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6, No. 5, pp.1025-1034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4
Received 04 Sep 2024 Revised 30 Sep 2024 Accepted 07 Oct 2024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4.10.36.5.1025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이 인식하는 미래 식품·조리업에 대한 이미지 분석

김미환 ; 이광빈
국립부경대학교(강사)
Image Analysis of Future Food and Cooking Industry Recognized by Food and Cooking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Mi-hwan KIM ; Gwang-Bin LEE
Pukyong National University(lecturer)

Correspondence to: k.voc.edu@gmail.com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images perceived about the future food and cooking industry among studen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in the food and cooking industry in Incheon, Busan, Ulsan, and Gyeongnam regions. Image analysis was conducted on 184 students, and 11 adjective groups were used in the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age of the future food and cooking industry according to gend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where 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in three items: ‘strong’, ‘complex’, and ‘interest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age of the future food and cooking industry according to loc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ree items: ‘strong’, ‘active’, and ‘fun’. ‘Strong’ was higher in Incheon than Busan, ‘Active’ was higher in Busan than Gyeongnam, and ‘Interesting’ was higher in Incheon than Busa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age of the future food and cooking industry according to grad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two items of ‘strong’ and ‘fun’, with first graders being higher than third grader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propose the operation of a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career programs to create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food and cooking industry.

Keywords:

Food preparation subject group,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 Future food preparation industry, Image analysis

I. 서 론

중등 직업교육은 우리나라 경제 발전 과정에서 산업사회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여 왔다. 그러나 4차 산업사회를 맞이하면서 산업사회 개편에 따른 직업교육의 변화 요구가 거세지고 (Kim, 2017), 학생과 학부모 집단에서 특성화고등학교의 선호도 감소, 취업률 감소, 신입생 미충원율 증가 등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Kim, 2022).

2023년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의 진로는 취업률 55.7%, 진학률 47%로 나타났으며, 최근 취업률은 감소하고 진학률을 증가하는 추이를 나타낸다. 식품·조리 교과군 학생은 취업률은 28%, 진학률은 약 49%로 특성화고등학교 평균과 비교하여도 낮은 수치를 보였다(Education Statistics Service, 2023). 특히 23%의 경우 식품·조리와 관련한 어떠한 진로를 계획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식품·조리 교과군의 학생들이 미래의 식품·조리 산업을 어떤 이미지로 인식하는지 알아볼 필요성이 있다. 이는 수요자 중심의 교육으로써 교육과정 개발 및 교육정책 수립의 밑바탕이 될 것이다. 특히 타 직업군에서의 자신의 미래 직업에 대한 선행연구들(Lee et al., 2024; Ha and Yoo, 2017; Lee and Kim ,2016; Kim ans Lee, 2010)에 비해 식품·조리 교과군에 대한 연구는 미약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직업교육의 전문화와 세분화가 강조되고 있어, 이러한 이미지를 성별, 소재지, 학년으로 구분하여 비교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이러한 세부적인 연구는 향후 식품·조리 교과군 교육과정 운영 방안, 진로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한 실질적인 정책 방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인식하는 미래 식품·조리업에 대한 이미지는 어떠한가?

2.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인식하는 미래 식품·조리업에 대한 이미지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인식하는 미래 식품·조리업에 대한 이미지는 소재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인식하는 미래 식품·조리업에 대한 이미지는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Ⅱ. 이론적 배경

1. 식품·조리 교과군

중등 직업교육과정은 농생명산업, 공업, 상업정보, 수산·해운, 가사·실업의 5개 계열로 구분하여 연구되어 왔다(Kim, 2022). 그러나 산업사회 변화와 직업 분류 체계를 반영하기 위하여 2015 NCS 교육과정에서 교과군에 따라 인력 양성 유형을 설정하였으며, 본 연구와 관련한 교과군은 음식조리와 식품가공 교과군으로 각각 구분하였다(Kim, 2017).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식품·조리 교과군으로 통합되었으며, 이는 음식조리 교과군으로의 학과 개편 수요 증가(Ahn, 2020), 음식조리와 식품가공 교과군 학생 수 증가(Byun et al., 2023), 관련 산업의 인력 양성 요구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2023년 식품·조리 교과군 졸업생 21,140명 중 취업자 6,006명, 대학 진학자 10,346명, 그 외 4,139명은 취업 여부 확인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 식품·조리 교과군의 취업률이 진학률에 비해 낮고, 20%는 졸업 이후 직업 경로 선택 결과가 집계조차 되지 않고 있다(Education Statistics Service, 2023). 이는 학생 선호도가 증가하여도 식품・조리업의 취업률 향상으로 연결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이 취업보다 대학 진학을 선택하는 원인을 찾아볼 필요가 있으며, 식품·조리업에 대한 인식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식품・조리 분야는 우리나라 고유의 식문화를 형성하여 안전한 식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고, GDP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중요한 산업이다(Ministry of Education, 2022). 따라서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미래 식품・조리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2. 이미지 분석

