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7, No. 1, pp.23-34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8 Feb 2025
Received 15 Oct 2024 Revised 02 Jan 2025 Accepted 09 Jan 2025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5.2.37.1.23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 연구에 대한 문헌분석:국내연구중심

정창숙
가야대학교(교수)
Literature Analysis of Psychomotor Intervention in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
Chang-Suk JEONG
University of Kaya(professor)

Correspondence to: ckdtnr2358@naver.co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and the content of mediation through the literature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exercise interven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is study is based on Kiss, Riss, Dbpia, which is one of the major research sites in Korea, based on the academic journals and theses, and 31 theses retrieved through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12 papers KCI bookl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dictive variables of psychological exercise intervention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by analyzing the analysis form of Choi Jeong-gil (2012)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l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showed variable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 type, subordinate variable type, and research target selection criteria. Second, the contents of intervention for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retardation were the intervention environment, intervention interval, intervention session, intervention time, and measurement tools. We analyzed various variables of psychomotor intervention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retardation through analysis of psychomotor intervention literature of developmental retarded infa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variables in the application of psychological exercise program to various subjects as well as developmental retarded infants. I would like to be a psychological exercise program that contributes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ants with developmental retardation based on the application of various intervention methods for practical application.

Keywords:

Psychomotor intervention, Development retarded infant, Variable characteristic

Ⅰ. 서 론

유아기는 한 인간의 신체, 인지, 언어, 사회 및 정서발달의 결정적인 시기로, 피아제는 이 시기를 다양한 경험과 인지발달에 의해 변화되는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유아기는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움직임을 통해 신체적, 사회적, 기능을 외부 자극과 지각을 이루어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을 이루어 가는 과정으로 보았다(Sui, 2018). 신체의 움직임은 특히 발달 과정에 있는 유아들의 신체적, 언어적, 사회적, 인지적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움직임은 신체적 물리적, 사회적 맥락에서 신체의 움직임을 지각하고, 의미 있는 정보를 수집하여 다음 단계의 연속적인 움직임으로 가기 위한 도식을 형성하여 신체적 움직임이 발생하는 과정을 통해 새롭게 인지되는 정보를 지각한다.

대부분의 유아는 다양한 움직임을 놀이 활동으로 연결하는 과정을 통해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사회적 관계 형성과 긍정적인 자아상, 그리고 일상생활능력을 발달시키게 된다(Lee, 2004). Park(2013)은 다양한 움직임을 통해 유아는 신체 움직임의 경험과 기본적인 운동기능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정서적 측면과 사회성 발달에도 긍정적 영향을 받는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연구와 특히 유아기의 운동은 전반적인 신체발달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대·소근육 및 신체 각 부분의 균형적인 발달, 감각기관의 원활한 상호작용과 같은 신체발달을 촉진하며, 자존감과 협동심을 길러주고, 평형성과 유연성 민첩성, 근력 순발력과 같은 기초운동 능력을 향상 시킨다(Lim and Ji, 2007).

그러나 발달지체 유아의 경우 일반 유아에 비해 신체 운동의 경험이 부족하고 상황적으로 생활공간의 제약까지 함께 나타난다. 발달지체 유아의 경우 독립적 활동을 위해서는 타인에 대한 지각과 민감성이 부적절하고 제한적인 상황이 발생하게 되며 사회적 관계 및 일상생활에서도 불편함을 호소한다(Lee, 2001). 또한 발달지체 유아의 움직임의 부족은 전반적인 기본운동 능력과 지각 운동능력 발달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신체의 기능적 발달은 신체의 형태적 발달에 비해 지체되고 기본적인 움직임과 협응력 또한 부족하게 된다(Lee, 2009). 그리고 발달지체 유아의 경우 기본적인 움직임에서 이동움직임 걷기, 달리기, 뛰기의 기능적 제한은 일반유아들과의 놀이나 활동을 수행하는데 또래와 함께 생활하는데 어려움을 유발하고 사회성 발달 또한 초래할 수 있다(Park, 2013). 따라서 발달지체 유아들의 운동 능력의 발달은 발달영역에서 다 중요하겠지만 운동발달능력은 다른 어떤 발달보다도 선행되고 이를 위해서 발달지체 유아들에게 지체되어있는 각 영역의 발달을 장려하고 자신의 신체와 주변세계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한다(Park, 2013).

