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5, No. 6, pp.1210-1221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3
Received 30 Oct 2023 Revised 29 Nov 2023 Accepted 04 Dec 2023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3.12.35.6.1210

비수도권대학 학업 우수학생의 학습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A 대학교 중심으로

이지안
동명대학교(초빙교수)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of Learning Competencies of High-Achieving Students in Non-Metropolitan University : Focusing on the A University
Ji-An LEE
Tongmyong University(visiting professor)

Correspondence to: 051-629-0461, jianlee@tu.ac.kr

Abstract

In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the focus is primarily on managing academically low-achieving students to prevent dropouts, with insufficient attention given to supporting learning activities for academically high-achieving stud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ing competencies considered important by academically high-achieving students, investigate the discrepancies in their performance levels, and provide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a learning support program. For this purpose, research tools were developed, and t-test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cross eight items related to four learning competencies. The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was assessed using the Borich’s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all eight items related to learning competencies, with one item identified as the top priority in the educational needs analysis, and four items as secondary priorities. In summary, high-achieving students showed a preference for individual learning but also recognized the significance of cooperative learning. Furthermore, they actively utilized note-taking as an effective cognitive strategy to restructure learning content and summarize key concepts. Therefore, this note-taking strategy proves valuable for academic achievement and can be recommended to low-achieving students. Additionally, high-achieving students expressed the need for mentorship to support the successful execution of their learning plans and receive feedback on their learning activities. They also sought learning activities that would enhance their ability to present logical arguments. These learning activities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cademically high-achieving students.

Keywords:

Non-metropolitan University, High-achieving students, Learning competencies, Educational needs

I. 서 론

학업적으로 뛰어난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학업성취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이는 학생을 지칭하며, 이들은 우등생, 명예학생, 영예학생, 우수학습자, 학업우수자 등 다양한 용어로 표현된다(Kim, 2012; Lee, 2019). 최근 비수도권대학에서는 이러한 학업 우수학생을 위한 학습지원 프로그램에 주목하고 있는데, 이는 지역 우수 인재가 수도권으로 이탈하여 발생하는 구조적 악순환 문제에 대응하고자 하는 대학의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비수도권대학이 직면한 현실적 문제를 살펴보면, 학령인구의 감소로 인한 학생모집의 어려움, 지역 우수 인재의 수도권 이탈, 그리고 수도권대학과 비수도권대학 간의 교육격차 확대 등이 있다(Ahn and Lee, 2020; Kim, 2020). 일례로 2021학년도 일반대학의 미충원 인원을 보면, 미충원 인원 16,396명 중에서 15,367명(93.7%)이 비수도권대학에 집중되어 있어, 앞으로의 입학자원 배분에서도 수도권대학과 비수도권대학 간의 불균형 문제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Kwon et al., 2021). 또한 Ahn and Lee(2020)의 연구에 따르면, 2040년 이내에 수도권대학과 비수도권대학 간의 격차는 더 심화될 것이며, 수도권대학은 100% 수준의 충원율을 유지하겠지만 비수도권대학은 70%에서 낮게는 40%의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비수도권대학이 이러한 지역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전략 마련이 요구된다. 그중 교육영역에서는 지역 특성과 네트워크를 활용한 특별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고, 교육여건을 반영한 시행이 이루어져야 한다(Pak and Kim, 2022). 특히, Lee(2022)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학 생활의 만족도와 소속감은 대학생의 중도탈락을 예방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지역 인재 유출 방지를 위해서는 학생들의 대학 생활의 만족도와 소속감을 높여 주어 대학 선택에 대한 확신을 증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수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대학에 대한 확신, 만족도, 소속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학습지원을 제공한다면, 이들의 동기부여와 목적의식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대학에서는 학습지원 프로그램이 주로 학업 저성취 학생을 중심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우수학생을 위한 학습활동 지원에는 부족한 경향이 있다(Cho, 2022; Yoon, 2021). 또한, 우수학생과 관련된 연구 역시 프로그램의 사례와 특징을 제시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연구의 편수도 부족한 상황이다(Lee, 2019; Lee and Yoon, 2017).