이미지 분석의 기원은 미국의 심리학자 Osgood의 의미분별법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 이는 같은 차원상의 의미가 반대인 어휘를 구성된 여러 쌍의 집단을 통해 특정 대상물의 의미를 분별하는 의미해석론적 방법이다(Kim, 2007). Osgood(1957)은 상호 반대 의미를 가지는 형용사군을 통해 개인이나 집단에게 특정 주제에 대해 노출하고 이를 리커드형 척도에 기술하도록 하여, 개인이나 집단의 함축의 표현을 연구하였다. 따라서 이미지 분석은 일반적인 설문 조사를 통한 연구와 다르게 형용사 군을 통한 직관적인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문장 독해력이 낮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Hwang et al, 2022)

이미지 분석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Kim and Kim(2013)의 연구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을 연구하였다. 중학교에서 진로 교육을 받은 학생의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연구 당시 20% 수준의 중학생들이 경험한 진로교육의 확대를 주장하였다. Kim and Lee(2010)는 공업계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공학’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공학’은 중요하고 가치가 있다는 긍정적 이미지와 함께 어렵고 복잡하고 위험하다는 부정적 이미지가 있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Hwang et al.(2022)은 부산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이미지 분석을 실시하여, 중학생들이 특성화고등학교 진학에 대한 인식을 연구하였다. 특히 연구를 통해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다양한 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긍정적 이미지가 높다고 주장하였다. Lee et al.(2024)는 수산·해운계 마이스터고인 해사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수산·해운업에 대한 이미지가 학교의 소재지, 전공, 학년 및 가족의 수산·해운업 종사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식품·조리업에 대한 이미지 분석 연구는 외식 관련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타 셰프에 대한 이미지와 조리사에 대한 직업관 형성에 심리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한 Kang(2018)과 스타 셰프의 소셜미디어 방송 출연에 대한 조리사의 주관적 인식 연구 등이 대표적이다(Kim and Chung, 2017). 하지만 식품·조리업에 대한 이미지 분석 연구는 의미분별법에서 기원된 형용사군을 통한 측정이 아닌 일반적인 설문을 통해 연구된 것이라 차이가 있다. 따라서 공업계열, 수산·해운계열 등에서 선행 연구가 이루어진 의미분별법에 따른 이미지분석을 식품·조리 교과군에서 수행해보고 비교해 볼 필요성이 있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 방법

가. 조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 부산, 울산, 경남 소재의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은 2024년 5월 2일부터 2일간 총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그 중 불성실 및 누락 문항이 있는 16부를 제외하고 184부를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Table 1>과 같다.

General background of study subjects

나. 측정 도구

본 연구에서는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이 인식하는 미래 식품·조리산업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해 Kim and Kim(2013)이 개발한 조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이는 Osgood et al.(1957)이 제시한 50개의 형용사 군과 선행 연구에서의 21개의 형용사 군을 바탕으로 내용타당도(CVR: Content Validity Ratio)를 구하였다. 전문가 집단이 10명일 때의 내용타당도 기준값인 0.62를 만족하는 11개의 형용사 군을 최종 선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신뢰도인 Cronbach’s ɑ 값은 .827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11개 형용사군을 식품·조리 교과군 교사 3명, 교육학 박사 2명을 통해 본 연구대상에게 적합한지 추가 검증과정을 거쳤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선정된 형용사 군은 <Table 2>와 같다.

