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6, No. 6, pp.1294-1303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4
Received 31 Oct 2024 Revised 03 Nov 2024 Accepted 09 Nov 2024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4.12.36.6.1294

사회적 지지과 학업 성취 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 분석 연구

구춘양 ; 형달 ; 허균
국립부경대학교(학생)
국립부경대학교(교수)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Performance
ChunYang GU ; Da XING ; Gyun HEO
Pukyong National University(stud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051-629-5970, gyunheo@pukyong.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performance from a meta-perspective. The research method is a meta-analysis method, and 26 related data published between September 2005 and September 2024 were utilized. The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size using a random effects model. The validity of this data analysis was secured through heterogeneity, publication bias, and moderation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was a medium-siz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he change in the study period and the parameter were found to be the main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hievement. This study recommends that educators and policy makers prioritize and encourage social support while acknowledging the influence of family and peers on academic performance. They should support the creation of a mor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ake every effort to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overall quality of education.

Keywords:

Academic performance, Correlation coefficient r value, Meta-analysis, Social support, Variable relationship

I. 서 론

‘사회적지지’는 중요한 심리학 및 사회학적 개념으로, 20세기 70년대 이후로 널리 주목받아왔다. Raschke(1977)은 사회적 지지를 개인이 타인으로부터 받는 관심과 지원으로 정의하였고, Kahn과 Antonucci(1980)는 사람들 간의 도움 및 관심 그리고 인정으로 정의하였다.

Cullen(1994)은 사회적 지원을 개인이 커뮤니티, 사회적 네트워크 또는 친척과 친구들로부터 받는 물질적 또는 정신적 도움으로 정의하였다. Hwang(2013)은 사회적 지지를 감정적 지지(공감, 애정, 신뢰), 수단적 지지(도움), 정보적 지지(대처 정보 제공), 평가적 지지(자기 평가 관련 정보 제공)의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이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학자들의 통일된 정의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의 연구자들의 견해를 바탕으로 사회적 지원을 교사, 부모, 동료 등으로부터 외부에서 받는 다양한 형태의 지원으로 정의하였다. 이는 정신적 및 물질적 돌봄, 위로, 도움, 심리적 의존 등을 포함하였다. 사회적 지지는 여러 연구에서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입증되었다. 사회적 지지는 학업 성취도에도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Zheng Shoujie, 2007).

학업 성취도는 학생의 학문적 성과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Zheng Shoujie(2007)는 학업 성취도를 학생이 학문 분야에서 보이는 성과로 정의하였다. 이 성과에는 학과 지식의 습득, 학술 기술의 발전 및 학업 목표 달성을 포함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업 성취도를 학교에서의 학과 학습 성적, 학술 프로젝트 완료 여부 및 연구 논문의 질 등을 포함한 개인의 학업 성과로 정의하였다.

많은 실증 연구에서 사회적 지원과 학업 성취도 간의 관계를 탐구하였다. 교사, 부모, 동료 및 지역 사회의 지원 등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교사의 지원을 자율적 지원, 정서적 지원 및 학업 지원으로 세분화하여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세밀하게 조사하거나 학업 성취도에서의 사회적 지원의 매개 변수를 학습 참여, 자존감, 학생 참여, 희망, 자기 효능감, 학업 자기 개념 등의 변인을 탐구하였다(Smithikrai et al, 2018; Jie Lia et al, 2018; Jiang Shurui, 2020; Zheng Ke, 2023; Guo Wenjing and Bian Yufang, 2013). 이러한 연구들은 사회적 지원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데 더 풍부한 이론적 틀과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사회적 지원이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밝힌 연구가 우세하지만 반면, Seo(2018)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는 학업지속에 영향을 미치지만 학업 성취와 밀접한 전공몰입과는 유의한 예측 변인이 아니라고 밝혔다. 그리고, 보고되는 연구마다 그 효과 크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방법을 통해 사회적 지지지와 학업 성취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교육적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첫째, 사회적 지지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전체적인 효과 크기는 얼마인가?
  • 둘째, 사회적 지지와 학업 성취 간의 관계에서 조절변인으로써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