이상과 같은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업 우수학생의 요구를 반영하여 학습역량을 지원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도록 이들의 교육요구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수학생의 학습역량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이들에게 요구되는 학습역량을 구체화하였다. 도출된 학습역량을 비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A 대학교의 학업 우수학생들이 실제로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현재 자신의 수준은 어떠한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각 학습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현재 수준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학습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를 확인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 우수학생의 학습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수행 수준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학업 우수학생의 학습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의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된 교육요구도를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학업 우수학생을 위한 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비수도권대학의 우수학생 대상 맞춤형 학습지원 활동을 확대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 제공뿐만 아니라 우수 인재 유출 방지를 위한 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비수도권대학생의 중도이탈

최근 학령인구 감소 현상에 따라 지정학적 어려움을 극복해야 하는 비수도권대학은 학생유치와 학생 이탈방지를 위한 질 높은 교육서비스와 프로그램 제공에 노력하고 있다(Choi, 2021).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비수도권대학생의 대학에 대한 소속감은 수도권 대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확인되며, 대학 생활에 만족하지 못하고 학업을 중단하는 중도이탈 학생은 증가하고 있다(Lee, 2022).

비수도권대학에서의 중도이탈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학업부진, 미래에 대한 불안, 대학 생활 부적응 등 학업과 관련하여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Kim(2012)의 연구에 따르면, 비수도권대학에서 중도이탈하는 학생은 대학의 낮은 평판, 통학의 불편, 비수도권대학에 대한 불신 등의 이유로 이전에 다니던 대학을 떠나 더 좋은 대학으로 진학을 고려한다고 밝혔다. 이는 비수도권대학에서의 교육 경험이 학생들에게 충분한 만족을 주지 못하여 더 나은 교육 기회를 찾기 위해서 이동을 선택한 것이라고 해석된다. 그러나 이러한 중도이탈은 학생 충원에 영향을 미치며, 대학은 수학능력이 부족한 학생을 선발하게 되어 학생 수준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다(Kim, 2020).

비수도권대학의 지역적인 어려움 속에 학생들의 중도이탈 방지를 위한 방법으로 대학에 대한 만족감과 소속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비수도권대학일수록 대학에 대한 만족감과 소속감이 학업 지속 의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Choi, 2021; Lee and Jeong, 2022). 이에 따라 비수도권대학은 학생들에게 더 나은 교육적 경험을 제공하고, 학업 및 대학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학생들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소속감을 높이고, 중도이탈을 예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 차원에서의 노력과 교수진의 역할이 중요하며, 학문적, 직업적 성공을 촉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우수학생의 학습역량

