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6, No. 5, pp.1014-1024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4
Received 23 Aug 2024 Revised 25 Sep 2024 Accepted 02 Oct 2024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4.10.36.5.1014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의 귀인성향이 성취동기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상남도 김해시 특성화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임종민 ; 서재철* ; 조진호
김해생명과학고등학교(교사)
*국립부경대학교(교수)
국립부경대학교(교수)
The Effect of Attribution Tendencies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School Adaptation: Focusing on Specialized High Schools in Gimhae City, Gyeongsangnam-do
Jong-Min LIM ; Jae-Chul SEO* ; Jin-Ho CHO
Gimhae High School of Life Science(teacher)
*Pukyong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Pukyong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051-629-5973, 75jino@pknu.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ir attribution tendencies affect achievement motivation and school adaptation for multicultural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attribution tendencies, motivation for achievement, and adaptation to school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Second, how does attribution tendencies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affects achievement motivation and school adapt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2 multicultural students attending four specialized high schools in Gimhae, Gyeongsangnam-do, and the questionnaire used in previous studies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arl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mong the attribution tendencies of multicultural students, internal attribution was the highest, and external and chance attribution were high. Second, the stronger the tendencies for internal attribution,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achievement. Third, the stronger the tendencies for internal attribution, the better the adaptation to school. Therefore, when teaching multicultural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teachers should focus on internal attribution.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small sample,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A follow-up study should be conducted with a larger group.

Keywords:

Multicultural student, Specialized high school, Achievement motivation, School adaptation, Attribution tendencies

I. 서 론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교육기본통계(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2023)에 따르면 다문화 학생 수는 2012년 조사 시작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23년 181,178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학령기 인구 감소로 전체 초·중·고등학교 학생 수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므로 다문화 학생의 비율은 더욱 늘어나고 있다. 비다문화 학생과는 달리 다문화 학생은 청소년기의 발달로 인한 일반적인 변화 외에도 이중문화 환경에서 자라면서 언어 및 가치관의 혼란, 심리적 불안, 사회적 위축과 같은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특히 한국 문화뿐만 아니라 타 문화에 동시에 노출되며 경험하게 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다문화 학생들만 겪게 되는 큰 어려움이며(Kim and Yun, 2018), 학교생활적응에 부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ee, 2015; Son and Shin, 2020; Kang and Nho, 2021). Ladd et al.(1997)은 학교적응이란 학생이 학교 환경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며, 편안해하고, 성공하는 정도라고 정의한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다문화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관심을 적게 받으며, 학교 부적응 문제로 인해 중도 탈락하는 경우가 많다(Kim, 2010). 학교적응은 이후 직장생활과 사회생활의 적응까지 영향을 미치므로(Choi, 2011) 다문화 학생들의 학교 부적응 현상은 앞으로의 사회적 문제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들이 학교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고 있는 현재와 미래 사회통합에 있어 필수적이다(Ryu, 2024).

2023년 기준 특성화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 학생은 6,773명으로 일반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 학생 12,968명의 절반 정도이지만(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2023), 일반고등학교에 비해 특성화고등학교의 학교 수가 월등히 적은 것을 고려하면 다문화 학생들이 높은 비율로 특성화고등학교에 진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뚜렷하게 규명된 이유는 없으나 다문화 학생들은 비다문화 학생들에 비해 낮은 수준의 사회적·심리적 자본을 형성하고 있어 독립심이 강하며 졸업 후 바로 취업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음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Lee, 2024; Kim et al., 2018). 한편, 다문화 학생 중 성취, 포부, 동기 수준이 높을 시 일반고등학교를 선택할 확률이 높고, 반대의 경우 특성화고등학교를 더 희망하는 경향이 있는 것(Sim and Kim, 2014)으로 보고되고 있는 점은 특성화고등학교에서 다문화 학생을 지도함에 있어 관심을 가지고 고민해야 할 부분이다.