Image adjective group for fisheries and shipping industry


Ⅳ. 연구 결과

1. 미래 식품·조리업에 대한 이미지분석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미래 식품·조리업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은 3.710으로 보통(중간)의 인식을 나타내었다.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미래 식품·조리업에 대한 이미지는 전반적으로 긍정적 이미지와 부정적 이미지의 중간 정도의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미래 식품·조리업에 대한 상위의 긍정적 이미지로는 쓸모있는, 가치있는, 전문적인이고, 미래 식품·조리업에 대한 상위의 부정적 이미지는 위험한, 간단한, 쉬운이다.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미래 식품·조리업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Image of the future food and cooking industry

2. 성별에 따른 미래 식품·조리업의 이미지 차이

성별에 따른 식품·조리업의 이미지 차이를 보면 3개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학생이 높게 나타난 항목은 ‘강한’, ‘흥미있는’이며, 여학생이 높게 나타난 항목은 ‘복잡한’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4>과 같다.

Differences in the image of food and cooking industries by gender

3. 소재지에 따른 미래 식품·조리업의 이미지 차이

소재지에 따른 미래 식품·조리업의 이미지 차이에서는 3개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구체적으로 ‘강한’에서 인천이 부산보다 높게 나타났다. ‘능동적인’에서 부산이 경남보다 높게 나타났다. ‘재미있는’에서 인천이 부산보다 높게 나타났다. 소재지에 따른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5>과 같다.

Differences in image of food and cooking industries according to location

4. 학년에 따른 미래 식품·조리업의 이미지 차이

학년에 따른 미래 식품·조리업의 이미지 차이에서는 2개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구체적으로 ‘강한’에서 1학년이 3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재미있는’에서 1학년이 3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Differences in the image of food and cooking industries by grade


Ⅴ. 결 론

1. 결론

인천, 부산, 울산, 경남의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미래 식품·조리업에 대한 이미지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은 미래 식품·조리업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긍정과 부정의 중간 정도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식품·조리 전공 선택에 대한 만족도 또한 높거나 낮지 않은 중간 정도 수준일 것으로 유추할 수 있으며, 전공에 대한 진로 적성이나 고민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식품·조리업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가 명확하지 않은 것은 진로를 결정하고 특성화고등학교를 선택하여도 대학 진학으로 진로를 우회하는 비중이 높을 수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부분 일치한다(Kim and Choi, 2012). 따라서, 식품·조리업에 대한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해결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미래 식품·조리업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로 ‘쓸모있는’, ‘가치있는’, ‘전문적인’에서 유의미한 값이 높은 점을 고려하여 식품·조리업에 대한 긍정적 가치와 올바른 직업관이 확립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실습 교육, 교육 환경 구축, 산업체와 연계된 프로그램 개발 등을 제안한다. 또한, 부정적 이미지에서 ‘위험한’의 항목에서 유의미한 값이 높은 점을 고려하여 안전교육을 강화하고, 안전 수칙을 준수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는 교육 방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성별에 따른 미래 식품·조리업의 이미지 분석 결과 ‘강한’, ‘흥미있는’의 2개 항목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복잡한’, 의 항목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른 이미지 차이는 식품·조리업의 대표적인 인력 양성 유형인 조리사가 남성 위주의 임무로 여겨진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Kang, 2018). 또한 남학생이 인식하는 식품·조리업에 대한 이미지는 Moon et al.(2021)의 선행연구와 같은 도제식 근무 환경, 장시간·고강도의 육체적 노동과 같은 호텔 주방이나 케이터링 업체와 같은 이미지인 반면, 여학생이 인식하는 식품·조리업은 카페나 베이커리와 같은 소상공인 업체를 연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유추할 수 있다. 이는 호텔이나 케이터링 업체의 경우 고강도 노동 군대식 문화로 인해 남학생을 선호하고, 카페나 베이커리의 경우 소비자와 대면 접점이 높을 수 있어 여학생을 선호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러한 부분은 식품·조리업에 있어서 보이지 않는 성별의 장벽을 만들 수 있다. 남학생의 경우 더욱 낮은 육체적 노동을 희망할 수 있고, 여학생의 경우 더욱 전문적인 식품·조리업을 희망할 경우 취업이 아닌 진학을 확대시킨다. 따라서 교사들은 수업에 있어서 학생들이 성별에 따른 식품·조리업에 대한 고정관념에 몰입되지 않도록 교육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성별에 구애되지 않고 성공한 선배와의 대화 등 고정관념을 타파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셋째, 소재지에 따른 미래 식품·조리업의 이미지 분석 결과 ‘강한’, ‘능동적인’, ‘재미있는’의 3개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강한’은 인천이 부산보다 높게 나타났고, ‘능동적인’은 부산이 경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재미있는’은 인천이 부산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특정 형용사군에 있어 수도권이 지방보다 긍정적 반응이 높고, 대도시가 중소도시보다 긍정적인 반응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특히 부산은 인천에 비해 지역내총생산(GRDP)에서 서비스업의 비중이 월등히 높으나 ‘강한’과 ‘재미있는’의 인식이 인천이 부산보다 높다는 점은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 이는 부산의 식품·조리업이 양적인 성장은 이루고 있으나 질적인 측면에서는 수도권에 비해 경쟁력을 잃고 있다는 점을 유추할 수 있다.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 비대면 수업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크게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진로교육에 있어 수도권 스타쉐프의 강의와 양방향 질의응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 교사들도 수도권의 트랜디한 레시피 및 창업 아이템에 대한 연수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지역의 청년 인구 유출을 막고 지방 정주형 인력 양성을 위한 생태계 조성에 도움을 줄 것이다.