우수학생의 학습역량을 분석하기 위해 우수학생, 학업우수, 학습역량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탐색했다. 대학에서 운영하는 학습지원 프로그램에서 우수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선행연구는 많지 않은 상황이지만, 일부 연구에서 우수학생의 학습전략,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례를 참고할 수 있었다. 대표적인 연구 중 하나인 Cho(2022)의 연구에서는 국내 학술지 31편을 선정하여 대학 우수학생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에 따른 동향은 우수학생 특성, 우수학생 프로그램 개발, 우수학생 프로그램 활용, 우수학생에 관한 이론적 고찰, 우수학생 관련성 및 영향력과 같이 5가지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우수학생의 특성과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우수학생 대상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 우수학생 관련성 및 영향력 등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Ra(2018)의 연구에서는 학업 우수학생의 학습전략에 대한 질적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학업성취를 촉진하는 여러 요인이 확인되었는데, 그중에서도 인지전략, 자원관리전략, 동기화전략, 조절전략 등 4개의 주요 영역이 도출되었다. 각 영역에는 맥락적 노트필기, 머릿속 시연을 통한 예습복습, 세밀한 시간관리, 적극적인 대인관계, 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수업몰입, 유연한 사고 등 8개의 핵심 내용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우수학생들의 학습전략이 학업성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본 연구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우수학생 교육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반을 재검토한 Kim and Park(2013)의 연구와 우수학생의 학습경험을 분석하여 핵심역량 기반 프로그램을 제안한 Lee and Park(2021)의 연구는 우수학생 대상 학습역량과 교육 요소를 구성하는데 기반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우수학생의 학업성취를 위한 학습역량 중심의 교육 요구분석이나 학습지원 방안 등에 관해서는 연구가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우수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보더라도 교과와 비교과를 연계한 학점인정, 해외연수와 장학금 등의 혜택, 교수와의 멘토링 등의 사례는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우수학생의 특성을 반영하기보다는 해외연수와 장학금 혜택 등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수도권대학의 우수학생 특성에 맞는 학습역량 관련 설문 도구를 개발하여, 학습역량의 중요도와 현재 수준의 차이, 교육 요구의 우선순위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A 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2021학년도 2학기와 2022학년도 1학기에 평점평균 4.0점 이상인 학생 2,066명에게 배포하여 407부(회수율: 19.7%)를 통계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 학년, 현재 본인의 학습 형태, 미래 사회에서 중요한 학습 형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 학습 형태는 개별학습 또는 협동학습의 선호도를 확인하기 위한 문항이다. 이 문항을 제시한 이유는, 선행연구(Kim and Park, 2013; Lee and Yoon, 2017)에서 우수학생들은 개인 중심적인 성향이 강하며, 학교에 대한 만족도가 낮고 집단이나 조직에 참여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강하다는 주장과 대학생들이 팀 활동과 같은 협동학습에 취약하다(Hong and Lee, 2017)는 연구 결과를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일반적 특성에 관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성별은 남성(45.5%)보다 여성(54.5%)의 응답률이 9% 많았다. 학년은 3학년(30.0%), 2학년(29.2%), 1학년(21.6%), 4학년(19.2%)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 본인의 학습 형태에 관해서는 개별학습(67.8%)이 협동학습(32.2%)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미래 사회에서 중요한 학습 형태에 관해서는 협동학습(68.8%)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개별학습(31.2%)이라고 응답한 학생보다 2배 이상 많았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2. 연구절차

학업 우수학생의 학업성취를 위한 학습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여, 학습지원을 위한 교육요구도와 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절차를 수행하였다. 첫째, 우수학생 학습전략, 학습역량, 우수학생 프로그램 등의 키워드로 선행연구 및 연구보고서를 학술연구정보서비스와 한국학술지인용색인을 검색하여 조사하였다. 이후, 학습역량을 수정하고 보완하여 연구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평가를 통해 설문지의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2022년 11월 1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약 2주 동안 A 대학교 학업 우수학생(평점평균 4.0점 이상)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이후 회수된 설문지를 분석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3. 연구도구

학업 우수학생 대상 설문지 구성은 문헌연구, FGI(Focus Group Interview), 전문가 검증 순으로 3단계의 절차에 따라 실행하였다.

첫째, 초기 구성 문항 추출을 위해서 우수학생 학습전략, 우수학생 프로그램 등의 키워드로 문헌을 수집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문항을 구성하였다. 설문지 문항 구성의 근거는 <Table 2>와 같다.

The rationale for the construction of questionnaire

둘째, 설문지 초기 문항은 역량별 4개 문항이고 총 2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추출한 초기 문항에 대한 수정 및 보완을 위하여 교수학습지원 소속 연구원 5명이 2022년 10월에 FGI를 실시하였다.

셋째, FGI를 통해 확보된 문항을 정제하기 위하여 교육학 박사학위 소지자 5명과 대학 교수학습지원센터 경력 10년 이상의 현장 전문가 2명으로 총 7명을 구성하여 2022년 10월 13일부터 27일까지 내용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Table 3>과 같이 CVI(Content Validity Index) 값이 .80 미만(Saranto and Leino-Kilpi, 1997)에 속하는 문항은 삭제하였고, 5점 Likert 척도 기준으로 평균점수가 3.75 미만, 표준편차가 1.00 이상에 속하는 문항은 수정하여서 최종적으로 총 8개의 문항으로 축소하였다.

Content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본 연구에 최종적으로 사용된 설문 도구는 프레젠테이션 역량, 정보활용력, 교과목 노트필기, 학습시간관리 등 <Table 4>와 같이 4개 영역의 총 8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영역의 중요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1점은 ‘전혀 중요하지 않다’에서 5점은 ‘매우 중요하다’까지로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였고, 수행하는 현재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1점은 ‘매우 낮다’에서 5점은 ‘매우 높다’까지로 동일한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도구의 내적일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전체 문항의 Cronbach’s α를 알아본 결과, 신뢰도는 중요도에서 .862, 실행도에서 .793으로 나타났다. Cronbach α값이 .6 이상이면 측정 항목간의 내적일관성이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α값이 1에 가까울수록 좋은 평가도구로 평가된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적합한 측정도구로 확인된다(Song and Hwang, 2012).