우리 사회는 다문화 학생을 경제적·사회적으로 취약한 존재로 여기는 편견을 가지고 있는데(Kim, 2011), 다문화 학생 역시 스스로 목표로 하는 일을 성취할 수 있는 능동적 존재로 인식하고, 이들의 성취동기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성취동기는 어려운 일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장애물을 극복하고 가능한 한 성공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능력을 발휘하고자 하는 동기이다(Murray, 1938). 사람은 목표를 이루는 과정에서 성공과 실패를 겪으며 성장하고, 이러한 경험이 동기를 유지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또한 그 결과에 대한 행동이 다양한 원인에서 비롯되어 다음 성취 목표 수행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것은 성공과 실패에 대한 원인을 무엇으로 인식하느냐에 따라 행동이 결정된다는 귀인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Cho and Park, 2022). 귀인은 결과 이후의 시점에 대한 동기부여 행동이 달라져 다음 수행의 성취에서 성취동기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제기된다. Weiner(1980)는 성취동기가 높은 이는 성공을 노력에 귀인하는 반면 성취동기가 낮은 이는 성공과 실패를 타인, 환경에 귀인하려 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즉, 성취동기는 성패의 상황에서 귀인성향의 차이를 통해 성취 수준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정보를 제공해 준다. 귀인성향과 성취동기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성패의 상황에서 내적으로 귀인 할수록 성취동기가 높다는 결과들이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다(Ann, 1986; Kim, 2005). 또한 귀인성향은 학교적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내적귀인 성향을 가진 학생은 학교생활의 전반에서 적응력이 뛰어나며(Kim and Na, 2001), 외적귀인 성향을 가진 학생은 학교 적응력이 떨어지므로 학교적응을 위해 학교생활의 어려움을 외부적인 요인으로 책임을 돌리지 않아야 한다고 보고하고 있다(Park, 2009). 이를 통해 귀인성향이 성취동기와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그 영향력이 큰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최근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로는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의 교내 진로교육과 진로장벽 형성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Lee, 2024), 부산 지역 공업계 고등학교 다문화 학생 진로에 대한 연구(Moon, 2014) 외에는 거의 수행된 바가 없다. 국내 다문화 학생의 지속적인 증가 추세와 다문화 학생들이 높은 비율로 특성화고등학교에 진학하는 점을 주목해보면 이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관심이 더욱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들이 높은 성취동기를 바탕으로 능동적인 학교생활을 하고, 궁극적으로 졸업 후 산업현장에 잘 적응하는 사회인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이들의 성취동기와 학교적응에 초점을 두고 이와 밀접하게 관련된 변인으로 귀인성향을 선정하였다. 귀인성향과 성취동기, 학교적응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일반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의 귀인성향이 성취동기와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특성화고등학교에서 교육활동 상황에서 교사가 다문화 학생을 어떻게 이해하며 지도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들의 귀인성향, 성취동기, 학교적응은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들의 귀인성향이 성취동기와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김해시 소재 특성화고등학교 4개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 학생 총 65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조사는 2024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이루어졌다. 해당 학교 교사의 협조를 얻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총 65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62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2. 연구도구

가. 귀인성향

귀인성향척도는 Ann(1986)의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를 활용하였다. 내적귀인, 외적귀인, 우연귀인으로 각 8문항씩 총 24문항이며 기존의 Likert 6점 척도를 5점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귀인성향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본다. 본 연구의 각 하위요인 신뢰도(Cronbach’s α)는 내적귀인 .743, 외적귀인 .788, 우연귀인 .759이며 전체 신뢰도는 .763으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 성취동기

성취동기는 Lim and Kang(2013)이 개발한 성취동기 척도를 본 연구의 실정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성취동기의 4가지 하위요인으로 열정(11문항), 희망(7문항), 모험심(6문항), 자신감(4문항)으로 총 28문항이며 Likert 5점 척도로 계산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성취동기 정도가 높은 것으로 본다. 본 연구의 각 하위요인 신뢰도(Cronbach’s α)는 열정 .812, 희망 .788, 모험심 .712, 자신감 .801이다. 전체 신뢰도는 .778으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 학교적응