심리운동은 심리(Psycho)로 이행되는 좋은 통로가 신체의 경험/운동성(Motorik)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심리운동이라고 하며, 심리운동은 지각, 경험, 인식, 행동의 기능적 통합으로 이루어진 행동의 심리적 운동 관계로 이해할 수 있다(kim, 2018). 운동성은 단지 신체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지각, 경험, 사고, 행동들의 기능적 통합’으로 이루어진 자세·움직임의 총체로 인격의 표현이다(Choi, 2014). 특히 인간의 신체와 세계를 연결하는 매개체인 움직임은 그 자체로 중요한 의미이며, 자신을 표현하는 매개이며 그 표현을 통해 움직임이 이해 되어질 수 있다(Yeo, 2018). 자신과 자기 신체를 지각·체험·이해하고 자기 신체를 조정하는 능력인 자아능력(Ich-Kompetenz), 물질적인 환경을 지각하고 환경에 대한 정보를 체험·이해·처리하며 환경 안에 잘 적응하는 능력인 물질 능력(Sach-Kompetenz), 사회적 환경을 지각하는 자신, 물질 및 사회적 환경을 잘 조정하는 능력(Social-Kompetenz), 이 세 가지 능력을 포함하는 자신, 물질 및 사회적 환경을 잘 조정하는 능력인 행동능력을 함양함으로써 사회 안에서 자신을 표현하고 자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Yeo, 2018). 심리운동의 목표는 인간이 자기 자신과 자신의 사물적인 환경과 사회적 환경에 깊이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인간의 능력을 키워주는 데 있다(Kim, 2018). Zimmer (2005)는 신체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한 심리운동은 긍정적 자아개념의 발달과 더불어 자기표현을 통한 의사소통 발달 그리고 사회, 정서 및 신체의 전체적인 발달에 기여한다. 인간의 능력과 업적의 중요성 보다 체험중심, 개인 인성 중심의 움직임을 통해서 건강한 인성을 형성시키고 유아의 단점이나 이상행동, 부족함을 부각시키지 않는다(Kiphard, 1989). 유아기의 움직임에 대한 직접적인 활동으로 심리운동은 자심감을 키워나가고 스스로 표현함으로써 전인적, 인본적인 발달에 적합한 중재 프로그램(Lee, 2005)이며, 심리운동의 영역은 신체 경험, 물질 경험, 사회경험을 바탕으로 대상자 중심활동으로 무의식적인 부정적 자기인식과 불만을 신체를 이용한 활발한 움직임을 통해 승화시킴으로써 정서적 안정감을 갖도록 도와준다(Retrieved from Psychomotor.co.kr). Zimmer(2005)는 심리운동의 목표를 인간의 인성발달과 자아정체성의 관계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신체경험, 물질경험, 사회경험을 통하여 자아능력, 물질능력, 사회적 능력을 증강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삶의 전반적인 수행능력을 성취하는 데 있다. 발달지체 유아 또한 자발적 행동과 자립적 행동을 신장시켜 집단 내에서 경험을 통해 발달지체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돕기도 한다. 심리운동은 운동 및 감각 능력에 지체를 보이거나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에게 치료적으로 적용하는 상황에서도 심리운동은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목적으로 하고 신체와 심리적 측면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게 된다. 즉, 심리운동은 인간에게 있어서 신체와 심리가 분리된 것이 아닌 하나의 총체적인 것으로 보며, 전인적 발달 차원의 지원이라 할 수 있다(Lee, 2005).

심리운동은 발달지체 유아의 발달과제를 성공적으로 완수하는데 필요한 수행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신체 경험, 물질 경험, 사회경험의 세 가지 영역을 심리운동 주요 내용으로 설정한다. 이 세 가지 영역에서 발달지체 유아는 감각성과 운동성을 체험하게 되고 움직임 과제를 통해 자기 자신을 구체적으로 인식하고 체험한다. 또한 다양한 사물이나 기구를 통해 주변의 물질부터 물질 경험에 쓰이는 도구까지 다양하게 접할 수 있다. 이러한 경험과 탐색을 통해서 발달지체 유아는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주인의식을 가지고 자신감 있게 행동할 수 있는 수행능력을 배양하게 되고 발달지체 유아의 경우 장애나 문제행동 등 다양한 부적응적 행동으로 인해 발견하지 못한 자신의 장점이나 능력을 인식할 수 있으며 긍정적 자아 정체감이 형성되도록 한다(Lee, 2009).