The final questionnaire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통계기법은 기술통계, t검정,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과제의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다음의 다섯 단계로 진행하였다.

첫째, 학업 우수학생의 4개 영역의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실행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고,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분석은 t검정을 하였다.

둘째, 학습지원을 위한 학업 우수학생의 학습역량 요구도 및 우선순위 탐색은 Borich(1980)의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Borich의 교육요구도 값을 산출하여 그 값을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Borich의 요구도는 중요도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통해서 t검정의 단점을 보완하고, 각 항목의 우선순위를 계산했다. Borich 공식은 [Fig. 1]과 같다.

[Fig. 1]

Borich’s needs.

넷째, Borich의 요구도 분석은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의 차이를 우선순위로 제시하고 있으나 어느 순위까지 고려해야 하는지 명확하지 않은(Cho, 2009)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이용하였다. The Locus for Focus Model은 [Fig. 2]처럼 중요도를 가로축,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세로축으로 구분하여 각 평균값을 기준으로 사사분면에 나누어 우선순위를 시각화하는 방법으로 제시하였다(Mink et al., 1991).

[Fig. 2]

The Locus for Focus Model.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The Locus for Focus 분석의 중요도가 높은 1사분면(HH)에 해당하는 역량과 Borich 요구도 우선순위의 역량에 해당하는 역량을 최우선 역량으로 결정하였다. 다만, 우선순위는 역량에 따른 순위가 아니라, 설문 문항에 기반한 순위를 확인하였다. 이는 동일한 학습역량에서도 요구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기 때문에 섬세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Ⅳ. 연구 결과

1. 학습역량에 대한 인식 수준 분석

대학 생활에서 요구되는 학습역량에 대한 학업 우수학생들의 인식 수준을 분석하기 위하여 4개의 핵심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중요도는 필요하다고 여기는 수준이고, 실행도는 현재 실행하고 있는 수준이다.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는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Table 5>와 같이 학습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든 문항에서 p<.001에서 유의미하였다.

Awareness level of learning competencies

중요도와 실행도를 비교하면, 모든 역량에서 중요도가 실행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현재 실행하는 수준보다 필요 수준인 중요도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요도가 가장 높은 역량은 ‘학습시간관리’의 7번 문항(4.56)‘나는 목표 달성을 위해 일정을 숙지하고 마감 기한을 지킨다’이고, 중요도가 가장 낮은 역량은 ‘정보활용력’의 3번 문항(4.04)‘나는 내 견문을 넓히기 위해 국내외 뉴스 등 다양한 영상 매체를 찾아본다’로 나타났다. 실행도가 가장 높은 역량은 ‘학습시간관리’의 7번 문항(4.27)이고, 실행도가 가장 낮은 역량은 ‘정보활용력’의 3번 문항(3.43)이었다.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에서 차이가 가장 크게 난 역량은 ‘정보활용력’의 3번 문항(0.61)이고, 가장 차이가 작게 난 역량은 ‘교과목 노트필기’의 5번 문항(0.26)‘나는 수업내용의 핵심 및 요점을 노트 또는 스마트기기에 정리한다’로 나타났다.

2. 학습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도 분석

Borich 요구도 분석에 따라 학업 우수학생의 학습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Borich’s needs assessment analysis