학교적응 척도는 Kim and Na(2001)의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를 활용하였다. 학교적응의 하위요인으로 환경적응(10문항), 교사적응(10문항), 수업적응(8문항), 친구적응(7문항), 생활적응(6문항)으로 총 41문항이며 Likert 5점 척도로 계산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학교적응 정도가 높은 것으로 본다. 본 연구의 각 하위요인 신뢰도(Cronbach’s α)는 환경적응 .710, 교사적응 .788, 수업적응 .754, 친구적응 .744, 생활적응 820이다. 전체 신뢰도는 .763으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는 통합연구의 방법 중 순차형 연구 형태를 적용하였다. 먼저 표준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다문화 학생들의 귀인성향, 성취동기, 학교적응을 알아보고, 귀인성향에 따른 성취동기 및 학교적응을 양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SPSS for Windows 26.0을 사용하였으며 통계방법으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칼 피어슨(Karl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성

본 연구 대상인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의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학교, 성별, 학년, 부모 중 외국 국적 부모의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빈도분석의 결과는 <Table 1>과 같다. 학교는 D학교 19명(30.6%), C학교 17명(27.4%), A학교 16명(25.8%), B학교 10명(16.1%)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은 여자 36명(58.1%), 남자 26명(41.9%) 순으로 나타났다. 학년은 1학년 26명(41.9%), 2학년 20명(32.3%), 3학년 16명(25.8%)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국적을 가진 부모는 어머니 37명(59.7%), 아버지 18명(29.0%), 부모 모두가 7명(11.3%) 순으로 나타났다.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2.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의 귀인성향과 성취동기, 학교적응의 기술통계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분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귀인성향에서 우연귀인(M=3.32), 외적귀인(M=3.24), 내적귀인(M=2.65)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성취동기에서는 자신감(M=2.65), 열정(M=2.53), 희망(M=2.50), 모험심(M=2.00)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적응에서는 학습적응(M=2.89), 생활적응(M=2.87), 교사적응(M=2.84), 친구적응(M=2.81), 환경적응(M=2.11)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왜도와 첨도를 이용하여 주요 변수들의 정규성을 확인한 결과, 모든 변수들의 왜도, 첨도의 절대값이 2 이하로 나타나 정규성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ean and Standard Deviation by Variable

3.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의 귀인성향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가. 귀인성향과 성취동기 간의 상관관계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의 귀인성향과 성취동기 간의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Table 3>과 같이 내적귀인은 성취동기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외적귀인, 우연귀인에서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외적귀인은 성취동기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우연귀인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우연귀인은 성취동기의 모험심을 제외한 요인(열정, 희망, 자신감)에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Correlation Between the Attribution Tendencies and Achievement Motivation

나. 귀인성향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의 귀인성향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귀인성향이 성취동기의 열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체 설명력은 74.5%(R2=.745)이었고 F값은 60.512(p<.001)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내적귀인은 성취동기의 열정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적귀인과 우연귀인은 열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귀인성향이 성취동기의 희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체 설명력은 53.7%(R2=.537)이었고 F값은 24.552(p<.001)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내적귀인은 성취동기의 희망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적귀인과 우연귀인은 희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귀인성향이 성취동기의 모험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체 설명력은 7.6%(R2=.076)이었고, F값은 2.662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내적귀인, 외적귀인, 우연귀인 모두 성취동기의 모험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귀인성향이 성취동기의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체 설명력은 66.5%(R2=.665)이었고, F값은 41.361(p<.001)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내적귀인은 성취동기의 자신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적귀인과 우연귀인은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Effect of Attribution Tendencies on the Achievement Motivation

4.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의 귀인성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 귀인성향과 학교적응 간의 상관관계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의 귀인성향과 학교적응 간의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Table 5>와 같이 내적귀인은 환경적응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교사, 학습, 친구, 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외적귀인은 교사, 학습, 친구 생활적응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우연귀인은 교사, 학습, 친구, 생활적응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환경적응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Correlation Between the Attribution Tendencies and School Adaptation

