaluation to online learning tools. Refer to the feedback, organize the presentation anxiety resolution methods for each team, submit the final report
3 <1 min. speech>
∙ Write and upload a 1 min. speech script
∙ After the first 1 min. speech, refer to peer evaluation and feedback and upload the second one to the revised video online learning window (find the improved parts and expla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learning problem)
∙ S-Facilitator activity
[Before class]
Providing online learning materials (video content of the theory of writing 1 min. speech scripts)-Presenting activity papers
[In class]
1 min. speech using online learning tools, pedlets by team
Upload 1st video→colleagues and instructors feedback
→upload 2nd video→colleagues and instructors feedback
[After class]
Upload the final video of 1 min. speech improved with colleague feedback attached improvements
4 <Presentation>
∙ Refer to the understanding (components, preparation steps, etc.) of the presentation
∙ Discussion-Design of discussion by team, table of contents, presentation, survey contents, division of role of data creation, etc
∙ S-Facilitator activity
∙ Submit a presentation summary by team
∙ Upload a presentation by team
[Before class]
Presenting ppts and problems in the Google Classroom
→Presenting learners opinions in online learning tools
[In class]
Performance and facilitation of team activities (real-time discussion and feedback using online learning tools)
[After class]
Upload presentation videos by team
→instructors and colleagues feedback
5 <Convincing expression of opinion>
∙ Refer to 20 guidelines on logical and persuasive expression of opinions(Find a case of expressing opinions according to the situation)
∙ Discussion of the solution by team
→presentation by team
∙ S-Facilitator activity
[Before class]
Providing learning materials and presenting activity papers in the Google Classroom →Presenting learners opinions in online learning tools
[In class]
Performance and facilitation of activities by team (discussion on persuasive ways to express opinions using online learning tools, Jamboard)
[After class]
Group presentation of a solution for organizing discussion contents by team and instructors feedback (submission of the final activity reports by team)
6 <Present correct communication>
∙ Providing problems 1,2,3-problem solving ideas
∙ Discussion by team in the case of my type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f Kiesler style→countermeasures against obstructive factors
∙ Deriving solutions by team→using chat windows
∙ S-Facilitator activity
[Before class]
Providing ppt and pdf learning materials and presenting problems in the Google Classroom-presenting activity sheets→using online learning tools
[In class]
Performance and facilitation of activities by team (online learning tools, Jamboard, real-time discussion and feedback using open chat)
[After class]
Upload the report of the discussion contents of each group and feedback
7 <Importance of listening>
∙ Check the quiz and find a way to solve the problem
∙ Provide examples of factors that hinder listening
∙ Discussion of action plans for listening training by team→presentation by team
∙ S-Facilitator activity
∙ Questionnaire & satisfaction survey
[Before class]
Providing ppt and pdf learning materials and presenting problems in the Google Classroom→using online learning tools
[In class]
Performance and facilitation of activities by team (real-time discussion and feedback using online learning tools)
[After class]
Presentation of the discussion contents by team, and instructors and colleagues feedback →submission of the final reports

<Table 2>

Questionnaire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K-Star+ innovative teaching method before and after the class

Ability Question
Overcoming presentation anxiety 1. I am not nervous when I present in public.
2. I can speak systematically when I present.
3. I don't avoid situations where I have to make a presentation.
1 min. speech 1. I can know and practice pronunciation, speed, and volume in speech situations.
2. I can divide the composition of speech into an introduction, body, and conclusion and connect each part logically.
3. I can properly handle gaze and use gestures in speech situations.
Presentation 1. I can explain exactly in the presentation situation.
2. I can use voice and language properly in presentation situations.
3. I can use visual materials in presentation situations.
Expressing oneself 1. I can explain the factors that hinder smooth expression of opinion.
2. I can explain how to express my opinion effectively.
3. I can practice persuasive expressions of my opinion.
Communication skills 1. I can explain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2. I can explain the factors that hinder proper communication.
3. I can explain why communication should be done properly.
Listening 1. I can explain the factors that hinder proper listening.
2. I can explain how to listen effectively.
3. I can practice the right listening method through listening training.

<Table 3>

Questionnaire of satisfaction survey of the K-Star+ innovative teaching method

1. Project class activities during class were helpful for learning.
2. During class, colleague feedback and cooperative learning were well conducted.
3. Student facilitators have helped facilitate team learning
4. I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lass using online learning tools
  (Mentimeter, Padlet, Jamboard, Kahoot etc.).
5. Learning materials were appropriately provided for learners to use.
6. The instructor's feedback content, timing, and method were appropriate during class.
7. I became more curious than other classes.
8. Overall, the learning process was interesting.
9. Overall, class activities helped me learn.
10. I am satisfied this teaching method with the K-Star+ innovative teaching model.

<Table 4>

The results of the student’s ability survey before and after the class and effect analysi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K-Star+innovative teaching method(n=40)

Ability   Mean S.D. Skewness Kurtosis   D.M* t   P
* D.M.: Difference of mean
Overcoming presentation anxiety Before 2.8 0.8 -0.262 -0.322 1.4 -8.10 0.000
After 4.2 0.7 -0.426 -1.119    
1 min. speech Before 3.5 0.6 -0.395 0.108 0.8 -4.80 0.000
After 4.3 0.7 -1.062 1.693
Presentation Before 3.0 0.9 0.015 -0.279   0.9 -4.94   0.000
After 3.9 0.8 -0.283 -1.077    
Expression Before 3.2 0.7 -0.109 0.269   1.1 -7.09   0.000
After 4.3 0.6 -0.58 -0.62    
Communication skills Before 3.4 0.7 0.279 -0.081   1.0 -7.67   0.000
After 4.4 0.6 -0.844 -0.477
Listening Before 3.5 0.7 -0.201 -0.427   1.0 -6.86   0.000
After 4.5 0.6 -0.627 -0.678    

<Table 5>

Results of satisfaction survey of the K-Star+ Innovative teaching method application(n=40)

Question* Mean S.D.
*referring to <Table 3>
1 4.7 0.5
2 4.8 0.4
3 4.7 0.5
4 4.8 0.4
5 4.8 0.4
6 4.7 0.7
7 4.6 0.7
8 4.6 0.7
9 4.6 0.7
10 4.6 0.7
Total 4.7 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