넷째, 학년에 따른 미래 식품·조리업의 이미지 분석 결과 ‘강한’, ‘재미있는’의 2개 항목에서 1학년이 3학년보다 높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식품·조리군 특성화고등학교의 입학생의 경우 미래 식품·조리업에 대한 긍정적 희망을 품고 입학하였으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식품·조리업의 미래가 약하고 지루하다고 느끼는 점은 매우 심각한 결과이다. 이는 2022 개정교육과정에 있어서 식품·조리교과군의 교과서 개발에 있어서도 큰 시사점을 줄 수 있으며, 3학년 학생들의 현장실습에 있어서도 현 체제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학년이 올라갈수록 식품·조리업이 약하다는 인식은 대학으로의 진학이나 전공분야와 관련 없는 취업을 유발시킬 수 있어 식품·조리군 특성화고의 설립취지에 어긋난 진로를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식품·조리 교과군의 교육과정이 지나치게 자격증 취득 위주의 반복 기능 훈련에 편중되어 있다는 Kim(2022)의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학년에 따라 개별 기능 습득 속도를 고려한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한다. 아울러 일률적인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기보다, 학년에 따른 진로 발달과 진로 변경 등을 고려하여 진로 지도방법이 개별화되어야 한다. 또한, 학년 변화를 고려한 진로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

2. 논의

본 연구 결과와 결론을 토대로 정리한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맞춤형 교육의 필요성이 있다. 현재 대학의 직업교육은 기존의 교육부 중심의 LINC사업에서 지자체 중심의 RISE 사업으로 변화를 앞두고 있다. 이는 각 지역의 현실에 맞는 직업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소재지에 따른 이미지의 차이를 보인 점을 바탕으로 각 지역의 식품·조리업과 관련된 미래산업전략과 맞춤형 직업교육이 중등교육 단계에서부터 필요할 것이다.

둘째, 식품·조리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한 진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산업사회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하여 특성화고의 교육만으로 자신의 미래가 불확실한 것으로 인식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점은 전공 관련 직업 선택을 망설이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Lee, 2024). 따라서 식품·조리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함양하고 건전한 직업관을 가진 식품·조리 인재를 길러내기 이한 다양한 진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취업에 국한된 중등 직업교육 정책의 유연적 태도 변화를 제안한다. 현재 중등 직업교육의 취업 위주 정책은 취업 이외의 진로를 선택하기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어 직업계고의 진로 결정을 망설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대학 학력이 필요하지 않은 직업이나 진로를 선택하였다가 특성화고 재학 중 진로를 변경하거나, 진로 결정이 계획대로 수립되지 않을 가능성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중등 직업교육의 운영 방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인천, 부산, 울산, 경남의 식품·조리 교과군 특성화고 학생을 대상으로 수행하였기에 전체 식품·조리 교과군을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으나 한정된 대상으로 많은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연구 대상의 지역과 표본의 수를 확대된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References