나. 귀인성향이 학교적응의 환경적응에 미치는 영향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의 귀인성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귀인성향이 환경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체 설명력은 12.5%(R2=.125)이었고, F값은 3.912(p<.05)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내적귀인은 환경적응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적귀인과 우연귀인은 환경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귀인성향이 교사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체 설명력은 62.8%(R2=.628)이었고, F값은 35.329(p<.001)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내적귀인은 교사적응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적귀인과 우연귀인은 교사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귀인성향이 학습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체 설명력은 77.7%(R2=.777)이었고, F값은 72.012(p<.001)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내적귀인은 학습적응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적귀인과 우연귀인은 학습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귀인성향이 친구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체 설명력은 61.1%(R2=.611)이었고, F값은 32.913(p<.001)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내적귀인은 친구적응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적귀인과 우연귀인은 친구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귀인성향이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체 설명력은 65.1%(R2=.651)이었고, F값은 38.976(p<.001)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내적귀인은 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적귀인과 우연귀인은 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Effect of Attribution Tendencies on the School Adaptation


Ⅳ. 결 론

1. 논의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의 귀인성향이 성취동기와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의 귀인성향, 성취동기, 학교적응을 조사한 결과, 귀인성향에서 내적귀인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외적귀인과 우연귀인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성취동기와 학교적응은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고 성취동기는 모험심, 희망, 열정, 자신감 순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학교적응은 환경, 친구, 교사, 생활, 학습적응 순으로 낮았다. 이는 일반적으로 다문화 학생들은 낮은 성취동기를 보인다는 선행연구(Park, 2017)와 일치하며, 비다문화 학생보다 학교적응에 다양한 어려움을 겪는다고 보고한 선행연구(Do, 2011)의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의 귀인성향과 성취동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내적귀인은 성취동기의 모든 하위요인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외적귀인은 성취동기의 모든 하위요인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우연귀인은 성취동기 중 모험심 요인을 제외한 요인들에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귀인성향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내적귀인은 성취동기의 모험심 요인을 제외한 요인들에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패의 상황에서 자신의 노력과 능력에 기인하는 학생이 성취동기가 높고, 성공의 상황에서 과제난이도나 운으로 귀인하고 실패상황에서 자신의 능력으로 귀인하는 학생은 성취동기가 낮다는 선행연구(Weiner, 1980; Cho and Park, 2022)와 일치한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의 귀인성향과 학교적응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내적귀인은 학교적응의 하위요인 중 환경적응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교사, 학습, 친구, 생활적응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외적 및 우연귀인은 학교적응의 하위요인 중 환경적응을 제외한 교사, 학습, 친구, 생활적응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귀인성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내적귀인은 학교적응의 하위요인 중 환경적응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교사, 학습, 친구, 생활적응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적 및 우연귀인은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내적귀인은 학교적응과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점은 선행연구(Kim and Na, 2001; Lee, 2006)와 일치하지만 외적귀인은 교사, 환경, 친구적응과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우연귀인은 학교적응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고 보고한 선행연구(Kim and Na, 2001)와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또한 Kim and Lee(2013)의 연구에서 내적귀인 성향이 학교적응(친구, 학업, 교사, 생활)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와는 일치하였고, 외적귀인이 학교의 생활적응에는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학업적응과 친구적응에는 부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와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2. 결론