Ⅱ. 연구 방법

1. 문헌 검색 및 검토 기준

문헌 검색은 중국어, 영어, 한국어로 검색하였다. 주요 키워드는 “사회적 지지, 교사 지지, 친구 지지, 부모 지지, 가족 지지, 학습 투자, 학업 투자, 학생 참여, 학업 성과, 학업성취, 학습성과, 학업성취도”와 “social support, teacher support, friend support, peer support, parental support, family support, learning engagement, learning strategies, academic engagement, student engagement, student participation, student involvement, self-regulation, motivation,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performance, academic success, learning achievement, learning outcome, learning performance”를 사용하였다. 데이터베이스는 CNKI, Wan fang, CQVIP, Baidu Academic, Google Scholar, Web of science, Scopus, ScienceDirect, KCI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2005년 9월부터 2024년 9월까지 발표된 연구 논문을 수집하여 본 메타분석에 유효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유효한 26개의 연구 자료를 선정하였다. 최초 수집된 논문은 총 9,026편이었지만 다음과 같은 자료 심사 기준을 적용하였다. 표본 크기, 평균, 표준 편차, p 값, 출판된 논문, 제목에 사회적 지지와 학업성적을 포함 여부, 사회적 지지와 학업성취를 키워드에 포함여부, 문헌 데이터의 출처, 학업 성취도 평가는 지식에 초점을 둔 것으로 비인지 능력 평가는 배제하여 최종적으로 26개의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자료 분석은 무작위 효과 모형을 채택하였다. 초기 검색 기준으로 문헌에 대해 정량적 데이터 결과를 제시하고, 연구 내용은 사회적 지지와 학업 성과의 관계에 중점을 두었다. 세부 절차의 내용은 [Fig. 1] 과 같다.

[Fig. 1]

Screening Process.

2. 자료 코딩

메타분석 코딩 원리에 따라 문헌정보는 제1저자와 출판년도, 문화적 배경, 출판형태, 표본수, 변수관계, 상관계수 r값, 주제에 따라 코딩하였다. 독립표본을 바탕으로 사회적 지지와 학업수행성과의 효과크기를 계산하였고, 총 26개 문서의 특성의 결과는 <Table 1>과 같다.

Literatu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and basic information

효과 크기에 데이터를 입력할 때 문헌에서 사회적 지지 유형과 인지된 사회적 지지 사이의 상관계수를 보고하는 경우 이러한 효과 크기를 별도로 입력하였고, 동일한 학업 성취 범주가 과목 전체에 걸쳐 보고된 경우 이를 평균화하였다. 특히, 본 연구가 교사 지지 인지, 부모 지지 인지, 동료 지지 인지의 세 가지 지표 효과 값을 동시에 다루었고, 총 사회적 지지와 인지 사회적 지지 모두 통계적 의미에서 총 지지 값으로 정리하였다. 위의 코딩 요구사항에 의거하여, 연구자 두 명이 각각 독립적으로 코딩하였고,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서로의 의견수렴의 과정을 거쳐 합의점을 찾아 진행하였다. 코딩 일관성은 98%였다.

3. 데이터 입력 및 처리

데이터 분석의 목적은 사회적 지지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하고, 잠재적 변수의 조절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었다. 데이터 입력 및 처리 단계에서는 먼저 수집된 문헌데이터를 정리하고 분류하였다.

연구방법에서 언급한 코딩 요구사항에 따라 사회적 지지와 인지된 사회적 지지 사이의 상관계수, 학업성취유형, 교과목을 각 문서에 상세히 기록하였다. 동일한 연구 내 여러 과목의 학업 성취도에 대해 데이터를 단순화하고자 평균을 계산하였다. 또한 인지된 교사 지지, 인지된 부모 지지, 인지된 동료 지지를 포함하는 연구의 경우 전체 사회적 지지 수준을 반영하기 위해 총 지지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데이터 입력 시 데이터 관리를 위한 전문 통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정확성과 완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입력이 완료 후 이상값과 불완전한 데이터를 제거하기 위해 데이터 클리닝을 수행하여 후속 분석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데이터 정리 후, ​​데이터의 기본 분포를 결정하기 위해 예비 기술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간 효과 크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동질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질성이 큰 경우 연구시간, 매개변인 등 가능한 통제변수를 추가로 탐색하고 통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여러 단계를 통해 우리는 사회적 지지와 학업 성과 사이의 관계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고, 후속 결론 및 권장 사항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전체효과크기