따라서 본 연구는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 선행연구들에서 운동능력(kim, 2010; yoo, 2010; Jeong, 2013; Lee, 2014), 사회적 상호작용(Jeong, 2010; Jeon, 2008; Suh, 2012; Choi, 2012), 정서 및 적응 행동 (Jeong, 2009; Ahn, 2012), 또래 놀이(Lim, 2013), 놀이참여 및 놀이 행동(Kim, 2010; Jeon 2008; Han, 2010), 놀이 자발성(Kong and Song, 2007; Cho, 2012)은 발달지체 유아의 신체발달 및 사회적 능력과 놀이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Kwak(2020)의 심리운동 중재의 장애 유형별 현황에서 발달지체 40.5%, 연령별 현황에서는 장애 유아가 46.4%, 실험연구가 83.7%로 나타나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를 통한 문헌분석을 통해 발달지체 유아에 적용된 다양한 중재 방법과 변인, 중재 내용을 알아봄으로써 발달지체 유아에 심리운동 적용에 대한 효과에 있어서 발달지체를 보이는 유아들에게 적용의 영역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Kwak(2020)의 연구에서도 장애 유형 유아의 심리운동적용이 연구의 수가 많으며, 심리운동이 시작된 독일에서도 조기 중재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활발함에 따라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뿐만 아니라 다양한 대상 적용도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변인과 중재 내용에 대한 부분을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며, 이를 바탕으로 심리운동 중재 프로그램의 영역에 따른 차별화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접근 방법의 다양함 또한 기대해 본다. 2005년부터 2024년까지의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연구를 살펴보면 독립변인의 변인별 범주를 보면 심리운동 적용, 심리운동과 타 중재, 타 중재와 심리운동, 심리운동과 신체활동 효과 비교와 신체활동으로 나타났으며, 종속 변인 범주에서는 사회성과 사회적 기술, 운동능력, 정서·행동 문제, 인지적 능력, 전반적 발달, 언어성, 의사소통의 변인 범주를 확인하였다. 발달지체 유아의 경우 정상 발달을 하는 유아와 동일한 욕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잠재력을 개발하고 습득할 수 있는 기회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발달지체 유아의 경우 지체로 인해 놀이나 활동 부분에서 안전사고나 부상 등을 염려하기 때문이다(Cha,, 2017). 따라서 본 연구는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접근에의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한 발달지체 유아의 조기 중재가 전인적 발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24년 10월까지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논문 43편을 대상으로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을 살펴봄으로써 심리운동 중재의 변인 특성과 중재 내용을 살펴보았다. 향후 심리운동 중재를 하는 데 있어서 발달지체 유아의 특성을 고려한 중재 적용의 다양한 접근에 대한 기초를 마련하고 향후 관련 연구를 하는 데 있어서 방향 제시가 주된 목적이며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 연구의 일반적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의 변인 특성은 어떠한가?

셋째,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의 중재 내용은 어떠한가?


Ⅱ.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 교육법」시행령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기준에서 ‘신체, 인지, 의사소통, 사회정서, 적응 행동 중 하나 이상의 발달이 또래에 비하여 현저하게 지체되어 특별한 조치가 필요한 영아 및 9세 미만의 유아 중에서 만3세부터 초등학교 취학 전 아동의 유아를 의미한다. 분석 대상은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연구 논문분석을 위한 기준은 심리운동 관련 선행연구(Choi, 2012; Jung, 2017; Mon and Jung, 2017)를 참조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으며, 연구 대상 논문은 다음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논문들이다.

첫째,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와 등재후보지 및 일반학술지로 게재된 논문

둘째, 발달지체 유아와 심리운동 단어가 명시된 논문

셋째, 석사학위와 박사학위 논문

2. 자료수집 및 분석

본 연구의 분석 논문은 논문자료 검색사이트를 이용해서 수집하였으며, RISS(학술연구정보서비스), DBpia(누리미디어), KERIS(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회도서관을 이용하여 관련 자료들을 검색하여 2005년부터 2024년 10월까지 논문을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심리운동 관련 논문에서 ’발달지체 유아‘, ’심리운동 중재‘ 키워드를 사용한 논문을 수집하여 변인, 연구 대상, 중재, 측정의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논문들에 대해서는 영역별 변인, 연구 대상, 중재 내용 및 측정을 백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연구의 일반적 현황

가. 독립변인 범주

독립변인 범주로는 심리운동, 심리운동, 심리운동과 타 중재 방법 병행, 타 중재에 심리운동 적용, 심리운동과 신체활동 비교로 나타났으며, 개별논문의 독립변인 명칭으로는 심리운동 범주, 심리운동과 타 중재 방법의 병행 범주, 타 중재에 심리운동 적용 독립변인 범주, 심리운동과 신체활동 비교 독립변인 범주로 나타났다.