연구 결과에 따른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동기를 ‘성공을 내부요인들에 의해 일어났다고 지각하고, 실패는 불안정한 요인들 때문에 나타났다고 지각하는 능력’이라고 보는 관점(Weiner, 1980)에서 생각해 볼 때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들은 성공의 상황에서는 자신의 능력, 노력으로 귀인 하지 않아 유능감이나 자부심을 느끼기 어렵고 실패의 상황에서도 자신의 노력 부족으로 귀인 하지 않아 장래에는 더 노력을 하지 않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또한 다문화 학생은 언어능력 부족,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 등으로 학교적응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지만 또래집단의 따돌림 등으로 정서적 충격을 경험하고 결국 부적응하여 학업 중단까지 이어지기도 한다(Ryu, 2024). 따라서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은 다문화 학생이 특정 사건의 결과에 어떤 태도를 가지는지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고, 학교 내에서 차별이나 따돌림은 없는지 주위 환경을 세심하게 관찰해야 한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들은 내적귀인 성향을 가질수록 성취동기가 높은 경향이 있고 외적귀인, 우연귀인 성향을 가질수록 성취동기가 낮은 경향이 있다. 또한 내적귀인 성향은 성취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학생의 경우 성취동기는 진로결정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Park and Kim, 2020)이며 학업성취를 높이는 가장 강력한 요인(Park, 2017)이다. 따라서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들이 내적귀인 성향을 가진다면 높은 성취동기를 가지고 학교생활에 능동적으로 임하며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사용하여 학업성적이 증진될 수 있고 진로 결정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이는 내적귀인 성향이 성취동기에 정적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선행연구(Ann, 1986; Jo, 2008)와 일치하고, 성패의 상황에서 가장 영향을 미치는 귀인은 내적귀인 중 노력으로 규명한 선행연구(Kim, 1999; Kwak, 2000; Kim, 2000)와 맥락을 함께하며 내적귀인의 중요성을 피력할 수 있다. 특성화고등학교는 실습수업이 많아 학생들의 능동성과 적극성이 요구되는데 현실요법을 적용한 생활지도 프로그램(Lee, 2002)과 같은 내적귀인으로 의 변화에 효과적인 방법을 활용한다면 성취동기와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성취동기 증진을 위한 지도를 병행한다면 학습과 성장에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들은 내적귀인 성향을 가질수록 학교에 잘 적응하며 외적귀인, 우연귀인 성향을 가질수록 학교에 적응하기 힘들어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내적귀인 성향은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적응 문제를 다룰 때 귀인성향에 초점을 맞추어 학생들이 학교적응 문제를 외부 요인으로 돌리지 않고 자신의 노력으로 극복하려는 태도를 지니게 함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다문화 학생들은 비다문화 학생들에 비해 교사의 지지를 더 높게 인식하므로 교사의 지지가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Park and Lee, 2009). 따라서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은 다문화 학생들이 학교적응 문제를 겪을 때 내적 귀인으로의 변화에 효과적인 사례를 참고하여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지지해야 한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내리면서 후속 연구를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통한 양적 연구를 하였기 때문에 귀인성향이 성취동기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준을 깊이 있고 폭넓게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 후속 연구에서는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를 병행한다면 보다 심층적인 데이터 수집과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본 연구는 경상남도 김해시 특성화고등학교 4개교의 다문화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한계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지역, 학년, 특성화고등학교 계열 등을 고려하여 더욱 광범위한 집단의 특성화고등학교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References