  • Byun SY, Kim HJ and Shin DJ(2023). Analysis of trends in vocational high school department reorganization over the past five years. KRIVET Issue Brief. 2023~254.
  • Ha JY and Yoo MH(2017). Nurse Image and Image Determinants - Comparison of Nurse Aids and Nurse Aid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2), 485~495. [https://doi.org/10.35873/ajmahs.2017.7.2.046]
  • https://kess.kedi.re.kr/, (2023 vocational high school employment statistics annual report).
  • Hwang MY, Park JU and Lee GB(2022). Image analysi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targeting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vocational education. 41(3), 87~105. [https://doi.org/10.37210/JVER.2022.41.3.87]
  • Kim CW and Jung IY(2017). A Study on Culinary Staffs' Subjective Perception of Star Chefs' Appearance in Cooking Broadcas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2), 236~246. [https://doi.org/10.5392/JKCA.2017.17.12.236]
  • Kim JY(2017). Current status of NCS-based curriculum application and direction for improvement in specialized high schools. The HRD Review. 20(6), 32~45.
  • Kim KS and Lee CH(2010). Study on images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oward ‘engineering’ through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35(2), 25~42.
  • Kim MH(2022).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NCS confectionery class model based on blendedlearning for job competency improvem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usan.
  • Kim SH(2007). Study on Imag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Provinces of Gyeong-gi toward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 Education. Chungnam University, Chungcheongnam-do.
  • Kim YH and Kim TH(2013). Image analysi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recognized by middle school studen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38(2), 114~135.
  • Lee GB(2024).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Major Satisfaction in Specialized High Schools: A Multi-Group Analysis between Gender.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6(3), 634~642. [https://doi.org/10.13000/JFMSE.2024.6.36.3.634]
  • Lee GB, Lee MR and Park JU(2024). Analysis of the Image on Fisheries and Shipping Industries Recognized by National Maritime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6(4), 751~724. [https://doi.org/10.13000/JFMSE.2024.8.36.4.715]
  • Lee KC and Kim YM(2016). Social Worker's Image Perceiv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Comparison of the Image of Social Worker and Nurse.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3). 528~536. [https://doi.org/10.5762/KAIS.2016.17.3.528]
  • Ministry of Education(2022). Food and cooking specialized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tification No. 2022-33 [Separate Volume 28].
  • Moon SY, Son Ma and Song RR(2021). A Study on the Precarious Work Experiences of Young Cooks: Focusing on the Meaning of Creative Labor in Apprenticeship Employment Practices.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27(3), 347~397.
  • Osgood CE, Gearge JS and Percy HT(1957). The Measurement of Meaning. Illinois, USA.

<Table 1>

General background of study subjects

Division Frequency Percentage
Gender Boy 86 46.7
Girl 98 53.3
Location Incheon 46 25.0
Busan 54 29.3
Ulsan 61 33.2
Gyeongsangnam-do 23 12.5
School year 1st grade 42 22.8
2nd grade 43 23.4
3rd grade 99 53.8

<Table 2>

Image adjective group for fisheries and shipping industry

Weak - Strong Passive - Active Dishonest - Honest
Worthless - Valuable Useless - Useful Unprofessional - Professional
Simple - Complicate Easy - Difficult Dangerous - Safe
Boring - Interesting Conservative - Progressive

<Table 3>

Image of the future food and cooking industry

Division N M SD skewness kurtosis
weak - strong 184 3.60 .80 -.27 -.04
passive - active 184 3.40 .65 -.18 1.16
dishonest - honest 184 3.77 .88 -.26 -.64
worthless - valuable 184 4.14 .77 -.76 .83
useless - useful 184 4.16 .75 -.44 -.62
unprofessional - professional 184 4.06 .87 -.81 .55
simple - complicate 184 3.45 .98 -.14 -.18
easy - difficult 184 3.51 .93 -.33 .22
dangerous - safe 184 3.16 1.09 .07 -.74
boring - interesting 184 3.90 .84 -.54 .41
conservative - progressive 184 3.61 .92 -.25 -.17
Total 184 3.71 .86 -.36 .07

<Table 4>

Differences in the image of food and cooking industries by gender

Division Gender N M SD t
*p<.05, **p<.01, ***p<.001
weak - strong Boy 86 3.74 .75 2.24*
Girl 98 3.48 .84
passive - active Boy 86 3.43 .67 .44
Girl 98 3.38 .63
dishonest - honest Boy 86 3.86 .92 1.28
Girl 98 3.69 .84
worthless - valuable Boy 86 4.17 .79 .45
Girl 98 4.12 .74
useless - useful Boy 86 4.10 .79 -1.07
Girl 98 4.22 .71
unprofessional - professional Boy 86 3.95 .91 1.62
Girl 98 4.16 .83
simple - complicate Boy 86 3.19 1.07 -3.36**
Girl 98 3.67 .84
easy - difficult Boy 86 3.41 .96 -1.25
Girl 98 3.59 .90
dangerous - safe Boy 86 3.16 1.11 -.00
Girl 98 3.16 1.08
boring - interesting Boy 86 4.07 .64 2.49*
Girl 98 3.76 .96
conservative - progressive Boy 86 3.55 .91 -.77
Girl 98 3.66 .93