정보활용력의 3번 문항(2.47)‘나는 내 견문을 넓히기 위해 국내외 뉴스 등 다양한 영상 매체를 찾아본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보활용력의 4번 문항(2.24)‘나는 내 지식이나 관점에 대해 피드백을 줄 수 있는 사람을 찾아 의견을 듣는다’, 프레젠테이션 역량의 2번(2.10)‘나는 내 주장을 논리적 근거를 바탕으로 전달한다’학습시간관리의 8번 문항(2.10)‘나는 공부 계획을 세우고, 그 계획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한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Borich 값을 t검정값과 비교해 보면 일부 순위가 일치하지 않았다. 일치하지 않은 순위는 2, 3, 7, 8 순위의 4개 문항이다. 예를 들어 2순위에서 t검정은 2번 문항, Borich 요구도 값은 4번 문항이고, 8순위는 t검정은 6번 문항, Borich 요구도 값은 5번 문항이다. 이는 t검정이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만을 반영하는 반면, Borich 요구도 값은 중요도에서 가중치가 부여되므로 순위에 변화가 생긴 것이다. 그러나 Borich 요구도 값은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우선순위로 제시하고 있으나 어느 순위까지 고려해야 하는지 명확하지 않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이용하였다.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을 활용하여 우수학생의 학습역량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는 [Fig. 3]과 같다. 그래프에서 문항의 위치는 반올림하지 않은 원자료 값을 사용하여 문항 간의 차이를 세밀하게 나타내고자 하였다.

[Fig. 3]

Result of the locus for focus model.

1사분면(HH)은 중요도가 높으면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큰 영역으로, 이에 속한 역량은 프레젠테이션 역량의 1번 문항(나는 내 의견을 다른 사람에게 명확히 전달한다), 정보활용력의 4번 문항(나는 내 지식이나 관점에 대해 피드백을 줄 수 있는 사람을 찾아 의견을 듣는다), 학습시간관리의 8번 문항(나는 공부 계획을 세우고, 그 계획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한다)으로 총 3개 역량이다.

The Locus for Focus Model의 1사분면에 위치하는 항목과 동일한 개수만큼 Borich 요구도 분석의 우선순위를 상호 비교하여 최우선 순위의 항목을 검증할 수 있는데(Cho, 2009), Borich 요구도 분석으로 도출된 우선순위 역량과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에서 공통으로 해당하는 우선순위 역량을 살펴보면 <Table 7>과 같다.

Priority comparison result of educational needs

최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문항은 정보활용력의 4번(나는 내 지식이나 관점에 대해 피드백을 줄 수 있는 사람을 찾아 의견을 듣는다) 문항이고, 차순위에 해당하는 문항은 프레젠테이션 역량의 1번(나는 내 의견을 다른 사람에게 명확히 전달한다) 문항과 2번(나는 내 주장을 논리적 근거를 바탕으로 전달한다) 문항, 정보활용력의 3번(나는 내 견문을 넓히기 위해 국내외 뉴스 등 다양한 영상 매체를 찾아본다) 문항, 학습시간관리의 8번(나는 공부 계획을 세우고, 그 계획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한다) 문항이다.

최우선 순위의 역량과 차순위의 역량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이 해석된다. 학업 우수학생의 학습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는 학생의 학습활동에 대해 피드백을 줄 수 있는 멘토가 지원되어야 할 것이며(3~4번 문항), 해당 멘토는 학생의 학습 계획과 그 계획을 수행할 수 있도록 격려해 줄 수 있어야 한다(8번 문항). 또한 프레젠테이션 역량 강화(1~2번 문항)를 위한 학습지원이 병행되어야 한다.