Data analysis frame

독립변인 범주에서는 연구논문을 살펴보면, 심리운동의 중재(Kim, 2010; Kim, 2010; Kim, 2016; Nam, 2011; Sui, 2012; Sui, 2016; Eui, 2017; Jun, 2008; Jung, 2010; Jung, 2006; Jung, 2007; Jung, 2008; Jung, 2009; Ju, 2016; Che, 2017; Choi, 2016; Choi, 2012; Kim, 2016; Park, 2017; Jung, 2015; Han and Lee, 2011; Kim, 2018)에서 점차적으로 심리운동과 타 중재 방법의 병행(Park, 2017; Ha, 2020)과 타 중재에 심리운동 적용한(Park, 2015; Yang, 2012; Lee, 2014; Lee, 2015; Lee, 2013; Joo, 2014; Park et al., 2015; Park and Kim, 2014; Joen, 2016; Joo, 2015; Lee, 2018; Min, 2018) 논문들로 나타남을 볼 수 있다. (<Table 2> 참조)

Independent variable category

나. 종속 변인 범주

종속 변인 범주는 사회성/사회적 기술, 운동능력, 정서·행동 문제, 전반적 발달, 언어성, 수 영역으로 나타났다. (<Table 3> 참조)

Dependent variable category

2.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변인 특성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변인 특성으로 독립변인 유형과 종속 변인 유형을<Table 4>와 <Table 5>에 제시하였다.

가. 독립변인 유형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변인 특성으로 독립변인 유형 분석 결과 <Table 4>와 같이 제시하였다.

Analysis of independent variable types

나. 종속 변인 유형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변인 특성에서 종속 변인 유형 분석 결과는 <Table 5>와 같이 제시하였다. 종속 변인이 두 개 이상으로 제시되는 연구의 종속 변인도 포함하였다.

Analysis of dependent variable types

다. 연구 대상 선정 기준 분석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변인 특성에서 연구 대상 선정 기준 분석 결과는 <Table 6>과 같이 제시하였다.

Analysis of subject selection criteria

3.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중재 내용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내용분석으로는 중재 환경 분석, 중재 간격 및 중재 회기 분석, 중재 시간, 측정 도구 등의 분석 결과는 다음 <Table 7>, <Table 8>, <Table 9>, <Table 10>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가. 중재 환경 분석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내용분석에서 중재 환경 분석 결과 <Table 7>과 같다.

Analysis of arbitration environment

나. 중재 회기 및 중재 간격 분석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내용분석에서 중재 간격 및 중재 회기 분석 결과 <Table 8>과 같이 제시하였다.

Analysis of arbitration session․interval

다. 중재 시간 분석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내용분석에서 중재 시간 분석 결과는 <Table 9>와 같이 제시하였다.

Analysis of arbitration time

라. 측정 도구 분석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내용분석에서 측정 도구의 분석 결과는 <Table 10> 과 같이 제시하였다. 측정 도구의 분석에서 한 개 이상도 포함하였다.

Analysis of measurement tools


Ⅳ. 결 론

본 연구는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변인 특성과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중재 내용을 살펴보았다.

첫째,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변인 특성으로 독립변인 유형과 종속 변인 유형의 자료 분석 결과를 자료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변인 특성으로 독립변인 유형 분석 결과 심리운동(20편), 심리운동과 타 중재 병행(2편), 타 중재에 심리운동 적용(9편) 신체 활동(11편)으로 나타났다. 종속 변인 유형에서는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변인 특성에서 종속 변인 유형에서 종속 변인이 두 개 이상으로 제시되는 연구의 종속 변인도 포함하였다. 종속 변인 유형에서는 사회성과 사회적 기술(15편), 운동능력(21편), 정서·행동 문제(3편), 수학적 개념(1편), 전반적 발달(1편), 언어성(2편)으로 나타났다. 심리운동 중재 단독이 독립변인 분석 결과 43편의 논문 중에서 20편으로 심리운동 중재 단독이 많다는 것은 심리운동 중재 프로그램 자체가 발달지체 유아의 발달과제를 성공적으로 완수하는 데 필요한 수행 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신체 경험, 물질 경험, 사회 경험 세 가지 영역에서 발달지체 유아는 감각성과 운동성과 운동성을 체험하게 되고 움직임 과제를 통해 자기 자신을 구체적으로 인식하고, 또한 다양한 사물이나 기구를 통해 주변의 물질로부터 물질 경험에 쓰이는 도구까지 다양하게 접하게 됨으로써 경험과 탐색을 통해서 발달지체 유아는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주인의식을 가지고 자신감 있게 행동할 수 있는 수행 능력을 배양한다는 것이 심리운동 중재의 장점으로 작용한다.