효과크기는 .45로 보통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효과 크기에서 이상치 및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효과 크기를 검정한 결과, 26개의 독립 연구에서 잔차가 모두 1 미만이고, Df Beta 값도 모두 1 미만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별 데이터 포인트가 모델 적합성에 과도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이상치나 잠재적으로 위협이 되는 효과 크기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였다. 모든 연구가 메타분석에 포함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able 2>와 같이 I² 값이 99.08%로 매우 높은 이질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Q 검정의 p값이 .001보다 유의하다. 이러한 유의미한 결과를 고려하여, 이질성을 초래하는 잠재적 요인을 심층적으로 탐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질성의 원인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연구 연도에 따라 하위 그룹으로 나누거나 잠재적 매개 변수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하위 그룹 분석을 고려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는 서로 다른 하위 그룹 내에서 효과 크기의 차이를 보다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으며, 잠재적 영향 요인을 밝혀 연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Qualitative tests and average effects based on random effects model

연구데이터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출판 편향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는 메타분석에서 중요한 단계로, 연구 결과가 미발표 연구의 영향을 받아 결과에 편차가 발생했는지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출판 편향을 검정하기 위해 funnel plot과 Egger 회귀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먼저, funnel plot을 살펴보면([Fig. 2] 참조) 사회적 지지와 학업 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효과 크기는 양측이 대체로 대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명백한 출판 편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추가적으로 Egger 검정을 진행하였고(<Table 3> 참고), 분석 결과 p값이 .73으로 유의하지 않아 출판 편향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Fig. 2]

Funnel chart.

Publication bias test

메타분석 결과, 조사된 모든 연구와 과제에서 이질성 수준(I² = 99%)이 50%를 크게 초과했기 때문에 우리는 무작위 효과 모델을 채택하여 데이터를 종합 분석하였다. 이 모델를 활용하여 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와 학업 성취도 간의 상관관계 효과 크기는 r = .45로, 신뢰 구간은 [.30, .57]이었다. 이는 두 변수 간에 중간 정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모든 상관관계의 P값이 .01 미만으로 나타나, 사회적 지지와 학업 성취도 간에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2. 조절 효과 검증

사회적 지지와 학업 성취도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더 깊이 탐구하기 위해 하위 그룹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발표 시점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표 시점을 10년 단위의 두 가지 범주로 나누었다([Fig. 3] 참조). 두 하위 그룹의 I² 값은 모두 99%로, 이질성이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연구 설계, 참가자 특성 또는 기타 혼재 요인에 따른 차이로 인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고정 효과 모델 하에서는 두 하위 그룹의 효과 크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무작위 효과 모델 하에서는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Fig. 3]

Forest plot of effect size (r) for two subgroups of publication time.

이는 각 연구의 이질성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하위 그룹 간 차이가 비교적 뚜렷하지만, 이질성을 고려하면 두 하위 그룹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사회적 지지와 학업 성과 간에 있어 발표 시점의 조절적 역할에 대해 전체 효과 크기가 .42에서 .45사이로 나타났다. 이는 전반적으로 중간 정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중재 변수 유형에 따라 파일을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Fig. 4] 참조). 두 그룹 간 P값은 모두 .01 미만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비록 두 하위 그룹 모두 높은 이질성(I²=99%>50%)을 나타냈지만, 두 하위 그룹의 효과 크기는 모두 사회적 지지가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F값은 연구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며, 이는 연구 설계의 차이, 측정 도구의 차이와 같은 이질성의 잠재적 원인을 더 깊이 탐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그림에서 중재 효과가 있는 사회적 지지가 학업 성취에 일정한 촉진 효과가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고정 효과 모델 하에서는 하위 그룹 a와 b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으나, 무작위 효과 모델 하에서는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연구 간 변동을 고려할 경우 두 하위 그룹 간의 차이가 그렇게 중요하지 않음을 알 수 있지만, 고정 효과 모델 하에서는(이질성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차이가 유의미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Fig. 4]

Forest plot of effect size (r) for the two subgroups of the mediating variable.