Ⅴ. 결 론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생활에서 요구되는 학습역량에 대한 학업 우수학생의 인식과 교육 요구를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업 우수학생의 학습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학습역량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수준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교육 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 우수학생들은 학습시간관리와 프레젠테이션 역량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이 현재 수행하는 수준은 학습시간관리와 교과목 노트필기에서 높게 나타났다.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에서는 정보활용력과 프레젠테이션 역량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에서 공통으로 해당하는 우선순위는 정보활용력이 최우선 순위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기반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 우수학생의 학습지원은 개별학습보다는 협동학습이 더 강조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학업 우수학생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학업 우수학생은 주로 개별학습을 선호하고 있지만, 미래 사회에서는 협동학습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우수학생들이 현재는 자기주도적인 개별학습에 능숙하지만, 미래에는 협동학습이 더욱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에, 학업 저성취 학생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부족하기에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전략의 중요성을 주장하는 연구(Jin et al., 2019; Jo et al., 2021)와는 대조적임을 알 수 있다. 한편, Kim and Park(2013), Lee and Yoon(2017)의 연구에 따르면, 우수학생은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며, 학교행사나 다른 사회조직에 참여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우수학생에게는 목표지향적이고 도전적인 과제를 통해 교수 및 동료들과의 결속을 강화할 수 있는 활동이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학업 우수학생의 학습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학업 우수학생은 학습역량 4개의 영역 중에서 교과목 노트필기에 있어서는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들은 교과목 학습 내용을 효과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노트필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이 방법은 인지적 전략으로서 학습 내용을 재구성하고 핵심 개념을 요약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는 Ra(2018)의 연구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우수한 학업성취를 보이는 대학생은 맥락적 노트필기를 통해 수업내용을 구조하거나 기억하는 등의 인지적 학습전략을 활용하고 있다는 주장과 일치한다. 특히 노트필기는 학업 저성취 학생에게 매우 효과적이기에(Rho, 2019; Yang, 2022), 우수학생의 노트필기 전략 등 학습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된다면 학업 우수학생들도 자부심과 학업에 대한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지식공유 활동이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Song(2011)의 주장과도 일치한다.

셋째, 학업 우수학생의 학습 계획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고, 학습활동에 대해서 피드백해 줄 수 있는 멘토 체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인의 의견과 주장을 논리적으로 설득력 있게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학습활동이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학습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도 조사 결과, 정보활용력에서 ‘나는 내 지식이나 관점에 대해 피드백을 줄 수 있는 사람을 찾아 의견을 듣는다’라는 문항이 최우선 순위 역량으로 도출되었다. 차순위에서는 프레젠테이션 역량에서 의사 전달의 명확성과 논리성, 학습시간관리에서 학습 계획 수립과 수행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업 우수학생은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하기에 학습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노력보다는 현재 자신의 학습 과정에 대한 피드백 차원의 멘토 지원을 요구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대학에서 학생의 멘토 역할은 지도교수를 생각할 수 있는데 학생과 교수의 상호작용과 관련한 다수의 연구(Kim, 2017; Lee et al., 2019; Park and Ko, 2019)에서도 교수의 멘토 역할이 중요함을 증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학습지원과 차별화된 방향성 도출을 위해 우수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역량에 대한 인식과 교육 요구를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A 대학교 학업 우수학생을 대상으로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더 많은 대학의 우수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학습역량 모형을 밝히고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대학 유형별로 우수학생 대상 교육 프로그램을 구체화하여 학생들이 대학에 대한 소속감과 만족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역량중심의 학습지원이 될 수 있는 연구도 향후 의미 있는 주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s