둘째,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내용은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내용분석으로 연구대상자 선정 기준, 중재 환경 분석, 중재 간격 및 중재 회기 분석, 중재 시간, 측정 도구 등의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연구 대상 선정 기준에서는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변인 특성에서 연구 대상 선정 기준 분석 결과는 웩슬러 지능검사 1편, K-CDI가 8편, PEP-R이 3편, 사회성숙도 검사가 6편, 소아정신과 의사 진단이 11편, K-CBCL이 1편, K-WPSI-ⅢRK 1편, 포테이지 발달검사 1편, KISE-SAB 2편, SELSI 1편, 부모 면담 1편, 유아 관찰 1편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 선정 기준 결과는 유아의 발달검사가 발달지체 유아의 대상 선정 기준으로 확인되는 것은 발달검사 부분에서 대상의 전반적 발달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중재 환경 분석은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내용분석에서 중재 환경 분석 결과 중재 환경으로서 강당과 체육관은 4편, 교실 6편, 심리치료실(심리운동) 4편, 운동장과 수영장은 없었으며, 복지관 명상실 1편, 놀이실(유희실과 감각운동실) 5편, 작업치료실 1편, 미보고 5편으로 나타났다. 중재 환경은 다양한 장소를 선택할 수는 있지만 심리운동 특성상 여유로운 공간과 물질 경험을 할 수 있는 도구까지 구비된 장소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재 간격 및 중재 회기 분석은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내용분석에서 중재 간격 및 중재 회기 분석 결과 주 1회 16회기 진행이 2편, 주 2회 (16회기는 7편, 32회기 1편, 14회기 1편, 12회기 2편, 18회기 3편, 20회기 1편, 30회기 2편, 24회기 1편), 주 2-3회기(15회기 1편, 19회기 1편), 주 3회기(20회기 1편, 18회기 2편, 26회기 1편), 주 3-5 회기, 23회기 1편, 주 5회 18회기 1편으로 나타났다. 중재 간격 및 중재 회기는 실험 연구에서 적용 부분은 연구자의 환경과 상황에 맞게 설정 되어있는 부분이 주가 되겠지만 발달지체 유아의 경우는 유아의 발달이 촉진되는 시기와 지체 정도에 따라 접근하는 중재 간격과 회기를 문헌 참고와 사전실험을 통해서 지정하여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재 시간 분석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내용분석에서 중재 시간 분석 결과에서는 30분으로 진행한 논문은 5편, 40분 8편, 45분 1편, 50분 4편, 60분 3편, 미보고 8편으로 나타났다. 중재 시간 분석의 경우, 연구 대상인 발달지체 유아의 집중 정도와 움직임이 허락하는 시간 환경 내에서 시간을 지정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 도구 분석에서는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내용분석에 대한 측정 도구의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있으며, 측정 도구의 분석에서 한 개 이상도 포함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MOT4-6은 7편, CPRE1 편, PRES 1편, PER-R 1편, 관찰기록(등간 기록 3편, 빈도 기록 2편, 부분 간격 기록 2편), 의사소통 능력 검사 1편, PEP검사 1편, KCDR-R1 편, SSRS 1편, SEG1 편, SEG 1편, PSP 1편, KEDAS 1편, E-QUALⅢ 1편, K-DTVP 1편, 유아 적응 행동 검사 1편, CPS 1편, CPCL 1편으로 나타났다. 측정 도구 분석에서는 MOT 4-6세까지의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발달에 지체를 보이는 유아의 움직임에 대한 측정 도구를 사용했다는 것이 의미가 있다. 하지만 심리운동의 경우 신체 경험, 물질 경험, 사회 경험 세 가지 영역을 심리운동 주요 내용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세 가지 요소를 평가하는 도구를 사용해도 무관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해 심리운동 중재의 일반현황과 변인 특성과 중재 내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발달지체 유아는 전반적인 발달의 정도가 비장애 유아의 발달에 비해 뒤쳐져 있기 때문에 비장애 유아에 비해 습득 정도를 따라가지 못한다. 따라서 발달지체 유아의 특성에 적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발달지체 유아가 많은 경험을 하고, 또래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활동이 필요하다(Lee. 2015). (Cho, 2014)의 연구도 누리과정 기반 심리운동 중재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유아의 교육과정인 누리과정 기반한 프로그램으로 사회 능력과 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제시한 연구에서도 볼 수 있듯이 교육과정 안에서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의 효과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심리운동 중재를 통한 중재가 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점은 고무적이나 중재의 방법이 단순하게 개인 프로그램으로 그치는 경향이 많은 것으로 사료 되고, 유아의 교육과정인 누리과정 기반 교육과정 차원으로 접근한 논문은 전체 논문 중 2편에 해당된다. 유아기의 발달 과정으로 볼 때 놀이 중심 교육과정에 기반한 발달지체 유아의 프로그램 적용과 교육과정 기반 다차원적인 중재가 된다면 오히려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이면서 중재를 하는 것보다 경제적 비용 부담과 접근성의 용이성까지 확보하는 유익한 프로그램이 될 것이다.