  • Ann GD(1986). The Effects of Locus of Control, Perceived Classroom Climate and Their Interaction on Academic Performance and Learning Attitudes,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Doctoral Thesis.
  • Cho YJ and Park IR(2022). The Effect of Attribution disposition on Achievement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treet Dance, Journal of Dance Studies, 86(2), 61~76. [https://doi.org/10.16877/kjds.86.2.202206.61]
  • Choi SB(2011).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chool Life Adaptation of a Student in a Multicultural Family and Related Variables,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59(2), 261~287. [https://doi.org/10.25152/SER.2011.59.2.261]
  • Do NH(2011).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Daily Lif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Comparative Korean Studies, 19(1), 161~194.
  • Jo HY(2008). The Effect of Learner’s Attribution tendencies and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Type on Motivation to Learn, Journal of Evaluation on Counseling, 1(1), 73~88. [https://doi.org/10.16877/kjds.86.2.202206.61]
  • Kang HR and Nho CR(2021). Th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Physical Appearance Satisfaction on School life Adjustment Among Multicultural Middle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30(1), 17~33. [https://doi.org/10.5934/kjhe.2021.30.1.17]
  • Kim HJ and Na SI(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of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33(1), 57~70.
  • Kim JK and Lee KM(2013).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Attributional Style and Self-Consciousness on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ocial Science, 52(2), 41~77.
  • Kim JW(2010). Diagnosis and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Focused on Elementary Education, Journ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1(1), 135~157.
  • Kim JY(2005). A Path Model of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Internal Attribution on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Graduate Schoo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 Kim KH(1999). A Study on the Attribution Trait to Success or Failure in Performance by Dancer, The Korean Journal of Dance, 26, 111~133.
  • Kim KH, Lee NC and NA HM(2018). Report of Support Plan for Multicultural Youth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 Kim MJ and Yun KB(2018). The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Mediating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Ego-Resilien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3(1), 373~388. [https://doi.org/10.21097/ksw.2018.02.13.1.373]
  • Kim SH(2011). The Effect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School Life Adaptability of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 Kim SK(2000). A Study on the Attribution Trait to Success or Failure in Performance by Modern Dancer, Research of Dance Education, 11(2), 113~125.
  • Kwak JE(2000). The Attribution Analysis about The Success or Failure to Performances of Dancers in Secondary School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ha University, Master’s thesis.
  • Ladd GW, Kochenderfer BJ and Coleman CC(1997).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3), 1103~1118.
  • Lee CA(202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ducation and Career Barrier Formation among Specialized High School Multicultural Youth: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 Support on Career,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 Lee JY(2006). Relationship among Locus of Control, Perceived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School Adjustment,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iddle Schooler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nam University, Master’s thesis.
  • Lee SS(2002). The Effects of the Guidance Applying Reality Therapy on Attribution Behavior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Studies, 9(2), 231~247.
  • Lee TH(2015). The Effect of Family Strengths Perceived by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ir Adjustment in School, Graduate School of Daegu University, Doctoral Thesis.
  • Lim SA and Kang SE(20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Scal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7(3), 575~593.
  • Moon CH(2014).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in Technical/Meister High School from Families of Multi-cultural Background, Graduate School of Kyungsung University, Master’s Thesis.
  • Murray, H. A.(1938). Explorations in Personality: A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y of Fifty Men of College Age,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 Park DJ and Kim SM(2020).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on the Effects of Achievement Motivation on Career Decis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3), 267~289. [https://doi.org/10.15818/ihss.2020.21.3.267]
  • Park JH(2009). The Influences of Attribution and Self-efficacy on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 Park MH(2017).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of Multicultural, Journ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10(4), 27~54. [https://doi.org/10.14328/MES.2017.12.31.27]
  • Park YK and Lee SY(2009). Survey on the School Lives of the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 Intergroup Differences and Intragroup Diversit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41(1), 41~71. [https://doi.org/10.35557/trce.41.1.200903.003]
  • Ryu GJ(2024). A Study on the Healing Art Education Program for School Adapta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Focusing on the analytical practice research-,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s thesis.
  • Sim HA and Kim KY(2014). Determinants of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Choosing High School,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62(4), 593~621. [https://doi.org/10.25152/SER.2014.62.4.593]
  • Son HG and Shin NN(2020). Longitudinal Stability and Reciprocal Effects among Adolescents’ Perceived Acculturative Stres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Child Studies, 27(12), 343~372. [https://doi.org/10.21509/KJYS.2020.12.27.12.343]
  •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2023). 2023 Basic Statistics on Education in Korea.
  • Weiner B(1980). A Theory of Motivation for Some Classroom Experienc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1, 3~25.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Sortation Frequency Ratio(%)
School A 16 25.8
B 10 16.1
C 17 27.4
D 19 30.6
Sex Male 26 41.9
Female 36 58.1
Grade 1 26 41.9
2 20 32.3
3 16 25.8
Foreign parents Mother 37 59.7
Father 18 29.0
Both 7 11.3

<Table 2>

Mean and Standard Deviation by Variable

Variable M SD skewness kurtosis
Attribution Tendencies Internal Attribution 2.65 1.45 .285 -1.471
External Attribution 3.24 1.13 -.285 -.805
Chance Attribution 3.32 1.42 -.280 -1.224
Achievement Motivation Passion 2.53 1.35 .465 -1.102
Hope 2.50 1.40 .334 -1.231
Adventurous spirit 2.00 1.09 1.427 1.832
Confidence 2.65 1.45 .452 -1.247
School Adaptation Atmosphere Adaptation 2.11 1.28 1.231 .387
Teacher Adaptation 2.84 1.43 .119 -1.432
Learning Adaptation 2.89 1.53 .225 -1.484
Friend Adaptation 2.81 1.53 .224 -1.488
Living Adaptation 2.87 1.38 .124 -1.341