  • Ahn SH and Lee SJ(2020). Prediction Modelling of Dropout Students in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8(2), 110~131. [https://doi.org/10.22924/jhss.28.2.202012.006]
  • Borich G(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https://doi.org/10.1177/002248718003100310]
  • Cho BR(2022). Research Trends Related to Honor Students in Domestic Universitie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2(12), 209~219. [https://doi.org/10.22251/jlcci.2022.22.12.209]
  • Cho DY(2009). Exploring How to Set Priority in Need Analysis with Survey.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35, 165~187.
  • Choi BK(2021). Exploring Influences of Student Characteristics and Early College Experiences on the Change Rate of the Sense of Belonging of Korean Local Undergraduate Students.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27(3), 289~314. [https://doi.org/10.29318/KER.27.3.11]
  • Hong AJ and Lee KM(2017). Building Teamwork in Everyday Learning Experiences. The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and HRD, 13(4), 1~34. [https://doi.org/10.35637/klehrd.2017.13.4.001]
  • Hong SY(2009). Developing Competency Model of Learners in Distance Universitie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4), 159~188.
  • Jin SH, Im KW and Kim TH(2019).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Academic Improvement Program for Undergraduate Low Achievers. Asian Journal of Education, 20(3), 671~694. [https://doi.org/10.15753/aje.2019.09.20.3.671]
  • Jo HY, Lee BR and Jo MJ(2021). Valid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cademic Achievement Programs for Underachievers of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Learning Competen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daptive Capacity.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11), 113~124.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11.113]
  • Kim HJ(2017). Path Analysi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Institutional Commitment to Impa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9(1), 40~50. [https://doi.org/10.13000/JFMSE.2017.29.1.40]
  • Kim HJ(2020).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Dropout Prevention Programs for Local College Student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2(3), 823~833. [https://doi.org/10.13000/JFMSE.2020.6.32.3.823]
  • Kim JH(2012). Honors Programs for General Education: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6(3), 49~122.
  • Kim SI and Park GY(2013). A Study on the Definition, Philosophy, and Vision of an Honors Program.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6(1), 95~116.
  • Kwon OH, Kim JH, Seo SH and Lee JW(2021). Causes and solutions of local university crisis. Journal of Regional Studies, 29(4), 85~105. [https://doi.org/10.22921/jrs.2021.29.4.004]
  • Lee EH and Jeong JE(2022). Types of Recognition of Institutional Commitment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Local Private University.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3(6), 3361~3376. [https://doi.org/10.22143/HSS21.13.6.232]
  • Lee HJ(2019). A Study on Developing Learner-centered College English Curriculum: Based on Needs Analysis of Students Across Major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14), 1~18. [https://doi.org/10.22251/jlcci.2019.19.14.1]
  • Lee HJ and Sung EM(2011). An Analysis of Learning Strategies of High Academic Achievers for Learner-centered Instructional Design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7(1), 1~35.
  • Lee HW, Kwon JH and Kim JH(2019). Analysis of the Influences and Meanings of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5(4), 27~55. [https://doi.org/10.26857/JLLS.2019.11.15.4.27]
  • Lee HW and Park SH(2021). Analysis of Needs for Core Competencies and the Development Competencies-based Extracurricular Educational Program for Outstanding Students through FGI Analysis: Focusing on the Case of S-university. The Journal of Core Competency Education Research, 6(1), 23~47. [https://doi.org/10.52616/JCCER.2021.6.1.23]
  • Lee JA(2022).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earning Support Program Implementation for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 Focusing on the Case of T University.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4(5), 842~856. [https://doi.org/10.13000/JFMSE.2022.10.34.5.842]
  • Lee YJ and Yoon EG(2017). A Case Study of ‘Honors Program’ as a Program for the Distinguished Students at Universities. Culture and Convergence. 39(5), 393~420. [https://doi.org/10.33645/cnc.2017.10.39.5.393]
  • Mink OG, Shultz JM and Mink BP(1991).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Austin, TX: Somerset Consulting Group, Inc.
  • Pak SS and Kim SS(2022). Developing Local Human Resources Program by Analyzing the Preference Factors for Enrollment of Higher Education in Seoul-Metropolitan Area: Focused on High School Students in Jeonbuk.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14(1), 205~217. [https://doi.org/10.14702/JPEE.2022.205]
  • Park JH and Ko JW(2019). An Analysis of Longitudinal Structural Relationship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7(2), 259~284. [https://doi.org/10.18230/tjye.2019.27.2.259]
  • Ra YA(2018). A Qualitative Study on Learning Strategies of High Achievers in Korean College.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4(4), 359~380. [https://doi.org/10.24159/joec.2018.24.4.359]
  • Rho HS(2019). Effectiveness of Learning Support Program for Underachievers of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Social Science, 38(3), 73~108.
  • Saranto K and Leino-Kilpi H(1997). Computer literacy in nursing: Developing the information technology syllabus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5(2), 377~385. [https://doi.org/10.1046/j.1365-2648.1997.1997025377.x]
  • Song WY and Hwang KY(2012). Effects of External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Resources and Capabilities on Strategy and Performance: An evidence from an analysis on ventur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2), 369~387. [https://doi.org/10.5392/JKCA.2012.12.02.369]
  • Song YH(2011). Relationships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llective efficacy, Knowledge Sharing, Satisfaction in a University Study Circle.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2(3), 179~209.
  • Yang JM(2022).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Note-taking Strategies Program.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3(5), 293~308. [https://doi.org/10.22143/HSS21.13.5.21]
  • Yoon HR(202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support programs and future tasks for quality management of university education.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18), 165~177.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18.165]

[Fig. 1]

[Fig. 1]
Borich’s needs.

[Fig. 2]

[Fig. 2]
The Locus for Focus Model.