둘째, 심리운동의 특징 중 하나는 집단 안에서 심리운동의 궁극적인 목표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개별중재나 소그룹 위주의 중재도 물론 중재 효과가 나타나지만, 학급 단위나 학교 단위의 프로그램으로 활동하는 것은 모든 대상자에게 적용해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얼굴을 알지 못해도 금방 친해지기도 하고, 활동 또는 놀이 안에서 뛰고 앉고, 걸어가고, 눈 가리고 활동하는 프로그램 등 모든 감각기관을 확장 시키기도 하여 유아기뿐만 아니라 발달 또는 성장을 위한 대상자들에게 필요한 중재 프로그램이기도 하다. 학교 기반의 프로그램 등의 지원 및 지역사회 차원에서의 지원 또한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심리운동 프로그램에서 숲 체험 심리운동은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 프로그램의 장소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심리운동사 자격 심화과정에서 주로 숲 체험을 통한 심리운동 중재 커리큘럼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발달지체 유아에게도 효과성 또한 기대해 볼 수 있다. 유아기의 누리과정에는 생태 체험이 교육과정에 고지되어 있으며, 특히 유아기 때는 체험형 프로그램이 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성장을 촉진 시키고 지체나 지연의 발달 정도 변화를 도모할 수 있게 다양한 감각기관들을 자극하고 촉진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넷째, 심리운동 중재라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발달지체에 해당하는 유아들 또는 타 대상자에게 좀 더 유익한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기반과 생태학적 접근의 다 차원적이고 다 감각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체계와 프로그램이 많이 개발되었으면 한다. 심리운동은 우리나라에 한 학문의 영역으로 들어와서 자리 잡아가는 과정이며 심리운동은 교육, 심리학, 의학, 스포츠과학, 사회학 및 철학과 같은 다양한 학문의 융복합 분야(Motologie, 2020)로 감각주의, 정신 정형 연습, 리드믹, 발달 이론, 유아교육, 움직임 교육이론의 바탕으로 감각을 활용한 교육, 움직임 및 놀이를 통한 교육, 흥미와 자발성 중심, 신체 경험 등의 특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독일학교에서도 심리운동을 통해 아동에게 조화로운 개인 발달의 기초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심리운동 영역의 학문이 모든 사람에게 전인적 인격을 형성하는 초석이 되었으면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 문헌분석을 통해 발달지체 유아의 심리운동 중재의 다양한 변인들을 알아보았으며, 발달지체 유아뿐만 아니라 다양한 대상에의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적용도 필요하고, 발달지체 유아들의 전인적 발달을 위한 누리과정 교육과정의 적용프로그램 또한 중요하다 여겨지며 심리운동 적용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나아가 실제 활용화를 위한 다양한 중재 방법의 적용을 토대로 발달지체 유아의 성장과 발달을 제공하고 기여하는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되었으면 한다.