<Table 3>

Correlation Between the Attribution Tendencies and Achievement Motivation

Variable 1 2 3 4 5 6 7
*p<.05, **p<.01
Attribution Tendencies Internal Attribution 1
External Attribution -.619** 1
Chance Attribution -.627** .810** 1
Achievement Motivation Passion .868** -.592** -.577** 1
Hope .735** -.525** -.568** .828** 1
Adventurous spirit .260* -.322* -.212 .380** .356** 1
Confidence .813** -.609** -.611** .843** .735** .312* 1

<Table 4>

The Effect of Attribution Tendencies on the Achievement Motiva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B SE β t
***p<.001
The Passion of Achievement Motivation (constant) .858 .495 1.735
Internal Attribution .761 .080 .816 9.539***
External Attribution -.119 .136 -.099 -.876
Chance Attribution .015 .109 .016 .136
R/R2/F R=.871, R2=.745, F=60.512***
The Hope of Achievement Motivation (constant) 1.450 .691 2.098
Internal Attribution .606 .111 .627 5.437***
External Attribution .017 .190 .013 .088
Chance Attribution -.182 .152 -.185 -1.202
R/R2/F R=.748, R2=.537, F=24.552***
The Adventurous spirit of Achievement Motivation (constant) 2.464 .758 3.253
Internal Attribution .103 .122 .138 .846
External Attribution -.377 .209 -.390 -1.805
Chance Attribution .145 .166 .190 .874
R/R2/F R=.348, R2=.076, F=2.662
The Confidence of Achievement Motivation (constant) 1.591 .609 2.615
Internal Attribution .688 .098 .688 7.012***
External Attribution -.141 .168 -.109 -.840
Chance Attribution -.093 .134 -.091 -.695
R/R2/F R=.826, R2=.665, F=41.361***

<Table 5>

Correlation Between the Attribution Tendencies and School Adaptation

Variable 1 2 3 4 5 6 7 8
*p<.05, **p<.01
Attribution Tendencies Internal Attribution 1
External Attribution -.619** 1
Chance Attribution -.627** .810** 1
School Adaptation Atmosphere Adaptation -.393** .242 .312* 1
Teacher Adaptation .795** -.546** -.482** -.393** 1
Learning Adaptation .878** -.613** -.654** -.261* .789** 1
Friend Adaptation .779** -.598** -.586** -.372** .861** .767** 1
Living Adaptation .810** -.589** -.561** -.426** .860** .799** .867** 1

<Table 6>

The Effect of Attribution Tendencies on the School Adapta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B SE β t
*p<.05, ***p<.001
The Atmosphere of School Adaptation (constant) 2.844 .869 3.270
Internal Attribution -.311 .140 -.351 -2.216*
External Attribution -.165 .239 -.145 -.691
Chance Attribution .189 .191 .210 .989
R/R2/F R=.410, R2=.125, F=3.912*
The Teacher of School Adaptation (constant) 1.087 .632 1.721
Internal Attribution .764 .102 .776 7.504***
External Attribution -.255 .174 -.201 -1.463
Chance Attribution .167 .139 .167 1.205
R/R2/F R=.804, R2=.628, F=35.329***
The Learning of School Adaptation (constant) 1.331 .552 2.548
Internal Attribution .813 .084 .772 9.653***
External Attribution .012 .144 .009 .082
Chance Attribution -.190 .115 -.177 -1.659
R/R2/F R=.888, R2=.777, F=72.012***
The Friend of School Adaptation (constant) 1.848 .694 2.661
Internal Attribution .689 .112 .651 6.155***
External Attribution -.202 .191 -.148 -1.055
Chance Attribution -.063 .153 -.059 -.414
R/R2/F R=.794, R2=.611, F=32.913***
The Living of School Adaptation (constant) 1.594 .593 2.687
Internal Attribution .693 .096 .726 7.254***
External Attribution -.193 .163 -.157 -1.184
Chance Attribution .021 .130 .022 .162
R/R2/F R=.818, R2=.651, F=38.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