[Fig. 3]

[Fig. 3]
Result of the locus for focus model.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Items Division Frequency Ratio (%)
Gender male 185 45.5
female 222 54.5
Grade
(year)
fist 88 21.6
second 119 29.2
third 122 30.0
fourth 78 19.2
Current learning style Individual Learning 276 67.8
cooperative learning 131 32.2
Important learning styles for the future Individual Learning 127 31.2
cooperative learning 280 68.8
Total 407 100.0

<Table 2>

The rationale for the construction of questionnaire

Competency Educational elements Related research
Presentation skills Speaking, Logical Discussion, Presentation Process Cho(2022)
Kim and Park(2013)
Hong(2009)
Lee and Sung(2011)
Lee and Park(2021)
Lee and Yoon(2017)
Ra(2018)
Information utilization Video contents creation, Information research
Note Taking Logical writing, Contextual note-taking
Sharing learning tips Clubs, Mentoring, Achievement, Self-Confidence
Time management Learning management, Time management(Scheduling, Non-academic time)

<Table 3>

Content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Competency Items Mean Standard Deviation CVI Deletion Status
Presentation skills 1 4.86 0.38 0.96
2 4.14 0.69 0.79 Delete
3 4.86 0.38 0.96
4 4.00 0.58 0.75 Delete
Information utilization 5 4.71 0.49 0.93
6 4.00 0.82 0.75 Delete
7 4.00 0.82 0.75 Delete
8 4.29 0.76 0.82
Note taking 9 4.71 0.76 0.93
10 4.57 0.79 0.89
11 4.14 0.90 0.79 Delete
12 4.00 1.00 0.75 Delete
Sharing learning tips 13 3.86 1.46 0.71 Delete
14 4.14 1.46 0.79 Delete
15 3.57 1.62 0.64 Delete
16 3.57 1.62 0.64 Delete
Time management 17 5.00 0.00 1.00
18 4.14 1.07 0.79 Delete
19 4.43 1.13 0.86 Modify
20 4.00 1.41 0.75 Delete

<Table 4>

The final questionnaire

Competency Items
Presentation skills I present my opinion to the others clearly.
I present my arguments with logical reasoning.
Information utilization I search various video media, includ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news, to broaden my perspectives.
I seek for others who can provide feedback on my knowledge and viewpoints.
Note taking I summarize the key points and highlights of class content in my notes or on my smart device.
I take notes on the course content in my own unique way by structuring it.
Time management I keep track of schedules and meet deadlines to achieve my goals.
I create learning plans and make efforts to execute those plans.

<Table 5>

Awareness level of learning competencies

Competency Items Level of importance Level of performance Discrepancy (I – P)
Mean Std. Mean Std. Mean Std. t-value rank
***p<.001
Presentation skills 1 4.32 0.74 3.87 0.84 0.45 0.81 11.25*** 5
2 4.26 0.73 3.76 0.84 0.49 0.84 11.88*** 2
Information utilization 3 4.04 0.86 3.43 1.02 0.61 1.03 12.04*** 1
4 4.31 0.77 3.79 0.94 0.52 0.89 11.77*** 3
Note taking 5 4.40 0.78 4.14 0.86 0.26 0.71 7.28*** 7
6 4.24 0.84 3.96 0.92 0.29 0.79 7.26*** 8
Time management 7 4.56 0.67 4.27 0.82 0.29 0.71 8.42*** 6
8 4.31 0.78 3.83 0.93 0.49 0.84 11.62*** 4

<Table 6>

Borich’s needs assessment analysis

Competency items Borich’s needs rank
Presentation skills 1 1.95 5
2 2.10 3
Information utilization 3 2.47 1
4 2.24 2
Note taking 5 1.12 8
6 1.21 7
Time management 7 1.34 6
8 2.10 4

<Table 7>

Priority comparison result of educational needs

Competency items Borich’s needs rank The locus for focus Priority item
●: first priority competency, ○: second priority competency
Presentation skills 1 5 Quadrant 1
2 3 Quadrant 2
Information utilization 3 1 Quadrant 2
4 2 Quadrant 1
Note taking 5 8 Quadrant 4
6 7 Quadrant 3
Time management 7 6 Quadrant 4
8 4 Quadrant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