References

  • Cho HK(2014). The effects of an NURI- Curriculm-based Psychomotor progral on the Scial and motor abilit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oosuk University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 Choi JG(2012). Psychomotorik: An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Studies. Department of Early Children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 Chea YH(2017). The Effect of Psychomotor program on playfulenes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Journal of motologie, 3(1), 29~51.
  • Kim OH(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Development, Self-Control and Problem Behavior.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9), 517~538.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9.517]
  • Kim SY, Han JT, Choi MO, Min HS and Sung HR(2012). The Effect of e-Exercise Program on Balance, Gait, and Endurance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7(3), 259~265. [https://doi.org/10.13066/kspm.2012.7.3.259]]
  • Kwak JM(2020). A Research Trend Analysis for Exploring the Direction of Psychomotorik Journal of motologie, 6(2), 27~50. [https://doi.org/10.23123/jmot.2020.6.2.27]
  • Moon JW and Jeong BJ(2017). Trend Analsis of Psychomotorik Research. Journal of motologie, 3(1), 107~129.
  • Motologie(2020). https://Motologie.net
  • Olanow CW, Stern MB and Sethi K(2009). The scientific and clinical basis for the treatment of Parkinson disease (2009). Neurology, 72(21 Suppl 4), 1~136. [https://doi.org/10.1212/WNL.0b013e3181a1d44c]
  • Rubinstein T, Giladi N and Hausdorff J(2002). The power of cueing to circumvent dopamine deficits: A review of physical therapy treatment of gait disturbances in Parkinson's disease. Movement Disorders, 17(6), 1148~1160. [https://doi.org/10.1002/mds.10259]
  • Ramig L, Sapir S, Fox C and Countryman S(2001). Changes in vocal loudness following intensive voice treatment (LSVT®) in individuals with Parkinson's disease: A comparison with untreated patients and normal age‐matched controls. Movement Disorders, 16(1), 79~83. [https://doi.org/10.1002/1531-8257(200101)16:1<79::AID-MDS1013>3.0.CO;2-H]
  • Sohng KY, Moon JS, Lee KS and Choi DW(2007).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Self-management Program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e 37(6), 891~901. [https://doi.org/10.4040/jkan.2007.37.6.891]]
  • Shulman L, Katzel L, Ivey F, Sorkin J, Favors K, Anderson K and Macko R(2013).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3 types of physical exercise for patients with Parkinson disease. JAMA Neurology, 70(2), 183~90. [https://doi.org/10.1001/jamaneurol.2013.646]
  • Suchowersky OJ, Gronseth G, Perlmutter J, Reich S, Zesiewicz T and Weiner W(2006). Practice Parameter: Neuroprotective strategies and alternative therapies for Parkinson disease (an evidence-based review): Report of the Quality Standards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Neurology,66(7), 976~982. [https://doi.org/10.1212/01.wnl.0000206363.57955.1b]
  • Yesavage Brink, Rose Lum, Huang Adey and Leirer. (198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7(1), 37~49. [https://doi.org/10.1016/0022-3956(82)90033-4]
  • Yeo EH(2017).The effects of Psychomotor program on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Journal of motologie,3(1), 1~27. [https://doi.org/10.23123/jmot.2017.3.1.1]

<Table 1>

Data analysis frame

Type Field Analysis variable Category by Variables
Interventional detail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①Psychomotor ②Psychomotor and other intervention
③Application of Psychomotor to other interventions
④Psychomotor and Physical activity effectiveness comparison
⑤Physical activity
Dependent Variables ①Sociality and Social skills ②Athletic ability
③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④Cognitive ability
⑤Pervasive Development ⑥Language ability
⑦Voluntary play ⑧Attention
Subject of Research Disability and Problem Types ①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
Selection criterion ①A specialist's diagnosis of disability ②Parental needs and consent ③ Intelligence Test ④Vineland Social Maturity Scale
⑤Not multiple disabilities ⑥Instruction-Reaction performed ⑦K-CBCL ⑧CARS ⑨KISE-SAB ⑩Motility test
⑪The level of play development ⑫K-ARS ⑬K-CDI ⑭etc.
Number of Participants per Group ①1 person ②2-5 people ③6-10 people ④11-20 people
⑤More than 21 people
Age ①Infant(3 to 7 years old)
Intervention content of arbitration
arbitration interval ①Once a week ②Twice a week ③3 times a week
④4 times a week ⑤5 times a week ⑥Not reported
Arbitration General Session ①10 times or less ② 11~20 times ③ 21~30 times
④31 times or more ⑤Not reported
arbitration venue ①Auditorium and Gym ②Classroom ③Therapy center
④Playground ⑤Swimming pool ⑥Not reported
⑦Play room
Measurement Observation ①Interval recording ②Frequency recording ③
Pre-Post ①K-CBCL ②MOT 4-6 ③KTK ④KISE-SAB ⑤SSRS
⑥Other evaluation tools ⑦CPLC

<Table 2>

Independent variable category

Independent variable category Nam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e individual study
Psychomotor Psychomotor Activities, Psychomotor, Psychomotor Activities Based on Daily Life Topics, Psychomotor Physical Activities, Psychomotor Activities Using Roll Blades, Psychomotor Games, Psychomotor Traditional Game
Psychomotor and other intervention Movement Promotion Program Based on Eurhythmics and Psychological Exercise, Application of Eurhythmics and Psychological Exercise,
Application of Psychomotor to other interventions sensory integration psychological exercise program, Psychological Exercise Program Using Tools, Psychological Exercise Program Based on Nuri Process, Enhanced Experience-Based Psychological Exercise, Psychological Exercise Linked to Nuri Process, Eurhythmics-Based Psychological Exercise Program for Speech Therapy, Psychological Exercise Using Fairy Tales
Psychomotor and Physical activity effectiveness comparison Movement Promotion Program Based on Psychomotor