Ⅳ. 결 론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과 학업 성취 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을 수행하고 교육적 실천을 위함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사회적 지원과 학업 성취 간에 중도 정도의 양의 상관 관계가 존재함을 보여 줍니다 (r = .45), 이는 이전 연구 결과들과 일치한다(Zheng Ke, 2023), 그러나 Khulbe(2024)의 연구와는 반대로, 사회적 지원과 학업 성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r = -.060, p = .242), 또한 본 연구에서는 매우 높은 이질성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이상치나 효과 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별 데이터는 발견되지 않았다. Egger 회귀 분석 결과는 편향이 발견되지 않았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하위 그룹 분석에서, 서로 다른 시간대나 중재 변수의 존재를 고려하든지 간에, 사회적 지지는 학업 성취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일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Ojeaga(2020) 연구 의견과도 일치한다. 효과 크기는 여전히 중도 정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따.

첫째, 사회적 지지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높은 수준의 이질성은 연구 설계, 참가자 특성, 문화적 배경 또는 측정 도구의 차이로 인해 연구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향후 연구는 이질성의 영향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하며, 이는 보다 엄격하고 균일한 연구 설계와 표준화된 측정 도구 및 잠재적 혼란 요인의 제어를 통해 결과를 도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연구시간의 차이와 매개 변인에 따라 사회적 지지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지지가 학업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타났다. 이는 최근의 교육환경 개선 및 사회적 지원 전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동시에 매개변인의 존재는 사회적 지지가 학생의 자존감 향상, 학습참여, 자기효능감 향상, 불안 감소, 학습동기 강화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Zhongli, 2019)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학업 성과는 단순히 성적 향상을 넘어 학생의 전반적인 심리적 웰빙과 연결된다. 사회적 지지가 학생의 성공적인 학업생활 뿐 아니라 동시에 웰빙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교육적 개입으로서 중요한 전략을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후속 연구로서 종단연구, 질적 연구, 중재 연구, 문화비교 연구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특히, 문화 비교 연구는 한국 내 유학생 진입과 적응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대학의 운영 전략 등으로 현장에 적용 개입할 다양한 여건들을 마련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s