<Table 5>

Differences in image of food and cooking industries according to location

Division Location N M SD F Scheffe
*p<.05, **p<.01, ***p<.001
weak - strong Incheon1) 46 3.91 .66 5.91** 1>2
Busan2) 54 3.29 .81
Ulsan3) 61 3.55 .84
Gyeongnam4) 23 3.82 .71
passive - active Incheon1) 46 3.28 .77 3.57* 2>4
Busan2) 54 3.59 .56
Ulsan3) 61 3.44 .64
Gyeongnam4) 23 3.13 .45
dishonest - honest Incheon1) 46 3.78 .81 .26
Busan2) 54 3.72 .91
Ulsan3) 61 3.75 .92
Gyeongnam4) 23 3.91 .84
worthless - valuable Incheon1) 46 4.21 .66 .68
Busan2) 54 4.07 .88
Ulsan3) 61 4.09 .81
Gyeongnam4) 23 4.30 .55
useless - useful Incheon1) 46 4.13 .68 .49
Busan2) 54 4.14 .85
Ulsan3) 61 4.14 .77
Gyeongnam4) 23 4.34 .57
unprofessional - professional Incheon1) 46 3.93 .80 1.16
Busan2) 54 4.03 1.06
Ulsan3) 61 4.08 .84
Gyeongnam4) 23 4.34 .57
simple - complicate Incheon1) 46 3.37 .95 .42
Busan2) 54 3.50 1.02
Ulsan3) 61 3.52 .97
Gyeongnam4) 23 3.30 1.01
easy - difficult Incheon1) 46 3.39 .88 .86
Busan2) 54 3.61 .83
Ulsan3) 61 3.44 1.08
Gyeongnam4) 23 3.69 .82
dangerous - safe Incheon1) 46 3.10 .92 1.42
Busan2) 54 2.96 1.14
Ulsan3) 61 3.37 1.15
Gyeongnam4) 23 3.17 1.07
boring - interesting Incheon1) 46 4.13 .68 2.80* 1>2
Busan2) 54 3.68 1.01
Ulsan3) 61 3.86 .74
Gyeongnam4) 23 4.08 .84
conservative - progressive Incheon1) 46 3.65 .73 .63
Busan2) 54 3.51 .98
Ulsan3) 61 3.59 1.00
Gyeongnam4) 23 3.82 .886

<Table 6>

Differences in the image of food and cooking industries by grade

Division Grade N M SD F Scheffe
*p<.05, **p<.01, ***p<.001
weak - strong 1st grade1) 42 3.92 .51 4.56* 1>3
2nd grade2) 43 3.51 .82
3rd grade3) 99 3.50 .87
passive - active 1st grade1) 42 3.47 .55 .51
2nd grade2) 43 3.44 .62
3rd grade3) 99 3.36 .70
dishonest - honest 1st grade1) 42 3.71 .59 .13
2nd grade2) 43 3.81 .93
3rd grade3) 99 3.77 .96
worthless - valuable 1st grade1) 42 4.21 .68 .55
2nd grade2) 43 4.20 .86
3rd grade3) 99 4.09 .77
useless - useful 1st grade1) 42 4.14 .64 .37
2nd grade2) 43 4.25 .78
3rd grade3) 99 4.14 .78
unprofessional - professional 1st grade1) 42 4.00 .66 .39
2nd grade2) 43 4.16 .81
3rd grade3) 99 4.05 .98
simple - complicate 1st grade1) 42 3.50 .91 1.23
2nd grade2) 43 3.62 1.06
3rd grade3) 99 3.35 .97
easy - difficult 1st grade1) 42 3.50 .74 .29
2nd grade2) 43 3.60 1.11
3rd grade3) 99 3.47 .92
dangerous - safe 1st grade1) 42 3.07 1.04 .20
2nd grade2) 43 3.16 1.15
3rd grade3) 99 3.20 1.09
boring - interesting 1st grade1) 42 4.40 .62 14.34*** 1>3
2nd grade2) 43 4.02 .70
3rd grade3) 99 3.64 .87
conservative - progressive 1st grade1) 42 3.61 .58 .13
2nd grade2) 43 3.67 1.01
3rd grade3) 99 3.58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