<Table 3>

Dependent variable category

Dependent variable category Name of dependent variable Details
Sociality/Social skills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Spontaneity,
Personality, Social skills, Play participation,
Class participation, Ability to cope with stress,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Adaptive behavior, Social interaction,
Peer interaction, Social ability, Conceptual adaptive behavior, Self-expression, self-efficacy, Stress level, Social self-efficacy, Success experience, Communication Ability, Movement activity Ability, Self-Help skill, Social skill, Success experience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Playfu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Psychological stability, Social stability, Problem behavior, Emotional expression, Sense of order, Confidence, Cooperation, Assertiveness, Self-control, Cooperation, Social initiation behavior, Social response behavior, Positive interaction, Negative interaction, Self-expression, Acceptance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developmentally delayed child, Visual contact, Attempted behavior, Reaction behavior
Athletic ability Physical ability and play behavior, Sensorimotor development, Motor ability and body perception, Gross motor development, Movement activity, Play spontaneity Balance ability, strength, muscular endurance, brain waves, dopamine, running power, agility, fine motor skills, quickness, body control, cardiorespiratory endurance, movement coordination ability, movement control, flexibility, body fat percentage, sense of balance, balance, blood lipids, coordination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Behavioral problems, hyperactivity, problem behavior, emotional ability, maladaptive behavior, aggression, demanding action, attention seat disengagement, failure to complete tasks, interfering with others, shouting and chattering behavior, anxiety,
depression/withdrawal, stratification-frustrated needs, aggression, socialization, self-concept, lack of sense of reality, yelling, hitting, ignoring
Pervasive Development Visual development positive approval from parents, self-object desire, improved self-esteem, increased mobility, recognition of others
Language ability Language expressiveness, Acceptance and language expression Word count, Content connection, Creative expression ability
Number doma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Knowledge, Coordination, Emotion

<Table 4>

Analysis of independent variable types

Independent Variables
Subject
Psychomotor Psychomotor and other intervention Application of Psychomotor to other interventions Psychomotor and Physical activity effectiveness comparison Physical activity Total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 20 2 9 1 11 43

<Table 5>

Analysis of dependent variable types

Dependent Variables
Subject
Social competence and Social skill Athletic ability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mathematical concept Pervasive Developmen Language ability Total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 15 21 3 1 1 2 43

<Table 6>

Analysis of subject selection criteria

Subject
Analysis of Subject Selection Criteria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 Total
WISC 1 1
K-CDI 17 17
PEP-R 3 3
SMS 6 6
Pediatric psychiatrist diagnosis 8 8
KCBCL 1 1
K-WPPSI-Ⅲ 1 1
Portage 1 1
KISE-SAB 2 2
SELSI 1 1
Parent interview 1 1
Infant observation 1 1

<Table 7>

Analysis of arbitration environment

enue
Subject
Auditorium
gym
Class
room
Therapy center
(Psychomotorik Room)
Play
ground
Swimming pool Welfare Center Medi
tation Room
Play room
(ensorimotor room)
Occu
pational therapy room
Not reported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 4 6 4 1 5 1 5
Total

<Table 8>

Analysis of arbitration session․interval

arbitration session interval
Subject
Once
a week
Twice
a week
2-3 times
a week
3 times
a week
3-5 times
a week
5 times
a week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 16
sessions
(2)
16sessions(7) 32sessions(1)
14sessions(2) 12sessions(2)
18sessions(3) 30sessions(2)
24sessions(1) 20sessions(1)
15sessions(1)
19sessions(1)
20sessions(1)
18sessions(2)
26sessions(1)
23
sessions
(1)
18
sessions
(1)
Total

<Table 9>

Analysis of arbitration time

arbitration tiime
Object
30min 40min 45min 50min 60min 90min Not reported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 5 8 1 4 3 8
Total

<Table 10>

Analysis of measurement tools

Subject
measurement tools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 Total
MOT 4-6 8 8
CPRS 1 1
CPS 1 1
CPLC 1 1
PRES 3 3
PER-R 1 1
Obser vation records 12
Communication ability Test 1 1
PEP 1 1
KCDR-R 1 1
SSRS 1 1
SEG 1 1
PSP 1 1
KEDAS 1 1
E-QUALⅢ 1 1
K-DTVP 1 1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
1 1