  • Apeh H(2020). Impact of Social Support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Senior Secondary Schools in the Federal Capital Territory, Abuja, Nigeria. Ilorin Journal of Education, 40(2): 59~69.
  • Atnafu M(2013). Motivation, Social Support, Slienation from the School, and Their Impact on Students’ Achievee Sudents.  Ethiopian Journal of Education and Sciences, 15(2): 53~74.
  • Çanakkale(2016). The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Academic Achievemment in Mathematics: The Case of Tenth-gradent of Health College Students. Psikiyatri Hemşireliği Dergisi - Journal of Psychiatric Nursing 2016;7(1): 1~6.
  • Jeon So-yeon(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Health Status, College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11(1): 93~115.
  • Crawley M(2014).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and selected demographics on physical activity, dietary behavior,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Kent State University, College an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ealth, and Human Services.
  • Cullen FT(1994). Social support as an organizing concept for criminology: Presidential address to the Academy of Criminal Justice Sciences. Justice Quarterly, 11(4): 527~559.
  • Ge AR(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Left-behind Children. Journal of Zunyi Normal University, 22(6): 157~160.
  • Guo WJ and Bian Y(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ighth Graders—The Mediating Role of Academic Self-concept. Psychological Science, 36(3): 627~631.
  • Hwang HJ(2013). Influences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on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Living in Poverty: Focused on Children Using Local Children's Centers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Seoul, South Korea.
  • Jiang SR (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Junior High School Sudents (Master’s thesis). Shandong Normal University, Jinan, China.
  • Li J, Han X, Wang SW, Sun G and Cheng ZM(2018). How Social Support Influences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Emotional Exhaustion: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https://www-sciencedirect-com-s.libyc.nudt.edu.cn/science/article/pii/S1041608017302133, .
  • Kahn RL and Antonucci TC(1980). Convoys Over the Lfe Course: Attachment, Roles, and Social Support. In P. B. Baltes & O. G. Brim Jr. (Eds.), Life-span Development and Behavior (Vol. 3, pp. 253~278). Academic Press.
  • Kalyon A,Ibrahim D and Hikmet Y(2016).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handicapping Tendency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Traits, Anxiety Sensitivity, Social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Dusunen Adam: The Journal of Psychiatry and Neurological Sciences, 29: 237~246. [https://doi.org/10.5350/DAJPN2016290305]
  • Khulbe P and Janki B(2024).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Sleep and its Effect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Undergraduate Medical Sudents: A Cross-sectional Study. Indian Journal of Community Health, 36(1): 86~94.
  • Kosic M(2021). Social Support among Slovene Minority and Italian Majority Youth in Italy: Links with Positive Identity, Social Compet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L. A. Jensen, & R. A. Rasmussen (Eds.), Handbook of Positive Youth Development: Advancing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in Global Contexts (pp. 175~186). [Springer].
  • Liang J(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Events, Social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Chinese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6(1): 106~108.
  • Liang XL(2020). The Impact of Cognitive Ability on Academic Achievement—A Moderated Mediation Model.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Education, 34(4): 449~461.
  • Lin SY, Sofia M, Claudio L and Paolo B (2024). The Influence of Resilience and Future Orient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During the Tansition to High school: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Support. International Journal of Adolescence and Youth,29(1): 2312863. [https://doi.org/10.1000/xyz123]
  • Liu XH, Zhou M and Guo JD(2023). Effects of EFL Learners’ Perceived Social Support on Academic Burnout: The Mediating Role of Interaction Engagement. Sage Open, 13(4). [https://doi.org/10.1000/xyz456]
  • Malecki CK and Demaray MK(2006). Social Support as a Buff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Academic Performance. School Psychology Quarterly, 21(4): 375~395. [https://doi.org/10.1037/h0084129]
  • Niu YK(2015). Relationship between Reverse Business, Social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and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Henan University.China.
  • Ojeaga ED, and Chinwuba(2020).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Performance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of Madonna University, Nigeria. Journal of Capital Development in Behavioural Sciences, 8(2): 2354~3981.
  • Raschke RL(1977). Social Support and Health: An Exploration of an Nmerging Concept. Nursing Research, 26(6): 378~384.
  • San C, Kyaw H and Guo H (2023). Institutional Support, Social Support, and Academic Performance: Mediating Role of Academic Adaptation.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38(4): 1659~1675. [https://doi.org/10.1007/s10212-022-00657-2]
  • Seo YJ(2018). The Effect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Major Commit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Learning Persistence by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Depart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Seoul, South Korea.
  • Shen QY(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Role of Proactive Personal Growth (Master’s thesis). Guangzhou University, China.
  • Sia N(2014). Perceived Social Support,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Rural Adolescents. Indian Journal of Health and Wellbeing, 5(4): 452~456. Retrieved from http://www.iahrw.com/index.php/home/journal_detail/19#list, .
  • Smithikrai C, Homklin T, Pusapanich P, Wongpinpech V and Kreausukon P(2018).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Academic Success: The Mediating Role of Study Eng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 2018, Vol. 13, lssue 1, 1~14. Behavior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ISSN:1906-4675.
  • Su CY(2019). How Does Perceived Teacher Support Affect Academic Achievement in Eighth Graders?—A Multiple Mediation Effects Analysis based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Engagement (Master’s Thesis, Shanxi University of Technology).
  • Wang Y(2023).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Implicit Self-esteem,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Liaoning Normal University,China.
  • Yin XT(2023). The Impa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Academic Achievement in Master’s Students: The Mediating Role of Academic Emotions (Master’s thesis). Jilin University, China.
  • Yu G(2020).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in College Freshmen: An Analysis based on Learning Burnout, Social Support, and Educational Values. Journal of Liupanshui Normal University, 32(6), 78~87.
  • Zheng K(2023). The Mechanisms and Interventions of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Southwest University, China.
  • Zheng SJ(2007). Social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A Study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35(3): 323~332.

[Fig. 1]

[Fig. 1]
Screening Process.

[Fig. 2]

[Fig. 2]
Funnel chart.

[Fig. 3]

[Fig. 3]
Forest plot of effect size (r) for two subgroups of publication time.

[Fig. 4]

[Fig. 4]
Forest plot of effect size (r) for the two subgroups of the mediating variable.

<Table 1>

Literatu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and basic information

Number First author and Publication Year Educational stage Nation Publication Type Sample Size Relationships Correlation Analysis r Academic Achievement
SS: Social Support; AP: Academic Performance
1 Shurui Jiang,2020 Junior high school China Master 540 SS&AP .680 Chinese, Math and English
2 Chunyan Su,2019 Junior high school China Master 538 SS&AP .309 Comprehensive
3 Jie Liang,2018 Junior high school China Journal 462 SS&AP .200 Chinese, Math and English
4 Ge Yu,2020 University China Journal 541 SS&AP .117 Comprehensive
5 Xiaotong Yin,2023 Master China Master 590 SS&AP .373 Comprehensive
6 Qiangying Shen,2020 High school China Master 715 SS&AP .010 Chinese, Math and English
7 Airong Ge,2020 Elementary school China Journal 316 SS&AP .706 Chinese, Math and English
8 Ke Zhang,2023 Junior high school China Master 300 SS&AP .280 Chinese, Math and English
9 Yan Wang,2023 Junior high school China Master 182 SS&AP .317 Comprehensive
10 Yukun Niu,2015 High school China Master 310 SS&AP .110 Chinese, Math and English
11 Shanyan Lin,2024 High school Italy Journal 958 SS&AP .690 GPA
12 Xiaohong Liu,2024 University China Journal 352 SS&AP .650 English
13 Khulbe,2024 University India Journal 385 SS&AP -.060 GPA
14 Jie Li,2018 University China Journal 262 SS&AP .130 Comprehensive
15 Xingli Liang,2020 Junior high school China Journal 5038 SS&AP .270 Comprehensive
16 Christine Kerres Malecki ,2006 Junior high school USA Journal 164 SS&AP .300 GPA
17 Niranjan Sia,2014 Junior high school India Journal 120 SS&AP .720 Comprehensive
18 Manuella Crawley,2014 Junior high school,High school USA Doctor 75 SS&AP .037 Comprehensive
19 Egheosase Davies Ojeaga,2020 University Nigeria Journal 270 SS&AP .880 Comprehensive
20 Cherry Kyaw San,2022 University multiple countries Journal 410 SS&AP .200 Chinese and English
21 Çanakkale,2016 University Turkey Journal 411 SS&AP .259 WGPAs
22 Jeon So-yeon,2010 University Korea Journal 450 SS&AP .167 Comprehensive
23 Marianna Kosic,2021 Youth Italy Books 526 SS&AP .800 Comprehensive
24 Ayse Kalyon,2016 University Turkey Journal 483 SS&AP .010 GPA
25 Hosea Apeh,2020 High school Nigeria Journal 377 SS&AP .886 Comprehensive
26 Mulugeta Atnafu,2013 Junior high school Ethiopia Journal 864 SS&AP .836 Math

<Table 2>

Qualitative tests and average effects based on random effects model

K r 95%CI Z Qw p
26 .45 .3-.57 5.44 2371.19 <.001 99.08 .198

<Table 3>

Publication bias test

Inspection methods b 95% CI z p
Egger's Regression test .56 .0577-1.0672 -.35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